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491B1 - 공기 가열기 및 공기 가열기를 조립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가열기 및 공기 가열기를 조립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491B1
KR102066491B1 KR1020190114617A KR20190114617A KR102066491B1 KR 102066491 B1 KR102066491 B1 KR 102066491B1 KR 1020190114617 A KR1020190114617 A KR 1020190114617A KR 20190114617 A KR20190114617 A KR 20190114617A KR 102066491 B1 KR102066491 B1 KR 102066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air
fuel
oxidant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우
이정민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90114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4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06Air heat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32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using a mixture of gaseous fuel and pure oxygen or oxygen-enrich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23D14/64Mixing devices; Mixing tubes with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7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8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 F23D2203/007Mixing tubes, air supply reg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pray-Type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가열기 및 공기 가열기를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연료가 유입되는 연료블록과, 연료블록 일측에 위치되고 산화제가 유입되는 산화제블록과, 산화제블록 일측에 위치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블록과, 공기블록 일측에 위치되고, 초기 점화를 유도하는 점화부와, 점화부와 공기블록 사이에 위치되고, 공기가 공기블록으로부터 점화부로 이동되도록 형성된 1개 이상의 공기홀을 포함하는 믹싱 헤드면과, 연료블록에 단부가 위치하고 산화제블록, 공기블록, 믹싱헤드면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1개 이상의 복합인젝터를 포함하며, 복합인젝터가 장착되도록 연료블록, 산화제블록, 공기블록, 믹싱 헤드면에 형성된 1개 이상의 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연소 압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보강부가 장착되며, 장착부에 장착되는 복합인젝터와 보강부의 갯수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점화부에 공급되는 연료, 산화제, 공기의 량을 쉽게 변동시킬 수 있는, 공기 가열기 및 공기 가열기를 조립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 가열기 및 공기 가열기를 조립하는 방법{air heater and assembly method for air heater}
본 발명은 공기 가열기 및 공기 가열기를 조립하는 방법 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점화부에 도달하는 연료 및 산화제의 유량을 쉽게 변경시킬 수 있고, 공기 가열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 가열기 및 공기 가열기를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 가열기는 기체 연료와 산소가 반응함에 따라 발생된 열을 이용하여 공기의 온도와 압력을 상승시키고, 온도와 압력이 상승된 공기를 공기 흡입형 장치에 공급한다.
공기 가열기는 연소 효율이 증대되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블록(1), 산화제블록(2), 공기블록(3), 믹싱 헤드면(4), 인젝터(5), 점화부(6) 등이 구비된 형태로 개발되었다. 인젝터(5)를 통해서 연료, 산화제가 점화부(6)에 공급되고, 믹싱 헤드면(4)에 형성된 1개 이상의 공기홀(7)을 통해서 공기가 점화부(6)에 공급된다. 인젝터(5)가 공기 가열기에 착탈식으로 조립됨에 따라, 인젝터(5)의 갯수를 조절함으로써, 연료, 산화제, 공기의 비율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높은 효율의 연소를 발생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형태의 공기 가열기는, 인젝터(5)들의 배열 및 용량 등에 따라 점화부(6)에 공급할 수 있는 연료, 산화제의 유량이 한정적이다. 결과적으로 점화부(6)에 도달하는 연료, 산화제, 공기의 유량, 궁극적으로 공기 가열기가 처리할 수 있는 용량이 특정 범위 내에 한정된다.
