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953B1 - 시료 처리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 - Google Patents

시료 처리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953B1
KR102068953B1 KR1020170066961A KR20170066961A KR102068953B1 KR 102068953 B1 KR102068953 B1 KR 102068953B1 KR 1020170066961 A KR1020170066961 A KR 1020170066961A KR 20170066961 A KR20170066961 A KR 20170066961A KR 102068953 B1 KR102068953 B1 KR 102068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ample
channel
plate
he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0844A (ko
Inventor
박희성
박재현
Original Assignee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66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953B1/ko
Publication of KR20180130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7/00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 B01L7/52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with provision for submitting samples to a predetermined sequence of different temperatures, e.g. for treating nucleic acid sam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47Handling flowable solids, e.g. microscopic beads, cells, particles
    • B01L2200/0663Stretching or orienting elongated molecules or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27Sensor or part of a sensor is integ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61Configuration of multiple channels and/or chambers in a single devices
    • B01L2300/0883Serpentine chann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료 처리부; 및 상기 시료 처리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온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료 처리부는,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채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제1일정영역에 위치하는 히팅유닛 제1체결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제2일정영역에 위치하는 시료집결부; 및 상기 시료집결부에 집결된 시료를 배출하기 위한 시료드레인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형화 및 휴대화가 가능하면서, 광노이즈 및 광 편차를 감소시켜,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대상 시료의 검출이 가능한 분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료 처리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A Analyzing Apparatus comprising sample treatment portion}
본 발명은 시료 처리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노이즈 및 광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시료 처리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합효소 연쇄 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은 핵산을 포함하는 PCR 대상 시료 및 PCR 시약을 반복적으로 가열 및 냉각하여 상기 핵산의 특정 염기 서열을 갖는 부위를 연쇄적으로 복제하여 그 특정 염기 서열 부위를 갖는 핵산을 기하급수적으로 증폭하는 기술로써, 생명과학, 유전공학 및 의료 분야 등에서 분석 및 진단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 PCR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상기 PCR 장치는 특정 염기 서열을 갖는 핵산을 증폭하는 PCR을 수행하기 위하여 구현된 장치를 말한다.
즉, PCR 장치는 이중 가닥의 DNA를 포함하는 PCR 대상 시료 및 PCR 시약을 특정 온도, 예를 들어 약 95℃로 가열하여 상기 이중 가닥의 DNA를 단일 가닥의 DNA로 분리하는 변성 단계(denaturing step), 상기 PCR 대상 시료 및 PCR 시약에 증폭하고자 하는 특정 염기 서열과 상보적인 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 프라이머를 제공하고, 상기 분리된 단일 가닥의 DNA와 함께 특정 온도, 예를 들어 55℃로 냉각하여 상기 단일 가닥의 DNA의 특정 염기 서열에 상기 프라이머를 결합시켜 부분적인 DNA-프라이머 복합체를 형성하는 어닐링 단계(annealing step), 및 상기 어닐링 단계 이후 상기 PCR 대상 시료 및 PCR 시약을 DNA 중합 효소의 활성온도, 예를 들어 72℃로 유지하여 DNA 중합효소(polymerase)에 의해 상기 부분적인 DNA-프라이머 복합체의 프라이머를 기초로 이중 가닥의 DNA를 형성하는 연장(또는 증폭) 단계(extension step)를 수행하고, 상기 연장(또는 증폭) 단계를 예를 들어, 20회 내지 40회로 반복함으로써 상기 특정 염기 서열을 갖는 DNA를 기하급수적으로 증폭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또한, PCR 장치는 상기 어닐링 단계와 상기 연장(또는 증폭) 단계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PCR 장치는 상기 변성 단계에 이은 상기 어닐링 및 연장 (또는 증폭) 단계로 구성된 2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제1 순환을 완성할 수도 있다.
한편, 실시간 PCR(real-time PCR)은 PCR에 사용되는 열 순환기(thermal cycler)에 형광 광도계 등과 같은 광학 시스템(optical system)이 적용되어 PCR 산물이 생성되는 과정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핵산 증폭 반응을 말한다.
실시간 PCR은 일반적인 PCR과는 달리, PCR 산물의 확인을 위한 전기영동이 요구되지 않아 실시간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PCR 산물을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 실시간 PCR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가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는데, 실시간 PCR 장치가 위와 같은 장점을 십분 발휘하기 위해서는 PCR 산물로부터 발생하는 광 신호를 오류 없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 실시간 PCR 장치들은 PCR 대상 시료 및 PCR 시약을 포함하는 반응 용기의 구조 및 재질, 상기 반응 용기에 열을 제공하는 열 블록의 구조 및 재질, PCR 산물로부터 광 신호를 검출하는 광학 시스템의 구조적 한계 등으로 인한 불필요한 광 노이즈 및 광 편차가 심하게 발생하여 정확하고 신뢰있는 결과를 도출하기 어려웠다.
