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804B1 -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 Google Patents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804B1
KR102067804B1 KR1020190065368A KR20190065368A KR102067804B1 KR 102067804 B1 KR102067804 B1 KR 102067804B1 KR 1020190065368 A KR1020190065368 A KR 1020190065368A KR 20190065368 A KR20190065368 A KR 20190065368A KR 102067804 B1 KR102067804 B1 KR 102067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el
elastic spring
diameter
shock absorbing
inner 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종택
Original Assignee
고종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종택 filed Critical 고종택
Priority to KR1020190065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804B1/ko
Priority to PCT/KR2020/000386 priority patent/WO2020246680A1/ko
Priority to PCT/KR2020/000449 priority patent/WO2020246682A1/ko
Priority to JP2021546012A priority patent/JP2022535313A/ja
Priority to EP20818868.0A priority patent/EP3977889A4/en
Priority to CN202080017501.4A priority patent/CN113543673A/zh
Priority to US17/437,817 priority patent/US11839261B2/en
Priority to MX2021012055A priority patent/MX2021012055A/es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0Heels with met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26Resilient hee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2Resilient supports for the hee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하중을 완화시키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이힐(신발)의 밑창 후면에 고정 설치되는 외부굽과, 탄성스프링이 상부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외부굽 내측으로 결합되는 내부굽, 및 상기 내부굽의 하단부에 교환이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밑바닥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굽의 하단부에는 상기 내부굽의 하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삽입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보호캡이 구비되며, 상기 내부굽과 탄성스프링 상부에서 결합되는 체결덮개가 외부굽 내측으로 삽입 구비되어, 보호캡을 통해 미려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외부의 먼지 등이 내부굽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무게를 분산시켜 사용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보행시 탄성스프링을 통해 외부굽이 상하 슬라이딩하면서 충격이 완화되도록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shock absorber with buffer attached to high heels}
본 발명은 보행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하중을 완화시키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이힐(신발)의 밑창 후면에 고정 설치되는 외부굽과, 탄성스프링이 상부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외부굽 내측으로 결합되는 내부굽, 및 상기 내부굽의 하단부에 교환이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밑바닥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굽의 하단부에는 상기 내부굽의 하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삽입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보호캡이 구비되며, 상기 내부굽과 탄성스프링 상부에서 결합되는 체결덮개가 외부굽 내측으로 삽입 구비되어, 보호캡을 통해 미려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외부의 먼지 등이 내부굽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무게를 분산시켜 사용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보행시 탄성스프링을 통해 외부굽이 상하 슬라이딩하면서 충격이 완화되도록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에 관한 것이다.
여성들은 누구나 예쁜 하이힐을 즐겨 신으며, 이러한 하이힐은 여성들의 로망으로 패션의 완성이라고도 한다.
특히, 높은 하이힐은 키를 크게 높여 주어 몸매나 옷 맵시를 예쁘게 코디해주고, 또 키높이와 패션 디자인을 자유로운 스타일로 연출할 수 있어 10대에서 노년 여성들에 이르기까지 즐겨 신는 일상화된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한지 오래되었다.
이와 같이, 하이힐은 키를 높여주고 옷맵시와 몸매를 예쁘게 꾸며주며 패션스타일을 멋지고 자유롭게 코디해주는 매력이 있는 반면, 하이힐은 굽이 높아서 발, 무릎, 허리, 온몸에 충격을 주게되어 발이 아프고 온몸을 불편하게 하는 원인을 제공하는 동시에 발 질환과 무릎 허리 등에 통증을 유발하거나 발, 무릎, 허리의 관절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몇 가지 종래의 기술 중에 힐굽 내부에 고무 등의 일반 탄성부재를 삽입하거나,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수단을 적용한 기술들이 다수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종래의 기술 중 실용신안 제20-0403451호의 '여성용 완충신발'은 그 굽이 신발의 저면 후단에 부착 고정되되 적정 높이로 구비되어 굽 역할을 하고, 보행 시 뒤꿈치에 가하지는 충격을 탄성력에 의해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완충수단은, 상부가 막히고 하부가 개구된 통 형상으로 대향된 둘레면 상단에 직립된 안내구멍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안내구멍의 상하면에 완충부재가 각각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적정 높이만큼 승강할 수 있도록 그 안내구멍의 내부에 위치되는 핀 형상의 걸림돌기가 외주면 상단에 대향된 상태로 각각 마련되는 파이프 형상의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내주면 하단에 고정되며, 상단은 개구되고 하단은 막힌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재; 상기 하우징내 천장과 고정부재내 바닥면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실용신안 제20-0393493호의 '충격 흡수용 구두 굽'은 구두 굽으로 부착되는 밑창이 유압의 압력에 의해 높은 쿠션력을 가지게 되면서, 보행 시 발목과 무릎으로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 시킬 수 있는 충격 흡수용 구두 굽을 제공하기 위해 고안되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신발들은, 완충부재를 신발의 밑창 내부에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완충부재가 장착되는 뒷굽의 제조가 어려웠으며, 장착구조도 복잡하여 완충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공정도 어려웠다. 