KR102069218B1 - 락업링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락업링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218B1
KR102069218B1 KR1020180086254A KR20180086254A KR102069218B1 KR 102069218 B1 KR102069218 B1 KR 102069218B1 KR 1020180086254 A KR1020180086254 A KR 1020180086254A KR 20180086254 A KR20180086254 A KR 20180086254A KR 102069218 B1 KR102069218 B1 KR 102069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unit
wire rod
cam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옥만
Original Assignee
(주)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은성 filed Critical (주)은성
Priority to KR1020180086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2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00Bending wire other than coiling; Straightening wire
    • B21F1/004Bending wire other than coiling; Straightening wire by means of press-type t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1/00Cutt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3/00Feeding wire in wire-working machine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37/00Manufacture of rings from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업링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제1캠부와 상기 제1캠부에 의해 선재가 벤딩되도록 하는 제1프레스부와 상기 제1프레스부의 일측에 상기 제1프레스부와 고정되어 상기 제1프레스부가 원위치로 상강되도록 하는 제1이동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제2캠부와 상기 제2캠부에 의해 선재가 벤딩되도록 하는 제2프레스부와 상기 제2프레스부의 일측에 상기 제2프레스부와 고정되어 상기 제2프레스부가 원위치로 하강되도록 하는 제2이동부와 상기 제1프레스부와 제2프레스부 사이에 구비되어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성형공이와 상기 제1프레스부와 제2프레스부가 선재를 성형할 수 있도록 상기 선재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스부는, 상측으로 볼록하게 구비된 상측반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스부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구비된 하측반원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프레스부 및 제2프레스부가 상기 성형공이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하강 및 상승하여, 상기 상측반원부 및 하측반원부가 상기 성형공이와 형합됨으로써 상기 선재가 링 형상으로 벤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락업링 제조 장치{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lock up ring}
본 발명은 락업링 제조 장치로써 더욱 자세하게는, 동과 같은 금속재를 띠형태로 길게 성형시킨 선재를 공급하고, 공급되어 오는 선재를 제작하고자하는 링의 규격에 맞게 절단을 하며, 절단된 선재를 링형태로 말아서 성형하는 모든 작업을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락업링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락업링이란,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할 때 밀폐능력을 크게 향상시켜주는 부재로 흔히 밀폐링이라 한다.
종래의 밀폐링을 제작하는 방식은 동파이프의 내면 전둘레에 걸림테가 형성되게 성형가공한 뒤에 걸림테가 형성된 동파이프를 링형태로 절단을 하며, 이렇게 링형태로 절단한 반제품 형태의 밀폐링의 외측 모서리 전둘레를 모따기 가공하고, 이렇게 모따기 가공된 밀폐링의 일측을 절개하여 밀폐링의 제작을 완료하였다. 즉, 상기와 같이 동파이프를 가공하여 밀폐링을 제작할 때 절삭가공공정이 소요되므로 재료의 손실이 있는 폐단과, 가공시간이 지연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례로, 한국등록특허 제10-0394116호를 살펴보면, 띠형태로 길게 성형된 선재를 클릭식으로 공급하면서 공급되어 오는 선재를 제작하고자 하는 밀폐링의 규격에 맞게 절단을 하며, 절단된 선재를 링형태로 말아서 밀폐링을 성형하는 모든 작업을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밀폐링 제조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한국등록특허 제10-0394116호의 밀폐링 제조장치를 통하여 제조된 밀폐링은 불량률이 높으며, 진동과 소음이 큰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94116호(2001.06.05.)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선재를 링의 규격에 맞게 절단하고 절단된 선재를 링형태로 말아서 성형하는 모든 작업을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링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불량률을 현저히 낮추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된 링의 진원도를 향상시켜 고품질의 링이 제조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링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진동 및 소음을 현저히 낮추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락업링 제조 장치와 비교하여 차지하는 공간이 감소된 락업링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락업링 제조 장치에 있어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제1캠부와 