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229B1 - 기능성 구두 - Google Patents

기능성 구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229B1
KR101465229B1 KR1020130024506A KR20130024506A KR101465229B1 KR 101465229 B1 KR101465229 B1 KR 101465229B1 KR 1020130024506 A KR1020130024506 A KR 1020130024506A KR 20130024506 A KR20130024506 A KR 20130024506A KR 101465229 B1 KR101465229 B1 KR 101465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guide hole
cover
fasten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0338A (ko
Inventor
이봉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몸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몸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몸아
Priority to KR1020130024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229B1/ko
Publication of KR20140110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0Heels with met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3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 A43B21/4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by bol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흡수 기능을 가진 기능성 구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두 뒷굽의 내부에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는 가이드 홀;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 상기 가이드 홀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와 상기 승강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승강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간단한 구조로서 제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진동 및 소음 발생이 방지되고 내구성이 향상된 기능성 구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능성 구두{Functional Shoes}
본 발명은 구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격흡수 기능을 가진 기능성 구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구두는 뒤축이나 뒤창(이하, '뒷굽'이라 함)이 대부분 목재나 수지 등의 견고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뒷굽의 저면에 미끄럼 방지 목적으로 고무나 수지 등 탄성재질의 소재를 부착하고 있다.
따라서, 쿠션이 거의 없어 충격흡수가 되지 않음에 따라, 보행시 지면과 접촉하는 충격에 의해 착용자로 하여금 불쾌감과 압박감을 느끼게 하였으며, 특히 여성용 하이힐의 경우, 발목과 무릎으로 상당한 충격이 전달됨에 따라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하고, 골절 부상이나 관절염의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4075호(특허문헌 1)는, 구두 뒷굽에 피스톤 관을 삽입하고, 이 피스톤 관 내부에 인장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피스톤을 삽입하는 한편, 피스톤 하단에 지면 캡 고무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관이 부착된 구두 굽'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0214호(특허문헌 2)는, 요홈이 형성된 뒷굽에 스프링이 내장된 완충실린더가 삽입되고, 완충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에 밑창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용 구두의 뒷굽'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전술한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의 경우, 구두 뒷굽에 피스톤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금속재질의 관을 삽입하고 있음에 따라, 제조 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충격에 의해 뒷굽이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경우, 외부로 노출되는 금속재질의 관에 의해 착용자가 큰 부상을 입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경우 구두 뒷굽에 피스톤 관을 설치함에 있어서, 피스톤 관의 상단에 너트를 결합하고, 너트를 상향 관통하여 구두 뒷굽에 볼트를 결합하고 있는데, 이러한 결합방식은 조립성이 떨어져 제조 비용과 시간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구두 뒷굽에 피스톤 관을 결합하는 볼트의 나사부가 착용자의 발바닥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장시간 사용시 나사부 끝단이 착용자의 발바닥을 자극하여 통증을 일으키거나, 심한 경우에는 부상의 한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경우, 실린더 로드의 이탈 방지를 위해 실린더 내에 별도의 스토퍼가 구비되는데, 이는 제조 비용의 증대와 함께 장시간 사용시 스토퍼의 마모로 인한 고장 발생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 모두, 지면의 흙이나 모래 알갱이 등의 이물질, 또는 수분이 피스톤 관으로 유입되어 고장 발생을 초래할 우려가 있으며, 스프링의 신축 및 피스톤의 승강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지면에 직접 지지되는 부품(특허문헌 1의 캡 고무, 특허문헌 2의 밑창)이 피스톤의 하단에 나사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됨에 따라, 사용중 쉽게 회전하거나 분리되는 문제가 있고, 뒷굽과 캡 고무 또는 밑창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피스톤이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KR 20-0344075 Y1 (2004.02.26 등록) KR 10-2010-0030214 A (2010.03.18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충격흡수의 기능을 가지고, 종래에 비해 조립이 간단하며 제조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는 기능성 구두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래와 같은 별도의 금속재질 관을 삭제함으로써, 충격 발생시 착용자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 구두의 제공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물질이나 습기의 침투로 인한 고장 발생과 작동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 구두의 제공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장시간 