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316B1 - 부타디엔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부타디엔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316B1
KR102064316B1 KR1020160182368A KR20160182368A KR102064316B1 KR 102064316 B1 KR102064316 B1 KR 102064316B1 KR 1020160182368 A KR1020160182368 A KR 1020160182368A KR 20160182368 A KR20160182368 A KR 20160182368A KR 102064316 B1 KR102064316 B1 KR 102064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adiene
unit
butene
oxidative dehydrogenation
but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7725A (ko
Inventor
김은교
김미경
이재익
이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182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316B1/ko
Priority to JP2018552006A priority patent/JP6617389B2/ja
Priority to EP17885613.4A priority patent/EP3424894B1/en
Priority to US16/072,751 priority patent/US10710944B2/en
Priority to CN201780013886.5A priority patent/CN108713008B/zh
Priority to PCT/KR2017/014932 priority patent/WO2018124575A1/ko
Publication of KR20180077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carbon atoms
    • C07C5/32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carbon atoms by dehydrogenation with formation of free hydrogen
    • C07C5/327Formation of non-aromatic carbon-to-carbon double bonds only
    • C07C5/333Catalytic processes
    • C07C5/3332Catalytic processes with metal oxides or metal sulf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carbon atoms
    • C07C5/42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carbon atoms by dehydrogenation with a hydrogen acceptor
    • C07C5/48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carbon atoms by dehydrogenation with a hydrogen acceptor with oxygen as an accepto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1/00Aliphatic unsaturated hydrocarbons
    • C07C11/12Alkadienes
    • C07C11/16Alkadienes with four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005Processes comprising at least two steps in se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04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09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fractional conden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11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absorption, i.e. pur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ous hydrocarbons with the aid of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12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adsorption, i.e. purification or separation of hydrocarbons with the aid of solids, e.g. with ion-exchang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20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87Removing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 C07C25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C07C2523/74Iron group metals
    • C07C2523/745Ir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82Recycling of unreacted starting or intermediate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타디엔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희석기체로 부탄을 사용하여, 극저온 냉매보다 낮은 냉매를 사용하더라도, 부타디엔을 제외한 C4 혼합물 및 가스 생성물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유효 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원료비 절감, 생산성의 향상 등 공정의 경제성과 안전하게 고순도의 부타디엔을 확보할 수 있는 부타디엔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타디엔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CONJUGATED DIENE}
본 발명은 부타디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탄화수소류의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생산성의 향상 등 공정의 경제성과 탄화수소류를 흡수 후 기상 흐름이 폭발 범위를 벗어나도록 하여 안정하게 고순도의 부타디엔을 확보할 수 있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타디엔(Butadiene)은 석유화학 시장에서 많은 석유화학 제품의 중간체로서 이용되며, 현재 석유화학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기초유분 중 하나로서 그 수요와 가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부타디엔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납사 크래킹을 통한 C4 유분으로부터 추출하는 방법, 부텐(butene)의 직접 탈수소화 반응, 부텐(butene)의 산화적 탈수소화(oxidative dehydrogenation) 반응을 통한 방법 등이 있다.
이 중 부텐의 산화적 탈수소화 반응을 통해 부타디엔을 제조하는 방법은 반응물로 산소를 이용하여 부텐으로부터 2개의 수소를 제거하여 부타디엔을 생성하는 반응을 이용한 것으로, 생성물로 안정한 물이 생성되므로 열역학적으로 매우 유리하며, 직접 탈수소화 반응과 달리 발열 반응이기 때문에 직접 탈수소화 반응에 비하여 낮은 반응온도에서도 높은 수율의 부타디엔을 얻을 수 있다. 부텐의 산화적 탈수소화 반응을 통한 부타디엔의 제조방법은 늘어나는 부타디엔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부텐의 산화적 탈수소화 방법은, 산소로 인한 폭발 위험성을 줄이고, 반응열 제거를 위한 목적으로 원료 이외에 주로 질소, 수증기(steam) 등을 희석용 기체로 사용하고 있으며 희석용 기체 및 가벼운 기체류(COx, O2 등), 탄화수소류 등이 포함된 반응생성물로부터 탄화수소류를 분리시 용매를 이용하여 반응생성물 내 탄화수소류를 흡수하는 방법과 반응생성물을 냉각하여 탄화수소류를 액화하는 방법 중 주로 흡수방법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반응생성물을 액화하여 분리하는 방법이 반응생성물 내 존재하는 희석기체 및 가벼운 기체류 등으로 인해 액화시 극저온의 냉매가 필요하며 이는 장치비, 운전비 등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공정의 경제성을 확보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은 종래의 부타디엔 제조장치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부텐, 산소(O2), 수증기(steam) 및 희석기체로 질소를 포함한 반응원료로부터 부타디엔을 생성하는 산화탈수소화 반응부(110); 산화탈수소화 반응으로부터 얻은 반응생성물로부터 물을 분리하는 냉각분리부(120); 상기 물이 분리된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에서 부타디엔 혹은 부타디엔을 포함한 C4 혼합물 및 탄화수소류를 분리하는 흡수분리부(130); 및 상기 흡수분리부(130)에서 분리된 부타디엔이 포함된 흐름(stream)에서 부타디엔을 분리하는 정제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110)는 부텐, 산소(O2), 수증기(steam), 희석기체(N2) 및 상기 정제부에서 회수된 미반응 부텐류가 포함된 반응원료를 페라이트계 촉매 또는 비스무스 몰리브데이트계 촉매를 사용하여 등온 또는 단열 조건하에 구동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냉각분리부(120)는 급냉의 직접 냉각방식(quencher) 또는 간접 냉각방식으로 구동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은 상기 흡수분리부(130)에서 부타디엔만을 선택적으로 흡수분리하는 예이나 상기 흡수분리부(130)는 물이 제거된 반응생성물에서 부타디엔만을 선택적으로 흡수하거나 C4 혼합물을 포함한 탄화수소류 전체를 흡수할 수 있는 용매를 사용하는 흡수 방식으로 구동되는 것일 수 있다. 일례로 부타디엔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용매로는 ACN(Acetonitrile), NMP(N-methylpyrrolidone), DMF(Dimethyl formamide) 등이 있으며 C4 혼합물을 포함한 탄화수소류 전체를 흡수하는 용매로는 톨루엔(toluene), 자일렌(xyle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흡수분리부(130)는 COx와 O2, 희석기체로 사용된 N2 등은 전부 소각처리하거나 경우에 따라 일부는 반응부로 회수하여 재사용되고 일부는 소각 처리된다.
상기 정제부(140)는 일례로 통상의 부타디엔 정제 장치로ACN(Acetonitrile)공정, NMP(N-methylpyrrolidone)공정, 또는 DMF(Dimethyl formamide)공정 등이며 필요에 따라 상기 공정의 일부가 변형된 형태로 구동되어 부타디엔을 정제할 수 있다.
