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528B1 - 다기능 리프트 - Google Patents

다기능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528B1
KR102066528B1 KR1020190084473A KR20190084473A KR102066528B1 KR 102066528 B1 KR102066528 B1 KR 102066528B1 KR 1020190084473 A KR1020190084473 A KR 1020190084473A KR 20190084473 A KR20190084473 A KR 20190084473A KR 102066528 B1 KR102066528 B1 KR 102066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fting
stepping
foot
foot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무
Original Assignee
(주)하온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온아텍 filed Critical (주)하온아텍
Priority to KR1020190084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5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6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단과 엘리베이터 기능이 선택되는 다기능 리프트로써,
본체; 함체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에 기계실이 마련되며, 적어도 3개 이상이 배치되는 발디딤체; 상기 발디딤체 중 제 1발디딤체에 연결되어, 이 제 1발디딤체를 들어올리거나 하강시키는 승하강유닛; 상기 승하강유닛을 동작시켜 발디딤체가 승하강 하도록 하는 구동유닛; 상기 발디딤체의 기계실에 설치되어 인접한 발디딤체를 연결하는 연결유닛;으로 구성된 것으로, 제어부에 계단을 형성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승하강유닛을 동작시켜 제 1발디딤체를 끌어올리고, 이 제1발디딤체의 측벽 하부에 구비된 인양부가 인접한 제2발디딤체를 끌어올리며, 다시 제2발디딤체의 인양부가 제3발디딤체를 끌어올이며 순차적으로 발디딤체를 끌어올려 계단을 형성하고, 제어부 엘리베이터 동작 신호가 수신되면, 발디딤체를 본체까지 하강시켜 연결유닛으로 각 발디딤체를 연결하는 다음 승하강유닛을 동작시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Description

다기능 리프트{multi-function lift}
본 발명은 다기능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계단과 엘리베이터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계단을 오르내리기 힘든 노약자나 장애우, 임산부 등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무거운 짐이나 중량체를 손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계단에서 엘리베이터 또는 역으로 변환되는 과정이 단순하고 짧아 변환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며, 고장이 없는 다기능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건축 구조물 및 공연 무대, 버스와 같은 차량 등에는 사람이 오르내릴 수 있는 계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계단은 수직의 챌면과, 수평의 디딤바닥이 연속으로 설치되고, 디딤바닥에는 논슬립을 설치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며, 측부에는 난간살을 세워 난간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계단은 미끄럼 경사면보다는 오르내리기 쉽다는 장점은 있으나, 계단의 특성상 챌면이 구비되어 휠체어를 탄 장애우나, 유아 또는 임신부, 나이가 많은 어른신은 오르내리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보조 디딤판을 설치하거나, 계단과 리프트를 겸한 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국내 등록특허 10-1861107호는 다수의 발판과, 다수의 발판 중에서 전방에 배치되는 제1발판을 승하강시키는 계단승하강수단과, 상기 제1발판의 승하강 높이에 따라 그 뒤에 배치되는 발판들을 단계적으로 연동하여 승하강시키는 연동승하강수단과, 상기 발판들의 높이가 일치되어 형성되는 플랫폼을 승하강시키는 플랫폼승하강수단으로 이루어진 리프트 겸용 가변식 계단장치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장치는 연동승강수단과 플랫폼승하강수단을 구성하는 각각의 모터가 회전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2개의 모터 중 연동승강수단의 모터는 플랫폼의 승하강시 함께 이동하는 단점이 있다. 즉 모터와 이와 관련된 구성 요소가 함께 그리고 반복하여 이동함으로써 고장의 우려가 있다.
