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432B1 -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432B1
KR102064432B1 KR1020190072141A KR20190072141A KR102064432B1 KR 102064432 B1 KR102064432 B1 KR 102064432B1 KR 1020190072141 A KR1020190072141 A KR 1020190072141A KR 20190072141 A KR20190072141 A KR 20190072141A KR 102064432 B1 KR102064432 B1 KR 102064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transmission
electronic device
vehicl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90072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 내에 설치된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부가 차량 내에 설치된 전장품의 종류와 상기 전장품이 설치된 방향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장품이 설치된 방향별로 상기 전장품의 종류에 대응하여 무선 전송할 전력의 크기를 조절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CONTROLLING METHOD FOR APPARATUS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장착되는 복수의 전자 장치(또는 전장품)에 무선 방식으로 전원(또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차의 보급이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기차의 모터 구동을 위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가 도입되고 있다. 상기 전기차 충전 인프라에는 무선 방식으로 전기차를 충전하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도 함께 진행되고 있다.
반면에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전자 장치(또는 전장품)는 배선(또는 와이어 하네스)을 통해 구동 전원(또는 전력)을 공급받고 있다.
상기와 같이 차량내 배선을 통해 각 전자 장치(또는 전장품)에 구동 전원(또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전선, 단자, 및 커넥터 등 다수의 결선 부품이 필요하게 되어 차량의 배선 계통이 복잡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자율주행 차량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더욱 많은 센서와 전자 장치(또는 전장품)가 추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배선 계통이 더욱 복잡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차량에서 배선 계통의 복잡성을 해소하고 전자 장치(또는 전장품)의 업그레이드나 고장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원(또는 전력) 공급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50228호(2019.05.10. 공개, 차량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충전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차량에 장착되는 복수의 전자 장치(또는 전장품)에 무선 방식으로 전원(또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차량 내에 설치된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부가 차량 내에 설치된 전장품의 종류와 상기 전장품이 설치된 방향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장품이 설치된 방향별로 상기 전장품의 종류에 대응하여 무선 전송할 전력의 크기를 조절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는, 복수의 전력 전송 코일을 포함하는 전력 송신부; 차량 내에 설치된 다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차량 내의 전자장치나 전장품, 및 차량의 전자제어장치(ECU)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정보들을 바탕으로 상기 전력 송신부 및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다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상기 차량 내의 전자장치나 전장품을 향하여 지정된 크기의 전력이 무선 전송되게 하는 제어부; 무선으로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부; 및 상기 전력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전력을 저장하는 전력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력 저장부에 저장된 전력 잔량을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력 전송 코일은, 각기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또한 각기 크기가 다른 전력을 전송할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이 설치된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전력 송신부에 배치된 복수의 전력 전송 코일 중 지정된 방향으로 배치된 전력 전송 코일부터 다음 지정된 방향으로 배치된 전력 전송 코일을 지정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로 구동하여 기 설정된 크기의 전력을 무선 전송하며, 상기와 같이 전력 전송 코일을 순차로 구동하여 지정된 크기의 전력을 무선 전송할 때 상기 무선 전송할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특정 전장품과 통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통신이 이루어진 시점에 전력이 전송된 전력 전송 코일의 방향을 전장품이 설치된 방향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의 종류를 인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장품과 통신하여 수신한 특정신호를 바탕으로 전장품의 종류를 인식하며, 상기 특정신호는, 충전신호, Ack신호, ID신호, 및 전장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송할 전력의 크기를 조절하여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장품의 종류와 전장품이 설치된 방향이 인식되면, 상기 인식한 전장품의 종류 및 방향 정보를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고, 상기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전장품의 종류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해당 전장품의 필요전력 이상의 크기를 갖는 전력을 무선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복수의 전자 장치(또는 전장품)에 무선 방식으로 전원(또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에서 배선 계통의 복잡성을 해소하고 전자 장치(또는 전장품)의 업그레이드나 고장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이용해 차량의 전장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8은 상기 도 7에 있어서, 전력 공급 계통 표시부에 표시되는 무선 전원 공급 계통을 보인 예시도.
