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130B1 - 모바일 디바이스 환경에서 주관식 테스트를 위한 가상키보드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 환경에서 주관식 테스트를 위한 가상키보드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130B1
KR102068130B1 KR1020180053891A KR20180053891A KR102068130B1 KR 102068130 B1 KR102068130 B1 KR 102068130B1 KR 1020180053891 A KR1020180053891 A KR 1020180053891A KR 20180053891 A KR20180053891 A KR 20180053891A KR 102068130 B1 KR102068130 B1 KR 102068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keyboard
key
character
letter
ans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9365A (ko
Inventor
김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러너스마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러너스마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러너스마인드
Priority to KR1020180053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130B1/ko
Publication of KR20190129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출제된 문제에 대한 주관식 테스트를 위한 가상키보드 표시 방법은,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명령에 따라,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입력하기 위한 가상키보드를 표시하는 가상키보드 영역 및 상기 가상키보드 영역의 가상키보드에서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문자가 표시되는 출력 영역을 포함하는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와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비교하여 정답 여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키보드는, 알파벳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의 키를 포함하되,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 중 현재 입력 순서에 대응하는 제1 문자의 키,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 중 상기 제1 문자를 바로 뒤따르는 제2 문자의 키, 및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 문자의 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 환경에서 주관식 테스트를 위한 가상키보드 표시 방법 {METHOD FOR DISPLAYING VIRTUAL KEYBOARD FOR SUBJECTIVE TEST IN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 환경에서 주관식 테스트를 위한 가상키보드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제한된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주관식 테스트를 진행할 때 효과적인 입력을 위해 가상키보드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 가능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면서 외국어 학습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보급이 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외국어 학습을 위한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0)은 제1 언어로 출제된 문제가 표시되는 영역(11)과,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입력하기 위해 제2 언어로 된 가상키보드를 포함하는 영역(12)과, 가상키보드에서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문자가 입력되는 영역(13)을 포함한다. 여기서,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0)에 표시되는 가상키보드는 고정된 키 배치를 가지고 있으며, 예컨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쿼티 키보드, 천지인 키보드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조사에 의해 개발된 키보드 형식일 수 있다.
객관식 테스트에서 전술한 가상키보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큰 불편이 없지만, 주관식 테스트에서 전술한 가상키보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학습자)와 출제자 모두 불편을 느낄 수 있다.
우선, 도 1과 같이 가상키보드에 기본 형식의 자음 및 모음이 모두 표시되는 경우에 제한된 크기의 디스플레이 내에 모든 문자의 키를 배치하기 위해 각 문자의 키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고 촘촘하게 문자의 키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작은 크기의 문자의 키를 정확하게 누르기데 어려움을 느끼게 되고 문자의 키를 누르는 과정에서 인접한 다른 문자의 키가 눌려서 잦은 오타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가상키보드를 통해 문자를 입력하는 데 신경을 쓰게 되어 문제 풀이에 집중을 하기 어려운 상황을 경험하게 된다.
그리고, 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대소문자, 특수문자를 비롯하여 다양한 문자의 입력은 물론 띄어쓰기의 입력이 가능하여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오답이 입력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제출하는 답안을 채점하는 출제자 역시 채점 시 정오 판단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발명자는 도 1에 도시된 가상키보드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가상키보드를 개발하여 이용하였다.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외국어 학습을 위한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가상키보드는 도 1에 도시된 가상키보드와 달리 모든 자음 및 모음에 대한 키를 가지고 있지 않고, 현재 입력 순서에 대응하는 문자에 대한 키와 이 밖의 선택지 문자에 대한 키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었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가상키보드는 고정된 키 배치를 가지고 있지 않는 대신 가상키보드에 포함되는 문자의 키에 대한 배치를 매번 무작위(random)로 변경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가상키보드에는 문제(예를 들어, 거리)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예를 들어, STREET) 중 현재 입력 순서에 대응하는 문자(예를 들어 S)의 키(21) 이외에 3개의 선택지 문자(예를 들어, B, F, A)의 키(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3개의 선택지 문자는 현재 입력 순서에 대응하는 문자 이외의 문자 중에서 무작위로 선택될 수 있다.