한국등록특허 10-043882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광노이즈 및 광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시료 처리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소형화 및 휴대화가 가능한 시료 처리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PCR 기반 분석장치의 채널부에 있어서, 상기 채널부는, 채널시점; 상기 채널시점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채널종점; 및 상기 채널시점과 상기 채널종점의 사이에 위치하는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은 나선형 입체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R 기반 분석장치의 채널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나선형 입체구조는, 상기 채널시점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채널종점까지 연속적인 라인으로 형성되되, 나선형으로 구조로 회전하며 배치되어, 상기 채널의 배치영역의 내부에는 일정 공간이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R 기반 분석장치의 채널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일정 공간은 육면체의 형상 또는 원통형의 형상인 PCR 기반 분석장치의 채널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료 처리부; 및 상기 시료 처리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온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료 처리부는,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채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제1일정영역에 위치하는 히팅유닛 제1체결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제2일정영역에 위치하는 시료집결부; 및 상기 시료집결부에 집결된 시료를 배출하기 위한 시료드레인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채널부로부터 배출된 시료를 상기 시료집결부로 전달하기 위한 제1경로 및 상기 시료집결부의 시료를 상기 시료드레인부로 전달하기 위한 제2경로를 포함하는 분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채널부는, 채널시점; 상기 채널시점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채널종점; 및 상기 채널시점과 상기 채널종점의 사이에 위치하는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은 나선형 입체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나선형 입체구조는, 상기 채널시점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채널종점까지 연속적인 라인으로 형성되되, 나선형으로 구조로 회전하며 배치되어, 상기 채널의 배치영역의 내부에는 일정 공간이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제2플레이트의 제1일정영역에 위치하는 히팅 유닛 제2체결부 및 상기 제2플레이트의 제2일정영역에 위치하는 광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부는 상기 시료집결부의 위치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분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온도 조절부는 히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히팅유닛의 일단은 상기 히팅 유닛 제1체결부에 체결되고, 상기 히팅유닛의 타단은 상기 히팅 유닛 제2체결부에 체결되며, 상기 히팅유닛의 본체는 상기 일정 공간의 내부에 위치하는 분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석장치는, 상기 시료 처리부의 결과를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광학계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학계 검출부는, 상기 광투과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광제공부 및 상기 시료집결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광검출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료집결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중심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히팅 유닛 제1체결부와 일정 간격 이격하면서, 상기 히팅 유닛 제1체결부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분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투과부는, 상기 제2플레이트의 중심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히팅 유닛 제2체결부와 일정 간격 이격하면서, 상기 히팅 유닛 제2체결부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분석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화 및 휴대화가 가능하면서, 광노이즈 및 광 편차를 감소시켜,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대상 시료의 검출이 가능한 분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대상 시료 검출을 위해 광원이 진행하는 경로에 상기 광원의 진행을 방해하는 구성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대상 시료의 검출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채널을 "나선형 입체구조"로 구성하기 때문에, 적은 면적에서도 상기 채널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상 시료가 상기 채널시점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채널종점까지 이동하는 동안, 수십회의 변성단계, 어닐링 단계, 증폭단계 등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처리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처리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채널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히팅유닛에 따른 채널의 발열온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처리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처리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10)는 시료 처리부(100); 상기 시료 처리부(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온도 조절부(200); 상기 시료 처리부(100)의 결과를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광학계 검출부(300); 상기 시료 처리부(100), 상기 온도 조절부(200) 및 상기 광학계 검출부(3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400); 및 상기 시료 처리부(100), 상기 온도 조절부(200), 상기 광학계 검출부(300) 및 상기 전원공급부(4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시료 처리부(100)는 주입된 시료를 이용하여 생화학적 반응을 수행하며, 본 발명에서, 상기 생화학적 반응은 특별한 종류의 반응에 한정되지 않고, 반응 온도의 제어가 필요한 모든 생화학적 반응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생화학적 반응은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인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처리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는 PCR 기반 분석장치로 명명하는 것도 가능하다.
DNA 증폭 기술의 하나인 PCR의 기본적인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먼저 증폭될 주형 DNA(template DNA), 주형 DNA의 각 단일가닥의 특정 서열과 상보적인 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쌍, 고온 안정성 DNA 중합효소 및 dNTP를 포함한 시료를 준비하고, 이 시료의 온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키는 온도 사이클을 반복함으로써 주형 DNA의 특정 부위 염기서열을 증폭한다.
