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554B1 -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554B1
KR102067554B1 KR1020190024672A KR20190024672A KR102067554B1 KR 102067554 B1 KR102067554 B1 KR 102067554B1 KR 1020190024672 A KR1020190024672 A KR 1020190024672A KR 20190024672 A KR20190024672 A KR 20190024672A KR 102067554 B1 KR102067554 B1 KR 102067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lean air
compressor
clean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순애
임태섭
Original Assignee
양순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순애 filed Critical 양순애
Priority to KR1020190024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5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6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compress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5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od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04Shape cylindrical
    • F17C2201/0109Shape cylindrical with exteriorly curved end-pie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1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17C2227/0128Propulsion of the fluid with pumps or compressors
    • F17C2227/0157Compr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4Indicating or measuring of parameters as input values
    • F17C2250/0404Parameters indicated or measured
    • F17C2250/043Pressure
    • F24F2003/1614
    • F24F2003/168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청정기; 상기 공기청정기에서 정화된 청정공기를 압축하도록 상기 공기청정기의 일측에 형성되는 공기압축기; 상기 공기압축기에서 압축된 청정공기를 소정량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청정기의 타측에 형성되는 공기저장부; 상기 공기저장부에 저장된 공기를 선별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기청정기의 외측에 설치되는 공기배출부; 상기 공기배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청정기에서 정화된 청정공기를 소정량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청정공기용 저장용기;를 마련하여 공기청정기에서 정화된 청정공기를 저장용기에 저장할 수 있고, 저장용기에 저장된 청정공기를 편리하게 들이마실 수 있으며, 공기청정기 외에도 산악지역 등에서 청정한 공기를 저장용기에 저장할 수 있고, 공기청정기 및 차량용 공기청정기 등에 관계없이 청정공기를 저장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Clean Air Charging System Using Air Purifi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청정기에서 청정한 공기로 전환된 청정공기를 충전용기에 담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공기청정기에서 정화된 청정공기를 담을 수 있도록 하는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 장치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깨끗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사용 용도에 따라 집진, 소음 제거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도 하며, 작동 방식에 따라 습식 및 건식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공기 청정 장치는 활성탄 필터, 음이온 발생기, 송풍기 등을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여과 수단으로서 스틸 울과 기름을 조합한 것과 여과지, 글라스면, 폴리 우레탄폼 등을 이용한 것 등이 있다.
황산화물이나 질소 산화물 등 자동차 배기가스나 생산 시설 가동시에 발생하는 미세먼지, 각종 공업 생산물로부터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의 오염물질은 호흡기질환, 만성폐질환, 아토피질환 등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건조한 실내 공기는 점막건조증, 안구건조증을 유발하고, 감기, 천식, 비염 등의 원인이 되고, 신진대사의 기능을 저하시켜 면역력을 감소시키며, 미세먼지를 부상 확산시켜 미세먼지에 편승한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청정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하우징(100)과, 공기청정부 및 공기정화제(12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일측에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01)가 형성되고, 상측에는 실내로 공기를 토출하는 배출구(102)가 형성된다. 공기청정부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공기청정필터(112)와 토출팬(114)으로 구성된다.
상기 공기청정필터(112)는 흡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공기 중 비교적 큰 입자, 먼지, 불쾌한 악취가스, 작은 세균 등을 걸러준다. 이러한 공기청정필터(112)는 정전기 필터(112a), 활성탄 필터(112b), 박테리아 제거 필터(112c)로 구성된다.