이러한 어려움으로 인하여 완충부재를 장착하기 위해 신발구조를 변경하고 그에 따른 제조 장비도 추가 구입해야 하는 부담도 갖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신발에 구비되는 힐굽은 이를 구성하는 굽창을 신속하게 탈장착하여 사용하거나 필요한 부품을 교체 또는 수리하여 다시 사용하기가 어려워 경제적 손실이 크고 내구성과 편의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10-2019-0030741호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을 출원하였으나, 상기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에서 외부굽이 측면에서 충격을 받거나 미끌어질 때 탄성스프링이 외부굽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어 안정성이 떨어지고, 상기 탄성스프링이 외부굽에서 이동하며 소리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KR 20-0403451 (등록번호) 2005.12.05. KR 20-0393493 (등록번호) 2005.08.16. KR 20-0446957 (등록번호) 2009.12.03. KR 10-2019-0030741 (출원번호) 2019.03.1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이힐 신발의 밑창 후면에 고정 설치되는 외부굽과, 탄성스프링이 상부측으로 구비되면서 상기 외부굽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내부굽 및 상기 외부굽에 교환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밑바닥굽으로 이루어져 보행시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탄성스프링을 통해 외부굽이 상하 슬라이딩하면서 완화되도록 하는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굽의 하단부에 내부굽의 하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원통형상의 보호캡을 삽입 설치하여, 상기 보호캡을 통해 미려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외부의 먼지 등이 내부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호캡의 외부면에 브랜드 표시 등의 홍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충격흡수용 굽의 인식을 새롭게 제고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굽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내부굽에 내부굽상부와 내부굽하부 사이에 상기 내부굽상부와 내부굽하부보다 직경이 큰 단턱부를 구비하여 상기 내부굽상부에 탄성스프링을 외삽고정하고, 상기 내부굽상부와 탄성스프링의 상면부가 삽입고정되는 체결덮개를 상기 외부굽에서 하부로 빠지지 않도록 결합하여 체결 안정성을 높이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외부굽 내측으로 삽입되는 체결덮개와 내부굽에 의해 상기 탄성스프링의 이동에 한계가 생기고, 충격에 의한 힘의 무게가 분산되도록 하여 견고함과 내구성을 높이는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탄성스프링과 내부굽이 삽입되는 외부굽 내측으로 윤활유를 삽입하여 구조들이 서로 부딪치는 소리가 나지 않도록 소음을 방지하고, 상기 내부굽에 외삽되는 패킹부가 외부굽 내측에 고정설치됨에 의해 윤활유가 하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막아서 오일누수가 방지되므로 내구성을 높이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호캡의 탈 장착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할 수 있어서 마모에 의한 변형 또는 디자인의 변경시에 사용자가 이를 쉽게 시행할 수 있는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이힐 신발의 밑창(101) 후면 하부면에 고정되고, 상부면은 넓고 하부면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몸체부를 갖는 외부굽(110)과; 상기 외부굽(110)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고, 상부측에 형성되는 내부굽상부(121)와, 하부측에 형성되고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는 내부굽하부(122)와, 상기 내부굽상부(121)와 내부굽하부(122) 사이에서 상기 내부굽상부(121)와 내부굽하부(122)보다 큰 직경의 단턱부(121a)로 이루어지는 내부굽(120)과; 상기 외부굽(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굽상부(121)에 외삽되며, 상기 단턱부(121a)의 상부에서 걸려 상기 외부굽(110)의 하강시 압축되는 탄성스프링(130)과; 상기 내부굽하부(122) 하단부와 결합되며 지면에 지지되는 밑바닥굽(140); 내측으로 상기 내부굽(120)과 탄성스프링(130)이 삽입되는 체결덮개(160);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굽하부(122)의 하단부는 상기 외부굽(110)의 하단부보다 더 하부측으로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밑바닥굽(140)에 연결설치되고; 보행자의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외부굽(110)의 끝단부가 상기 밑바닥굽(140)에 접촉되며; 상단이 상기 외부굽(110)의 하단부보다 높게 위치하고, 하단이 상기 밑바닥굽(140)에 걸쳐져 위치하며, 상기 외부굽(110)의 외측을 감싸면서 삽입되어 내부굽하부(122)의 하단부를 외부와 차단하되, 보행자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외부굽(110)이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보호캡(150);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외부굽(110)은; 상기 체결덮개(160)가 안착되는 대경통로부(111)와, 상기 대경통로부(111)와 연통되면서 그 하부측에서 상기 대경통로부(111)보다 직경이 작고 상기 내부굽상부(121)와 상기 탄성스프링(130)이 위치되는 중경통로부(112)와, 상기 중경통로부(112)와 연통되면서 그 하부측에서 상기 중경통로부(112)보다 직경이 작고 상기 단턱부(121a)가 안착되는 병목공간부(113)와, 상기 병목공간부(113)와 연통되면서 그 하부측에서 상기 병목공간부(113)보다 직경이 작고 상기 내부굽하부(122)가 삽입되는 소경통로부(114)가 형성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내부굽상부(121)는 상기 외부굽(110)의 하강시 상기 체결덮개(160)의 상부로 돌출된 내부굽지지부(161)에 삽입되며, 상기 탄성스프링(130)은 상기 체결덮개(160)의 하부에 상기 내부굽지지부(161)보다 큰 직경의 탄성스프링지지부(162)에 삽입지지된다.
본 발명의 상기 보호캡(150)은 상단부가 개방되고, 하단부 중심부에 밑바닥굽(140)의 끼움돌기부(142)가 관통되고 상기 밑바닥굽(140)의 지지몸체부(141) 상부면이 맞닿는 제1지지보강부(151)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내부굽(120)은 내부굽상부(121)와 내부굽하부(122)가 분리형성되고, 상기 단턱부(121a) 하부에 끼움부(121b)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내부굽하부(122) 상부로 상기 끼움부(121b)가 끼움결합된다.