증폭 기술은 구체적으로 3단계 또는 2단계의 온도 순환 사이클을 사용하게 되는데, 온도 변화에 의하여 DNA 증폭을 달성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단계는 변성 단계(Denaturation step)로서 상기 시료를 고온으로 가열시킴으로써 이중 가닥 DNA를 단일 가닥 DNA로 분리하는 단계이다. 두 번째 단계는 어닐링 단계(Annealing step)로서 상기 변성 단계를 거친 시료를 적정 온도로 냉각시킴으로써 상기 단일가닥 DNA와 프라이머가 이중 나선 결합을 하여 부분적으로 이중 가닥이 된 DNA-프라이머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세 번째 단계는 중합단계(Polymerization step)로서, 상기 어닐링 단계를 거친 시료를 적정 온도로 유지함으로써 DNA-프라이머 복합체의 프라이머를 DNA 중합효소가 중합 반응에 연장함으로써 원래의 주형 DNA에 대하여 상보적인 서열을 갖는 새로운 단일가닥 DNA를 복제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세 단계를 순차적으로 20회 내지 40회 정도 반복하여 매 사이클마다 2개의 프라이머 사이의 DNA가 복제되게 함으로써 수 백만배 또는 그 이상에 이르는 DNA 증폭을 달성할 수 있다.
이는 당업계에서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온도 조절부(200)는 상기 시료 처리부(100)와 열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시료 처리부(100)의 온도를 정밀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열적으로 접촉'한다는 표현은 두 요소, 즉, 온도 조절부와 시료 처리부가 열의 전달이 가능하게 배치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두 요소는 직접 접촉 또는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두 요소 사이에 다른 열 전달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광학계 검출부(300)는 상기 시료 처리부(100)의 반응 프로파일 또는 결과를 광학적으로 검출한다.
상기 전원공급부(400)는 상기 시료 처리부(100), 상기 온도 조절부(200) 및 상기 광학계 검출부(300)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시료 처리부(100), 상기 온도 조절부(200), 상기 광학계 검출부(300) 및 상기 전원공급부(400) 등 장치 전체를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온도 조절부(200)의 히팅유닛(미도시)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가열원의 온도를 정밀 제어함으로써, 상기 시료 처리부(100)의 생화학적 반응에 필요한 온도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전원공급부(400) 및 상기 제어부(500)는 일반적인 분석장치에서도 일반적인 사항에 해당하므로, 상기 전원공급부(400) 및 상기 제어부(500)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도 상기 전원공급부(400) 및 상기 제어부(500)의 구성은 제외하고,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처리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처리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다만, 도 2b 및 도 2c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 검출부의 구성을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하의 도면에서는 상술한 도 1의 전원공급부(400) 및 제어부(500)의 구성은 제외하고,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처리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처리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10)는, 시료 처리부(100); 상기 시료 처리부(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온도 조절부(200); 상기 시료 처리부(100)의 결과를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광학계 검출부(300)를 포함한다.
이때, 도 2a 내지 도 2c에서 100번대의 도면부호는 시료 처리부의 구성으로, 200번대의 도면부호는 온도 조절부로, 300번대의 도면부호는 광학계 검출부의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처리부(100)는 제1플레이트(110); 상기 제1플레이트(110)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120); 및 상기 제1플레이트(110)와 상기 제2플레이트(1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채널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플레이트(110)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제1일정영역에 위치하는 히팅유닛 제1체결부(11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히팅 유닛 제1체결부(111)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외곽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상기 히팅 유닛 제1체결부(111)가 4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히팅 유닛 제1체결부(111)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2플레이트(120)는 상기 제2플레이트의 제1일정영역에 위치하는 히팅 유닛 제2체결부(12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히팅 유닛 제2체결부(121)는 상기 제2플레이트의 외곽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상기 히팅 유닛 제2체결부(121)가 4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히팅 유닛 제2체결부(121)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온도 조절부(200)은 복수개의 히팅유닛(210)을 포함하며, 상기 히팅유닛(210)의 일단은 상기 히팅 유닛 제1체결부(111)에 체결되고, 상기 히팅유닛(210)의 타단은 상기 히팅 유닛 제2체결부(121)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제1플레이트(110)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제2일정영역에 위치하는 시료집결부(112) 및 상기 시료집결부(112)에 집결된 시료를 배출하기 위한 시료드레인부(113)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부(130)로부터 배출된 시료를 상기 시료집결부(112)로 전달하기 위한 제1경로(114) 및 상기 시료집결부(112)의 시료를 상기 시료드레인부(113)로 전달하기 위한 제2경로(115)를 포함한다.