사용에도 지지부재가 승강부재의 하단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승강부재 내에 삽입되는 보강부재로 인해 승강부재의 파손이 방지되는 기능성 구두의 제공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구두에 의하면, 구두 뒷굽의 내부에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는 가이드 홀;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 상기 가이드 홀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와 상기 승강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승강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구두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 또는 양단에 개재되는 제진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두 뒷굽의 상측면 일측에, 상기 가이드 홀과 연통하는 결합홈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외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턱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상단에 폭이 확장 형성되어 상기 단턱에 지지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의 상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는, 상기 안착부와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 홀과 연통하는 볼트 체결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안착부의 테두리 일측에 소정 폭으로 절개 형성되는 접착제 주입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의 이탈방지를 위해, 상기 가이드 홀의 일측에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승강부재는, 원기둥 형태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상단에 폭이 확장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의 테두리가 상기 걸림턱에 걸려서 상기 가이드 홀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연장부의 내부에 금속재질의 보강부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 일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링홈에 탄성재질의 오링이 끼워진다.
한편,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의 하단에 결합되며,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끄럼방지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부재의 하단 중앙에 상기 결합부재의 일단이 삽입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에 상기 결합부재의 타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고 일측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플라인 홈이 형성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일단에서 폭이 확장 형성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톱니형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삽입홈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의 하단에 직경 방향으로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에 상기 체결홈에 대응 결합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구두에 의하면, 보행시 발목과 무릎 등으로 전달되는 충격이 탄성부재에 의해 흡수되어, 착용자의 피로감이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서 조립이 용이하고, 이에 따른 제조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은 별도의 금속재질 관이 삭제됨으로써, 충격 발생시 종래의 금속재질 관으로 인한 착용자의 부상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승강부재의 외주면에 오링이 개재됨으로써 이물질이나 습기의 침투로 인한 고장과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탄성부재의 일단 또는 양단에 개재되는 제진재로 인해 탄성부재의 작동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장시간 사용에도 지지부재가 승강부재의 하단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승강부재 내에 삽입되는 보강부재로 인해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구두의 분해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구두의 사용상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구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구두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 1은 상부에서 바라본 기능성 구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하부에서 바라본 기능성 구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구두(100)는, 구두 뒷굽(200)에 관통 형성되는 가이드 홀(230)과, 가이드 홀(230)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300)와, 가이드 홀(230)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400)와, 커버(400)와 승강부재(300) 사이에 개재되어 승강부재(3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두 뒷굽(200)은 구두(10) 저면의 뒷꿈치 부분에 결합되어 구두(10) 밑바닥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으로, 구두(10)의 밑바닥에 접착제 또는 볼트 등의 체결구(미도시)에 의해 결합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결합부(210)와, 결합부(210)의 저면에서 소정의 폭을 가지고 하향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220)를 포함한다.
이때, 결합부(210)의 상측면에는 후술하는 커버(400)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211)이 단차 형성되고, 결합홈(211)과 연통하도록 지지부(220) 내에 가이드 홀(230)이 관통 형성된다.
결합홈(211)은 사각형의 후방 모서리가 원호를 이루는 형태이며, 결합홈(211)의 테두리를 따라 제1 단턱(2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단턱(212)의 외측으로 이격하여 제2 단턱(213)이 제1 단턱(212) 보다 높게 단차 형성된다.
가이드 홀(230)은 결합홈(211)의 하부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가이드 홀(230)의 일측 내주면에 걸림턱(231)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 걸림턱(231)에 의해 가이드 홀(230)은 상부의 탄성부재 신축부(232)와 승강부재 안내부(233)로 구분된다.
