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706B1 - 샤프트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샤프트 이송 및 검사 장치 및 샤프트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 - Google Patents

샤프트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샤프트 이송 및 검사 장치 및 샤프트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706B1
KR102063706B1 KR1020180005529A KR20180005529A KR102063706B1 KR 102063706 B1 KR102063706 B1 KR 102063706B1 KR 1020180005529 A KR1020180005529 A KR 1020180005529A KR 20180005529 A KR20180005529 A KR 20180005529A KR 102063706 B1 KR102063706 B1 KR 102063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shaft
unit
inspection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7125A (ko
Inventor
박진수
임현호
이규선
Original Assignee
서한산업(주)
한국프랜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한산업(주), 한국프랜지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한산업(주)
Priority to KR1020180005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706B1/ko
Publication of KR20190087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them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pla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 G01B11/1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internal di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01B11/27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17Elong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프트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샤프트 이송 및 검사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샤프트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샤프트를 검사한 결과에 대응하여, 신속하게 샤프트의 배치 위치를 변환시켜서 샤프트 검사 및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샤프트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샤프트를 일정 시간 동안 정지시킨 후 이송된 샤프트를 들어올려서 상승 이송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지그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그부는 샤프트가 안착되는 제1안착홈을 구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1지그부와; 상기 제1지그부와 인접하게 마련되고 샤프트가 안착되는 제2안착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1지그부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또는 상기 제1지그부보다 더 상승한 이후에, 회전 운동을 하여 제2안착홈에 안착된 샤프트의 배치방향을 바꿀 수 있는 제2지그부와, 상기 지그부에 의하여 상승 이송된 샤프트의 단부의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부와; 상기 검사부 및 상기 이송부, 상기 지그부와 연결되고 이들을 제어하되, 상기 검사부에 의하여 상승 이송된 샤프트의 양단부가 정상적으로 배열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검사완료된 리프트가 이송부에 의하여 외부로 반출되도록 제어하고, 정상적으로 배열된 것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2지그부를 제1지그부보다 상승 이동 시킨 후 회전시켜서 샤프트의 위치를 바꾸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샤프트 이송 및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샤프트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샤프트 이송 및 검사 장치 및 샤프트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An apparatus for conveying and testing a shaft for a vechicle comprising a jig part for converting arrangement of the shaft and the jig part for converting arrangement of the shaft}
본 발명은 샤프트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샤프트 이송 및 검사 장치 및 이에 사용되되는 샤프트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샤프트를 검사한 결과에 대응하여, 신속하게 샤프트의 배치 위치를 변환시켜서 샤프트 검사 및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샤프트를 제작하는 경우에 열처리 공정을 거치며, 열처리 공정을 거치기 전에 샤프트의 양단부의 위치가 일정하게 지정된 상태에서 샤프트가 열처리를 위한 챔버로 이송되어야 한다.
샤프트의 양단의 직경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조인트에 끼워지기 때문에, 이를 구분하기 위해서 특정 단부를 구분하기 위해서, 샤프트의 특정 단부의 표면이나 외주면에 홈을 형성하고, 이러한 홈의 직경이나 홈의 위치나 폭을 감지하여 샤프트의 위치가 제대로 배열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검사부에 의하여 합격 판정을 받은 경우에는 이송부에 의하여 원활하게 이송되나, 검사부에 의하여 불합격 판정을 받은 경우에는 검사 장치 주위에 있는 경광등 및 경고음이 발생하면서 이송 라인 전체가 정지한다.