상기 제1캠부에 의해 선재가 벤딩되도록 하는 제1프레스부와 상기 제1프레스부의 일측에 상기 제1프레스부와 고정되어 상기 제1프레스부가 원위치로 승강되도록 하는 제1이동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제2캠부와 상기 제2캠부에 의해 선재가 벤딩되도록 하는 제2프레스부와 상기 제2프레스부의 일측에 상기 제2프레스부와 고정되어 상기 제2프레스부가 원위치로 승강되도록 하는 제2이동부와 상기 제1프레스부와 제2프레스부 사이에 구비되어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성형공이와 상기 제1프레스부와 제2프레스부가 선재를 성형할 수 있도록 상기 선재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스부는, 상측으로 볼록하게 구비된 상측반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스부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구비된 하측반원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프레스부 및 제2프레스부가 상기 성형공이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하강 및 상승하여, 상기 상측반원부 및 하측반원부가 상기 성형공이와 형합됨으로써 상기 선재가 링 형상으로 벤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3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3모터와 상기 제3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제3캠부와 상기 제3캠부에 의해 선재가 벤딩되도록 하는 제3프레스부와 상기 제3프레스부의 일측에 상기 제3프레스부와 고정되어 상기 제3프레스부가 원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3이동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4지지부와 상기 제4지지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4모터와 상기 제4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제4캠부와 상기 제4캠부에 의해 선재가 벤딩되도록 하는 제4프레스부와 상기 제4프레스부의 일측에 상기 제4프레스부와 고정되어 상기 제4프레스부가 원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4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프레스부와 제4프레스부는, 상기 제2프레스부의 좌우 일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프레스부에 의해 상기 선재가 벤딩된 후, 상기 선재의 양단부가 상기 하측반원부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선재의 양단부를 모아주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프레스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프레스부가 승강될 때 상기 선재가 절단될 수 있도록 하는 커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에 상기 선재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상기 선재가 상기 고정부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락업링 제조 장치는, 선재를 링의 규격에 맞게 절단하고 절단된 선재를 링형태로 말아서 성형하는 모든 작업을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링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불량률을 현저히 낮추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된 링의 진원도를 향상시켜 고품질의 링이 제조되도록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링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진동 및 소음을 현저히 낮추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락업링 제조 장치와 비교하여 부피가 감소된 락업링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락업링 제조 장치의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락업링 제조 장치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락업링 제조 장치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락업링 제조 장치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락업링 제조 장치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락업링 제조 장치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락업링 제조 장치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몸체부(1)와 상기 몸체부(1)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1지지부(1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와 상기 제1지지부(10)는 나사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완전히 고정된다. 상기 제1지지부(10)는 하부 일측에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지지부(10)에 마련된 공간에 제1모터(1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모터(11)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제1캠부(12)와 상기 제1캠부(12)에 의해 선재가 벤딩되도록 하는 제1프레스부(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캠부(12)는 상기 제1모터(11)에 의해 회전되게 되는데, 상기 제1캠부(12)가 1회 회전할 때, 상기 제1프레스부(13)는 1회 하강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캠부(12)는 타원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모터(11)에 의해 회전하게 될 때, 상기 제1프레스부(13)와 장축에서 접촉되며, 단축에서는 접촉되지 않도록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프레스부(13)의 일측에 상기 제1프레스부(13)와 고정되어 상기 제1프레스부(13)가 원위치로 승강되도록 하는 제1이동부(1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이동부(14)는 양쪽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이 강한 부재가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제1프레스부(13)가 하강한 후 상기 부재로 인해 상기 제1프레스부(13)가 최초의 위치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몸체부(1)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2지지부(2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와 상기 제2지지부(20)는 나사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완전히 고정된다. 