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957Y1 - 충격흡수 기능을 갖춘 구두 굽 - Google Patents

충격흡수 기능을 갖춘 구두 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957Y1
KR200446957Y1 KR20090000634U KR20090000634U KR200446957Y1 KR 200446957 Y1 KR200446957 Y1 KR 200446957Y1 KR 20090000634 U KR20090000634 U KR 20090000634U KR 20090000634 U KR20090000634 U KR 20090000634U KR 200446957 Y1 KR200446957 Y1 KR 2004469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el
body portion
guide shaft
lower body
vac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006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완순
Original Assignee
장완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완순 filed Critical 장완순
Priority to KR200900006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9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9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9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02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1/0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rubb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26Resilient hee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0Heels with met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3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 A43B21/38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by screws only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충격 흡수 기능을 갖춘 구두 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굽이 높은 여성용 구두(하이힐:High-heeled Shoes)의 굽에 있어서, 보행 중 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구두 굽에 개재된 탄성수단을 이용, 흡수하여 트램펄린(trampoline:스프링이 달린 탄력 있는 캔버스로 이루어진 도약용 운동기구) 효과와 근골격계에 전해지는 여러 피로들을 감쇄시키고, 착지 시 착용자의 발뒤꿈치를 낮추는데 도움을 주어 자연적 보행의 푸트 앵글(Foot angle)과 정상 보행 패턴에 접근시킴으로써, 보행 시 또는 장시간 착화시의 피로 및 불편함을 최소화 시켜주도록 고안된 충격 흡수 구조를 갖춘 구두 굽에 관한 것이다.
충격흡수 기능을 갖춘 구두의 굽에 있어서, 상기 굽(200)은 기능적으로 상단몸체부(210), 중단몸체부(220), 하단몸체부(230)의 3개 부분으로 나뉘어져,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굽의 상단몸체부(210)는 구두 본체(100)의 후부 저면에 부착 고정되어 굽(200)을 지지·구성하는 기본 골격 역할을 하고,
상기 굽(200)의 중단몸체부(220)는 상단몸체부(210)의 하측과 하단몸체부(230)의 상측 사이에 외부면이 폐쇄되고 내부는 상하로 개구된 신축성 있는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굽(200)의 하단몸체부(230)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수단은 하단몸체부(230)의 구성체인 하단몸체(231) 내에 공실(231a)이 있어, 상기 공실(231a) 내에 상하 방향으로 작동하며 헤드(232a)와 축(232b)으로 이루어진 안내축(232)을 삽입하되, 이 안내축(232)의 헤드(232a)는 공실(231a) 내에 있고, 축(232b) 부분은 상기 하단몸체(231)의 안내구멍(231c)을 통하여 상측 외부로 노출되어 중단몸체부(220)의 개구된 내측부를 통과하여 상단몸체부(210)와 직접 고정 결합함으로써 상단몸체부(210)와 하단몸체부(230)의 안내축(232)이 일체로 작동하고, 상기 공실 내의 안내축(232) 하부에는 압축코일스프링(233; 이하 스프링이라 칭함)을 개재해 탄성수단을 마련하며, 상기 하단몸체(231) 저면에는 공실(231a) 내에 개재된 안내축(232) 및 스프링(233)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소정의 밑창(234)을 나사(235)로 체결 하는 구조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굽에 관한 것이다.
충격 흡수용 구두 굽, 여성용 완충 구두 굽, 탄성 수단, 스프링, 기능성 구두 굽

Description

충격흡수 기능을 갖춘 구두 굽{THE HEEL WITH FUNCTION OF SHOCK ABSORPTION}
본 고안은 구두 굽에 완충수단을 설치해 보행시의 충격을 흡수, 완화 시키는 구두 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구두 굽, 특히 굽이 높은 여성용 구두(하이힐:High-heeled Shoes) 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에 있어서 뒤꿈치의 착지 시에 지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뒤꿈치의 지면 이상(이탈) 시 흡수·저장된 에너지를 보행에 필요한 유효에너지로 리턴 시켜주어 보행에 도움을 주게 하는 충격 흡수 기능을 갖춘 여성용 구두 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두의 굽은 그 높이가 3~5cm 정도가 적정하며, 그 이상이 되면 인체에 무리를 주는 것으로 의학계에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구두가 키가 커보이게 하거나 패션(Fashion)등의 이유에 의해, 여성들로 하여금 구두 굽의 높이를 높여 신음을 강요하면서, 그에 대한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인체의 기본적인 보행을 연구해 보면 보행은 발뒤꿈치가 접지되는 시기, 발바닥 전체가 접지되는 시기, 발뒤꿈치가 지면으로부터 이상되는 시기, 뒷방향으로 지면을 밀치는 시기의 4단계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져야만 균형적인 보행이 이루어진다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굽이 높은 여성용 구두(High-heeled Shoes) 굽은 목재나 수지의 단단한 재질로 되어 있어, 보행 시 지면과 부딪히는 충격으로 발목, 무릎 등의 근골격계 전반에 무리를 주어 에너지 소모 및 근육 피로도가 증가시키며, 또한 적정 높이 이상의 굽 높이는 착용 후 전족부 및 발의 볼에 과도한 부하를 줌으로써 발모양 기형 및 척추의 이상이 발생할 수 있고, 보행 중 보행 동작이 자연적 걸음걸이의 푸트 앵글(Foot angle) 패턴과 정상적인 보행 패턴에 멀어진 부자연스런 보행을 초래하여, 인체의 균형을 저해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들을 갖고 있는 종래의 일반적인 여성용 구두 굽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두(갑피와 중창이 접착된 상태)의 후방 저면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굽이 부착되며, 상기 굽의 저면에는 마모 시 교체하는 밑창이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밑창과 굽은 주로 경질의 합성수지 재로 마련되어 장기간 착화 보행 시, 피로는 물론 지면과의 접촉에 의한 충격이 그대로 발에 전달되어 족저업이 상승하고 근육 및 관절계 질환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몇 가지 종래의 기술 중에 굽 내부에 고무 등의 일반 탄성부재를 삽입하거나, 스프링 류를 개재해 적용된 예가 있었다.
본 고안과 대비되는 종래의 구두굽 구조에는 실용신안 제0403451호(2005년 12월 05일 등록, 고안의 명칭 : 여성용 완충신발)가 있다.