다른 예로, 국내 특허 10-1491926호는 다단형상으로 설치된 계단이 필요에 따라 상승하면서 평탄한 수평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환자나 장애인 또는 유아를 위한 안전 계단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복수의 스프라켓 및 체인과; 상기 각 스프라켓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복수의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며, 양측으로 각각 설치되고, 외주면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축과; 상기 각 나사축에 조립되며, 상기 나사축과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동작에 따라 연동하여 이동하며, 양끝에는 롤러가 장착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회전바와; 상기의 구동축, 나사축, 회전체, 회전바는 상기의 각 계단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각 계단을 단계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나 장애인 또는 유아를 위한 안전 계단 리프트장치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장치를 살펴보면 회전바를 이동시키는 각각의 회전체와 나사축 그리고 모터가 필요한 구성으로, 구조가 복잡하고, 나사산이 회전바 등을 지탱함으로써 마모 속도 빠를 수 밖에 없으며, 빈번하게 고장 수리 및 교체가 이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계단 및 엘리베이터로의 변환이 용이하고, 구조가 단순하여 고장이 적고, 제작이 편리한 다기능 리프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계단과 엘리베이터 기능이 선택됨으로써, 노약자, 어린이는 물론 무거운 짐을 손쉽게 운반할 수 있는 다기능 리프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계단과 엘리베이터 기능이 선택되는 다기능 리프트로써,
본체; 함체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에 기계실이 마련되며, 적어도 3개 이상이 배치되는 발디딤체; 상기 발디딤체 중 제 1발디딤체에 연결되어, 이 제 1발디딤체를 들어올리거나 하강시키는 승하강유닛; 상기 승하강유닛을 동작시켜 발디딤체가 승하강 하도록 하는 구동유닛; 상기 발디딤체의 기계실에 설치되어 인접한 발디딤체를 연결하는 연결유닛;으로 구성된 것으로, 제어부에 계단을 형성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승하강유닛을 동작시켜 제 1발디딤체를 끌어올리고, 이 제1발디딤체의 측벽 하부에 구비된 인양부가 인접한 제2발디딤체를 끌어올리며, 다시 제2발디딤체의 인양부가 제3발디딤체를 끌어올이며 순차적으로 발디딤체를 끌어올려 계단을 형성하고, 제어부 엘리베이터 동작 신호가 수신되면, 발디딤체를 본체까지 하강시켜 연결유닛으로 각 발디딤체를 연결하는 다음 승하강유닛을 동작시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은 구조가 복잡하지 않으면서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어 안전하며, 고장 날 우려가 적고, 계단에서 엘리베이터 또는 반대의 경우에도 쉽게 조작될 수 있으며, 나아가 변환되는 시간이 짧아 사용인 편리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계단을 오르내리기 힘든 사람에게 도움을 주며, 무거운 짐이나 중량체를 쉽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리프트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리프트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리프트의 일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다기능 리프트가 계단을 형성하는 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엘리베이터로 운행되는 것을 나타낸 일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리프트에 적용되는 인양부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 다기능 리프트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9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 예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일측면도.
본 발명을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중복되거나 발명의 의미를 한정적으로 해석되게 할 수 있는 부가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생략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상에 비록 단수적 표현으로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국어 사용에 있어서 단수/복수를 명확하게 구분 짓지 않고 사용되는 환경과 당해 분야에서의 통상적인 용어 사용 환경에 비추어, 발명의 개념에 반하지 않고 해석상 모순되거나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되었거나 기재될 수 있는 '포함한다', '갖는다', '구비한다',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등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구성요소 또는 그들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리프트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리프트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리프트의 일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 다기능 리프트가 계단을 형성하는 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이 엘리베이터로 운행되는 것을 나타낸 일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리프트에 적용되는 인양부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8 내지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의 리프트(10)는 가이드 레일(140)을 갖는 본체(100)와, 계단 또는 엘리베이터로 구성될 수 있도록 적어도 3개 이상의 발디딤체(200)와, 상기 발디딤체(200)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로 사용할 때 각 발디딤체를 연결하여 함께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유닛(300)과, 상기 발디딤체(200) 중 하나 또는 2개의 발디딤체에 연결되고 이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유닛(400)과, 상기 승하강유닛(400)을 동작시키는 구동유닛(500)으로 구성되며, 여기에 더하여 상기 구동유닛(500)을 제어하는 제어부(600)) 그리고 탑승자의 승차 및 하차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700) 및 사용자가 계단 또는 엘리베이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800)로 구성된다.