즉, 상기 채널부(130)에서 배출된 시료는 상기 제1경로(114)를 통해 상기 시료집결부(112)에 집결되고, 상기 시료집결부(112)에 집결된 시료는 상기 제2경로(115)를 통해 상기 시료드레인부(113)로 전달되어, 상기 시료드레인부(113)를 통해 시료가 최종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시료집결부(112)는 상기 채널부(130)로부터 배출된 시료를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하여 임시적으로 시료를 저장하는 공간으로, 후술하는 광학계 검출부(300)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투과할 수 있도록 광투과성 재질의 컨테이너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투과성 재질은 폴리디메틸실옥산(polydimethylsiloxane, PDMS), 사이클로올레핀코폴리머(cycle olefin copolymer, CO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rc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프로필렌카보네이트(polypropylene carbonate, PPC),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 sulfone, PES), 및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및 그의 조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재질일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광투과성 재질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시료집결부(112)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중심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히팅 유닛 제1체결부(111)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상기 히팅 유닛 제1체결부(111)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시료집결부(112)에 집결되는 시료는, 상기 채널부(130)에 의해 처리가 완료된 시료를 검출하기 위해 임시적으로 시료가 집결하는 영역에 해당하므로, 상기 시료집결부에 집결된 시료는 상술한 온도 조절부(210)의 히팅유닛(210)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시료집결부(112)는 상기 온도 조절부(210)의 상기 히팅유닛(210)이 체결되는 상기 히팅 유닛 제1체결부(111)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상기 히팅 유닛 제1체결부(111)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상기 히팅 유닛 제1체결부(111)가 상기 제1플레이트(110)의 외곽영역에 위치하므로, 상기 시료집결부(112)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중심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제2플레이트(120)는 상기 제2플레이트의 제2일정영역에 위치하는 광투과부(122)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광투과부(122)는 상기 시료집결부(112)의 위치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한다.
즉, 후술할 바와 같은 광학계 검출부(300)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상기 광투과부(122)를 통해 투과되어, 상기 시료집결부(112)에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광투과부(122)는 상기 시료집결부(112)의 위치와 대응되어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광투과부(122)는 상기 제2플레이트의 중심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히팅 유닛 제2체결부(121)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상기 히팅 유닛 제2체결부(121)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광투과부의 재질은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여, 폴리디메틸실옥산(polydimethylsiloxane, PDMS), 사이클로올레핀코폴리머(cycle olefin copolymer, CO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rc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프로필렌카보네이트(polypropylene carbonate, PPC),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 sulfone, PES), 및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및 그의 조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재질일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광투과성 재질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2플레이트(120)는 대상 시료를 주입하기 위한 시료주입부(123)을 포함하며, 상기 시료주입부(123)를 통해, 대상 시료가 주입되어, 후술하는 채널부(130)로 검출 대상 시료가 투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PCR 기반 분석장치에 해당하므로, 상기 대상 시료는 PCR 대상 시료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PCR에서 필요한 PCR 시약을 상기 시료주입부(123)를 통해 함께 주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PCR 대상 시료는 검출하고자 하는 대상 개체의 시료로써, 배양된 세포, 혈액, 타액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은 예로, 구제역 감염이 의심되는 대상 시료는 구제역 바이러스의 검출이 요구된다. 구제역 바이러스는 RNA를 게놈으로 하기 때문에 대상 시료의 RNA로부터 cDNA를 합성하는 단계가 전제될 수 있다. 즉, PCR 수행에 필요한 주형 DNA를 수득하기 위해, 구제역 바이러스의 게놈 RNA로부터 역전사를 수행하고, 이로부터 cDNA를 합성한다. 역전사 반응은 알려진 다양한 종류의 역전사 효소, 예를 들어 Invtrogen 사의 SuperScript 시리즈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합성된 cDNA를 본 발명에 따른 분석장치에 도입하여 PCR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PCR 결과로부터 상기 대상 시료 중에 구제역 바이러스의 존재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PCR 시약은 PCR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물질들을 포함하는 용액을 말한다. 예를 들어, 상기 PCR 시약은 주형 DNA의 표적 부위를 증폭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세트, 삼인산화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deoxyribonucleotide triphosphates, dNTP), 구체적으로 dATP, dCTP, dGTP, 및 dTTP를 포함하는 혼합물, DNA중합효소, 검출 가능한 표지, 및 PCR 완충액(PCR buff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NA 중합 효소는 예를 들어, Thermus aquaticus (Taq), Thermus thermophilus (Tth), Thermus filiformis, Thermis flavus, Thermococcus literalis 또는 Pyrococcus furiosus (Pfu)로부터 수득한 열 안정성 DNA 중합 효소일 수 있다.