상기 실용신안 제0403451호는 여성용 완충 신발에 관한 것으로, 그 굽이 신발의 저면 후단에 부착 고정되되 적정 높이로 구비되어 굽 역할을 하며, 보행 시 뒤꿈치에 가하지는 충격을 탄성력에 의해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수단은, 상부가 막히고 하부가 개구된 통 형상으로 대향된 둘레면 상단에 직립된 안내구멍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안내구멍의 상하면에 완충부재가 각각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적정 높이만큼 승강할 수 있도록 그 안내구멍의 내부에 위치되는 핀 형상의 걸림돌기가 외주면 상단에 대향된 상태로 각각 마련되는 파이프 형상의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내주면 하단에 고정되며, 상단은 개구되고 하단은 막힌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재; 상기 하우징내 천장과 고정부재내 바닥면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완충 신발에 관한 것이다.
도 2~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완충신발의 구조를 살펴보면, 신발 갑피부(110, 이하 ‘신발’ 이라함)의 저면 후단에 굽 역할을 하되 적정 높이를 갖으면서 하부가 부분 승강되도록 구비되는 완충수단(120)이 마련되며, 상기 신발(110)의 저면 선단과 완충수단(120)의 저면에 밑창(110a, 120a)이 각각 고정된다.
상기 완충수단(120)은 도 3,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2)과, 승강부재(132)와, 고정부재(138)와, 탄성부재(140)와, 가이드 볼(B)과, 이탈방지부재(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22)은 다각통 또는 원통 형상으로 상단은 막히고 하단은 개구되며, 상기 하우징(122)의 상면에는 상기 신발(110) 바닥에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볼트(Bolt)인 체결부재(124)가 고정되고, 둘레면 중 전후면에는 대향된 상태로 안내구멍(126)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구멍(126)은 그 상면과 저면에 각각 대향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그 홈에 고무재인 완충부재(126a)가 각각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22)의 천장에는 중앙에 원형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원판 형상인 완충부재(122a)가 부착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22)의 내주면에는 그 안내구멍(126)과 겹치지 않으면서 수직 방향으로 직립 형성되는 음각 형태인 다수개의 내부 홈(128)이 하우징(122)의 저면에서 적정 높이까지 각각 연통 형성되되 상기 내부 홈(128)은 그 단면 형상이 반원 형상으로 90°씩 4지점에 마련된다.
상기 승강부재(132)는 다각형 또는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하우징(122)의 내부에서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수용되며, 그 둘레면 상단에 핀(Pin) 형태의 걸림돌기(136)가 대향되게 구비되고 그 걸림돌기(136)가 하우징(122)의 안내구멍(126)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안내구멍(126)을 따라 승강부재(132)의 걸림돌기(136)가 이탈 없이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132)는 그 내주면에 하우징(122)의 내부 홈(128)과 대향되는 음각의 외부 홈(134)이 각각 마련되며, 그 외부 홈(134)은 그 단면 형상이 반원 형상으로 90°씩 4지점에 마련되어 상기 내부 홈(128)과 외부 홈(134)을 근접되게 위치시켰을 때 원통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 홈(134)도 승강부재(132)의 저면에서 적정 높이만큼 연통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안내구멍(126)은 그 내부에 위치되는 걸림돌기(136)에 의해 승강부재(132)의 상하 이동시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부재(138)는 그 상단이 개구되고 하단이 막힌 다각통 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승강부재(132)의 형상에 따라 바뀔 수 있으며, 상기 승강부재(132)의 내주면 하단에 작은 나사로 위치 고정된다.
상기 탄성부재(140)는 상기 하우징(122)의 천장과 고정부재(138)와의 바닥면에 개재되며, 고무재 또는 압축 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140)가 하우징(122)과 고정부재(138)의 내부에서 압축된 상태로 구비되어 지면에 닿는 순간부터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이 가해져 그 승강부재(132) 및 고정부재(138)를 감속시킨다.
상기 밑창(120a)은 고무재로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재(138)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되 적정 두께를 갖고 마모시 교체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138)에 다수개의 작은 나사로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구두(110)에 완충수단(120)을 고정할 때에는 이 완충수단(120)의 상면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볼트인 체결부재(124)를 구두(110)의 저면후단에 형성되는 구멍 각각에 끼워 넣은 다음 끼움부재(114)를 체결부재(124)상에 위치시키고 체결부재(124)인 너트(Nut)로 체결한 후 안창(112)을 부착하여 마무리한다.
상기 가이드 볼(B)은 금속재로 상기 하우징(122)의 내부 홈(128)과, 승강부재(132)의 외부 홈(134)에 양 측면이 점 접촉에 의해 접한 상태로 지지될 수 있게 다수개가 개재된다.
즉, 상기 내부 홈(128)과 외부 홈(134)을 서로 근접하게 위치시키면 그 형상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가이드 볼(B)을 삽입하면 상기 가이드 볼(B)의 회전과 함께 승강부재(132)가 승강하여 상기 승강부재(132)에 진동과 소음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130)는 상기 내부 홈(128)과 외부 홈(134)에 개재된 가이드 볼(B)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하우징(122)의 저면에 다수개의 볼트로 체결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실용신안 제0403451호 ‘여성용 완충 신발’의 완충수단 작동 상태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에 신발(110)을 착용한 상태에서 굽 역할을 하도록 완충수단(120)을 구비하되 상기 완충수단(120)의 저면에 부착된 밑창(120a)이 지면에 닿으면 상기 하우징(122)과, 승강부재(132)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38)와의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140)가 압축되면서 이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부재(132)의 상승 속도가 감속되되 상기 승강부재(132)의 걸림돌기(136)가 하우징(122)의 안내구멍(126)을 따라 저속으로 상승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며 상기 지면에 닿은 발을 띄우면 압축된 탄성부재(140)의 탄 성력에 의해 승강부재(132)가 원위치로 복귀하므로 지면 충격이 발에 전달되지 않고 감쇄하게 하고 있다.
또한, 본 고안과 대비되는 종래의 또다른 형태의 기술은 실용신안 제0393493호(2005년 08월 16일 등록, 고안의 명칭 : 충격 흡수용 구두 굽)가 있다.
이 실용신안 제0393493호는 구두 굽으로 부착되는 밑창이 유압의 압력에 의해 높은 쿠션력을 가지게 되면서, 보행 시 발목과 무릎으로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 시킬 수 있는 충격 흡수용 구두 굽을 제공하기 위해 고안되어진 것이다.
