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9797A - 휴대용 점자프린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점자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9797A
KR20220059797A KR1020200145395A KR20200145395A KR20220059797A KR 20220059797 A KR20220059797 A KR 20220059797A KR 1020200145395 A KR1020200145395 A KR 1020200145395A KR 20200145395 A KR20200145395 A KR 20200145395A KR 20220059797 A KR20220059797 A KR 20220059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label paper
unit
coupling fram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5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4223B1 (ko
Inventor
송유빈
박민희
Original Assignee
송유빈
박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유빈, 박민희 filed Critical 송유빈
Priority to KR1020200145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223B1/ko
Publication of KR20220059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in Braille or with keyboards specially adapted for use by blind or disabled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4Cassettes or cartridges containing continuous copy material, tape, for setting into pri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6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ortability, i.e. hand-held printers or laptop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Landscapes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점자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컨트롤러, 카트리지, 점자성형부, 라벨지배출부, 텐션조정부가 설치된 결합프레임이 설치되는 케이스와; 카트리지, 점자성형부, 라벨지배출부, 텐션조정부가 설치되어 케이스의 내측에 결합되는 결합프레임과; 점자성형부, 라벨지배출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결합프레임에 설치되는 컨트롤러와; 점자가 성형되는 라벨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결합프레임에 설치되는 카트리지와; 카트리지로부터 공급되는 라벨지에 점자를 성형할 수 있도록 결합프레임에 설치되는 점자성형부; 점자성형부로부터 점자가 성형된 라벨지가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결합프레임의 라벨지이동홀 상에 설치되는 라벨지배출부; 및 라벨지배출부의 텐션을 조절하여 라벨지의 배출시 슬립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결합프레임에 설치되는 텐션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시각장애인이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하도록 포터블(portable) 형태로 제작하여 손에 들고 다니거나 또는 몸에 지니고 다니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물품에 대한 명칭 또는 정보를 어디서나 점자 인쇄하여 바로 부착함으로써 추후 사용시 기록했던 물품의 명칭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점역하기 때문에 점자를 모르는 사람도 점자 출력이 용이해 동반인 또는 판매자가 손쉽게 정보를 대신 제공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점자프린터{Portable braille printer}
본 발명은 휴대용 점자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각장애인 또는 점자를 필요로 하는 누구나 일상 생활에서 필수적인 정보를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점자로 인쇄하여 부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점자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각장애인의 경우는 점자(braille points)로 출력된 특수한 결과물만을 손가락 등의 촉각으로 읽을 수 있는데, 점자는 2행 3열로 이루어지는 6개의 점으로 구성된 한 글자 영역에서 후면에 홈을 내어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문자를 나타낸다.
최근 들어 점자를 출력하여 시각장애인들이 문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점자출력기가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제품들은 대부분 기계적 장치가 매우 복잡하고, 중량이나 부피가 커서 제품을 휴대하기에 불편할 뿐더러 실생활에서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많다.
