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129B1 - 복합시트구조체 - Google Patents

복합시트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129B1
KR102064129B1 KR1020190098554A KR20190098554A KR102064129B1 KR 102064129 B1 KR102064129 B1 KR 102064129B1 KR 1020190098554 A KR1020190098554 A KR 1020190098554A KR 20190098554 A KR20190098554 A KR 20190098554A KR 102064129 B1 KR102064129 B1 KR 102064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heat insulating
insulating layer
waterproof
shee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왕선
Original Assignee
(주)도심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심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도심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90098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1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 B32B1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comprising such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1/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comprising such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8Electrical discharge treatment, e.g. corona,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와 더불어 단열 기능이 제공되어 시공의 편리성이 보장되는 복합시트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제1 단열층; 상기 제1 단열층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1 방수층; 상기 제1 방수층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2 단열층; 및 상기 제2 단열층의 상면에 적층되는 보호층;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시트구조체{COMPLEX SHEET STRUCTURE}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과 외벽의 마무리공사에 사용되는 복합시트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수와 더불어 단열 기능이 제공되어 시공의 편리성이 보장되는 복합시트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구조물의 옥상이나 상부 슬라브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에 적용되는 방수공법은 도막방수공법과 시트방수공법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가장 널리 알려진 방수공법으로 도막방수공법이 있다.
이러한 도막방수공법에는 무기질계 탄성도막 방수공법과 폴리우레탄 도막방수공법이 있다.
또한, 시트방수공법으로는 아스팔트를 유화시켜 합성고무를 배합시킨 고무화 아스팔트시트를 이용한 시공방법이 있다. 그리고 시트방수공법에 이용되는 방수시트들도 방수공법의 종류에 따라 그 재질 및 특성을 달리하고 있다.
전자의 도막방수공법은 현장에서 시공해야 하는 이유로 도막조성물의 배합이 정확하지 못하여 본래의 물성이 나오지 않으며 시공기간 길고, 수분과 습기에 취약하여 경화불량에 따른 방수층과 방수층 사이에 접착성이 약해서 들뜸현상 및 박리현상으로 균일한 도막층을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도막방수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후자의 시트방수공법은, 대표적인 공법으로 고무화 아스팔트시트공법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이는 열에 의한 변형을 차단하고자 부직포를 합지하여 그 위에 중도층으로 무기질계 탄성도막방수나 폴리우레탄도막방수를 시공하고 상도층을 시공하고 있다. 하지만 공정횟수가 많고, 단열성능이 떨어져 변형이 되어 하자발생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도막방수공법과 시트방수공법의 대표적인 고무화 아스팔트시트방수공법의 경우에는 단열기능이 없기 때문에 하절기의 장마기간이나 동절기의 실내외 온도차에 의한 결로현상으로 벽지에 곰팡이 발생요인으로 지적되었다.
본원에 관련된 것으로서 특허문헌 1을 든다.
특허문헌 1에는 기존의 도막방수공법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단열성능을 가진 기술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은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단열과 방수층의 형성을 위해 다수의 층간 구조의 적층으로 제공됨으로서 시공두께가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다.
KR 10-1332646 B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중의 단열 및 방수구조에 의해 옥상 및 외벽 단열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견고한 방수 보호막을 유지할 수 있는 복합시트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구조체는 제1 단열층; 상기 제1 단열층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1 방수층; 상기 제1 방수층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2 단열층; 및 상기 제2 단열층의 상면에 적층되는 보호층;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단열층의 하면에는 점착층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점착층은 점착층의 오염을 방지하여 점착력을 유지하도록 점착층을 보호하는 이형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의 상면에는 장식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열층과 제2 단열층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는 알루미늄시트일 수 있다.
상기 제1 단열층과 제2 단열층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는 코로나 방전으로 표면처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방수층은 고무화 아스팔트층일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고무화 아스팔트층 또는 합성수지층일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층은 폴리우레탄층일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층은 우레탄 상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층은 수지아스팔트혼성층일 수 있다.