그러나, 흡수분리공정(130)은 대부분 과량의 용매가 사용되므로 흡수용매를 회수하는 과정과 정제부(140)에서 부타디엔을 회수 및 정제하는 과정에서 많은 양의 에너지가 사용된다. 또한 흡수분리공정을 응축공정으로 대체하더라도 극저온의 냉매가 요구되어 에너지, 원료비, 생산비 등 공정의 경제성을 확보할 수 없기에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관련 기술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 제 2012-0103759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부텐의 산화탈수소화 반응을 통한 부타디엔 제조시 희석기체로 질소 대신 부탄을 사용하여, 종래 질소 사용시 반응생성물로부터 부타디엔을 분리할 때 사용하던 흡수방법 대신 저온 냉매 혹은 냉각수를 사용하여 부타디엔을 액화하여 분리하는 응축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응축분리공정에서 분리된 COx와 O2, n-부탄 등이 포함된 흐름과 함께 배출되는 유효성분들(부타디엔을 포함한 모든 탄화수소류를 지칭함)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응축분리공정의 상부 흐름으로부터 유효성분을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방법이 적용된 부타디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텐, 산소(O2), 수증기(steam) 및 희석기체를 포함하는 반응원료를 산화탈수소화 반응부로 통과시켜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을 얻는 단계와,
상기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을 냉각분리부로 통과시키면서 물을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물이 분리된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을 응축분리부로 통과시키면서 탄화수소류를 응축하는 단계와,
상기 응축분리부에서 응축하지 않은 탄화수소류를 포함하는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을 흡수분리부로 통과시키면서 불연성 희석가스의 투입 하에 부타디엔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용매로 COx와 O2와,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을 분리하여 상기 응축분리부로 재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응축분리부에서 응축된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이 포함된 조질탄화수소를, 정제부로 통과시키면서 부타디엔을 분리하거나 혹은 탈기부로 통과시켜 COx와 O2를 추가로 분리한 다음 조질 탄화수소를 상기 정제부로 통과시키면서 부타디엔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제부에서 분리된 부타디엔을 제외한 n-부탄이 포함된 기체가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로 재투입되고,
상기 정제부에서 부타디엔이 분리되고 잔류한 부텐이 포함된 배출흐름은, 원료 부텐과 혼합되어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로 투입되되, 상기 희석기체는 부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타디엔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텐, 산소(O2), 수증기(steam) 및 희석기체를 포함하는 반응원료를 산화탈수소화하여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을 얻는 산화탈수소화 반응부;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으로부터 얻어진 반응생성물에서 물을 분리하는 냉각분리부;
상기 물이 분리된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에서 탄화수소류를 응축하는 응축분리부;
상기 응축분리부에서 응축하지 않은 탄화수소류를 포함하는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에 불연성 희석가스의 투입 하에 부타디엔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용매를 사용하여 COx, O2와, 불연성 희석가스를 분리하는 흡수분리부; 및
상기 응축분리부에서 응축된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이 포함된 조질탄화수소에서 부타디엔을 분리하는 정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분리부에서 용매에 선택흡수된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이 포함된 탄화수소류가 상기 응축분리부로 재투입되고,
상기 정제부에서 분리된 부타디엔을 제외한 n-부탄이 포함된 기체가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로 재투입되고,
상기 정제부에서 부타디엔이 분리되고 잔류한 부텐이 포함된 배출흐름은, 원료 부텐과 혼합되어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로 투입되되, 상기 희석기체는 부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타디엔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텐의 산화탈수소화 반응을 통한 부타디엔 제조시 희석기체로 질소 대신 부탄을 사용하여, 종래 질소 사용시 반응생성물로부터 부타디엔을 분리할 때 사용하던 흡수방법 대신 저온 냉매 혹은 냉각수를 사용해 부타디엔을 액화하여 분리하는 응축방법과 응축 후 상부 흐름으로 유출되는 탄화수소류를 선택 회수하는 흡수방법을 통해 탄화수소류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원료비, 생산비 등 공정의 경제성과 탄화수소류를 흡수 후 기상 흐름이 폭발 범위를 벗어나도록 하여 안전하게 고순도의 부타디엔을 확보할 수 있는 부타디엔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부타디엔 제조장치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타디엔 제조장치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부타디엔 제조방법과 제조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부타디엔 제조방법과 제조장치는 부탄을 희석기체로 활용한 응축분리공정 및 불연성 희석가스 투입 하에 응축분리공정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흐름 내 유효성분을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흡수분리공정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부탄을 희석기체로 하면 응축분리부에서는 저온의 냉매 또는 냉각수로도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로부터 탄화수소류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불연성 희석가스 투입 하에 부타디엔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용매를 사용하여 흡수분리부에서는 외부로 유출되는 탄화수소류를 선택흡수하여 계 외부로 유출되는 유효성분을 최소화하여 경제적이면서 폭발 위험으로부터 안정하게 부타디엔을 제조할 수 있다.
아래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부타디엔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타디엔 제조장치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부텐, 산소(O2), 수증기(steam) 및 희석기체(부탄)를 포함하는 반응원료를 산화탈수소화 반응부(210)로 통과시켜 부타디엔을 포함한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을 얻는다. 이때, 산화 탈수소화 반응원료는 정제공정에서 발생된 배출흐름(B7, B8)과 합류하여 산화탈수소화 반응부(210)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공정에서 배출된 흐름(B1)에는 부타디엔, n-부탄, 부텐, O2, CO2, H2O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210)에서 배출된 흐름(B1)은 냉각분리부(220)로 유입되어 물이 분리된다.
상기 냉각분리 후 발생된 배출흐름(B2)에는 부타디엔, n-부탄, 부텐, O2, CO2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응축분리부(230)로 유입된다.
상기 응축분리 후 발생된 배출흐름(B3)에는 응축분리 공정에서 냉각수 등을 사용하여 탄화수소류를 압축/냉각을 통해 응축시킨 다음 응축되지 않은 탄화수소류를 포함하는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이 포함될 수 있고, 흡수분리부(250)로 유입되어 불연성 희석 가스의 투입 하에 부타디엔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용매를 사용하여 탄화수소류를 회수할 수 있다.
상기 불연성 희석 가스는 일례로 질소가스(N2), 아르곤, 헬륨 또는 이산화탄소(CO2)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질소가스이고, 이 경우에 산소(O2) 및 n-부탄 등의 탄화수소류의 몰분율을 낮춤으로써 폭발가능 범위를 피할 수 있다.
상기 부타디엔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용매는 일례로 ACN(Acetonitrile), NMP(N-methylpyrrolidone), 또는 DMF(Dimethyl formamide)일 수 있고, 이 경우에 부타디엔을 효율적으로 분리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응축분리 후 발생된 배출흐름(B4)에는 상기 응축분리부(230)에서 응축된 n-부탄, 부텐 및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조질 탄화수소가 포함될 수 있고, 정제부(240)로 유입되어 부타디엔을 정제할 수 있다.
상기 흡수분리 공정에서 발생된 배출흐름(B5)에는 이전 응축분리 공정에서 분리된 O2, COx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흡수분리 후 발생된 배출흐름(B6)에는 흡수분리부(250)에서 용매에 선택 흡수된 n-부탄, 부텐 및 부타디엔 등이 포함된 탄화수소류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응축분리부(230)로 투입되는 재순환 흐름을 형성하여, O2, COx 등을 응축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정제 후 발생된 배출흐름(B7)에는 잔류한 n-부탄이 풍부하게 포함될 수 있고, 산화탈수소화 반응부(210)로 투입하는 재순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정제부(240)에서 부타디엔이 분리되고 잔류한 부텐이 포함된 배출흐름(B8)은, 원료 부텐과 혼합되어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로 투입하는 재순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조질(Crude) 탄화수소”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조질(crude) 탄화수소를 의미하며,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로부터 수득되는 부타디엔 등을 포함하는 탄화수소류로서 정제부의 원료를 지칭한다.
상기 용어 "COx"은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CO, CO2을 지칭한다.
상기 부텐은 1-부텐, 2-부텐 또는 이들의 혼합일 수 있다. 상기 부텐을 포함하는 원료가스는 일반적으로 부타디엔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부텐을 포함하는 원료가스인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례로 상기 부텐은 고순도의 부텐 가스, 나프타 분해로 부생하는 C4 유분 중 라피네이트(raffinate)-2, 라피네이트(raffinate)-3 등과 같이 부텐류가 포함된 탄화수소 혼합물에서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수증기(steam)은 산화탈수소 반응에 있어서, 반응물의 폭발 위험을 줄이는 동시에, 촉매의 코킹(coking) 방지 및 반응열 제거 등의 목적으로 투입되는 기체이다.
한편, 상기 산소(O2)는 산화제로서 부텐과 반응하여 탈수소반응을 일으킨다.
상기 반응기 내에 충진된 촉매는 부텐을 산화탈수소 반응시켜 부타디엔을 제조할 수 있게 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페라이트계 촉매 또는 비스무스 몰리브데이트계 촉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촉매는 페라이트계 촉매일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아연 페라이트, 마그네슘 페라이트, 망간 페라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부타디엔의 선택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반응 촉매의 종류와 양은 반응의 구체적인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희석기체는 부탄일 수 있다. 여기서 희석기체는 반응 전반에 걸쳐 순환되는 기체를 칭하는 것으로, 흡수분리부(250)에 폭발반응을 방지하기 위해서 투입하는 불연성 희석가스와는 상이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210)는 일례로, 부텐, 산소(O2), 수증기(steam) 및 상기 정제부(240)에서 부타디엔이 분리된 잔류물로서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로 재투입되는 n-부탄이 포함된 기체를 반응원료로 하여 페라이트계 촉매 또는 비스무스 몰리브데이트계 촉매를 사용하여 등온 또는 단열 조건 하에 구동되는 것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반응원료에 포함되는 산소(O2)는 순도 90% 이상, 95% 이상, 또는 순도 98% 이상의 가스 형태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순도 90% 이상의 가스 형태는 산소(O2)가 공기로부터 투입되지 않고, 산소 순수가스 형태로 투입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반응원료에 포함된 유효성분 등의 양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반응기에 투입되는 반응원료 내 포함되는 성분의 양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210) 내 반응조건은 부텐 : 산소 : 수증기 : 희석기체(n-부탄) = 1 : 0.5~5 : 0.1~20 : 0.1~20의 몰비 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산화탈수소화 반응부(210)는 산소:부텐의 몰비 0.5~5 : 1, 수증기:부텐의 몰비 0.1~20 : 1, n-부탄:부텐의 몰비 0.1~20 : 1, 반응압력 상압 내지 10atm, 반응온도 150 내지 650℃의 등온 또는 단열 조건하에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분리부(220)는 일례로 급냉의 직접 냉각방식(quencher) 또는 간접 냉각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고, 이때 급냉 온도는 0 ~ 50℃일 수 있다.