본체(100)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0)는 기본적으로 베이스판(102)과, 이 베이스판에 세워지는 측벽 프레임(120)과, 이 측벽 프레임(120)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발디딤체(200)의 외벽에 설치된 슬라이드부(142)가 끼워져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레일(140)이 갖추어진 구성이다.
상기 베이스판(102)과 측벽 프레임(120)은 시공 위치 및 환경에 따라 여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디딤체(200)의 갯수나 측벽 프레임의 위치가 달리 배치될 수 있고, 측벽 프레임에 마감재 또는 도어 등이 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2개의 측벽 프레임(120)이 세워지고, 이 측벽 프레임(120) 사이에 발디딤체(2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위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측벽 프레임(120)은 경우에 따라 일부가 아닌 본체 전체를 감싸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발디딤체(2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40) 역시 발디딤체의 갯수 만큼 설치되어 각각의 발 디딤체(200)가 가이드 레일(140)을 따라 승하강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이스판(102)의 상면에는 하강하는 발디딤체(200)를 받쳐주고, 충격을 완충시키는 스토퍼(16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스토퍼(160)는 상기 베이스판(102)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조립되어 필요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면에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부재(162)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 완충부재(162)는 고무재 등으로 구성되며 볼트등으로 스토퍼에 고정된 것이다.
상기 스토퍼(160)는 다른 실시 예로, 용접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도면과 같이 봉상이 아닌 판재로 구성되고, 그 상면에 완충부재(162)를 설치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측벽 프레임(120)은 발 디딤체가 끼워지는 간격을 두고 양측 및/또는 전후방 각각에 세워지며, 중앙 부위에도 더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 프레임(120)을 중간에 설치하고, 중간에 위치한 발 디딤체를 들어올리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때 발 디딤체는 중간이 높고, 양측이 낮아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즉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당연히 가이드 레일(140)은 각 측벽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발 디딤체(200)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발 디딤체(200)는 탑승자가 딛고 올라설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내부에 기계실(212)이 마련된 함체(210)와 이 함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디딤판(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함체(210)는 평단면이 4각 형상으로 내부에 기계실(212)이 마련되고, 양 측벽(214)에는 구멍(302)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연결유닛(300)의 연결봉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며, 안내부가 설치되도록 격벽(216)이 갖추어진 구성이다.
상기 디딤판(220)은, 상기 함체(210)의 상면에 용접 또는 볼트 조임 방식 등으로 설치되고, 그 상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논슬립이 설치될 수 있으며, 여기에 외관을 미려하게는 마감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딤판(220)의 외주연에는 승강시 인접한 인양부(240)가 걸어 끌어 올릴 수 있도록 하는 돌출편(222)가 구비되고, 상기 인양부(240)는 상기 함체(110)의 측벽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판(222)을 걸어 끌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발 디딤체(200)는 도 4와 같이 제1발 디딤체(201)로부터 제n발 디딤체로 구성되어 층을 이루어며 계단을 구성하고, 도 5와 같이 수평으로 놓여진 상태에서 동시에 승강 이동하여 엘리베이터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중 계단을 형성할 때에는 발디딤체 중 어느 하나의 발디딤체만 승강 유닛(400)과 연결하여 승강하고, 다른 발디딤체들은 걸림판(222)과 인양부(240)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끌어올려 계단을 형성하는 것이다. 물론 엘리베이터로 사용할 때는 연결유닛이 동작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인양부(240)의 형태를 도 6과 같이 "ㄷ" 형상으로 구성하고, 걸림판(222)은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과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시켜 승강 시 보다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있다.