이때, 탄성부재 신축부(232)는 폭 방향 단면상 전술한 결합홈(211)과 대응되는 형태이고, 승강부재 안내부(233)는 폭 방향 단면상 원형이며, 승강부재 안내부(233)의 폭이 탄성부재 신축부(232)의 폭보다 좁게 형성됨에 따라, 승강부재 안내부(233)의 최상단 테두리가 전술한 걸림턱(231)을 형성한다.
한편, 승강부재(300)는 가이드 홀(230)에 삽입되어, 보행시 후술하는 탄성부재(500)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아 승강하는 것으로, 가이드 홀(230)의 승강부재 안내부(233)로 삽입되는 연장부(310)와, 연장부(310)의 상단에 폭이 확장 형성되어 가이드 홀(230)의 탄성부재 신축부(232)를 따라 승강하는 헤드부(320)를 포함한다.
이때, 승강부재(300)의 헤드부(320)는 탄성부재 신축부(232)의 폭 방향 단면 형태와 대응되도록, 사각형의 일측 모서리가 원호 형태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단면 형태이며, 이에 따라 가이드 홀(230) 내에서 승강부재(300)의 축회전이 방지된다.
또한, 헤드부(320)의 테두리 저면이 걸림턱(231)에 걸림으로써 승강부재(300)의 하향 이탈이 방지된다.
이때, 승강부재(300)의 연장부(310) 내부에는 강성 보강을 위해 스틸이나 알루미늄 등 금속재질의 보강부재(330)가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데, 필요에 따라 보강부재(330)가 헤드부(320)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즉, 보강부재(330)의 두께와 길이 등 규격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승강부재(300)의 하단에는 후술하는 지지부재(700)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공(313)이 형성되고, 이 체결공(313)에 후술하는 결합부재(800)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결합부재(800)의 삽입으로 인한 승강부재(300)의 파손 방지를 위해, 금속재질인 보강부재(330)의 하단에 체결공(31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연장부(310)의 외주면 일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링홈(311)이 형성되며, 이 링홈(311)에 고무나 수지 등 탄성 재질의 오링(O-ring)(312)이 끼워진다.
이에 따라, 승강부재(300)의 승강시 오링(312)의 외주면은 승강부재 안내부(233)의 내주면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따라서 승강부재(300)의 승강에 따른 소음 발생과, 외부로부터 이물질이나 습기 등이 탄성부재 신축부(23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승강부재(300)의 상부 즉, 탄성부재 신축부(232)에 탄성부재(500)가 삽입된다. 이때, 탄성부재(500)는 예를 들어 코일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500)는 후술하는 커버(400)와 승강부재(300) 사이에서 승강부재(300)의 승강에 따라 신축된다.
이때, 진동과 소음 차단을 위해, 탄성부재(500)의 일단에 고무 또는 수지 등 탄성 재질의 제진재(600)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홀(230)의 최상단 즉, 커버(400)의 저면과 탄성부재(500)의 상단 사이에 제진재(600)가 개재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탄성부재(500)의 하단과 승강부재(300)의 상단 사이에 개재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커버(400)의 저면과 탄성부재(500)의 상단 사이, 그리고 탄성부재(500)의 하단과 승강부재(300)의 상단 사이에 모두 제진재(600)가 개재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탄성부재(500)의 상부 즉, 구두 뒷굽(200)의 결합부(210) 상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211)에 커버(400)가 결합된다.
이때, 커버(400)는 결합홈(211) 외측의 제1 단턱(212)에 저면이 지지되는 삽입부(410)와, 삽입부(410)의 상단에서 폭이 확장 형성되며 제2 단턱(213)에 테두리 저면이 지지되는 안착부(420)를 포함하며, 삽입부(410)와 안착부(420)의 폭 방향 단면은 결합홈(211)과 대응되는 형태를 이룬다.