상기 수지아스팔트혼성층은 아스팔트, 비닐수지의 열분해물, 비닐계 올리고머 및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닐수지의 열분해물은 신재 비닐수지, 폐비닐수지 또는 신재 비닐수지와 폐비닐수지의 혼합물을 열분해하여 수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합시트구조체의 단열층과 방수층이 복합 2중 구조로 형성되어 완벽한 방수성 및 단열성능을 발휘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방수 바탕의 거동(균열, 수축, 팽창 등)에 대한 대응성이 우수하여 신뢰성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 방수에 널리 적용되는 재료를 채택함으로써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시트구조체의 단면구조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징적 기술과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 및/또는 외벽 등의 단열방수시트로 활용가능한 복합시트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복합시트구조체의 단면구조도를 나타낸다.
도 1에 예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복합시트구조체(10)는 제1 단열층(11); 상기 제1 단열층(11)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1 방수층(12); 상기 제1 방수층(12)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2 단열층(13); 및 상기 제2 단열층(13)의 상면에 적층되는 보호층(14);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단열층(11)과 제2 단열층(13)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는 알루미늄시트일 수 있다. 알루미늄시트는 금속 알루미늄을 판상으로 가공(주로 압연 가공)을 통하여 판재로 만든 것으로서, 알루미늄은 전성이 우수하여 원하는 두께로의 압연이 가능하며, 비중(약 2.7)이 낮아 경량화가 가능하고, 알루미늄 자체는 열전도도가 우수하나, 반사율이 우수하여 복사열의 차단에 우수하며, 독성이 없고, 전자장의 영향을 받지 않고, 성형성이 우수하며, 특히 온도 저하 시 강도가 향상되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구조체의 제조에서 단열층으로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또한, 알루미늄은 표면에 자연산화피막을 형성하여 경시 안정성도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알루미늄시트는 0.1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0.75 ㎜,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5 ㎜의 두께의 알루미늄 금속판일 수 있다. 이 알루미늄시트의 두께가 0.1 ㎜ 미만인 경우, 단열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1.0 ㎜를 초과하는 것은 고가의 금속자원이기 때문에 자원의 낭비 및 생산비의 상승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단열층(11)과 제2 단열층(13)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는 코로나 방전으로 표면처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표면처리에 의해 단열층에 인접하여 적층되는 다른 층들, 특히 유기물질로 이루어지는 다른 층들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그에 의해 방수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코로나 방전에 의한 표면처리에 의해 피처리물, 즉 알루미늄시트의 표면에 라디컬이나 이온이 생성되어 주위의 오존, 산소, 질소 등과의 반응으로 극성 관능기가 도입되어 피처리물의 표면 장력의 수치 값을 낮추어 젖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지는 다른 층들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코로나 방전은 기체 속 방전의 한 형태로, 한 쪽이나 양 쪽의 전극이 뾰족한 모양일 때 극 부분의 전기장이 강해져 방전이 일어나는 현상으로, 2 개의 전극사이에 높은 전압을 가하면, 불꽃을 발하기 이전에 전기장의 강한 부분만이 발광(發光)하여 전도성(傳導性)을 갖는 현상을 말한다. 2개의 전극이 모두 평판 또는 지름이 큰 구(球)와 같은 경우의 전기장은 거의 균일하지만, 한쪽 극 또는 양극이 봉상(棒狀) 또는 침상(針狀)으로 되어 있으면, 그 극 부근의 전기장이 특히 강해져 부분적인 방전이 일어나 빛이나 소리를 낸다. 이와 같은 상태를 코로나 방전이라고 한다.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면 코로나 손실이 생긴다. 이 방전은 극 사이의 일부에 방전이 일어나고 있는 상태이며, 극 사이의 전역(全域)이 방전하고 있는 아크 방전과는 다르다. 코로나 방전은 직류전압이나 교류전압에서도 일어나는데, 뾰족한 전극이 양(陽)쪽이냐 또는 음(陰)쪽이냐에 따라 발광하는 모양이 달라지며, 교류일 경우에는 1/2 ㎐마다 양과 음의 코로나가 교대로 나타난다.
