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451Y1 - 여성용 완충 신발 - Google Patents

여성용 완충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451Y1
KR200403451Y1 KR20-2005-0026501U KR20050026501U KR200403451Y1 KR 200403451 Y1 KR200403451 Y1 KR 200403451Y1 KR 20050026501 U KR20050026501 U KR 20050026501U KR 200403451 Y1 KR200403451 Y1 KR 2004034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hoes
circumferential surface
women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6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말남
Original Assignee
김말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말남 filed Critical 김말남
Priority to KR20-2005-0026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4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4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4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26Resilient hee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0Heels with met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2Resilient supports for the heel of the foot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성용 완충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시 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쇄하는 여성용 완충 신발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하단에 연질의 밑창이 구비되는 여성용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저면 후단에 부착 고정되되 적정 높이로 구비되어 굽 역할을 하며, 보행시 뒤꿈치에 가하지는 충격을 탄성력에 의해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수단은, 상부가 막히고 하부가 개구된 통 형상으로 대향된 둘레면 상단에 직립된 안내구멍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안내구멍의 상하면에 완충부재가 각각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적정 높이만큼 승강할 수 있도록 그 안내구멍의 내부에 위치되는 핀 형상의 걸림돌기가 외주면 상단에 대향된 상태로 각각 마련되는 파이프 형상의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내주면 하단에 고정되며, 상단은 개구되고 하단은 막힌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재; 상기 하우징내 천장과 고정부재내 바닥면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완충 신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여성용 완충 신발{Woman buffering shoes}
본 고안은 여성용 완충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시 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쇄하는 여성용 완충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샌들(Sandal) 또는 구두 (이하 "신발") 등은 발에 착용하여 보행시 발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발 뒤꿈치의 높이를 발가락 부분보다 높여줄 수 있게 발 뒤꿈치 부분에 굽이 마련되고 바닥에는 밑창이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밑창은 지면과의 마찰에 의해 마모됨에 따라 구두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서는 교체하여야 한다.
특히, 여성용 신발은 남성용 신발보다 굽 높이가 높은 하이힐(High-heeled shoes)이 대중화되어 발을 보호하면서 키를 크게 보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패션(Fashion) 소품의 일종으로 다양한 디자인 및 색상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종래의 여성용 신발(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발이 수용되어 발등 부분과 발가락 부분을 감쌀 수 있고 저면 후단에 적정 높이를 갖는 굽(20)이 부착되며, 상기 굽(20)과 신발(10)의 저면에는 마모시 교체하는 밑창(10a, 20a)이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밑창(10a)은 연질의 고무재로 많이 사용하고, 상기 굽(20)은 경질의 합성수지 재로 마련되어 장기간 보행하면 피로는 물론 지면과의 접촉에 의해 충격이 발에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발에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굽 대신에 고정되되 탄성력이 부가된 상태로 승강되는 완충수단이 구비되는 여성용 완충 신발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단에 연질의 밑창이 구비되는 여성용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저면 후단에 부착 고정되되 적정 높이로 구비되어 굽 역할을 하며, 보행시 뒤꿈치에 가하지는 충격을 탄성력에 의해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수단은, 상부가 막히고 하부가 개구된 통 형상으로 대향된 둘레면 상단에 직립된 안내구멍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안내구멍의 상하면에 완충부재가 각각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적정 높이만큼 승강할 수 있도록 그 안내구멍의 내부에 위치되는 핀 형상의 걸림돌기가 외주면 상단에 대향된 상태로 각각 마련되는 파이프 형상의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내주면 하단에 고정되며, 상단은 개구되고 하단은 막힌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재; 상기 하우징내 천장과 고정부재내 바닥면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완충수단의 