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604B1 - 여섯 키를 이용한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여섯 키를 이용한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604B1
KR101988604B1 KR1020170111095A KR20170111095A KR101988604B1 KR 101988604 B1 KR101988604 B1 KR 101988604B1 KR 1020170111095 A KR1020170111095 A KR 1020170111095A KR 20170111095 A KR20170111095 A KR 20170111095A KR 101988604 B1 KR101988604 B1 KR 101988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keypad
keys
control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4273A (ko
Inventor
최용근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11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604B1/ko
Publication of KR20190024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6Arrangements for ergonomically adjusting the disposition of keys of a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4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witches oper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04M1/725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제어키와 4개의 변형키가 조합된 형태로 구성된 입력장치를 통해 공간 및 상황에 제한받지 않는 자유로운 손터치 인식이 가능한 인터랙션 장비에 적용 가능한 입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6개의 키가 조합된 형태로 구성된 키패드부와, 상기 키패드부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하는 인터페이스부와, 키패드부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내부의 전원 또는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휴대용 단말기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Description

여섯 키를 이용한 입력장치{Input Device using Six Key}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키패드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4개의 기준키와 2개의 제어키가 조합된 형태로 구성된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정보통신의 발달에 기인하여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여러 가지 휴대용 단말기, 예컨대 휴대폰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들이 출시되고 있는바, 이는 장소에 구애 없이 자유롭게 통화할 수 있는 사용상의 편의성에 따라 그 보급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어 문자 메시지나 전자우편 등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서도 정보의 공유가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그 특성상 슬림화된 외관을 유지해야 하는 제약 때문에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에는 별지장이 없지만, 원하는 충분한 문자정보를 상대방에게 송신하기에는 상당히 곤란한 문제를 안고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소형으로 구성되므로,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되는 문자입력부 역시 키패드의 크기나 수량이 최소한의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기본형태(숫자와 한글 자/모음 및 영문 알파벳 등)를 취하고 있으므로 지극히 간단한 문장과 문자의 입력만이 가능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내용의 범위가 아주 협소할 뿐만 아니라 입력방법 또한 하나의 자판을 반복해서 눌러야 하는 등 사용이 어렵고, 이에 따른 오탈자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휴대용 단말기는 물론 단말기 본체에 블루투스 및 힌지방식으로 결합된 확장형 키패드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서도 발생하는데, 이렇게 키패드부를 단말기 본체에 결합할 경우 키패드부의 크기, 즉 자판의 크기는 확대할 수 있지만 그만큼 단말기 자체의 부피가 커지게 되므로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뒤따른다.
따라서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의 검색과 정보의 공유 및 제공이 지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서비스의 적극적 활용을 위해서는 메시지를 신속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휴대용 키보드의 등장이 필연적 수순이라 할 수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0003호 (등록일자 2001.12.26) 등록특허공보 제10-0585765호 (등록일자 2006.05.2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2개의 제어키와 4개의 변형키가 조합된 형태로 구성된 입력장치를 통해 공간 및 상황에 제한받지 않는 자유로운 손터치 인식이 가능한 인터랙션 장비에 적용 가능한 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필요시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하여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장,탈착식 키패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여섯 키를 이용한 입력장치의 특징은 6개의 키가 조합된 형태로 구성된 키패드부와, 상기 키패드부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하는 인터페이스부와, 키패드부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내부의 전원 또는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휴대용 단말기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키패드부는 엄지를 통해 선택되는 2개의 제어키와,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을 통해 상기 제어키에서 선택되는 키를 이용하여 조합되는 키로 선택되는 4개의 변형키와, 상기 제어키 및 변형키에서 각각 선택되는 키의 조합을 통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인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키는 엄지에 의해 선택되며, 변형키는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을 통해 선택됨에 따라, 사람의 손 모양에 대응하여 변형키는 상단부에 위치되고, 제어키는 변형키의 좌측 하단(오른손용) 또는 우측 하단(왼손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키패드부는 상기 문자 인식부에서 인식된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부는 키패드부의 일 측에 위치하여 최종적으로 입력될 문자를 표시하는 제 1 표시부와, 제어키 및 변형키 주변에 각각 위치하여 현재 누르고 있는 키에 추가로 제어키 및 변형키 중 어느 하나를 눌렀을 때 나타낼 문자를 각각 표시하는 제 2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전원공급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키패드부 내부의 데이터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거나,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키패드부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원공급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거나,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원공급부는 인터페이스부에 마련되는 외부 충전기포트에 연결되는 전지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속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포트에 결합되는 커넥터(수커넥터)로 구성되거나, 근거리 통신을 통한 무선 통신으로 결합되는 근거리 통신 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여섯 키를 이용한 입력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공간 및 상황에 제한받지 않는 자유로운 손터치 인식이 가능한 컴퓨팅 상에서의 인터랙션 디바이스에 적용이 가능하다.