게다가, 구입비용도 비싸고, 컴퓨터의 타자와 같은 입력형태를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다른 외부기기와의 연결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보완된 휴대용 점자출력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110255호(2013.10.10. 공개)의 "점자 및 큐알코드 삽입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는 호스트컴퓨터로부터의 인쇄데이터를 전송받아 특수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선택창이 표시되며, 상기 기능선택창에서 QR코드 입력 여부를 선택하고, QR코드의 위치지정이나 문서정보 등의 옵션을 설정하며, 상기 QR코드상 점자문서 출력단계를 선택하고, 상기 QR코드상 점자문서의 점자데이터 변환 및 위치제어를 하며, 점자용 프린트부를 구동하고, 설정된 QR코드내 점자를 포함하여 인쇄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선행문헌은 QR코드의 위치에 따라 QR코드 크기를 맞출 수 있는 인식기로 점자출력된 포인트에 인식하여 사이즈를 맞추고,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QR코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선행문헌은 시각장애인이 일상 생활에서 필수적인 정보를 점자로 프린트하여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110255호(2013.10.10.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시각장애인이 일상 생활에서 필수적인 정보를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점자로 인쇄하여 부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점자프린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 휴대하기 수월하도록 포터블(portable) 형태로 제작하여 손에 들고 다니거나 또는 몸에 지니고 다니기가 용이한 휴대용 점자프린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점자를 모르는 사람도 점자를 손쉽게 프린트할 수 있도록 점역 기능이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연동하는 형태의 휴대용 점자프린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점자가 형성되는 라벨지를 카트리지 형태로 제작하여 라벨지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점자프린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컨트롤러, 카트리지, 점자성형부, 라벨지배출부, 텐션조정부가 설치된 결합프레임이 설치되는 케이스와; 카트리지, 점자성형부, 라벨지배출부, 텐션조정부가 설치되어 케이스의 내측에 결합되는 결합프레임과; 점자성형부, 라벨지배출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결합프레임에 설치되는 컨트롤러와; 점자가 성형되는 라벨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결합프레임에 설치되는 카트리지와; 카트리지로부터 공급되는 라벨지에 점자를 성형할 수 있도록 결합프레임에 설치되는 점자성형부; 점자성형부로부터 점자가 성형된 라벨지가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결합프레임의 라벨지이동홀 상에 설치되는 라벨지배출부; 및 라벨지배출부의 텐션을 조절하여 라벨지의 배출시 슬립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결합프레임에 설치되는 텐션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점자프린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컨트롤러는, 외부로부터 상용전원을 인가받아 충전할 수 있도록 전원선의 커넥터와 연결되는 충전모듈과; 충전모듈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와; 배터리의 충전제어, 점자성형부의 제어, 라벨지배출부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중앙처리장치의 제어를 받아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블루투스와; 컨트롤러의 구동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 및 중앙처리장치로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아 점자성형부의 수직이동모터와 수평이동모터 및 라벨지배출부의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드라이버;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모듈, 중앙처리장치 및 블루투스는 적어도 하나의 PCB에 실장되어 결합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점자성형부는, 수직이동모터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점자형성부재를 이동시키는 수직이동성형부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점자형성부재와 접촉되어 라벨지에 점자가 성형되도록 하는 점자성형부재를 수평이동모터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라벨지를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성형부;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직이동성형부는, 결합프레임의 점자성형부결합홈에 설치되는 수직이동모터와; 수직이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제자리 회전하는 수직이동볼트와; 수직이동볼트에 결합되는 수직이동너트가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라벨지에 점자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점자성형돌기가 형성되는 점자형성부재와; 수직이동볼트와 결합되어 점자형성부재와 설치되는 수직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평이동성형부는, 결합프레임의 점자성형부결합홈에 설치되는 수평이동모터와; 수평이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제자리회전하는 수평이동볼트와; 수평이동볼트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점자성형돌기와 결합해 라벨지에 점자가 성형되도록 점자성형홈이 형성되는 점자성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라벨지배출부는, 결합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결합프레임의 라벨지이동홀을 기준으로 상방향에 위치되게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결합되는 구동롤러와; 라벨지이동홀을 기준으로 하방향에 위치되게 구동롤러와 밀착되어 결합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텐션조정부는, 라벨지배출부의 가이드롤러 하부에 위치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결합프레임의 테네션부재 결합홈에 설치되는 텐션부재와; 텐션부재를 탄성력에 의해 지지할 수 있도록 텐션부재결합홈에 형성된 스프링결합홈에 설치되는 복수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컨트롤러는,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무선으로 연동되게 이루어지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코드데이터가 컨트롤러로 인가되어 점자성형부를 통해 점자가 형성되어 