연결유닛(300)
본 발명에 따른 연결유닛(300)은, 상기 발디딤체(200)를 연결하거나 분리하여 엘리베이터 또는 계단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 연결유닛(300)은 상기 발디딤체(200)의 각 기계실(212)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유닛(300)은, 유압, 공압 실린더 또는 내부에 모터와 기어를 구비하여 연결봉(320)을 출몰시키는 전기 실린더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압 및 공압 실린더는 피스톤에 별도의 연결봉(320)을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유닛(300)의 다른 형태로, 랙기어와 피니언 기어로 구성되는 방식도 가능하며, 이외에도 연결봉이 수평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는 구조면 어떠한 장치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압식이 유리하다.
한편, 본 발명의 기계실(212) 양측벽 각각에는 구멍(302)이 천공되어 상기 연결봉(320)이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엘리베이터 기능을 동작시키면 연결봉(320)이 인출되고, 연결유닛(300)이 설치되는 기계실(212)의 측벽 구멍(302)을 통과하여 인접한 다른 기계실의 측벽에 형성된 구멍까지 끼워져 발디딤체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 예로,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봉(320)이 하나일 필요는 없다.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실린더 블록에 2개 이상의 연결봉이 구비될 수도 있고, 하나의 기계실에 2개 이상의 연결유닛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은 상기 구멍(302)에 연결봉(3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340)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 안내부(340)는 부싱, 베어링 등 연결봉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면 사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기계실(104)에 격벽(108)을 세우고 이 격벽(108)과 측벽(106) 사이에 안내부(340)를 구비하는 것이다.
승하강유닛(400)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승하강유닛(400)은, 상하로 절첩되는 방식으로, 다수의 링크(420)로 구성되는 것이다,
2개의 링크(420)를 "X" 형태로 조립하여 링크부(440)를 구성하고, 이 "X"형태의 링크부(440)를 적어도 2개 이상 연결하여 구성된다.
상기 링크는 연결되는 각각의 끝부분과 중앙 부위가 겹쳐진 상태에서 핀(442)으로 연결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절첩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 유닛(400)의 상단 링크 중 어느 하나는 발디딤체(200)에 구비된 고정 축수부(570)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이동체(520)와 연결되는 구성이다.
마찬가지로, 하단 링크도 하는 고정 축수부와, 다른 하는 이동체와 연결된 구성으로, 상기 이동체가 구동유닛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링크가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며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구동유닛(500)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유닛(500)은 모터(510)와, 이동체(520), 스크류(540) 그리고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560)로 구성된다.
상기 레일(560)은 발디딤체(200)와 본체(100)의 베이스판 상면 각각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는 승강 유닛의 링크가 연결된 상태에서 레일에 끼워져 이를 따라 이동한다.
또한 상기 이동체(520)의 중앙 부위는 베이스판 상면에 설치된 스크류(540)에 조립되며, 도면과 같이 양측 각각에 승강 유닛에 연결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승강 유닛(400)은 발디딤체(200)의 양측 각각에 설치되어 발디딤체가 균형을 유지하며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고, 이동체(520)는 스크류(540)를 따라 이동하며 측단부 각각에 연결된 링크를 이동시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 부호 502는 전동부로써, 모터의 회전력을 스크류엔 전달하는 것이다. 이 전동부는 체인, 타이밍벨트, 벨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부호 562는 상기 레일이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으로써, 하단 레일은 이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부측 레일음 발디딤체의 함체 내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제어부(600)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600)는 상기 모터와 연결유닛을 제어하는 것으로, 입력부(800)에 입력된 계단 또는 엘리베이터 기능에 따라 모터와 연결유닛을 제어한다.
상기 감지수단(700)은 엘리베이터 기능일 때 탑승자를 감지하는 것으로, 탑승자가 완전히 내렸는지 또는 올라탔는가를 감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것이다.
여기서 감지수단(700)은 인체감지센서 또는 중량감지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부(800)는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1) 준비 단계
제1발 디딤체로부터 제n 발디딤체가 하강하여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엘리베이터 또는 계단을 형성하기 위한 준비 단계이다.
2) 계단 형성 단계
제어부(600)가 입력부(800)에 입력된 계단 형성 신호를 수신하여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 단계이다.