이어서, 도 2의 (b)를 참조하면, 제2 영역(12)의 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제1 문자(예를 들어, S)를 입력하는 명령이 수신된 경우, 제1 문자가 제3 영역(13)에 표시되고, 가상키보드에 포함되는 선택지 문자에 대한 문자의 키가 무작위로 재배치된다. 이에 따라, 가상키보드는 문제(예를 들어, 거리)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예를 들어, STREET) 중 현재 입력 순서에 대응하는 문자(예를 들어 T)의 키(21) 이외에 3개의 선택지 문자(예를 들어, D, R, E)의 키(22)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제한된 크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문자의 키 개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가상키보드에 포함되는 각 문자의 키의 크기를 늘릴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문자의 키를 누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타를 줄일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매번 가상키보드에 포함되는 문자의 키가 새롭게 변경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한 글자를 입력한 후 다시 입력할 문자의 키의 위치를 눈으로 찾아야 하는 불편이 발견되었다.
또한, 도 3의 (a) 및 (b)를 참조하면, 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같은 문자(예를 들어, E)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동일한 문자의 키를 연타하는 경우가 많은데, 도 3의 가상키보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매번 가상키보드에 포함되는 문자의 키가 새롭게 변경되기 때문에 연타로 인한 오타가 발생하는 경우가 잦았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도 3의 (a)에서 알파벳 E에 대응하는 문자의 키(21)를 누르게 되면 가상키보드에 포함되는 문자의 키가 변경되기 때문에 연이어서 알파벳 E에 대응하는 문자를 선택하기 위해서 도 3의 (b)에서 알파벳 E에 대응하는 문자의 키(21)의 위치를 다시 찾아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9778호, 2017.06.21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가상키보드에 대한 입력을 받은 후 가상키보드에 포함되는 문자의 키를 재배치할 때 가상키보드에 포함되는 문자의 키가 완전히 재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문제에 대한 답을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매 문자를 입력할 때마다 새롭게 문자의 키가 배치된 가상키보드를 확인하는 단계를 거쳐야 했다. 이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가상키보드를 이용하더라도 문자 입력의 속도가 더디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발명자는 문제에 대한 답을 찾은 사용자가 입력 과정에서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새로운 가상키보드의 개발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문제에 대한 정답을 맞추기 위해서 현재 입력해야 하는 문자의 키와, 다음에 입력해야 하는 문자의 키, 및 선택지 문자의 키를 포함하여 가상키보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상키보드를 통해 현재 입력해야 하는 문자의 키를 찾고 누르면서 다음에 입력해야 하는 문자의 키를 찾는 것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주관식 테스트를 위한 가상키보드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사용자로부터 가상키보드에 대한 입력을 받아서 가상키보드에 포함되는 문자의 키를 재배치하더라도 문제에 대한 정답을 맞추기 위해서 가상키보드 상에서 현재 입력해야 하는 문자의 키와 다음에 입력해야 하는 문자의 키의 위치는 고정시키고 동시에 선택지 문자의 키를 그 다음에 입력해야 하는 문자의 키로 대체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상키보드를 통해 현재 입력해야 하는 문자의 키를 찾고 누르면서 다음에 입력해야 하는 문자의 키를 찾고 연속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주관식 테스트를 위한 가상키보드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대소문자 구분, 특수문자, 띄어쓰기 등에 대해 자동으로 처리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답을 입력하도록 함은 물론, 입력 오류에 따라 오답 발생을 줄여서 자동으로 정오판단이 가능하도로 하는 주관식 테스트를 위한 가상키보드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출제된 문제에 대한 주관식 테스트를 위한 가상키보드 표시 방법은,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명령에 따라,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입력하기 위한 가상키보드를 표시하는 가상키보드 영역 및 상기 가상키보드 영역의 가상키보드에서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문자가 표시되는 출력 영역을 포함하는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와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비교하여 정답 여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키보드는, 알파벳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의 키를 포함하되,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 중 현재 입력 순서에 대응하는 제1 문자의 키,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 중 상기 제1 문자를 바로 뒤따르는 제2 문자의 키, 및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 문자의 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문제에 대한 정답을 맞추기 위해서 현재 입력해야 하는 문자의 키와, 다음에 입력해야 하는 문자의 키, 및 선택지 문자의 키를 포함하여 가상키보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상키보드를 통해 현재 입력해야 하는 문자의 키를 찾고 누르면서 다음에 입력해야 하는 문자의 키를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 가상키보드에 대한 입력을 받아서 가상키보드에 포함되는 문자의 키 배치를 변경하더라도 문제에 대한 정답을 맞추기 위해서 가상키보드 상에서 현재 입력해야 하는 문자의 키와 다음에 입력해야 하는 문자의 키의 위치는 고정시키고 동시에 선택지 문자의 키를 그 다음에 입력해야 하는 문자의 키로 대체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상키보드를 통해 현재 입력해야 하는 문자의 키를 찾고 누르면서 다음에 입력해야 하는 문자의 키를 찾고 연속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가상키보드에 대한 입력을 받은 후 가상키보드에 포함되는 문자의 키를 재배치할 때 가상키보드에 포함되는 문자의 키가 완전히 재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음에 입력해야 할 문자의 키를 새롭게 찾아야 하는 문제와, 현재 단계에서 문자의 키에 대한 입력을 완료해야지만 가상키보드에 포함되는 문자의 키의 재배치를 통해 다음에 입력해야 하는 문자의 키를 확인할 수 있다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문자의 키 입력 속도를 높이고 편리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문제 풀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가 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같은 문자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 현재 입력해야 하는 문자의 키의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동일한 위치의 문자의 키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여 연타로 인해 발생하는 