서로 다른 용량의 인젝터(5), 믹싱 헤드면(4)을 무수히 많이 보유할 경우, 점화부(6)에 도달하는 연료, 산화제, 공기의 유량을 특정 범위 밖에 존재하는 유량으로 변동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인젝터(5), 믹싱 헤드면(4)을 다시 제작해야만 했었다. 일예를 들자면, 용량이 큰 인젝터(5)가 적용됨으로써 점화부(6)에 도달하는 연료, 산화제의 유량이 증대될 경우, 공기의 유량도 증대되어야 하는 바, 믹싱 헤드면(4)의 직경 증대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경우, 특정 직경의 믹싱 헤드면(4)이 준비되지 않았다면, 믹싱 헤드면(4)을 필요로 하는 사이즈로 다시 제작할 수 밖에 없다. 한편, 믹싱 헤드면(4)을 고정하고, 공기블록(3)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의 크기는 변동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하우징과 체결되도록 믹싱 헤드면(4) 주연부에 형성되었던 고정부위의 면적은 믹싱 헤드면(4)의 직경 증대에 따라 감소된다.
믹싱 헤드면(4)의 주연부에 형성되는 고정부위의 면적이 감소됨에 따라, 믹싱 헤드면(4)의 중심부는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점화부(6)에서 연소가 발생됨에 따라 믹싱 헤드면(4)에 가해지는 연소 압력에 의해서 믹싱 헤드면(4)의 가운데 부분이 공기블록(3)을 향해 부풀어 오르는 등의 구조적 취약점이 발생된다.
믹싱 헤드면(4)의 두께를 증대시키더라도, 연소 압력에 따라서 가운데 부분이 부풀어 오르는 등의 구조적 취약점을 해소할 수는 없는 바, 공기 가열기의 처리 용량에 한계가 발생될 수 밖에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3476호(2014.06.2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2178호(2016.05.12.)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해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가열기의 처리 용량을 쉽게 증대시킬 수 있고, 구조적 취약점을 해소함으로써 공기 가열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 가열기 및 공기 가열기를 조립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공기 가열기는, 연료가 유입되는 연료블록과, 연료블록 일측에 위치되고 산화제가 유입되는 산화제블록과, 산화제블록 일측에 위치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블록과, 공기블록 일측에 위치되고, 초기 점화를 유도하는 점화부와, 점화부와 공기블록 사이에 위치되고, 공기가 공기블록으로부터 점화부로 이동되도록 형성된 1개 이상의 공기홀을 포함하는 믹싱 헤드면과, 연료블록에 단부가 위치하고 산화제블록, 공기블록, 믹싱헤드면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1개 이상의 복합인젝터를 포함하며, 복합인젝터가 장착되도록 연료블록, 산화제블록, 공기블록, 믹싱 헤드면에 형성된 1개 이상의 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연소 압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보강부가 장착된다.
또한, 보강부는, 장착부 중 연료블록에 형성된 제1장착부위에 위치되는 제1 막음용 구조부와, 장착부 중 산화제블록에 형성된 제2장착부위에 위치되는 제2 막음용 구조부와, 장착부 중 공기블록에 형성된 제3장착부위 및 믹싱 헤드면에 형성된 제4장착부위에 위치되는 보강용 구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강용 구조부는, 믹싱 헤드면, 공기블록을 관통해 제2장착부위에 위치된 제2 막음용 구조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막음용 구조부와 연결되는 보강용 구조부의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4장착부위는, 점화부에서 공기블록 방향으로 파여진 홈을 포함하고, 보강용 구조부는, 홈 내부에 위치되는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장착부위의 내경이 보강용 구조부의 외경보다 크고, 공기블록에 존재하는 공기가 홈을 통해 점화부로 이동하도록 헤드의 일면에 유동홈이 1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공기 가열기를 조립하는 방법은, 연료블록에 형성된 제1장착부위에 제1 막음용 구조부가 결합되고, 산화제블록에 형성된 제2장착부위에 제2 막음용 구조부가 결합되는 제1 결합 단계와, 연료블록 일면에 산화제블록이 결합되고, 산화제블록 일면에 공기블록과 믹싱 헤드면이 결합되는 제2 결합 단계와, 믹싱 헤드면에 형성된 제4장착부위 및 공기블록에 형성된 제3장착부위를 관통하도록 보강용 구조부가 장착되는 제3 결합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제3 결합 단계에서, 보강용 구조부가 제2 막음용 구조부와 연결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공기 가열기는, 연료가 유입되는 연료블록과, 연료블록 일측에 위치되고 산화제가 유입되는 산화제블록과, 산화제블록 일측에 위치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블록과, 공기블록 일측에 위치되고, 초기 점화를 유도하는 점화부와, 점화부와 공기블록 사이에 위치되고, 공기가 공기블록으로부터 점화부로 이동되도록 형성된 1개 이상의 공기홀을 포함하는 믹싱 헤드면과, 연료블록에 단부가 위치하고 산화제블록, 공기블록, 믹싱헤드면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1개 이상의 복합인젝터와, 복합인젝터가 장착되도록 연료블록, 산화제블록, 공기블록, 믹싱 헤드면에 형성된 1개 이상의 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된 보강부를 포함하며, 점화부로 유입되는 연료, 산화제의 유량을 증대시킬 때는, 보강부가 분리된 장착부에 복합인젝터가 장착된다.