상기 응축분리부(230)는 일례로, 1단의 단일압축 구조, 2단 내지 10단의 다단압축 구조, 혹은 1단 내지 2단의 다단압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의 다단 압축을 하는 이유는 처음 압력에서 목표 압력까지 한 번에 압축 시, 많은 동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기체 압축에 의한 열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기체가 팽창하게 되어 압축 효율이 떨어지게 되므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다단 압축을 실시하게 되며, 상기 압축 과정에서 발생된 열은 냉각기를 이용하여 식힐 수 있다.
상기 응축분리부(230) 내 응축조건은 미반응 산소를 고려하여 해당 흐름이 폭발범위를 벗어나는 범위(폭발상한 이상 또는 한계산소농도 이하)를 가지도록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응축분리부(230) 내 사용되는 냉매는 냉각수, 에틸렌글리콜, 농도 20~100 중량%의 에틸렌글리콜 수용액, 프로필렌글리콜, 농도 30~100 중량%의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 및 프로필렌계 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냉각수이다. 상기 프로필렌계 용매는 일례로 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화합물로, -10℃ 이하, 또는 -10 내지 -50℃ 의 비점을 가지는 물질일 수 있다.
상기 냉매는 바람직하게는 냉각수, 0 내지 40℃의 냉각수, 또는 5 내지 30℃의 냉각수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압출 토출 온도가 250℃ 이하, 혹은 50 내지 200℃일 수 있고, 압축 토출 흐름의 냉각 온도가 120℃ 이하, 혹은 20 내지 80 ℃일 수 있다.
종래에는 희석기체로 질소를 사용하여, 응축방법으로 희석기체 및 가벼운 기체류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극저온의 냉매가 필요하나, 본 발명에서는 부탄을 희석기체로 투입함으로써, 보다 낮은 등급의 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정제부(240)는 부타디엔을 정제하는 통상의 장치를 적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분리된 부타디엔을 응용할 수 있는 공정, 일례로 ACN(Acetonitrile)공정, NMP(N-methylpyrrolidone)공정, 또는 DMF(Dimethyl formamide)공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수분리부(250)는 일례로 불연성 희석가스 투입 하에 COx, O2와 불연성 희석가스를 분리하기 위해 탄화수소류의 선택흡수가 가능한 ACN(Acetonitrile), NMP(N-methylpyrrolidone), 혹은 DMF(Dimethyl formamide)를 사용하는 흡수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흡수분리부(250)에는 불연성 희석가스는 가연성 기체/조연성 기체/ 불연성 기체의 비율이 폭발 가능범위에서 벗어나게끔 투입해야 하며, 일례로 산소 농도가 한계산소농도 이하가 되도록 투입하거나 불연성 기체/산소/연료의 비율이 폭발상한 이상 혹은 폭발하한 이하가 되도록 투입한다.
상기 불연성 희석가스는 일례로 질소, 아르곤, 헬륨, 또는 이산화 탄소일 수 있다.
상기 흡수분리부(250)에서 분리된 COx, O2, 불연성 희석가스를 소각시킬 경우 소각에 의해 발생된 열이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210) 또는 상기 응축분리부(230)에서 재활용될 수 있다.
상기 응축분리 및 흡수분리 단계를 거쳐 얻어진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조질 탄화수소는 정제단계를 통해 용매, 고비점 및 저비점 성분들이 제거됨으로써, 고순도의 부타디엔으로 회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일련의 단계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얻을 수 있는 부타디엔의 순도는 95.0 ~ 99.9% 일 수 있다.
도 3은 상기 도 2에서 응축분리부(230)에서 응축하지 않은 탄화수소류를 불연성 희석가스 투입 하에 흡수분리부(250)로 통과시키면서 COx와 O2를 분리하는 공정과, 상기 응축분리부에서 응축된 부텐, 산소(O2), 수증기(steam) 및 희석기체(부탄)를 탈기부로 통과시켜 추가로 분리된 COx, O2가 포함된 배출흐름을 흡수분리부로 통과시키고, 탈기부에서 COx, O2가 추가로 분리된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조질 탄화수소를 정제부로 통과시키면서 부타디엔을 분리하는 공정을, 탈기부를 포함하여 세분화한 것으로 탄화수소류를 응축분리 후 선택 흡수/회수를 가능케 한다.
상기 탈기부는 일례로 통상적인 컬럼을 이용한 스트리핑, 혹은 탈기로 구동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부텐, 산소(O2), 수증기(steam) 및 희석기체(부탄)를 포함하는 반응원료를 산화탈수소화 반응부(310)로 통과시켜 부타디엔을 포함한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을 얻는다. 이때, 산화 탈수소화 반응원료는 정제공정에서 발생된 배출흐름(B7, B8)과 합류하여 산화탈수소화 반응부(310)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공정에서 배출된 흐름(B1)에는 부타디엔, n-부탄, 부텐, O2, CO2, H2O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310)에서 배출된 흐름(B1)은 냉각분리부(320)로 유입되어 물이 분리된다.
상기 냉각분리 후 발생된 배출흐름(B2)에는 부타디엔, n-부탄, 부텐, O2, COx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응축분리부(330)로 유입된다.
상기 응축분리 후 발생된 배출흐름(B3)에는 응축분리부에서 냉각수 등을 사용하여 탄화수소류를 압축/냉각을 통해 응축시킨 다음 응축되지 않은 탄화수소류를 포함하는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배출흐름(B3)은 흡수분리부(350)로 유입되어, 불연성 희석가스 투입 하에 상기 흡수분리부에서 탄화수소류를 회수할 수 있다. 상기 응축분리 후 발생된 또 다른 배출흐름(B4')에는 상기 응축분리부(330)에서 응축된 n-부탄, 부텐 및 부타디엔이 포함된 탄화수소류가 포함될 수 있고, 탈기부(360)로 유입되어 추가로 COx, O2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탈기부(360)에서 COx, O2가 추가 분리되고, 응축된 n-부탄, 부텐 및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조질(crude) 탄화수소가 포함된 배출흐름(B4”)은 정제부(340)로 유입되어 부타디엔을 정제할 수 있다. 상기 탈기 후 발생된 또 다른 배출 흐름(B11)은 탈기부(360)에서 추가로 분리된 COx와 O2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분리부(350)로 투입하여 불연성 희석가스 가스 투입 하에 COx, O2 및 불연성 희석가스를 흡수분리할 수 있다.
상기 흡수분리 공정에서 발생된 배출흐름(B5)에는 이전 응축분리 공정에서 분리된 O2, CO2 등과 상기 흡수분리 공정에 투입한 불연성 희석가스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흡수분리 후 발생된 또 다른 배출흐름(B6')에는 흡수분리부(350)에서 용매가 선택적으로 흡수한 n-부탄, 부텐 및 부타디엔 등을 포함하는 탄화수소류와, 함께 일부 COx, O2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탈기부(360)로 투입되는 재순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정제부(340)에서 용매가 분리되어 흡수분리부(350)으로 순환시킬 수 있고(배출흐름(B9)), 부타디엔과 용매가 분리되고 잔류한 부텐이 포함된 배출흐름(B8)은, 원료 부텐과 혼합되어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310)로 투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반응을 연속으로 진행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정제 후 발생된 배출흐름(B7)에는 잔류한 n-부탄이 풍부하게 포함될 수 있고, 산화탈수소화 반응부(310)로 투입하는 재순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도 3에서 탈기 후 발생된 배출흐름(B4”)에 또 다른 배출흐름(B4"')를 추가한 것으로, 상기 배출흐름(B4”)에는 탈기부(460)에서 추가로 분리된 COx와 O2를 제외한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이 포함된 조질 탄화수소가 포함될 수 있고, 고비점제거부(480)로 통과시키면서 고비점 물질을 분리하고, 상기 고비점제거 후 발생된 배출흐름(B4"')에는 고비점 성분이 제거되어 비점이 낮아진 조질 탄화수소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조질 탄화수소를 정제부(440)로 통과시켜 부타디엔을 보다 효과적으로 정제할 수 있다.