본 발명의 상기 외부굽(110)의 대경통로부(111)와 중경통로부(112)에는 윤활유(190)가 삽입되되, 상기 단턱부(121a) 하단부에 오일누수방지를 위한 패킹부(123)가 외삽 구비되고, 상기 패킹부(123)는 병목공간부(113)에 삽입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밑바닥굽(140)의 상단 직경은 상기 외부굽(110)의 하단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보호캡(150)은 상기 밑바닥굽(140)의 지지몸체부(141) 상부면이 내측으로 삽입고정되도록 상기 지지몸체부(141)의 상부면이 맞닿는 제2지지보강부(152)가 내측에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은 하이힐의 밑창 후면에 충격 완화가 가능하도록 외부굽과, 내부굽, 및 밑바닥굽으로 각각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탈장착이 용이하고 편리하게 교환 및 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장착과 교체가 간편한 동시에 보행시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굽의 하단부에 내부굽의 하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원통형상의 보호캡을 삽입 설치하여, 상기 보호캡을 통해 미려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외부의 먼지 등이 내부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캡의 외부면에 브랜드 표시 등의 홍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충격흡수용 굽의 인식을 새롭게 제고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굽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내부굽의 내부굽상부 하부에 내부굽상부와 내부굽하부보다 직경이 큰 단턱부를 형성하여 상기 내부굽상부에 탄성스프링을 외삽고정하고, 상기 내부굽상부와 탄성스프링의 상면부가 삽입고정되는 체결덮개를 상기 외부굽에서 하부로 빠지지 않고 양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결합하여 체결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부굽 내측으로 삽입되는 체결덮개와 내부굽에 의해 상기 탄성스프링의 이동에 한계가 생기고, 충격에 의한 힘의 무게가 분산되도록 하여 견고함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스프링과 내부굽이 삽입되는 외부굽 내측으로 윤활유를 삽입하여 구조들이 서로 부딪치는 소리가 나지 않도록 소음을 방지하고, 내부굽하부에서 외삽되는 패킹부가 단턱부 하부, 외부굽 내측에 설치됨에 의해 윤활유가 하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막아서 오일누수가 방지되므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캡의 탈 장착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할 수 있어서 마모에 의한 변형 또는 디자인의 변경시에 사용자가 이를 쉽게 시행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이 하이힐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 (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의 측면도이고,
도 2 (a)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 (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이 분리된 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에 하중이 가해지기 전 상태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에 하중이 가해진 상태에서 충격을 완화시키는 작동 상태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의 내부굽의 분리상태도와 결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의 작동 상태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100)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힐 신발의 밑창(101) 후면 하부면에 고정되고, 상부면은 넓고 하부면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몸체부를 갖는 외부굽(110)과,
상기 외부굽(110)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고, 상부측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내부굽상부(121)와, 하부측에 형성되고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내부굽하부(122)와, 상기 내부굽상부(121)와 내부굽하부(122) 사이에서 상기 내부굽상부(121)와 내부굽하부(122)보다 큰 직경의 단턱부(121a)로 이루어지는 내부굽(120)과,
상기 외부굽(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굽상부(121)에 외삽되며, 상기 단턱부(121a)의 상부에서 걸려 상기 외부굽(110)의 하강시 압축되는 탄성스프링(130)과,
상기 내부굽하부(122) 하단부에서 삽입 구비되고 지면에 지지되는 밑바닥굽(140);
상기 외부굽(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내측으로 상기 내부굽(120)과 탄성스프링(130)이 삽입되는 체결덮개(160);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굽하부(122)의 하단부는 상기 외부굽(110)의 하단부보다 더 하부측으로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밑바닥굽(140)에 연결설치되고,
상단이 상기 외부굽(110)의 하단부보다 높게 위치하고, 하단이 상기 밑바닥굽(140)의 상단에 걸쳐져 위치하며, 상기 외부굽(110)의 외측을 감싸면서 삽입되어 내부굽하부(122)의 하단부를 외부와 차단하는 원통형의 보호캡(150)이 구비된다.
상기 내부굽(120)은 원형으로 기재하고 도면에 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다각형상으로도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외부굽(110)의 내부와 내부굽(120)은 원형으로 표기한다. 또한, 다각형으로 할 경우에 직경은 폭으로 표기하여야 하나, 설명의 편의상 '직경'으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외부굽(110)은 하이힐 신발의 밑창(101) 후면 하부면에 고정하여 보행시 안정적인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부면은 넓고 하부면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몸체부로 형성되되, 그 단면은 상부가 원형 또는 반원형으로, 하부가 원형 또는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내부굽(120)이 삽입되고, 체결덮개(160)가 안착되는 대경통로부(111)와, 상기 대경통로부(111)와 연통되고 그 하부측에서 상기 대경통로부(111)보다 직경이 작으며, 상기 내부굽상부(121)와 상기 탄성스프링(130)이 위치되는 중경통로부(112)와, 상기 중경통로부(112)와 연통되고 그 하부측에서 상기 중경통로부(112)보다 직경이 작으며, 상기 단턱부(121a)가 안착되는 병목공간부(113)와, 상기 병목공간부(113)와 연통되면서 그 하부측에서 상기 병목공간부(113)보다 직경이 작으며 상기 내부굽하부(122)가 삽입 설치되는 소경통로부(114)가 형성구비된다.
상기 대경통로부(111)는 그 상단부가 외부로 개방 연통되어 상기 신발의 밑창(101) 하부면과 대향되고, 체결덮개(160)가 안착되도록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중경통로부(112)는 대경통로부(111)의 하부측에서 대경통로부(111)와 연통되며 탄성스프링(130)이 안착되도록 단턱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대경통로부(111)와 중경통로부(112)에는 내부굽(120)이 삽입되되, 상기 내부굽상부(121)에 탄성스프링(130)이 외삽되고 상기 내부굽상부(121)와 탄성스프링(130) 상부에서 삽입되는 체결덮개(160)가 삽입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덮개(160)와 내부굽(120)과 탄성스프링(130)이 삽입된 외부굽(110) 내측에서는 외부굽(110)이 상하로 이동시 구조들이 서로 부딪치며 소음이 발생될 수 있어 구리스 등 젤과 같이 재질인 윤활유(190)를 삽입하여 소음을 방지하고, 부드러운 외부굽(110)의 승하강을 유도하며, 누유가 적도록 한다.