입력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출제된 문제에 대응하는 답 입력 시 사용자의 집중력을 향상시키고 효율적인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대소문자 구분, 특수문자, 띄어쓰기 등에 대해 자동으로 처리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답을 입력하도록 함은 물론, 입력 오류에 따라 오답 발생을 줄여서 자동으로 정오판단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외국어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에서 가상키보드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에서 가상키보드 표시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에서 가상키보드 표시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에서 가상키보드의 구성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에서 가상키보드의 구성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에서 가상키보드의 구성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에서 가상키보드의 구성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이란, 외국어 학습 애플리케이션, 철자 암기 애플리케이션, 정답 맞추기 애플리케이션 등 언어 학습 목적으로 주관식 테스트 과정에서 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제에 대응하는 답의 입력을 유도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칭하는 의미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어부(110), 메모리(120), 무선 통신부(130), 디스플레이부(140) 및 사용자 입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두 개가 하나의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 요소가 적어도 두 개의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 이외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출하 시 또는 OS/펌웨어 업그레이드 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에 의해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이 별도로 다운로드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한된 크기의 디스플레이부(140)를 가지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플릿 PC, 노트북 등일 수 있다.
메모리(1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에 필요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명령어 등을 저장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하드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SSD(solid state drive), 램(RAM) 메모리, 롬(ROM) 메모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다.
무선 통신부(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 통신부(130)는, 이동 통신부, 근거리 통신부 및 무선 인터넷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30)는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필요한 데이터나 신호를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외부 서버와 주고받을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로 입력되는 정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로부터 출력되는 정보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출력한다.
사용자 입력부(1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50)는 하드웨어 키, 소프트웨어 키, 압력 센서, 터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40)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경우 디스플레이부(140) 역시 사용자 입력부(15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며, 구성 요소 간의 관계 및 데이터의 이동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의 작동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지만,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의 각 동작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통신을 수행하는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의 관리 서버의 제어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주관식 테스트를 위한 가상키보드 표시 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설치된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에서 가상키보드 표시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에서 가상키보드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에서 가상키보드 표시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에 따라,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300)을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한다(S10).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300)은 출제된 문제를 표시하는 제1 영역(310),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입력하기 위한 가상키보드를 표시하는 제2 영역(320), 및 제2 영역(320)의 가상키보드에서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문자가 표시되는 제3 영역(3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영역(320)은 가상키보드 영역일 수 있고 제2 영역(33)은 출력 영역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310)을 통해 출제되는 문제는 제1 언어로 이루어지고 제2 영역(320)에 표시되는 가상키보드는 제2 언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300)은 출제된 문제를 표시하는 제1 영역(31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입력하기 위한 가상키보드를 표시하는 제2 영역(320) 및 제2 영역(320)의 가상키보드에서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문자가 표시되는 제3 영역(330)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통해 문제를 포함하는 소리를 출력하는 단계(S1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문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의해 소리로 출력될 수 있고, 사용자는 소리로 출력되는 문제를 듣고 제2 영역(32)을 통해 답을 입력할 수 있다. 소리를 통해 출제되는 문제가 제1 언어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2 영역(320)에 표시되는 가상키보드는 제1 언어 또는 제2 언어로 이루어진 문자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에서 가상키보드 표시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제2 영역(320)의 가상키보드를 통해 입력되어 제3 영역(330)에 표시되는 문자와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비교하여 정답 여부를 판단하고 출력할 수 있다(S30).