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078B1 - 점자 완구를 이용한 3차원 교육시스템 - Google Patents

점자 완구를 이용한 3차원 교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078B1
KR102064078B1 KR1020180063300A KR20180063300A KR102064078B1 KR 102064078 B1 KR102064078 B1 KR 102064078B1 KR 1020180063300 A KR1020180063300 A KR 1020180063300A KR 20180063300 A KR20180063300 A KR 20180063300A KR 102064078 B1 KR102064078 B1 KR 102064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information
pad
protrusions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7290A (ko
Inventor
김인숙
Original Assignee
김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숙 filed Critical 김인숙
Priority to KR1020180063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078B1/ko
Publication of KR20190137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자 완구를 이용한 3차원 교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로잉패드가 구성되고, 다수의 점자돌기가 각각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된 3D박스가 별도로 구성되며, 상기 드로잉패드와 상기 3D박스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드로잉패드에 글자 또는 그림을 드로잉하면, 입력된 글자 또는 그림이 3D박스 상에서 점자문자 또는 입체형상으로 나타나도록 구성되는 점자 완구를 이용한 3차원 교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점자 완구를 이용한 3차원 교육시스템은,
그림을 그리기 위한 패드를 포함하고 있는 드로잉패드(2000)와,
다수의 점자돌기(1100)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드로잉패드로부터 드로잉된 드로잉 정보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획득하여 해당 드로잉 정보를 참조하여 각각의 점자돌기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3차원으로 표현하기 위한 3D박스(10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점자 완구를 이용한 3차원 교육시스템{3D educational system using Braille Toys}
본 발명은 점자 완구를 이용한 3차원 교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로잉패드가 구성되고, 다수의 점자돌기가 각각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된 3D박스가 별도로 구성되며, 상기 드로잉패드와 상기 3D박스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드로잉패드에 글자 또는 그림을 드로잉하면, 입력된 글자 또는 그림이 3D박스 상에서 점자문자 또는 입체형상으로 나타나도록 구성되는 점자 완구를 이용한 3차원 교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자는 일정하게 배열된 돌기의 점을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에 따라서 표준화된 위치에 조합함으로 시각장애인이 촉각으로 읽어 정보를 습득할 수 있게 하는 문자의 일종이다.
이러한 점자는 문자 체계에 따라 기본적으로 6개의 점(종으로 3점, 횡으로 2점)으로 구성되었으며, 직사각형의 점칸(braille cell)에 왼쪽 위에서 아래로 123점을, 오른쪽 위에서 아래로 456점을 각각 배정한 점의 수와 위치에 의하여 63개의 서로 다른 점형(點型)이 만들어지고, 각 점형에 글자를 배정하여 문자체계를 이루게 된다
최근에는 멀티미디어 기기(컴퓨터, 스마트폰 등)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사회복지 실현의 차원에서 시각장애인을 위한 정보통신기기의 일종인 점자표시장치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88947호를 살펴보면, 문자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소와, 그 음소에 해당하는 6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점자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화면상에 표시될 문자를 구성하는 음소를 나타내기 위한 점자를 저장부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점자 중 돌기로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점에 대한 행렬값을 음소 나열순서대로 계산하고 계산된 행렬값에 매칭되는 해당 행렬의 지점이 돌출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열이 발생되어, 해당 지점의 표면을 돌출시켜 점자를 형성하는 점자 형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개선해야 할 기술적 문제점들이 노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살펴보면, 종래의 경우, 점자표시장치는 점자를 표시하기 위해 압전 선형 모터, 고분자 유전체, 압전 세라믹, 솔레노이드 등의 동력원을 이용해 면 위에 하나 이상의 핀을 돌출시키는데, 일반인과의 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상의 불편함이 발생하게 되었다.