도 6,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구두 굽의 구조를 살펴보면, 내부에 2단 직경의 제1 구멍과 제2 구멍을 갖춘 굽(10)이 구비되고, 중앙에 구멍(25)을 관통하고 있으며 상기 제1 구멍과 제2 구멍 사이에 끼워지는 고정체(24)와, 상기 구멍으로 끼워져 수직으로 작동하는 샤프트(22)의 하단부에는 밑창(20)이 부착되며, 상기 샤프트의 상단부에는 양측으로 체크밸브와 미세구멍을 가지고 있는 피스톤(30)이 부착되고,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 탄성수단이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두(1)의 저면 후방부로 부착되는 굽(10)은 내부 중앙으로 2단 직경의 제1 구멍(12)과 제2 구멍(14)이 수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구멍(12)과 제2 구멍(14) 사이에는 중앙에 시일 링(26)이 삽입되면서 내외부를 밀폐시키며 저면에는 스톱링(27)에 의해 고정된 고정체(24)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체(24)에는 중앙으로 구멍(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25)으로 끼워져 수직으로 작동하는 샤프트(22)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샤프트(22)의 상단부에는 양측으로 체크밸브(34)와 미세구멍(36)을 가지고 있는 피스톤(30)이 장착되면서 제1 구멍의 상부와 하부를 제1 공간부(12a)와 제2 공간부(12b)로 분리시키고 있고, 상기 제1 공간부(12a)와 제2 공간부(12b)에는 유체가 충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30)의 외측둘레를 따라 시일 링(32)이 장착되어 기밀을 유지시킨다.
한편 전술한 미세구멍(36)은 밑창에 의해 피스톤(30)이 상승하게 될 때, 제1 공간부(12a)에 있는 유체가 아래의 제2 공간부(12b)를 통해 이동될 수 있게 하면서 밑창(20)이 천천히 상승할 수 있게 하며, 전술한 체크밸브(34)는 밑창이 하강할 때 제2 공간부(12b)의 유체를 위의 제1 공간부로 빠르게 이동시켜 피스톤(30)을 신속 히 복귀시키게 된다.
다음, 제1 공간부(12a) 즉, 피스톤(30)의 상부에는 소정의 탄성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수단으로는 코일형 스프링(28)이 굽의 제1공간부 상면과 피스톤(30)의 상면 사이에 탄지된 것으로 피스톤 상면을 탄성적으로 밀게 된다.
이후, 전술한 샤프트(22)의 하단부에는 제2 구멍(14) 내부를 수직으로 작동하는 밑창(20)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밑창(20)은 교체하기 용이하도록 나사결합 혹은 기타 결합수단으로 탈부착을 용이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실용신안 제0393493호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발을 지면에 디디게 되면 밑창(20)이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서 피스톤(30)이 상부로 작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1 공간부(12a)는 압착되면서 내부의 유체가 미세구멍(36)을 통해 아래로 조금씩 이동되고 전술한 밑창은 천천히 상승하게 되면서 지면과의 접촉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킨다.
다음, 지면에서 발을 떼게 되면 탄성수단 즉, 스프링(28)의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 및 밑창은 아래로 작동하게 되고 제2 공간부(12b)의 유체는 체크밸브(34)를 통해 신속하게 제1 공간부(12a)로 이동되면서 밑창(20) 등은 신속하게 원위치로 복귀되고 연속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도 2,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용신안 제0403451호는 신발 저면 후단에 부착되는 신발 굽의 상단부의 내측에 공실을 두어 하우징을 만들고, 그 하우징 내벽을 안내면으로 하여 승강부재가 상하 유동되며, 하우징과 승강부재 사이에 탄성체(스프링 등)를 개재하여 고안의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고안에서 규정했듯이 구두 굽으로서의 형태가 원형 및 다각형으로 규정될 수밖에 없는 외형적 한계와 실제 제품을 구성할 시 하우징(굽 상단부에 해당)의 내벽을 따라 승강부재(굽 하단부에 해당)가 상하를 슬라이딩하여(마치 안테나의 슬라이딩 구조처럼) 움직이게 되는데, 이는 특이한 형태의 굽 모양으로 제품 외관이 수려하지 않을 뿐 아니라, 오염 지역 보행 시, 또는 장기간 사용 시, 하우징 내벽과 승강부재 외벽사이의 미세 공간으로 더스트(dust), 이물질 등이 낌으로 해서 제품으로서의 완성도가 미흡하다.
또한 신발의 굽[완충수단(120)에 해당]을 신발 갑피부(110)의 후부 저면에 부착 시(조립 제조 시) 이 완충수단(120)의 상면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볼트인 체결부재(124)를 구두(110)의 저면후단에 형성되는 구멍 각각에 끼워 넣은 다음 끼움부재(114)를 체결부재(124)상에 위치시키고 체결부재(124)인 너트(Nut)로 체결한 후 안창(112)을 부착한다 하였으나, 이는 실제 생산 및 조립 공정에 대한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그리고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용신안 제0393493호는 상기 실용신안 제0403451호와 구조적으로 유사성(2단 상하 슬라이딩 방식)을 가지고 있으나, 내부 에 유압 구조를 적용하여 좀 더 차별성을 주어 복잡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구조는 오히려 상기 실용신안 제0403451호에서 서술된 문제점을 모두 내포함과 동시에 복잡한 구조로 인한 생산 조립성과 유압이 새지 않게 하려면 열 변형이 적은 스틸(steel)구조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며, 이는 신발 굽의 무게가 많이 무거워 질 우려가 있다.
이후,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과 유사한 몇 가지 고안들이 있었으나, 모두 기구적 신뢰성과 생산 공정에 대한 고찰들이 결여된 바, 제품의 완성도가 미흡하다.