라벨지배출부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 일상 생활에서 필수적인 정보를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점자로 인쇄하여 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정보를 점자화할 수 있어 정보접근원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의물품에 대한 명칭 등을 점자로 표기하여 시각장애인이 의물품을 쉽게 구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재료의 유통기한이나 정보, 생필품에 대한 명칭을 점자로 표기해 시각장애인이 일상적 정보를 쉽게 구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점역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가족 또는 동반인이 점자를 모르더라도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어 대신 물품에 점자로 명칭 표기를 하거나, 점자 메모를 통한 시각장애인과의 소통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포터블(portable) 형태로 제작하여 손에 들고 다니거나 또는 몸에 지니고 다니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물품등에 대한 명칭을 어디서나 점자 인쇄하여 바로 부착함으로써 추후 사용시 물품의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점자가 형성되는 라벨지를 카트리지 형태로 제작하여 라벨지의 교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점자프린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점자프린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결합프레임에 설치되는 컨트롤러, 카트리지, 라벨지배출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카트리지, 점자성형부, 라벨지이동부 및 텐션조정부가 에 설치된 상태에서 결합프레임을 일부 절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구성을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점자성형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카트리지를 통해 라벨지가 공급되어 점자성형부에 의해 점자가 성형되어 라벨지배출부를 통해 라벨지가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점자프린터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코드데이터가 인가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점자프린터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점자프린터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컨트롤러(300), 카트리지(400), 점자성형부(500), 라벨지배출부(600), 텐션조정부(700)가 설치된 결합프레임(200)이 설치되는 케이스(100)와; 카트리지(400), 점자성형부(500), 라벨지배출부(600), 텐션조정부(700)가 설치되어 케이스(100)의 내측에 결합되는 결합프레임(200)와; 점자성형부(500), 라벨지배출부(6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결합프레임(200)에 설치되는 컨트롤러(300)와; 점자가 성형되는 라벨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결합프레임(200)에 설치되는 카트리지(400)와; 카트리지(400)로부터 공급되는 라벨지에 점자를 성형할 수 있도록 결합프레임(200)에 설치되는 점자성형부(500)와; 점자성형부(500)로부터 점자가 성형된 라벨지가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결합프레임(200)의 라벨지이동홀(220) 상에 설치되는 라벨지배출부(600); 및 라벨지배출부(600)의 텐션을 조절하여 라벨지의 배출 시 슬립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결합프레임(200)에 설치되어 라벨지배출부(600)를 지지하는 텐션조정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점자프린터는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점자프린터는 케이스(100), 결합프레임(200), 컨트롤러(300), 카트리지(400), 점자성형부(500), 라벨지배출부(600) 및 텐션조정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게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프레임(200)이 내측에 결합될 수 있도록 측면커버(110)가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400)를 교환할 수 있도록 덮개(12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결합프레임(200)은 충전모듈(310), 배터리(320), 중앙처리장치(330), 블루투스모듈(340), 전원스위치(350)가 하나의 PCB기판에 설치된 컨트롤러(30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결합프레임(200)은 카트리지(4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카트리지결합홈(210)을 형성하고, 상기 카트리지(400)로부터 공급되는 라벨지가 이동될 수 있도록 카트리지결합홈(210)에서 거리가 이격된 위치에 수평방향으로 라벨지이동홀(220)이 형성되며, 상기 점자성형부(5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라벨지이동홀(220)의 선상에 점자성형부결합홈(230)이 형성되고, 상기 점자성형부결합홈(230)이 형성된 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라벨지이동홀(220)의 선상에 텐션조정부결합홈(240)이 형성되며, 상기 텐션조정부결합홈(240)에는 스프링(720)이 결합되는 스프링결합홈(250)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러는 하나의 PCB기판에 충전모듈(310), 배터리(320), 중앙처리장치(330), 블루투스모듈(340), 전원스위치(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충전모듈(310)은 외부로부터 상용전원을 인가받아 배터리(320)에 충전할 수 있도록 커넥터와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320)는 충전모듈(31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중앙처리장치(330)의 제어를 받아 전원충전 또는 전원공급이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처리장치(330)는 배터리(320)에 전원의 충전 및 전원공급(또는 방전)을 제어하며, 스마트단말기(8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무선으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블루투스모듈(340)을 제어하고, 라벨지에 점자성형이 이루어지도록 점자성형부(500)를 제어하며, 또한, 점자성형이 이루어진 라벨지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라벨지배출부(600)를 제어한다.
상기 블루투스모듈(340)은 중앙처리장치(330)의 제어를 받아 스마트단말기(8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무선으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모듈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단말기(800)의 송신부(미도시)로부터 인가되는 코드데이터를 인가받아 중앙처리장치(330)로 인가한다.