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무선 통신부(130)를 통해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의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답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2 영역(320)에 표시되는 가상키보드는 상술한 쿼티 키보드, 천지인 키보드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조사에 의해 개발된 키보드 형식과는 상이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제2 영역(320)에 표시되는 가상키보드는 알파벳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의 키를 포함하되,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예를 들어, STREET) 중 현재 입력 순서에 대응하는 제1 문자(예를 들어, S)의 키(321),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 중 제1 문자를 바로 뒤따르는 제2 문자(예를 들어, T)의 키(322), 및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 문자(예를 들어, B, A)의 키(3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5의 (a)는 선택지 문자가 2개인 것으로 도시되었다. 여기서, 가상키보드를 통해 특정한 종류의 언어에 대한 문자를 입력하도록 하는 경우, 선택지 문자(distractor character)는 해당 종류의 언어에 포함되는 문자에서 제1 문자 및 제2 문자를 제외한 문자 중에서 무작위로 선택된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선택지 문자(distractor character)는 객관식 테스트에서 정답 보기 이외의 오답 보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가상키보드에서 사용자가 정답을 입력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선택해야 하는 문자 이외의 문자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알파벳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의 키를 포함하는 가상키보드에서, 현재 입력 순서에 대응하는 문자와 뒤이어 입력해야 할 문자가 모두 표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가상키보드를 통해 현재 입력해야 하는 문자의 키를 찾고 누르면서 다음에 입력해야 하는 문자의 키를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입력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많은 키들 중에서 입력할 문자를 찾기 위해 집중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상키보드는 현재 입력 순서 바로 전에 입력되었던 문자의 키,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 중 현재 입력 순서에 대응하는 제1 문자의 키,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 중 제1 문자를 바로 뒤따르는 제2 문자의 키, 및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 문자의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a)는 문제가 출제된 후 최초 입력을 위한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300)이기 때문에, 현재 입력 순서 바로 전에 입력되었던 문자의 키는 제2 영역(320)에 표시되는 가상키보드에 포함되지 않았다. 다만, 도 5의 (b)를 참조하면, 가상키보드는 현재 입력 순서 바로 전에 입력되었던 문자(예를 들어, S)의 키(321),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STREET) 중 현재 입력 순서에 대응하는 문자(예를 들어, T)의 키(322),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 중 현재 입력 순서에 대응하는 문자를 바로 뒤따르는 문자(예를 들어, R)의 키(324), 및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 문자의 키(A)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에서 가상키보드의 구성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 도 6의 (a)를 참조하면, 가상키보드는 현재 입력 순서 바로 전에 입력되었던 문자(예를 들어, R)의 키(325),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STREET) 중 현재 입력 순서에 대응하는 문자(예를 들어, E)의 키(321/322),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 중 현재 입력 순서에 대응하는 문자를 바로 뒤따르는 문자(예를 들어, E)의 키(321/322), 및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 문자(C, D)의 키(323)를 포함할 수 있고, 도 8의 (b)를 참조하면, 가상키보드는 현재 입력 순서 바로 전에 입력되었던 문자(예를 들어, E)의 키(321/322),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STREET) 중 현재 입력 순서에 대응하는 문자(예를 들어, E)의 키(321/322),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 중 현재 입력 순서에 대응하는 문자를 바로 뒤따르는 문자(예를 들어, T)의 키(324), 및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 문자(A, Y)의 키(32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키보드는 현재 입력 순서 바로 전에 입력되었던 문자, 현재 입력 순서에 대응하는 문자, 다음 입력 순서에 대응하는 문자,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 문자를 포함해야 하기 때문에, 가상키보드는 적어도 4개의 문자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최초 입력의 경우(현재 입력 순서 바로 전에 입력되었던 문자 없음), 최종 입력의 경우(다음 입력 순서에 대응하는 문자 없음), 현재 입력 순서에 대응하는 문자와 다음 입력 순서에 대응하는 문자가 같은 경우에는, 현재 입력 순서 바로 전에 입력되었던 문자, 현재 입력 순서에 대응하는 문자, 다음 입력 순서에 대응하는 문자 중 어느 하나가 부족하기 때문에, 가상키보드는 두 개 이상의 선택지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 중 현재 입력 순서에 대응하는 제1 문자와,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 중 제1 문자를 바로 뒤따르는 제2 문자가 동일한 경우, 즉 동일한 문자가 연속적으로 입력되어야 하는 상황에서는 가상키보드는 제1 문자의 키와 제2 문자의 키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하나의 문자의 키만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의 (a)를 참조하면, 문제(예를 들어, 거리)에 대하여 "S", "R" 및 "T"이 입력된 상황에서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예를 들어, STREET) 중 현재 입력 순서에 대응하는 제1 문자(예를 들어, E)와,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 중 제1 문자를 바로 뒤따르는 제2 문자(예를 들어, E)가 동일하기 때문에, 제어부(110)는 제1 문자의 키(321)와 제2 문자의 키(322)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하나의 문자의 키(321/322)로 구성할 수 있다. 즉, 가상키보드는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예를 들어, STREET) 중 현재 입력 순서에 대응하는 제1 문자(예를 들어, E) 및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 중 제1 문자를 바로 뒤따르는 제2 문자(예를 들어, E)에 해당하는 하나의 키(321/3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b) 및 도 6을 참조하면,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300)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S10)와 정답 여부를 판단하고 출력하는 단계(S30) 사이에, 제어부(110)는 문자를 입력하는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가상키보드에 포함되는 문자의 키 배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S20).