상기 제1 방수층(12)은 고무화 아스팔트층일 수 있다. 고무화 아스팔트층은 고무화 아스팔트 조성물을 층상으로 적층하여 형성되며, 고무화 아스팔트 조성물은 방수시트의 제조에 널리 알려진 조성물로 계절 변화 및 크랙, 진동에 대해 대응성이 우수한 특성을 활용할 수 있다. 고무화 아스팔트 조성물은 국내외 유수의 제조업자들에 의해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제조업자들 및 제품별로 상이할 수 있기는 하나, 주로 정제된 아스팔트, 합성 고무, 비활성 점토 충전재를 원료로 혼합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고무화 아스팔트 조성물은 열가소성을 가지며, 가열 시 액체에 가까운 매우 높은 유동도를 가져 이음매가 없는 일체형 형태로 층간의 수분침투를 원천 차단할 수 있다. 제1 방수층(12)의 두께는 0.5 내지 2.0 ㎜, 바람직하게는 0.75 내지 1.5 ㎜,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 ㎜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0.1 ㎜ 미만인 경우, 방수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2.0 ㎜를 초과하는 것은 복합시트구조체의 전체 두께의 증가로 복합시트구조체의 취급 및 설치를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보호층(14)은 고무화 아스팔트층 또는 합성수지층일 수 있다.
상기 보호층(14)이 고무화 아스팔트층인 경우, 상기 보호층(14)은 제1 방수층(12)과 동일한 조성 및 특성을 갖게 되며, 제2 방수층으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구조체는 제1 단열층(11), 제1 방수층(12), 제2 단열층(13) 및 보호층(14)의 순서로 적층되고, 여기에서 제1 단열층(11)과 제1 방수층(12)은 함께 제1 단열방수층을 형성하고, 제2 단열층(13)과 보호층(14)은 제2 단열방수층을 형성하며, 결과적으로 이중의 단열방수층의 구조를 갖게 된다.
여기에서, '적층'이란 용어는 롤코팅이나 스프레이 코팅에 의한 피막층 형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면, 0.5 ㎜의 두께를 갖는 제1 단열층(11)과 1 ㎜의 두께를 갖는 제1 방수층(12)의 적층으로 이루어지며, 1.5 ㎜의 두께를 갖는 제1 단열방수층; 및 0.5 ㎜의 두께를 갖는 제2 단열층(13)과 1 ㎜의 두께를 가지며, 고무화 아스팔트층으로 이루어지는 보호층(14)의 적층으로 이루어지며, 1.5 ㎜의 두께를 갖는 제2 단열방수층;으로 이루어져 결과적으로 복합시트구조체는 총 3 ㎜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은 2중의 단열층과 2중의 방수층 구조체로서 견고한 방수보호막과 동시에 단열층을 형성하며, 옥상 및 외벽 방수의 경우에서 비노출 단열방수의 방수제 조성물인 인장력이 우수한 고무화 아스팔트층을 이중으로 포함하고, 동시에 단열층을 이중으로 포함하여 방수 및 단열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14)은 합성수지층일 수 있으며, 상기 합성수지층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층일 수 있다. 폴리우레탄은 알코올기와 이소시안산의 결합으로 만들어진 우레탄결합으로 결합된 고분자 화합물의 총칭이며, 우레탄계 합성고무에는 폴리에스터계와 폴리에테르계가 있다. 폴리에스터계는 프로필렌글리콜과 에틸렌글리콜을 아디프산과 반응시켜 폴리에스터로 만들고, 양단에 OH기를 가진 분자량 3,000까지의 것을 나프탈렌-1,5-디이소시안산으로 우레탄화시킴과 동시에 고분자로 만든 것이다. 또 폴리에테르계는 산화프로필렌에 얼마간의 산화에틸렌을 섞어서 먼저 폴리에테르로 하고, 그 양끝의 OH기를 톨루일렌디이소시안산과 반응시켜 고분자량의 폴리우레탄으로 만든 것이다. 내오존성과 내마모성이 좋은 합성고무가 된다. 따라서 합성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보호층(14) 역시 우수한 방수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층은 자유로운 착색이 가능하고 표면 광택이 우수하고, 매끄러운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층은, 이미 널리 알려진 것과 같이,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가 매우 우수하고, 충격, 마찰, 절단, 찢김 등에 강하며, 마찰 마모에서 고무에 비해 매우 높고, 유연성 및 형상 반발회복이 우수함과 흡음, 진동, 흡수에 매우 우수한 특징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구조체는 제1 단열층(11), 제1 방수층(12), 제2 단열층(13) 및 보호층(14)의 순서로 적층되고, 여기에서 제1 단열층(11)과 제1 방수층(12)은 함께 제1 단열방수층을 형성하고, 제2 단열층(13)과 보호층(14)은 제2 단열방수층을 형성하며, 결과적으로 이중의 단열방수층의 구조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면, 0.5 ㎜의 두께를 갖는 제1 단열층(11)과 1 ㎜의 두께를 갖는 제1 방수층(12)의 적층으로 이루어지며, 1.5 ㎜의 두께를 갖는 제1 단열방수층; 및 0.5 ㎜의 두께를 갖는 제2 단열층(13)과 1 ㎜의 두께를 가지며, 합성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보호층(14)의 적층으로 이루어지며, 1.5 ㎜의 두께를 갖는 제2 단열방수층;으로 이루어져 결과적으로 복합시트구조체는 총 3 ㎜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은 2중의 단열층과 2중의 방수층 구조체로서 견고한 방수보호막과 동시에 단열층을 형성하며, 옥상 및 외벽 방수의 경우에서 노출의 단열 방수시트로 활용될 수 있으며, 역시 이중의 방수층 및 이중의 단열층을 포함하여 방수 및 단열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층은 우레탄 상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우레탄 상도층은 우레탄 페인트의 도포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우레탄 페인트는 우레탄 결합(-O-CO-NH-)을 도막 속에서 형성하는 합성수지 도료로서, 도막의 강도나 방수 기능이 우수하며, 신축성이 있고, 외부 노출에 강하기 때문에 옥상 방수재, 육상 트랙용 바닥재, 체육관 시설 바닥 등에 사용된다. 