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099B1 -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8099B1 KR101488099B1 KR20130096059A KR20130096059A KR101488099B1 KR 101488099 B1 KR101488099 B1 KR 101488099B1 KR 20130096059 A KR20130096059 A KR 20130096059A KR 20130096059 A KR20130096059 A KR 20130096059A KR 101488099 B1 KR101488099 B1 KR 1014880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
- signal
- keyboard
- unit
- key dat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4—Foot operated pointing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손이 불편한 환자나 손을 사용할 수 없는 장애인 등이 발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컴퓨터 입력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포인터 이동을 위한 방향의 자유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스틱, 키 데이터 입력을 위한 버튼, 상기 스틱의 조작 방향에 대응하는 이동방향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조정부, 상기 버튼의 키 데이터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버튼 신호를 출력하는 키선택부, 상기 방향조정부의 이동방향 신호 및 상기 키선택부의 선택버튼 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키가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열된 자판의 키 위치 좌표값 및 스캔코드 변환 요청 정보로 전송하여 상기 자판이 상기 이동방향 신호 및 선택버튼 신호에 대응하여 연동하도록 변환하는 에뮬레이터를 포함하는 제1인터페이스와, 상기 자판을 표시하고 상기 에뮬레이터로부터 상기 키 위치 좌표값 및 스캔코드 변환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자판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를 출력하는 자판모듈 및 상기 자판모듈의 키 데이터를 수신하여 스캔코드로 변환하는 코드모듈을 포함하는 제2인터페이스;로 이루어진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장치를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포인터 이동을 위한 방향의 자유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스틱, 키 데이터 입력을 위한 버튼, 상기 스틱의 조작 방향에 대응하는 이동방향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조정부, 상기 버튼의 키 데이터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버튼 신호를 출력하는 키선택부, 상기 방향조정부의 이동방향 신호 및 상기 키선택부의 선택버튼 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키가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열된 자판의 키 위치 좌표값 및 스캔코드 변환 요청 정보로 전송하여 상기 자판이 상기 이동방향 신호 및 선택버튼 신호에 대응하여 연동하도록 변환하는 에뮬레이터를 포함하는 제1인터페이스와, 상기 자판을 표시하고 상기 에뮬레이터로부터 상기 키 위치 좌표값 및 스캔코드 변환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자판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를 출력하는 자판모듈 및 상기 자판모듈의 키 데이터를 수신하여 스캔코드로 변환하는 코드모듈을 포함하는 제2인터페이스;로 이루어진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이 불편한 환자나 손을 사용할 수 없는 장애인 등이 발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문자 등의 데이터를 입력 및 조작할 수 있는 컴퓨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PDA,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정보통신 단말기는 키보드(또는 키패드), 터치 스크린 및 태블릿(tablet), 디지타이저(digitizer) 등의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 중에서 키보드(또는 키패드)는 다수의 키(key)들이 소정의 규칙에 의해서 배열되어 있고, 각각의 키에 해당하는 스캔코드(scan code)가 할당되어 있으며, 키의 스위치 형태 및 종류에 따라 기계식, 정전 용량 방식, 멤브레인 방식, 펜타그래프 방식, 플렉시블 방식, 프로젝션 방식 등으로 분류된다.
예컨대, 기계식의 키보드 경우 특정 키를 누르면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컴퓨터 시스템에 입력된 특정 키 입력 신호는 키보드 드라이버(driver) 및 바이오스(BIOS)를 통해 특정 키에 할당된 스캔코드로 변환된 후, 버퍼에 임시 저장되었다가 활성화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적용되게 된다.
여기서 스캔코드란 키보드(또는 키패드)의 키들에 각각 할당된 코드값으로, 일반적으로 4자리의 숫자로 표현되는 데, 앞의 2자리는 좌우 컨트롤(Ctrl) 키, 좌우 시프트(Shift) 키 및 좌우 알트(Alt) 키의 조합을 나타내고, 뒤의 2자리는 키 배열에 다른 고유의 코드값을 나타낸다.
그런데 이러한 키보드는 이메일이나 워드 프로세서 작업 등에서 문자 및 숫자를 입력할 때 양손을 사용한 키 입력 조합이 필요하므로 손에 장애가 있는 장애인 등은 이를 사용하기가 상당히 어렵고 불편하거나 아예 불가능할 수밖에 없다.