상기 고비점 제거부는 일례로 증류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고비점 물질은 일례로 퓨란류, 알데히드류, 아세트산, 벤젠, 페놀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스타이렌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부텐, 산소(O2), 수증기(steam) 및 희석기체(부탄)를 포함하는 반응원료를 산화탈수소화 반응부(410)로 통과시켜 부타디엔을 포함한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을 얻는다. 이때, 산화 탈수소화 반응원료는 정제공정에서 발생된 배출흐름(B7, B8)과 합류하여 산화탈수소화 반응부(410)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공정에서 배출된 흐름(B1)에는 부타디엔, n-부탄, 부텐, O2, CO2, H2O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410)에서 배출된 흐름(B1)은 냉각분리부(420)로 유입되어 물이 분리된다.
상기 냉각분리 후 발생된 배출흐름(B2)에는 부타디엔, n-부탄, 부텐, O2, CO2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응축분리부(430)로 유입된다.
상기 응축분리 후 발생된 배출흐름(B3)에는 응축분리에서 냉각수 등을 사용하여 탄화수소류를 압축/냉각을 통해 응축시킨 다음 응축되지 않은 탄화수소류를 포함하는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배출흐름(B3)은 흡수분리부(450)로 유입되어, 상기 흡수분리부에서 불연성 희석가스 투입 하에 탄화수소류를 회수할 수 있다.
상기 응축분리 후 발생된 또 다른 배출흐름(B4')에는 상기 응축분리부(430)에서 응축된 n-부탄, 부텐 및 부타디엔이 포함된 탄화수소류가 포함될 수 있고, 탈기부(460)로 유입되어 추가로 COx, O2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탈기 후 발생된 배출 흐름(B11)은 탈기부(460)에서 추가로 분리된 COx와 O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흡수분리부(450)로 투입하여 일례로 불연성 희석가스 투입 하에 COx, O2와 불연성 희석가스를 흡수분리할 수 있다.
상기 탈기 후 발생된 또 다른 배출흐름(B4”)은 탈기부(460)에서 추가로 분리된 COx와 O2를 제외한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조질 탄화수소가 포함될 수 있고, 고비점제거부(470)로 통과시키면서 고비점 물질을 분리하고, 상기 고비점제거 공정에서 발생된 배출흐름(B4"')에는 고비점 성분이 제거되어 비점이 낮아진 조질 탄화수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조질 탄화수소를 정제부(440)로 유입하여 부타디엔을 정제할 수 있다.
상기 흡수분리 공정에서 발생된 배출흐름(B5)에는 이전 응축분리 공정에서 분리된 O2, CO2 등과 흡수분리 공정에 투입된 불연성 희석가스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흡수분리 후 발생된 또 다른 배출흐름(B6')에는 흡수분리부(450)에서 용매에 흡수된 n-부탄, 부텐 및 부타디엔 등이 포함된 탄화수소류와 일부 COx, O2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탈기부(460)로 투입되는 재순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정제 후 발생된 배출흐름(B7)에는 잔류한 n-부탄이 풍부하게 포함될 수 있고, 산화탈수소화 반응부(410)로 투입하는 재순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정제부(440)에서 부타디엔이 분리되고 잔류한 부텐이 포함된 배출흐름은, 원료 부텐과 혼합되어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로 투입하는 재순환 흐름을 형성할 수 있고, 이 경우에 반응을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어 원료비 절감 및 생산성 향상 효과가 우수하다.
도 3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정제부(440)에서 용매가 분리되어 흡수분리부(450)로 순환시킬 수 있고(배출흐름(B9)), 부타디엔과 용매가 분리되고 잔류한 부텐이 포함된 배출흐름(B8)은, 원료 부텐과 혼합되어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410)로 투입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반응을 연속으로 진행할 수 있어 생산성 및 경제성이 우수하다.
도 5는 상기 도 3의 탈기 후 발생된 배출흐름(B11)을 또 다른 배출흐름(B11')로 대체한 것으로, 탈기부(560)에서 분리된 COx와 O2를 응축시스템으로 투입하여 기체 분리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부텐, 산소(O2), 수증기(steam) 및 희석기체(부탄)를 포함하는 반응원료를 산화탈수소화 반응부(510)로 통과시켜 부타디엔을 포함한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을 얻는다. 이때, 산화 탈수소화 반응원료는 정제공정에서 발생된 배출흐름(B7, B8)과 합류하여 산화탈수소화 반응부(510)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공정에서 배출된 흐름(B1)에는 부타디엔, n-부탄, 부텐, O2, CO2, H2O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510)에서 배출된 흐름(B1)은 냉각분리부(520)로 유입되어 물이 분리된다.
상기 냉각분리 후 발생된 배출흐름(B2)에는 부타디엔, n-부탄, 부텐, O2, CO2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응축분리부(530)로 유입된다.
상기 응축분리 후 발생된 배출흐름(B3)에는 응축분리에서 냉각수 등을 사용하여 탄화수소류를 압축/냉각을 통해 응축시킨 다음 응축되지 않은 탄화수소류를 포함할 수 있고, 흡수분리부(550)로 유입되어 불연성 희석가스의 투입 하에 탄화수소류를 회수할 수 있다. 상기 응축분리 후 발생된 또 다른 배출흐름(B4')에는 상기 응축분리부(530)에서 응축된 n-부탄, 부텐 및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탄화수소류가 포함될 수 있고, 탈기부(560)로 유입되어 추가로 COx, O2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탈기부(560)에서 COx, O2가 추가 분리되고, 응축된 n-부탄, 부텐 및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조질 탄화수소가 포함된 배출흐름(B4”)은 정제부(540)로 유입되어 부타디엔을 정제할 수 있다. 상기 탈기 후 발생된 또 다른 배출 흐름(B11')은 탈기부(560)에서 추가로 분리된 COx와 O2를 포함하고 응축시스템으로 투입되어 상기 응축분리부(530)에서 재응축분리될 수 있다.
상기 응축시스템은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압축기(531), 열교환기(532) 및 응축분리부(530)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일컫는다.
상기 흡수분리 공정에서 발생된 배출흐름(B5)에는 이전 냉각분리 공정에서 미처 분리되지 않은 O2, COx와 흡수분리부(550)에 투입된 불연성 희석가스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흡수분리 후 발생된 또 다른 배출흐름(B6')에는 흡수분리부(550)에서 용매에 흡수된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탄화수소류와 일부 COx와 O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탈기부(560)로 재투입하게 된다.
상기 정제부(540)에서 용매가 분리되어 흡수분리부(550)으로 순환시킬 수 있고(배출흐름(B9)), 부타디엔과 용매가 분리되고 잔류한 부텐이 포함된 배출흐름(B8)은, 원료 부텐과 혼합되어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510)로 투입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에 반응을 연속으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6은 상기 도 4의 탈기 후 발생된 배출흐름(B11)을 또 다른 배출흐름(B11')로 대체한 것으로, 탈기부(660)에서 분리된 COx와 O2를 응축시스템에 투입함으로써 응축분리부(630)로 재투입되어 기체 분리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부텐, 산소(O2), 수증기(steam) 및 희석기체(부탄)를 포함하는 반응원료를 산화탈수소화 반응부(610)로 통과시켜 부타디엔을 포함한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을 얻는다. 이때, 산화 탈수소화 반응원료는 정제공정에서 발생된 배출흐름(B7, B8)과 합류하여 산화탈수소화 반응부(610)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공정에서 배출된 흐름(B1)에는 부타디엔, n-부탄, 부텐, O2, CO2, H2O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610)에서 배출된 흐름(B1)은 냉각분리부(620)로 유입되어 물이 분리된다.
상기 냉각분리 후 발생된 배출흐름(B2)에는 부타디엔, n-부탄, 부텐, O2, CO2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응축분리부(630)로 유입된다.