내마모성, 내후성, 내약품성, 내굴절성이 풍부하다. 이러한 우레탄 페인트는 국내외 유수의 제조업자들로부터 상용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우레탄 상도는 내구성이 우수하고, 자외선에 강하며, 방수특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체예는 옥상 슬라브 상층에 노출된 상태에서 노후화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부분 보수가 가능하여 경제적인 단열과 방수공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상도는 0.1 내지 0.2 ㎜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0.15 ㎜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층은 수지아스팔트혼성층일 수 있다.
상기 수지아스팔트혼성층은 아스팔트, 비닐수지의 열분해물, 비닐계 올리고머 및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닐수지의 열분해물은 비닐수지를 오일과 혼합하여 열분해시켜 수득되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일수지 혼합물 총량을 기준으로 오일부 50 내지 90중량%와 잔량으로서 폐비닐수지를 포함하는 오일수지 혼합물을 무산소 분위기 또는 희산소 분위기 하에서 250 내지 500℃의 범위 이내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5시간 동안 열분해시켜 수득될 수 있으며, 상기에서 오일부는 VHGO(Vacuum High Boiling point Gas Oil) 35 내지 70중량%, 아로마틱기유 20 내지 40중량% 및 파라핀기유 10 내지 3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닐수지의 열분해물은 신재 비닐수지, 폐비닐수지 또는 신재 비닐수지와 폐비닐수지의 혼합물을 열분해하여 수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비닐수지의 열분해물의 제조에서 사용되는 비닐수지로는 경제적인 면과 자원재활용 및 그에 의한 합성수지 폐기물의 감소의 차원에서 폐비닐수지 또는 신재 비닐수지와 폐비닐수지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닐계 올리고머는 스티렌,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단량체(monomer)로 포함하는 저분자량의 단일 중합체(homo-oligomer)와 그 공중합체(co-oligomer)로서, 일반적으로 올리고머라 함은 중합체 형성의 기본단위가 되는 단량체를 기준으로 2 이상에서 수백까지의 중합체를 말하는 것으로써 분자량으로는 수백 내지 수만 정도의 중합체에 해당하며 통상적인 수만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중합체들과는 다른 특이한 물리적 거동을 나타내기 때문에 별도로 구별하여 취급한다. 이 올리고머들은 동일한 단량체로 제조된 고분자량 중합체(polymer)와는 화학적, 전기적, 광학적 특성등이 유사하고 상용성(compatibility)이 우수한 반면 물리적, 열적, 유변학적 성질 등은 상이하게 나타나는 독특함 때문에 폭넓은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물리적, 열적성질 등에 있어서의 변화 정도는 일차적으로 중합체의 분자량에 의존하게 된다. 중합체의 기계적, 열적, 유변학적 물성들은 분자량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나, 각 개별물성의 의존양상은 서로 상이하며, 그러나 종류에 관계없이 대부분 중합체의 기계적 강도는 분자량이 적을수록 취약하며 열변형온도 및 연화온도, 유리전이온도 등도 낮아짐으로 해서 높은 기계적 강도나 내열성이 요구되는 재료로써의 올리고머 사용은 지양되며, 통상의 고중합체에서는 얻을 수 없는 낮은 점도나 낮은 연화온도를 요하는 재료로 사용되기 때문에 이 올리고머 제조에 있어서는 단순한 저분자량체의 집합체로써가 아니라 특별히 조절된 분자량을 갖는 중합체의 제조가 필요하게 되며 특히 상대적으로 낮은 분자량의 중합체를 제조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수천 이하의 분자량을 갖는 저분자량 올리고머 제조의 효율성이 이러한 올리고머 제조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비닐계 올리고머의 제조방법은 대별하여 두 가지의 방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첫 번째의 방법은 다량의 라디칼 개시제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단위 중합활성체에 대한 단량체 농도를 감소시켜 제조하는 방법이며, 스티렌 등의 비닐계 단량체의 괴상중합 혹은 현탁중합 방법으로써 사용된다. 두 번째의 방법은 연쇄이동상수(chain transfer cofficient)가 큰 유기용매내에서 용액중합하는 방식으로써 단량체의 끓는점 이하에서 중합하는 상압법과 단량체의 끓는점 이상에서 중합하는 고압법의 두 방법으로 세분된다. 상압법은 비교적 낮은 온도(상온 내지 120℃)에서 개시제를 사용하여 중합하는 방법이고, 고압법은 열산화 안정성을 해치는 라디칼 개시제의 사용없이 단량체와 용매만으로 중합하며 사용되는 용매를 열산화 안정성이 우수한 방향족 화합물로 선정할 경우 순수한 저분자량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비닐계 올리고머는 중량평균분자량으로서 5,000 내지 5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0 내지 40,000,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35,000의 범위 내에서 원하는 점도에 따라 적의 조절하여 사용될 수 있다. 비닐계 올리고머의 분자량은 예를 들어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법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다.
