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2508A - 휴대용 점자출력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점자출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2508A
KR20170032508A KR1020150129501A KR20150129501A KR20170032508A KR 20170032508 A KR20170032508 A KR 20170032508A KR 1020150129501 A KR1020150129501 A KR 1020150129501A KR 20150129501 A KR20150129501 A KR 20150129501A KR 20170032508 A KR20170032508 A KR 20170032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paper
braille output
portabl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제
배경국
김재욱
박상훈
송창환
유주호
조만희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29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2508A/ko
Publication of KR20170032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5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점자출력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 용지공급수단; 점자형성수단; 및 제어수단; 을 포함하여, 외부기기와의 연결 접속을 통해 시각장애인이 보다 편하게 점자를 출력하여 문자를 인식할 수 있고, 시각장애인이 직접 원하는 글을 간단하게 점자로 표시하여 메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피가 작고 가벼워 휴대하기 간편하므로 사용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점자출력기{PORTABLE APPARATUS OF BRAILLE OUTPUT}
본 발명은 휴대용 점자출력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기기와의 연결 접속을 통해 시각장애인이 보다 편하게 점자를 출력하여 문자를 인식할 수 있고, 시각장애인이 직접 원하는 글을 간단하게 점자로 표시하여 메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피가 작고 가벼워 휴대하기 간편하므로 사용이 용이한 휴대용 점자출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각장애인의 경우는 점자(braille points)로 출력된 특수한 결과물만을 손가락 등의 촉각으로 읽을 수 있는데, 점자는 2행 3열로 이루어지는 6개의 점으로 구성된 한 글자 영역에서 후면에 홈을 내어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문자를 나타낸다.
최근 들어 점자를 출력하여 시각장애인들이 문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점자출력기가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제품들은 대부분 기계적 장치가 매우 복잡하고, 중량이나 부피가 커서 제품을 휴대하기에 불편할 뿐더러 실생활에서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많다.
게다가, 구입비용도 비싸고, 컴퓨터의 타자와 같은 입력형태를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다른 외부기기와의 연결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보완된 휴대용 점자출력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00473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기기와의 연결 접속을 통해 시각장애인이 보다 편하게 점자를 출력하여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휴대용 점자출력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 시각장애인이 직접 원하는 글을 간단하게 점자로 표시하여 메모할 수 있는 휴대용 점자출력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부피가 작고 가벼워 휴대하기 간편하므로 사용이 용이한 휴대용 점자출력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점자출력기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외부기기와 통신 가능한 통신수단;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고, 점자출력용지를 공급하는 용지공급수단; 상기 점자출력용지에 점자를 형성하는 점자형성수단; 및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점자형성수단이 상기 점자출력용지에 점자를 형성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휴대용 점자출력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점자형성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제1 구동부; 상기 제1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점자출력용지의 서로 다른 위치에 점자돌기를 돌출 형성시키는 다수의 돌기형성부; 및 상기 본체 바닥에 배치되어 상기 점자돌기가 돌출 형성되도록 상기 점자출력용지를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 바닥에 접하는 바닥판재; 및 상기 바닥판재의 상면에 다수 형성되는 모부재;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용지공급수단은, 상기 점자출력용지가 수납된 용지수납부; 및 상기 용지수납부로부터 상기 점자출력용지를 배출시키고, 상기 점자출력용지의 배출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돌기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점자돌기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2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외부기기는 휴대전화(Cellphone), 휴대 정보 단말기(PDA), 개인용 컴퓨터(PC), 랩탑(Laptop), 넷북(Net book)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외부기기에 구비되어 구동된 점자출력을 위한 앱으로부터 데이터가 상기 통신수단에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기기와의 연결 접속을 통해 시각장애인이 보다 편하게 점자를 출력하여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휴대용 점자출력기가 제공된다.