상기 토출팬(114)은 흡입구(101)를 통해 공기를 흡입시켜 배출구(102)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흡입구(101)와 공기청정필터(112)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공기정화제(120)는 일정크기의 플라스틱 용기(121)에 저장하고 비닐막 등으로 밀봉하여 공기와 차단시킨 후 하우징(100)의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공기정화제(120)는 알칼리 금속의 초과산화물인 초과산화칼륨이 주로 사용되고, 이외에 알칼리토금속의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인 수산화칼슘과 산화칼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종래의 공기 청정 장치는 먼지나 악취를 고효율로 여과하기 위해 유리섬유나 아스베스트 섬유의 소재를 접어서 통과 표면적을 크게 한 유닛형인 집진식 헤파 필터(HEPA Filter: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를 청정 시설을 위한 입구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편 각종 오염물질로 인해 대기환경이 극심하게 악화되고 있는 실정에서,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에서도 교통량의 증가로 인해 배기가스 등과 같은 공해물질이 차량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운전자 및 탑승자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실내공기를 보다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기청정기가 거의 모든 차량에 필수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도 2는 종래 차량용 공기청정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의 일측에는 공기흡입구(2a)가 형성되고, 케이스(2)의 타측에는 공기 토출구(2b)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2)의 내부 중간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2a)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2b)를 통해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는 송풍기(4)가 설치되며, 상기 공기 흡입구(2a)측에는 미세한 먼지나 세균류를 집진하는 집진필터(6)와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필터(8)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탈취필터(8)를 지난 공기에 음이온은 가하는 음이온 발생기(10)가 상기 송풍기(4)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공기청정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복수의 방향에 공기흡입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공기흡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 또는 가습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로 둘러싸여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공기가 모이는 집합공간부, 제1 흡기구와 제2 흡기구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원심팬 및 제2 원심팬, 상기 제1 원심팬과 상기 제2 원심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원심팬에 연결되는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원심팬에 연결되는 제2 회전축을 구비하는 팬모터 및 상기 집합공간부와 상기 제1 원심팬 및 상기 제2 원심팬 사이의 공간을 연결하는 공유유로를 형성하는 덕트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원심팬 및 상기 제2 원심팬은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는 제1 팬블레이드와 제2 팬블레이드, 상기 제1 팬블레이드의 원주를 둘러싸고 상기 팬모터를 향한 축방향 일측에 상기 제1 흡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팬블레이드의 원주방향 일측에 제1 토출구를 구비하는 제1 팬케이싱 및 상기 제2 팬블레이드의 원주를 둘러싸고 상기 팬모터를 향한 축방향 일측에 상기 제2 흡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팬블레이드의 원주방향 일측에 제2 토출구를 갖는 제2 팬케이싱을 포함한다.
상기 덕트 프레임은 내측에 상기 공유유로가 형성되며, 상단에 상기 제1 팬케이싱과 제2 팬케이싱의 하단 일부를 일괄하여 둘러싸는 누설방지커버부와 상기 누설방지커버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집합공간부와 상기 공유유로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접촉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팬케이싱과 제2 팬케이싱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하측 부분에 상기 공유유로와 연통하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흡기구와 제2 흡기구의 상단에는 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인클로져가 구비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차량용 공기청정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차실내의 공기를 도입하는 도입구와, 도입된 공기가 압송되는 공기정화통로와, 상기 공기정화통로의 공기를 차실내로 토출하는 토출구를 갖는 하우징을 갖는 차량용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방향제를 저장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에서 발산된 방향제를 상기 공기정화통로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갖는 방향제 저장용기와, 상기 방향제 저장용기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장치와, 차실내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실내온도감지수단과, 상기 실내온도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실내온도에 따라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발산되는 방향제 발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장치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8-0076117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022517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4-011052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정화기 등의 공기청정기에서 정화가 이루어진 공기를 용기에 담아 사용자가 필요 시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청정기에서 정화가 이루어진 공기를 용기에 담을 수 있도록 하는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청정기에 배출콕를 설치하여 공기청정기에서 정화된 공기를 용기에 간편하게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는 공기흡입구가 일측에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형성되는 공기토출구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송풍기가 구비된 토출구와,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세균류를 집진시키는 집진필터와, 상기 공기에 포함된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필터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상기 