상기 제2지지부(20)는 상부 일측에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지지부(20)에 마련된 공간에 제2모터(2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모터(21)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제2캠부(22)와 상기 제2캠부(22)에 의해 선재가 벤딩되도록 하는 제1프레스부(23)를 포함한다. 상기 제2캠부(22)는 상기 제2모터(21)에 의해 회전되게 되는데, 상기 제2캠부(22)가 1회 회전할 때, 상기 제2프레스부(23)는 1회 하강하게 된다. 즉, 상기 제2캠부(22)는 타원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모터(21)에 의해 회전하게 될 때, 상기 제2프레스부(23)와 장축에서 접촉되며, 단축에서는 접촉되지 않도록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프레스부(23)의 일측에 상기 제2프레스부(23)와 고정되어 상기 제2프레스부(23)가 원위치로 하강되도록 하는 제2이동부(24)를 포함한다. 상기 제2이동부(24)는 양쪽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이 강한 부재가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제2프레스부(23)가 상승한 후 상기 부재로 인해 상기 제2프레스부(23)가 최초의 위치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제1프레스부(13)와 제2프레스(23)부 사이에 구비되어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성형공이(50)와 상기 제1프레스부(13)와 제2프레스부(23)가 선재를 성형할 수 있도록 상기 선재를 고정하는 고정부(60)를 포함한다. 상기 성형공이(50)는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하여 제작이 완료된 제품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품을 안내하는 안내부(도면 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부(도면 미도시)는 상기 성형공이(50)와 착탈 가능하도록 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내부(도면 미도시)는 상기 제품이 상기 성형공이(50)의 전후방향 왕복운동으로 인해 바닥면 을 향해 포물선을 그리며 미끄러져 내려올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성형공이(50)를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링크부재(도면 미도시)와 상기 성형공이(50) 전용 모터(도면 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60)는 상기 선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61)와 상기 선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고정부(62)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부(61)와 제2고정부(62)로 인해 상기 선재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60)는 상기 선재가 우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제3고정부(63)를 포함한다. 상기 제3고정부(63)로 인해 상기 선재가 원하는 사이즈만큼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3고정부(63)의 일측에는 터치센서와 같은 상기 선재의 위치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센서부(도면 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1프레스부(13)는, 상측으로 볼록하게 구비된 상측반원부(131)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스부(23)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구비된 하측반원부(231)를 포함하여, 상기 제1프레스부(13) 및 제2프레스부(23)가 상기 성형공이(50)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하강 및 상승하여, 상기 상측반원부(131) 및 하측반원부(231)가 상기 성형공이(50)와 형합됨으로써 상기 선재가 링 형상으로 벤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몸체부(1)의 좌측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3지지부(3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와 상기 제3지지부(30)는 나사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완전히 고정된다. 상기 제3지지부(30)는 상부 일측에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3지지부(30)에 마련된 공간에 제3모터(3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3모터(31)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제3캠부(32)와 상기 제3캠부(32)에 의해 선재가 벤딩되도록 하는 제3프레스부(33)를 포함한다. 