상기 전원스위치(350)는 컨트롤러(300)를 온,오프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카트리지(400)는 점자가 성형되는 라벨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결합프레임(2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지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400)는 라벨지가 공급되는 라벨지공급공(410)이 형성되며, 상기 라벨지공곱공(410)을 통해 공급되는 라벨지는 결합프레임(200)에 형성된 라벨지이동홀(220)을 이동되며, 점자가 성형된 상태에서 라벨지배출부(600)를 통해 케이스(100)의 배출공(130)으로 배출된다.
상기 점자성형부(500)는 카트리지(400)로부터 공급되는 라벨지에 점자를 성형할 수 있도록 결합프레임(20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점자성형부(500)는 수직이동모터(51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점자형성부재(513)를 이동시키는 수직이동성형부(510)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점자형성부재(513)와 접촉되어 라벨지에 점자가 성형되도록 하는 점자성형부재(524)를 수평이동모터(521)에 의해 라벨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성형부(5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이동성형부(510)는 결합프레임(200)의 점자성형부결합홈(230)에 설치되는 수직이동모터(511)와, 수직이동모터(511)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제자리 회전하는 수직이동볼트(512)와, 수직이동볼트(512)에 결합되는 수직이동너트(515)가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라벨지에 점자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점자성형돌기(514)가 형성되는 점자형성부재(513)와, 수직이동볼트(512)와 결합되어 점자형성부재(513)와 설치되는 수직가이드부재(516)로 형성된다.
상기 수평이동성형부(520)는 결합프레임(200)의 점자성형부결합홈(230)에 설치되는 수평이동모터(521)와, 수평이동모터(521)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제자리회전하는 수평이동볼트(522)와, 수평이동볼트(522)가 제자리회전하면서 점자성형부재(524)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결합프레임(200)에 고정되는 수평가이드부재(523)와, 수평이동볼트(522)와 결합되는 수평이동너트(527)가 설치되어 점자성형돌기(514)와 결합해 라벨지에 점자가 성형되도록 점자성형홈(526)이 형성되는 점자성형부재(524)로 형성된다.
상기 점자성형홈(526)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자성형부재(524)의 하부에 3개가 형성되고, 상기 3개의 점자성형홈(526)은 중앙에 위치된 점자성형홈(526)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의 좌우측방향(도 6 기준)으로 이동된다.
상기의 점자성형부(500)의 수직이동성형부(510)는 수직이동모터(511)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수직이동볼트(512)와 치합된 수직이동너트(515)가 상승하면서 점자형성부재(513)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점자성형돌기(514)가 수평이동성형부(520)의 점자성형홈(526)에 인입되면서 라벨지에 점자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라벨지에 성형되는 점자는 일렬에 3개의 볼록한 점자가 2열로 구성되도록 이루어지며, 성형이 이루어지는 내용에 따른 점자의 위치는 각기 다르게 이루어진다.
즉, 점자성형돌기(514)와 결합되는 점자성형홈(526)의 위치를 가변시켜 라벨지에 점자의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점자성형홈(526)의 위치에 따른 가변은 수평이동모터(521)의 구동에 의해 회전한는 수평이동볼트(522)와 치합된 수평이동너트(527)가 이동되면서 점자성형부재(524)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점자성형홈(526)의 위치가 가변되며, 이때 라벨지는 점자성형부재(524)에 형성된 라벨지유입공(525)에 결합된 상태로 이동이 점자의 성형이 이루어진다.