상기 응축분리 후 발생된 배출흐름(B3)에는 응축분리에서 냉각수 등을 사용하여 탄화수소류를 압축/냉각을 통해 응축시킨 다음 응축되지 않은 탄화수소류를 포함하는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응축분리 후 발생된 배출흐름(B3)은 흡수분리부(650)로 유입되어, 상기 흡수분리부에서 불연성 희석가스의 투입 하에서 탄화수소류를 회수할 수 있다. 상기 응축분리 후 발생된 또 다른 배출흐름(B4')에는 상기 응축분리부(630)에서 응축된 n-부탄, 부텐 및 부타디엔이 포함된 탄화수소류가 포함될 수 있고, 탈기부(660)로 유입되어 추가로 COx, O2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탈기 후 발생된 배출 흐름(B11')은 탈기부(660)에서 추가로 분리된 COx와 O2를 포함하고 응축시스템으로 투입되어 상기 응축분리부(630)에서 재응축분리될 수 있다.
상기 응축시스템은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압축기(631), 열교환기(632) 및 응축분리부(630)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일컫는다.
상기 탈기 후 발생된 또 다른 배출흐름(B4”)은 탈기부(660)에서 추가로 분리된 COx와 O2를 제외한 n-부탄과 부타디엔이 포함된 조질 탄화수소일 수 있고, 고비점제거부(670)로 통과시키면서 고비점 성분을 분리한다.
상기 고비점 물질은 일례로 퓨란류, 알데히드류, 아세트산, 벤젠, 페놀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스타이렌일 수 있다.
상기 고비점제거 공정에서 발생된 배출흐름(B4"')에는 고비점 성분이 제거되어 비점이 낮아진 조질 탄화수소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조질 탄화수소를 정제부(640)로 통과시켜 부타디엔을 정제할 수 있다.
상기 흡수분리 공정에서 발생된 배출흐름(B5)에는 이전 응축분리 공정에서 분리된 O2, CO2 등과 흡수분리부에 투입된 불연성 희석가스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흡수분리 후 발생된 배출흐름(B6')에는 흡수분리부(650)에서 용매와 함께 흡수된 n-부탄, 부텐 및 부타디엔 등을 포함하는 탄화수소류와, 일부 COx와 O2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탈기부(660)로 재투입되는 재순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정제 후 발생된 배출흐름(B7)에는 잔류한 n-부탄이 풍부하게 포함될 수 있고, 산화탈수소화 반응부(610)로 투입하는 재순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정제부(640)에서 부타디엔이 분리되고 잔류한 부텐이 포함된 배출흐름(B8)은, 산화탈수소화 반응부(610)로 투입하는 재순환 흐름을 형성할 수 있고, 이 경우에 반응을 연속으로 진행할 수 있어 원료비 절감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우수하다.
도 4와 마찬가지로, 상기 정제부(640)에서 용매가 분리되어 흡수분리부(650)로 순환시킬 수 있다(배출흐름(B9)).
상기 제조방법에 사용된 제조장치의 일례로서 하기 도 2를 참조하면, 부텐, 산소(O2), 수증기(steam) 및 희석기체(부탄)를 포함하는 반응원료를 산화탈수소화 반응시켜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을 얻는 산화탈수소화 반응부(210); 상기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에서 물을 분리하는 냉각분리부(220); 상기 물이 분리된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에서 탄화수소류를 응축하는 응축분리부(230); 상기 응축분리부(230)에서 응축하지 않은 탄화수소류를 포함하는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을 불연성 희석가스 투입 하에 COx, O2와, 불연성 희석가스를 분리하는 흡수분리부(250); 상기 응축분리부(230)에서 응축된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조질 탄화수소에서 부타디엔을 분리하는 정제부(240);를 포함하고, 상기 정제부(240)에서 분리된 부타디엔을 제외한 n-부탄이 포함된 기체가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210)로 재투입되는 배출흐름(B7)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정제부(240)에서 부타디엔이 분리되고 잔류한 부텐이 포함된 배출흐름은, 원료 부텐과 혼합되어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210)로 재투입되는 배출흐름(B8)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흡수분리부(250)에서 불연성 희석가스 투입 하에 분리된 COx와 O2와 불연성 희석가스를 제외한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이 포함된 탄화수소류를 포함하는 배출흐름(B6)은 상기 응축분리부(230)로 재투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불연성 희석 가스는 일례로 질소가스(N2), 아르곤, 헬륨 또는 이산화탄소(CO2)일 수 있다.
또 다른 제조장치의 예로서 하기 도 3을 참조하면, 부텐, 산소(O2), 수증기(steam) 및 희석기체(부탄)를 포함하는 반응원료를 산화탈수소화 반응시켜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을 얻는 산화탈수소화 반응부(310); 상기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에서 물을 분리하는 냉각분리부(320); 상기 물이 분리된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에서 탄화수소류를 응축하는 응축분리부(330); 상기 응축분리부(330)에서 응축하지 않은 탄화수소류를 포함하는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에서 불연성 희석가스 투입 하에 COx, O2와, 불연성 희석가스와,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탄화수소류를 분리하는 흡수분리부(350); 상기 응축분리부(330)에서 응축된 탄화수소류를 포함하는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에서 COx와 O2와,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이 포함된 탄화수소류를 분리하는 탈기부(360); 및 상기 탈기부(360)에서 상기 흡수분리부(350)에서 불연성 희석가스 투입 하에 분리된 COx, O2와, 불연성 희석가스를 제외한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조질 탄화수소에서 부타디엔을 분리하는 정제부(340);를 포함하고, 상기 정제부(340)에서 용매가 분리되어 흡수분리부(350)으로 순환시키는 배출흐름(B9)과, 부타디엔과 용매를 제외한 n-부탄이 포함된 기체가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310)로 재투입되는 배출흐름(B7)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정제부(340)에서 부타디엔이 분리되고 잔류한 부텐이 포함된 배출흐름은, 원료 부텐과 혼합되어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310)로 재투입되는 배출흐름(B8)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흡수분리부(350)에서 불연성 희석가스 투입 하에 분리된 COx와 O2와, 불연성 희석가스를 제외한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탄화수소류를 포함하는 배출흐름(B6')은 상기 탈기부(360)로 공급되어 재순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탈기부(360)에서 불연성 희석가스 투입 하에 분리된 COx, O2와 불연성 희석가스가 포함된 배출흐름(B11)이 상기 흡수분리부(350)로 순환하고, 상기 흡수분리부(350)에서 용매에 흡수된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탄화수소류를 포함하는 배출흐름(B6')은 상기 탈기부(360)로 재순환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제조장치의 예로서 하기 도 4를 참조하면, 부텐, 산소(O2), 수증기(steam) 및 희석기체(부탄)를 포함하는 반응원료를 산화탈수소화 반응시켜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을 얻는 산화탈수소화 반응부(410); 상기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에서 물을 분리하는 냉각분리부(420); 상기 물이 분리된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에서 탄화수소류를 응축하는 응축분리부(430); 상기 응축분리부(430)에서 응축하지 않은 탄화수소류를 포함하는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에서 불연성 희석가스 투입 하에 COx, O2와, 불연성 희석가스를 분리하는 흡수분리부(450); 상기 응축분리부(430)에서 응축된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탄화수소류에서 COx와 O2와,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탄화수소류를 분리하는 탈기부(460); 및 상기 탈기부(460)에서 COx와 O2를 제거한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조질 탄화수소에서 고비점 물질을 분리하는 고비점제거부(470); 상기 고비점 물질이 제거된 조질 탄화수소에서 부타디엔을 분리하는 정제부(440);를 포함하고, 상기 정제부(440)에서 용매가 분리되어 흡수분리부(450)로 순환시키는 배출흐름(B9)와, 부타디엔과 용매를 제외한 n-부탄이 포함된 기체가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410)로 재투입되는 배출흐름(B7)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정제부(440)에서 부타디엔이 분리되고 잔류한 부텐이 포함된 배출흐름은, 원료 부텐과 혼합되어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410)로 재투입되는 배출흐름(B8)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흡수분리부(450)에서 불연성 희석가스 투입 하에 COx, O2와, 불연성 희석가스를 제외한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배출흐름(B6')은 상기 탈기부(460)로 재순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탈기부(460)에서 불연성 희석가스 투입 하에 분리된 COx, O2와 불연성 희석가스가 포함된 배출흐름(B11)이 상기 흡수분리부(450)로 순환하고, 상기 흡수분리부(450)에서 용매에 흡수된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탄화수소류를 포함하는 배출흐름(B6')은 상기 탈기부(460)로 재순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탈기부(460)에서 분리된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조질 탄화수소가 포함된 배출흐름(B4”)은 고비점제거부(470)로 투입되어 고비점 물질을 분리되며, 상기 고비점 물질이 분리된 조질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배출흐름(B4''')은 상기 정제부(440)로 투입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제조장치의 예로서 도 5를 참조하면, 부텐, 산소(O2), 수증기(steam) 및 희석기체(부탄)를 포함하는 반응원료를 산화탈수소화 반응시켜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을 얻는 산화탈수소화 반응부(510); 상기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에서 물을 분리하는 냉각분리부(520); 상기 물이 분리된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에서 탄화수소류를 응축하는 응축분리부(530); 상기 응축분리부(530)에서 응축하지 않은 탄화수소류를 포함하는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을 불연성 희석가스 투입 하에 COx, O2와, 불연성 희석가스를 분리하는 흡수분리부(550); 상기 응축분리부(530)에서 응축된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탄화수소류에서 COx와 O2와,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탄화수소류를 분리하는 탈기부(560); 및 상기 탈기부(560)에서 분리된 COx와 O2를 제외한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조질 탄화수소에서 부타디엔을 분리하는 정제부(540);를 포함하고, 상기 정제부(540)에서 용매가 분리되어 흡수분리부(550)로 순환시키는 배출흐름(B9)와, 부타디엔과 용매를 제외한 n-부탄이 포함된 기체가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510)로 재투입되는 배출흐름(B7)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정제부(540)에서 부타디엔이 분리되고 잔류한 부텐이 포함된 배출흐름은, 원료 부텐과 혼합되어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510)로 재투입되는 배출흐름(B8)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흡수분리부(550)에서 불연성 희석가스 투입 하에 COx, O2와, 불연성 희석가스가 분리되고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탄화수소류가 포함된 배출흐름(B6')은 상기 탈기부(560)로 재순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탈기부(560)에서 분리된 COx와 O2가 포함된 배출흐름(B11')은 응축시스템으로 투입되어 상기 응축분리부(530)에서 재응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응축시스템은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압축기(531), 열교환기(532) 및 응축분리부(530)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일컫는다.
