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226B1 - 블록 인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 인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98226B1 KR101898226B1 KR1020160120755A KR20160120755A KR101898226B1 KR 101898226 B1 KR101898226 B1 KR 101898226B1 KR 1020160120755 A KR1020160120755 A KR 1020160120755A KR 20160120755 A KR20160120755 A KR 20160120755A KR 101898226 B1 KR101898226 B1 KR 1018982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concave portion
- blocks
- plate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2—Mechanical, electrical, optical, pneumatic or hydraulic arrangements; Moto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200/00—Computerized interactive toys, e.g. d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y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개시된 실시 예는 블록의 종류 또는 블록의 조합 상태를 인식하고 인식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블록 인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격자 모양의 교차 영역에 배치된 복수 개의 볼록부와, 격자 모양의 중앙에 배치된 복수 개의 홈을 포함하는 판, 판에 블록이 배치되면, 배치된 블록이 상기 복수 개의 볼록부 중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와 대응되어 복수 개의 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이 가려지는지를 검출하는 센서, 센서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블록을 인식하는 제어부 및 배치된 블록의 인식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시된 실시 예들은 블록 인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블록의 종류 또는 블록의 조합 상태를 인식하고 인식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블록 인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록 세트, 특히 알파벳이나 한글 자모를 형상화한 블록 세트는 완구용 또는 학습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일반 가정집, 유치원 또는 언어 학원 등에서 유아 또는 새로운 언어를 배우려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블록 세트의 사용자는 블록 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블록들을 서로 조합하거나 끼워 맞추는 과정을 통해 공간 지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알파벳이나 한글 자모를 형상화한 블록 세트의 경우 블록들을 서로 조합하는 과정을 통해 기초적인 문자를 습득할 수 있다.
다만, 종래에는 사용자가 임의로 블록들을 조합하였을 때, 사용자가 이미 알고 있었던 경우라거나 다른 누군가가 알려주는 경우가 아니라면, 상기 조합이 가능한 조합인지 또는 상기 조합된 블록들의 배치가 정확한 것인지 여부에 대하여 쉽게 알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의 종류 또는 블록의 조합 상태를 인식하고 인식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블록 인식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블록 세트 중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블록이 조합된 경우, 상기 조합이 가능한 조합인지 또는 상기 조합된 블록들의 배치가 정확한 것인지 여부에 대해 자동으로 인식되고 인식된 결과가 소리 또는 기타 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블록 인식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시각, 청각 및 촉각을 통한 체감형 학습을 가능케 하고, 사용자의 공간지각력 및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록 인식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언어 학습을 통해 좌뇌와 관련된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블록놀이를 통해 우뇌와 관련된 공간지각력 및 창의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좌뇌와 우뇌를 동시에 자극할 수 있는 블록 인식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자기주도형 학습을 가능케 하는 블록 인식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최소한의 블록들만을 가지고,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을 표현할 수 있는 블록 인식 장치 및 방법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인식 장치는 격자 모양의 교차 영역에 배치된 복수 개의 볼록부와, 상기 격자 모양의 중앙에 배치된 복수 개의 홈을 포함하는 판; 상기 판에 블록이 배치되면, 상기 배치된 블록이 상기 복수 개의 볼록부 중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와 대응되어 상기 복수 개의 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이 가려지는지를 검출하는 센서; 상기 센서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을 인식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배치된 블록의 인식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볼록부는, 반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은, 상기 반구 형태와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은, 상기 반구의 1/4면과 대응되는 제1 오목부; 상기 반구의 1/2면과 대응되는 제2 오목부; 상기 반구의 3/4면과 대응되는 제3 오목부; 및 상기 반구의 전체 면과 대응되는 제4 오목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은, 상기 제1 오목부를 포함하는 제1 블록;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를 포함하는 제2 블록; 상기 제2 블록보다 긴 제3 블록; 상기 제1 내지 제4 오목부를 포함하는 제4 블록; 및 상기 제1 오목부, 상기 제2 오목부 및 제4 오목부를 포함하고, 반원 형태인 제5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 인식 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5 블록을 이용하여 한글의 자음 및 모음 표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부는,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는, 적외선 근접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 인식 장치는 복수의 블록이 상기 판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홈이 가려지는 것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블록으로 표현된 글자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격자 모양의 교차 영역에 배치된 복수 개의 볼록부와, 상기 격자 모양의 중앙에 배치된 복수 개의 홈을 포함하는 판을 포함하는 블록 인식 장치의 블록 인식 방법으로서, 상기 판에 블록이 배치되면, 상기 배치된 블록이 상기 복수 개의 볼록부 중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와 대응되어 상기 복수 개의 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이 가려지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센서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배치된 블록의 인식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의 종류 또는 블록의 조합 상태가 인식되고 인식된 결과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블록 세트 중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블록이 조합된 경우, 상기 조합이 가능한 조합인지 또는 상기 조합된 블록들의 배치가 정확한 것인지 여부에 대해 자동으로 인식되고 인식된 결과가 소리 또는 기타 수단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시각, 청각 및 촉각을 통한 체감 형 학습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공간지각력 및 창의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언어 학습을 통해 좌뇌와 관련된 언어 능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블록놀이를 통해 우뇌와 관련된 공간지각력 및 창의력이 향상됨으로써 사용자의 좌뇌와 우뇌가 동시에 자극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자기주도형 학습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최소한의 블록들만을 가지고,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을 표현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고, 다양한 형태로 블록을 대응 위치를 바꾸어 가면서 학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록 분실의 우려가 없으며 블록 보관이 용이하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인식 장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록 인식 장치(100)의 개략적인 블록 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블록 인식 장치(100)의 판(110)의 확대 도이고, 도 3b는 측면 도이다.