둘째, 키보드 및 마우스 등과 같은 HCI 입력 디바이스 등의 대체 제품으로 가능하다.
셋째, 가상현실 및 다양한 컴퓨팅 환경에서 인터랙션 장비로 적용이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섯 키를 이용한 입력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a 는 도 1에서 키패드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2b 는 도 1에서 키패드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여섯 키를 이용한 입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섯 키를 이용한 입력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2개의 제어키와 4개의 변형키가 조합된 형태로 구성된 키패드부(100)와, 상기 키패드부(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하는 인터페이스부(200)와, 키패드부(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300)와,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내부의 전원 또는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00)와, 휴대용 단말기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부(500)로 구성된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서 키패드부(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키패드부(100)는 도 2a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엄지를 통해 선택되는 2개의 제어키(110)와,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을 통해 상기 제어키(110)에서 선택되는 키를 이용하여 조합되는 키로 선택되는 4개의 변형키(120)와, 상기 제어키(110) 및 변형키(120)에서 각각 선택되는 키의 조합을 통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인식부(130)와, 상기 문자 인식부(130)에서 인식된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140)로 구성된다.
이때, 제어키(110)는 엄지에 의해 선택되며, 변형키(120)는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을 통해 선택됨에 따라, 사람의 손 모양에 대응하여 도 2b에서 구성되고 있는 것과 같이, 변형키(120)는 상단부에 위치되고, 제어키(110)는 변형키(120)의 좌측 하단(오른손용) 또는 우측 하단(왼손용)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b는 오른손용으로 제어키(110)가 변형키(120) 좌측 하단에 위치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40)는 도 2b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키패드부의 일 측에 위치하여 최종적으로 입력될 문자를 표시하는 제 1 표시부(141)와, 제어키(110) 및 변형키(120) 주변(상단 또는 하단)에 각각 위치하여 현재 누르고 있는 키에 추가로 제어키(110) 및 변형키(120) 중 어느 하나를 눌렀을 때 나타낼 문자를 각각 표시하는 제 2 표시부(142)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표시부(142)에는 자기 주변에 위치하는 키(제어키 또는 변형키)가 눌려졌을 때에 나타낼 문자를 표시함에 따라, 서로 다른 문자들이 표시되게 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200)는 전원공급부(40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키패드부(100) 내부의 데이터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거나,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키패드부(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후술하는 전원공급부와 연계되어 사용됨),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20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40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아울러, 상기 전원공급부(400)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11)는 전술한 인터페이스부(200)에 마련되는 외부 충전기포트를 포함하는데, 이는 전지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지닌다. 이와 같은 외부 충전기포트는 바람직하게 컴퓨터의 USB 단자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전원의 공급받거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USB 입력단자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전원공급부(400)는 키패드부(100)의 각 구성요소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과 함께 접속부에 의해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를 선택 충전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전원공급부(100)의 전지셀은 외부 충전기포트를 통해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재충전된다.