예컨대, 도 5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제2 영역(320)의 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제1 문자(예를 들어, S)를 입력하는 명령이 수신된 경우, 제1 문자를 제3 영역(330)에 표시하고, 제1 문자의 키(321) 및 제2 문자의 키(322)가 가상키보드 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계속하여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110)는 제2 영역(320)의 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제1 문자(예를 들어, S)를 입력하는 명령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 문자의 키(323) 중 어느 하나가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 중 제2 문자(예를 들어, T)를 바로 뒤따르는 제3 문자(예를 들어, R)의 키(324)로 변경하여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의 (b)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 문자의 키(323) 중 어느 하나인 알파벳 B에 해당하는 선택지 문자의 키(323)만 제3 문자(예를 들어, R)의 키(324)로 변경되었지만, 몇몇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 문자의 키(323) 중 다른 하나인 알파벳 A에 해당하는 선택지 문자의 키(323) 역시도 선택지 문자의 변경을 위해 다른 선택지 문자(예를 들어, Z 등)의 키(323)로 변경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가상키보드에 대한 입력을 받아서 가상키보드에 포함되는 문자의 키 배치를 변경하더라도 문제에 대한 정답을 맞추기 위해서 가상키보드 상에서 현재 입력해야 하는 문자의 키와 다음에 입력해야 하는 문자의 키의 위치는 고정시키고 동시에 선택지 문자의 키를 그 다음에 입력해야 하는 문자의 키로 대체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상키보드를 통해 현재 입력해야 하는 문자의 키를 찾고 누르면서 다음에 입력해야 하는 문자의 키를 찾고 연속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 8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현재 입력해야 할 문자가 알파벳 E이고 뒤이어 입력해야 할 문자도 알파벳 E인 경우(정답 STREET에서 연속하여 알파벳 E를 입력해야 할 경우)에도 제어부(110)는 방금 입력된 문자의 키와 뒤이어 입력할 문자의 키(321/322)가 가상키보드 상의 동일한 위치에 계속하여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하기 때문에, 사용자로서는 연타로 인한 입력 오류 없이 안정적으로 연속된 동일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같은 문자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 현재 입력해야 하는 문자의 키의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동일한 위치의 문자의 키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여 연타로 인해 발생하는 입력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110)는 제2 영역(320)의 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제1 문자(예를 들어, E)를 입력하는 명령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 문자의 키(323) 및 현재 입력 순서 바로 전에 입력되었던 문자(예를 들어, R)의 키(325) 중 어느 하나가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 중 제2 문자(예를 들어, E)를 바로 뒤따르는 제3 문자(예를 들어, T)의 키(324)로 변경하여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도 8의 (b)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 문자의 키(323) 및 현재 입력 순서 바로 전에 입력되었던 문자의 키(325) 중 어느 하나인 알파벳 C에 해당하는 선택지 문자의 키(323)가 제3 문자(예를 들어, T)의 키(324)로 변경되었으며, 알파벳 C에 해당하는 선택지 문자의 키(323)를 제외한 알파벳 D에 해당하는 선택지 문자의 키(323)와 현재 입력 순서 바로 전에 입력되었던 문자의 키(325) 또한 선택지 문자의 변경을 위해 다른 선택지 문자(예를 들어, A, Y 등)의 키(323)로 변경되었다.