즉, 문자 이외의 그림이나 문양 등을 교육할 수 없으며, 일반인들이 문자를 입력할 경우에 자동으로 점자로 변환되어 표시해주는 3차원 교육 장치는 존재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휴대가 용이하면서 드로잉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장치와 무선으로 서로 통신하여 점자 돌기를 동작시켜 이에 따라 3차원으로 문양이나, 그림, 문자 등을 표현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8894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드로잉패드가 구성되고, 다수의 점자돌기가 각각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된 3D박스가 별도로 구성되며, 상기 드로잉패드와 상기 3D박스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드로잉패드에 글자 또는 그림을 드로잉하면, 입력된 글자 또는 그림이 3D박스 상에서 점자문자 또는 입체형상으로 나타나도록 구성되는 점자 완구를 이용한 3차원 교육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점자 완구를 이용한 3차원 교육시스템은,
그림을 그리기 위한 패드를 포함하고 있는 드로잉패드(2000)와,
다수의 점자돌기(1100)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드로잉패드로부터 드로잉된 드로잉 정보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획득하여 해당 드로잉 정보를 참조하여 각각의 점자돌기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3차원으로 표현하기 위한 3D박스(1000)를 포함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점자 완구를 이용한 3차원 교육시스템을 통해, 드로잉패드를 통해 드로잉된 문양이나 그림, 입력된 문자 등을 무선 통신으로 3D박스로 제공하고, 3D박스에서 입력된 정보를 참조하여 다수의 점자돌기를 각각 상승 또는 하강시켜 3D박스 상에서 점자문자 또는 입체형상으로 나타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완구를 이용한 3차원 교육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완구를 이용한 3차원 교육시스템에 의해 3D박스 상에 3차원으로 표현되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완구를 이용한 3차원 교육시스템의 3D박스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인 점자 완구를 이용한 3차원 교육시스템은,
그림을 그리기 위한 패드를 포함하고 있는 드로잉패드(2000)와,
다수의 점자돌기(1100)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드로잉패드로부터 드로잉된 드로잉 정보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획득하여 해당 드로잉 정보를 참조하여 각각의 점자돌기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3차원으로 표현하기 위한 3D박스(10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드로잉패드에 글자 또는 그림을 드로잉하면, 입력된 글자 또는 그림이 3D박스 상에서 점자 문자 또는 입체 형상으로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점자 완구를 이용한 3차원 교육시스템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완구를 이용한 3차원 교육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완구를 이용한 3차원 교육시스템에 의해 3D박스 상에 3차원으로 표현되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점자 완구를 이용한 3차원 교육시스템은 3D박스(1000), 드로잉패드(200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드로잉패드(2000)는 그림을 그리기 위한 패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드로링패드에는 패드에 입력된 드로잉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일측에 전송 버튼을 구성할 수 있으며, 전송 버튼을 누르게 되면 드로잉된 그림, 문자 등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3D박스(1000)로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드로잉패드는 PC, 노트북, 핸드폰, 스마트폰, 스마트북, E-북, 스마트 TV 등 그림, 문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등과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3D박스(1000)는 다수의 점자돌기(1100)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드로잉패드로부터 드로잉된 드로잉 정보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획득하여 해당 드로잉 정보를 참조하여 각각의 점자돌기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3차원으로 표현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드로잉패드에 글자 또는 그림을 드로잉하면, 입력된 글자 또는 그림이 3D박스 상에서 점자 문자 또는 입체 형상으로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완구를 이용한 3차원 교육시스템의 3D박스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3D박스(1000)는 다수의 점자돌기(1100), 무선통신부(1200), 메모리부(1300), 점자돌기동작신호생성부(140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점자돌기(1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다수 배열하게 된다.