본 고안은 상술된 종래의 구두 굽, 특히 굽이 높은 여성용 구두(High-heeled Shoes) 굽이 목재나 수지의 단단한 재질로 되어 있어, 보행 시 지면과 부딪히는 충격으로 발목, 무릎 등의 근골격계 전반에 무리를 주어 에너지 소모 및 근육 피로도가 증가시키며, 또한 적정 높이 이상의 굽 높이는 착용 후 전족부 및 발의 볼에 과도한 부하를 줌으로써 발모양 기형 및 척추의 이상이 발생할 수 있고, 보행 중 보행 동작이 자연적 걸음걸이의 푸트 앵글(Foot angle) 패턴과 정상적인 보행 패턴에 멀어진 부자연스런 보행을 초래하여, 인체의 균형을 저해하고 있는바,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충격흡수 기능을 갖춘 구두의 굽에 있어서, 상기 굽(200)은 기능적으로 상단몸체부(210), 중단몸체부(220), 하단몸체부(230)의 3개 부분으로 나뉘어져,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굽의 상단몸체부(210)는 구두 본체(100)의 후부 저면에 부착 고정되어 굽(200)을 지지·구성하는 기본 골격 역할을 하고,
상기 굽(200)의 중단몸체부(220)는 상단몸체부(210)의 하측과 하단몸체부(230)의 상측 사이에 외부면이 폐쇄되고 내부는 상하로 개구된 신축성 있는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굽(200)의 하단몸체부(230)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수단은 하단몸체부(230)의 구성체인 하단몸체(231) 내에 공실(231a)이 있어, 상기 공실(231a) 내에 상하 방향으로 작동하며 헤드(232a)와 축(232b)으로 이루어진 안내축(232)을 삽입하되, 이 안내축(232)의 헤드(232a)는 공실(231a) 내에 있고, 축(232b) 부분은 상기 하단몸체(231)의 안내구멍(231c)을 통하여 상측 외부로 노출되어 중단몸체부(220)의 개구된 내측부를 통과하여 상단몸체부(210)와 직접 고정 결합함으로써 상단몸체부(210)와 하단몸체부(230)의 안내축(232)이 일체로 작동하고, 상기 공실 내의 안내축(232) 하부에는 압축코일스프링(233)을 개재해 탄성수단을 마련하며, 상기 하단몸체(231) 저면에는 공실(231a) 내에 개재된 안내축(232) 및 압축코일스프링(233)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소정의 밑창(234)을 나사(235)로 체결하는 구조로 구성하여 종래의 불편하고 유해한 여성용 구두 굽을 대체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충격 흡수 구조를 갖춘 여성용 구두 굽은 보행 중 뒤꿈치의 지면 접지 시기(착지 시)에 발목, 무릎 및 근골격계 전반에 가해지는 충격을 구두 굽 내에 개재된 탄성수단인 스프링에서 흡수하여 부하를 분배하고, 동시에 뒤굽 접지 시기 동안 착용자의 발뒤꿈치를 낮추는데 조력하여 안정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착용자의 정상 보행 패턴에 접근한다. 또한 뒤꿈치의 지면 이상 시 상기 스프링에 흡수·저장되었던 에너지를 보행 시 필요한 유효에너지로 리턴(Return) 시켜주어 보행에 도움을 주게 하는 충격 흡수 구조를 갖춘 여성용 구두 굽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일반 구두 굽에 비해 좀 더 편안하며, 착용자의 에너지 소모 및 근육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보행 시 자연스런 보행을 유도함으로써 인체의 균형을 바로잡는데 도움을 준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구두 굽 특히 굽이 높은 여성용 구두(하이힐:High-heeled Shoes)의 굽에 있어서, 상기 굽은 기능적으로 크게 상단몸체부, 중단몸체부, 하단몸체부의 3개 부분으로 나뉘어져,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좀 더 자세히는 상기 굽의 상단몸체부는 구두 본체의 후부 저면에 부착 고정되되, 적정 높이로 구비되어 굽을 지지·구성하는 기본 골격 역할을 하고, 외형적으로 보면 상기 상단몸체부의 하측으로 중단몸체부가 결합되며, 중단몸체부 하측으로 다시 하단몸체부가 차례로 구성된다.
상기 굽의 하단몸체부는 하단몸체부, 안내축, 탄성수단인 압축코일스프링(이하 스프링이라 칭함), 그리고 밑창 등으로 구성되고, 보행 시 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탄성력에 의해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수단은 하단몸체 내부에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구되며 상부 폐쇄부에는 안내축의 축 단면보다 넓은 안내구멍이 형성된 공실이 있어, 공실 내부에는 내측에서 상부의 안내구멍으로 통과시켜 조립된 안내축이 구비되고, 그 안내축은 소정의 길이와 단면을 갖춘 축으로서, 그 하단부는 축단면 보다 넓고 공실 내부 단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춘 일정 두께의 헤드를 갖고 있다.
상기 안내축 헤드의 하측으로 탄성수단인 스프링을 개재해 착지 시 몸의 하중으로 인해 발생하는 충격을 상기 스프링에서 흡수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하단몸체 저면에는 공실 내에 개재된 스프링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일정 두께의 밑창이 부착, 고정되며 상기 밑창은 구두 굽이 마모 시, 교체할 수 있도록 나사로 체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조립된 상기 안내축의 축 부분은 하단몸체부 상측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헤드는 공실 내측에 위치되어 있어, 안내축이 외부에서 하중을 받으면 안내축 헤드 하측으로 개재된 탄성 수단(스프링)으로 인해 안내축은 소정의 행정거리 만큼을 상하 작동 한다.
이후 상기 안내축의 상면은 상기 상단몸체부의 저면에 직접 고정 결합됨으로써 보행의 뒤꿈치 착지 단계에서 몸의 하중이 발뒤꿈치에서 상기 굽으로 전달될 때, 상 기 하단몸체부가 지면에 접지되어 기준이 되면 상기 상단몸체부와 하단몸체부의 안내축이 일체로 하강 작동되고 있다.
또한 보행의 뒤꿈치 이상 시기에서는 상기 하단몸체의 공실 내에 개재된 스프링이 이완되면서 하강되었던 상단몸체부와 안내축이 원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굽의 중단몸체부는 다시 중단몸체와 조립안내판으로 구성되고, 상단몸체부와 하단몸체부의 결합 시, 그 사이에 상기 굽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의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게 하고 그 외부면은 폐쇄되고 내부는 상하로 개구되며, 상기 상단몸체부와 하단몸체부의 결합 후, 하단몸체부의 상측으로 노출된 안내축의 축 부분을 차폐하는 역할과 보행 시 상단몸체부가 몸의 하중으로 인해 하단몸체부에 설치된 안내축 및 탄성수단과 연계 작용하여, 스프링이 신축됨에 따라 하단몸체부를 기준으로 상단몸체부와 안내축이 일체로 상하 작동 시 발생된 변위량을 탄성의 재질에서 흡수하여 굽이 기구적으로 상하 신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여성용 구두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충격 흡수 구조를 갖춘 여성용 구두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충격 흡수 구조를 갖춘 여성용 구두 굽의 일실시 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충격 흡수 구조를 갖춘 여성용 구두 굽의 일실시 예에 대한 구조 분리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충격 흡수 구조를 갖춘 여성용 구두 굽의 일실시 예에 대한 구조 분리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충격 흡수 구조를 갖춘 여성용 구두 굽의 일실시 예를 보여주는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15는 상기 충격 흡수 구조를 갖춘 여성용 구두 굽의 일실시 예에 대한 상·중·하부를 구조적으로 나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6는 도 15에서 상·중·하부를 구조적으로 나뉜 분리 단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충격 흡수 구조를 갖춘 여성용 구두 굽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한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충격 흡수 구조를 갖춘 여성용 구두 굽의 일실시 예에 대한 작동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고안의 충격 흡수 구조를 갖춘 여성용 구두 굽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일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 도 10,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구두 본체(100)의 후부 저면에 부착되는 상기 굽(200)은 기능적으로 크게 상단몸체부(210), 중단몸체부(220), 하단몸체부(230)의 3개 부분으로 나뉘어져,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다시 도 11, 도 12, 도 13, 도 14,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굽(200)의 상단몸체부(210)는 구두 본체(100)의 후부 저면에 직접 부착 고정되되 적정 높이로 구비되어 굽(200)을 지지·구성하는 기초 골격 역할을 하고, 상기 상단몸체(211)의 저면에 후술될 하단몸체부(230)가 조립되기 위한, 즉 하단몸체부(230)의 구성요소인 안내축(232)이 대응될 결합홈(211a)이 있어, 상기 안내축(232)의 축(232b) 상면부가 결합홈(211a)에 결합되어 상기 상단몸체(211)의 상면에 결합홈(211a)과 일직선상에 형성된 조립구멍을 통하여 (안내축) 조립나사(212)로 체결되도록 이루어져 있고, 또한 후술할 중단몸체부(220)의 조립안내판(222)이 조립 시 안착되도록 하기위한 조립안내홈(211b)이 갖추어져있다.