상기 제3캠부(32)는 상기 제3모터(31)에 의해 회전되게 되는데, 상기 제3캠부(32)가 1회 회전할 때, 상기 제3프레스부(33)는 1회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제3캠부(32)는 타원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3모터(31)에 의해 회전하게 될 때, 상기 제3프레스부(33)와 장축에서 접촉되며, 단축에서는 접촉되지 않도록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3프레스부(33)의 일측에 상기 제3프레스부(33)와 고정되어 상기 제3프레스부(33)가 원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3이동부(34)를 포함한다. 상기 제3이동부(34)는 좌측과 하부측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이 강한 부재가 좌측과 하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제3프레스부(33)가 우측으로 이동한 후 상기 부재로 인해 상기 제3프레스부(33)가 최초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몸체부(1)의 우측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4지지부(4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와 상기 제4지지부(40)는 나사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완전히 고정된다. 상기 제4지지부(40)는 상부 일측에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4지지부(40)에 마련된 공간에 제4모터(4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4모터(41)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제4캠부(42)와 상기 제4캠부(42)에 의해 선재가 벤딩되도록 하는 제4프레스부(43)를 포함한다. 상기 제4캠부(42)는 상기 제4모터(41)에 의해 회전되게 되는데, 상기 제4캠부(42)가 1회 회전할 때, 상기 제4프레스부(43)는 1회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제4캠부(42)는 타원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4모터(41)에 의해 회전하게 될 때, 상기 제 4프레스부(43)와 장축에서 접촉되며, 단축에서는 접촉되지 않도록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4프레스부(43)의 일측에 상기 제4프레스부(43)와 고정되어 상기 제4프레스부(43)가 원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4이동부(44)를 포함한다. 상기 제4이동부(44)는 우측과 하부측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이 강한 부재가 우측과 하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제4프레스부(43)가 좌측으로 이동한 후 상기 부재로 인해 상기 제4프레스부(33)가 최초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3프레스부(33)와 제4프레스부(43)는, 상기 제2프레스부(23)의 좌우 일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프레스부(13)에 의해 상기 선재가 벤딩된 후, 상기 선재의 양단부가 상기 하측반원부(231)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선재의 양단부를 모아주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제1프레스부(13)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프레스부(13)가 하강할 때 상기 선재가 절단될 수 있도록 하는 커터부(7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커터부(70)는 상기 상측반원부(131)의 좌측에 구비된다. 즉, 상기 선재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커터부(70)로 인해 상기 선재가 원하는 사이즈로 절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60)에 상기 선재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급부(8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부(80)는 상기 몸체부(1)의 좌측에 설치되어 상기 선재를 상기 고정부(60)로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공급부(80)에서 공급된 상기 선재가 상기 커터부(70)로 인해 원하는 사이즈로 절단되는 것이다. 상기 공급부(80)는 회전을 통하여 상기 선재가 상기 고정부(6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모터(도면 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공급부(80)에 의해 공급된 상기 선재가 상기 고정부(60)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9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90)는 상기 가이드부(90)를 정밀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서보모터(도면 미도시)를 통해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이드부(90)는 각각 반시계방향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공급되어 오는 상기 선재가 상기 제1고정부(61)와 제2고정부(62) 사이 공간으로 이동되며, 상기 선재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90)로 인해 상기 선재의 표면에 있는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성형공이(50), 고정부(60), 커터부(70)는 각각 제조하고자 하는 링의 사이즈에 따라 이동 설치 및 교체가 가능하다. 더욱 자세하게, 상기 성형공이(50)는 상기 몸체부(1)와 나사 등으로 탈부착이 가능하여, 상기 제조하고자하는 링의 사이즈에 맞추어 교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60)는 상기 몸체부(1)와 나사 등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며, 상기 제조하고자하는 링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제1고정부(61) 내지 제3고정부(63)의 설치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일례로, 상기 선재의 폭이 넓은 경우, 상기 제1고정부(61)와 제2고정부(62) 사이의 간격을 넓혀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선재의 길이가 긴 경우, 상기 제1고정부(61), 제2고정부(62)와 제3고정부(63)의 간격을 넓혀 설치하도록 한다. 