또, 시각장애인이 직접 원하는 글을 간단하게 점자로 표시하여 메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피가 작고 가벼워 휴대하기 간편하므로 사용이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점자출력기와 외부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점자출력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점자출력기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외부기기의 앱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점자출력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점자출력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점자출력기와 외부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점자출력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점자출력기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점자출력기(10)는 크게 본체(100)와 통신수단(200), 용지공급수단(300), 점자형성수단(400) 및 제어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점자출력기(10)의 외관을 구성하며, 내부에 휴대용 점자출력기(10)의 주요 구성들이 수납되는 구성요소로서, 내구성이 강하고 가벼운 소재의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0)에는 휴대용 점자출력기(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될 수 있다. 전원공급수단은 콘센트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전력을 받아 휴대용 점자출력기(10)를 구동시키거나 내장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본체(100)의 일부, 즉 바닥판만 도시되어 있으나, 본체(100)의 사방이 밀폐되는 케이스로 구성되는 경우 하기에 서술하는 점자형성수단(400)에 의해 점자가 형성된 점자출력용지(310)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멍(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통신수단(200)은 본체(100)와 연결되고, 외부기기(20)와 통신 가능한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외부기기(20)는 휴대가 간편하고 통신이 가능한 단말, 예를 들어 휴대전화(Cellphone), 휴대 정보 단말기(PDA), 개인용 컴퓨터(PC), 랩탑(Laptop), 넷북(Net book) 등이 해당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외부기기(20)에 구비되어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 즉 점자출력을 위한 앱(Aapp; Application software)으로부터 데이터(문자)가 통신수단(200)에 전송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외부기기(20)와 통신수단(200) 간의 연결은 RS 232C와 같은 통신케이블 등을 이용한 유선연결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고, 와이파이(Wi-Fi)나 블루투스(bluetooth), 알에프아이디(RFID), 적외선 통신(IrDA) 등을 이용하거나 3G, CDMA, GSM, 와이브로 등의 무선 통신망 등을 이용한 무선연결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점자출력기(10)는 유무선 인터페이스의 제한을 따로 두지 않는다.
용지공급수단(300)은 본체(100) 내에 마련되고, 점자출력용지(310)를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지공급수단(300)은, 용지수납부(320)와 제2 구동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용지수납부(320)는 점자출력용지(310)가 수납되는 부분으로, 본 발명에서는 원형의 용지수납부(320)를 사용하여 점자출력용지(310)가 말린 상태로 수납되게 되나, 이 외에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용지수납부(320)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구동부(330)는 하기에 서술하는 제어수단(500)의 제어에 따라 용지수납부(320)로부터 점자출력용지(310)를 배출시키고, 점자출력용지(310)의 배출 길이를 조절하여 하기에 서술하는 돌기형성부(420)에 의해 형성되는 점자돌기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부분이다. 이때, 제2 구동부(330)로 입력 펄스수에 대응하여 일정 각도씩 움직여 회전각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점자출력용지(310)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제2 구동부(330)에는 점자출력용지(310)에 접하는 부분에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마찰부재(332)가 마련되는 것이 좋다.
점자형성수단(400)은 점자출력용지(310)에 점자, 즉 점자돌기를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며, 제1 구동부(410a, 410b, 410c)와 돌기형성부(420) 및 지지부(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구동부(410a, 410b, 410c)는 하기에 서술하는 제어수단(50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부분으로, 서보모터(Servo Motor)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점자를 이루는 2행 3열로 이루어지는 6개의 점에서 3개의 점, 즉 1열씩 순차적으로 점자돌기를 형성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3개의 제1 구동부(410a, 410b, 410c)가 사용되며, 각각의 제1 구동부(410a, 410b, 410c)가 1열을 이루는 3개의 점자돌기 각각을 형성할 수 있게 구성된다. 돌기형성부(420)는 3개의 제1 구동부(410a, 410b, 410c)에 각각 마련되어 제1 구동부(410a, 410b, 410c)의 구동에 따라 점자출력용지(310)의 서로 다른 위치, 즉 1열을 이루는 3개의 점 위치에 점자돌기를 돌출 형성시키는 부분이다. 마지막으로, 지지부(430)는 본체(100) 바닥에 배치되어 점자돌기가 돌출 형성되도록 점자출력용지(310)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본체(100) 바닥에 접하는 바닥판재(432) 및 바닥판재(432)의 상면에 다수 형성되는 모부재(4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처럼 모부재(434)가 다수 형성됨으로써 점자출력용지(310)를 본체(100)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띄워 점자출력용지(310)에 돌기형성부(420)를 이용하여 점자돌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제어수단(5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점자출력기(1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며, 특히 통신수단(200)을 통해 외부기기(2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점자형성수단(400)이 점자출력용지(310)에 점자를 형성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어수단(500)에는 외부기기(2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즉 텍스트 파일을 저장하고 이러한 텍스트 파일을 점자로 변환하는데 필요한 각종 자료 등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전송된 텍스트 파일을 저장부에 저장된 각종 자료를 이용하여 점자로 변환하는 변환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에는 한글의 경우 자음 14자, 모음 21자에 대한 47개의 글자와 숫자, 느낌표, 쉼표와 같은 특수문자에 해당하는 자료들이 저장되어 있어 변환부가 이를 이용하여 텍스트 파일의 글자를 점자로 변환할 수 있게 된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점자출력기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외부기기의 앱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점자출력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먼저, 도 4는 외부기기(20),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구비된 점자를 출력하기 위한 앱의 일 예가 구동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외부기기(20)의 화면에는 숫자키(22)와 취소키(24), 다음키(26) 및 출력하기키(28)가 디스플레이된다.
