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422B1 - 탈장착이 간편하고 탄성력이 강화된 힐굽이 구비된 신발 - Google Patents

탈장착이 간편하고 탄성력이 강화된 힐굽이 구비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422B1
KR101673422B1 KR1020150182825A KR20150182825A KR101673422B1 KR 101673422 B1 KR101673422 B1 KR 101673422B1 KR 1020150182825 A KR1020150182825 A KR 1020150182825A KR 20150182825 A KR20150182825 A KR 20150182825A KR 101673422 B1 KR101673422 B1 KR 101673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el
sole
shoe
bending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2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5318A (ko
Inventor
고종택
Original Assignee
고종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종택 filed Critical 고종택
Priority to KR1020150182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422B1/ko
Publication of KR20160005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6Easily-exchangeable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26Resilient hee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0Heels with metal spring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 시 가해지는 하중을 완화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완충부재를 갖는 힐굽이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힐굽에 구비된 완충부재인 굽창의 탈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굽창 내부에 탄성수단을 복수 개로 나누어 설치하여 완충력을 보강 및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워킹습관이나 하중에 따라 힐굽에 구비된 굽창을 편리하게 교환 및 수리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과 내구성의 향상은 물론 완충 지지력을 한층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탈장착이 간편하고 탄성력이 강화된 힐굽이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탈장착이 간편하고 탄성력이 강화된 힐굽이 구비된 신발{a shoes}
본 발명은 보행 시 가해지는 하중을 완화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완충부재를 갖는 힐굽이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힐굽에 구비된 완충부재인 굽창(또는 '천피'라고도 함)의 탈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굽창 내부에 탄성수단을 복수 개로 나누어 설치하여 완충력을 보강 및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워킹습관이나 하중에 따라 힐굽에 구비된 굽창을 편리하게 교환 및 수리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과 내구성의 향상은 물론 완충 지지력을 한층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탈장착이 간편하고 탄성력이 강화된 힐굽이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 정장구두의 뒤축에 구비된 힐굽에는 그 끝단부에 땅바닥과 맞닿는 굽창(또는 천피라고도 함, 해당 업계에서는 덴까 또는 뎅가와 라고도 함)이라고 하는 소모품이 장착 구비되어 있다. 남성구두도 마찬가지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여성 정장 구두의 힐굽에 있어서 굽창을 장착하거나 탈착하여 교체할 때 구두 공장이나 구두 수선집에 맡겨서 처리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힐굽의 수선과 교체가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불편이 따랐다.
또한 굽창(천피)의 기능이 힐굽을 보호하는데 국한되어서 워킹 시 하중에 의한 충격을 전혀 흡수해 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하중에 대한 완충 기능이 없기 때문에 쉽게 마모되어 굽창을 빈번하게 교체를 해야 하는 불편함과 더불어 힐굽의 천피 지지구멍이 헐거워져서 힐굽을 교환해야 하는 일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몇 가지 종래의 기술 중에 힐굽 내부에 고무 등의 일반 탄성부재를 삽입하거나,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수단을 적용한 기술들이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종래의 기술 중 실용신안 제20-0403451호의 '여성용 완충신발'은 그 굽이 신발의 저면 후단에 부착 고정되되 적정 높이로 구비되어 굽 역할을 하고, 보행 시 뒤꿈치에 가하지는 충격을 탄성력에 의해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완충수단은, 상부가 막히고 하부가 개구된 통 형상으로 대향된 둘레면 상단에 직립된 안내구멍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안내구멍의 상하면에 완충부재가 각각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적정 높이만큼 승강할 수 있도록 그 안내구멍의 내부에 위치되는 핀 형상의 걸림돌기가 외주면 상단에 대향된 상태로 각각 마련되는 파이프 형상의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내주면 하단에 고정되며, 상단은 개구되고 하단은 막힌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재; 상기 하우징내 천장과 고정부재내 바닥면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실용신안 제20-0393493호의 '충격 흡수용 구두 굽'은 구두 굽으로 부착되는 밑창이 유압의 압력에 의해 높은 쿠션력을 가지게 되면서, 보행 시 발목과 무릎으로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 시킬 수 있는 충격 흡수용 구두 굽을 제공하기 위해 고안되어진 것이다.