또한, 점화부로 유입되는 연료, 산화제의 유량을 감소시킬 때는, 복합인젝터가 분리된 장착부에 보강부가 장착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공기 가열기 및 공기 가열기를 조립하는 방법에 따르면, 장착부에 장착되는 복합인젝터와 보강부의 갯수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점화부에 공급되는 연료, 산화제, 공기의 량을 쉽게 변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복합인젝터 및 보강부에 의해 믹싱 헤드면이 지지되므로, 연소 압력에 의해서 믹싱 헤드면의 중심부가 공기블록을 향해 볼록하게 부풀어 오르는 등의 구조적 취약점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특히, 구조적 취약점이 해소됨으로써, 공기 가열기의 처리량 한계치가 증대된다.
도 1은 종래 공기 가열기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공기 가열기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도 2의 공기 가열기에 장착된 보강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공기 가열기에 장착된 보강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공기 가열기에 장착된 복합인젝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공기 가열기에 장착된 복합인젝터를 보여주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공기 가열기를 조립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절차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공기 가열기의 유량 조절 방법을 보여주는 절차도이다.
도 11은 연소시 믹싱 헤드면에 발생된 응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연소시 믹싱 헤드면에 발생된 변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공기 가열기 및 공기 가열기를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공기 가열기는, 연료가 유입되는 연료블록(100)과, 연료블록(100) 일측에 위치되고 산화제가 유입되는 산화제블록(200)과, 산화제블록(200) 일측에 위치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블록(300)과, 공기블록(300) 일측에 위치되고, 초기 점화를 유도하는 점화부(400)와, 점화부(400)와 공기블록(300) 사이에 위치되고, 공기가 공기블록(300)으로부터 점화부(400)로 이동되도록 형성된 1개 이상의 공기홀(510)을 포함하는 믹싱 헤드면(500)과, 연료블록(100)에 단부가 위치하고 산화제블록(200), 공기블록(300), 믹싱 헤드면(500)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1개 이상의 복합인젝터(600)를 포함하며, 복합인젝터(600)가 장착되도록 연료블록(100), 산화제블록(200), 공기블록(300), 믹싱 헤드면(500)에 형성된 1개 이상의 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연소 압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보강부(700)가 장착된다.
연소블록, 산화제블록(200), 공기블록(300)은 일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연소블록, 산화제블록(200), 공기블록(300)은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연료블록(100)의 내부에는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유로가 형성된다. 산화제블록(200)의 내부에는 산화제를 공급하는 산화제유로가 형성된다. 공기블록(300)의 내부에는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유로가 형성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700)는, 장착부 중 연료블록(100)에 형성된 제1장착부위(P1)에 위치되는 제1 막음용 구조부(710)와, 장착부 중 산화제블록(200)에 형성된 제2장착부위(P2)에 위치되는 제2 막음용 구조부(720)와, 장착부 중 공기블록(300)에 형성된 제3장착부위(P3) 및 믹싱 헤드면(500)에 형성된 제4장착부위(P4)에 위치되는 보강용 구조부(730)를 포함한다.