저면에 부착되는 밑창이 승강부재에 의해 적정 높이만큼 승강하여 그 밑창이 지면에 접촉하면 완충수단에 의해 밑창이 저속으로 상승하므로 충격을 완화시켜 발에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과 승강부재의 사이에 탄성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 속도를 지연시키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되 그 단면 형상이 반원으로 저면에서 적정 높이만큼 구비되는 내부 홈과, 상기 내부 홈과 대응되는 위치인 승강부재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되 그 단면 형상이 반원으로 저면에서 적정 높이만큼 외부 홈이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내부 홈과 외부 홈은, 그 형상이 원기둥 형태이며, 그 내부에 금속 재질인 복수개의 가이드 볼이 각각 개재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볼이 승강부재의 승강시 그를 안내하여 상기 승강부재의 상승 및 하강이 진동 및 소음없이 용이하게 실시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의 탄성부재는, 고무재 또는 압축 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여성용 완충 신발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여성용 완충 신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등과 발가락 부분을 감싸도록 바닥에 끈이 구비되고 상기 신발(110)의 저면 후단에는 굽 역할을 하되 적정 높이를 갖으면서 하부가 부분 승강되도록 구비되는 완충수단(120)이 마련되며, 상기 신발(110)의 저면 선단과 완충수단(120)의 저면에 밑창(110a, 120a)이 각각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신발(110)은 착용자의 발에 착용할 수 있게 발 크기에 맞도록 수용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구두와, 발등 부분과 발가락 부분 또는 발등 부분만을 감싸면서 착용하는 샌들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발등과 발가락 부분을 감싸는 샌들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완충수단(120)은 도 3,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2)과, 승강부재(132)와, 고정부재(138)와, 탄성부재(140)와, 가이드 볼(B)과, 이탈방지부재(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22)은 다각통 또는 원통 형상으로 상단은 막히고 하단은 개구되며, 외주면은 그 수평의 중심부위를 기점으로 하단은 외주면보다 축소되는 직경을 갖으며, 후술할 이탈방지부재(130)를 하우징(122)의 저면에 작은 나사로 체결할 때 체결 부위를 견고하게 하기 위해 상기 작은 나사가 체결될 부위의 저면을 상단의 외경만큼 부분 돌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22)의 상면에는 상기 신발(110) 바닥에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볼트(Bolt)인 체결부재(124)가 고정되고, 둘레면 중 전후면에는 대향된 상태로 안내구멍(126)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구멍(126)은 그 상면과 저면에 각각 대향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그 홈에 고무재인 완충부재(126a)가 각각 삽입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126a)가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그 안내구멍(126)에서 완충부재(126a)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안내구멍(126)의 상하부면에 완충부재(126a)가 구비되는 이유는 후술할 승강부재(132)가 승강될 때 그 승강부재(132)의 걸림돌기(136)가 안내구멍(126)을 따라 이동하는데 그 걸림돌기(136)가 안내구멍(126)의 상하면에 충돌할 때 충격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22)의 천장에는 중앙에 원형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원판 형상인 완충부재(122a)가 부착되어 승강부재(132)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그 승강부재(132)의 상면이 하우징(122)의 천장에 충돌하여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22)의 내주면에는 그 안내구멍(126)과 겹치지 않으면서 수직 방향으로 직립 형성되는 음각 형태인 다수개의 내부 홈(128)이 하우징(122)의 저면에서 적정 높이까지 각각 연통 형성되되 상기 내부 홈(128)은 그 단면 형상이 반원 형상으로 90°씩 4지점에 마련된다.
상기 승강부재(132)는 다각형 또는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하우징(122)의 내부에서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수용되며, 그 둘레면 상단에 핀(Pin) 형태의 걸림돌기(136)가 대향되게 구비되고 그 걸림돌기(136)가 하우징(122)의 안내구멍(126)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안내구멍(126)을 따라 승강부재(132)의 걸림돌기(136)가 이탈 없이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132)는 그 내주면에 하우징(122)의 내부 홈(128)과 대향되는 음각의 외부 홈(134)이 각각 마련되며, 그 외부 홈(134)은 그 단면 형상이 반원 형상으로 90°씩 4지점에 마련되어 상기 내부 홈(128)과 외부 홈(134)을 근접되게 위치시켰을 때 원통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 홈(134)도 승강부재(132)의 저면에서 적정 높이만큼 연통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22)의 내부 홈(128)과 승강부재(132)의 외부 홈(134)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고 가감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4개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안내구멍(126)은 그 내부에 위치되는 걸림돌기(136)에 의해 승강부재(132)의 상하 이동시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안내구멍(126) 내부에 걸림돌기(136)가 구비되어 승강부재(132)의 상하 이동거리를 제한함에 있어 상기 승강부재(132)의 승강 높이는 대략 최대 1㎝이다.