상기 개시제는 비닐계 단량체를 비닐계 수지로 중합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퍼옥사이드, 퍼카보네이트, 아조계가 있으며, 구체적 예로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데카노일 퍼옥사이드, t-부틸퍼옥토에이트, 디-t-부틸퍼옥사이드,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프로필하이드로퍼옥사이드, 이소프로필 하이드로퍼옥사이드, t-아밀-2-에틸헥사노에이트 등과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탄-니트릴) 등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님은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제1 단열층(11)의 하면에는 점착층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점착층은 점착층의 오염을 방지하여 점착력을 유지하도록 점착층을 보호하는 이형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감압 점착제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구조체를 설치할 건축물의 표면, 예를 들어, 방수처리를 위한 건물의 옥상이나 외벽에 대고 단순히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옥상이나 외벽의 표면에 자가접착되도록 기능하며, 이러한 점착층의 오염을 방지하여 점착력을 유지하도록 점착층을 보호하는 이형층에 의해 보호되고,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구조체를 설치할 건축물의 표면, 예를 들어, 방수처리를 위한 건물의 옥상이나 외벽에 대고 단순히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옥상이나 외벽의 표면에 자가접착시키기 이전에 단순히 이형층을 제거하는 것에 의하여 자가접착이 가능하며, 이러한 점착층 및 이형층의 형성은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점착층의 존재 유무에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구조체를 건물의 옥상이나 외벽 등에 적용하기 전에 옥상이나 외벽의 표면을 상기 고무화 아스팔트 조성물을 적용하여 고무화 아스팔트 중간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구조체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고무화 아스팔트 조성물에 의한 연속층의 형성에 의해 복합시트구조체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다 완전한 방수가 실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14)의 상면에는 장식층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장식층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구조체의 설치만으로 장식효과를 높여 건물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실시예 1
0.5 ㎜의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시트로 이루어지는 제1 단열층, 1 ㎜의 두께를 갖는 고무화 아스팔트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1 방수층, 0.5 ㎜의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시트로 이루어지는 제2 단열층 및 1 ㎜의 두께를 갖는 고무화 아스팔트층으로 이루어지는 보호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0.5 ㎜의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시트로 이루어지는 제1 단열층, 1 ㎜의 두께를 갖는 고무화 아스팔트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1 방수층, 0.5 ㎜의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시트로 이루어지는 제2 단열층 및 1 ㎜의 두께를 갖는 폴리우레탄층으로 이루어지는 보호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0.5 ㎜의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시트로 이루어지는 제1 단열층, 1 ㎜의 두께를 갖는 고무화 아스팔트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1 방수층, 0.5 ㎜의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시트로 이루어지는 제2 단열층 및 1 ㎜의 두께를 갖는 수지아스팔트혼성층으로 이루어지는 보호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이때, 수지아스팔트혼성층은 아스팔트, 비닐수지의 열분해물, 비닐계 올리고머 및 경화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비닐수지의 열분해물은 폐비닐수지와 신재 비닐수지를 중량비로 50:50으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고, 이를 오일과 혼합하여 열분해시켜 수득되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일수지 혼합물 총량을 기준으로 오일부(VHGO 35 내지 70중량%, 아로마틱기유 20 내지 40중량% 및 파라핀기유 10 내지 30중량%를 포함) 50 내지 90중량%와 잔량으로서 폐비닐수지와 신재 비닐수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오일수지 혼합물을 질소 기류 분위기 하에서 약 350℃의 범위의 온도에서 약 3시간 동안 열분해시켜 수득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수득되는 적층체에 0.15 ㎜의 두께를 갖는 우레탄 페인트로 형성되는 우레탄 상도를 더 적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2에서 수득되는 적층체에 0.15 ㎜의 두께를 갖는 우레탄 페인트로 형성되는 우레탄 상도를 더 적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3에서 수득되는 적층체에 0.15 ㎜의 두께를 갖는 우레탄 페인트로 형성되는 우레탄 상도를 더 적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복합시트구조체의 저면, 즉 제1 단열층의 저면에 고무화 아스팔트 중간층을 형성시켰다.