또한, 커버(400)를 결합홈(211)에 결합하였을 때, 구두 뒷굽의 결합부(210) 상측면과 커버(400)의 상측면이 평평하게 연결되도록, 커버(400)의 안착부(420) 상측면은 구두 뒷굽(200)의 결합부(210) 상측면이 이루는 경사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커버(400)는 삽입부(410)가 결합홈(211)에 삽입되어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는데, 제1 단턱(212)과 제2 단턱(213)에 의해 접착제의 도포 면적이 증대되므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승강부재(300) 및 탄성부재(500)가 가이드 홀(230)에 조립된 후에는 탄성부재(500)의 상단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커버(400)의 중앙에는 가이드 홀(230)과 연통하는 볼트 체결홀(430)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다. 또한, 안착부(420)의 테두리 일측 즉, 안착부(420) 후방의 외주면 일측에 접착제 주입홈(440)이 소정의 폭으로 절개 형성된다.
이때, 볼트 체결홀(430)은, 구두(10) 밑바닥에 구두 뒷굽(200)을 결합할 때 볼트 등 체결구(미도시)의 인입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접착제 주입홈(440)은, 커버(400)와 결합홈(211) 사이의 틈새에 접착제를 충진시킬 때, 접착제 주입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볼트 체결홀(430)은 승강부재(300)의 승강에 따른 탄성부재 신축부(232)의 체적 변화시 내부의 공기가 유출 또는 유입되는 경로로 이용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가이드 홀(230)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승강부재(300)가 자연스럽게 승강하도록 한다.
한편, 승강부재(300)의 연장부(310) 하단에 지지부재(700)가 결합된다. 이 지지부재(700)는 지면과 직접 접촉하는 것으로, 지지부재(700)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끄럼방지 돌기(710)가 형성되고, 장시간 사용에 의해 마모되는 경우 교체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700)는 결합부재(800)에 의해 연장부(310) 하단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연장부(310) 하단의 중앙에 체결공(313)이 형성되고, 체결공(313)을 가로질러 직경 방향으로 체결홈(314)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부재(700)의 상측면에는 입구측의 폭이 내측의 폭보다 좁은 삽입홈(720)이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부재(800)는, 승강부재(300) 하단의 체결공(313)에 삽입되는 원기둥 형태의 체결부(810)와, 체결부(810)의 일단에서 폭이 확장 형성되며 지지부재(700) 상측면의 삽입홈(720)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고정부(820)를 포함한다.
이때, 체결부(810)는 승강부재(300) 하단의 체결공(313)에 억지끼움 결합되며,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플라인 홈(811)에 의해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아울러, 고정부(820)는 원판 형태인 몸체의 외주면 테두리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톱니형 돌기(821)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삽입홈(720)의 입구를 통해 지지부재(700)에 억지끼움 결합된 고정부(820)는, 톱니형 돌기(821)가 삽입홈(720)의 내측벽에 가압 지지됨으로써,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더욱 견고한 결합을 위해 승강부재(300)와 지지부재(700)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포된 접착제는 체결공(313)과 체결홈(314) 및 삽입홈(720)으로 유입되어 승강부재(300)와 결합부재(800) 및 지지부재(70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한다.
이때, 지지부재(700)의 상측면에, 승강부재(300) 하단의 체결홈(314)에 대응 결합되도록 체결돌기(미도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체결돌기는 승강부재(300)에 대한 지지부재(700)의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구두(100)는, 가이드 홀(230)에 승강부재(300)와 탄성부재(500) 및 제진재(600)가 차례로 삽입되고 커버(400)와 지지부재(700)의 결합에 의해 조립이 완료되는 구조이므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제조 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700)의 마모시 이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승강부재(300) 내에 금속 재질의 보강부재(330)가 인서트 사출 성형되므로, 종래에 비해 내구성이 향상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구두의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도 3은 지지부재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은 초기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보행시 지지부재가 지면과 접촉하면서 충격이 가해지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시 지지부재(700)가 지면과 접촉하여 충격이 가해지면, 승강부재(300)가 가이드 홀(230)을 따라 상승하고, 탄성부재(500)가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때, 승강부재(300)의 외주면에 끼워진 오링(312)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이물질이나 습기가 탄성부재(500) 쪽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탄성부재(500)의 일단 또는 양단에 개재되는 제진재(600)에 의해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이 차단된다.