도 4 내지 8은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인식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블록들의 사시 도들이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인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인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 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록 인식 장치(100)의 개략적인 블록 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블록 인식 장치(100)의 판(110)의 확대 도이고, 도 3b는 측면 도이다.
도 4 내지 8은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인식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블록들의 사시 도들이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인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인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 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인식 장치(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인식 장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블록 인식 장치(100)의 개략적인 블록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록 인식 장치(100)는 판(110)과 출력부(120)를 포함하고, 판(110)에는 격자모양의 교차 영역에 주기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볼록부(111)와, 격자 모양의 중앙 영역에 주기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홈(112)을 포함한다. 다수의 홈(112)의 하부에는 블록에 의해 홈이 가려지는지를 검출하는 센서가 배치된다. 여기서, 센서는 근접 센서일 수 있으며, 근접 센서는 적외선 근접 센서, 홀 센서, 정전용량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센서는 판(110)의 전체적으로 배치되거나, 다수의 홈(112) 각각의 후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판(110)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 다각형, 또는 폐곡선 등 다양한 모양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수의 볼록부(111)는 판(110)에 배치될 블록들과 대응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반구 형태일 수 있다. 다수의 홈(112)은 정사각형 모양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치될 블록에 의해 가려지는 모양으로서 어떠한 모양으로도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블록 인식 장치(100)는 센서(130), 제어부(140) 및 통신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30)는 도 1에 도시된 다수의 홈(112)의 하부에 배치되며, 배치된 블록에 의해 홈(112)이 가려지는지를 검출한다.
제어부(140)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센서(130)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판(110)에 배치된 블록을 인식한다. 제어부(140)는 배치된 블록, 예를 들면 도 4 내지 8에 도시된 블록들을 인식하고, 인식된 결과를 조합하여 글자를 인식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인식된 블록 또는 인식된 글자를 도 1에 도시된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한다.
출력부(120)는 제어부(140)에 의해 판(110)에 배치된 블록에 대해 인식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20)는 상기 블록에 대응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거나, 상기 블록에 대응하는 소리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을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판(110)에 한글 자음 "ㄱ"자 형상을 갖는 블록과 한글 모음 "ㅏ”자 형상을 갖는 블록이 배치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출력부(120)는 2개의 블록이 인식된 결과로서 “가”에 대응하는 소리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20)는 블록 인식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장치에 블록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20)는 블록 인식 장치(100)에 연결된 TV에 배치된 블록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 예를 들면 동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예를 들어, 3G 모듈, LTE 모듈, LTE-A 모듈, Wi-Fi 모듈, 와이기그(WiGig) 모듈, UWB(Ultra Wide Band) 모듈, 또는 랜카드 등과 같은 원거리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마그네틱 보안 전송(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모듈, 블루투스 모듈, NFC 모듈, RFID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Z-Wave 모듈, 또는 적외선 모듈 등과 같은 근거리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기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서버(미도시)와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통신부(150)는 서버에 블록 인식 장치(100)의 활용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활용데이터는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된 단어에 대한 누적 정보, 판(110)에 배치된 블록에 대한 누적 정보, 판(110)에 배치된 블록이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된 단어에 대응한다고 판정된 횟수에 대한 누적 정보, 또는 판(110)에 배치된 블록이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된 단어에 대응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횟수에 대한 누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120)는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에 단어 “가”에 대응하는 식별정보가 포함된 경우, 출력부(120)는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단어 “가”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된 신호를 확인한 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선택된 블록을 판(110)에 배치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판(110)에 배치된 블록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인식된 블록이 상기 출력된 신호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판정 결과를 활용데이터에 누적할 수 있다. 출력부(120)는 상기 판정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 내지 8은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인식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블록들의 사시 도들이다.