KR 20-0403451 (등록번호) 2005.12.05. KR 20-0393493 (등록번호) 2005.08.16. KR 20-0446957 (등록번호) 2009.12.03.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신발들은, 완충부재를 신발의 밑창 내부에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완충부재가 장착되는 뒷굽의 제조가 어려웠으며, 장착구조도 복잡하여 완충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공정도 어려웠다. 이러한 어려움으로 인하여 완충부재를 장착하기 위해 신발구조를 변경하고 그에 따른 제조 장비도 추가 구입해야 하는 부담도 갖게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 신발들은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수명을 다한 완충부재를 교체하려 해도, 완충부재가 밑창의 내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완충부재만을 별도로 교체할 수 없었고, 결국 신발을 새로 장만해야 하는 추가 구입비용이 발생하는 어려움도 있었다.
또한, 완충부재를 구성하는 부품들 중에는 마모되거나 아니면 탄성력이 약화되는 부품들도 있어서, 이에 해당되는 부품만을 교체하면 재사용이 가능한 것도 많으나, 상기 종래 기술들은 해당되는 부품의 교체가 어려워 재사용하기가 어려웠다.
즉, 종래의 신발에 구비되는 힐굽은 이를 구성하는 굽창을 신속하게 탈장착하여 사용하거나 필요한 부품을 교체 또는 수리하여 다시 사용하기가 어려워 경제적 손실이 크고 내구성과 편의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여성용 정장구두와 같은 신발 뒤축에 구비된 힐굽은 그 몸체내부에 바닥면으로부터 삽입 설치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는 굽창몸체와 상기 굽창몸체의 내부 중앙에 상하 슬라이딩부재가 설치 고정되고 복수 개의 탄성부재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외측에 구비되는 굽창완충부재를 구성하여,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굽창완충부재가 상기 굽창몸체의 내부에서 상하 슬라이딩되면서 하중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시 상기 굽창몸체는 물론 상기 굽창완충부재를 간편하게 분리하여 수리하거나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발의 내구성이 증대되고 경제성과 편의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탈장착이 간편하고 탄성력이 강화된 힐굽이 구비된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람의 발을 수납하는 갑피와 상기 갑피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어 발바닥을 보호하는 안창 및 상기 안창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지면과 접촉하는 밑창으로 구성되고, 상기 밑창의 후면에는 사람의 뒤꿈치를 높여주는 동시에 하중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힐굽이 구비된 신발에 있어서, 상기 힐굽은; 상기 밑창의 후면 하부에 고정되어 지면과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부측 내면에 상부공간부와 하부측 내면에 하부공간부 및 이들 사이에 병목공간부가 연결 형성된 힐굽몸체와; 상기 힐굽몸체의 하부측 내부로 삽입 설치되되, 그 하단부에는 상기 힐굽몸체의 하단부가 지면에 닿는 것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힐굽보호턱이 형성 구비되고, 상단부에는 탄성적으로 상기 병목공간부를 통해 상기 힐굽몸체의 내부 상단부에 삽입하여 장착하거나 잡아당겨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탈부착구가 형성 구비된 굽창몸체와; 상기 굽창몸체의 하부측 내부로 삽입 설치되면서 그 내부에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스프링부재가 복수 개 삽입 설치되며, 상기 탄성스프링부재의 사이에는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는 안내로드가 고정 설치되는 굽창완충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굽창몸체의 하단부에 형성된 상기 힐굽보호턱에는 상기 힐굽보호턱이 마모 또는 파손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도록 보호하는 보강테부재가 더 구비하되, 상기 보강테부재는 상기 힐굽보호턱의 상부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면보호부와 상기 힐굽보호턱의 측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상면보호부의 모서리에서 하부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면보호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면보호부는 상기 힐굽몸체의 하단부 밑에 위치된다.