이 경우, 작업자가 일일히 불합격 판정이 나온 샤프트의 위치를 180도 전환하여 다시 검사를 받는 위치에 놓는 단계가 필요하다. 이는 작업 시간을 증가시키면서 작업자의 노동력이 추가되어야 하므로 전체적인 생산성 및 생산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샤프트의 검사 및 위치 변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샤프트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샤프트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샤프트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샤프트를 일정 시간 동안 정지시킨 후 이송된 샤프트를 들어올려서 상승 이송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지그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그부는 샤프트가 안착되는 제1안착홈을 구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1지그부와; 상기 제1지그부와 인접하게 마련되고 샤프트가 안착되는 제2안착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1지그부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또는 상기 제1지그부보다 더 상승한 이후에, 회전 운동을 하여 제2안착홈에 안착된 샤프트의 배치방향을 바꿀 수 있는 제2지그부와, 상기 지그부에 의하여 상승 이송된 샤프트의 단부의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부와; 상기 검사부 및 상기 이송부, 상기 지그부와 연결되고 이들을 제어하되, 상기 검사부에 의하여 상승 이송된 샤프트의 양단부가 정상적으로 배열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검사완료된 리프트가 이송부에 의하여 외부로 반출되도록 제어하고, 정상적으로 배열된 것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2지그부를 제1지그부보다 상승 이동 시킨 후 회전시켜서 샤프트의 위치를 바꾸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샤프트 이송 및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이송부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되는 샤프트를 일시적으로 거치시키는 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마주보도록 마련되는 이송몸체부와, 상기 이송몸체부의 상부에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어 복수의 샤프트가 각각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는 이송홈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마주보도록 마련되는 거치몸체부와, 상기 거치몸체부의 상부에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어 복수의 샤프트가 각각 이격되게 거치될 수 있는 거치홈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가 상기 거치부에 대해서 상대적인 승강 운동 및 전후방향 운동을 함으로써 이송부에 의하여 샤프트가 순차적으로 상기 거치부에 일시적으로 안착되었다가 이송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그부는 상기 이송부 및 상기 거치부 사이의 공간으로 승강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제1지그부는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의 양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상단부에 제1안착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호 이격되는 제1지지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지그부는 제2수평부와, 상기 제2수평부의 양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상단부에 제2안착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호 이격되는 제1지지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수평부의 하단에는 제1지그부를 동작시키는 제1액츄에이터가 마련되고, 상기 제2수평부의 하단에는 제1수평부를 관통하며 제2지그부를 상하 동작시키며 제2지그부를 회전시키는 제2액츄에이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검사부의 검사결과, 제1지그에 얹혀진 샤프트의 좌우 양단이 잘못 배열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제2지그를 더 들어올린 후, 제2지그를 180도 회전시킨 후 다시 하강시켜서 샤프트가 제1지그에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지그부는 제1지그부 내부에 포개어 지도록 배치되되, 제2수평부는 제1수평부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지지벽은 제1지지벽보다 안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샤프트가 안착되는 제1안착홈을 구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1지그부와; 상기 제1지그부와 인접하게 마련되고 샤프트가 안착되는 제2안착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1지그부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또는 상기 제1지그부보다 더 상승한 이후에, 회전 운동을 하여 제2안착홈에 안착된 샤프트의 배치방향을 바꿀 수 있는 제2지그부를 포함하며, 제1지그부에는 제1지그부를 이동시키는 제1액츄에이터가 마련되고, 제2지그부에는 제2지그부를 상하이동 시키거나 회전운동을 시키는 제2액츄에이터가 마련되되 제2지그부를 제1지그부보다 높게 올린 상태에서 회전시켜 배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샤프트 이송 및 검사 장치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를 제공한다.