도 4 내지 8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인식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블록들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인식 장치(100)는 도 4 내지 8에 도시된 5개의 타입의 블록들만을 가지고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모두 표현할 수 있으며, 모든 한글 문자를 조합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장 작은 단위의 블록(400)으로서, 판(110)의 격자 모양의 한 격자 안에 대응되는 구조로서, 하나의 홈(112)을 가리게 되고, 반구 형태의 볼록부(111)의 1/4면과 대응되도록 4개의 모서리에 오목부(401)를 구비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반원 또는 반 타원 형태의 블록(500)으로서, 판(100)의 3개의 홈(112)을 가리게 된다. 반구 형태의 블록부(111)의 전체 면과 대응되도록 중앙에 2개의 오목부(504)와, 블록부(111)의 1/4면과 대응되도록 4개의 모서리에 오목부(401)를 구비한다. 또한, 반원 또는 반 타원 형태의 블록(500)의 둥근 부분이 격자 모양에 교차 영역에 배열된 볼록부(111)와 대응되도록 2개의 오목부(503)와 격자 모양의 중앙 부분에 배열된 홈(112)을 가리지 않도록 2개의 오목부(502)를 구비한다. 실시 예에 따른 블록(500)의 구조로서, 2개의 블록(500)으로서 자음 “ㅇ”을 표현할 수 있으며, 다른 형태의 자음, 예를 들면 “ㅅ”의 표현도 가능하며, 다른 블록들과의 조합에 의해 “ㅎ”, “ㅊ” 등의 자음 표현도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긴 일자 형태의 블록(600)으로서, 판(110)의 다수의 홈(112), 예를 들면 5개의 홈을 가리게 된다. 반구 형태의 볼록부(111)의 1/4면과 대응되도록 4개의 모서리에 오목부(601)를 구비하고, 반구 형태의 볼록부(111)의 1/2면과 대응되도록 8개의 오목부(602)를 구비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블록(600)보다는 짧은 일자 형태의 블록(700)으로서, 판(110)의 다수의 홈(112), 예를 들면 3개의 홈을 가리게 된다. 반구 형태의 볼록부(111)의 1/4면과 대응되도록 4개의 모서리에 오목부(701)를 구비하고, 반구 형태의 볼록부(111)의 1/2면과 대응되도록 4개의 오목부(702)를 구비한다.
도 6 및 7에 도시된 일자 형태의 블록들(600 및 700)을 이용하여 모음과 받침 형태의 표현이 가능하며, 다른 블록들과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자음과 모음 표현이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면, “ㄱ” 또는 “ㄴ” 형태의 블록(800)으로서, 판(110)의 다수의 홈(112), 예를 들면 3개의 홈을 가리게 된다. 반구 형태의 볼록부(111)의 1/4면과 대응되도록 4개의 모서리에 오목부(801)를 구비하고, 반구 형태의 볼록부(111)의 1/2면과 대응되도록 2개의 오목부(802)를 구비하고, 반구 형태의 볼록부(111)의 3/4면과 대응되도록 오목부(804)를 구비하고, 전체 면과 대응되도록 2개의 오목부(803)를 구비한다. 실시 예에 따른 블록(800)은 상기와 같은 오목부들(801 내지 804)의 구조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자음표현이 가능하며, 다양한 방향에서 판(11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9 및 1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인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한글 “가”를 표현하기 위해, 판(110)에 블록들이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블록(800)이 배치되어, 자음 “ㄱ”이 인식되고, 도 7에 도시된 블록(700)과 도 4에 도시된 블록(400)의 조합에 의해 모음 “ㅏ”가 인식된다. 따라서, 자음과 모음을 함께 인식하여 한글 “가”를 인식하게 되고, 출력부(120)를 통해 스피커로 “가” 사운드를 출력한다. 이 경우, 판(110)에 블록들(800, 700 및 400)이 배치된 후 블록 인식 장치(100)가 글자가 맞게 배치되었는지 판단하고, 맞게 배치된 경우, 사운드를 출력하거나, 판(110)에 블록들(800, 700 및 400)이 배치된 후 사용자의 선택, 예를 들면 출력부(120)에 도시된 어느 한 선태 버튼을 누름으로써, 사운드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인식 장치(100)는 판(110)에 블록들(800, 700 및 400)이 배치되면, 일정 개수와 위치의 홈들, 예를 들면 7개의 홈들이 블록들에 의해 가려지게 되고, 홈 아래 위치한 적외선 근접 센서에 의해 가려진 홈의 개수 및 위치에 근거하여 블록 및 글자를 인식한다. 또한, 고정된 형태의 블록들로서만 블록 및 글자를 인식하는 방식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블록들의 조합을 통해서도 가려지는 홈을 인식함으로써, 다양한 블록들의 조합에 의해서 블록 및 글자를 인식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한글 “사”를 표현하기 위해, 판(110)에 블록들이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블록(500)이 배치되어, 자음 “ㅅ”이 인식되고, 도 7에 도시된 블록(700)과 도 4에 도시된 블록(400)의 조합에 의해 모음 “ㅏ”가 인식된다. 따라서, 자음과 모음을 함께 인식하여 한글 “사”를 인식하게 되고, 출력부(120)를 통해 스피커로 “사” 사운드를 출력한다. 