그리고 상기 안내구멍(126)을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걸림돌기(136)가 구비되는 승강부재(132)의 승강 높이는 본 고안에서 1㎝에 한정하였지만 상기 안내구멍(126)의 길이를 가감하여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22) 내부에 승강부재(132)의 상단이 부분 삽입된 상태로 승강되므로 상기 하우징(122)과 승강부재(132)는 형상은 동일하면서 면적이 상이하도록 상응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138)는 그 상단이 개구되고 하단이 막힌 다각통 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승강부재(132)의 형상에 따라 바뀔 수 있으며, 상기 승강부재(132)의 내주면 하단에 작은 나사로 위치 고정된다.
상기 탄성부재(140)는 상기 하우징(122)의 천장과 고정부재(138)와의 바닥면에 개재되며, 고무재 또는 압축 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140)가 고무재일 경우에는 상관없지만 압축 스프링일 경우 그 탄성부재(140)는 하우징(122)과 고정부재(138)의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복원력이 고정부재(138)에 가해지는 상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탄성부재(140)가 하우징(122)과 고정부재(138)의 내부에서 압축된 상태로 구비되어 지면에 닿는 순간부터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이 가해져 그 승강부재(132) 및 고정부재(138)를 감속시킨다.
상기 밑창(120a)은 고무재로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재(138)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되 적정 두께를 갖고 마모시 교체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138)에 다수개의 작은 나사로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구두(110)에 완충수단(120)을 고정할 때에는 이 완충수단(120)의 상면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볼트인 체결부재(124)를 구두(110)의 저면 후단에 형성되는 구멍 각각에 끼워 넣은 다음 끼움부재(114)를 체결부재(124)상에 위치시키고 체결부재(124)인 너트(Nut)로 체결한 후 안창(112)을 부착하여 마무리한다.
상기 가이드 볼(B)은 금속재로 상기 하우징(122)의 내부 홈(128)과, 승강부재(132)의 외부 홈(134)에 양 측면이 점 접촉에 의해 접한 상태로 지지될 수 있게 다수개가 개재된다.
즉, 상기 내부 홈(128)과 외부 홈(134)을 서로 근접하게 위치시키면 그 형상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가이드 볼(B)을 삽입하면 상기 가이드 볼(B)의 회전과 함께 승강부재(132)가 승강하여 상기 승강부재(132)에 진동과 소음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130)는 상기 내부 홈(128)과 외부 홈(134)에 개재된 가이드 볼(B)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하우징(122)의 저면에 다수개의 볼트로 체결한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부재(130)는 그 외경이 하우징(122)과 동일하면서 중앙부가 승강부재(132)의 외경보다 좀더 큰 내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재(132)의 승강시 내주면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승강부재(132)의 외부 홈(134)의 형성 위치와 동일한 위치마다 그 외부 홈(134)을 가릴 수 있도록 양각의 반원 형상으로 돌출 구비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22)의 외주면 단차에 해당되는 높이를 대략 1㎝라 하여 그 하우징(122)의 높이는 대략 2㎝이며, 상기 하우징(122)의 내부에서 승강되는 승강부재(132)는 그 하우징(122)에서 대략 1㎝ 정도 돌출되므로 상기 완충수단(120)은 대략 3㎝ 정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여성용 완충 신발의 완충수단 작동 상태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에 신발(110)을 착용한 상태에서 굽 역할을 하도록 완충수단(120)을 구비하되 상기 완충수단(120)의 저면에 부착된 밑창(120a)이 지면에 닿으면 상기 하우징(122)과, 승강부재(132)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38)와의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140)가 압축되면서 이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부재(132)의 상승 속도가 감속되되 상기 승강부재(132)의 걸림돌기(136)가 하우징(122)의 안내구멍(126)을 따라 저속으로 상승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며 상기 지면에 닿은 발을 띄우면 