도 9는 상기 도 8에 있어서, 각 전원 소오스에서 전장품으로 무선 전원 공급 라인을 생성하거나 삭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는, 전력 송신부(110), 통신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각 구성수단(110, 120, 130)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전력 송신부(110)는 복수의 전력 전송 코일(또는 전력 전송 패드, 전력 전송 안테나 등)(111, 112, 113, 114)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전력 전송 코일(111, 112, 113, 114)은 각기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또한 상기 복수의 전력 전송 코일(111, 112, 113, 114)은 각기 크기가 다른 전력을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통신부(120)는 차량 내에 설치된 다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와 무선(또는 유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20)는 차량 내에 장착된 복수의 전자 장치(또는 전장품)와 무선(또는 유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20)는 차량 내의 전자제어장치(ECU : Electronic Control Unit, 미도시)와 무선(또는 유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통신부(120)를 통해 전달받은 정보(예 : 전장품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 다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정보, ECU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들을 바탕으로 각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30)는 전력 송신부(110)의 복수의 전력 전송 코일(또는 전력 전송 패드, 전력 전송 안테나 등)(111, 112, 113, 114)의 온오프를 각기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복수의 전력 전송 코일(111, 112, 113, 114)의 전송 전력(또는 송신 전력)의 크기를 각기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전력을 수신하는 전장품의 종류(예 : ID, 필요전력)을 인식할 수 있으며, 전장품이 설치된 방향 정보를 검출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장품이 설치된 방향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전력 송신부(110)의 복수의 전력 전송 코일(또는 전력 전송 패드, 전력 전송 안테나 등)(111, 112, 113, 114)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로 온오프 제어하여(즉, 스캔하여) 전력을 전송하고, 상기 전력 전송 코일(111, 112, 113, 114)을 통해 전송된 전력을 수신한 전장품이 구동되어 송신하는 특정신호(예 : 충전신호, Ack신호, ID신호, 전장품 정보 등)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전장품이 설치된 방향(즉, 상기 전장품에서 특정신호가 수신될 때에 전력을 전송한 전력 전송 코일이 향하는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는, 전력 수신부(140) 및 전력 저장부(160)를 더 포함하고, 차량의 배터리(미도시)에서 유선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150)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전력 수신부(140)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한다.
따라서 상기 전력 수신부(140)는 전력 수신 코일(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기능 이외에 상기 전력 수신부(140)를 통해 수신된 전력을 상기 전력 저장부(16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전력 저장부(160)의 전력 잔량을 체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시간당 전력 소모량을 바탕으로 상기 전력 저장부(160)의 전력 잔량을 전력 공급 가능한 시간으로 환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전력 저장부(160)의 전력 잔량에 따라 상기 통신부(120)를 통해 차량 내에 설치된 다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에 전송 전력의 크기(또는 세기)를 증가(또는 감소)시키도록 요청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이용해 차량의 전장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즉, 제1 전력 송수신 장치)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즉, 제2 전력 송수신 장치)는 차량 내에 각기 복수개가 설치되거나 장착될 수 있으며, 상호간에 통신을 수행하여 전력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력 송수신 장치는 차량의 배터리에서 직접적으로 전원(또는 전력)을 공급받아 무선 전력 송신을 수행하며, 전력 전송 코일(또는 전력 전송 패드, 전력 전송 안테나 등)(111, 112, 113, 114)에 따라 지정된 방향별로 대전력 전송, 또는 소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대전력 전송은 필요전력이 많은 전장품이나 상기 제2 전력 송수신 장치를 향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력 송수신 장치는 상기 제1 전력 송수신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송신되는 전력을 공급받아 무선 전력 송신을 수행하며, 전력 전송 코일(또는 전력 전송 패드, 전력 전송 안테나 등)(111, 112, 113, 114)에 따라 지정된 방향별로 크기가 조절된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부(130)는 전장품이 설치된 방향별로 무선 전송할 전력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전장품의 종류와 전장품이 설치된 위치를 검출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가 차량 내에 설치된 전장품의 종류와 상기 전장품이 설치된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전장품이 설치된 방향별로 무선 전송할 전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전력 전송 코일(111, 112, 113, 114)을 통해 무선 전송할 전력의 크기를 최소로 설정한다(S101).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전력 송신부(110)에 배치된 복수의 전력 전송 코일(111, 112, 113, 114) 중 지정된 방향으로 배치된 전력 전송 코일부터 다음 지정된 방향으로 배치된 전력 전송 코일을 지정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로 구동하여 상기 설정된 크기의 전력을 무선 전송한다(S102). 즉, 전력 송신부(110)에 배치된 복수의 전력 전송 코일(111, 112, 113, 114) 중 지정된 방향으로 배치된 전력 전송 코일부터 전(全) 방향으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로 스캔하는 방식으로 다음 전력 전송 코일을 통해 상기 설정된 크기의 전력을 무선 전송한다.