상기 굽(200)의 중단몸체부(220)는 중단몸체(221)와 조립안내판(222)으로 구성되며, 중단몸체(221)는 외부면은 폐쇄되고 소정의 두께를 갖으며 내부는 상하로 개구된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게 하되, 상기 중단몸체(221)의 하측 저면은 후술될 하단몸체부(230)가 조립되기 위한 안착홈(221a)과 스토퍼 역할을 하는 가림막(221f)을 갖으며, 상기 가림막(221f)에는 하단몸체부(230)의 안내축(232)과 일직선상에 안내축(232)의 축(232b)경보다 넓은 배출구멍(221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단몸체(221)의 상측으로도 개구된 부분에 일정 높이로 안착부(221e)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안착부(221e)에 조립안내판(222)이 부착됨으로서 중단몸체부(220)를 형성한다. 상기 조립안내판(222)은 중단몸체부(220)를 상단몸체부(210)에 조립 시 상단몸체(211)의 저면 결합홈(211b)에 결합이 용이 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상술된 구조와 재질은 착지 시 상단몸체부(210)가 몸의 하중으로 인해 하단몸체부(230)에 설치된 안내축(232) 및 스프링(233)과 연계 작용하여, 스프링(233)이 신축됨에 따라 하단몸체부(230)를 기준으로 상단몸체부(210)와 안내 축(232)이 일체로 상하 작동 시 발생된 변위량을 탄성의 재질에서 흡수하여 굽(200)이 기구적으로 상하 신축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중단몸체(221)의 재질은 신축이 용이한 유연성과 인장·압축강도가 우수하고 내열 및 내후성과 타 수지와의 접착성이 좋은 물리적 성질을 가지며, 탄성을 가진 고무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TPU), 열가소성 고무(Thermoplastic Rubber,TPR) 로부터 선택적으로 구성하고, 그 외형적 형태는 상하 변위에 대한 신축에 유리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본 일실시 예에서는 상기 중단몸체(221)의 외부면(221c)은 주름관(bellows)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중단몸체(221)의 내부면(221d)은 내측 중심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를 만들어 신축 시 변위의 흡수, 즉 굽힘이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도 17을 참조하여, 상기 중단몸체(221)의 외형적 형태는 본 일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신축에 유리도록 다양한 변형적 실시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굽(200)의 하단몸체부(230)는 하단몸체(231), 안내축(232), 스프링(233) 및 밑창(234) 등으로 구성되어지고, 보행 시 뒤꿈치에 가하지는 충격을 탄성력에 의해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수단은 하단몸체(231)의 내부에 공실(231a)이 있어, 공실(231a)의 상부 천장면은 폐쇄되고, 하부 바닥면은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천장면 중앙에 안내축(232)의 축(232b)경보다 약간 큰 안내구멍(231c)이 있어, 공실 내에서 상기 안내구멍(231c)으로 끼워져 상하로 작동되는 안내축(232)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안내축(232)은 적정 길이와 소정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 일실시예에서는 원형 단면인; 축(232b)과 상기 축(232b)의 최하단부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하단몸체(231) 내부 공실(231a)의 상부 천장면에 뚫린 안내구멍(231c)보다 더 넓고, 상기 하단몸체(231) 공실(231a) 내벽(231b)의 단면 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춘 헤드(232a)가 있어, 상기 하단몸체(231) 공실(231a) 내측에서 천장면의 안내구멍(231c)으로 끼워진 안내축(232)이 후술할 안내축(232) 하단부로 개재된 스프링(233)의 압력으로 인해 상측으로 힘이 작용될 시 상기 하단몸체(231) 공실(231a) 내에서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 안내축(232)의 상부면에는 축(232b) 중심에 상기 굽(200)의 상단몸체부(210)의 결합홈(211a)에 조립하기 위한 고정용 나사부(232c)가 형성되어 있고, 축(232b)의 상측 일부 면에 면치(D-컷팅)를 하여 조립 후 축이 좌우로 유동하거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다음, 하단몸체(231) 공실(231a) 내부 즉, 안내축(232)의 하부에는 일렬 이상의 소정의 탄성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수단은 스프링(233)이 공실(231a)내 조립된 안내축(232)과 후술할 밑창(234) 사이에 개재된 것으로서, 하단몸체(231) 저면에 부착, 고정된 밑창(234) 상면을 기준으로 안내축(232) 하부 헤드(232a) 면을 서로 다른 수직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밀어주게 됨으로써, 보행 중 상기 굽(200)의 지면 접지 시와 지면 이상 시에 몸의 하중으로 인해 스프링(233)이 압축과 이완을 반복하고, 상기 굽(200)의 상단몸체부(210)와 하단몸체부(230)가 서로 연동하여, 보행 시 몸의 하중으로 인해 구두 굽(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며, 또한 흡수된 에너지를 다시 리턴(Return)시켜 주는 역할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도 17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탄성수단인 스프링(233)이 상기의 하단몸체(231)의 공실(231a) 내에 설치되지 않고, 상기 상단몸체부(210)와 하단몸체부(230) 사이에 설치되되, 하단몸체(230)의 상부 외측으로 노출된 안내축(232)의 축(232b)에 끼워져 중단몸체부(220)의 내측 개구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도록 변형 실시함으로써 상기의 본 고안의 기능과 동일한 결과를 얻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단몸체(231)의 상부면은 중단몸체부(220)의 하측 안착홈(221a)과 결합되는 조립안내돌기(231d)가 형성되고 하단몸체(230)의 공실(231a) 내벽(231b)의 단면 형상은 안내축(232) 하단 헤드(232a)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며, 조립 시 안내축 헤드(232a) 외주면과 공실의 내벽(231b) 면은 끼워맞춤 규격이 ‘KS B 0401’에서 규정한 ‘헐거운 끼워 맞춤’ 정도의 공차로 형성하여 안내축(232)이 공실 내벽(231b) 면을 따라 상하로 수직이동 시 공차내의 범위 내에서 상호간에 수직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 하단몸체(231) 하부 저면에는 후술할 밑창(234)을 부착 고정할 수 있는 나사부(231e)가 형성된다.