즉,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 문자의 키(323) 및 현재 입력 순서 바로 전에 입력되었던 문자의 키(325) 중 제3 문자의 키(324)로 변경되지 않은 키는 다른 선택지 문자의 키(323)로 변경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에서 가상키보드의 구성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문제에 대응하는 답에 대문자 및 소문자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예를 들어, Mr. Kim), 가상키보드에 포함되는 키는 모두 대문자 또는 소문자에 대응되도록 하고, 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의 키가 입력됨에 따라, 제3 영역(330)에 입력되는 문자가 답과 일치되도록 대문자 또는 소문자로 자동으로 변경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대소문자구분 등은 학습자가 키보드의 입력 형식을 그때 그때 바꿔서 입력하기 번거롭고 암기의 중요성도 상대적으로 떨어지므로, 가상키보드의 표시 형식을 모두 대문자 또는 소문자로 표시하고 입력에 의해 제3 영역(330)에 표시되는 문자의 실제 대소문자 구분을 자동으로 해줌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도 5와 관련하여 상술한 방법에 따라 가상키보드에 포함되는 문자의 키를 구성할 때 정답에 대응하는 대문자 및 소문자 구분에 따라 키에 표시되는 문자의 대문자 또는 소문자를 정답에 맞도록 자동으로 변경하여 표시해 줄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두 개의 문자 사이에 구두점, 문장부호, 특수문자 및 띄어쓰기(공백)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경우, 제어부(110)는, 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두 개의 문자의 키가 연이어 입력됨에 따라, 두 개의 문자 사이에 포함된 구두점, 문장부호, 특수문자 또는 띄어쓰기(공백)가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대소문자, 구두점, 문장부호, 특수문자 및 띄어쓰기(공백)는 사용자의 입력이 없더라도 제어부(110)에 의해 자동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답을 입력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대소문자, 구두점, 문장부호, 특수문자 및 띄어쓰기(공백)로 인한 입력 오류를 줄일 수 있어서 제어부(110)에 의해 자동으로 정오판단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출제자가 직접 채점을 하지 않더라도 높은 정확도로 주관식 테스트에 대한 정오판단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에서 가상키보드의 구성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문제에 대응하는 답이 제1 종류의 언어(예를 들어, 한글), 제2 종류의 언어(예를 들어, 영어) 및 숫자 중 문제에 포함된 종류와 다른 종류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경우(예를 들어, 문제는 한글로 주어지고 답은 한글과 다른 종류인 숫자 종류를 포함하는 경우), 가상키보드가 현재 입력 순서에 대응하는 제1 종류의 언어(예를 들어, 한글), 제2 종류의 언어(예를 들어, 영어) 및 숫자 중 어느 한 종류에만 속하는 복수의 키를 포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가상키보드에 포함되는 복수의 키는 현재 입력 순서에 대응하는 종류로서 정답에 포함된 숫자 종류에만 속하는 키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가상키보드가 한 종류에 속하는 복수의 키로만 한정되어 표시되므로 학습자로 하여금 답을 쉽게 유추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도 5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상술한 규칙과는 달리, 입력해야 할 앞 순서 두 개의 문자에 대응하는 키를 가상키보드에 배치하지 않고 현재 입력해야 할 하나의 문자(예를 들어, 1)의 키와 적어도 세 개의 선택지 문자의 키를 가상키보드에 배치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에서 가상키보드의 구성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0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가상키보드에 포함되는 각각의 키는 상부 영역(610) 및 하부 영역(620)을 포함하고, 상부 영역(610)에 각각의 키에 대응하는 문자가 표시될 수 있도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키에 대응하는 문자가 키의 상부 왼쪽 영역 또는 상부 오른쪽 영역에 치우쳐서 표시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가상키보드 상의 키를 터치할 때 손가락으로 문자를 가리지 않고 자신이 입력하는 문자가 어떤 문자인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오탈자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출제된 문제에 대응하는 답 입력 시 학습자의 집중력을 향상시키고 효율적인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 및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00 :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Claims (10)

  1. 출제된 문제에 대한 주관식 테스트를 위한 가상키보드 표시 방법에 있어서,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명령에 따라,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입력하기 위한 가상키보드를 표시하는 가상키보드 영역 및 상기 가상키보드 영역의 가상키보드에서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문자가 표시되는 출력 영역을 포함하는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와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비교하여 정답 여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키보드는, 알파벳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의 키를 포함하되,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 중 현재 입력 순서에 대응하는 제1 문자의 키,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 중 상기 제1 문자를 바로 뒤따르는 제2 문자의 키, 및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 문자의 키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키보드 영역의 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문자를 입력하는 명령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문자의 키 및 상기 제2 문자의 키가 상기 가상키보드 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계속하여 표시되는, 주관식 테스트를 위한 가상키보드 표시 방법.