공기청정기에서 정화된 청정공기를 압축하도록 상기 공기청정기의 일측에 형성되는 공기압축기; 상기 공기압축기에서 압축된 청정공기를 소정량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청정기의 타측에 형성되는 공기저장부; 상기 공기저장부에 저장된 공기를 선별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기청정기의 외측에 설치되는 공기배출부; 상기 공기배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청정기에서 정화된 청정공기를 소정량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청정공기용 저장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배출부는 상기 공기청정기의 외측으로 인출되게 설치되는 인출파이프; 상기 공기저장부에 저장된 청정공기의 배출을 제어하도록 상기 인출파이프의 선단에 설치되는 콕본체; 상기 콕본체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콕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밸브; 상기 청정공기용 저장용기에 청정공기가 주입되도록 상기 콕본체의 선단에 설치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압축기는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압축기본체; 상기 공기청정기에서 공급되는 청정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압축기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청정공기가 소정의 압력으로 압축되도록 상기 압축기본체에 설치되는 컴프레서; 상기 컴프레서에 의해 압축된 청정공기가 배출되며, 상기 청정공기용 저장용기와 결합되도록 상기 압축기본체의 타측에 설치되는 노즐; 상기 컴프레서에 의해 압축되는 압력이 표시되도록 상기 압축기본체에 설치되는 압력게이지; 상기 컴프레서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컴프레서의 일측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청정공기용 저장용기는 청정공기가 저장되도록 내부가 빈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만곡홈부;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로 청정공기가 주입되도록 개폐 가능하게 상기 만곡홈부에 설치되는 공급밸브; 상기 용기본체에 저장된 청정공기가 인출되도록 상기 용기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출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청정공기용 저장용기는 청정공기가 저장되도록 내부가 빈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로 청정공기가 주입되도록 개폐 가능하게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공급밸브; 상기 용기본체에 저장된 청정공기가 인출되도록 상기 용기본체(46)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출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에 의하면, 공기청정기에서 정화된 청정공기를 저장용기에 저장할 수 있고, 저장용기에 저장된 청정공기를 편리하게 들이마실 수 있으며, 공기청정기 외에도 산악지역 등에서 청정한 공기를 저장용기에 저장할 수 있고, 공기청정기 및 차량용 공기청정기 등에 관계없이 청정공기를 저장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에 의하면,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한 공기압축기에 의해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청정공기를 저장할 수 있고, 금속 및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저장용기에 고압 충전이 가능하며, 화재지역, 특별재난 등 비상시 사용가능하며, 저장용기를 수시로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실리콘튜브 형태로 확대하여 산업현장에도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청정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 차량용 공기청정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는 공기흡입구가 일측에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형성되는 공기토출구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송풍기가 구비된 토출구와,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세균류를 집진시키는 집진필터와, 상기 공기에 포함된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필터가 구비된 공기청정기(10), 상기 공기청정기(10)에서 정화된 청정공기를 압축하도록 상기 공기청정기(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공기압축기(20), 상기 공기압축기(20)에서 압축된 청정공기를 소정량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청정기(10)의 타측에 형성되는 공기저장부(15), 상기 공기저장부(15)에 저장된 공기를 선별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기청정기(10)의 외측에 설치되는 공기배출부(30), 상기 공기배출부(30)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청정기(10)에서 정화된 청정공기를 소정량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청정공기용 저장용기(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는 공기청정기, 공기청정기, 차량용 공기정화기 등에서 정화된 공기뿐만 아니라 야외의 청정한 산악지역 등에서 청정한 공기를 청정공기용 저장용기에 담을 수 있도록 하며, 청정공기용 저장용기에 저장된 청정공기를 사용자가 필요로 할 때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는 미세먼지 등이 포함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청정기(10), 상기 공기청정기(10)에서 정화가 이루어진 청정공기를 소정의 압력으로 압축시키는 공기압축기(20), 상기 공기압축기(20)에서 압축된 청정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부(15), 상기 공기저장부(15)에 저장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부(30) 및 상기 공기배출부(30)를 통해 배출되는 청정공기를 저장하는 청정공기용 저장용기(4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청정기(10)에는 미세먼지 또는 먼지 등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청정한 공기로 정화시키는 것으로, 통상의 공기정화기 또는 공기청정기를 통칭한다.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흡입구가 일측에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형성되는 공기토출구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송풍기가 구비된 토출구와,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세균류를 집진시키는 집진필터와, 상기 공기에 포함된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필터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공기청정기(10)는 통상의 공기정화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도 3에서와 같이 공기청정기(10)에는 정화된 청정공기를 압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압축기(20)와 상기 공기압축기(20)에서 압축된 고압의 청정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부(15)가 설치된다.