상기 중경통로부(112)의 하부에 위치하는 병목공간부(113)는 상기 단턱부(121a)가 안착되는 공간으로 상기 단턱부(121a)가 삽입되며, 상기 단턱부(121a) 하부에 외삽되는 패킹부(123)가 끼움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패킹부(123)는 휨이 발생하는 신축성(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중심부로 내부굽(120)이 관통설치되어 상하로 이동하여도 윤활유(190)가 채워진 공간을 밀폐하여 윤활유(190)가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패킹부(123)는 상기 내부굽하부(122)에서 외삽되되, 동일한 형태의 패킹이 상기 내부굽상부(121)에서 외삽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두 개의 패킹이 상기 단턱부(121a) 상하부에서 결합되어 상기 병목공간부(113)를 밀폐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체결덮개(160)는 상기 대경통로부(111)에 삽입 안착되고, 내측으로 상기 내부굽상부(121)와 탄성스프링(130)이 삽입된다.
상기 체결덮개(160)는 하단부가 개방되고, 개방된 하부를 통해 외부굽(110)이 하강할 때 내부굽상부(121)가 삽입되는 내부굽지지부(161)가 중심부에서 상부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내부굽지지부(161) 하부에 탄성스프링(130)이 삽입되는 내부굽지지부(161)보다 큰 직경의 탄성스프링지지부(162)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체결덮개(160)는 작은 직경을 갖는 내부굽지지부(161)와 큰 직경을 갖는 탄성스프링지지부(162)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내부굽상부(121)는 상부면이 막힌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외부굽(110)의 하강시 상기 체결덮개(160)의 상부로 돌출된 내부굽지지부(161)에 삽입되며, 상기 내부굽지지부(161)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내부굽상부(121)는 상부면이 막힌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외부굽(110)이 하강하며 상기 체결덮개(160)의 내부굽지지부(121)에 삽입시 충격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탄성스프링(130)은 상기 체결덮개(160)의 하부에서 상기 내부굽지지부(161)보다 큰 직경의 탄성스프링지지부(162)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지지부(162)에 끼워져 이동한계가 생기며, 무게가 분산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탄성스프링(130)은 하부가 상기 내부굽상부(121) 상부에서 외삽되고, 내부굽상부(121) 하부에 위치한 단턱부(121a)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외부굽(110)의 하강에 의해 체결덮개(160)가 내려와 상기 체결덮개(160)가 누르는 힘에 의해 압축된다.
상기 체결덮개(160)는 상기 외부굽(110)이 하이힐 신발 밑창(101)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위로 약간 나와 있고, 상기 밑창(101)에 외부굽(110)이 결합된 후에 밑으로 내려가 탄성스프링(130)을 눌러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외부굽(110)이 밑창(101)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결합수단(170)이 있어도 위로 조금 올라간 상태가 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상기 외부굽(110)이 밑창(101)에 결합된 상태로서 체결덮개(160)가 외부굽(110) 상부로 올라가지 않도록 하였으나, 상기 밑창(101)에 외부굽(110)이 결합되기 전에는 상기 체결덮개(160)가 조금 올라간 상태가 되고, 상기 밑창(101)에 외부굽(110)이 결합되면 탄성스프링(130)을 눌러주면서 상기 체결덮개(160)가 내려가게 된다.
상기 외부굽(110)은 그 상부면과 상기 밑창(101)의 하부면을 별도의 체결수단(볼트나 본드 등)으로 고정하게 되며, 사용자가 그 사이에 빈공간이 느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외부굽(110)의 상부면에는 상기 대경통로부(111) 상부에 와셔 등 지지가능한 구조의 결합수단(170)이 배치되고, 상기 결합수단(170) 상부에 접착수단(180)이 부착결합되게 된다.
상기 결합수단(170) 및 접착수단(180)은 외부굽(110)에 형성된 대경통로부(111)를 막아 사용자가 안정감을 갖게 한다.
한편, 상기 내부굽(120)은 결합수단(170) 및 접착수단(180)이 부착되기 전에 상기 외부굽(110)에 형성된 상기 대경통로부(111)를 통해 삽입 설치하게 된다.
상기 내부굽(120)은 상기 내부굽상부(121)와 상기 내부굽하부(122) 사이의 연결부에 직경 차이로 형성되는 단턱부(121a)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굽(120)을 상기 외부굽(110)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외부굽(110)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대경통로부(111) 및 중경통로부(112)에 상기 내부굽상부(121)가, 상기 소경통로부(114)에 상기 내부굽하부(122)가, 상기 병목공간부(133)에 상기 단턱부(121a)가 각각 대응하여 안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내부굽(120)을 상기 외부굽(110)의 내측에 위치시킨 후 상기 탄성스프링(130) 및 체결덮개(160)를 상기 대경통로부(111)를 통해 삽입하게 되면, 상기 탄성스프링(130)은 그 하단부가 상기 내부굽상부(121)에 삽입되고, 상기 단턱부(121a)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상단부는 상기 체결덮개(160)에 구비된 상기 탄성스프링지지부(162)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탄성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스프링(130)은 보행자의 워킹으로 충격력이 상부측으로 가해지면 상기 외부굽(110)이 하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대적으로 상기 내부굽(120)의 상기 내부굽상부(121)가 상기 대경통로부(111) 및 중경통로부(112)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승강 신축되면서 외부 충격력을 완화시켜 주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굽(120)은 내부굽상부(121)와 내부굽하부(122)가 분리형성되고, 상기 단턱부(121a) 하부에 끼움부(121b)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내부굽하부(122) 상부로 상기 끼움부(121b)가 끼움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끼움부(121b)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내부굽하부(122)에 삽입시 억지끼움에 의해 빠지지 않도록 구비되어 결합 및 고정효과를 높이게 된다.