상기 굽창완충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안내로드에 끼워 설치되는 가이드보호관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탈장착이 간편하고 탄성력이 강화된 힐굽이 구비된 신발은 굽창에 구비된 완충부재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면서도 힐굽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어 편안한 보행 및 미려한 디자인과 재료비용의 감소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굽창에 구비된 완충부재에 의한 충격 흡수기능을 통해 임산부나 비만인 등의 안전한 보행을 위한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굽창(천피)를 간편하게 탈착하여 수리하거나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신발의 내구성과 편의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완충부재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의 수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하중에 맞는 맞춤형 힐굽을 선택할 수 있어 활용성이 확대될 수 있다고 하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장착이 간편하고 탄성력이 강화된 힐굽이 구비된 신발의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장착이 간편하고 탄성력이 강화된 힐굽이 구비된 신발의 분리 사시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장착이 간편하고 탄성력이 강화된 힐굽이 구비된 신발의 힐굽에 대한 개략적인 상태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장착이 간편하고 탄성력이 강화된 힐굽이 구비된 신발이 개략적으로 분리된 각각의 단면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장착이 간편하고 탄성력이 강화된 힐굽이 구비된 신발의 힐굽에 2개 또는 4개의 탄성부재가 삽설되는 상태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탈장착이 간편하고 탄성력이 강화된 힐굽이 구비된 신발에 사용자의 하중이 가해지기 전과 후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람의 발을 수납하는 갑피(110)와 상기 갑피(110)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어 발바닥을 보호하는 안창(120) 및 상기 안창(120)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지면과 접촉하는 밑창(130)으로 구성되고, 상기 밑창(130)의 후면에는 사람의 뒤꿈치를 높여주는 동시에 하중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힐굽(140)이 구비된 신발(100)에 있어서,
상기 힐굽(140)은;
상기 밑창(130)의 후면 하부에 고정되어 지면과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부측 내면에 상부공간부(141a)와 하부측 내면에 하부공간부(141b) 및 이들 사이에 병목공간부(141c)가 연결 형성된 힐굽몸체(141)와;
상기 힐굽몸체(141)의 하부측 내부로 삽입 설치되되, 그 하단부에는 상기 힐굽몸체(141)의 하단부가 지면에 닿는 것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힐굽보호턱(151)이 형성 구비되고, 상단부에는 탄성적으로 상기 병목공간부(141c)를 통해 상기 힐굽몸체(141)의 내부 상단부에 삽입하여 장착하거나 잡아당겨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탈부착구(152)가 형성 구비된 굽창몸체(150)와;
상기 굽창몸체(150)의 하부측 내부로 삽입 설치되면서 그 내부에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스프링부재(160)가 복수 개 삽입 설치되며, 상기 탄성스프링부재(160)의 사이에는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는 안내로드(170)가 고정 설치되는 굽창완충부재(180);로 구성되어,
상기 힐굽(140)에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굽창완충부재(180)가 상기 굽창몸체(150)의 내부에서 상하 슬라이딩 되면서 가해진 하중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힐굽몸체(141)의 내부에는 내경이 제일 작은 상기 병목공간부(141c)의 상부측으로 상기 상부공간부(141a)에 의해 상부단턱(142)이 형성되고, 또 상기 병목공간부(141c)의 하부측으로 상기 하부공간부(141b)에 의해 하부단턱(143)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굽창몸체(150)는 상기 힐굽보호턱(151)이 하단부에 형성되는 반원형상의 대경부(150a)와 상기 대경부(150a)의 상부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탄성탈부착구(152)를 형성하는 원통형상의 소경부(150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탈부착구(152)에는 그 상단부에 상기 힐굽몸체(141)의 상기 상부공간부(141a)에 의해 형성된 상기 상부단턱(142)에 걸려 더 이상 하강되지 못하도록 록킹되는 고정턱(152a)이 형성 구비되어 있고, 또 상기 탄성탈부착구(152)의 몸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슬롯장홈(152b)이 다수개 형성 구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턱(152a)은 그 상부면이 하향경사면을 이루는 형상으로 되어 있어 이는 마치 화살촉 형상과 유사하여 상부로 밀어 끼워 줄 때는 경사면을 눌러주면서 삽입이 잘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굽창완충부재(180)는 상부면은 개방되고 하부면은 패쇄되면서 내부는 공간부로 형성되되, 상기 굽창완충부재(180)의 내측 바닥면에는 상기 안내로드(170)가 체결 고정되는 암나사부(18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로드(170)는, 상단부측에 상기 탄성탈부착구(152)의 내측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머리부(171)가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암나사부(181)와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수나사부(172)가 