  2. 출제된 문제에 대한 주관식 테스트를 위한 가상키보드 표시 방법에 있어서,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명령에 따라,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입력하기 위한 가상키보드를 표시하는 가상키보드 영역 및 상기 가상키보드 영역의 가상키보드에서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문자가 표시되는 출력 영역을 포함하는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와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비교하여 정답 여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키보드는, 알파벳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의 키를 포함하되,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 중 현재 입력 순서에 대응하는 제1 문자의 키,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 중 상기 제1 문자를 바로 뒤따르는 제2 문자의 키, 및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 문자의 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문자와 상기 제2 문자가 동일한 경우, 상기 가상키보드는, 상기 제1 문자의 키 및 상기 제2 문자의 키로서 하나의 문자의 키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키보드 영역의 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문자를 입력하는 명령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문자의 키 및 상기 제2 문자의 키로서의 상기 하나의 문자의 키가 상기 가상키보드 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계속하여 표시되는, 주관식 테스트를 위한 가상키보드 표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키보드 영역의 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문자를 입력하는 명령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 문자의 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 중 상기 제2 문자를 바로 뒤따르는 제3 문자의 키로 변경하여 표시되는, 주관식 테스트를 위한 가상키보드 표시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키보드는,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 중 현재 입력 순서에 대응하는 제1 문자의 키,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 중 상기 제1 문자를 바로 뒤따르는 제2 문자의 키, 및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 문자의 키 이외에 상기 현재 입력 순서 바로 전에 입력되었던 문자의 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키보드 영역의 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문자를 입력하는 명령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 문자의 키와 상기 현재 입력 순서 바로 전에 입력되었던 문자의 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 중 상기 제2 문자를 바로 뒤따르는 제3 문자의 키로 변경하여 표시되는, 주관식 테스트를 위한 가상키보드 표시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두 개의 문자 사이에 구두점, 문장부호, 특수문자 및 띄어쓰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경우, 상기 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상기 두 개의 문자의 키가 연이어 입력됨에 따라 상기 두 개의 문자 사이에 포함된 구두점, 문장부호, 특수문자 또는 띄어쓰기가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출력 영역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관식 테스트를 위한 가상키보드 표시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답에 대문자 및 소문자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 상기 가상키보드에 포함되는 키는 모두 대문자 또는 소문자에 대응되고, 상기 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의 키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출력 영역에 입력되는 문자가 상기 답과 일치되도록 대문자 또는 소문자로 자동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관식 테스트를 위한 가상키보드 표시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답이 제1 종류의 언어 문자, 제2 종류의 언어 문자 및 숫자 중 문제에 포함된 종류와 다른 종류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가상키보드는, 현재 입력 순서에 대응하는 제1 종류의 언어 문자, 제2 종류의 언어 문자 또는 숫자 중 어느 한 종류에만 속하는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주관식 테스트를 위한 가상키보드 표시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키보드에 포함되는 각각의 키는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영역에 각각의 키에 대응하는 문자가 표시되는, 주관식 테스트를 위한 가상키보드 표시 방법.