한편, 상기 밑바닥굽(140)은 지면에 닿는 지지몸체부(141)와, 상기 지지몸체부(141)의 상부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내부굽(120)에 형성된 상기 내부굽하부(122)의 끝단부에 설치 고정되는 끼움돌기부(142)로 구성된다. 보호캡(150)과 결합되는 밑바닥굽(140)의 상단은 끼움돌기부(142)가 아닌 지지몸체부(141)의 상단을 의미한다.
상기 밑바닥굽(140)은 장기간의 사용으로 상기 지지몸체부(141)의 바닥면이 닳거나 훼손되면 상기 내부굽(120)의 단부로부터 상기 끼움돌기부(142)를 외측으로 빼냄으로써 용이하게 정비 및 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보호캡(150)은 그 상단부가 상기 외부굽(110)의 하단부 외측으로 삽입 설치되고 하단부는 상기 밑바닥굽(140)에 형성되는 상기 지지몸체부(141)의 상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외부굽(110)이 승강하게 되면 상기 보호캡(150)의 내벽면부를 따라 상하 승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보호캡(150)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외부굽(110)의 하부 끝단부와 상기 밑바닥굽(140)에 형성되는 상기 지지몸체부(141)의 상부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이 공간부는 상기 외부굽(110)이 상하 승강되는 스트로크 영역임)를 통해 상기 내부굽(120)을 이루는 내부굽하부(122)의 끝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미려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외부의 먼지 등이 상기 내부굽하부(122)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외부굽(110)의 하단부와 상기 밑바닥굽(140) 사이는 상기 외부굽(110)이 하강하는 경우에 상기 외부굽(110)의 끝단부가 상기 밑바닥굽(140)의 지지몸체부(141) 상부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상기 내부굽하부(122)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차단되지만 상기 외부굽(110)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상기 내부굽하부(122)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상기 보호캡(150)이 노출부를 막아 내부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캡(150)은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되면서 균열이나 파손 등을 방지하도록 하단부 중심부에 밑바닥굽(140)의 끼움돌기부(142)가 관통되되 상기 밑바닥굽(140)의 지지몸체부(141) 상부면이 맞닿는 면이 형성되는 제1지지보강부(15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지지보강부(151)는 상기 보호캡(150)의 하단면으로 중심부에 끼움돌기부(142)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몸체부(141)의 상부면이 맞닿아 무게를 지지하고 안정적으로 구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호캡(150)은 상기 밑바닥굽(140)의 지지몸체부(141) 상부면이 내측으로 삽입고정되도록 상기 지지몸체부(141)의 상부면이 맞닿는 제2지지보강부(152)가 내측에 돌출형성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지지보강부(152)는 상기 제1지지보강부(151)보다 보호캡(150)의 내측으로 더 들어와서 돌출된 면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몸체부(141)가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외부굽(110) 및 내부굽(1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몸체부(141)에는 도 6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외주면에 보호캡(15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홈이 형성되거나, 도 6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캡(150)의 하단부 직경보다 작게 구비되어 상기 보호캡(150) 내측에서 제2지지보강부(152)에 맞닿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보호캡(150)은 외주면 즉 몸체부에 브랜드명이나 로고 또는 문자나 문양 등을 기재하여 홍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외부굽(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대경통로부(111)와 중경통로부(112)와 병목공간부(113) 및 소경통로부(114)를 통해 상기 내부굽(120)을 삽입 설치하고 상기 체결덮개(160)를 이용해 내부굽(120)과 탄성스프링(130)을 고정지지하며, 상기 결합수단(170)과 접착수단(180)을 이용해 밑창(101)과 외부굽(110) 사이의 빈공간을 채우도록 한다..
상기 외부굽(110)의 하단으로 상기 내부굽(120)의 내부굽하부(122)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되는데 이때 상기 외부굽(110)의 하단을 통해 상기 보호캡(150)을 삽입 설치하고 이어 상기 밑바닥굽(140)을 장착 설치하면 본 발명의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100)이 완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외부굽(110)은 하부의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보호캡(150) 내부에서 자체 회전이 되지 않고, 상하로의 승강 이동만 가능하게 된다.
상기 외부굽(110)의 상부의 단면이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반원형 형상이란 전체적(입체적)으로는 터널형상 또는 비닐하우스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말하며, 경우에 따라서 반원형 형상을 반달형상이라 칭할 수도 있다.
상기 외부굽(110)에 외삽되는 보호캡(150)은 원통형으로 일정 높이로 형성될 수 있어 상기 보호캡(150)의 외면에는 하이힐의 브랜드를 형성시킬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상기 밑바닥굽(140)의 상단 직경은 상기 외부굽(110)의 하단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밑바닥굽(140)의 상단에 외부굽(110)의 하단이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외부굽(110)의 하단은 하중이 가해질 때 하부로 슬라이딩되어 밑바닥굽(140)과 접촉하므로 상기 지지몸체부(141)의 상단 직경보다 작아야 한다.