상기 공기압축기(20)와 공기저장부(15) 사이에는 공기압축기(20)에서 압축된 청공기가 이동되도록 연결파이프(11)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공기압축기(20)는 필요에 따라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상기 공기압축기(20)는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압축기본체(21), 상기 공기청정기(10)에서 공급되는 청정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압축기본체(21)의 일측에 형성되는 흡입구(22), 상기 흡입구(22)를 통해 유입된 청정공기가 소정의 압력으로 압축되도록 상기 압축기본체(21)에 설치되는 컴프레서(23), 상기 컴프레서(23)에 의해 압축된 청정공기가 배출되며, 상기 청정공기용 저장용기(40)와 결합되도록 상기 압축기본체(21)의 타측에 설치되는 노즐(24), 상기 컴프레서(23)에 의해 압축되는 압력이 표시되도록 상기 압축기본체(21)에 설치되는 압력게이지(25), 상기 컴프레서(23)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컴프레서(23)의 일측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부(26)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압축기(20)는 공기청정기(10)에서 정화된 청정공기를 소정의 압력으로 압축하는 것으로, 상기 공기압축기(20)는 공기청정기(10)에서 정화가 이루어진 청정공기를 압축할 수 있도록 공기청정기(10)에 분리 또는 결합되게 구비된다.
즉, 상기 공기압축기(20)는 필요에 따라 공기청정기(1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공기압축기(20)는 공기청정기(10)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공기압축기(20)는 공기청정기(10)와 분리시켜 단독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압축기(20)는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압축기본체(21), 상기 공기청정기(10)에서 공급되는 청정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압축기본체(21)의 일측에 형성되는 흡입구(22), 상기 흡입구(22)를 통해 유입된 청정공기가 소정의 압력으로 압축되도록 상기 압축기본체(21)에 설치되는 컴프레서(23), 상기 컴프레서(23)에 의해 압축된 청정공기가 배출되며, 상기 청정공기용 저장용기(40)와 결합되도록 상기 압축기본체(21)의 타측에 설치되는 노즐(24), 상기 컴프레서(23)에 의해 압축되는 압력이 표시되도록 상기 압축기본체(21)에 설치되는 압력게이지(25), 상기 컴프레서(23)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컴프레서(23)의 일측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부(26)를 포함한다.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공기압축기(20)는 압축기본체(21)와 상기 압축기본체(20)의 일측에 설치되는 흡입구(22)와 상기 압축기본체(21)를 통과하는 청정공기를 압축시키는 컴프레서(23)와 압축된 청정공기가 배출되는 노즐(24)과 상기 압축기본체(21)의 압축 정도를 표시하는 압력게이지(25) 및 컴프레서(2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6)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축기본체(21)의 일측에는 공기청정기(10) 또는 외부로부터 청정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22)가 설치되며, 상기 압축기본체(21)의 타측에는 압축기본체(21)에서 압축된 청정공기를 배출시키는 노즐(24)이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본체(21)에는 흡입구(21)를 통해 유입된 청정공기가 압축되도록 컴프레서(23)가 설치되며, 상기 컴프레서(23)의 일측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6)가 설치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26)는 컴프레서(23)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6a)와 차량의 전원을 공급받도록 시거잭플러그(26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공급부(26)는 컴프레서(23)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데, 상기 배터리(26a)는 컴프레서(23)에 전원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전원을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시거잭플러그(26b)는 차량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차량용 공기청정기에서 정화된 청정공기를 압축할 수 있도록 차량의 전원플러그에 접속되어 컴프레서(23)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전원공급부(26)의 배터리(26a)는 충전된 전원에 의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전원공급부(26)의 시거잭플러그(26b)는 차량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압축기본체(21)에는 컴프레서(23)에 의해 압축 정도를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압력게이지(25)가 설치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20)는 압축기본체(21), 흡입구(22), 컴프레서(23), 노즐(24) 및 압력게이지(25)가 설치된다.