이때 상기 차량 내에 설치되는 전장품은 무선 전송되는 전원(또는 전력)을 수신하여 구동되는 전자장치로서,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전장품, 또는 소전력을 필요로 하는 전장품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소전력을 필요로 하는 전장품은 상기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에서 최소의 크기(예 : 제1 전력 크기)로 설정된 전력을 무선 수신하여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전장품은 상기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에서 최대의 크기(예 : 제2 전력 크기)로 설정된 전력을 무선 수신하여 구동될 수 있다. 즉, 전장품별로 구동되는 전력(즉, 필요전력)의 크기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가 최소 전력부터 최대 전력까지 지정된 단위로 전력을 증가시키며 전송했을 때 상기 필요전력의 크기가 작은 전장품부터 구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동된 전장품은 지정된 특정신호(예 : 충전신호, Ack신호, 전장품의 종류나 ID신호, 전장품 정보 등)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와 같이 전(全)방향으로 순차 스캔하며 지정된 크기의 전력을 무선 전송할 때 특정 전장품과 통신이 이루어지면(S103의 예), 상기 통신이 이루어진 시점에 해당 스캔 방향을 전장품이 설치된 방향으로 인식한다(S106).
한편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전에 설정된 전력으로 전(全)방향 스캔을 통해 무선 전력 전송이 완료될 경우, 다음 스캔을 위해 상기 이전에 설정된 전력의 크기가 최대가 아닐 경우(S104의 아니오)에는 지정된 단위로 전송 전력의 크기를 증가시킨 후(S105) 다시 전(全)방향 스캔을 통해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하며(S102), 상기 이전에 설정된 전력의 크기가 최대인 경우(S104의 예)에는 다음 스캔을 위해 전송 전력의 크기를 최소로 설정한다(S101). 상기와 같이 차량 내에 설치된 전장품을 스캔을 통해 인식하는 과정(S101 ~ S105)은 차량 시동 시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또는 운전자의 지시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전장품과 통신하여 수신한 특정신호(예 : 충전신호, Ack신호, 전장품의 종류나 ID신호, 전장품 정보 등)를 바탕으로 전장품의 종류를 인식한다(S107).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S106 단계 및 상기 S107 단계에서 인식한 전장품의 종류 및 방향 정보를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한다(S108).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전장품의 종류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해당 전장품의 필요전력 이상의 크기를 갖는 전력을 무선 전송한다(S109).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과정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즉, 제2 전력 송수신 장치)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즉, 제2 전력 송수신 장치)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즉, 제1 전력 송수신 장치)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하여 동작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2 전력 송수신 장치는 상기 제1 전력 송수신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송신되는 전력을 공급받아 무선 전력 송신을 수행하며, 전력 전송 코일(111, 112, 113, 114)에 따라 지정된 방향별로 크기가 조절된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부(130)는 무선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하여(S201) 상기 수신된 전력을 전력 저장부(160)에 저장한다(S202).
그리고 상기 S109 단계에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저장부(160)에 저장된 전력을 이용하여, 해당 전장품의 종류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해당 전장품의 필요전력 이상의 크기를 갖는 전력을 무선 전송한다(S203).