상기 라벨지배출부(600)는 점자성형부(500)로부터 점자가 성형된 라벨지가 케이스(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결합프레임(200)의 라벨지이동홀(220)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벨지배출부(600)는 라벨지이동홀(220)의 측방향에 위치되어 결합프레임(200)에 설치되는 구동모터(610)와, 결합프레임(200)의 라벨지이동홀(220)을 기준으로 상방향에 위치되게 구동모터(610)의 구동축과 결합되는 구동롤러(620)와, 구동롤러(620)와 밀착되게 라벨지이동홀(220)을 기준으로 하방향에 위치되어 결합프레임(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롤러(6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라벨지배출부(600)는 점자성형부(500)에서 점자가 성형된 라베지를 결합프레임(200)의 라벨지이동홀(220)을 통해 이동시켜 케이스(100)의 배출공(130)으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라벨지배출부(600)는 텐션조정부(700)에 의해 구동롤러(620)와 가이드롤러(630)의 사이에 위치되는 라벨지와 슬립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텐션조정부(700)는 라벨지배출부(600)의 텐션을 조절하여 라벨지의 배출 시 슬립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결합프레임(200)에 설치되어 라벨지배출부(60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조정부(700)는 라벨지배출부(600)의 가이드롤러(630) 하부에 위치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결합프레임(200)의 텐션조정부결합홈(240)에 설치되는 텐션부재(710)와, 텐션부재(710)를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어 텐션조정부결합홈(240)에 형성된 스프링결합홈(250)에 설치되는 복수의 스프링(7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텐션조정부(700)는 라벨지배출부(600)의 가이드롤러(630)를 텐션부재(710)가 하부에서 지지하고, 텐션부재의 하부에 설치된 복수의 스프링이 이완되면서 가이드롤러가 라벨지의 하부에 밀착됨과 동시에 라벨지가 구동롤러에 밀착되도록 하여 습립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구동롤러(620)와 라벨지 사이 및 가이드롤러(630)와 라벨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동롤러(620)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라벨지와의 슬립현상을 방지하여 케이스(100)의 배출공(130)으로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60은 모터드라이버이다. 상기 모터드라이버(360)는 중앙처리장치(33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아 점자성형부(500)의 수직이동모터(511)와 수평이동모터(521) 및 라벨지배출부(600)의 구동모터(610)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점자프린터가 스마트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에 의해 점자가 성형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스마트단말기(800)를 이용하여 구글의 플레이스토어 또는 SK의 원스토어를 통해 점자 성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한다.
상기 스마트단말기(800)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상태에서 시각장애인이 라벨지에 점자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시각장애인이 음성으로 스마트단말기(800)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 상태에서 음성을 통해 물품의 명칭을 입력한다.
상기와 같이 음성인식을 통해 획득되는 단어는 물품의 명칭이 표시되면서 별도의 부분에 점자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즉, 음성 확인을 통해 물품의 명칭이 제대로 인식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단말기 (800)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상태에서 점자를 모르는 비시각장애인이 라벨지에 점자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비시각장애인이 스마트단말기(800)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 상태에서 텍스트 입력을 통해 물품의 명칭을 입력한다.
상기와 같이 텍스트 입력을 통해 획득되는 단어는 물품의 이름이 표시되면서 별도의 부분에 점자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상기와 같이 물품의 이름이 점자형태로 표시되면, 어플리케이션은 물품의 이름을 코드형태로 변환하고, 변환된 코드를 부호화하여 스마트단말기의 송신부 즉,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휴대용 점자프린터에 설치된 컨트롤러(300)의 블루투스모듈(340)로 인가된다.
상기 블루투스모듈(340)로 인가된 코드데이터는 중앙처리장치(330)로 인가되어 기 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코드데이터에 따른 점자의 위치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값을 기준으로 점자성형부(500)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한다.
다시 설명하면, 중앙처리장치(330)에서는 수직이동성형부(510)의 수직이동모터(511)에 전기적신호를 인가하여 수직이동볼트(512)를 회전시켜 수평이동성형부(520) 쪽으로 상승되도록 한다.
상기 수평이동볼트(522)에 의해 점자형성부재(513)가 수직가이드부재(516)에 가이드되면서 상승되어 점자성형부재(524)의 점자성형홈(526)에 인입되면, 라벨지에는 볼록한 돌기형태의 점자가 성형된다. 이때 물품의 이름이 1열과 2열(종으로 3점, 횡으로 2점) 모두에 각각 점자를 성형해야 되는 경우, 중앙처리장치(330)에서는 1열에 성형해야되는 위치값에 따른 수직이동모터(511)의 구동력과 2열에 성형해야되는 위치값에 따른 수평이동모터(521)의 구동력을 각각 먼저 계산하여 이에 기준해 전기적신호로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어값을 산출한다.