이 경우, 판(110)에 블록들(500, 700 및 400)이 배치된 후 블록 인식 장치(100)가 글자가 맞게 배치되었는지 판단하고, 맞게 배치된 경우, 사운드를 출력하거나, 판(110)에 블록들(500, 700 및 400)이 배치된 후 사용자의 선택, 예를 들면 출력부(120)에 도시된 어느 한 선태 버튼을 누름으로써, 사운드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블록 인식 장치(100)는 배치된 블록들(500, 700 및 400)에 발광 소자를 배치하거나, 판(110)에 발광 소자를 배치하여 인식된 글자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줄 수도 있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 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 1100에서, 판에 블록이 배치된다. 단계 1102에서, 판의 홈이 가려지는지 검출한다. 단계 1104에서,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배치된 블록을 인식한다.
단계 1106에서, 인식 결과를 출력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의 종류 또는 블록의 조합 상태가 인식되고 인식된 결과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블록 세트 중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블록이 조합된 경우, 상기 조합이 가능한 조합인지 또는 상기 조합된 블록들의 배치가 정확한 것인지 여부에 대해 자동으로 인식되고 인식된 결과가 소리 또는 기타 수단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시각, 청각 및 촉각을 통한 체감형 학습이 가능해지고, 사용자의 공간지각력 및 창의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언어 학습을 통해 좌뇌와 관련된 언어 능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블록놀이를 통해 우뇌와 관련된 공간지각력 및 창의력이 향상됨으로써 사용자의 좌뇌와 우뇌가 동시에 자극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자기주도형 학습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블록 인식 장치
110: 판
111: 볼록부
112: 홈
130: 센서
140: 제어부
150: 출력부
110: 판
111: 볼록부
112: 홈
130: 센서
140: 제어부
150: 출력부
Claims (10)
- 격자 모양의 교차 영역에 배치된 복수 개의 볼록부와, 상기 격자 모양의 중앙에 배치된 복수 개의 홈을 포함하는 판;
상기 판에 블록이 배치되면, 상기 배치된 블록이 상기 복수 개의 볼록부 중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와 대응되어 상기 복수 개의 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이 가려지는지를 검출하는 센서;
상기 센서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을 인식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배치된 블록의 인식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가 상기 판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와 맞물리게 되고,
상기 볼록부는, 반구 형태이고,
상기 블록은, 상기 반구 형태와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은,
상기 반구의 1/4면과 대응되는 제1 오목부;
상기 반구의 1/2면과 대응되는 제2 오목부;
상기 반구의 3/4면과 대응되는 제3 오목부; 및
상기 반구의 전체 면과 대응되는 제4 오목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은,
상기 제1 오목부를 포함하는 제1 블록;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를 포함하는 제2 블록;
상기 제2 블록보다 긴 제3 블록;
상기 제1 내지 제4 오목부를 포함하는 제4 블록; 및
상기 제1 오목부, 상기 제2 오목부 및 제4 오목부를 포함하고, 반원 형태인 제5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5 블록만을 이용하여 한글의 자음 및 모음 표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인식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블록 인식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적외선 근접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인식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블록이 상기 판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홈이 가려지는 것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블록으로 표현된 글자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인식 장치. - 격자 모양의 교차 영역에 배치된 복수 개의 볼록부와, 상기 격자 모양의 중앙에 배치된 복수 개의 홈을 포함하는 판을 포함하는 블록 인식 장치의 블록 인식 방법으로서,
상기 판에 블록이 배치되면, 상기 배치된 블록이 상기 복수 개의 볼록부 중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와 대응되어 상기 복수 개의 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이 가려 지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배치된 블록의 인식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가 상기 판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와 맞물리게 되고,
상기 볼록부는, 반구 형태이고,