아울러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전력 저장부(160)의 전력 잔량을 체크하고, 시간당 전력 소모량을 바탕으로 상기 전력 저장부(160)의 전력 잔량을 전력 공급 가능한 시간(또는 전력 전송 가능한 시간)으로 환산하여, 전력 전송 가능 시간이 지정된 기준 이하인 경우(S204의 예), 상기 제1 전력 송수신 장치에 알람 신호를 전송한다(S205).
이에 따라 상기 제1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부(130)가 차량의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를 통해 알람 신호(예 : 제2 전력 송수신 장치의 상태)를 출력한다(S206).
이에 따라 상기 제1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부(130)가 상기 제2 전력 송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전력의 크기를 증가시켜 전송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2 전력 송수신 장치가 전송하는 전력의 크기를 제한시킬 수도 있다.
이하 상기 제2 전력 송수신 장치에서 전력 전송 가능 시간이 지정된 기준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전력 송수신 장치가 동작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전력 송수신 장치에서 전력 전송 가능 시간이 지정된 기준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부(130)는 상기 제1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부(130)를 통해 전력 전송을 제한할 전장품 정보를 수신한다(S301). 이때 상기 전력 전송을 제한할 전장품 정보의 우선순위는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부(130)는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룩업 테이블에서 해당 전장품(즉, 전력 전송을 제한할 전장품)의 종류 및 방향 정보를 인출한다(S302).
그리고 상기 제2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부(130)는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 인출된 해당 전장품(즉, 전력 전송을 제한할 전장품)이 설치된 방향의 지정된 범위 내에 다른 전장품이 설치되어 있는지 체크한다(S303).
상기 체크(S303) 결과, 해당 전장품(즉, 전력 전송을 제한할 전장품)이 설치된 방향의 지정된 범위 내에 다른 전장품이 설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S303의 아니오), 해당 전장품(즉, 전력 전송을 제한할 전장품)이 설치된 방향에 대응하는 전력송신 코일을 오프시킨다(S306).
그러나 상기 체크(S303) 결과, 해당 전장품(즉, 전력 전송을 제한할 전장품)이 설치된 방향의 지정된 범위 내에 다른 전장품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S303의 예), 상기 제2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부(130)는 상기 제1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부(130)에 상태 정보(즉, 전력 전송을 제한한 전장품이 설치된 방향에 다른 전장품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력을 제한할 수 없는 상태임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한다(S304).
이에 따라 상기 제1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부(130)는 차량의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를 통해 상태 정보(즉, 전력 전송을 제한한 전장품이 설치된 방향에 다른 전장품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력을 제한할 수 없는 상태임을 알리는 정보)를 출력한다(S305).
이에 따라 운전자가 해당 전장품(즉, 전력 전송을 제한할 전장품)을 매뉴얼 방식으로 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력을 전송할 전장품이 없어지면 결과적으로 제2 전력 송수신 장치에서 전송할 전력을 감소시키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또는 전원 소오스)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전력 공급 계통 표시부(1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력 공급 계통 표시부(170)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통해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장치(예 : 전장품, 또는 다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간의 무선 전원 공급 계통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상기 전력 공급 계통 표시부(170)에 표시된 무선 전원 공급 계통을 통해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또는 전원 소오스)와 이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는 장치(예 : 전장품, 또는 다른 전원 소오스)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도 8 참조). 상기 전력 공급 계통 표시부(170)는 입력 수단으로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도 7에 있어서, 전력 공급 계통 표시부에 표시되는 무선 전원 공급 계통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전원 소오스로부터 무선 전원을 공급받는 장치(예 : 전장품, 제2 전원 소오스)가 표시되며, 제2 전원 소오스로부터 무선 전원을 공급받는 장치(예 : 전장품)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각 전원 소오스(예 : 제1 전원 소오스, 제2 전원 소오스)에서 전장품(예 : 제1 ~ 제5 전장품, 제6 ~ 제7 전장품)으로 연결된 복수의 라인(즉, 무선 전원 공급 라인)에는 각기 스위치(SW)가 표시되며,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SW)를 통해 무선 전원 공급을 유지(예 : ON 스위치 입력 시)하거나 차단(예 : OFF 스위치 입력 시)할 수 있다.