제3장착부위(P3)의 내경은 보강용 구조부(730)의 외경 보다 크다. 제3장착부위(P3)와 보강용 구조부(730) 사이의 틈을 통해서 공기유로에 공급된 공기가 믹싱 헤드면(500)의 공기홀(510)로 이동된다.
제1 막음용 구조부(710)는 제1장착부위(P1)에 나사결합된다. 제2 막음용 구조부(720)는 제2 장착부위에 나사결합된다. 보강용 구조부(730)는, 믹싱 헤드면(500), 공기블록(300)을 관통해 제2장착부위(P2)에 위치된 제2 막음용 구조부(720)와 연결된다. 제2 막음용 구조부(720)와 연결되는 보강용 구조부(730)의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즉, 보강용 구조부(730)는 제2 막음용 구조부(720)와 나사 결합된다.
제2 막음용 구조부(720) 및 제2장착부위(P2)의 나사결합 방향과, 보강용 구조부(730) 및 제2 막음용 구조부(720)의 나사결합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이에 따라, 보강용 구조부(730)가 제2 막음용 구조부(720)와 나사결합되더라도, 제2 막음용 구조부(720)가 제2장착부위(P2)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제4장착부위(P4)는, 점화부(400)에서 공기블록(300) 방향으로 파여진 홈(P4-1)을 포함한다. 보강용 구조부(730)는, 홈(P4-1) 내부에 위치되는 헤드(731)를 포함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3장착부위(P3)의 내경은 보강용 구조부(73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공기블록(300)에 존재하는 공기가 홈(P4-1)을 통해 점화부(400)로 이동하도록 헤드(731)의 일면에 유동홈(731A)이 1개 이상 형성된다. 유동홈(731A)의 갯수와 크기에 따라서 점화부(400)로 이동되는 공기의 량이 증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유동홈(731A)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서 믹싱 헤드면(500)이 냉각되므로, 보강용 구조부(730)가 장착된 믹싱 헤드면(500)의 국소부위에 연소열이 누적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홈(P4-1)에 헤드(731)가 위치되므로, 보강용 구조부(730) 즉 헤드(731)이 화염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인젝터(600)는 제1장착부위(P1) 내지 제4장착부위(P4)를 관통하도록 장착부에 장착된다. 복합인젝터(600)는 연료유로와 연통된 연료인젝터와, 연료인젝터와 동심을 이루고 내경이 연료인젝터의 외경보다 크며, 산화제유로와 연통된 산화제인젝터를 포함한다. 연료인젝터는 제1장착부위(P1)에 나사결합되고, 제2장착부위(P2) 내지 제4장착부위(P4)를 관통한다. 산화제인젝터는 제2장착부위(P2)에 나사결합되고, 제3장착부위(P3) 내지 제4장착부위(P4)를 관통한다.
복합인젝터(600)의 타단부는 믹싱 헤드면(500)으로부터 돌출된다. 믹싱 헤드면(500)으로 돌출된 복합인젝터(600)의 타단부 내측에서 연료인젝터와 산화제인젝터가 연통된다. 즉, 연료라인으로부터 공급된 연료와, 산화제라인으로부터 공급된 산화제가 믹싱 헤드면(500)으로부터 돌출된 복합인젝터(600)의 타단부에서 혼합되고, 혼합된 상태로 점화부(400)에 공급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공기 가열기를 조립하는 방법은, 연료블록에 형성된 제1장착부위(P1)에 제1 막음용 구조부(710)가 결합되고, 산화제블록에 형성된 제2장착부위(P2)에 제2 막음용 구조부(720)가 결합되는 제1 결합 단계와, 연료블록 일면에 산화제블록이 결합되고, 산화제블록 일면에 공기블록과 믹싱 헤드면(500)이 결합되는 제2 결합 단계와, 믹싱 헤드면(500)에 형성된 제4장착부위(P4) 및 공기블록에 형성된 제3장착부위(P3)를 관통하도록 보강용 구조부(730)가 장착되는 제3 결합 단계를 포함한다.