이후, 즉 상기 안내축(232)과 스프링(233)이 하단몸체(231)의 공실(231a)에 삽설된 후, 하단몸체(231)의 저면에는 적정 두께의 밑창(234)이 부착된다. 상기 밑창(234)은 안내축(232)과 스프링(233)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과 구두의 장기 착화 시 마모된 밑창이 교체가 용이하도록 2개소 이상의 나사(235) 결합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본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밑창(234) 저면으로 고정한 나사(235)를 커버하기 위해 나사 조립 홀에 나사 커버 피스(236)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도 18을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조립된 상기 안내축(232)의 축(232b) 부분은 하단몸체(231) 상측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헤드(232a)는 공실(231a) 내측에 위치되어 있어, 안내축(232)이 외부에서 하중을 받으면 안내축 헤드(232a) 하측으로 개재된 스프링(233)으로 인해 안내축(232)은 상기 하단몸체(231) 공실(231a) 상부 천장면부터 상기 밑창(234) 사이를 소정의 행정거리 만큼을 상하 작동 한다.
여기에서 상기의 상단몸체(210), 하단몸체(230) 및 밑창(234)의 재질은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된 경도가 높은 목재 또는 수지 계열이 적절하고 상기 나사 커버 피스(236)는 단단하고 내식성이 강한 고무 계열의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12, 도 14, 도 18을 참조하여, 상기 완충수단을 기구적으로 살펴보면 안내축(232)이 상방향으로부터 하중을 받으면 그 하중으로 인해 안내축(232)은 하방향으로 작용하고 상기 안내축(232)은 실린더 내의 피스톤과 같이 안내축 헤드(232a)의 외주면이 상기 하단몸체(231) 공실(231a) 내벽(231b) 면을 내접하여 작동하며 안내축 헤드(232a)의 하측으로 개재된 스프링(233)이 압축되면서 쇼크압소버(Shock absorber)와 같은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안내축(232)이 상방향으로부터 받은 하중이 해제되면 안내축 헤드(232a)의 하측으로 개재된 스프링(233)은 원상태로 회복(이완)되면서 하측으로 이동되었던 안내축(232)은 원위치를 찾게된다
이와같이 안내축(232)은 스프링(233)에 의해 상하 작용을 반복하며 본 고안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을 지닌 본 고안은, 상단몸체부(210)와 하단몸체부(230)가 안내축(232)을 매개로 직접적으로 결합됨으로써 본 고안에서 제안된 충격흡수 기능은 구현되고 있으며, 중단몸체부(220)는 상기 상단몸체부(210)와 하단몸체부(230)의 사이에 외부로 노출된 안내축(232)의 결합부를 커버해 주어 외관상 굽(200)의 외형적 형태가 종래의 일반 굽과 차별되지 않도록 하는 중간 연결부의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상기 하단몸체부(230)의 안내축(232)은 구조적으로 하단몸체부(230)에 구성되어 있으나, 기능적으로 보면 상단몸체부(210)의 저면에 직접적으로 고정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단몸체부(210)의 승하강 작동 시 하단몸체부(230)의 공실(231a) 내벽(231b)과 상측부 안내구멍(231c)을 경로로 하여, 수직으로 상기 상단몸체부(210)와 일체로 작동하게 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고안의 충격흡수용 구두 굽(200)을 갖춘 여성용 구두를 착용하고 자연스런 보행을 할 때, 착지 시 가장 먼저 상기 굽(200)의 하단몸체부(230)가 지면에 닿고, 상기 접지된 하단몸체부(230)를 기준으로 상기 상단몸체부(210)가 신체의 하중으로 인해 그 압력이 지면 방향(하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상단몸체부(210)에 전달되는 지면 방향(하 방향) 압력은, 상단몸체부(210)의 저면에 고정 결합되어 상단몸체부(210)와 일체로 작동되는 안내축(232)이 상기 하단몸체부(230) 공실(231a) 내측에서 안내축 헤드(232a) 하단에 개재된 탄성수단, 즉 스프링(233)을 압축하고, 상기 스프링(233)에서 신체의 하중이 지면으로 작용하는 직압력과 지면과의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완화 시켜준다.