이와 함께 전원공급부(26)가 구비되는데, 상기 전원공급부(26)는 상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상시전원부(26c)가 설치된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공기청정기(10)의 공기저장부(15)에는 공기배출부(30)가 설치된다.
이러한 공기배출부(30)는 공기압축기(20)에서 압축된 청정공기를 청정공기용 저장용기(40)에 담을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공기배출부(30)는 상기 공기청정기의 외측으로 인출되게 설치되는 인출파이프(31), 상기 공기저장부(15)에 저장된 청정공기의 배출을 제어하도록 상기 인출파이프(31)의 선단에 설치되는 콕본체(32), 상기 콕본체(32)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콕본체(3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밸브(33), 상기 청정공기용 저장용기(40)에 청정공기가 주입되도록 상기 콕본체(32)의 선단에 설치되는 노즐(34)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저장부(15)의 일측에는 인출파이프(31)가 소정의 길이로 연결되고, 상기 인출파이프(31)의 선단에는 콕본체(32)가 설치되며, 상기 콕본체(32)에는 청정공기의 배출을 제어하는 개폐밸브(33)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콕본체(32)에는 청정공기용 저장용기(40)와 결합되는 노즐(34)이 설치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청정공기용 저장용기(40)는 청정공기가 저장되도록 내부가 빈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용기본체(41), 상기 용기본체(41)의 일측에 형성되는 만곡홈부(42), 상기 용기본체(41)의 내부로 청정공기가 주입되도록 개폐 가능하게 상기 만곡홈부(42)에 설치되는 공급밸브(43), 상기 용기본체(41)에 저장된 청정공기가 인출되도록 상기 용기본체(41)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출노즐(44)를 포함한다.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청정공기용 저장용기(40)는 고압 충전이 가능하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기본체(41)는 압축된 청정공기를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용기본체(41)의 일측에는 만곡홈부(42)가 형성되며, 상기 만곡홈부(42)에는 공기배출부(30)의 노즐(34)에 결합되는 공급밸브(43)가 설치된다. 이러한 공급밸브(43)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노즐(34)과 결합 시 개방되어 공기저장부(15)의 청정공기가 유입되도록 개방된다.
또한 용기본체(41)의 타측에는 충진된 청정공기를 사용자가 마실 수 있도록 청정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노즐(44)이 설치되며, 상기 용기본체(41)의 배출노즐(44)을 개폐시키는 뚜껑(45)이 구비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청정공기용 저장용기(40)는 청정공기가 저장되도록 내부가 빈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용기본체(46), 상기 용기본체(46)의 내부로 청정공기가 주입되도록 개폐 가능하게 상기 용기본체(46)의 일측에 설치되는 공급밸브(47), 상기 용기본체(46)에 저장된 청정공기가 인출되도록 상기 용기본체(46)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출노즐(48)을 포함한다.
상기 청정공기용 저장용기(40)는 고압 충전이 가능하도록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기본체(46)는 압축된 청정공기를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음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는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공기청정기(10)에서 정화시키며, 상기 정화된 청정공기는 압축기(20)로 공급된다.
이러한 상기 압축기(20)는 청정공기를 압축시켜 연결파이프(11)를 통해 공기저장부(15)로 공급되며, 상기 공기저장부(15)는 공기압축기(20)에서 압축된 청정공기를 저장하게 된다.
한편 공기압축기(20)는 공기청정기(10)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는 청정공기용 저장용기(40)에 청정공기를 저장하기 위하여 용기본체(41)의 공급밸브(43)를 노즐(34)에 밀착시킨다. 이에 공급밸브(43)는 노즐(34)에 의해 개방되며, 상기 공기저장부(15)에 고압으로 저장된 청정공기는 개폐밸브(33)의 개방에 의해 용기본체(41) 내부로 충진된다.