상기의 제어값은 수직이동모터(511) 및 수평이동모터(521)의 RPM에 따른 구동시간 및 하강하여 다시 상승하는 시간에 따른 RPM에 따른 구동시간 그리고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RPM에 따른 구동시간을 각각 계산한다.
상기 제어값에는 수직이동모터(511) 및 수평이동모터(521)의 제어를 위한 값만을 산출하는 것은 아니며 종과 횡으로 형성되는 점자의 거리에 따른 구동모터(610)의 RPM에 따른 구동시간을 산출한다.
상기와 같은 기준에 따라 제어값을 산출한 상태에서 먼저, 1열의 중앙에 점자의 성형을 한 후 수평이동모터(521)의 구동에 의해 수평이동볼트(522)가 회전하여 점자성형부재(524)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라벨지에 먼저 성형된 점자의 일측에 다시 점자가 성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1열의 점자가 성형이 완료되면, 중앙처리장치(330)에서 라벨지배출부(600)의 구동모터(610)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구동롤러(620)와 가이드롤러(630)에 의해 라벨지를 이동시킨다.
이때 라벨지가 이동되는 거리는 기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점자와 점자 사이의 거리는 한국 점자 규격 표준화에 따른 간격으로 1열과 2열의 점자가 띄워지도록 설정되며, 또한 점자폰트와 점자폰트 사이의 간격도 한국 점자 규격 표준화에 따라 간격이 띄워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라벨지에 점자의 형성이 완료되면, 중앙처리장치에서는 라벨지배출부(600)의 구동모터(61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구동롤러(620)와 함께 가이드롤러(630)에 의해 라벨지를 케이스(100)의 배출공(130)으로 출력한다.
상기 케이스(100)의 배출공(130)으로 출력된 라벨지는 사용자가 적당한 길이로 잘라 원하는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카트리지(400)의 라벨지를 전부 사용한 상태에서 새로운 카트리지(400)로 교환하기 위해서는, 덮개(120)를 케이스(100)에서 이탈시킨 상태에서 결합프레임(200)의 내측에 위치한 기존의 카트리지(400)를 빼낸 후 새로운 카트리지(400)를 결합프레임(200)의 카트리지결합홈(210)에 끼워 넣는다.
이때 카트리지의 라벨지공급공으로 라벨지를 인출시켜 결합프레임의 라벨지이동공을 통해 점자성형부(500)에 형성된 라벨지유입공(525)으로 라벨지를 끼워 라벨지배출부(600)의 구동롤러(620)와 가이드롤러(630)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시험용 점자를 성형하여 라벨지가 케이스(100)의 배출공(130)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필요 시에 점자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각장애인이 일상 생활에서 필수적인 정보를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점자로 인쇄하여 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점자의 기록이 없어 구분이 안되는 생활제품 또는 물품 등에 명칭 등을 표기하여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포터블(portable) 형태로 제작하여 손에 들고 다니거나 또는 몸에 지니고 다니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물품에 대한 명칭을 어디서나 점자 인쇄하여 바로 부착함으로써 추후 사용시 물품의 명칭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케이스 110: 측면커버
120: 덮개 130: 배출공
200: 결합프레임 210: 카트리지결합홈
220: 라벨지이동홀 230: 점자성형부결합홈
240: 텐션조정부결합홈 250: 스프링결합홈
300: 컨트롤러 310: 충전모듈
320: 배터리 330: 중앙처리장치
340: 블루투스모듈 350: 전원스위치
400: 카트리지 410: 라벨지공급공
500: 점자성형부 510: 수직이동성형부
511: 수직이동모터 512: 수직이동볼트
513: 점자형성부재 514: 점자성형돌기
515: 수직이동너트 516: 수직가이드부재
520: 수평이동성형부 521: 수평이동모터
522: 수평이동볼트 523: 수평가이드부재
524: 점자성형부재 525: 라벨지유입공
526: 점자성형홈 527: 수평이동너트
600: 라벨지배출부 610: 구동모터
620: 구동롤러 630: 가이드롤러
700: 텐션조정부 710: 텐션부재
720: 스프링

Claims (8)

  1.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컨트롤러(300), 카트리지(400), 점자성형부(500), 라벨지배출부(600), 텐션조정부(700)가 설치된 결합프레임(200)이 설치되는 케이스(100)와;
    카트리지(400), 점자성형부(500), 라벨지배출부(600), 텐션조정부(700)가 설치되어 케이스(100)의 내측에 결합되는 결합프레임(200)과;
    점자성형부(500), 라벨지배출부(6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결합프레임(200)에 설치되는 컨트롤러(300)와;
    점자가 성형되는 라벨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결합프레임(200)에 설치되는 카트리지(400)와;
    카트리지(400)로부터 공급되는 라벨지에 점자를 성형할 수 있도록 결합프레임(200)에 설치되는 점자성형부(500)와;
    점자성형부(500)로부터 점자가 성형된 라벨지가 케이스(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결합프레임(200)의 라벨지이동홀(220) 상에 설치되는 라벨지배출부(600); 및
    라벨지배출부(600)의 텐션을 조절하여 라벨지의 배출 시 슬립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결합프레임(200)에 설치되어 라벨지배출부(600)를 지지하는 텐션조정부(7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점자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300)는,