이를 테면, 손가락 근육의 불수의 강직이나 근력이 쇠약하여 손가락 사용이 불편한 환자 혹은 손가락 또는 양손 절단 등의 장애가 있는 장애인의 경우 키보드를 바닥에 놓고 대부분 엄지발가락으로 키를 눌려 입력하는 데, 이때 엄지발가락의 특성상 누르고자 하는 키 외에 인접하는 다른 키까지 동시에 눌러지면서 오 입력이 자주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이를 일일이 수정하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사용을 기피하고, 이로 인해 급변하는 정보화와 미디어 환경에서 소외되어 문화적 혜택을 제대로 누릴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손이 불편한 환자나 장애인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 입력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한편, 최근 들어 전자기기들 간을 무선으로 연결하는 기술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인터넷 등을 위한 네트워크 연결이나 스마트폰의 기기제어 목적으로는 무선 랜(Wireless LAN)이 주로 활용되고 있으며, 컴퓨터나 스마트폰에 각종의 주변장치(예: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간의 연결은 주로 블루투스가 사용된다. 이 외에도 지그비나 UWB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기술이 알려져 있다.
특히 블루투스는 2.4 GHz의 ISM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10~100 미터 정도의 근거리 내에서 무선으로 포인트투포인트(P2P) 연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자기기 간에 연결이 필요할 때 케이블을 대신하는 연결 통로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감안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손가락을 사용하지 않고 발가락 등으로도 편리하게 문자 등의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는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장치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하던 중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손가락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편리하게 데이터를 입력 및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포인터 이동을 위한 방향의 자유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스틱, 키 데이터 입력을 위한 버튼, 상기 스틱의 조작 방향에 대응하는 이동방향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조정부, 상기 버튼의 키 데이터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버튼 신호를 출력하는 키선택부, 상기 방향조정부의 이동방향 신호 및 상기 키선택부의 선택버튼 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키가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열된 자판의 키 위치 좌표값 및 스캔코드 변환 요청 정보로 전송하여 상기 자판이 상기 이동방향 신호 및 선택버튼 신호에 대응하여 연동하도록 변환하는 에뮬레이터를 포함하는 제1인터페이스와, 상기 자판을 표시하고 상기 에뮬레이터로부터 상기 키 위치 좌표값 및 스캔코드 변환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자판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를 출력하는 자판모듈 및 상기 자판모듈의 키 데이터를 수신하여 스캔코드로 변환하는 코드모듈을 포함하는 제2인터페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이로써 손가락 근육의 불수의 강직이나 근력이 쇠약하여 손가락 사용이 불편한 환자 혹은 손가락 또는 양손 절단 등의 장애가 있어 손을 사용할 수 없는 장애인의 경우 발가락 등으로 편리하게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는 사용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제1인터페이스는, 상기 방향조정부의 이동방향 신호 및 상기 키선택부의 선택버튼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향조정부의 이동방향 신호 및 상기 키선택부의 선택버튼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키 위치 좌표 정보 및 키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에뮬레이터로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제1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인터페이스로 제어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송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인터페이스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수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무선송신부 및 상기 무선수신부는 블루투스 방식, 무선랜 방식, 적외선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제2인터페이스는 상기 스틱의 포인터 이동에 따라 상기 자판의 상기 포인터에 대응하는 키가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위치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제2인터페이스는 상기 스캔코드를 외부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기술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스틱의 조작으로 문자, 숫자 등의 다양한 키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손가락의 사용이 부자유스럽고 불편한 환자 또는 손에 장애가 있는 장애인이나 발밖에 사용할 수 없는 지체 장애인 등이 발을 이용하여 최대한 편리하게 문자 등의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장애인 사용자의 편의성 및 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입력장치의 외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입력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입력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투시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입력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입력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투시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컴퓨터 시스템이라 함은 통상의 데스크탑, 노트북 등의 컴퓨터를 의미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여 해석할 필요는 없으며, PC와 같은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해석한다. 예를 들면, 스마트 폰 혹은 휴대용 통신단말기, 태블릿PC, 넷북 등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장치는 크게 마치 조이스틱과 같은 외형 및 구조를 갖는 제1인터페이스(10) 및 마치 전자식 키보드와 같은 외형 및 구조를 갖는 제2인터페이스(20)로 구성된다.