이렇게 청정공기용 저장용기(40)에 저장된 청정공기는 사용자가 청정한 공기를 들이마시고자 하는 경우 배출노즐(44, 48)를 통해 배출시키켜 들이마실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기압축기(20)는 공기청정기(10) 외에도 청정한 산악 지역 등에서 청정공기를 청정공기용 저장용기(40)에 수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공기압축기(20)는 흡입구(22)를 통해 청정공기를 흡입하여 컴프레서(23)에 의해 공기를 압축하게 되며, 상기 공기압축기(20)의 노즐(24)에 용기본체(41)의 공급밸브(43, 47)를 결합시켜 충진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공기청정기 11: 연결파이프
15: 공기저장부
20: 공기압축기 21: 압축기본체
22: 흡입구 23: 컴프레서
24: 노즐 25: 압력게이지
26: 전원공급부
30: 공기배출부 31: 인출파이프
32: 콕본체 33: 개폐밸브
34: 노즐
40: 청정공기용 저장용기 41: 용기본체
42: 만곡홈부 43: 공급밸브
44: 배출노즐 45: 뚜껑
46: 용기본체 47: 공급밸브
48: 배출노즐

Claims (5)

  1. 공기흡입구가 일측에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형성되는 공기토출구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송풍기가 구비된 토출구와,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세균류를 집진시키는 집진필터와, 상기 공기에 포함된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필터가 구비된 공기청정기(10);
    상기 공기청정기(10)에서 정화된 청정공기를 압축하도록 상기 공기청정기(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공기압축기(20);
    상기 공기압축기(20)에서 압축된 청정공기를 소정량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청정기(10)의 타측에 형성되는 공기저장부(15);
    상기 공기저장부(15)에 저장된 공기를 선별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기청정기(10)의 외측에 설치되는 공기배출부(30);
    상기 공기배출부(30)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청정기(10)에서 정화된 청정공기를 소정량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청정공기용 저장용기(40);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배출부(30)는 상기 공기청정기의 외측으로 인출되게 설치되는 인출파이프(31);
    상기 공기저장부(15)에 저장된 청정공기의 배출을 제어하도록 상기 인출파이프(31)의 선단에 설치되는 콕본체(32);
    상기 콕본체(32)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콕본체(3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밸브(33);
    상기 청정공기용 저장용기(40)에 청정공기가 주입되도록 상기 콕본체(32)의 선단에 설치되는 노즐(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축기(20)는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압축기본체(21);
    상기 공기청정기(10)에서 공급되는 청정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압축기본체(21)의 일측에 형성되는 흡입구(22);
    상기 흡입구(22)를 통해 유입된 청정공기가 소정의 압력으로 압축되도록 상기 압축기본체(21)에 설치되는 컴프레서(23);
    상기 컴프레서(23)에 의해 압축된 청정공기가 배출되며, 상기 청정공기용 저장용기(40)와 결합되도록 상기 압축기본체(21)의 타측에 설치되는 노즐(24);
    상기 컴프레서(23)에 의해 압축되는 압력이 표시되도록 상기 압축기본체(21)에 설치되는 압력게이지(25);
    상기 컴프레서(23)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컴프레서(23)의 일측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부(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청정공기용 저장용기(40)는 청정공기가 저장되도록 내부가 빈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용기본체(41);
    상기 용기본체(41)의 일측에 형성되는 만곡홈부(42);
    상기 용기본체(41)의 내부로 청정공기가 주입되도록 개폐 가능하게 상기 만곡홈부(42)에 설치되는 공급밸브(43);
    상기 용기본체(41)에 저장된 청정공기가 인출되도록 상기 용기본체(41)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출노즐(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청정공기용 저장용기(40)는 청정공기가 저장되도록 내부가 빈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용기본체(46);
    상기 용기본체(46)의 내부로 청정공기가 주입되도록 개폐 가능하게 상기 용기본체(46)의 일측에 설치되는 공급밸브(47);
    상기 용기본체(46)에 저장된 청정공기가 인출되도록 상기 용기본체(46)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출노즐(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
KR1020190024672A 2019-03-04 2019-03-04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 KR102067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672A KR102067554B1 (ko) 2019-03-04 2019-03-04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672A KR102067554B1 (ko) 2019-03-04 2019-03-04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554B1 true KR102067554B1 (ko) 2020-01-17