이후, 지지부재(70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탄성부재(500)가 신장되고, 이때 승강부재(300)는 탄성부재(500)에 밀려 하강하여 헤드부(320) 저면 테두리가 걸림턱(231)에 걸려서 지지된다.
100 : 기능성 구두 200 : 구두 뒷굽
211 : 결합홈 230 : 가이드 홀
231 : 걸림턱 300 : 승강부재
312 : 오링 330 : 보강부재
400 : 커버 430 : 볼트 체결홀
440 : 접착제 주입홈 500 : 탄성부재
600 : 제진재 700 : 지지부재
800 : 결합부재

Claims (14)

  1. 구두 뒷굽(200)의 내부에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는 가이드 홀(230);
    상기 가이드 홀(230)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300);
    상기 가이드 홀(230)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400); 및
    상기 커버(400)와 상기 승강부재(300)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승강부재(3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00)를 포함하고,
    상기 구두 뒷굽(200)의 상측면 일측에 상기 가이드 홀(230)과 연통하는 결합홈(211)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211)의 외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400)의 테두리 일측에 접착제 주입홈(440)이 소정 폭으로 절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구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500)의 일단 또는 양단에 개재되는 제진재(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구두.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400)는,
    상기 결합홈(211)에 삽입되는 삽입부(410)와, 상기 삽입부(410)의 상단에 폭이 확장 형성되어 상기 단턱에 지지되는 안착부(420)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420)의 상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구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버(400)는,
    상기 안착부(420)와 상기 삽입부(410)를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 홀(230)과 연통하는 볼트 체결홀(4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구두.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300)의 이탈방지를 위해, 상기 가이드 홀(230)의 일측에 걸림턱(231)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구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300)는,
    원기둥 형태의 연장부(310)와, 상기 연장부(310)의 상단에 폭이 확장 형성되는 헤드부(320)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320)의 테두리가 상기 걸림턱(231)에 걸려서 상기 가이드 홀(230)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구두.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300)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연장부(310)의 내부에 금속재질의 보강부재(3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구두.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310)의 외주면 일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링홈(311)이 형성되고, 상기 링홈(311)에 탄성재질의 오링(312)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구두.
  11. 청구항 1에 있어서,
    결합부재(800)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300)의 하단에 결합되며,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끄럼방지 돌기(710)가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재(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구두.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300)의 하단 중앙에 상기 결합부재(800)의 일단이 삽입되는 체결공(313)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700)의 상측에 상기 결합부재(800)의 타단이 삽입되는 삽입홈(7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구두.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800)는,
    상기 체결공(313)에 삽입되고 일측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플라인 홈(811)이 형성되는 체결부(810)와, 상기 체결부(810)의 일단에서 폭이 확장 형성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톱니형 돌기(821)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700)의 삽입홈(720)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고정부(8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구두.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300)의 하단에 직경 방향으로 체결홈(314)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700)의 상측에 상기 체결홈(314)에 대응 결합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구두.