압축된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부재(132)가 원위치로 복귀하므로 지면 충격이 발에 전달되지 않고 감쇄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122)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내부 홈(128)과 그 하우징(122)의 내부에서 승강하는 승강부재(132)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외부 홈(134)을 서로 근접되도록 위치시키면 상기 내부 홈(128)과 외부 홈(134)은 서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부 홈(128)과 외부 홈(134)과의 사이에 다수개의 가이드 볼(B)이 개재되어 상기 승강부재(132)의 승강시 상기 가이드 볼(B)이 외부 홈(134)에 접한 상태로 승강부재(132)를 안내하여 진동 및 소음 발생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여성용 완충 신발은 그 신발의 저면 후단에 구비되되 굽 역할을 하는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보행시 지면과 접촉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우징과, 승강부재의 내주면 하단에 고정된 고정부재와의 사이에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그 탄성부재에 의해 발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하우징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내부 홈과 그 하우징의 내부에서 승강하는 승강부재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외부 홈을 서로 근접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다수개의 가이드 볼을 내부에 삽입하여 승강부재의 승강시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여성용 신발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완충 신발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여성용 완충 신발의 완충수단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상기 여성용 완충 신발에 구비된 완충수단의 횡단면도와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신발 120 : 완충수단
122 : 하우징(Housing) 124 : 체결부재
126 : 안내구멍 128 : 내부 홈
130 : 이탈방지부재 132 : 승강부재
134 : 외부 홈 136 : 걸림돌기
140 : 탄성부재 B : 가이드 볼(Guide ball)

Claims (5)

  1. 하단에 연질의 밑창이 구비되는 여성용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저면 후단에 부착 고정되되 적정 높이로 구비되어 굽 역할을 하며, 보행시 뒤꿈치에 가하지는 충격을 탄성력에 의해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수단은,
    상부가 막히고 하부가 개구된 통 형상으로 대향된 둘레면 상단에 직립된 안내구멍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안내구멍의 상하면에 완충부재가 각각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적정 높이만큼 승강할 수 있도록 그 안내구멍의 내부에 위치되는 핀 형상의 걸림돌기가 외주면 상단에 대향된 상태로 각각 마련되는 파이프 형상의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내주면 하단에 고정되며, 상단은 개구되고 하단은 막힌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재;
    상기 하우징내 천장과 고정부재내 바닥면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완충 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되 그 단면 형상이 반원으로 저면에서 적정 높이만큼 구비되는 내부 홈과, 상기 내부 홈과 대응되는 위치인 승강부재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되 그 단면 형상이 반원으로 저면에서 적정 높이만큼 외부 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완충 신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홈과 외부 홈은,
    그 형상이 원기둥 형태이며, 그 내부에 금속 재질인 복수개의 가이드 볼이 각각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완충 신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고정되어 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이탈방지부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완충 신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재 또는 압축 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완충 신발.