제1인터페이스(10)는 포인터 이동을 위한 적어도 두 방향의 자유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스틱(11)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키 데이터 입력을 위한 버튼(12)과, 스틱(11)의 조작 방향에 대응하는 이동방향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조정부(13)와, 버튼(12)의 키 데이터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버튼 신호를 출력하는 키선택부(14)와, 방향조정부(13)의 이동방향 신호 및 키선택부(14)의 선택버튼 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5) 및 이 제어부(15)의 제어신호를 키가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열된 자판의 키 위치 좌표값 및 스캔코드 변환 요청 정보로 전송하여 자판이 이동방향 신호 및 선택버튼 신호에 대응하여 연동하도록 변환하는 에뮬레이터(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제1인터페이스(10)는 방향조정부(13)의 이동방향 신호 및 키선택부(14)의 선택버튼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17)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8) 및 제2인터페이스(20)로 제어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송신부(1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틱(11)은 사용자가 발가락으로도 잡고 움직이기 용이하고 편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마치 트위스트 핸들(twist handle과 같이 그 수직축이 수평면에 대하여 직립하는 상태로 세워져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적어도 두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거나 그 수직축의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1인터페이스(10)의 상면 상에 구비되어 있고, 사용자의 조작하는 힘에 의해 중심축이 수평면에 대하여 기울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힘이 해제되면 원래의 위치로 신속하게 복귀하여 그 중심축이 수평면에 대하여 직립하는 상태로 세워지도록 구비되어 있다.
버튼(12)은 스틱(11)의 하부에 내장되어 스틱(11)의 상면을 하방으로 누르는 힘에 의해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스틱(11) 및 버튼(12)은 제1인터페이스(10)의 좌우 양측 상면 상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정확한 방향 및 위치로 조작을 유도할 수 있도록 클릭감이 부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방향조정부(13) 및 키선택부(14)는 한 쌍의 스틱(11) 및 버튼(12) 각각에 대응하는 이동방향 신호 및 선택버튼 신호를 동시에 출력하게 된다.
방향조정부(13)는 사용자의 스틱(11) 조작에 따라 스틱(11)의 방향 또는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감지센서는 스틱(11)의 하부에 내장되며, 스틱(11)의 근접하는 위치를 통해 좌표 정보를 추출하는 1개 또는 2개의 홀센서(hall sensor)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키선택부(14)는 스틱(11)의 상면을 하방으로 누르는 힘에 의한 스위칭 동작을 감지하는 접촉감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방향조정부(13)의 이동방향 신호 및 키선택부(14)의 선택버튼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된 키 위치 좌표 정보 및 키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저장부(17)에서 추출하여 에뮬레이터(16)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는 사용자가 스틱(11) 및 버튼(12)을 조작하면 방향조정부(13)로부터 스틱(11)의 좌표 정보 또는 방향 정보를 받고, 키선택부(14)로부터 선택 키 입력 정보를 받아 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 정보를 저장부(17)로부터 추출한 후 에뮬레이터(16)로 출력하고, 에뮬레이터(16)는 무선송신부(19)를 통하여 제2인터페이스의 무선수신부(24)로 전송한다.
여기서 무선송신부(19) 및 무선수신부(24)는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와이파이, Wi-Fi), UWB, 적외선 통신(IrDA), 지그비(Zigbee) 등의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사용할 경우 무선송신부(19) 및 무선수신부(24)는 페어링된다.
에뮬레이터(16)는 키보드(또는 키패드)의 기능을 다른 종류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로 모방하여 실현하기 위한 장치나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7)는 제어부(15)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고,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7)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8)는 제1인터페이스(10) 내에 설치되어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소형 배터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원부(18)의 전원공급을 개폐하는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인터페이스(20)는 키가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열된 자판을 표시하고, 에뮬레이터(16)로부터 키 위치 좌표값 및 스캔코드 변환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자판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를 출력하는 자판모듈(21) 및 이 자판모듈(21)의 키 데이터를 수신하여 스캔코드로 변환하는 코드모듈(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제2인터페이스(20)는 스틱(11)의 포인터 이동에 따라 자판의 포인터에 대응하는 키가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위치표시부(22)와, 제1인터페이스(1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수신부(24)와 스캔코드를 외부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25)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자판모듈(21)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문자, 숫자, 기호, 기능키, 키패드키 및 방향키 따위가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열되도록 표시하고, 에뮬레이터(16)의 신호에 연동하여 특정 방향으로 이동 및 특정 키를 선택한다.
즉, 자판모듈(21)은 에뮬레이터(16)의 신호에 상응하는 키 데이터를 코드모듈(23)로 전송한다. 에뮬레이터(16)로부터 전송받은 신호는 전기적 신호로 위치 좌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키 데이터는 자판의 키 값을 의미한다. 에뮬레이터(16) 신호에 상응하는 키 데이터는 미리 설정되어 있으므로 에뮬레이터(16) 신호에 상응하는 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자판모듈(21)로 키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거나 에러 값을 전송한다. 자판모듈(21)에서 키 데이터를 전송하면, 코드모듈(23)은 전송받은 키 데이터를 스캔코드로 변환 생성하여 통신모듈(25)로 전송하게 된다. 만일, 자판모듈(21)로부터 스캔코드에 매칭되지 않는 데이터나 에러 값을 전송받은 경우에는 코드모듈(23)은 스캔코드를 생성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위치표시부(22)는 사용자의 스틱(122) 및 버튼(12) 조작에 대응하는 자판모듈(136)의 특정 키가 한글, 영문, 대소문자, 숫자, 기호, 기능키, 키패드키 및 방향키 중 어느 것인지 자판모듈(21)의 해당 키 부분을 점등 및 점멸하는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틱(11)이 움직이는 방향과 자신이 입력한 키를 스틱(11) 조작과 함께 곧바로 확인할 수 있다.