비교예 1
0.5 ㎜의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시트로 이루어지는 제1 단열층 및 1 ㎜의 두께를 갖는 고무화 아스팔트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1 방수층을 적층하여 시트구조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0.5 ㎜의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시트로 이루어지는 제1 단열층, 1 ㎜의 두께를 갖는 고무화 아스팔트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1 방수층 및 0.5 ㎜의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시트로 이루어지는 제2 단열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시트구조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0.5 ㎜의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시트로 이루어지는 제1 단열층, 1 ㎜의 두께를 갖는 고무화 아스팔트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1 방수층 및 1 ㎜의 두께를 갖는 폴리우레탄층으로 이루어지는 보호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시트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따른 공시체를 각 실시예 및 비교예들 별로 3개씩 준비하고, 이들에 대하여 방수성과 단열성을 하기 기준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 나타낸 결과는 3개의 공시체에 대한 측정결과들의 평균값으로 소수점 이하 2자리까지 기재하였다.
방수성: ISO 811에 의한 내수압도 측정결과로 건축시장에서 요구되는 300mm H2O 수준의 달성여부로 판정하였다.
단열성: KS L 9016의 기준에 준하여 측정한 열전도도(단위: W/mK). 보다 정확하게는 열전도도가 아닌 복사열 차단효과를 포함하는 전체적인 열차단효과를 표시하여야 하나, 공인된 시험방법 중 이러한 시험방법이 없어서 부득이하게 열전도도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82741905-pat00001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2중의 단열층과 2중의 방수층이 복합되어 보다 완벽한 옥상 및 외벽의 방수와 더불어 단열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기술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은 저렴한 제조원가에 의해 옥상이나 외벽의 방수시공과 동시에 단열효과를 충분히 제공할 수 있어 건축법에 따라 일반적인 건축물의 열관리와 복잡한 시공이 없이 시공비의 절감 및 대체 또는 보완할 수 있는 산업상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10: 복합시트구조체
11: 제1 단열층
12: 제1 방수층
13: 제2 단열층
14: 보호층

Claims (12)

  1. 제1 단열층; 상기 제1 단열층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1 방수층; 상기 제1 방수층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2 단열층; 및 상기 제2 단열층의 상면에 적층되는 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층이 아스팔트, 비닐수지의 열분해물, 비닐계 올리고머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수지아스팔트혼성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트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열층의 하면에는 점착층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점착층은 점착층의 오염을 방지하여 점착력을 유지하도록 점착층을 보호하는 이형층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트구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상면에는 장식층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트구조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열층과 제2 단열층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가 알루미늄시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트구조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열층과 제2 단열층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가 코로나 방전으로 표면처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트구조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수층이 고무화 아스팔트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트구조체.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수지의 열분해물이 신재 비닐수지, 폐비닐수지 또는 신재 비닐수지와 폐비닐수지의 혼합물을 열분해하여 수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트구조체.