한편, 상기 보호캡(150)은 하중이 가해질 때 외부굽(110)의 외면을 타고 상부로 올라게 되는데(외부굽이 내려옴), 이때 외부굽(110)은 상부로 갈수록 조금씩 직경이 커지므로 상기 보호캡(150)의 상단 내경이 외부굽(110)과 접촉하는 최대높이에서의 직경보다 커야 하중이 제거되었을 때 부드럽게 밑바닥굽(140)의 상단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은 보행시에 상기 외부굽(110)에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내부굽(120)의 상부측에 삽입 설치된 상기 탄성스프링(130)이 탄성적으로 압축된다.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130)의 상단은 상기 외부굽(110)에 형성되는 상기 대경통로부(111)의 상부측에서 탄성지지되고, 상기 탄성스프링(130)의 하단은 상기 내부굽(120)의 단턱부(121a)에 의해 탄성지지되면서 압축된다.
그러면 상기 내부굽(120)은 상승하고 반대로 상기 외부굽(110)은 하강하는 슬라이딩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외부굽(110)의 하단은 최대로 상기 밑바닥굽(140)에 형성되는 지지몸체부(141)의 상부면까지 하강하면서 충격 하중을 완화시킨다. 하중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스프링(1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외부굽(110)과 상기 내부굽(120)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보행시 상기 외부굽(110)에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와 같은 작동에 따라 상기 탄성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해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 하중이 완화되어 보행자의 관절 등을 보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굽(110)에 삽입된 구조물의 이동없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외부굽(110)이 측면에서 충격을 받거나 미끄러져도 사용자가 안정감있게 걸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100)은 보행시에 지면 충격을 완화시켜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여 줌으로써 관절을 보호해 주는 동시에 하이힐을 길게 형성하여 사용자의 키를 크게 높여 주어 몸매나 옷맵시를 예쁘게 코디할 수 있게 해주고, 또 키높이와 패션 디자인을 자유로운 스타일로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100)은 하이힐(신발)의 밑창(101) 후면에 고정 설치되는 외부굽(110)과, 탄성스프링(130)이 상부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외부굽(110) 내측으로 결합되는 내부굽(120), 및 상기 내부굽(120)의 하단부에 교환이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밑바닥굽(1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굽(110)의 하단부에는 상기 내부굽(120)의 하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삽입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보호캡(150)이 구비되며, 상기 내부굽(120)과 탄성스프링(130) 상부에서 결합되는 체결덮개(160)가 외부굽(110) 내측으로 삽입 구비되어, 보호캡(150)을 통해 미려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외부의 먼지 등이 내부굽(12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체결덮개(160)를 통해 무게를 분산시켜 사용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보행시 탄성스프링(130)을 통해 외부굽(110)이 상하 슬라이딩하면서 충격이 완화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굽(110)의 하단부에 내부굽(120)의 하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원통형상의 보호캡(150)을 삽입 설치하여, 상기 보호캡(150)을 통해 미려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외부의 먼지 등이 내부굽(12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캡(150)의 외부면에 브랜드 표시 등의 홍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충격흡수용 굽의 인식을 새롭게 제고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굽(110)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내부굽(120)의 내부굽상부 (121) 하부에 내부굽상부(121)와 내부굽하부(122)보다 직경이 큰 단턱부(121a)를 형성하여 상기 내부굽상부(121)에 탄성스프링(130)을 외삽고정하고, 상기 내부굽상부(121)와 탄성스프링(130)의 상면부가 삽입고정되는 체결덮개(160)를 상기 외부굽(110)에서 하부로 빠지지 않고 양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결합하여 체결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부굽(110) 내측으로 삽입되는 체결덮개(160)와 내부굽(120)에 의해 상기 탄성스프링(130)의 이동에 한계가 생기고, 충격에 의한 힘의 무게가 분산되도록 하여 견고함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스프링(130)과 내부굽(120)이 삽입되는 외부굽(110) 내측으로 윤활유(190)를 삽입하여 구조들이 서로 부딪치는 소리가 나지 않도록 소음을 방지하고, 내부굽하부(122)에서 외삽되는 패킹부(123)가 단턱부(121a) 하부, 외부굽(110) 내측에 설치됨에 의해 윤활유(190)가 하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막아서 오일누수가 방지되므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캡(150)의 탈 장착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할 수 있어서 마모에 의한 변형 또는 디자인의 변경시에 사용자가 이를 쉽게 시행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100 :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101 : 밑창
110 : 외부굽 111 : 대경통로부 112 : 중경통로부
113 : 병목공간부 114 : 소경통로부
120 : 내부굽 121 : 내부굽상부 121a : 단턱부
121b : 끼움부 122 : 내부굽하부 123 : 패킹부
130 : 탄성스프링
140 : 밑바닥굽 141 : 지지몸체부 142 : 끼움돌기부
150 : 보호캡 151 : 제1지지보강부 152 : 제2지지보강부
160 : 체결덮개 161 : 내부굽지지부 162 : 탄성스프링지지부
170 : 결합수단