코드모듈(23)은 에뮬레이터로(16)부터 키 위치 좌표값 및 스캔코드 변환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자판모듈(21)의 스캔코드로 변환하여 통신모듈(25)을 통해 외부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즉, 코드모듈(23)은 에뮬레이터(16) 신호에 상응하는 자판모듈(21)의 스캔코드를 생성한다. 스캔코드는 에뮬레이터(16) 데이터에 매칭되어 대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스캔코드는 위치 좌표 데이터에 매칭되도록 설정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위치 좌표 데이터에 상응하는 키(key) 데이터에 매칭되도록 설정된다. 만일 스캔코드에 매칭되지 않는 신호 또는 데이터나 에러 값을 전송받은 경우에는 스캔코드를 생성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생성된 스캔코드는 통신모듈(25)을 통해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코드모듈(23)에서 생성되는 스캔코드는 외부의 컴퓨터 시스템의 입력코드에 맞는 코드이다. 즉, 외부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적절한 입력값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코드모듈(23)이 적절하게 변환시킨 스캔코드를 생성하게 된다. 스캔코드는 아스키(ASCII)코드 또는 유니코드를 이용할 수 있으나, 특정코드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통신모듈(25)는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스틱(11) 및 버튼(12) 조작에 따른 키 데이터 입력 정보를 컴퓨터 시스템에 전송한다. 제2인터페이스(20)와, 컴퓨터 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통신모듈(25)은 USB(universal serial bus)를 이용한 유선 직렬 통신 방식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나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제2인터페이스(20)는 마우스 역할을 하는 터치패드(Touch Pad)와 같은 포인팅 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밖에 사용할 수 없는 지체 장애인 등도 컴퓨터 사용 시 발가락으로 스틱(11)을 조작함으로써 문자 등의 데이터를 편리하게 입력하거나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다.
즉, 스틱(11)의 조작 방향에 대응하여 자판모듈(21)의 특정 키가 위치표시부(22)에 의해 점등되고, 버튼(12)의 누름 동작에 따라 그 선택에 대응하는 특정 키의 데이터 입력 신호가 변환되어 코드모듈(23)을 통해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됨으로써 발로서도 문자 등의 데이터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제1인터페이스 11: 스틱
12: 버튼 13: 방향조정부
14: 키선택부 15: 제어부
16: 에뮬레이터 17: 저장부
18: 전원부 19: 무선송신부
20: 제2인터페이스 21: 자판모듈
22: 위치표시부 23: 코드모듈
24: 무선수신부 25: 통신모듈
26: 전원부
12: 버튼 13: 방향조정부
14: 키선택부 15: 제어부
16: 에뮬레이터 17: 저장부
18: 전원부 19: 무선송신부
20: 제2인터페이스 21: 자판모듈
22: 위치표시부 23: 코드모듈
24: 무선수신부 25: 통신모듈
26: 전원부
Claims (7)
- 포인터 이동을 위한 방향의 자유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스틱;
사용자가 선택하는 키 데이터 입력을 위한 버튼;
상기 스틱의 조작 방향에 대응하는 이동방향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조정부;
상기 버튼의 키 데이터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버튼 신호를 출력하는 키선택부:
상기 방향조정부의 이동방향 신호 및 상기 키선택부의 선택버튼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방향조정부의 이동방향 신호 및 상기 키선택부의 선택버튼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된 키 위치 좌표 정보 및 키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키가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열된 자판의 키 위치 좌표값 및 스캔코드 변환 요청 정보로 전송하여 상기 자판이 상기 이동방향 신호 및 선택버튼 신호에 대응하여 연동하도록 변환하는 에뮬레이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제어신호를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무선송신부;
를 포함하는 제1인터페이스와;
상기 무선송신부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수신부;
상기 스틱의 포인터 이동에 따라 상기 자판의 상기 포인터에 대응하는 키가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위치표시부;
상기 자판을 표시하고 상기 에뮬레이터로부터 상기 키 위치 좌표값 및 스캔코드 변환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자판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를 출력하는 자판모듈;
상기 자판모듈의 키 데이터를 수신하여 스캔코드로 변환하는 코드모듈; 및
상기 스캔코드를 외부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