숫자키(22)는 2열 3행을 이루는 6개의 점자를 표현하며, 점자출력용지(310)에 점자를 형성하도록 입력하는 키이고, 취소키(24)는 입력이 잘못되었거나 출력을 취소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키이다. 그리고, 다음키(26)는 하나의 점자입력이 완료되면 다음의 점자를 입력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키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3개의 제1 구동부(410a, 410b, 410c)가 2열 3행을 이루는 6개의 점자 중 1열씩 순차적으로 점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용지공급수단(300)의 제2 구동부(330)는, 점자형성수단(400)의 제1 구동부(410a, 410b, 410c)와 돌기형성부(420)를 통해 1열에 점자돌기를 형성한 후 2열에 점자돌기를 형성하기 위해 점자출력용지(310)를 이동(배출)시키는 간격과, 점자형성수단(400)을 통해 2열 3행을 이루는 하나의 점자돌기가 완성된 후 다음 점자돌기를 형성하기 위해 점자출력용지(310)를 이동(배출)시키는 간격이 다르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다음키(26)가 눌려지는 횟수나 시간에 따라 용지공급수단(300)의 제2 구동부(330)가 동작하여 점자출력용지(310)를 이동(배출)시키는 간격이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출력하기키(28)는 숫자키(22)와 다음키(26)를 이용하여 점자의 입력이 완성된 후 사용되는 것으로, 이처럼 출력하기키(28)가 작동되면 점자의 입력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수단(500)이 점자출력용지(310)를 통한 점자출력을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출력하기키(28)는 숫자키(22)나 취소키(24), 다음키(26)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외부기기(20)의 앱을 통해 점자 입력이 완료, 즉 출력하기키(28)가 눌려지게 되면, 제어수단(500)의 제어에 따라 점자출력용지(310)에 점자가 출력된다.
즉, 도 5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고마워요"라는 일반 문자를 점자로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수단(500)에서는 외부기기(20)로부터 전송된 문자 데이터(고마워요)를 점자용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용지공급수단(300)과 점자형성수단(400)에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ㄱ"에 해당하는 점자에서 1열에서는 점자형성수단(400)의 제1 구동부(410a, 410b, 410c)가 동작하지 않고 용지공급수단(300)의 제2 구동부(330)가 동작하여 점자출력용지(310)를 이동시키며, 2열에서는 하나의 제1 구동부(410a)만 동작하여 점을 형성한다.
다음, "ㅗ"에 해당하는 점자에서 1열에서는 점자형성수단(400)에서 2개의 제1 구동부(410a, 410c)가 동작하여 점을 형성하고, 2열에서는 1개의 제1 구동부(410c)가 동작하여 점을 형성한다.