도 9는 상기 도 8에 있어서, 상기 각 전원 소오스(예 : 제1 전원 소오스, 제2 전원 소오스)에서 전장품(예 : 제1 ~ 제5 전장품, 제6 ~ 제7 전장품)으로 라인(즉, 무선 전원 공급 라인)을 생성하거나 삭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공급 계통 표시부(170)에 제1 전원 소오스와 복수의 전장품(예 : 제1 ~ 제3 전장품)이 표시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사용자가 제1 전원 소오스의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로 라인(즉, 무선 전원 공급 라인)을 생성하고자 하는 전장품(예 : 제1 전장품)의 아이콘까지 드래그하면(도 9의 (a),(b) 참조), 제1 전원 소오스의 아이콘에서 전장품(예 : 제1 전장품)의 아이콘까지 라인(즉, 무선 전원 공급 라인)이 생성된다.
상기와 같이 라인(즉, 무선 전원 공급 라인)이 생성되면 해당 라인 상에 무선 전원 공급을 유지(예 : ON 스위치 입력 시)하거나 차단(예 : OFF 스위치 입력 시)할 수 있는 스위치(SW)가 생성된다(도 9의 (b) 참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SW)에서 OFF 스위치 입력(터치) 시(도 9의 (c) 참조), 해당 라인(즉, 무선 전원 공급 라인)이 삭제되거나, 상기 스위치(SW)가 OFF 상태로 표시된다(도 9의 (d) 참조).
한편 상기 라인(즉, 무선 전원 공급 라인)을 재 연결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도 9의 (a),(b) 과정을 반복하거나, 상기 스위치(SW)에서 ON 스위치 입력(터치)을 수행하면 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전원 공급 계통 표시부(170)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예 : 드래그 입력, 스위치 ON/OFF 터치 입력)을 검출하여 라인(즉, 무선 전원 공급 라인)을 생성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되는 복수의 전자 장치(또는 전장품)에 무선 방식으로 전원(또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에서 배선 계통의 복잡성을 해소하고 전자 장치(또는 전장품)의 업그레이드나 고장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110 : 전력 송신부 111, 112, 113, 114 : 전력 전송 코일
120 : 통신부 130 : 제어부
140 : 전력 수신부 150 : 전원 공급부
160 : 전력 저장부 170 : 전원 공급 계통 표시부

Claims (6)

  1. 차량 내에 설치된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부가 차량 내에 설치된 전장품의 종류와 상기 전장품이 설치된 방향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장품이 설치된 방향별로 상기 전장품의 종류에 대응하여 무선 전송할 전력의 크기를 조절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는, 제1 및 제2 전력 송수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력 송수신 장치는,
    복수의 전력 전송 코일을 포함하는 전력 송신부;
    차량 내에 설치된 다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차량 내의 전자장치나 전장품, 및 차량의 전자제어장치(ECU)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정보들을 바탕으로 상기 전력 송신부 및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다른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상기 차량 내의 전자장치나 전장품을 향하여 지정된 크기의 전력이 무선 전송되게 하는 제어부;
    무선으로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부; 및
    상기 전력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전력을 저장하는 전력 저장부;를 각기 포함하며,
    상기 제2 전력 송수신 장치는 차량 내에 복수개가 설치되거나 장착되며,
    상기 제2 전력 송수신 장치는,
    상기 제1 전력 송수신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송신되는 전력을 공급받아 차량 내의 전자장치나 전장품에 지정된 크기의 전력을 무선 전송하되,
    상기 제2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부가 상기 제1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부를 통해 전력 전송을 제한할 전장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부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룩업 테이블에서 전력 전송을 제한할 전장품의 종류 및 방향 정보를 인출하는 단계;
    상기 제2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부가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 인출된 전력 전송을 제한할 전장품이 설치된 방향의 지정된 범위 내에 다른 전장품이 설치되어 있는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 결과, 전력 전송을 제한할 전장품이 설치된 방향의 지정된 범위 내에 다른 전장품이 설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제2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부가 전력 전송을 제한할 전장품이 설치된 방향에 대응하는 전력송신 코일을 오프시키는 단계;
    상기 체크 결과, 전력 전송을 제한할 전장품이 설치된 방향의 지정된 범위 내에 다른 전장품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제2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부가 상기 제1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부에 상기 전력 전송을 제한할 전장품이 설치된 방향의 지정된 범위 내에 다른 전장품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력을 제한할 수 없는 상태임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부가 차량의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를 통해 상기 전력 전송을 제한할 전장품이 설치된 방향의 지정된 범위 내에 다른 전장품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력을 제한할 수 없는 상태임을 알리는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운전자에 의해 상기 전력 전송을 제한할 전장품을 매뉴얼 방식으로 오프(OFF)시킬 수 있게 알리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2. 삭제