상기 블록은, 상기 반구 형태와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은,
상기 반구의 1/4면과 대응되는 제1 오목부;
상기 반구의 1/2면과 대응되는 제2 오목부;
상기 반구의 3/4면과 대응되는 제3 오목부; 및
상기 반구의 전체 면과 대응되는 제4 오목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은,
상기 제1 오목부를 포함하는 제1 블록;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를 포함하는 제2 블록;
상기 제2 블록보다 긴 제3 블록;
상기 제1 내지 제4 오목부를 포함하는 제4 블록; 및
상기 제1 오목부, 상기 제2 오목부 및 제4 오목부를 포함하고, 반원 형태인 제5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5 블록만을 이용하여 한글의 자음 및 모음 표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인식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0755A KR101898226B1 (ko) | 2016-09-21 | 2016-09-21 | 블록 인식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0755A KR101898226B1 (ko) | 2016-09-21 | 2016-09-21 | 블록 인식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2060A KR20180032060A (ko) | 2018-03-29 |
KR101898226B1 true KR101898226B1 (ko) | 2018-09-12 |
Family
ID=61907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0755A KR101898226B1 (ko) | 2016-09-21 | 2016-09-21 | 블록 인식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822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7880B1 (ko) * | 2018-04-20 | 2020-03-11 | 주식회사 플라팜 | 블럭식 학습교구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95560A (ko) * | 2005-08-31 | 2005-09-29 | 한광식 | 조립식 블럭완구 |
KR101588444B1 (ko) * | 2013-07-18 | 2016-01-25 | 주식회사 한글봇 | 블록 인식 장치 및 블록 인식 방법 |
-
2016
- 2016-09-21 KR KR1020160120755A patent/KR101898226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2060A (ko) | 2018-03-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88444B1 (ko) | 블록 인식 장치 및 블록 인식 방법 | |
CN104737090A (zh) | 用于失明或低视力的用户的移动计算装置 | |
KR102161783B1 (ko) | 초고해상도 얼굴 동영상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서비스 로봇 얼굴인식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 | |
US20120192268A1 (en) | Password authentication method | |
KR101898227B1 (ko) | 블록 인식 장치 및 방법 | |
US20190108772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lingual interactive self-learning | |
US20200242969A1 (en) | Tactile and visual display with paired and active stylus with means and methods | |
KR101898226B1 (ko) | 블록 인식 장치 및 방법 | |
KR20170112132A (ko) | 블록 인식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
KR101952240B1 (ko) | 사용자 자세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 시스템 | |
JP2016137403A5 (ko) | ||
KR101871880B1 (ko) | 두뇌 활성화 장치 및 그 방법 | |
KR101502270B1 (ko) | 교육용 보드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 |
KR20170009094A (ko) |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 블록 장치 및 스마트 블록 장치 제어 방법 | |
KR20190105986A (ko) | 시각적으로 구분가능한 알파벳 형태의 개체를 장치에 배열하여 전자신호로 입력하는 방식의 학습 교구 | |
KR20160026523A (ko) | 조립 유닛 및 조립 유닛 세트 | |
KR101511428B1 (ko) | 정보 알림 장치 | |
KR101295335B1 (ko) | 블록 세트, 한글 블록 세트, 한글 입력 방법 및 기록 매체 | |
KR20180115490A (ko) | 글자 학습 장치, 상기 글자 학습 장치용 본체 모듈, 및 이의 동작 방법 | |
TWI515698B (zh) | 互動式感應學習裝置 | |
KR20170122616A (ko) | 사물인터넷 기반의 한글학습 시스템 | |
KR101946464B1 (ko) | 체감형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도구 및 그 방법 | |
CN105223381A (zh) | 测量加速度的水银传感器及相应的人员倒地检测系统 | |
KR20130088984A (ko) | 휴대단말기의 문답식 잠금해제방법 | |
KR102340666B1 (ko) |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모듈을 활용한 비-접촉식 장치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