또 다른 제조장치의 예로서 하기 도 6을 참조하면, 부텐, 산소(O2), 수증기(steam) 및 희석기체(부탄)를 포함하는 반응원료를 산화탈수소화 반응시켜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을 얻는 산화탈수소화 반응부(610); 상기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에서 물을 분리하는 냉각분리부(620); 상기 물이 분리된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에서 탄화수소류를 응축하는 응축분리부(630); 상기 응축분리부(630)에서 응축하지 않은 탄화수소류를 포함하는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에서 불연성 희석가스 투입 하에 COx, O2와, 불연성 희석가스를 분리하는 흡수분리부(650); 상기 응축분리부(630)에서 응축된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탄화수소류에서 COx, O2와,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탄화수소류를 분리하는 탈기부(660); 상기 탈기부(660)에서 상기 흡수분리부(650)에서 분리된 COx와 O2를 제외한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조질 탄화수소에서 고비점 물질을 제거하는 고비점제거부(670); 및 상기 고비점 물질이 제거된 조질 탄화수소에서 부타디엔을 분리하는 정제부(640);를 포함하고, 상기 정제부(640)에서 용매가 분리되어 흡수분리부(650)으로 순환시키는 배출흐름(B9)와, 부타디엔과 용매를 제외한 n-부탄이 포함된 기체가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610)로 재투입되는 배출흐름(B7)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정제부(640)에서 부타디엔이 분리되고 잔류한 부텐이 포함된 배출흐름은, 원료 부텐과 혼합되어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610)로 재투입되는 배출흐름(B8)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흡수분리부(650)에서 불연성 희석가스 투입 하에 분리된 COx, O2와 불연성 희석가스를 제외한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탄화수소류가 포함된 배출흐름(B6')은 상기 탈기부(660)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탈기부(660)에서 불연성 희석가스 투입 하에 분리된 COx, O2와 불연성 희석가스가 포함된 배출흐름(B11')은 응축시스템으로 투입되어 상기 응축분리부(630)에서 재응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응축시스템은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압축기(631), 열교환기(632) 및 응축분리부(630)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일컫는다.
상기 탈기부(660)에서 분리된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조질 탄화수소가 포함된 배출흐름(B4”)은 고비점 물질을 분리하도록 고비점제거부(670)로 투입되며, 상기 고비점 물질이 분리된 조질 탄화수소가 포함된 배출흐름(B4"')은 상기 정제부(640)로 투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흡수분리부(250, 350, 450, 550, 650)에서 불연성 희석가스 투입 하에 분리된 COx와 O2와 불연성 희석가스를 소각시켜 발생된 열이 원료 히트업(heat up), 혹은 정제부(240, 340, 440, 540, 640)에서 재활용되도록 상기 흡수분리부(250, 350, 450, 550, 650)와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210, 310, 410, 510, 610) 사이, 또는 상기 흡수분리부(250, 350, 450, 550, 650)와 상기 응축분리부(240, 340, 440, 540, 640) 사이, 또는 상기 흡수분리부(250, 350, 450, 550, 650)와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210, 310, 410, 510, 610)와 상기 응축분리부(240, 340, 440, 540, 640) 사이에 열교환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부타디엔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제조장치를 이용하면 통상적인 부타디엔 제조공정에서 희석기체로 질소를 사용하는 제조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고 처리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처리공정에서 유효성분들이 계 외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면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타디엔 제조방법은 다양한 용도의 물질(전술한 ACN, NMP, DMF 등) 정제/제조에 직접 사용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공정에 응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 실시예 ]
실시예 1
하기 도 2의 제조장치로 희석기체로 부탄을 사용하고, 아래 표 1의 조성을 갖는 라피네이트-3을 원료로 사용하여 페라이트계 촉매 하에 부텐:산소=1:0.9, 부텐:수증기=1:5, 부텐:부탄=1:4의 몰비를 갖는 반응원료를 산화탈수소 반응을 통해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을 얻었고, 이를 냉각분리부에서 물을 제거한 뒤 응축분리부에서 압력 8KCG, 냉각온도 35℃로 2단 압축기로 가압하고 냉각수를 이용해 탄화수소류를 응축하였다. 이후 흡수분리부에서 질소 가스를 산소의 몰 농도가 9mol%가 되도록 투입하여 폭발 범위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였고, 용매로 DMF를 이용하여 탄화수소류를 선택흡수하여 조질 탄화수소를 얻었다. 상기의 조질 탄화수소를 정제부에서 용매로 DMF를 사용하여 정제 및 회수하여 부타디엔을 수득하였다.
이 때, 산화탈수소화 반응부의 배출흐름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고, 냉각분리부, 응축분리부, 흡수분리부 및 정제부 각각의 배출흐름(B1~B8)에서의 조성은 공정모사기(AspenPlus)로 계산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또한, 응축분리부 및 정제부에서 에너지 사용량을 공정모사기(AspenPlus)로 계산하여 표 4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소각로로 배출되는 배출흐름(B5)의 산소 농도를 6mol%가 되도록 질소가스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여 부타디엔을 수득하였다.
응축분리부 및 정제부에서 에너지 사용량을 공정모사기(AspenPlus)로 계산하여 표 4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
하기 도 2의 장치를 이용하여 아래 표 2의 조성을 가진 라피네이트-3을 이용하고, 희석기체로 부탄을 사용하여 부텐으로부터 부타디엔을 제조하면서 불연성 희석가스 투입 없이 압축/냉각 및 흡수를 통해 COx, O2를 회수하고, 탄화수소류를 흡수하였다.