상기 접속부(500)는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포트에 결합되는 커넥터(수커넥터)로 구성되거나, 근거리 통신을 통한 무선 통신으로 결합되는 근거리 통신 모듈로 구성된다. 이때,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6개의 키가 조합된 형태로 구성되며, 한 손으로 제어되는 키패드부와,
    상기 키패드부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하는 인터페이스부와,
    키패드부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내부의 전원 또는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휴대용 단말기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패드부는, 엄지를 통해 선택되는 2개의 제어키와,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을 통해 상기 제어키에서 선택되는 키를 이용하여 조합되는 키로 선택되는 4개의 변형키와, 상기 제어키 및 상기 변형키에서 각각 선택되는 키의 조합을 통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인식부를 포함하며,
    상기 변형키는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을 통해 선택됨에 따라, 사람의 손 모양에 대응하여 상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어키는 상기 변형키의 좌측 하단(오른손용) 또는 우측 하단(왼손용)에 위치되고,
    상기 키패드부는 상기 문자 인식부에서 인식된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키패드부의 일 측에 위치하여 최종적으로 입력될 문자를 표시하는 제 1 표시부와, 상기 제어키 및 상기 변형키 주변에 각각 위치하여 현재 누르고 있는 키에 추가로 제어키 및 변형키 중 어느 하나를 눌렀을 때 나타낼 문자를 각각 표시하는 제 2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섯 키를 이용한 입력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이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전원공급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키패드부 내부의 데이터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거나,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키패드부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섯 키를 이용한 입력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거나,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섯 키를 이용한 입력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인터페이스부에 마련되는 외부 충전기포트에 연결되는 전지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섯 키를 이용한 입력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포트에 결합되는 커넥터(수커넥터)로 구성되거나, 근거리 통신을 통한 무선 통신으로 결합되는 근거리 통신 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섯 키를 이용한 입력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섯 키를 이용한 입력장치.
KR1020170111095A 2017-08-31 2017-08-31 여섯 키를 이용한 입력장치 KR101988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095A KR101988604B1 (ko) 2017-08-31 2017-08-31 여섯 키를 이용한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095A KR101988604B1 (ko) 2017-08-31 2017-08-31 여섯 키를 이용한 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273A KR20190024273A (ko) 2019-03-08
KR101988604B1 true KR101988604B1 (ko) 2019-06-12

Family

ID=65800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095A KR101988604B1 (ko) 2017-08-31 2017-08-31 여섯 키를 이용한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60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167Y1 (ko) * 2001-05-11 2001-10-15 오재영 다용도 키패드
JP2004038789A (ja) * 2002-07-05 2004-02-05 Amtec Inc キーボードシステム
JP2014060640A (ja) * 2012-09-19 2014-04-03 Sharp Corp 仮名文字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0892A (en) * 1979-02-22 1982-11-23 Microwriter Limited Portable word-processor
MY119624A (en) 1997-04-03 2005-06-30 Lite On Technology Corp Multimedia keyboard structure
KR100464002B1 (ko) * 2002-01-08 2005-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패드 분리형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KR100585765B1 (ko) 2004-06-10 200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키패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167Y1 (ko) * 2001-05-11 2001-10-15 오재영 다용도 키패드
JP2004038789A (ja) * 2002-07-05 2004-02-05 Amtec Inc キーボードシステム
JP2014060640A (ja) * 2012-09-19 2014-04-03 Sharp Corp 仮名文字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273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4949B2 (en) Multi-host wireless input device
US10956025B2 (en) Gesture control method, gesture control device and gesture control system
CN109814972A (zh) 界面显示方法及终端
US20120257332A1 (en) Extended user input
CN108958606B (zh) 分屏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US11262911B2 (en) Integrated home key and virtual key area for a smart terminal
US10915176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haptic pattern on smart device
CN103558750A (zh) 智能手表及传递电子名片的方法
WO2020119517A1 (zh) 输入法的控制方法及终端设备
CN109189286A (zh) 一种桌面应用的操作方法及终端
CN104660494A (zh) 一种通信系统
US20220321120A1 (en) Touch button,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WO2020125405A1 (zh) 终端设备的控制方法及终端设备
CN104636017A (zh) 一种无线式智能终端控制设备及其控制方法
JP2021532492A (ja) 文字入力方法及び端末
KR101988604B1 (ko) 여섯 키를 이용한 입력장치
EP3115864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board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N108566482A (zh) 天线馈点的切换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101522631B1 (ko)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
KR102543656B1 (ko)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150351144A1 (en) Wireless transmission apparatus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CN108572749A (zh) 一种终端控制方法和系统、设置适配装置、及移动终端
KR101488099B1 (ko)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장치
KR20120115024A (ko) 멀티태스킹 키보드 및 그 구동방법
CN206400519U (zh) 基于红外投射与感应的信息输入装置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