상기 커터부(70)는 상기 상측반원부(131)와 나사 등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며, 상기 선재의 폭에 따라 이동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상기 선재의 폭이 넓은 경우, 상기 커터부(70)를 길이가 긴 것으로 교체하거나, 상기 상측반원부(131)의 하측에 설치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상측반원부(131)와 하측반원부(231)는 각각 상기 선재와 접촉되는 면의 크기를 조절해주는 조절부재(도면 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자세하게, 상기 조절부재(도면 미도시)는 상기 상측반원부(131) 내지 하측반원부(231)의 상기 선재와 접촉되는 면 일측에 말굽모양으로, 상기 상측반원부(131) 내지 하측반원부(231)에 고정되고, 제작하고자하는 링의 사이즈에 맞춰 설치되는 것이다. 일례로, 제작하고자하는 링의 사이즈가 작아지면, 상기 조절부재(도면 미도시)를 상기 상측반원부(131)와 하측반원부(231) 각각에 설치하여, 작은 사이즈의 링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락업링 제조 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성형공이(50)가 제조하고자 하는 링의 치수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상기 성형공이(50)가 제조하고자 하는 링의 치수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성형공이(50)를 제조하고자 하는 링의 치수와 같은 성형공이(50)로 교체한다. 상기 성형공이(50)가 제조하고자 하는 링의 치수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링의 제작을 시작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부(90)가 상기 공급부(80)에 감겨져 있는 선재를 상기 고정부(60)로 이동시킨다. 상기 선재는 상기 제1고정부(61)와 제2고정부(62)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되며, 제3고정부(63)에 도달하였을 때 멈추게 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모터(1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캠부(1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1캠부(1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프레스부(13)가 하강하게 되고, 상기 커터부(70)에 의해 상기 선재가 원하는 크기로 절단되게 된다. 상기 커터부(70)가 상기 상측반원부(131)에 설치되는 이유는 상기 선재를 절단할 때, 많은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중력의 도움을 받기 위해서이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모터(11)가 도 3과 비교하여 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하여 상기 제1캠부(12)가 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캠부(12)가 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하여, 상기 제1프레스부(13)가 더욱 하강하게 되고, 상기 선재가 벤딩되게 된다. 상기 제1프레스부(13)가 먼저 하강하는 이유 또한, 상기 선재를 처음 벤딩할 때, 많은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중력의 도움을 받기 위해서이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3모터(3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3캠부(3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제4모터(4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4캠부(4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3캠부(32)와 제4캠부(42)가 각각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3프레스(33)와 제4프레스(43)가 상기 선재가 더욱 원형이 되도록 상기 선재의 단부를 상기 성형공이(50)의 중심방향으로 눌러주게 된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3모터(31)가 도 5와 비교하여 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하고, 상기 제4모터(41)가 도 5와 비교하여 반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하여, 상기 제3캠부(32)와 제4캠부(42)가 각각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3이동부(34)와 제4이동부(44)로 인해 상기 제3프레스(33)와 제4프레스(43)가 최초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2모터(2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캠부(2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캠부(2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프레스(23)가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선재가 완벽한 원형 링이 완성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프레스(13) 내지 제4프레스(43)로 인해, 제조된 링은 진원에 근접하게 형성되며, 찌그러지는 등의 불량률의 발생이 현저히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링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은 기존의 락업링 제조 장치와 비교하여 진동 및 소음이 감소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기존의 락업링 제조 장치와 비교하여 차지하는 공간이 감소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기존의 락업링 제조 장치와 달리 본 발명의 상기 제1프레스(13)와 제2프레스(23)는 상하 두 방향으로 이송되게 된다. 즉, 상부에만 프레스가 구비된 기존의 락업링 제조 장치와 달리 본 발명은, 상기 제1프레스(13)나 제2프레스(23)의 이송 폭이 감소하여,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상부에만 상기 프레스가 구비된 기존의 락업링 제조 장치는 상기 프레스의 이송거리가 길어 상부에 많은 공간이 필요한데 반해, 본 발명은 차지하는 공간이 감소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부에만 상기 프레스가 구비된 기존의 락업링 제조 장치는 상기 프레스가 최하단으로 하강하기 전에 양 옆의 프레스가 선재의 끝단을 누르게 되어 발생하는 불량품이 많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은 상기 제1프레스(13)와 제2프레스(23)가 두 방향으로 상기 선재를 벤딩하여 불량품의 발생 빈도가 감소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몸체부