  3. 제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력 전송 코일은,
    각기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또한 각기 크기가 다른 전력을 전송할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이 설치된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전력 송신부에 배치된 복수의 전력 전송 코일 중 지정된 방향으로 배치된 전력 전송 코일부터 다음 지정된 방향으로 배치된 전력 전송 코일을 지정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로 구동하여 기 설정된 크기의 전력을 무선 전송하며,
    상기와 같이 전력 전송 코일을 순차로 구동하여 지정된 크기의 전력을 무선 전송할 때 상기 무선 전송할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특정 전장품과 통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통신이 이루어진 시점에 전력이 전송된 전력 전송 코일의 방향을 전장품이 설치된 방향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의 종류를 인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장품과 통신하여 수신한 특정신호를 바탕으로 전장품의 종류를 인식하며,
    상기 특정신호는,
    충전신호, Ack신호, ID신호, 및 전장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송할 전력의 크기를 조절하여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장품의 종류와 전장품이 설치된 방향이 인식되면,
    상기 인식한 전장품의 종류 및 방향 정보를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고,
    상기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전장품의 종류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해당 전장품의 필요전력 이상의 크기를 갖는 전력을 무선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90072141A 2019-06-18 2019-06-18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64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141A KR102064432B1 (ko) 2019-06-18 2019-06-18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141A KR102064432B1 (ko) 2019-06-18 2019-06-18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4432B1 true KR102064432B1 (ko) 2020-01-10

Family

ID=69158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141A KR102064432B1 (ko) 2019-06-18 2019-06-18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4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4606A (ja) 2010-05-19 2011-12-0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無線給電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4606A (ja) 2010-05-19 2011-12-0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無線給電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18545A1 (en) Integrating a wireless charging device with a human machine interface (hmi)
CN110518707B (zh) 发射端设备、接收端设备及无线充电方法
JP5975525B2 (ja) 車載システム、車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車両制御方法
CA2528564A1 (en) Vehicle integrated radio remote control
US20130005258A1 (en) Short-range communication system, in-vehicle apparatus, and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3095943B (zh) 利用智能手机控制车载电子设备的方法及系统
US7893634B2 (en) Wireless manual pulse generator
KR102064432B1 (ko)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64431B1 (ko)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KR102064430B1 (ko)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64428B1 (ko)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KR102064429B1 (ko)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KR102044277B1 (ko)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CN105691327B (zh) 智能设备的车载系统、智能设备和车载底座
KR102044282B1 (ko)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CN101600009A (zh) 无线控制装置及具有该控制装置的无线通信装置
JP5556785B2 (ja) 制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03209252A (zh) 一种万能遥控系统
CN114865746A (zh) 无线充电系统及车辆
CN103457813A (zh) 配件用模块设备和用于在车辆总线上通信的方法
CN112185096A (zh) 语音遥控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100116268A (ko)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서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N103873646A (zh) 一种万能遥控系统
CN111552372A (zh) 车载装置
CN203181045U (zh) 一种万能遥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