상기 검출 가능한 표지는 Alexa Fluor 350, Alexa Fluor 430, Alexa Fluor 488, Alexa Fluor 532, Alexa Fluor 546, Alexa Fluor 568, Alexa Fluor 594, Alexa Fluor 633, Alexa Fluor 647, Alexa Fluor 660, Alexa Fluor 680, Cy2, Cy3.18, Cy3.5, Cy3, Cy5.18, Cy5.5, Cy5, Cy7, Oregon Green, Oregon Green 488-X, Oregon Green, Oregon Green 488, Oregon Green 500, Oregon Green 514, SYTO 11, SYTO 12, SYTO 13, SYTO 14, SYTO 15, SYTO 16, SYTO 17, SYTO 18, SYTO 20, SYTO 21, SYTO 22, SYTO 23, SYTO 24, SYTO 25, SYTO 40, SYTO 41, SYTO 42, SYTO 43, SYTO 44, SYTO 45, SYTO 59, SYTO 60, SYTO 61, SYTO 62, SYTO 63, SYTO 64, SYTO 80, SYTO 81, SYTO 82, SYTO 83, SYTO 84, SYTO 85, SYTOX Blue, SYTOX Green, SYTOX Orange, SYBR Green, YOPRO-1, YO-PRO-3, YOYO-1, YOYO-3 및 티아졸 오렌지(thiazole orang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PCR 완충액은 증폭 반응의 pH를 조절함으로써 증폭 반응의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의 안정성, 활성, 및/또는 수명을 변형시키는 증폭 반응에 첨가되는 화합물로서, 이러한 완충액들은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Tris, Tricine, MOPS, 또는 HEPES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처리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10)의 상기 시료 처리부(100)는, 상기 제1플레이트(110)와 상기 제2플레이트(1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채널부(130)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채널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채널부(130)는 상기 제2플레이트(120)의 상기 시료주입부(123)과 연결되는 채널시점(131); 상기 제1플레이트(110)의 제1경로(114)와 연결되는 채널종점(132); 상기 채널시점(131)과 상기 채널종점(132)의 사이에 위치하는 채널(13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채널시점(131)과 상기 채널종점(132)은 일정 간격(d)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기 채널(133)은 상기 채널시점(131)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채널종점(132)까지 연속적인 라인으로 형성되되, 나선형으로 구조로 회전하며 배치된다.
또한, 상기 채널(133)이 나선형으로 구조로 회전하며 배치됨에 있어서, 상기 채널(133)의 배치영역의 내부에는 일정 공간(134)이 형성된다.
즉, 상기 일정 공간(134)는 상기 채널이 회전하는 형태에 따라 결정되며, 도 3에서는 상기 채널이 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일정 공간(134)는 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채널이 원형의 형태를 이루면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일정 공간은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일정 공간의 형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채널(133)의 구조를 "나선형 입체구조"로 정의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나선형 입체구조"라 함은, 상기 채널시점(131)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채널종점(132)까지 연속적인 라인으로 형성되되, 나선형으로 구조로 회전하며 배치되어, 상기 채널의 배치영역의 내부에는 일정 공간(134)이 형성되는 구조를 의미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일정 공간(134)은 육면체의 형상일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원통형의 형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일정 공간(134)에 상술한 히팅유닛(210)이 위치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처리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10)는, 상기 시료 처리부(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온도 조절부(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온도 조절부(200)가 상기 시료 처리부(100)의 내부에 위치한다 함은, 상기 채널(133)의 배치영역의 내부에 형성되는 일정 공간(134)의 내부에 상기 온도 조절부(200)가 위치함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조절부(200)는 복수개의 히팅유닛(21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히팅유닛(210)의 일단은 상기 히팅 유닛 제1체결부(111)에 체결되고, 상기 히팅유닛(210)의 타단은 상기 히팅 유닛 제2체결부(121)에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히팅유닛(210)의 본체는 상기 채널(133)의 배치영역의 내부에 형성되는 일정 공간(134)의 내부에 위치한다.