    외부로부터 상용전원을 인가받아 충전할 수 있도록 전원선의 커넥터와 연결되는 충전모듈(310)과;
    충전모듈(31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320)와;
    배터리(320)의 충전제어, 점자성형부(500)의 제어, 라벨지배출부(600)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330)와;
    중앙처리장치(330)의 제어를 받아 스마트단말기(8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블루투스모듈(340)과;
    컨트롤러의 구동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350) 및
    중앙처리장치로(330)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아 점자성형부(500)의 수직이동모터(511)와 수평이동모터(521) 및 라벨지배출부(600)의 구동모터(610)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드라이버(360);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모듈(310), 중앙처리장치(330), 블루투스모듈(340) 및 전원스위치(350)는 적어도 하나의 PCB에 실장되어 결합프레임(20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점자프린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성형부(500)는,
    수직이동모터(51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점자형성부재(513)를 이동시키는 수직이동성형부(510)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점자형성부재(513)와 접촉되어 라벨지에 점자가 성형되도록 하는 점자성형부재(524)를 수평이동모터(521)에 의해 라벨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성형부(520);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점자프린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성형부(510)는,
    결합프레임(200)의 점자성형부결합홈(230)에 설치되는 수직이동모터(511)와;
    수직이동모터(511)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제자리 회전하는 수직이동볼트(512)와;
    수직이동볼트(512)에 결합되는 수직이동너트(515)가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라벨지에 점자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점자성형돌기(514)가 형성되는 점자형성부재(513)와;
    수직이동볼트(512)와 결합되어 점자형성부재(513)와 설치되는 수직가이드부재(51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점자프린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성형부(520)는,
    결합프레임(200)의 점자성형부결합홈(230)에 설치되는 수평이동모터(521)와;
    수평이동모터(521)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제자리회전하는 수평이동볼트(522)와;
    수평이동볼트(522)가 제자리회전하면서 점자성형부재(524)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결합프레임(200)에 고정되는 수평가이드부재(523)와;
    수평이동볼트(522)와 결합되는 수평이동너트(527)가 설치되어 점자성형돌기(514)와 결합해 라벨지에 점자가 성형되도록 점자성형홈(526)이 형성되는 점자성형부재(5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점자프린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지배출부(600)는,
    라벨지이동홀(220)의 측방향에 위치되어 결합프레임(200)에 설치되는 구동모터(610)와;
    결합프레임(200)의 라벨지이동홀(220)을 기준으로 상방향에 위치되게 구동모터(610)의 구동축과 결합되는 구동롤러(620)와;
    구동롤러(620)와 밀착되게 라벨지이동홀(220)을 기준으로 하방향에 위치되어 결합프레임(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롤러(6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점자프린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조정부(700)는,
    라벨지배출부(600)의 가이드롤러(630) 하부에 위치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결합프레임(200)의 텐션조정부결합홈(240)에 설치되는 텐션부재(710)와;
    텐션부재(710)를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어 텐션조정부결합홈(240)에 형성된 스프링결합홈(250)에 설치되는 복수의 스프링(7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점자프린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300)는,
    스마트단말기(8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블루투스 통신이 이루어지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인가되는 코드데이터가 컨트롤러로 인가되고,
    컨트롤러(300)는 코드데이터를 비교, 판단 및 분석하여 전기적신호를 점자성형부(500)로 인가하여 점자가 형성되도록 하며, 라벨지배출부(600)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점자프린터.