형성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굽창완충부재(180)의 내측에는 상기 탄성스프링부재(160)가 신축될 때 이들이 상기 안내로드(170)에 접촉되어 간섭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도록 상기 안내로드(170)에 끼워 설치되는 가이드보호관(173)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힐굽몸체(141)의 상부측에 형성된 상기 상부공간부(141a)는 그 상부면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필요 시 이를 폐쇄면으로 형성하여 개방되지 않도록 형성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굽창완충부재(180)의 크기를 변경하여 그 내부에 삽설되는 상기 탄성스프링부재(160)의 설치 수량을 3개 이상으로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의 하중에 대응되는 탄성력을 발휘하여 완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수로 증감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굽창몸체(150)의 하단부에 형성된 상기 힐굽보호턱(151)에는 상기 힐굽보호턱(151)이 마모 또는 파손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도록 보호하는 보강테부재(153)가 장착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테부재(153)는 상기 힐굽보호턱(151)의 상부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면보호부(153a)와 상기 힐굽보호턱(151)의 측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상면보호부(153a)의 모서리에서 하부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면보호부(153b)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보강테부재(153)를 상기 힐굽보호턱(151)에 장착하게 됨으로써 상기 힐굽보호턱(151)을 외부 충격이나 마모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 내구성이 한층 좋아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테부재(153)를 금빛색깔 등을 발하는 소재로 하여 미적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굽창몸체(150)의 내측 상부면 또는 상기 굽창완충부재(180)의 내측 바닥면에는 상기 탄성스프링부재(160)가 삽설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돌기(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는 상기 굽창몸체(150)의 내측 상부면과 상기 굽창완충부재(180)의 내측 바닥면 양측에 모드 설치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스프링부재(160)가 상기 돌기에 삽설 지지됨으로써 상기 굽창몸체(150)와 상기 굽창완충부재(180)의 내부에 상기 탄성스프링부재(160)가 견고하게 설치되어 탄성력이 안정적으로 발휘될 수가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와 구성으로 형성된 본 발명의 탈장착이 간편하고 탄성력이 강화된 힐굽이 구비된 신발(100)은 도 2와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우선, 상기 힐굽몸체(141)에 형성된 상기 상부공간부(141a)와 상기 병목공간부(141c) 및 상기 하부공간부(141b)를 통해 상기 굽창몸체(150)를 끼워 설치한다.
이어 상기 굽창몸체(150)에 형성된 상기 탄성탈부착구(152)의 소경부(150b)를 통해 상기 안내로드(170)를 삽설한다.
그리고 상기 굽창완충부재(180)의 내부 양측에 상기 탄성스프링부재(160)를 각각 수납 장착하고 상기 탄성스프링부재(160) 사이의 중간부측에 상기 가이드보호관(173)을 수납 장착한 다음 이를 상기 굽창몸체(150)의 하부 내측으로 끼운다.
이때 상기 안내로드(170)는 상기 가이드보호관(173)의 내부로 끼워 주면서 그 단부에 형성된 상기 수나사부(172)를 상기 굽창완충부재(180)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된 상기 암나사부(181)와 체결시킨다.
상기와 같은 절차는 반드시 그 선후가 있는 것이 아니고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그 순서를 달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힐굽몸체(141)의 하부측에 형성된 상기 하부공간부(141b)를 통해 상기 굽창몸체(150)를 삽입시켜 끼워주게 되면, 상기 탄성탈부착구(152)가 상기 병목공간부(142c)를 통과하면서 상기 고정턱(152a)은 상기 슬롯장홈(152b)에 의해 탄성적으로 오므려져 용이하게 끼워지고, 이어 상기 고정턱(152a)이 상기 병목공간부(142c)를 통과하면 상기 슬롯장홈(152b)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펴지면서 상기 고정턱(152a)이 상기 상부공간부(141a)에 형성된 상기 상부단턱(142)에 걸려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굽창몸체(150)의 상기 대경부(150a)의 상단부는 상기 하부공간부(141b)에 의해 형성된 상기 하부단턱(143)에 지지되고, 또 상기 굽창몸체(150)의 하단부에 구비된 상기 힐굽보호턱(151)은 상기 힐굽몸체(141)의 하단부를 지지하여 지면에 닿는 것을 막아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굽창완충부재(180)가 설치된 상기 굽창몸체(150)를 상기 힐굽몸체(141)의 내부에 간편하게 장착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굽창몸체(150)를 상기 힐굽몸체(141)의 내부에 간편하게 장착 설치하여 사용할 때 즉,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안창(120)과 상기 밑창(130)으로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탄성스프링부재(160)는 압축되고 상기 안내로드(170)는 상기 탄성탈부착구(152)의 내부를 따라 상부측으로 슬라이딩되는 동시에 상기 굽창완충부재(180)는 상기 굽창몸체(150)의 내부면을 따라 윗쪽으로 상승하면서 하중을 완화시켜주게 된다.