또한, 무선통신부(1200)는 상기 드로잉패드에서 송출된 드로잉 정보를 획득하여 메모리부에 저장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메모리부(1300)는 상기 드로잉 정보를 저장하고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점자돌기의 하측에는 각각 점자상하동작부(1150)를 구성하게 되어 점자상하동작부의 상승 혹은 하강에 의해 점자돌기를 동작시키며, 점자돌기를 이용하여 드로링된 그림, 문자 등을 3차원 즉, 입체적으로 표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점자상하동작부는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를 구성할 수 있으며,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승 혹은 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드로잉패드와 1:1 대응되도록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점자돌기동작신호생성부(1400)는 상기 드로잉 정보를 참조하여 각각의 점자돌기의 하측에 형성된 각각의 점자상하동작부(1150)에 점자 상승 혹은 하강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점자돌기마다 좌표값을 가지게 되며, 드로잉된 좌표값의 경우에는 상승으로서, 상승 신호인 1을 드로잉되지 않은 좌표값의 경우에는 하강 신호인 0을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점자돌기마다 어느 점자돌기는 상승, 어느 점자돌기는 하강 등으로 제어하여 전체적으로 3차원적인 표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상기 드로잉 정보가 문자인지를 판단하여 문자일 경우에, 문자를 점자 정보를 변환시키기 위한 점자정보변환부(1500);
상기 점자정보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점자 정보를 점자돌기동작신호생성부(1400)로 제공하기 위한 점자정보송출부(16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점자정보변환부(1500)를 통해 드로잉 정보가 문자인지를 판단하여 문자일 경우에, 문자를 점자 정보를 변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점자 일례표를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있다가 문자로 판단되면 해당 문자를 이루는 좌표값들을 추출하여 이를 통해 어느 문자인지를 판단하고, 해당 문자와 매칭되어 있는 점자 일례표를 추출하여 점자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은 점자 분야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상기한 정도만 설명하도록 한다.
이후, 점자정보송출부(1600)는 점자정보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점자 정보를 점자돌기동작신호생성부(1400)로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점자돌기동작신호생성부(1400)는 상기 점자 정보를 참조하여 각각의 점자돌기의 하측에 형성된 각각의 점자상하동작부(1150)에 점자 상승 혹은 하강 신호를 생성하여 문자가 입체적으로 표현되도록 처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휴대가 용이하면서 드로잉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드로잉패드와 무선으로 서로 통신하여 점자 돌기를 동작시켜 이에 따라 3차원으로 문양이나, 그림, 문자 등을 표현할 수 있는 3D 박스를 통해 문자 이외의 그림이나 문양 등을 교육할 수 있으며, 일반인들이 문자를 입력할 경우에 자동으로 점자로 변환되어 표시해주게 되어 점자 교육이 가능하며, 시각 장애인과도 의사 소통이 가능한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드로잉패드를 통해 드로잉된 문양이나 그림, 입력된 문자 등을 무선 통신으로 3D박스로 제공하고, 3D박스에서 입력된 정보를 참조하여 다수의 점자돌기를 각각 상승 또는 하강시켜 3D박스 상에서 점자문자 또는 입체형상으로 나타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0 : 3D박스
2000 : 드로잉패드

Claims (2)

  1. 점자 완구를 이용한 3차원 교육시스템에 있어서,
    그림을 그리기 위한 패드를 포함하고 있는 드로잉패드(2000)와,
    다수의 점자돌기(1100)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드로잉패드로부터 드로잉된 드로잉 정보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획득하여 해당 드로잉 정보를 참조하여 각각의 점자돌기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3차원으로 표현하기 위한 3D박스(10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3D박스(1000)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로 배열되고, 각각의 좌표값을 가지는 점자돌기(1100)와,
    상기 드로잉패드(2000)에서 송출된 드로잉 정보를 획득하여 메모리부(1300)에 저장시키는 무선통신부(1200)와,
    드로잉 정보와 점자 일례표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300)와,
    상기 다수의 점자돌기(1100)의 각각의 하측에 구성되고, 신호에 의해 점자돌기를 상승 혹은 하강 동작시키도록 구성되는 점자상하동작부(1150)와,
    상기 드로잉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드로잉패드(2000)에 드로링된 그림, 문자 가 점자돌기에 의해 3차원으로 표현되도록 각각의 점자돌기의 하측에 형성된 각각의 점자상하동작부(1150)의 점자돌기 상승 혹은 하강시키는 신호를 생성하는 점자돌기동작신호생성부(1400)와,
    상기 드로잉 정보가 그림인지 문자인지를 판별하고, 문자로 판단되면 상기 메모리부(1300)에 저장된 점자 일례표를 추출하여 어느 문자인지를 판별하며, 해당 문자를 이루는 좌표값들을 추출하여 점자 정보를 생성하는 점자정보변환부(1500)와,
    상기 점자정보변환부(1500)에 의해 생성된 점자 정보를 점자돌기동작신호생성부(1400)로 제공하는 점자정보송출부(16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드로잉패드(2000)에 글자 또는 그림을 드로잉하면, 입력된 글자 또는 그림이 3D박스 상에서 점자 문자 또는 입체 형상으로 나타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완구를 이용한 3차원 교육시스템.