KR1020200145395A 2020-11-03 2020-11-03 휴대용 점자프린터 KR102444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395A KR102444223B1 (ko) 2020-11-03 2020-11-03 휴대용 점자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395A KR102444223B1 (ko) 2020-11-03 2020-11-03 휴대용 점자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797A true KR20220059797A (ko) 2022-05-10
KR102444223B1 KR102444223B1 (ko) 2022-09-16

Family

ID=81591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395A KR102444223B1 (ko) 2020-11-03 2020-11-03 휴대용 점자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22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3257A (ja) * 1995-12-28 1997-07-15 Tadashi Takahashi 点字プリンター装置
JP2001088358A (ja) * 1999-09-20 2001-04-03 Muneya Inaba 表示テープ作成装置と表示テープ用テープ材
JP2006142835A (ja) * 2005-12-21 2006-06-08 Brother Ind Ltd テーププリンタ
KR20100023549A (ko) * 2008-08-22 2010-03-04 (주)모이텍 점자 라벨기
KR20130110255A (ko) 2012-03-29 2013-10-10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점자 및 큐알코드 삽입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KR20170032508A (ko) * 2015-09-14 2017-03-2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점자출력기
KR20180089227A (ko) * 2017-01-31 2018-08-08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탬프를 이용한 점자라벨 프린팅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3257A (ja) * 1995-12-28 1997-07-15 Tadashi Takahashi 点字プリンター装置
JP2001088358A (ja) * 1999-09-20 2001-04-03 Muneya Inaba 表示テープ作成装置と表示テープ用テープ材
JP2006142835A (ja) * 2005-12-21 2006-06-08 Brother Ind Ltd テーププリンタ
KR20100023549A (ko) * 2008-08-22 2010-03-04 (주)모이텍 점자 라벨기
KR20130110255A (ko) 2012-03-29 2013-10-10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점자 및 큐알코드 삽입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KR20170032508A (ko) * 2015-09-14 2017-03-2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점자출력기
KR20180089227A (ko) * 2017-01-31 2018-08-08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탬프를 이용한 점자라벨 프린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223B1 (ko) 202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3861A (en) Talking phonics interactive learning device
US10453359B2 (en) Braille learning apparatus and braille learning method using the same
US20200294419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Using Braille
US7744372B1 (en) Refreshable Braille display device
CN102655001A (zh) 信息处理装置及信息处理方法
US11854423B1 (en) Refreshable braille display
KR102444223B1 (ko) 휴대용 점자프린터
US20060014123A1 (en) Pseudo-cuneiform tactile display
US4903232A (en) Electronic programmable stamping marking device
JP2002215012A (ja) 学習支援システム
CN110920268B (zh) 一种盲文刻印方法及其系统
WO2019162848A1 (en) A smart interactive system for braille learning
US20190266917A1 (en) A reading method for blind people via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reading device for blind people
KR20170032508A (ko) 휴대용 점자출력기
US10902744B2 (en) Braille and/or in auditive Morse code writing device, for users with visual disabilities and/or any motor disorder
JP2017037611A (ja) 接触付与部分の状態変化によって情報を伝達可能なオブジェクト、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322730B1 (ko) 음절인식장치를 이용한 문자학습 시스템
KR102282415B1 (ko) 사용자 단말기를 수용하는 로봇
Mia et al. Ultra Low Cost, Low Power, High Speed Electronic Braille Device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CN100542821C (zh) 带式打印机
JP5462206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およびプログラム
CN219976072U (zh) 一种具有防摔功能的拼音学习装置
US9335830B2 (en) Keyboard with macro keys made up of positionally adjustable micro keys
KR102138812B1 (ko) 시각장애인용 프린터 시스템
CN209752093U (zh) 发音康复训练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