즉, 상기 히팅유닛(210)은 원통형 또는 라인 형태로 구성되어, 일단은 상기 히팅 유닛 제1체결부(111)에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히팅 유닛 제2체결부(121)에 체결될 수 있으며, 원통형 또는 라인 형태의 본체는 상기 일정 공간(134)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히팅유닛(210)의 본체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상기 채널(133)을 따라 이동하는 대상 시료가 가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히팅유닛(210)은 제1히팅유닛(210a), 상기 제1히팅유닛(210a)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히팅유닛(210b), 상기 제1히팅유닛(210a)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히팅유닛(210b)과 대각선의 방향에 위치하는 제3히팅유닛(210c) 및 상기 제2히팅유닛(210b)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히팅유닛(210a)과 대각선의 방향에 위치하는 제4히팅유닛(210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히팅유닛(210a) 내지 상기 제4히팅유닛(210d)은 각각 다른 온도 영역으로 발열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제1히팅유닛(210a) 및 상기 제4히팅유닛(210d)은 95℃의 온도 영역에서 발열할 수 있으며, 상기 제2히팅유닛(210b) 및 상기 제3히팅유닛(210c)은 65℃의 온도 영역에서 발열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히팅유닛의 발열 온도 영역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PCR 장치는 이중 가닥의 DNA를 포함하는 PCR 대상 시료 및 PCR 시약을 특정 온도, 예를 들어 약 95℃로 가열하여 상기 이중 가닥의 DNA를 단일 가닥의 DNA로 분리하는 변성 단계(denaturing step), 상기 PCR 대상 시료 및 PCR 시약에 증폭하고자 하는 특정 염기 서열과 상보적인 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 프라이머를 제공하고, 상기 분리된 단일 가닥의 DNA와 함께 특정 온도, 예를 들어 55℃로 냉각하여 상기 단일 가닥의 DNA의 특정 염기 서열에 상기 프라이머를 결합시켜 부분적인 DNA-프라이머 복합체를 형성하는 어닐링 단계(annealing step), 및 상기 어닐링 단계 이후 상기 PCR 대상 시료 및 PCR 시약을 DNA 중합 효소의 활성온도, 예를 들어 72℃로 유지하여 DNA 중합효소(polymerase)에 의해 상기 부분적인 DNA-프라이머 복합체의 프라이머를 기초로 이중 가닥의 DNA를 형성하는 연장(또는 증폭) 단계(extension step)를 수행하고, 상기 연장(또는 증폭) 단계를 예를 들어, 20회 내지 40회로 반복함으로써 상기 특정 염기 서열을 갖는 DNA를 기하급수적으로 증폭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히팅유닛을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은 변성단계, 어닐링 단계, 증폭단계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채널(133)이 "나선형 입체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히팅유닛은 상기 채널(133)의 일정 공간(134)에 배치된 상태에서 각각 설정된 온도 범위를 통해 발열되기 때문에, 대상 시료가 상기 채널(133)을 따라 이동하면서, 각각의 히팅유닛에 의해 발열되는 온도 영역에 따라 히팅이 될 수 있다.
도 4는 히팅유닛에 따른 채널의 발열온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히팅유닛의 발열 온도 범위에 따라 상기 채널의 발열온도가 결정되며, 이러한 채널의 발열온도는 상기 채널이 위치하고 있는 영역별도 동일하거나 상이해 짐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히팅유닛과 밀접하여 위치하는 채널의 영역에서는 해당 영역의 채널 모두 동일/유사한 온도범위로 발열하고 있고, 상기 제2히팅유닛과 밀접하여 위치하는 채널의 영역에서는 해당 영역의 채널 모두 동일/유사한 온도범위로 발열하면서, 상기 제1히팅유닛과 밀접하여 위치하는 채널의 영역에서의 발열 온도범위화는 상이해 짐을 알 수 있다.