180 : 접착수단
190 : 윤활유

Claims (8)

  1. 하이힐 신발의 밑창(101) 후면 하부면에 고정되고, 상부면은 넓고 하부면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몸체부를 갖는 외부굽(110)과;
    상기 외부굽(110)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고, 상부측에 형성되는 내부굽상부(121)와, 하부측에 형성되고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는 내부굽하부(122)와, 상기 내부굽상부(121)와 내부굽하부(122) 사이에서 상기 내부굽상부(121)와 내부굽하부(122)보다 큰 직경의 단턱부(121a)로 이루어지는 내부굽(120)과;
    상기 외부굽(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굽상부(121)에 외삽되며, 상기 단턱부(121a)의 상부에서 걸려 상기 외부굽(110)의 하강시 압축되는 탄성스프링(130)과;
    상기 내부굽하부(122) 하단부와 결합되며 지면에 지지되는 밑바닥굽(140);
    내측으로 상기 내부굽(120)과 탄성스프링(130)이 삽입되는 체결덮개(160);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굽하부(122)의 하단부는 상기 외부굽(110)의 하단부보다 더 하부측으로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밑바닥굽(140)에 연결설치되고;
    보행자의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외부굽(110)의 끝단부가 상기 밑바닥굽(140)에 접촉되며;
    상단이 상기 외부굽(110)의 하단부보다 높게 위치하고, 하단이 상기 밑바닥굽(140)에 걸쳐져 위치하며, 상기 외부굽(110)의 외측을 감싸면서 삽입되어 내부굽하부(122)의 하단부를 외부와 차단하되, 보행자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외부굽(110)이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보호캡(150);이 구비되는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굽(110)은;
    상기 체결덮개(160)가 안착되는 대경통로부(111)와,
    상기 대경통로부(111)와 연통되면서 그 하부측에서 상기 대경통로부(111)보다 직경이 작고 상기 내부굽상부(121)와 상기 탄성스프링(130)이 위치되는 중경통로부(112)와,
    상기 중경통로부(112)와 연통되면서 그 하부측에서 상기 중경통로부(112)보다 직경이 작고 상기 단턱부(121a)가 안착되는 병목공간부(113)와,
    상기 병목공간부(113)와 연통되면서 그 하부측에서 상기 병목공간부(113)보다 직경이 작고 상기 내부굽하부(122)가 삽입되는 소경통로부(114)가 형성구비되는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굽상부(121)는 상기 외부굽(110)의 하강시 상기 체결덮개(160)의 상부로 돌출된 내부굽지지부(161)에 삽입되며, 상기 탄성스프링(130)은 상기 체결덮개(160)의 하부에 상기 내부굽지지부(161)보다 큰 직경의 탄성스프링지지부(162)에 삽입지지되는 하이힐에 부착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150)은 상단부가 개방되고, 하단부 중심부에 밑바닥굽(140)의 끼움돌기부(142)가 관통되고 상기 밑바닥굽(140)의 지지몸체부(141) 상부면이 맞닿는 제1지지보강부(151)로 이루어지는 하이힐이 부착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굽(120)은 내부굽상부(121)와 내부굽하부(122)가 분리형성되고, 상기 단턱부(121a) 하부에 끼움부(121b)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내부굽하부(122) 상부로 상기 끼움부(121b)가 끼움결합되는 하이힐이 부착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굽(110)의 대경통로부(111)와 중경통로부(112)에는 윤활유(190)가 삽입되되, 상기 단턱부(121a) 하단부에 오일누수방지를 위한 패킹부(123)가 외삽 구비되고, 상기 패킹부(123)는 병목공간부(113)에 삽입되는 하이힐이 부착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바닥굽(140)의 상단 직경은 상기 외부굽(110)의 하단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150)은 상기 밑바닥굽(140)의 지지몸체부(141) 상부면이 내측으로 삽입고정되도록 상기 지지몸체부(141)의 상부면이 맞닿는 제2지지보강부(152)가 내측에 돌출형성되는 하이힐이 부착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KR1020190065368A 2019-06-03 2019-06-03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KR102067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368A KR102067804B1 (ko) 2019-06-03 2019-06-03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PCT/KR2020/000386 WO2020246680A1 (ko) 2019-06-03 2020-01-09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PCT/KR2020/000449 WO2020246682A1 (ko) 2019-06-03 2020-01-10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JP2021546012A JP2022535313A (ja) 2019-06-03 2020-01-10 ハイヒールに付着する緩衝装置付き衝撃吸収用踵
EP20818868.0A EP3977889A4 (en) 2019-06-03 2020-01-10 SHOCK ABSORBING HEEL HAVING A SHOCK ABSORBER AND ATTACHED TO A HIGH HEEL
CN202080017501.4A CN113543673A (zh) 2019-06-03 2020-01-10 一种粘贴在高跟鞋上的具有缓冲装置的减震鞋跟
US17/437,817 US11839261B2 (en) 2019-06-03 2020-01-10 Shock-absorbing heel having shock absorber and attached to high heel
MX2021012055A MX2021012055A (es) 2019-06-03 2020-01-10 Tacon de absorcion de impactos con amortiguador de impactos y unido a un tacon alt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368A KR102067804B1 (ko) 2019-06-03 2019-06-03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804B1 true KR102067804B1 (ko) 2020-01-17

Family

ID=69369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368A KR102067804B1 (ko) 2019-06-03 2019-06-03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839261B2 (ko)
EP (1) EP3977889A4 (ko)