그리고 보행에 따라, 상기 안창(120)과 상기 밑창(130)으로 가해진 하중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스프링(160)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안내로드(170)는 상기 탄성탈부착구(152)의 내부를 따라 하부측으로 슬라이딩되는 동시에 상기 굽창완충부재(180)는 상기 굽창몸체(150)의 내부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하강하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해 보행자의 워킹에 따라 가해지는 하중을 용이하게 완화시켜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일정기간 사용함에 따라 상기 굽창몸체(150)가 고장난다든지 상기 굽창완충부재(180)가 닳아 교환하고자 할 경우, 상기 힐굽(150)을 밑창에서 떼어낸 후, 상기 안내로드(170)을 풀어 상기 굽창몸체(150)를 강하게 잡아 당겨 아래로 빼주게 되면 상기 슬롯장홈(152b)이 탄성적으로 오므려지면서 상기 고정턱(152a)이 상기 상부단턱(142)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탄성탈부착구(152)가 상기 힐굽몸체(141)에 형성된 상기 병목공간부(141c)로부터 간단하게 빠져 상기 굽창몸체(150)를 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굽창몸체(150)를 간단하게 상기 힐굽(140)에서 빼내 새로운 것으로 장착하거나 또는 필요한 해당 구성품을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여성용 정장구두와 같은 신발 뒤축에 구비된 힐굽은 그 몸체내부에 바닥면으로부터 삽입 설치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는 굽창몸체와 상기 굽창몸체의 내부 중앙에 상하 슬라이딩부재가 설치 고정되고 복수 개의 탄성부재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외측에 구비되는 굽창완충부재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굽창완충부재가 상기 굽창몸체의 내부에서 상하 슬라이딩되면서 하중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시 상기 굽창몸체는 물론 상기 굽창완충부재를 간편하게 분리하여 수리하거나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발의 내구성이 증대되고 경제성과 편의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100:탈장착이 간편하고 탄성력이 강화된 힐굽이 구비된 신발
110:갑피 120:안창 130:밑창
140:힐굽 141:힐굽몸체
141a:상부공간부 141b:하부공간부 141c:병복공간부
142:상부단턱 143:하부단턱
150:굽창몸체 150a:대경부 150b:소경부
151:힐굽보호턱 152:탄성탈부착구 152a:고정턱 152b:슬롯장홈
153:보강테부재 153a:상면보호부 153b:측면보호부
160:탄성스프링부재
170:안내로드 171:머리부 172:수나사부 173:가이드보호관
180:굽창완충부재 181:암나사부

Claims (2)

  1. 사람의 발을 수납하는 갑피와 상기 갑피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어 발바닥을 보호하는 안창 및 상기 안창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지면과 접촉하는 밑창으로 구성되고, 상기 밑창의 후면에는 사람의 뒤꿈치를 높여주는 동시에 하중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힐굽이 구비된 신발에 있어서,
    상기 힐굽은;
    상기 밑창의 후면 하부에 고정되어 지면과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부측 내면에 상부공간부와 하부측 내면에 하부공간부 및 이들 사이에 병목공간부가 연결 형성된 힐굽몸체와;
    상기 힐굽몸체의 하부측 내부로 삽입 설치되되, 그 하단부에는 상기 힐굽몸체의 하단부가 지면에 닿는 것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힐굽보호턱이 형성 구비되고, 상단부에는 탄성적으로 상기 병목공간부를 통해 상기 힐굽몸체의 내부 상단부에 삽입하여 장착하거나 잡아당겨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탈부착구가 형성 구비된 굽창몸체와;
    상기 굽창몸체의 하부측 내부로 삽입 설치되면서 그 내부에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스프링부재가 복수 개 삽입 설치되며, 상기 탄성스프링부재의 사이에는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는 안내로드가 고정 설치되는 굽창완충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굽창몸체의 하단부에 형성된 상기 힐굽보호턱에는 상기 힐굽보호턱이 마모 또는 파손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도록 보호하는 보강테부재가 더 구비하되, 상기 보강테부재는 상기 힐굽보호턱의 상부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면보호부와 상기 힐굽보호턱의 측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상면보호부의 모서리에서 하부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면보호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면보호부는 상기 힐굽몸체의 하단부 밑에 위치되는 탈장착이 간편하고 탄성력이 강화된 힐굽이 구비된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굽창완충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안내로드에 끼워 설치되는 가이드보호관이 더 구비되는 탈장착이 간편하고 탄성력이 강화된 힐굽이 구비된 신발.