모터가 회전하면 스크류가 회전하고, 이 스크류를 따라 이동체가 이동하며, 승하강 유닛의 링크를 이동시킨다. 링크가 이동하면 링크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 세워지게 되고, 이와 발디딤체가 올라 가면서 순차적으로 발디딤체를 끌어 올리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발디딤체가 올라가면 이 제1발디딤체의 측벽 하부에 위치한 인양부(240)가, 인접한 제2 발디딤체의 측벽 상단에 구비된 걸림판을 걸어 끌어올리고, 이 걸림판의 대향측에 구비된 인양부가 다시 제3 발디딤체의 걸림판을 끌어올리는 것으로, 순차적으로 계단이 형성되는 것이다.
3) 엘리베이터 승하강 단계
입력부(800)에 엘리베이터 사용 신호가 입력되고, 제어부(600)가 이를 수신하면, 제어부의 현재의 상태 예를 들어 계단이 형성된 상태라면 모터를 역회전시켜 발디딤체를 하강시키고, 엘리베이터 상태라면 오르 내림만 결정한다.
계단 상태에서 상기 모터(510)가 역회전하여 승하강 유닛(400)이 하강하고 이와 연결된 제1 발디딤체가 하강하며, 순차적으로 제2 발디딤체 내지 제n 발디딤체도 하강하여 수평으로 배치된다.
제어부는 상기 발 디딤체(200)의 각각에 설치된 연결유닛(300)을 동작시켜 연결봉(320)이 인접한 발디딤체의 측벽 구멍(302)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제1 발디딤체로부터 제n 발디딤체가 연결되도록 한다.
발 디딤체 연결후 제어부는 모터 회전 신호를 출력하고, 모터와 연결된 상기 승하강유닛이 동작하여 상기 제1 발 디딤체를 끌어올리며, 동시에 연결된 모든 발 디딤체가 상승하게 된다.
탑승자의 하차 또는 탑승 후 제어부(600)는 상기 모터(510)의 역회전 신호를 출력하고, 승하강유닛이 동작하여 이와 연결된 제1 발디딤체가 하강하며, 이 제1발디딤체와 연결유닛으로 연결된 모든 발디딤체도 하강하여 수평 배치됨으로써, 다음 동작을 준비하게 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 8 내지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 예는, 상기 링크가 지그재로 연결된 승하강유닛에서 승강 체인으로 구성한 것이다.
즉 승강 체인을 이용하여 발디딤체(200)를 들어올리거나 끌어내리는 것으로, 상기 승강체인(400a)은 인너 플레이트(410)a와, 아우터 플레이트(420a) 그리고 링크핀(430a)으로 구성되고, 여기에 스프로킷(520a)에 맞물리는 전동핀(440a)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 체인(400a)은 상단이 발디딤체(200)의 함체에 마련된 기계실(212)에 고정되고, 하부는 스프로킷에 맞물린 상태에서 스프로킷이 회전하면 승강하는 구성이다.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420a)는 상하면 즉 상하부가 맞닿는 면이 평활면으로 구성되어, 이 평활면에 의해 승강 체인이 세워지면서 발디딤체를 밀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체인(400a)은 도면과 같이 하나의 발디딤체 함체(210)의 양측 각각에 설치되어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하고, 도면과 같이 제1발디딤체로부터 제n 발디딤체까지 2개 이상의 발디딤체에 연결되도록 하되, 바람직하게는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좋다.
즉 발디딤체의 갯수에 따라 2개 이상의 모터와 승강 체인을 구비하여 등간격으로 발디딤체와 연결하여 승강시키는 것이다.
한편, 제 2실시 예의 본체 기계실(212)에는 연결유닛이 구비되어, 연결봉(320)이 인접한 발디딤체의 함체 측벽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져 연결되는 것은 동일하다.