KR1020130024506A 2013-03-07 2013-03-07 기능성 구두 KR101465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506A KR101465229B1 (ko) 2013-03-07 2013-03-07 기능성 구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506A KR101465229B1 (ko) 2013-03-07 2013-03-07 기능성 구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338A KR20140110338A (ko) 2014-09-17
KR101465229B1 true KR101465229B1 (ko) 2014-11-25

Family

ID=51756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506A KR101465229B1 (ko) 2013-03-07 2013-03-07 기능성 구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2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7011A3 (ko) * 2017-05-24 2019-04-18 김헌구 기능성 드라이빙 슈즈
WO2020189885A1 (ko) * 2019-03-18 2020-09-24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WO2020246680A1 (ko) * 2019-06-03 2020-12-10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128B1 (ko) * 2014-06-09 2017-01-17 주문균 충격흡수가 가능한 조립식 신발굽 및 그 제조방법
KR101587847B1 (ko) * 2015-07-29 2016-01-22 (주)액션코리아 회전기능을 갖는 신발
KR101936233B1 (ko) * 2017-05-15 2019-04-03 김미향 회전 기능을 갖는 신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493Y1 (ko) * 2005-05-24 2005-08-22 류상원 충격 흡수용 구두 뒷굽
KR20080056695A (ko) * 2008-05-17 2008-06-23 김상대 완충구를 장입한 구두굽
KR20100030214A (ko) * 2008-09-10 2010-03-18 류상원 충격 흡수용 구두의 뒷굽
KR100975053B1 (ko) * 2010-02-17 2010-08-11 고종택 높이 조절용 완충 하이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493Y1 (ko) * 2005-05-24 2005-08-22 류상원 충격 흡수용 구두 뒷굽
KR20080056695A (ko) * 2008-05-17 2008-06-23 김상대 완충구를 장입한 구두굽
KR20100030214A (ko) * 2008-09-10 2010-03-18 류상원 충격 흡수용 구두의 뒷굽
KR100975053B1 (ko) * 2010-02-17 2010-08-11 고종택 높이 조절용 완충 하이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7011A3 (ko) * 2017-05-24 2019-04-18 김헌구 기능성 드라이빙 슈즈
WO2020189885A1 (ko) * 2019-03-18 2020-09-24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WO2020246680A1 (ko) * 2019-06-03 2020-12-10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WO2020246682A1 (ko) * 2019-06-03 2020-12-10 고종택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US11839261B2 (en) 2019-06-03 2023-12-12 Jong Taek GO Shock-absorbing heel having shock absorber and attached to high h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338A (ko)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229B1 (ko) 기능성 구두
KR200393493Y1 (ko) 충격 흡수용 구두 뒷굽
JP4388580B2 (ja) スポーツ用シューズのインソール構造体
EP2578101B1 (en) Shock absorbing shoes with improved assembly and operational performance
US20210219656A1 (en) Shoe sole and a shoe comprising such sole
US20160331077A1 (en) Shock absorbing shoes with improved assembly and operational performance
KR101382249B1 (ko) 착탈이 쉬운 충격완화 힐굽
WO2004014171A1 (en) Shoe soles exhibiting a therapeutic effect
KR101128295B1 (ko) 신발용 충격흡수장치
KR101079709B1 (ko) 충격 흡수용 구두의 뒷굽
US11528962B2 (en) Shock-absorbing shoe using spring
KR100999901B1 (ko) 스프링 완충력을 갖는 여성용 하이힐
KR101217094B1 (ko) 충격흡수 신발
US20170119099A1 (en) Shoe Heel With Shock Absorbent Feature
KR20200030199A (ko) Y형 허리쇠를 갖는 공기완충형 밸런스 신발
KR101477660B1 (ko) 탄성링 및 탄성밴드를 이용하여 완충칼럼의 복원력을 향상시킨 기능성 신발물품
KR101325746B1 (ko) 쇽업소버의 체결 구조
CN219020366U (zh) 一种减震鞋底
KR101239664B1 (ko) 완충구조를 갖는 하이힐
EP3069969A1 (en) Seatpost unit that defines one or two predertermined seat heights
KR200430956Y1 (ko) 구두용 탄성굽
KR20120003743U (ko) 판 스프링 점핑 신발
KR101445029B1 (ko) 충격 흡수형 구두 뒷굽
KR20130101214A (ko) 휴대용 신발 보조기구
KR100711936B1 (ko) 미끄럼방지 및 충격흡수용 신발뒷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