KR1020190098554A 2019-08-13 2019-08-13 복합시트구조체 KR102064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554A KR102064129B1 (ko) 2019-08-13 2019-08-13 복합시트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554A KR102064129B1 (ko) 2019-08-13 2019-08-13 복합시트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4129B1 true KR102064129B1 (ko) 2020-01-08

Family

ID=69154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554A KR102064129B1 (ko) 2019-08-13 2019-08-13 복합시트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12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3093A (ja) * 2008-03-31 2009-10-22 Suminoe Textile Co Ltd 建材用遮熱防水シート
KR20090010907U (ko) * 2008-04-22 2009-10-27 김기철 자착식 단열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법
KR100958884B1 (ko) * 2009-10-08 2010-05-20 한폴 주식회사 부틸합성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공법.
KR101332646B1 (ko) 2012-02-23 2013-11-25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단열성능을 가진 이중복합직물방수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시트 방수공법
KR101382233B1 (ko) * 2013-02-07 2014-04-07 (주)리뉴시스템 단열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단열 복합방수공법
JP6021509B2 (ja) * 2012-08-09 2016-11-09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3093A (ja) * 2008-03-31 2009-10-22 Suminoe Textile Co Ltd 建材用遮熱防水シート
KR20090010907U (ko) * 2008-04-22 2009-10-27 김기철 자착식 단열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법
KR100958884B1 (ko) * 2009-10-08 2010-05-20 한폴 주식회사 부틸합성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공법.
KR101332646B1 (ko) 2012-02-23 2013-11-25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단열성능을 가진 이중복합직물방수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시트 방수공법
JP6021509B2 (ja) * 2012-08-09 2016-11-09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101382233B1 (ko) * 2013-02-07 2014-04-07 (주)리뉴시스템 단열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단열 복합방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69853B (zh) 多层膜及包含该多层膜的光伏组件
CN104401084A (zh) 哑光阻燃耐寒蓬盖布
JP2012213923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CN106827753A (zh) 一种屋顶绿化用防水卷材及制备方法
AU2015411754B2 (en) Topcoat composition, method of coating substrates with the same, and substrate
KR102064129B1 (ko) 복합시트구조체
KR101408630B1 (ko) 수용성 복합시트 방수공법
JP2009269973A (ja) 水性被覆材及び塗装物
CN109955546B (zh) 一种耐高温热塑性蜂窝板材
JP2016005915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の製造方法
CN104403282B (zh) 太阳能电池背板用改性pet基材及其制备方法
JP5776265B2 (ja) 複合防水構造体の施工方法及び複合防水構造体
JPS643666B2 (ko)
KR102026987B1 (ko) 옥상 방수 시공용 상도용 조성물.
JP2014208431A (ja) 転写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被覆部材
CN207683061U (zh) 高分子复合膜及防水卷材
CN203680930U (zh) 隔热铝塑板
JP5899639B2 (ja) 複合防水構造体の施工方法
CN116515377B (zh) 一种紫外光固化微水泥涂料
CN104989067A (zh) 一种具有uv防护层结构的强韧柔性pvc复合地板
JP2020147026A (ja) 高周波非接着性圧密技術に基づく電熱複合材料の製造方法
CN116333570B (zh) 一种用于聚氨酯玻纤复合材料的紫外线光固化涂料
CN204920103U (zh) 具有uv防护层结构的强韧柔性pvc复合地板
KR200347490Y1 (ko) 결로방지용 단열판
KR102609735B1 (ko) 자착형 복합 방수시트 및 이의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