  9. 출제된 문제에 대한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행 화면은,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입력하기 위한 가상키보드를 표시하는 가상키보드 영역 및 상기 가상키보드 영역의 가상키보드에서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문자가 표시되는 출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가상키보드는, 알파벳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의 키를 포함하되,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 중 현재 입력 순서에 대응하는 제1 문자의 키,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 중 상기 제1 문자를 바로 뒤따르는 제2 문자의 키, 및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 문자의 키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키보드 영역의 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문자를 입력하는 명령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문자의 키 및 상기 제2 문자의 키가 상기 가상키보드 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계속하여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출제된 문제에 대한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주관식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행 화면은,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입력하기 위한 가상키보드를 표시하는 가상키보드 영역 및 상기 가상키보드 영역의 가상키보드에서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문자가 표시되는 출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가상키보드는, 알파벳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의 키를 포함하되,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 중 현재 입력 순서에 대응하는 제1 문자의 키,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답을 구성하는 문자들 중 상기 제1 문자를 바로 뒤따르는 제2 문자의 키, 및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 문자의 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문자와 상기 제2 문자가 동일한 경우, 상기 가상키보드는, 상기 제1 문자의 키 및 상기 제2 문자의 키로서 하나의 문자의 키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키보드 영역의 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문자를 입력하는 명령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문자의 키 및 상기 제2 문자의 키로서의 상기 하나의 문자의 키가 상기 가상키보드 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계속하여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80053891A 2018-05-10 2018-05-10 모바일 디바이스 환경에서 주관식 테스트를 위한 가상키보드 표시 방법 KR102068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891A KR102068130B1 (ko) 2018-05-10 2018-05-10 모바일 디바이스 환경에서 주관식 테스트를 위한 가상키보드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891A KR102068130B1 (ko) 2018-05-10 2018-05-10 모바일 디바이스 환경에서 주관식 테스트를 위한 가상키보드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365A KR20190129365A (ko) 2019-11-20
KR102068130B1 true KR102068130B1 (ko) 2020-01-20

Family

ID=68729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891A KR102068130B1 (ko) 2018-05-10 2018-05-10 모바일 디바이스 환경에서 주관식 테스트를 위한 가상키보드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1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0692A1 (en) * 2021-08-18 2023-02-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n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providing text input in virtual reality
WO2023020691A1 (en) * 2021-08-18 2023-02-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n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providing text input in virtual reality
CN116048374B (zh) * 2023-03-05 2023-08-29 广州网才信息技术有限公司 虚拟隐形键盘的在线考试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885B1 (ko) * 2010-03-04 2012-12-13 제갈훈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영어단어학습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10126497A (ko) * 2010-05-17 2011-11-23 장용하 오타를 방지하는 터치스크린 상의 키보드자판 배치디자인과 문자입력방식
WO2012063981A1 (ko) * 2010-11-09 2012-05-18 Kim Jin-Wook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빠른 문자입력방법 및 문자입력장치
US8612213B1 (en) * 2012-10-16 2013-12-17 Google Inc. Correction of errors in character strings that include a word delimiter
KR20170069778A (ko) 2015-12-11 2017-06-21 주식회사 미티영 외국어 학습을 위한 단말장치와 그의 외국어 학습 화면 출력방법, 기록매체,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365A (ko) 201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i et al. Multilingual touchscreen keyboard design and optimization
Sears et al. Data entry for mobile devices using soft keyboards: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keyboard size and user tasks
US201401706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pictographic languages
US7707515B2 (en) Digital user interface for inputting Indic scripts
Jain et al. User learning and performance with bezel menus
Alnfiai et al. SingleTapBraille: Developing a text entry method based on braille patterns using a single tap
US8381119B2 (en) Input device for pictographic languages
KR102068130B1 (ko) 모바일 디바이스 환경에서 주관식 테스트를 위한 가상키보드 표시 방법
US9009624B2 (en) Keyboard gestures for character string replacement
KR20140073196A (ko) 유동형 자판을 제공하는 단말기 및 그의 유동형 자판 표시 방법
Alharbi et al. WiseType: A tablet keyboard with color-coded visualization and various editing options for error correction
Hagiya et al. Typing tutor: Individualized tutoring in text entry for older adults based on input stumble detection
KR101858499B1 (ko) 단말의 학습 콘텐츠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
Alamdar Yazdi et al. Optimization of split keyboard design for touchscreen devices
Alnfiai Evaluating the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f a universal CAPTCHA based on gestures for smartphones
Watanabe et al. Comparison of onscreen text entry methods when using a screen reader
Anu Bharath et al. Performance of accessible gesture-based indic keyboard
US20160364140A1 (en) Prompted touchscreen for teaching user input and data entry
Alnfiai et al. Improved Singeltapbraille: Developing a Single Tap Text Entry Method Based on Grade 1 and 2 Braille Encoding.
KR101373552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속기 장치
AbuHmed et al. UOIT keyboard: A constructive keyboard for small touchscreen devices
JP6100749B2 (ja) テストの得点入力用ソフトキーボード生成システム
KR102339191B1 (ko) 한자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한자입력방법
JP6966105B2 (ja) キーボード入力練習装置、キーボード入力練習プログラム、キーボード入力練習方法
Alnfiai Accessible Tools On Touchscreen Devices For Blind And Visually Impaired Peo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