JP (1) JP2022535313A (ko)
KR (1) KR102067804B1 (ko)
CN (1) CN113543673A (ko)
MX (1) MX2021012055A (ko)
WO (2) WO20202466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27400S1 (en) * 2020-12-08 2024-05-21 J. Choo Limited Footwea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493Y1 (ko) 2005-05-24 2005-08-22 류상원 충격 흡수용 구두 뒷굽
KR200403451Y1 (ko) 2005-05-18 2005-12-09 김말남 여성용 완충 신발
KR20080056695A (ko) * 2008-05-17 2008-06-23 김상대 완충구를 장입한 구두굽
KR20090109392A (ko) * 2008-04-15 2009-10-20 (주)채널티비 스프링 완충력을 갖는 여성용 하이힐
KR200446957Y1 (ko) 2009-01-19 2009-12-11 장완순 충격흡수 기능을 갖춘 구두 굽
KR20160005318A (ko) * 2015-12-21 2016-01-14 고종택 탈장착이 간편하고 탄성력이 강화된 힐굽이 구비된 신발
KR20190030741A (ko) 2016-07-22 2019-03-22 션전 수퍼 데이타 링크 테크놀로지 엘티디. OvXDM 시스템에 적용하는 일종의 변조방법, 장치 및 OvXDM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7100A (en) * 1956-03-16 1957-09-24 Carl A Windle Resilient heel construction
JPS4221572Y1 (ko) * 1964-12-17 1967-12-12
CN85200071U (zh) * 1985-04-01 1985-09-10 崔小坤 弹簧鞋
US4848008A (en) * 1987-06-15 1989-07-18 Kuehnle Manfred R Therapeutic shock-absorbing shoes
JPH0326202A (ja) * 1989-06-20 1991-02-04 R Kuhnl Manfred 治療用衝撃吸収靴
KR930000116Y1 (ko) * 1990-10-15 1993-01-09 강진선 자동차용 백미러
CN2562609Y (zh) * 2002-06-26 2003-07-30 永嘉县灵犀鞋业有限公司 双循环换气按摩健康鞋
US20080034620A1 (en) * 2006-08-10 2008-02-14 Gallegos Alvaro Z Replaceable heel system
US20090183391A1 (en) * 2008-01-23 2009-07-23 Gallegos Alvaro Z Rigid orthotic with resilient member
KR101079709B1 (ko) * 2008-08-27 2011-11-03 주식회사 엠에스존 충격 흡수용 구두의 뒷굽
KR101155760B1 (ko) * 2008-11-06 2012-06-12 최철규 신발용 충격흡수 뒷굽
KR100975053B1 (ko) * 2010-02-17 2010-08-11 고종택 높이 조절용 완충 하이힐
KR101009578B1 (ko) * 2010-07-06 2011-01-20 고종택 완충부재의 교체가 용이한 하이힐
KR20120007355U (ko) * 2011-04-15 2012-10-24 김광호 굽의 측면 표면에 징이 구비된 하이힐 징.
DE102011007623A1 (de) * 2011-04-18 2012-10-18 Gabriela Rupprecht High-Heel-Schuh
CN202476604U (zh) * 2012-03-09 2012-10-10 杨小芝 可调节弹力的鞋跟
KR101465229B1 (ko) * 2013-03-07 2014-11-25 주식회사 몸아 기능성 구두
KR101382249B1 (ko) * 2013-07-15 2014-04-07 고종택 착탈이 쉬운 충격완화 힐굽
KR102067807B1 (ko) 2019-03-18 2020-01-17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451Y1 (ko) 2005-05-18 2005-12-09 김말남 여성용 완충 신발
KR200393493Y1 (ko) 2005-05-24 2005-08-22 류상원 충격 흡수용 구두 뒷굽
KR20090109392A (ko) * 2008-04-15 2009-10-20 (주)채널티비 스프링 완충력을 갖는 여성용 하이힐
KR20080056695A (ko) * 2008-05-17 2008-06-23 김상대 완충구를 장입한 구두굽
KR200446957Y1 (ko) 2009-01-19 2009-12-11 장완순 충격흡수 기능을 갖춘 구두 굽
KR20160005318A (ko) * 2015-12-21 2016-01-14 고종택 탈장착이 간편하고 탄성력이 강화된 힐굽이 구비된 신발
KR20190030741A (ko) 2016-07-22 2019-03-22 션전 수퍼 데이타 링크 테크놀로지 엘티디. OvXDM 시스템에 적용하는 일종의 변조방법, 장치 및 OvXDM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46680A1 (ko) 2020-12-10
CN113543673A (zh) 2021-10-22
US11839261B2 (en) 2023-12-12
EP3977889A4 (en) 2023-01-18
US20220151340A1 (en) 2022-05-19
WO2020246682A1 (ko) 2020-12-10
EP3977889A1 (en) 2022-04-06
JP2022535313A (ja) 2022-08-08
MX2021012055A (es) 202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8398B1 (ko) 신발창
KR102067804B1 (ko)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KR102214450B1 (ko) 하이힐에 삽입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KR102067807B1 (ko)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KR102106942B1 (ko) 충격을 완화해 주는 하이힐 굽
CN205321402U (zh) 一种防滑鞋底
KR200451483Y1 (ko) 하이힐 뒷굽용 구두 굽
KR101649101B1 (ko) 쿠션부를 갖는 구두용 중창
KR20090103642A (ko)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KR100300342B1 (ko) 조립식 완충 구두굽
EP3747300A1 (en) Shoe with replaceable heel
KR200376979Y1 (ko) 신발용 바닥판
KR102106932B1 (ko)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KR20090109392A (ko) 스프링 완충력을 갖는 여성용 하이힐
KR200455513Y1 (ko)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
CN205671606U (zh) 一种复合鞋底以及防滑减震鞋
KR200239041Y1 (ko) 충격흡수력과 지압기능을 가지는 신발
CN220936960U (zh) 一款贴合足弓的儿童鞋
KR102233548B1 (ko) 소음방지 구두 굽
KR20120009985A (ko) 하이힐 뒷굽용 구두 굽 및 그 제작방법
CN213045584U (zh) 一种减震跑鞋
CN220529394U (zh) 一种超高回弹缓震的运动鞋
CN209749966U (zh) 一种运动型灭菌按摩鞋
CN209498734U (zh) 弹性支撑鞋底及鞋子
KR101283449B1 (ko) 형상 변형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