KR1020150182825A 2015-12-21 2015-12-21 탈장착이 간편하고 탄성력이 강화된 힐굽이 구비된 신발 KR101673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825A KR101673422B1 (ko) 2015-12-21 2015-12-21 탈장착이 간편하고 탄성력이 강화된 힐굽이 구비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825A KR101673422B1 (ko) 2015-12-21 2015-12-21 탈장착이 간편하고 탄성력이 강화된 힐굽이 구비된 신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665 Division 2014-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318A KR20160005318A (ko) 2016-01-14
KR101673422B1 true KR101673422B1 (ko) 2016-11-08

Family

ID=55173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2825A KR101673422B1 (ko) 2015-12-21 2015-12-21 탈장착이 간편하고 탄성력이 강화된 힐굽이 구비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4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724B1 (ko) * 2018-10-16 2020-02-05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KR102070314B1 (ko) * 2018-10-26 2020-01-28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KR102067804B1 (ko) 2019-06-03 2020-01-17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451Y1 (ko) * 2005-05-18 2005-12-09 김말남 여성용 완충 신발
KR101019153B1 (ko) * 2010-10-12 2011-03-03 고종택 충격 완화용 신발
KR101201844B1 (ko) * 2012-09-17 2012-11-15 고종택 장착과 교체가 간편한 힐굽이 구비된 신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493Y1 (ko) 2005-05-24 2005-08-22 류상원 충격 흡수용 구두 뒷굽
KR200446957Y1 (ko) 2009-01-19 2009-12-11 장완순 충격흡수 기능을 갖춘 구두 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451Y1 (ko) * 2005-05-18 2005-12-09 김말남 여성용 완충 신발
KR101019153B1 (ko) * 2010-10-12 2011-03-03 고종택 충격 완화용 신발
KR101201844B1 (ko) * 2012-09-17 2012-11-15 고종택 장착과 교체가 간편한 힐굽이 구비된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318A (ko) 2016-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1844B1 (ko) 장착과 교체가 간편한 힐굽이 구비된 신발
KR101673422B1 (ko) 탈장착이 간편하고 탄성력이 강화된 힐굽이 구비된 신발
US8925218B2 (en) High-heeled shoe with exchangeable high-heels
KR100757206B1 (ko) 충격흡수용 구두
KR101382249B1 (ko) 착탈이 쉬운 충격완화 힐굽
KR101731627B1 (ko) 신발의 충격흡수장치
KR20110008815A (ko) 착탈 교체가 용이한 뒤축이 구비된 이중충격흡수용 신발
KR102070314B1 (ko)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KR102067807B1 (ko)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EP3747300A1 (en) Shoe with replaceable heel
KR101548623B1 (ko) 뒷굽 보강구조 신발
KR101206514B1 (ko) 완충성이 우수한 목발
US20190150561A1 (en) Shoe sole comprising injected bars
KR101079709B1 (ko) 충격 흡수용 구두의 뒷굽
CN211354067U (zh) 防击穿水鞋
KR102067804B1 (ko)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ITPD20110384A1 (it) Reggiciclo a lunghezza regolabile perfezionato
KR102106932B1 (ko)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KR100989074B1 (ko) 탈부착형 완충부재를 구비한 신발
KR20180055769A (ko) 높이 조절 구두 굽, 이를 구비한 구두 및 이의 사용 방법
CN201022397Y (zh) 弹性高跟鞋
KR102073724B1 (ko)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KR101840945B1 (ko) 높이 조절 구두 굽, 이를 구비한 구두 및 이의 사용 방법
CN218044039U (zh) 一种童鞋加工用防偏移的上胶装置
KR102059159B1 (ko) 충격을 완화해 주는 하이힐 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