제1 결합 단계에서 제1 막음용 구조부(710) 또는 제2 막음용 구조부(720)가 장착되지 않은 제1장착부위(P1)와 제2장착부위(P2)에 각각 복합인젝터(600)에 포함되는 연료인젝터와 산화제인젝터가 장착된다. 제2 결합 단계에서, 연료인젝터가 산화제인젝터 내부로 삽입된다.
제3 결합 단계에서, 보강용 구조부(730)가 제2 막음용 구조부(720)와 연결된다. 보강용 구조부(730)는 믹싱 헤드면(500) 밖에서 제4장착위치로 삽입되고, 제2 막음용 구조부(720)가 제2장착부위(P2)와 나사결합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제2 막음용 구조부(720)와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제3 결합 단계 이후에, 점화부(400)가 믹싱 헤드면(500) 일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공기 가열기의 유량 조절 방법을 보여주는 절차도이다.
점화부(400)로 유입되는 연료, 산화제의 유량을 증대시킬 때는, 보강부(700)가 분리된 장착부에 복합인젝터(600)가 추가 장착된다. 이때, 복합인젝터(600)는 용량이 다른 복합인젝터(600)로 교체될 수 있다. 장착부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보강부(700)의 보강용 구조부(730)는 헤드(731)의 일면에 형성된 유동홈(731A)이 더 많고 큰 보강용 구조부(730)로 교체될 수 있다.
한편, 점화부(400)로 유입되는 연료, 산화제의 유량을 감소시킬 때는, 복합인젝터(600)가 분리된 장착부에 보강부(700)가 추가 장착된다. 이때, 복합인젝터(600)는 용량이 작은 다른 복합인젝터(600)로 교체될 수 있다. 보강부(700)의 보강용 구조부(730)는 헤드(731)의 일면에 형성된 유동홈(731A)이 더 적고 작은 보강용 구조부(730)로 교체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공기 가열기 및 공기 가열기를 조립하는 방법에 따르면, 장착부에 장착되는 복합인젝터(600)와 보강부(700)의 갯수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점화부(400)에 공급되는 연료, 산화제, 공기의 량을 쉽게 변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복합인젝터(600) 및 보강부(700)에 의해 믹싱 헤드면(500)이 지지되므로, 연소 압력에 의해서 믹싱 헤드면(500)의 중심부가 공기블록(300)을 향해 볼록하게 부풀어 오르는 등의 구조적 취약점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도 11은 연소시 믹싱 헤드면에 발생된 응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연소시 믹싱 헤드면에 발생된 변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에는 CFD해석을 수행한 결과가 도시되었다. 도 11의 A 및 도 12의 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공기 가열기에 구비된 믹싱 헤드면의 응력, 변위를 보여준다. 도 11의 B 및 도 12의 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공기 가열기에 구비된 믹싱 헤드면(500)의 응력, 변위를 보여준다.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공기 가열기와 대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공기 가열기는 믹싱 헤드면(500) 정중앙에 보강부(700)가 하나 배치되었다. 그 결과 응력은 약 1/2, 변위는 약 1/10로 감소하였다.
또한,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공기 가열기 및 공기 가열기를 조립하는 방법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보강부(700)와 복합인젝터(600)를 교체 설치하고, 복합인젝터(600)의 용량을 변경할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 공기 가열기와 같이 점화부로 유입되는 연료 유량 또는 공기 유량의 범위가 인젝터의 배열에 크게 영향을 받던 구조에 비하여, 다양한 연료 유량 또는 공기 유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 뿐만 아니라, 믹싱 헤드면(500)이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연료 유량 및 공기 유량 증가에 따라 연소 압력이 증가 하더라도 효과적으로 공기를 가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궁극적으로, 공기 가열기의 처리 용량을 확장시킬 것이다.