또한, 이 실시 예에서 모터(510a)에는 유니버설 조인트(530a)가 연결되고, 이 유니버설 조인트 양측에 스프로킷이 설치되어 회전하며 하나의 발디딤체 양측 각각에 승강 체인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720은 발디딤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마이크로 스위치가 사용되고 있으나 다른 종류의 센서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이 마이크로 스위치 및 위치 감지센서는 상기한 제 1실시 예에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는 상기 제1실시 예와 동일한 동작으로 작동한다.
제어부(600)가 계단 형성 신호를 수신하면 모터(510a)가 회전하여 유니버설 조인트(530a)가 회전하고, 유니버설 조인트 양측에 구비된 스프로킷(520a)의 회전하며 승강 체인(400a)을 밀어 올린다.
이때 승강 체인은 아우터 플레이트(420a)의 평활면이 맞닿으면서 세워지고, 따라서 발디딤체를 밀어올리게 되는 것이다.
발디딤체는 승강 체인에 의해 상승하며, 측벽에 구비된 인양부(240)가 인접한 발디딤체를 걸어 끌어올리게 되는 것이다.
발디딤체가 올라가면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720)와 접속하고, 제어부는 이를 카운팅하여 낮게 위치하는 발디딤체에 연결된 모터를 먼저 정지시키며, 모터가 여러개인 경우 순차적으로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키며, 계단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입력부(800)에 엘리베이터 사용 신호가 입력되고, 제어부(600)가 이를 수신하면, 제어부의 현재의 상태 예를 들어, 계단이 형성된 상태라면 모터를 역회전시켜 발디딤체를 하강시키고, 엘리베이터 상태라면 오르 내림만 결정한다.
계단 상태에서 상기 모터(510a)가 역회전하여 승강 체인(400a)이 하강하고 이와 연결된 제1 발디딤체와 도면과 같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승강 체인과 연결된 발디딤체아 하강하면 이와 인접한 발디딤체도 하강하여 수평으로 배치된다.
제어부는 상기 발 디딤체(200)의 각각에 설치된 연결유닛(300a)을 동작시켜 연결봉(320a)이 인접한 발디딤체의 측벽 구멍(302a)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제1 발디딤체로부터 제n 발디딤체가 연결되도록 한다.
발 디딤체 연결후 제어부는 모터(510a)의 회전 신호를 출력하고, 모터와 연결된 각 승강 체인을 동작시켜 모든 발 디딤체가 상승하는 것이다.
탑승자의 하차 또는 탑승 후 제어부(600)는 상기 모터(510)의 역회전 신호를 출력하고, 승강체인이 동작하여 이와 연결된 발디딤체가 하강하여 다음 동작을 준비하게 되는 것이다.
10 :

Claims (4)

  1. 계단과 엘리베이터 기능이 선택되는 다기능 리프트로써,
    본체;
    함체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에 기계실이 마련되며, 적어도 3개 이상이 배치되는 발디딤체;
    상기 발디딤체 중 제 1발디딤체에 연결되어, 이 제 1발디딤체를 들어올리거나 하강시키는 승하강유닛;
    상기 승하강유닛을 동작시켜 발디딤체가 승하강 하도록 하는 구동유닛;
    상기 발디딤체의 기계실에 설치되어 인접한 발디딤체를 연결하는 연결유닛;으로 구성된 것으로,
    제어부에 계단을 형성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승하강유닛을 동작시켜 제 1발디딤체를 끌어올리고, 이 제1발디딤체의 측벽 하부에 구비된 인양부가 인접한 제2발디딤체를 끌어올리며, 다시 제2발디딤체의 인양부가 제3발디딤체를 끌어올이며 순차적으로 발디딤체를 끌어올려 계단을 형성하고,
    제어부 엘리베이터 동작 신호가 수신되면, 발디딤체를 본체까지 하강시켜 연결유닛으로 각 발디딤체를 연결하는 다음 승하강유닛을 동작시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유닛은 승강 체인으로 구성되며, 이 승강 체인은 인너 플레이트와, 아우터 플레이트 그리고 링크핀으로 구성되고, 여기에 스프로킷에 맞물리는 전동핀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는 상하부가 맞닿는 면이 평활면으로 구성되어, 이 평활면에 의해 승강 체인이 세워지면서 발디딤체를 밀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다기능 리프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유닛은, 2개의 링크를 "X" 형태로 조립하여 링크부를 구성하고, 이 "X"형태의 링크부를 적어도 2개 이상 연결하여 구성하되, 하단 링크 중 하나는 본체에 구비된 구동유닛의 모터와 연결되어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며, 발디딤체를 승강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다기능 리프트.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유압식 실린더로 구성되며 이 실린더의 피스톤에 연결봉이 구비되어 인접한 발디딤체의 측벽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져 모든 발디딤체가 연결된 상태로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기능 리프트.