  2. 삭제
KR1020180063300A 2018-06-01 2018-06-01 점자 완구를 이용한 3차원 교육시스템 KR102064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300A KR102064078B1 (ko) 2018-06-01 2018-06-01 점자 완구를 이용한 3차원 교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300A KR102064078B1 (ko) 2018-06-01 2018-06-01 점자 완구를 이용한 3차원 교육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290A KR20190137290A (ko) 2019-12-11
KR102064078B1 true KR102064078B1 (ko) 2020-01-08

Family

ID=69003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300A KR102064078B1 (ko) 2018-06-01 2018-06-01 점자 완구를 이용한 3차원 교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0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706B1 (ko) * 2014-01-16 2014-10-01 김연태 문자와 이미지를 포함한 통합적인 정보를 표현하는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8947A (ko) 2005-02-02 2006-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점자식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706B1 (ko) * 2014-01-16 2014-10-01 김연태 문자와 이미지를 포함한 통합적인 정보를 표현하는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lindPAD - Final Report <URL : https://www.blindpad.eu/> (2017.10.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290A (ko)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099B1 (ko) 시각장애인용 착용형 햅틱 패턴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90763B1 (ko) 햅틱전자보드 기반의 시각 장애인용 학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88444B1 (ko) 블록 인식 장치 및 블록 인식 방법
JP4922013B2 (ja) 点字表示装置
US9183759B2 (en) Braille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refreshable Braille display
KR20120136900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기기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5536951B1 (ja) 表示コードが付された物品、表示コード読取装置および情報伝達方法
US20200294419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Using Braille
JPWO2015121969A1 (ja) 触感提供装置、及び、システム
CN109459864A (zh) 一种立体显示屏、显示方法及终端设备
CN109271085A (zh) 图像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064078B1 (ko) 점자 완구를 이용한 3차원 교육시스템
US11373547B2 (en) Tactile display tablet
US20130316312A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Braille on an Attachable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744118B1 (ko) 촉각 인터페이스장치 및 촉각 인터페이스방법
JP2017037611A (ja) 接触付与部分の状態変化によって情報を伝達可能なオブジェクト、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295335B1 (ko) 블록 세트, 한글 블록 세트, 한글 입력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0881694B1 (ko) 무선신호를 이용한 범용 유아교육기기
KR20220114862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단말기
KR20200125199A (ko) 시각장애인용 전자문서에 포함되는 특수 텍스트 제공방법 및 그 전자장치
KR20170032508A (ko) 휴대용 점자출력기
KR101898226B1 (ko) 블록 인식 장치 및 방법
SungMin Haptic aids for the visually impaired
KR101988604B1 (ko) 여섯 키를 이용한 입력장치
KR20080111776A (ko) 디지털코드가 인쇄된 애니메이션 북과 애니메이션 캐릭터가접목된 디지털 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