또한 반대로 착용자가 보행에 있어서, 뒤꿈치의 지면 이상(이탈) 시에는 상기 탄성수단인 스프링(233)에 흡수·저장된 에너지를 보행에 필요한 유효에너지로 리턴(Return) 시켜주어 보행에 도움을 주게 하여, 본 고안의 충격 흡수 기능을 갖춘 여성용 구두 굽의 기능을 실현 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여성용 구두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도 3, 도 4 및 도 5는 종래의 여성용 완충 신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도 7 및 도 8은 종래의 여성용 완충 신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충격 흡수 구조를 갖춘 여성용 구두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충격 흡수 구조를 갖춘 여성용 구두 굽의 일실시 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충격 흡수 구조를 갖춘 여성용 구두 굽의 일실시 예에 대한 구조 분리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충격 흡수 구조를 갖춘 여성용 구두 굽의 일실시 예에 대한 구조 분 리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충격 흡수 구조를 갖춘 여성용 구두 굽의 일실시 예를 보여주는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15는 상기 충격 흡수 구조를 갖춘 여성용 구두 굽의 일실시 예에 대한 상·중·하부를 구조적으로 나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6는 도 15에서 상·중·하부를 구조적으로 나뉜 분리 단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충격 흡수 구조를 갖춘 여성용 구두 굽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한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충격 흡수 구조를 갖춘 여성용 구두 굽의 일실시 예에 대한 작동상태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신발 200 : 충격 흡수용 구두 굽
210 : 상단몸체부 211 : 상단몸체
211a: (안내축) 결합홈 211b : (중단몸체부) 조립안내홈 212 : (안내축) 조립나사
220 : 중단몸체부 221 : 중단몸체
221a : (하단몸체부) 안착홈 221b : (안내축) 배출구멍
221c : (중단몸체) 외부면 221d : (중단몸체) 내부면 221e : 안착부
221f : 가림막 222 : 조립안내판
230 : 하단몸체부 231 : 하단몸체
231a : (하단몸체) 공실 231b : (공실) 내벽
231c : (안내축) 안내구멍 231d : 조립안내돌기 231e : 나사부
232 : 안내축 232a : 헤드
232b : 축 232c : 고정용 나사부
233 : 압축코일스프링 234 : 밑창
236 : 나사 커버 피스

Claims (8)

  1. 충격흡수 기능을 갖춘 구두의 굽(200)에 있어서, 상기 굽(200)은 기능적으로 상단몸체부(210), 중단몸체부(220), 하단몸체부(230)의 3개 부분으로 나뉘어져,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굽(200)의 상단몸체부(210)는 구두 본체의 후부 저면에 부착 고정되어 굽(200)을 지지·구성하는 기본 골격 역할을 하고,
    상기 굽(200)의 중단몸체부(220)는 상단몸체부(210)의 하측과 하단몸체부(230)의 상측 사이에 외부가 폐쇄되고 내부는 상하로 개구된 신축성 있는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굽(200)의 하단몸체부(230)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수단은 하단몸체부(230)의 구성체인 하단몸체(231) 내에 공실(231a)이 있어, 상기 공실(231a) 내에 상하 방향으로 작동하며 헤드(232a)와 축(232b)으로 이루어진 안내축(232)을 삽입하되, 상기 안내축(232)의 헤드(232a)는 공실(231a) 내에 있고, 축(232b) 부분은 상기 하단몸체(231)의 공실(231a) 천장면에 마련된 안내구멍(231c)을 통하여 상측 외부로 노출되어 중단몸체부(220)의 개구된 내측부를 통과하여 상단몸체부(210)와 직접 고정 결합하며, 상기 공실(231a) 내의 안내축(232) 하부에는 압축코일스프링(233)을 개재해 탄성수단을 마련하며, 상기 하단몸체(231) 저면에는 공실(231a) 내에 개재된 안내축(232) 및 압축코일스프링(233)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소정의 밑창(234)을 나사(235)로 체결 하는 구조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굽(200)의 상단몸체부(210)는 상단몸체(211)와 조립나사(212)를 갖추며, 상기 상단몸체(211)의 저면에 하단몸체부(230)의 구성요소인 안내축(232)이 대응될 결합홈(211a)이 있어, 상기 안내축(232)의 축(232b) 상면부가 결합홈(211a)에 결합되고, 상단몸체(211)의 결합홈(211a)과 일직선상에 형성된 조립용 구멍을 통하여 조립나사(212)로 체결되도록 이루어지며, 동시에 중단몸체부(220)의 상단부가 결합 시 안착 되도록 하기 위한 조립안내홈(211b)이 갖추어져 있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구두 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굽(200)의 중단몸체부(220)는 중단몸체(221)와 조립안내판(2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단몸체(221)는 외부가 폐쇄된 외부면(221c)과 상하로 개구된 내부에 외부면(221c)으로부터 내측 중심 방향으로 적정두께로 형성된 내부면(221d)을 가지며, 상기 중단몸체(221) 하측의 저면에 하단몸체부(230)가 조립되기 위한 안착홈(221a)과 스토퍼 역할을 하는 가림막(221f)을 갖으며, 가림막(221f)에는 하단몸체부(230)의 안내축(232)과 일직선상에 안내축(232)의 축(232b)경보다 넓은 배출구멍(221b)이 있으며, 상기 중단몸체(221)의 상측 개구부에는 안착부(221e)가 형성되어, 조립안내판(222)을 부착함으로써 상기 상단몸체부(210) 저면에 형합 가능하도록 중단몸체부(22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굽.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몸체(221)의 재질은 탄성을 가진 고무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Thermoplastic polyurethane,TPU), 열가소성 고무 (Thermoplastic Rubber,TPR) 로부터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중단몸체(221)의 형태를 주름관(bellows) 형태로 형성하여, 신축 시 변위의 흡수, 즉 굽힘이 용이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굽.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몸체(221)의 형태로서 외부면(221c)과 개구된 내부면(221d)의 수직 단면 형상이 내측 중심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를 만들어, 상하 압축 시 외형 면의 굽힘 방향이 내측 중심 방향으로 가도록 하며, 상기 외형면의 굽힘이 용이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굽.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몸체(231)의 공실(231a)은 상부 천장면은 폐쇄되고, 하부 바닥면은 개구되어 있으며, 이후 상기 천장면 중앙에 안내축(232)의 축(232b)경보다 약간 큰 안내구멍(231c)이 형성되고, 상기 공실(231a)의 내부 측벽에는 내벽(231b)이 있어 그 내벽(231b)의 단면 형상은 안내축(232) 하단 헤드(232a)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며, 안내축(232)을 삽입 시 안내축 헤드(232a) 외주면과 공실(231a)의 내벽(231b) 면은 끼워맞춤 규격이 ‘KS B 0401’에서 규정한 ‘헐거운 끼워 맞춤’ 정도의 공차로 형성하여 안내축(232)이 공실(231a) 내벽(231b) 면을 따라 상하로 수직이동 시 공차내의 범위 내에서 상호 간에 수직도를 유지하도록 되어있고, 상기 하단몸체(231)의 상부 외측면은 중단몸체부(220)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조립안내돌기(231d)가 형성되고, 하단몸체(231) 하부 저면에는 밑창(234)을 나사(235) 체결로 고정할 수 있는 나사부(231e)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굽.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굽(200)의 하단몸체부(230)에서 하단몸체(231)의 공실(231a) 내에 삽입된 안내축(232)은 소정의 길이와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축(232b)과 상기 축(232b)의 최하단부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하단몸체(231) 내부 공실(231a)의 상부 천장면에 뚫린 안내구멍(231c)보다 더 넓고, 상기 하단몸체(231) 공실(231a)의 내측 수평 단면 형상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춘 헤드(232a)가 있어, 상기 하단몸체(231) 공실(231a) 내측에서 상기 안내축(232)의 축(232b) 부분을 천장면의 안내구멍(231c)을 통과하여 하단몸체(231) 상측 외부로 노출하고 헤드(232a)는 하단몸체(231) 공실(231a)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안내축(232)이 안내축(232) 하단부로 개재된 압축코일스프링(233)의 압력으로 인해 상측으로 힘이 작용될 시 상기 하단몸체(231) 공실(231a) 내에서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하고, 안내축(232)의 축(232b) 상면부에는 축(232b) 중심에 상기 안내축(232)을 상기 굽(200)의 상단몸체부(210)의 하단부에 조립하기 위한 고정용 나사부(232c)가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굽.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인 압축코일스프링(233)이 상기 상단몸체부(210)와 하단몸체부(230) 사이에 설치되되, 하단몸체(230)의 상부 외측으로 노출된 안내축(232)의 축(232b)에 끼워져 중단몸체부(220)의 내측 개구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굽.