을 포함하는 제2인터페이스;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송신부 및 상기 무선수신부는 블루투스 방식, 무선랜 방식, 적외선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96059A KR101488099B1 (ko) | 2013-08-13 | 2013-08-13 |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96059A KR101488099B1 (ko) | 2013-08-13 | 2013-08-13 |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88099B1 true KR101488099B1 (ko) | 2015-01-29 |
Family
ID=52593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96059A KR101488099B1 (ko) | 2013-08-13 | 2013-08-13 |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809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9166B1 (ko) | 2018-06-21 | 2019-07-02 | 강인학 | 스마트aac시스템 입력 보조 장치 |
CN112099648A (zh) * | 2020-10-09 | 2020-12-18 | 鄂尔多斯应用技术学院 | 一种双脚控制键盘及其输入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3697A (ko) * | 2001-12-06 | 2002-03-29 | 김동환 | 발을 사용한 컴퓨터게임조작 및 마우스 기능을 가지는 장치 |
KR20020096487A (ko) * | 2001-06-20 | 2002-12-31 | 학교법인 인하학원 | 키보드 없이 마우스나 그와 유사한 장치를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
KR20040105503A (ko) * | 2003-06-09 | 2004-12-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키보드를 이용한 정보전달장치 및 방법 |
KR20110003288A (ko) * | 2010-11-30 | 2011-01-11 | 전원홍 | 듀얼 조이스틱을 이용한 키보드 |
-
2013
- 2013-08-13 KR KR20130096059A patent/KR10148809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96487A (ko) * | 2001-06-20 | 2002-12-31 | 학교법인 인하학원 | 키보드 없이 마우스나 그와 유사한 장치를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
KR20020023697A (ko) * | 2001-12-06 | 2002-03-29 | 김동환 | 발을 사용한 컴퓨터게임조작 및 마우스 기능을 가지는 장치 |
KR20040105503A (ko) * | 2003-06-09 | 2004-12-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키보드를 이용한 정보전달장치 및 방법 |
KR20110003288A (ko) * | 2010-11-30 | 2011-01-11 | 전원홍 | 듀얼 조이스틱을 이용한 키보드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9166B1 (ko) | 2018-06-21 | 2019-07-02 | 강인학 | 스마트aac시스템 입력 보조 장치 |
CN112099648A (zh) * | 2020-10-09 | 2020-12-18 | 鄂尔多斯应用技术学院 | 一种双脚控制键盘及其输入方法 |
CN112099648B (zh) * | 2020-10-09 | 2023-09-12 | 鄂尔多斯应用技术学院 | 一种双脚控制键盘及其输入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04749B1 (ko) | 정보입력 기능을 가지는 마우스패드 | |
US8884790B2 (en) | Matrix keyboarding system | |
KR101431581B1 (ko) | 모바일 단말기를 기반으로 한 가상 게임 컨트롤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컨트롤 시스템 | |
TW201044226A (en) | Integrated wired/wireless virtual uni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 |
US9342241B2 (en) | Matrix keyboarding system | |
JP2015526828A (ja) | 人間工学的なデータ入力デバイス | |
KR101838690B1 (ko) | 점자 정보 단말기 | |
US960663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 to electronic devices | |
KR101488099B1 (ko) | 장애인용 컴퓨터 입력장치 | |
US20150346840A1 (en) | Teeth-mounted, tongue-operated keyboard | |
KR101491039B1 (ko) | 스마트폰용 점자 입력 장치 | |
US20170113132A1 (en) | Enhanced function interaction device | |
KR20170091959A (ko) |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스마트 기기와 연동되는 스마트 글러브 | |
WO2016121034A1 (ja) | ウェアラブル装置、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WO2015129984A1 (ko) | 게임 조정장치 | |
KR101227052B1 (ko) | 손가락 자판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20170130989A (ko) | 아이 볼 마우스 | |
KR20120064739A (ko) | 지능형 휴대형 키보드 입력 장치 | |
CN210155631U (zh) | 一种便捷式智能手机输入装置 | |
JP2006050512A (ja) | データ入力方式 | |
CN201440239U (zh) | 手指键戒 | |
WO2008075486A1 (ja) | 通信端末装置 | |
US20160116981A1 (en) | Enhanced function interaction device | |
KR101988604B1 (ko) | 여섯 키를 이용한 입력장치 | |
KR101513969B1 (ko) |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