이러한 과정이 진행되어 "ㅁ", "ㅏ", "ㅝ", "ㅛ" 까지의 점자 출력이 완료되면 도 5의 하측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점자출력용지(310)에 일반 문자인 "고마워요"가 점자로 형성되어 출력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점자출력기(10)는 외부기기(20)와의 연결 접속을 통해 시각장애인이 보다 편하게 점자를 출력하여 문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면서 시각장애인이 직접 원하는 글을 간단하게 점자로 표시하여 약봉지나 조미료 등을 알아볼 수 있는 메모를 출력 가능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휴대용 점자출력기 20: 외부기기
22: 숫자키 24: 취소키
26: 다음키 28: 출력하기키
100: 본체 200: 통신수단
300: 용지공급수단 310: 점자출력용지
320: 용지수납부 330: 제2 구동부
332: 마찰부재 400: 점자형성수단
410a, 410b, 410c: 제1 구동부 420: 돌기형성부
430: 지지부 432: 바닥판재
434: 모부재 500: 제어수단

Claims (5)

  1. 휴대용 점자출력기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외부기기와 통신 가능한 통신수단;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고, 점자출력용지를 공급하는 용지공급수단;
    상기 점자출력용지에 점자를 형성하는 점자형성수단; 및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점자형성수단이 상기 점자출력용지에 점자를 형성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휴대용 점자출력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형성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제1 구동부;
    상기 제1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점자출력용지의 서로 다른 위치에 점자돌기를 돌출 형성시키는 다수의 돌기형성부; 및
    상기 본체 바닥에 배치되어 상기 점자돌기가 돌출 형성되도록 상기 점자출력용지를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점자출력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 바닥에 접하는 바닥판재; 및
    상기 바닥판재의 상면에 다수 형성되는 모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점자출력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공급수단은,
    상기 점자출력용지가 수납된 용지수납부; 및
    상기 용지수납부로부터 상기 점자출력용지를 배출시키고, 상기 점자출력용지의 배출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돌기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점자돌기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2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점자출력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는 휴대전화(Cellphone), 휴대 정보 단말기(PDA), 개인용 컴퓨터(PC), 랩탑(Laptop), 넷북(Net book)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외부기기에 구비되어 구동된 점자출력을 위한 앱으로부터 데이터가 상기 통신수단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점자출력기.
KR1020150129501A 2015-09-14 2015-09-14 휴대용 점자출력기 KR201700325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501A KR20170032508A (ko) 2015-09-14 2015-09-14 휴대용 점자출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501A KR20170032508A (ko) 2015-09-14 2015-09-14 휴대용 점자출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508A true KR20170032508A (ko) 2017-03-23

Family

ID=58496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501A KR20170032508A (ko) 2015-09-14 2015-09-14 휴대용 점자출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25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797A (ko) * 2020-11-03 2022-05-10 송유빈 휴대용 점자프린터
KR20220114179A (ko) 2021-02-08 2022-08-17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점자 콘텐츠 제공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473A (ko) 2009-06-26 2011-01-03 주영윤 점자 입출력기의 점자 입력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473A (ko) 2009-06-26 2011-01-03 주영윤 점자 입출력기의 점자 입력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797A (ko) * 2020-11-03 2022-05-10 송유빈 휴대용 점자프린터
KR20220114179A (ko) 2021-02-08 2022-08-17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점자 콘텐츠 제공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ntala et al. Methods for presenting braille characters on a mobile device with a touchscreen and tactile feedback
KR101650099B1 (ko) 시각장애인용 착용형 햅틱 패턴 디스플레이 장치
US8884790B2 (en) Matrix keyboarding system
US6230135B1 (en) Tact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190012009A1 (en) Braille display system
AU2022218635B2 (en) A smart interactive system for braille learning
CN103336562A (zh) 多功能手持设备
WO2018106149A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иёма и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посредством шрифта брайля
KR20170032508A (ko) 휴대용 점자출력기
US20060014123A1 (en) Pseudo-cuneiform tactile display
KR101094715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학습용 훈련 장치
US20190266917A1 (en) A reading method for blind people via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reading device for blind people
US20130316312A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Braille on an Attachable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730808B1 (ko) 학교용 컴퓨터 일체형 책상
Gandhi et al. Braille cell actuator based teaching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WO2015156744A1 (en) Recording apparatus and keyboar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technology devices for visually impaired use
Shubhom et al. BRAPTER: Compact braille transput communicator
KR100872480B1 (ko) 점자 입출력기
US10902744B2 (en) Braille and/or in auditive Morse code writing device, for users with visual disabilities and/or any motor disorder
Minatani A wristwatch-shaped wireless refreshable braille display which realizes augmented mobile access for blind persons
GB2562277A (en) Educational apparatus
KR20210075564A (ko) 시각장애인용 도서내용 점자출력장치
Benhurr et al. Pocket Braille Keyboard–Reader using Braille Back Service
WO2016186599A1 (en) Support device for visually handicapped people
RU184485U1 (ru) Дисплей брайл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