KR1020190084473A 2019-07-12 2019-07-12 다기능 리프트 KR102066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473A KR102066528B1 (ko) 2019-07-12 2019-07-12 다기능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473A KR102066528B1 (ko) 2019-07-12 2019-07-12 다기능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6528B1 true KR102066528B1 (ko) 2020-01-15

Family

ID=69156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473A KR102066528B1 (ko) 2019-07-12 2019-07-12 다기능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5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296B1 (ko) * 2023-06-15 2023-12-07 정종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무대용 리프트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289U (ja) * 1992-11-30 1994-06-28 株式会社タダノ 高所作業車の作業台
JP2003336454A (ja) * 2002-05-23 2003-11-28 Hitachi Zosen Corp 昇降式防水扉装置
JP2004210410A (ja) * 2002-12-26 2004-07-29 Sugiyasu Corp 段差解消階段
KR20130136025A (ko) * 2012-06-04 2013-12-12 남기화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 장치
KR20160057650A (ko) * 2014-11-14 2016-05-24 강성탁 고소 작업용 플랫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289U (ja) * 1992-11-30 1994-06-28 株式会社タダノ 高所作業車の作業台
JP2003336454A (ja) * 2002-05-23 2003-11-28 Hitachi Zosen Corp 昇降式防水扉装置
JP2004210410A (ja) * 2002-12-26 2004-07-29 Sugiyasu Corp 段差解消階段
KR20130136025A (ko) * 2012-06-04 2013-12-12 남기화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 장치
KR20160057650A (ko) * 2014-11-14 2016-05-24 강성탁 고소 작업용 플랫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296B1 (ko) * 2023-06-15 2023-12-07 정종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무대용 리프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782B1 (ko) 계단 겸용 수직형 리프트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0689065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KR102153477B1 (ko)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
JP7069146B2 (ja) 高さの差を克服するための移動補助デバイス
KR101207923B1 (ko) 노약자 보행 보조장치
KR102066528B1 (ko) 다기능 리프트
KR102068931B1 (ko)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
CN107500082A (zh) 平步上楼气动电梯
KR20200101698A (ko) 계단 겸용 리프트
RU2540724C2 (ru) Пандус (варианты)
KR102548162B1 (ko) 이동용 계단 겸용 수직 승강형 리프트 장치
CN111437113A (zh) 智能助老爬楼轮椅
CN111689342A (zh) 一种平步楼梯装置
KR20190108528A (ko)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
KR102499849B1 (ko) 무대 리프트 겸용 가변식 계단장치
KR100338788B1 (ko) 휠체어 리프트 장치
KR102276299B1 (ko) 계단 겸용 리프트 장치
KR102239978B1 (ko) 휠체어용 리프트 승강장치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389997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KR20220061325A (ko) 계단 겸용 휠체어리프트의 편하중에 의한 과부하 감지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JP2019156519A (ja) 乗客コンベアの仕切り部材及び乗客コンベアシステム
JP2984237B2 (ja) 階段用昇降装置
KR100454007B1 (ko) 휠체어 리프트장치
KR102060087B1 (ko) 승강기를 구비하는 가변형 계단
CN212490461U (zh) 智能助老爬楼轮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