KR20-2005-0026501U 2005-05-18 2005-09-14 여성용 완충 신발 KR2004034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501U KR200403451Y1 (ko) 2005-05-18 2005-09-14 여성용 완충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009 2005-05-18
KR20-2005-0026501U KR200403451Y1 (ko) 2005-05-18 2005-09-14 여성용 완충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451Y1 true KR200403451Y1 (ko) 2005-12-09

Family

ID=43704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501U KR200403451Y1 (ko) 2005-05-18 2005-09-14 여성용 완충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451Y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074B1 (ko) * 2010-04-19 2010-10-25 고종택 탈부착형 완충부재를 구비한 신발
KR101382249B1 (ko) 2013-07-15 2014-04-07 고종택 착탈이 쉬운 충격완화 힐굽
KR20160005318A (ko) 2015-12-21 2016-01-14 고종택 탈장착이 간편하고 탄성력이 강화된 힐굽이 구비된 신발
KR102067804B1 (ko) 2019-06-03 2020-01-17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KR102067807B1 (ko) 2019-03-18 2020-01-17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KR102070314B1 (ko) 2018-10-26 2020-01-28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KR102073724B1 (ko) 2018-10-16 2020-02-05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KR102059159B1 (ko) 2018-12-19 2020-02-20 고종택 충격을 완화해 주는 하이힐 굽
KR20200040561A (ko) 2018-10-10 2020-04-20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KR102106942B1 (ko) 2019-01-25 2020-05-06 고종택 충격을 완화해 주는 하이힐 굽
KR102214450B1 (ko) 2019-09-27 2021-02-09 고종택 하이힐에 삽입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074B1 (ko) * 2010-04-19 2010-10-25 고종택 탈부착형 완충부재를 구비한 신발
KR101382249B1 (ko) 2013-07-15 2014-04-07 고종택 착탈이 쉬운 충격완화 힐굽
KR20160005318A (ko) 2015-12-21 2016-01-14 고종택 탈장착이 간편하고 탄성력이 강화된 힐굽이 구비된 신발
KR101673422B1 (ko) * 2015-12-21 2016-11-08 고종택 탈장착이 간편하고 탄성력이 강화된 힐굽이 구비된 신발
KR20200040561A (ko) 2018-10-10 2020-04-20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KR102073724B1 (ko) 2018-10-16 2020-02-05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KR102070314B1 (ko) 2018-10-26 2020-01-28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KR102059159B1 (ko) 2018-12-19 2020-02-20 고종택 충격을 완화해 주는 하이힐 굽
KR102106942B1 (ko) 2019-01-25 2020-05-06 고종택 충격을 완화해 주는 하이힐 굽
KR102067807B1 (ko) 2019-03-18 2020-01-17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KR102067804B1 (ko) 2019-06-03 2020-01-17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WO2020246682A1 (ko) 2019-06-03 2020-12-10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US11839261B2 (en) 2019-06-03 2023-12-12 Jong Taek GO Shock-absorbing heel having shock absorber and attached to high heel
KR102214450B1 (ko) 2019-09-27 2021-02-09 고종택 하이힐에 삽입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3451Y1 (ko) 여성용 완충 신발
KR100766217B1 (ko)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
WO2006107779A3 (en) Toe separator sock and corrective footwear
KR20080056695A (ko) 완충구를 장입한 구두굽
JP2012532732A (ja) 履物用トーキャプ及びそのトーキャプが一体化されたアウトソール
KR100518307B1 (ko) 신발
KR102123523B1 (ko) 통증 완화용 신발 밑창
KR200371481Y1 (ko) 신발
KR100999901B1 (ko) 스프링 완충력을 갖는 여성용 하이힐
KR102067807B1 (ko)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KR101038052B1 (ko) 신발 바닥의 구조
CN213756893U (zh) 一种能按需更换防滑气袋减震模块鞋装置
US20200383429A1 (en) Shoe with replaceable heel
CN205321402U (zh) 一种防滑鞋底
CN213785688U (zh) 一种能按需更换防滑弹簧减震模块鞋装置
KR101377364B1 (ko) 위치 고정 가능한 완충 깔창
KR101251586B1 (ko) 충격흡수 및 충격분산기능이 구비된 신발밑창
CN113543673A (zh) 一种粘贴在高跟鞋上的具有缓冲装置的减震鞋跟
CN212325602U (zh) 一种减震式防护安全鞋
KR200386380Y1 (ko) 신발
CN214072057U (zh) 减震按摩鞋底
KR200414220Y1 (ko) 좌우대칭형 샌들
JP7326797B2 (ja) 中敷き型電子機器および中敷き型電子機器の製造方法
KR200209180Y1 (ko) 운동화용 아웃솔
KR200426108Y1 (ko) 고형패드가 부착된 신발 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