즉, 일반적인 PCR 장치에서는 변성단계, 어닐링 단계, 증폭단계 등을 수십회 반복하는 작업이 필요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채널(133)이 "나선형 입체구조"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복수개의 히팅유닛의 발열 온도 영역에 따라, 상기 채널에 가해지는 온도가 수십회 달라지게 되고, 따라서, 대상 시료가 상기 채널시점(131)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채널(133)을 경유하여, 상기 채널종점(132)까지 이동하는 동안, 수십회의 변성단계, 어닐링 단계, 증폭단계 등을 진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처리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10)는, 상기 시료 처리부(100)의 결과를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광학계 검출부(3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광학계 검출부(300)는 상기 광투과부(122)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광제공부(310) 및 상기 시료집결부(112)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광검출부(320)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처리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의 대상 시료의 검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제공부(310)로부터 제공된 광원은 상기 광투과부(122)를 거쳐 상기 시료집결부(112)에 조사되며, 상기 시료집결부(112)에 조사된 광원은 상기 광검출부(320)에 전달되어, 상기 시료집결부(112)의 대상 시료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광학계 검출부에 의한 대상 시료의 검출은 당업계에서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제공부(310)로부터 제공된 광원이 상기 광투과부(122) 및 상기 시료집결부(112)에 도달하는 동안, 상기 광원이 진행하는 경로에는, 상기 광원의 진행을 방해하는 구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채널(133)은 "나선형 입체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히팅유닛(210)은 상기 채널(133)의 배치영역의 내부에 형성되는 일정 공간(134)의 내부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히팅유닛(210)은 상기 제1플레이트(110) 및 상기 제2플레이트(120)의 외곽영역에 위치하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광투과부(122)는 상술한 제2플레이트(120)의 중심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시료집결부(112)는 상술한 제1플레이트(110)의 중심영역에 위치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광원이 진행하는 경로에, 채널 및 히팅유닛 등의 구성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광원의 진행을 방해하는 구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 실시간 PCR 장치들은 PCR 대상 시료 및 PCR 시약을 포함하는 반응 용기의 구조 및 재질, 상기 반응 용기에 열을 제공하는 열 블록의 구조 및 재질, PCR 산물로부터 광 신호를 검출하는 광학 시스템의 구조적 한계 등으로 인한 불필요한 광 노이즈 및 광 편차가 심하게 발생하여 정확하고 신뢰있는 결과를 도출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 즉, 대상 시료 검출을 위해 광원이 진행하는 경로에 상기 광원의 진행을 방해하는 구성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대상 시료의 검출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채널(133)을 "나선형 입체구조"로 구성하기 때문에, 적은 면적에서도 상기 채널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상 시료가 상기 채널시점(131)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채널(133)을 경유하여, 상기 채널종점(132)까지 이동하는 동안, 수십회의 변성단계, 어닐링 단계, 증폭단계 등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소형화 및 휴대화가 가능하면서, 광노이즈 및 광 편차를 감소시켜,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대상 시료의 검출이 가능한 분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2a 및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광제공부(310)와 상기 광검출부(320)의 구성을 독립적인 구성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광제공부(310)는 상기 제2플레이트(120) 상에 배치되어, 상기 광투과부(122)와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광검출부(320)는 상기 제1플레이트(11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시료집결부(112)와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광제공부(310)와 상기 광검출부(320)의 배치위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처리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는, 먼저, 상기 제2플레이트(120)의 상기 시료주입부(123)를 통해 대상 시료가 주입되며, 상기 주입된 대상 시료는 상기 채널부(130)로 투입된다.
이때, 대상 시료가 상기 채널부(130)로 투입되는 것은, 상기 시료주입부(123)과 연결되는 채널시점(131)으로 투입되게 되며, 상기 채널시점(131)으로 투입된 대상 시료는 상기 채널(133)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채널종점(132)까지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채널(133)이 "나선형 입체구조"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복수개의 히팅유닛의 발열 온도 영역에 따라, 상기 채널에 가해지는 온도가 수십회 달라지게 되고, 따라서, 대상 시료가 상기 채널시점(131)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채널(133)을 경유하여, 상기 채널종점(132)까지 이동하는 동안, 수십회의 변성단계, 어닐링 단계, 증폭단계 등을 진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채널종점(132)으로 이동된 대상 시료는 상기 제1플레이트(110)의 제1경로(114)로 배출되고, 상기 채널부(130)에서 배출된 시료는 상기 제1경로(114)를 통해 상기 시료집결부(112)에 집결된다.
이때, 상기 광투과부(122)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광제공부(310)로부터 조사된 광원은 상기 광투과부(122)를 거쳐 상기 시료집결부(112)에 조사되며, 상기 시료집결부(112)에 조사된 광은 상기 광검출부(320)에 전달되어, 상기 시료집결부(112)의 대상 시료를 검출할 수 있다.