이 때 응축분리부의 압력은 8KCG, 냉각온도는 35℃로 냉각수를 이용하여 응축하였고, 응축분리부 및 정제부에서 용매로 DMF를 사용하였고, 부타디엔을 3.6kg/hr만큼 손실되는 조건일 때, 소각하게 될 배출흐름(B5)의 조성, 응축분리부 및 정제부의 에너지 사용량을 공정모사기(AspenPlus)로 계산하여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2
하기 도 2의 장치를 이용하여 반응 희석기체로 부탄을 사용하여 부텐으로부터 부타디엔을 제조하면서 불연성 희석기체 투입 없이 압축/냉각을 통해 가벼운 가스를 회수하고, C4류 흡수를 하지 않아 미 응축 부타디엔이 모두 손실된 예시이다. 이 때 응축분리부의 압력은 8KCG, 냉각온도는 35℃로 냉각수를 이용하여 응축하였고, 정제부에서 용매로 DMF를 사용하였고, 소각하게 될 B5 흐름의 조성, 응축분리부 및 정제부의 에너지 사용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조 성 몰% 중량%
1-부텐 0.00 0.00
트랜스-2-부텐 43.20 42.77
시스-2-부텐 28.80 28.51
n-부탄 28.00 28.72
구분 MW B1 B2 B3 B4 B5
kg/hr wt% kg/hr wt% kg/hr wt% kg/hr wt% kg/hr wt%
N2 28.0 0.0 0.0 0.0 0.0 1.6 0.2 0.0 0.0 442.8 49.6
CO2 44.0 145.5 2.2 145.5 3.0 196.6 25.2 0.3 0.0 145.2 16.3
CO 28.0 9.3 0.1 9.3 0.2 9.4 1.2 0.0 0.0 9.3 1.0
O2 32.0 73.8 1.1 73.8 1.5 74.6 9.6 0.0 0.0 73.8 8.3
부탄 58.1 3740.0 57.1 3740.0 78.2 401.8 51.5 3524.2 81.4 215.8 24.2
1,3-부타디엔 54.1 712.0 10.9 712.0 14.9 85.6 11.0 708.5 16.4 3.6 0.4
부텐 56.1 98.9 1.5 98.9 2.1 10.1 1.3 96.6 2.2 2.3 0.3
HB 72.1 11.3 0.2 0.0 0.0 0.0 0.0 0.0 0.0 0.0 0.0
18.0 1760.6 26.9 0.0 0.0 0.0 0.0 0.0 0.0 0.0 0.0
합계 6551.6 100 4779.7 100 779.5 100 4329.7 100 892.8 100
구분 MW B6 B7 B8 희석기체 1,3-
부타디엔
kg/hr wt% kg/hr wt% kg/hr wt% kg/hr wt% kg/hr wt%
N2 28.0 1.6 0.5 0.0 0.0 0.0 0.0 442.8 100 0.0 0.0
CO2 44.0 51.4 15.6 0.0 0.0 0.0 0.0 0.0 0.0 0.0 0.0
CO 28.0 0.1 0.0 0.0 0.0 0.0 0.0 0.0 0.0 0.0 0.0
O2 32.0 0.7 0.2 0.0 0.0 0.0 0.0 0.0 0.0 0.0 0.0
부탄 58.1 186.0 56.5 3524.2 99.5 0.0 0.0 0.0 0.0 0.0 0.0
1,3-부타디엔 54.1 82.0 24.9 7.1 0.2 7.1 7.8 0.0 0.0 694.3 99.5
부텐 56.1 7.8 2.4 9.7 0.3 83.5 92.2 0.0 0.0 3.5 0.5
HB 72.1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18.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합계 329.5 100 3541.0 100 90.5 100 422.8 100 697.8 100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응축 및 흡수
(N2 투입)
응축 및 흡수
(N2 투입)
응축 및 흡수 응축
응축온도 35 35 35 35
부타디엔 손실(B5) kg/hr 3.6 3.6 3.6 62.3
N2 투입량 kg/hr 443 798 0 0
B5
조성
N2 wt% 49.6 63.2 0.0 0.0
CO2 wt% 16.3 11.5 31.8 25.3
CO wt% 1.0 0.7 2.0 1.6
O2 wt% 8.3 5.9 16.1 12.9
HC wt% 24.8 18.7 50.1 60.2
응축분리부 정제부 응축분리부 정제부 응축분리부 정제부 응축분리부 정제부
수증기 Gcal/hr 0.7 2.5 1.0 3.0 0.5 2.1 0.2 1.9
냉각수 Gcal/hr 0.9 1.0 0.9 1.1 0.9 0.9 0.5 0.7
냉매 Gcal/hr 0.4 0.0 0.7 0.0 0.3 0.0 0.0 0.0
용매 ton/hr 4.7 11.8 6.6 11.8 2.2 12.2 0.0 14.4
전기 kW 118.1 50.8 118.1 50.6 118.1 50.9 105.4 48.7
상기 표 2 내지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은 비교예 1과 달리 불연성 희석기체로 질소를 투입함으로써 소각로로 배출되는 흐름(B5)에서 산소 농도가 감소하고 탄화수소류의 농도가 감소하여 폭발범위에서 벗어나 공정의 운전 안전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실시예 2는 불연성 희석기체인 질소의 투입량을 증가시켜 산소 농도를 실시예 1에 비해 더 낮춤으로써 더 안전한 공정을 확보할 수 있었다. 비교예 2는 탄화수소류를 흡수를 하지 않음으로써 소각로로 배출되는 흐름(B5)에서 산소 농도를 낮추어 공정 안전에는 문제가 없지만 부타디엔의 손실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110, 210, 310, 410, 510, 610: 산화탈수소화 반응부
130, 250, 350, 450, 550, 650: 흡수분리부
120, 320, 420, 520, 620: 냉각 분리부
230, 330, 430, 530, 630: 응축분리부
140, 240, 340, 440, 540, 640: 정제부
360, 460, 560, 660: 탈기부
470, 670: 고비점제거부
531, 631: 압축기
532, 632: 열교환기

Claims (20)

  1. 부텐, 산소(O2), 수증기(steam) 및 희석기체를 포함하는 반응원료를 산화탈수소화 반응부로 통과시켜 얻어진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을 냉각분리부로 통과시키면서 물을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물이 분리된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을 응축분리부; 또는 압축기, 열교환기 및 응축분리부를 포함하는 응축시스템으로 통과시키면서 탄화수소류를 응축하는 단계와,
    상기 응축분리부 또는 상기 응축시스템에서 응축하지 않은 탄화수소류를 포함하는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을 흡수분리부로 통과시키면서 불연성 희석가스 투입 하에서 COx, O2와, 불연성 희석가스를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응축분리부 또는 상기 응축시스템에서 응축된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이 포함된 조질 탄화수소를, 정제부로 통과시키면서 부타디엔을 분리하거나 혹은 탈기부로 통과시켜 COx와 O2를 추가로 분리한 조질 탄화수소를 정제부로 통과시키면서 부타디엔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제부에서 분리된 부타디엔을 제외한 n-부탄이 포함된 기체가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로 재투입되고,
    상기 정제부에서 부타디엔이 분리되고 잔류한 부텐이 포함된 배출흐름은, 원료 부텐과 혼합되어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로 투입되되, 상기 희석기체는 부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타디엔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원료에 포함되는 산소(O2)가 순도 90% 이상의 가스 형태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타디엔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 내 반응조건은 부텐 : 산소 : 스팀 : 희석기체 = 1: 0.5~3 : 0.1~20 : 0.1~20의 몰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타디엔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분리는 1단 압축 구조, 1단 내지 10단의 다단압축 구조, 또는 1단 내지 2단의 다단압축 구조로, 압축 토출온도가 50 내지 2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타디엔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분리에서 사용되는 냉매는 냉각수, 에틸렌글리콜, 농도 20~100 중량%의 에틸렌글리콜 수용액, 프로필렌글리콜, 농도 30~100 중량%의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 및 프로필렌계 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타디엔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분리부에 투입되는 불연성 희석가스는 질소가스(N2), 아르곤, 헬륨 또는 이산화탄소(CO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타디엔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부에서 추가로 분리된 COx와 O2를 상기 흡수분리부로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탈기부에서 추가로 분리된 COx와 O2를 제외한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조질 탄화수소를 상기 정제부로 투입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타디엔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부에서 추가로 분리된 COx와 O2를 상기 흡수분리부로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탈기부에서 추가로 분리된 COx와 O2를 제외한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조질 탄화수소를 고비점제거부로 통과시키면서 고비점 물질을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고비점 물질이 분리된 조질 탄화수소는 상기 정제부로 투입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타디엔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부에서 추가로 분리된 COx와 O2를 응축시스템으로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탈기부에서 추가로 분리된 COx와 O2를 제외한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조질 탄화수소를 상기 정제부로 투입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타디엔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부에서 추가로 분리된 COx와 O2를 응축시스템으로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탈기부에서 추가로 분리된 COx와 O2를 제외한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조질 탄화수소를 고비점제거부로 통과시키면서 고비점 물질을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고비점 물질이 분리된 조질 탄화수소는 상기 정제부로 투입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타디엔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는 부텐과, 산소(O2)와, 수증기(steam)과, 상기 정제부에서 부타디엔이 분리된 잔류물로서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로 재투입되는 n-부탄이 포함된 기체를 반응원료로 하여 페라이트계 촉매를 사용하여 반응온도 150~650℃의 등온 또는 단열 조건하에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타디엔의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분리부는 급냉의 직접 냉각방식(quencher) 또는 간접 냉각방식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타디엔의 제조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분리부는 불연성 희석가스 투입 하에 부타디엔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용매를 사용하는 흡수 방식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타디엔의 제조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부는 일반 컬럼을 이용한 스트리핑, 혹은 탈기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타디엔의 제조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부는 용매가 분리되어 흡수분리부로 순환되는 배출흐름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타디엔의 제조방법.