10 : 제1지지부
20 : 제2지지부
30 : 제3지지부
40 : 제4지지부
11 : 제1모터
21 : 제2모터
31 : 제3모터
41 : 제4모터
12 : 제1캠부
22 : 제2캠부
32 : 제3캠부
42 : 제4캡부
13 : 제1프레스부
131 : 상측반원부
23 : 제2프레스부
231 : 하측반원부
33 : 제3프레스부
43 : 제4프레스부
14 : 제1이동부
24 : 제2이동부
34 : 제3이동부
44 : 제4이동부
50 : 성형공이
60 : 고정부
61 : 제1고정부
62 : 제2고정부
63 : 제3고정부
70 : 커터부
80 : 공급부
90 : 가이드부

Claims (5)

  1.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모터;
    상기 제1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제1캠부;
    상기 제1캠부에 의해 선재가 벤딩되도록 하는 제1프레스부;
    상기 제1프레스부의 일측에 상기 제1프레스부와 고정되어 상기 제1프레스부가 원위치로 상강되도록 하는 제1이동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2지지부;
    상기 제2지지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모터;
    상기 제2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제2캠부;
    상기 제2캠부에 의해 선재가 벤딩되도록 하는 제2프레스부;
    상기 제2프레스부의 일측에 상기 제2프레스부와 고정되어 상기 제2프레스부가 원위치로 하강되도록 하는 제2이동부;
    상기 제1프레스부와 제2프레스부 사이에 구비되어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성형공이; 및
    상기 제1프레스부와 제2프레스부가 선재를 성형할 수 있도록 상기 선재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스부는, 상측으로 볼록하게 구비된 상측반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스부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구비된 하측반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스부 및 제2프레스부가 상기 성형공이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하강 및 상승하여, 상기 상측반원부 및 하측반원부가 상기 성형공이와 형합됨으로써 상기 선재가 링 형상으로 벤딩되도록 하며,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3지지부;
    상기 제3지지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3모터;
    상기 제3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제3캠부;
    상기 제3캠부에 의해 선재가 벤딩되도록 하는 제3프레스부;
    상기 제3프레스부의 일측에 상기 제3프레스부와 고정되어 상기 제3프레스부가 원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3이동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4지지부;
    상기 제4지지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4모터;
    상기 제4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제4캠부;
    상기 제4캠부에 의해 선재가 벤딩되도록 하는 제4프레스부; 및
    상기 제4프레스부의 일측에 상기 제4프레스부와 고정되어 상기 제4프레스부가 원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4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프레스부와 제4프레스부는, 상기 제2프레스부의 좌우 일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프레스부에 의해 상기 선재가 벤딩된 후, 상기 선재의 양단부가 상기 하측반원부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선재의 양단부를 모아주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며,
    상기 제1프레스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프레스부가 하강될 때 상기 선재가 절단될 수 있도록 하는 커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에 상기 선재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상기 선재가 상기 고정부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성형공이는,
    상기 성형공이의 전후방향 왕복운동으로 제작이 완료된 제품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품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성형공이와 착탈 가능하도록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품이 상기 성형공이의 전후방향 왕복운동으로 인해 바닥면을 향해 포물선을 그리며 미끄러져 내려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선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선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는 상기 선재가 상하방향으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며,