계속해서, 대상 시료의 검출이 완료된 시료는, 상기 제2경로(115)를 통해 상기 시료드레인부(113)로 전달되어, 상기 시료드레인부(113)를 통해 시료가 최종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시료 처리부; 및 상기 시료 처리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온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료 처리부는,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채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제1일정영역에 위치하는 히팅유닛 제1체결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제2일정영역에 위치하는 시료집결부; 및 상기 시료집결부에 집결된 시료를 배출하기 위한 시료드레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제2플레이트의 제1일정영역에 위치하는 히팅 유닛 제2체결부 및 상기 제2플레이트의 제2일정영역에 위치하는 광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부는 상기 시료집결부의 위치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분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채널부로부터 배출된 시료를 상기 시료집결부로 전달하기 위한 제1경로 및 상기 시료집결부의 시료를 상기 시료드레인부로 전달하기 위한 제2경로를 포함하는 분석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부는, 채널시점; 상기 채널시점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채널종점; 및 상기 채널시점과 상기 채널종점의 사이에 위치하는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은 나선형 입체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입체구조는,
    상기 채널시점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채널종점까지 연속적인 라인으로 형성되되, 나선형으로 구조로 회전하며 배치되어, 상기 채널의 배치영역의 내부에는 일정 공간이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장치.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부는 히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히팅유닛의 일단은 상기 히팅 유닛 제1체결부에 체결되고, 상기 히팅유닛의 타단은 상기 히팅 유닛 제2체결부에 체결되며,
    상기 히팅유닛의 본체는 상기 일정 공간의 내부에 위치하는 분석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장치는, 상기 시료 처리부의 결과를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광학계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학계 검출부는, 상기 광투과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광제공부 및 상기 시료집결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광검출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집결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중심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히팅 유닛 제1체결부와 일정 간격 이격하면서, 상기 히팅 유닛 제1체결부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분석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는, 상기 제2플레이트의 중심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히팅 유닛 제2체결부와 일정 간격 이격하면서, 상기 히팅 유닛 제2체결부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분석장치.
KR1020170066961A 2017-05-30 2017-05-30 시료 처리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 KR102068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961A KR102068953B1 (ko) 2017-05-30 2017-05-30 시료 처리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961A KR102068953B1 (ko) 2017-05-30 2017-05-30 시료 처리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844A KR20180130844A (ko) 2018-12-10
KR102068953B1 true KR102068953B1 (ko) 2020-01-22

Family

ID=64670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961A KR102068953B1 (ko) 2017-05-30 2017-05-30 시료 처리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95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821B1 (ko) 2001-04-23 2004-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채널 pcr과 전기영동을 이용한 소형 유전자 분석장치
KR100593263B1 (ko) * 2004-02-02 2006-06-26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연속 흐름상 반응 장치
KR101398956B1 (ko) * 2012-05-23 2014-05-27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핵산 증폭 장치,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핵산 증폭방법
KR20160088615A (ko) * 2015-01-16 2016-07-2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체흐름형 pcr을 위한 3d 마이크로반응기의 제조방법 및 3d 마이크로반응기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유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844A (ko) 201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50292B2 (ja) 核酸増幅装置、核酸増幅方法及び核酸増幅用チップ
Cao et al. Advances in digital polymerase chain reaction (dPCR) and its emerging biomedical applications
Romsos et al. Rapid PCR of STR markers: Applications to human identification
AU20082225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ucleic acid amplification
US20180179581A1 (en) Methods for fast nucleic acid amplification
TWI504750B (zh) 快速多重擴增目標核酸的方法
Tan et al. Current commercial dPCR platforms: Technology and market review
US20070026439A1 (en) Fluid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JP2010142222A (ja) 使い捨て多重ポリメラーゼ連鎖反応(pcr)チップおよびデバイス
WO2012073114A2 (en) The design, fabrication and use of a microfluidics multitemperature flexible reaction device
Xu et al. A fully sealed plastic chip for multiplex PCR and its application in bacteria identification
EP3006938A1 (en) Real tim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method for biosubstance
JP2009517075A (ja) 標識を利用しない固有のイメージングを用いたリアルタイムpcrのモニタリング
KR102068953B1 (ko) 시료 처리부를 포함하는 분석장치
US20190344280A1 (en) Fast pcr with molecular crowding
US20240052433A1 (en) Device and assay for diagnosing tuberculosis and associated antibiotic resistances
KR20180023544A (ko) 정형성 폐렴균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이를 이용한 pcr 장치 및 정형성 폐렴균 검출 방법
KR20180023545A (ko) 비정형 폐렴균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이를 이용한 pcr 장치 및 비정형 폐렴균 검출 방법
Nelson et al. Multiplexed, lateral flow,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echniques for biological identification
CN115666789A (zh) 用于热控制液滴中化学反应的方法和系统
Labău RESIDUAL DISEASE IN CHRONIC MYELOID LEUKEMIA AFTER INDUCTION OF MOLECULAR REMISSION
WO2014113663A1 (en) In-line polymerase chain reaction
JP2018046763A (ja) 核酸増幅反応容器、核酸増幅反応装置、および核酸増幅反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