KR20090000634U 2009-01-19 2009-01-19 충격흡수 기능을 갖춘 구두 굽 KR2004469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0634U KR200446957Y1 (ko) 2009-01-19 2009-01-19 충격흡수 기능을 갖춘 구두 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0634U KR200446957Y1 (ko) 2009-01-19 2009-01-19 충격흡수 기능을 갖춘 구두 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957Y1 true KR200446957Y1 (ko) 2009-12-11

Family

ID=45953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00634U KR200446957Y1 (ko) 2009-01-19 2009-01-19 충격흡수 기능을 갖춘 구두 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957Y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577B1 (ko) 2010-10-08 2011-01-20 고종택 체중맞춤 완충물을 교환가능하게 구비한 구두 뒷굽
KR101104756B1 (ko) 2010-03-15 2012-01-12 고종택 완충용 신발
WO2015080301A1 (ko) * 2013-11-26 2015-06-04 장명호 하이힐 슈즈의 패션형 쿠션 악세사리
KR20160005318A (ko) 2015-12-21 2016-01-14 고종택 탈장착이 간편하고 탄성력이 강화된 힐굽이 구비된 신발
KR200479756Y1 (ko) * 2014-04-17 2016-03-04 김병인 완충장치가 구비된 신발
KR102067807B1 (ko) 2019-03-18 2020-01-17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KR102067804B1 (ko) 2019-06-03 2020-01-17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KR102070314B1 (ko) 2018-10-26 2020-01-28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KR102073724B1 (ko) 2018-10-16 2020-02-05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KR102059159B1 (ko) 2018-12-19 2020-02-20 고종택 충격을 완화해 주는 하이힐 굽
WO2020076050A1 (ko) * 2018-10-10 2020-04-16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KR102106942B1 (ko) 2019-01-25 2020-05-06 고종택 충격을 완화해 주는 하이힐 굽
KR102214450B1 (ko) 2019-09-27 2021-02-09 고종택 하이힐에 삽입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388Y1 (ko) * 1999-06-26 2000-02-15 주식회사일성 인터내셔날 여성용하이힐의충격흡수구조
KR200393493Y1 (ko) * 2005-05-24 2005-08-22 류상원 충격 흡수용 구두 뒷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388Y1 (ko) * 1999-06-26 2000-02-15 주식회사일성 인터내셔날 여성용하이힐의충격흡수구조
KR200393493Y1 (ko) * 2005-05-24 2005-08-22 류상원 충격 흡수용 구두 뒷굽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756B1 (ko) 2010-03-15 2012-01-12 고종택 완충용 신발
KR101009577B1 (ko) 2010-10-08 2011-01-20 고종택 체중맞춤 완충물을 교환가능하게 구비한 구두 뒷굽
WO2015080301A1 (ko) * 2013-11-26 2015-06-04 장명호 하이힐 슈즈의 패션형 쿠션 악세사리
KR200479756Y1 (ko) * 2014-04-17 2016-03-04 김병인 완충장치가 구비된 신발
KR20160005318A (ko) 2015-12-21 2016-01-14 고종택 탈장착이 간편하고 탄성력이 강화된 힐굽이 구비된 신발
KR102106932B1 (ko) * 2018-10-10 2020-05-06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KR20200040561A (ko) 2018-10-10 2020-04-20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WO2020076050A1 (ko) * 2018-10-10 2020-04-16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KR102073724B1 (ko) 2018-10-16 2020-02-05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WO2020080726A1 (ko) * 2018-10-16 2020-04-23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KR102070314B1 (ko) 2018-10-26 2020-01-28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WO2020085682A1 (ko) * 2018-10-26 2020-04-30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KR102059159B1 (ko) 2018-12-19 2020-02-20 고종택 충격을 완화해 주는 하이힐 굽
KR102106942B1 (ko) 2019-01-25 2020-05-06 고종택 충격을 완화해 주는 하이힐 굽
KR102067807B1 (ko) 2019-03-18 2020-01-17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KR102067804B1 (ko) 2019-06-03 2020-01-17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US11839261B2 (en) 2019-06-03 2023-12-12 Jong Taek GO Shock-absorbing heel having shock absorber and attached to high heel
KR102214450B1 (ko) 2019-09-27 2021-02-09 고종택 하이힐에 삽입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6957Y1 (ko) 충격흡수 기능을 갖춘 구두 굽
KR200393493Y1 (ko) 충격 흡수용 구두 뒷굽
US8112905B2 (en) Forefoot catapult for athletic shoes
JP2018110889A (ja)
CN102939024B (zh) 提高组装性及工作性能的耐冲击鞋
KR100902651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기능성 신발
KR100870929B1 (ko) 발바닥 지압겸용 통기성 신발
CN101677653A (zh) 鞋帮结构、制作鞋的方法和鞋结构
KR101051229B1 (ko)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KR100999901B1 (ko) 스프링 완충력을 갖는 여성용 하이힐
KR101351441B1 (ko) 기능성 슈즈용 쇽업중창
CN108813805B (zh) 一种具有机械减震结构的鞋底
KR102067807B1 (ko)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CN205321402U (zh) 一种防滑鞋底
KR101079709B1 (ko) 충격 흡수용 구두의 뒷굽
US11839261B2 (en) Shock-absorbing heel having shock absorber and attached to high heel
KR20200056162A (ko) 충격흡수에최적화된구두굽
CN212036271U (zh) 一种机械减震功能鞋
KR20090110156A (ko) 쿠션신발
CN219845265U (zh) 一种带有缓冲装置的运动鞋
CN220140939U (zh) 运动舒适的气垫鞋底
KR102147979B1 (ko) 뒷굽 교체형 구두의 구부림구조
KR200239041Y1 (ko) 충격흡수력과 지압기능을 가지는 신발
CN102429401A (zh) 运动鞋及其鞋底
KR200426108Y1 (ko) 고형패드가 부착된 신발 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