    상기 선재가 우측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제3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선재가 원하는 사이즈만큼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3고정부의 일측에는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선재의 위치정도를 감지하여 보다 더 정확한 사이즈의 선재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성형공이, 고정부 및 커터부는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각각 제조하고자하는 링의 사이즈에 따라 교체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상측반원부와 하측반원부는,
    각각 상기 선재와 접촉되는 면의 크기를 조절해주는 말굽형상의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제작하고자하는 링의 사이즈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업링 제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86254A 2018-07-24 2018-07-24 락업링 제조 장치 KR102069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254A KR102069218B1 (ko) 2018-07-24 2018-07-24 락업링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254A KR102069218B1 (ko) 2018-07-24 2018-07-24 락업링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218B1 true KR102069218B1 (ko) 2020-01-23

Family

ID=69368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254A KR102069218B1 (ko) 2018-07-24 2018-07-24 락업링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21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31065A (zh) * 2020-04-15 2020-08-14 西安工程大学 适用多型号纺纱钢丝圈加工的成型机床
CN111872271A (zh) * 2020-08-13 2020-11-03 黄永怀 一种建筑施工用钢筋折弯装置
KR102264291B1 (ko) * 2020-05-29 2021-06-10 조수영 가구용 파이프 벤딩장치
CN113634678A (zh) * 2021-07-29 2021-11-12 永康市中景金属制品有限公司 自动压环系统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7285A (ja) * 1995-01-30 1996-08-06 Showa Alum Corp リング状ろう材の成形方法
KR20010044495A (ko) * 2001-02-28 2001-06-05 김옥만 밀폐링 제조장치
JP2005103640A (ja) * 2003-09-08 2005-04-21 Dai Seiko:Kk プレス装置及びプレス機構付金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7285A (ja) * 1995-01-30 1996-08-06 Showa Alum Corp リング状ろう材の成形方法
KR20010044495A (ko) * 2001-02-28 2001-06-05 김옥만 밀폐링 제조장치
KR100394116B1 (ko) 2001-02-28 2003-08-06 김옥만 밀폐링 제조장치
JP2005103640A (ja) * 2003-09-08 2005-04-21 Dai Seiko:Kk プレス装置及びプレス機構付金型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31065A (zh) * 2020-04-15 2020-08-14 西安工程大学 适用多型号纺纱钢丝圈加工的成型机床
CN111531065B (zh) * 2020-04-15 2022-04-01 西安工程大学 适用多型号纺纱钢丝圈加工的成型机床
KR102264291B1 (ko) * 2020-05-29 2021-06-10 조수영 가구용 파이프 벤딩장치
CN111872271A (zh) * 2020-08-13 2020-11-03 黄永怀 一种建筑施工用钢筋折弯装置
CN113634678A (zh) * 2021-07-29 2021-11-12 永康市中景金属制品有限公司 自动压环系统及方法
CN113634678B (zh) * 2021-07-29 2023-08-29 永康市中景金属制品有限公司 自动压环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218B1 (ko) 락업링 제조 장치
CN103600006B (zh) 汽车卷圆部件成型方法
JP4852922B2 (ja) ラック軸の製造方法
RU265551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овки стальной трубы посредством трехточечной прессовой гибки
KR102020011B1 (ko) 출입문 힌지용 슬리브의 제조방법
KR100667196B1 (ko) 부각 성형 다이
CN104014605B (zh) 等边三爪法兰滑套反向反挤工艺及反向反挤模具
KR20100129873A (ko) 기어의 단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487877Y1 (ko) 피 절곡물에 접촉을 최소화 하면서 절곡을 수행할 수 있는 프레스 금형
US2010008911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uncommon form solder wires
CN105478593B (zh) 一种级进模的导料装置
CN106424372B (zh) 一种四面包围盒体折弯模具及其使用方法
KR101818593B1 (ko) 밴딩펀치와 이를 갖춘 프레스 밴딩 금형
JP6225018B2 (ja) プレス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ローラーの製造方法
KR20200033528A (ko) 전철 창틀 성형방법
JP2015077621A (ja) プレス加工方法
KR102061768B1 (ko) 제품의 다이롤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파인블랭킹 금형 및 파인블랭킹 방법
CN204196064U (zh) 一种橡胶轮胎硫化模具花纹块的镶制钢片结构
KR101744840B1 (ko) 관재 액압성형공법
JP7054295B2 (ja) 管状部品のプレス成形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o曲げ金型
KR102299272B1 (ko) 보강링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JP7002322B2 (ja) フランジ成形用金型及びフランジ成形加工方法
KR101550241B1 (ko) 압연공법을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금속 프레임 제작방법
KR101704009B1 (ko) 프레스 금형 홀 형성장치 및 홀 형성방법
CN114192786A (zh) 一种带凸台轴套的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