100: 연료블록 200: 산화제블록
300: 공기블록 400: 점화부
500: 믹싱 헤드면 510: 공기홀
600: 복합인젝터 700: 보강부
710: 제1 막음용 구조부 720: 제2 막음용 구조부
730: 보강용 구조부 731: 헤드
731A: 유동홈 P1: 제1장착부위
P2: 제2장착부위 P3: 제3장착부위
P4: 제4장착부위 P4-1: 홈

Claims (10)

  1. 연료가 유입되는 연료블록;
    상기 연료블록 일측에 위치되고 산화제가 유입되는 산화제블록;
    상기 산화제블록 일측에 위치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블록;
    상기 공기블록 일측에 위치되고, 초기 점화를 유도하는 점화부;
    상기 점화부와 상기 공기블록 사이에 위치되고, 공기가 상기 공기블록으로부터 상기 점화부로 이동되도록 형성된 1개 이상의 공기홀을 포함하는 믹싱 헤드면;
    상기 연료블록에 단부가 위치하고 상기 산화제블록, 상기 공기블록, 상기 믹싱헤드면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1개 이상의 복합인젝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합인젝터가 장착되도록 상기 연료블록, 상기 산화제블록, 상기 공기블록, 상기 믹싱 헤드면에 형성된 1개 이상의 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연소 압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보강부가 장착된 공기 가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장착부 중 상기 연료블록에 형성된 제1장착부위에 위치되는 제1 막음용 구조부;
    상기 장착부 중 상기 산화제블록에 형성된 제2장착부위에 위치되는 제2 막음용 구조부;
    상기 장착부 중 상기 공기블록에 형성된 제3장착부위 및 상기 믹싱 헤드면에 형성된 제4장착부위에 위치되는 보강용 구조부를 포함하는 공기 가열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용 구조부는,
    상기 믹싱 헤드면, 상기 공기블록을 관통해 상기 제2장착부위에 위치된 상기 제2 막음용 구조부와 연결되는 공기 가열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막음용 구조부와 연결되는 상기 보강용 구조부의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공기 가열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장착부위는,
    상기 점화부에서 상기 공기블록 방향으로 파여진 홈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용 구조부는,
    상기 홈 내부에 위치되는 헤드를 포함하는 공기 가열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장착부위의 내경이 상기 보강용 구조부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공기블록에 존재하는 공기가 상기 홈을 통해 상기 점화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헤드의 일면에 유동홈이 1개 이상 형성된 공기 가열기.
  7.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에 기재된 공기 가열기 중 어느 하나의 공기 가열기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료블록에 형성된 제1장착부위에 상기 제1 막음용 구조부가 결합되고, 상기 산화제블록에 형성된 제2장착부위에 상기 제2 막음용 구조부가 결합되는 제1 결합 단계;
    상기 연료블록 일면에 상기 산화제블록이 결합되고, 상기 산화제블록 일면에 상기 공기블록과 상기 믹싱 헤드면이 결합되는 제2 결합 단계;
    상기 믹싱 헤드면에 형성된 제4장착부위 및 상기 공기블록에 형성된 제3장착부위를 관통하도록 상기 보강용 구조부가 장착되는 제3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 가열기를 조립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결합 단계에서,
    상기 보강용 구조부가 상기 제2 막음용 구조부와 연결되는 공기 가열기를 조립하는 방법.