Family

ID=69369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672A KR102067554B1 (ko) 2019-03-04 2019-03-04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5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60718A (zh) * 2020-12-01 2021-03-09 合肥通博电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风能的家用空气清洁循环装置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1966A (ja) * 2001-06-12 2002-12-26 Hiroshi Tomoda 携帯用空気入れ
KR20040058590A (ko) * 2002-12-27 2004-07-0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공기정화제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KR20050059566A (ko) * 2003-12-15 2005-06-21 한국과학기술원 공기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청정공기 분사장치
KR100826827B1 (ko) * 2007-08-16 2008-05-02 주식회사 엑트 제습 클린 부스
KR20090022517A (ko) 2007-08-30 2009-03-04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청정기
KR101043200B1 (ko) * 2010-11-08 2011-06-21 성시민 호흡용 공기탱크의 공기 충전장치
KR20130003760U (ko) * 2011-12-15 2013-06-26 허원기 공기 청정기에 청정공기를 넣은 압력용기 부착
KR20140110521A (ko) 2013-03-08 2014-09-17 임경철 공기 청정 장치
KR101685901B1 (ko) * 2016-07-15 2016-12-13 최연옥 휴대용 공기정화기
KR20180076117A (ko) 2016-12-27 2018-07-05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1966A (ja) * 2001-06-12 2002-12-26 Hiroshi Tomoda 携帯用空気入れ
KR20040058590A (ko) * 2002-12-27 2004-07-0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공기정화제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KR20050059566A (ko) * 2003-12-15 2005-06-21 한국과학기술원 공기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청정공기 분사장치
KR100826827B1 (ko) * 2007-08-16 2008-05-02 주식회사 엑트 제습 클린 부스
KR20090022517A (ko) 2007-08-30 2009-03-04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청정기
KR101043200B1 (ko) * 2010-11-08 2011-06-21 성시민 호흡용 공기탱크의 공기 충전장치
KR20130003760U (ko) * 2011-12-15 2013-06-26 허원기 공기 청정기에 청정공기를 넣은 압력용기 부착
KR20140110521A (ko) 2013-03-08 2014-09-17 임경철 공기 청정 장치
KR101685901B1 (ko) * 2016-07-15 2016-12-13 최연옥 휴대용 공기정화기
KR20180076117A (ko) 2016-12-27 2018-07-05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60718A (zh) * 2020-12-01 2021-03-09 合肥通博电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风能的家用空气清洁循环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87195B (zh) 具有吸塵器及基座之系統、吸塵器、基座及清空吸塵器之集塵室之方法
KR20090058815A (ko) 차량용 공기청정기
EP1872844B1 (en) Dust collection device with deodorization function, and deodorization/filtration unit
KR20190023212A (ko) 공기청정기
KR101805708B1 (ko) 무동력 습식 공기청정기
KR20170035481A (ko) 차량용 공기청정 시스템
KR102067554B1 (ko)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청정공기 충전장치
DE60307253D1 (de) Beutel für das gebläsesystem eines angetriebenen luftreinigungsbeatmungssystems
KR102595563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32936B1 (ko) 복합전기집진 구조를 갖는 인테리어형 클린흡연부스
KR100527358B1 (ko) 사이클론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JP2002059028A (ja) 空気浄化装置
JP2009216370A (ja) コーナー設置型空気清浄機
KR20120086427A (ko)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바닥판
KR101373177B1 (ko) 양압을 이용한 실내클린장치
CN109224747A (zh) 一种烟尘净化一体机
KR20040019589A (ko) 청정필터와 산소발생기를 이용한 공기청정장치
KR101573398B1 (ko) 하이브리드 환기구조를 갖는 흡연부스
JPH0898791A (ja) 真空掃除機の臭気吸収装置
CN210283830U (zh) 一种车用空气滤清风道
CN115899910B (zh) 一种应用在绿色建筑的通风系统总成
KR102158020B1 (ko) 차량용 공기 청정기
CN109464871A (zh) 实验室气溶胶排除系统
CN115523569B (zh) 一种应用在绿色建筑的空气净化装置
KR102145686B1 (ko) 휴대용 공기정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