  16. 부텐, 산소(O2), 수증기(steam) 및 희석기체를 포함하는 반응원료를 산화탈수소화 반응시켜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을 얻는 산화탈수소화 반응부;
    상기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에서 물을 분리하는 냉각분리부;
    상기 물이 분리된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에서 탄화수소류를 응축하는 응축분리부; 또는 압축기, 열교환기 및 응축분리부를 포함하는 응축시스템;
    상기 응축분리부 또는 상기 응축시스템에서 응축하지 않은 탄화수소류를 포함하는 산화탈수소화 반응생성물을, 불연성 희석가스 투입 하에 COx, O2와 불연성 희석가스를 분리하는 흡수분리부; 및
    상기 응축분리부 또는 상기 응축시스템에서 응축된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조질 탄화수소에서 부타디엔을 분리하는 정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제부에서 분리된 부타디엔을 제외한 n-부탄이 포함된 기체가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로 재투입되고,
    상기 정제부에서 부타디엔이 분리되고 잔류한 부텐이 포함된 배출흐름은, 원료 부텐과 혼합되어 상기 산화탈수소화 반응부로 투입되되, 상기 희석기체는 부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타디엔의 제조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분리부에서 불연성 희석가스 투입 하에 분리된 COx, O2와 불연성 희석가스를 제외한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탄화수소류를 응축분리부로 공급되는 배출흐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타디엔의 제조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분리부에서 불연성 희석가스 투입 하에 분리된 COx와 O2, 불연성 희석가스를 제외한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탄화수소류에서 COx와 O2와,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조질 탄화수소를 분리하는 탈기부; 및 상기 탈기부에서 분리된 COx와 O2를 상기 흡수분리부 또는 응축시스템으로 투입하는 배출흐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타디엔의 제조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부에서 분리된 n-부탄, 부텐과 부타디엔이 포함된 조질 탄화수소에서 고비점 물질을 분리하는 고비점제거부; 및
    상기 고비점 물질이 분리된 조질 탄화수소가 정제부로 투입되는 배출흐름;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타디엔의 제조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부에서 용매가 분리되어 흡수분리부로 순환되는 배출흐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타디엔의 제조장치.
KR1020160182368A 2016-12-29 2016-12-29 부타디엔 제조방법 KR102064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368A KR102064316B1 (ko) 2016-12-29 2016-12-29 부타디엔 제조방법
JP2018552006A JP6617389B2 (ja) 2016-12-29 2017-12-18 ブタジエンの製造方法
EP17885613.4A EP3424894B1 (en) 2016-12-29 2017-12-18 Butadiene production method
US16/072,751 US10710944B2 (en) 2016-12-29 2017-12-18 Method of preparing butadiene
CN201780013886.5A CN108713008B (zh) 2016-12-29 2017-12-18 制备丁二烯的方法
PCT/KR2017/014932 WO2018124575A1 (ko) 2016-12-29 2017-12-18 부타디엔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368A KR102064316B1 (ko) 2016-12-29 2016-12-29 부타디엔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725A KR20180077725A (ko) 2018-07-09
KR102064316B1 true KR102064316B1 (ko) 2020-01-09

Family

ID=62710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368A KR102064316B1 (ko) 2016-12-29 2016-12-29 부타디엔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10944B2 (ko)
EP (1) EP3424894B1 (ko)
JP (1) JP6617389B2 (ko)
KR (1) KR102064316B1 (ko)
CN (1) CN108713008B (ko)
WO (1) WO20181245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314B1 (ko) * 2016-12-29 2020-01-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부타디엔 제조방법
CN114590861B (zh) * 2022-03-24 2023-08-11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低能耗除氧装置和低能耗除氧工艺
CN115155257B (zh) * 2022-04-27 2023-06-20 西南化工研究设计院有限公司 一种从低含氦bog中提取高纯氦气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247B1 (ko) 2004-11-12 2013-04-22 바스프 에스이 N-부탄으로부터 부타디엔을 제조하는 방법
US20140200381A1 (en) 2013-01-16 2014-07-17 Basf Se Process for Preparing Butadiene by Oxidative Dehydrogenation of N-Butenes with Monitoring of the Peroxide Content During Work-Up of the Product
WO2015051028A1 (en) 2013-10-02 2015-04-09 Invista Technologies S.A.R.L. Methods and systems for preparation of 1,3-butadiene
KR101655557B1 (ko) 2013-11-29 2016-09-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산화탈수소 반응을 통한 부타디엔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9550B2 (ja) 2003-03-27 2007-11-14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金属酸化膜の形成方法
US8293960B2 (en) 2009-08-17 2012-10-23 Lummus Technology Inc.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butadiene
EP2945922A1 (de) * 2013-01-15 2015-11-25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1,3-butadien aus n-butenen durch oxidative dehydrierung
KR101704902B1 (ko) * 2014-06-03 2017-0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산화탈수소화 반응을 통한 부타디엔의 제조방법
KR101784046B1 (ko) * 2014-07-02 2017-10-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부타디엔 제조 공정 내 에너지 재활용 방법
JP6608916B2 (ja) * 2014-09-26 2019-11-20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酸化的脱水素化によりn−ブテン類から1,3−ブタジエン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WO2016075065A1 (de) * 2014-11-14 2016-05-19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1,3-butadien durch dehydrierung von n-butenen unter bereitstellung eines butane und 2-butene enthaltenden stoffstromes
EP3269697B1 (en) * 2015-03-09 2021-01-06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conjugated diene
US10532963B2 (en) * 2016-01-11 2020-01-14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Methods for the oxidative dehydrogenation of butene to produce butadie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247B1 (ko) 2004-11-12 2013-04-22 바스프 에스이 N-부탄으로부터 부타디엔을 제조하는 방법
US20140200381A1 (en) 2013-01-16 2014-07-17 Basf Se Process for Preparing Butadiene by Oxidative Dehydrogenation of N-Butenes with Monitoring of the Peroxide Content During Work-Up of the Product
WO2015051028A1 (en) 2013-10-02 2015-04-09 Invista Technologies S.A.R.L. Methods and systems for preparation of 1,3-butadiene
KR101655557B1 (ko) 2013-11-29 2016-09-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산화탈수소 반응을 통한 부타디엔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24894A4 (en) 2019-05-15
EP3424894B1 (en) 2019-12-04
KR20180077725A (ko) 2018-07-09
WO2018124575A1 (ko) 2018-07-05
US20190031580A1 (en) 2019-01-31
US10710944B2 (en) 2020-07-14
EP3424894A1 (en) 2019-01-09
CN108713008B (zh) 2021-08-06
JP2019510775A (ja) 2019-04-18
CN108713008A (zh) 2018-10-26
JP6617389B2 (ja)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5557B1 (ko) 산화탈수소 반응을 통한 부타디엔 제조방법
US10843985B2 (en) Device for preparing butadiene
KR102064316B1 (ko) 부타디엔 제조방법
KR101717817B1 (ko) 산화탈수소 반응을 통한 부타디엔 제조방법
KR101880855B1 (ko) 산화탈수소 반응을 통한 부타디엔 제조 공정 내 흡수 용매 회수방법
KR102246175B1 (ko) 부타디엔 제조방법
KR102200814B1 (ko) 부타디엔 제조방법
KR102246185B1 (ko) 부타디엔 제조방법
KR102246184B1 (ko) 부타디엔 제조방법
KR102064314B1 (ko) 부타디엔 제조방법
KR102050834B1 (ko) 부타디엔의 제조 방법
KR20220019478A (ko) 공액디엔의 제조방법
KR20220019497A (ko) 공액디엔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