  9. 연료가 유입되는 연료블록;
    상기 연료블록 일측에 위치되고 산화제가 유입되는 산화제블록;
    상기 산화제블록 일측에 위치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블록;
    상기 공기블록 일측에 위치되고, 초기 점화를 유도하는 점화부;
    상기 점화부와 상기 공기블록 사이에 위치되고, 공기가 상기 공기블록으로부터 상기 점화부로 이동되도록 형성된 1개 이상의 공기홀을 포함하는 믹싱 헤드면;
    상기 연료블록에 단부가 위치하고 상기 산화제블록, 상기 공기블록, 상기 믹싱헤드면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1개 이상의 복합인젝터;
    상기 복합인젝터가 장착되도록 상기 연료블록, 상기 산화제블록, 상기 공기블록, 상기 믹싱 헤드면에 형성된 1개 이상의 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된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점화부로 유입되는 상기 연료, 상기 산화제의 유량을 증대시킬 때는, 상기 보강부가 분리된 상기 장착부에 상기 복합인젝터가 장착되는 공기 가열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부로 유입되는 상기 연료, 상기 산화제의 유량을 감소시킬 때는, 상기 복합인젝터가 분리된 상기 장착부에 상기 보강부가 장착되는 공기 가열기.
KR1020190114617A 2019-09-18 2019-09-18 공기 가열기 및 공기 가열기를 조립하는 방법 KR102066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617A KR102066491B1 (ko) 2019-09-18 2019-09-18 공기 가열기 및 공기 가열기를 조립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617A KR102066491B1 (ko) 2019-09-18 2019-09-18 공기 가열기 및 공기 가열기를 조립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6491B1 true KR102066491B1 (ko) 2020-01-15

Family

ID=69156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617A KR102066491B1 (ko) 2019-09-18 2019-09-18 공기 가열기 및 공기 가열기를 조립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4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4619B2 (ja) * 2004-09-29 2010-01-06 ライスター プロセス テクノロジーズ 空気加熱器
KR20100024742A (ko) * 2008-08-26 2010-03-0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액체로켓의 연소기 헤드
KR101413476B1 (ko) 2013-04-10 2014-07-01 국방과학연구소 공기가열기
KR20150109630A (ko) * 2014-03-20 2015-10-0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리어헤드
KR101622178B1 (ko) 2016-03-03 2016-05-18 국방과학연구소 냉각핀을 구비하는 인젝터를 포함하는 공기가열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4619B2 (ja) * 2004-09-29 2010-01-06 ライスター プロセス テクノロジーズ 空気加熱器
KR20100024742A (ko) * 2008-08-26 2010-03-0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액체로켓의 연소기 헤드
KR101413476B1 (ko) 2013-04-10 2014-07-01 국방과학연구소 공기가열기
KR20150109630A (ko) * 2014-03-20 2015-10-0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리어헤드
KR101622178B1 (ko) 2016-03-03 2016-05-18 국방과학연구소 냉각핀을 구비하는 인젝터를 포함하는 공기가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0195B2 (ja) 3元高圧空気操作バルブ
JP4969384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冷却構造
KR102161961B1 (ko) 연소기용 패널, 연소기, 연소 장치, 가스 터빈, 및 연소기용 패널의 냉각 방법
US20160131277A1 (en) Pressure control valve and control valve
KR102066491B1 (ko) 공기 가열기 및 공기 가열기를 조립하는 방법
KR20210115851A (ko) 솔레노이드 밸브
JP2008121961A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用の音響ライナー
JP2008121961A5 (ko)
CN106795841B (zh) 控制阀装置
JP6939390B2 (ja) 燃料噴射弁
WO2016163271A1 (ja) 減圧弁
WO2016143264A1 (ja) 燃料噴射装置
JP5524149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用の音響ライナー、ガスタービン燃焼器、およびガスタービン
JP4994048B2 (ja) 油圧制御装置
KR102538807B1 (ko) 스풀 밸브
JP4986884B2 (ja) ロードセンシングバルブ
JP2015127633A (ja) 燃料ノズル、これを備えた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
EP3392570B1 (en) Combustor nozzle assembly and gas turbine having the same
JP4682979B2 (ja) 燃料噴射弁
JP2016091890A (ja) 燃料供給ユニット
JP2008274792A (ja) 流体噴射ノズル
CN213332475U (zh)
JP2018066469A (ja) 燃料インジェクタのためのガスケット
JP5357631B2 (ja) 燃料ノズル、これを備えた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
JP2001282362A (ja) 絞り弁およびそれを用いた切換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