상기 제1지그부는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의 양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상단부에 제1안착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호 이격되는 제1지지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지그부는 제2수평부와, 상기 제2수평부의 양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상단부에 제2안착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호 이격되는 제1지지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수평부의 하단에는 제1지그부를 동작시키는 제1액츄에이터가 마련되고, 상기 제2수평부의 하단에는 제1수평부를 관통하며 제2지그부를 상하 동작시키며 제2지그부를 회전시키는 제2액츄에이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지그부는 제1지그부 내부에 포개어 지도록 배치되되, 제2수평부는 제1수평부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지지벽은 제1지지벽보다 안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샤프트에 대한 검사 결과, 샤프트의 배치방향이 잘못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작업자의 배치 전환을 위한 추가 작업 필요없이 자동으로 샤프트의 배치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작업자의 부가적인 작업 시간 및 샤프트 제조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샤프트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하여 샤프트가 이송되기 전의 거치상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하여 샤프트가 들어올려지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하여 샤프트가 완전하게 들어올려진 상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하여 샤프트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상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하여 샤프트가 이동 후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지그부에 의하여 샤프트가 검사를 위한 위치로 들어올려진 것이다.
도8 내지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검사부에 의하여 샤프트가 검사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에서 검사가 완료되고 지그부가 하강하여 다시 샤프트가 거치부에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지그부의 사시도 및 전면되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지그부에서 제2지그부가 상승하고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어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샤프트(이하 ' 샤프트' 라고 한다)(1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연장된 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중앙부(11)와 양 단부로 구성된다. 샤프트(10)의 양단에는 각각 서로 다른 등속 조인트(예, 고절각용 볼조인트 및 플런징용 트라이포드 조인트)(미도시)가 연결되고, 이러한 조인트와 샤프트(10)의 결합체를 하프샤프트라고 일컫는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조인트가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샤프트의 양단의 형상이나 크기가 약간 차이가 있고, 이의 구분 및 별도 체결부재(예, 클립 링 ) 설치를 위해서 단부에는 중앙홈(10a)과 외경홈(10b)을 형성한다.
이러한 중앙홈(10a)과 외경홈(10b)이 형성된 특정단부(이하에서는 '제1단부'라고 한다)(12)가 일정한 방향으로 공급되면서, 표면 열처리 및 하프샤프트 조립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샤프트(10)의 배열상태를 검사하고, 중앙홈(10a)과 외경홈(10b)을 측정 및 검사하는 검사부 및 검사부 방향으로 샤프트를 이송시키는 이송부가 필요하다.
도2 내지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샤프트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샤프트 이송 및 검사 장치(1)에서 이송부(100) 및 검사부(400)의 구조 및 동작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검사부(400)는 이송부(10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송부(100)는 샤프트(10)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송부(100)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마주보도록 마련되는 이송 몸체부(110)와, 이송 몸체부(110)의 상부에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어 복수의 샤프트(10)를 지지하는 이송홈(120)을 포함한다.
이송부(100)는 액츄에이터(미도시)에 의하여 위아래 및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마련된다.
그리고, 이송부(100)의 인접하게 거치부(200)가 마련된다. 거치부(200)는 이송 몸체부(110)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거치 몸체부(210)와, 거치 몸체부(210)의 상부에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는 거치홈(220)을 포함한다.
이송부(100)가 상하, 전후로 이동할 수 있음에 반하여, 거치부(200)는 고정되어 있으며, 이송부(100)는 거치부(200)에 대해서 상대적인 이동을 할 수 있다.
즉, 이송부(100)에 의한 샤프트(10) 이송 후, 거치부(200)에 일시적으로 샤프트(10) 거치, 샤프트(10) 거치 후 다시 이송부(100)에 의한 샤프트(10) 이송이 수행된다.
한편, 이송부(100) 및 거치부(200)의 위쪽에는 샤프트(10)의 중앙홈(10a)과 외경홈(10b), 외경을 측정하고 검사하는 검사부(400)가 마련된다. 검사부(400)는 외경홈 검사부(420)와, 중앙홈 검사부(410)로, 외경 검사부(430)로 구성되며, 외경홈 검사부(420)와 중앙홈 검사부(410), 외경 검사부(430)는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샤프트 이송 과정에서는 샤프트(10)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가, 샤프트(10)가 검사를 위한 위치로 이동되면, 움직여서 샤프트(10)의 외경홈(10b)과, 중앙홈(10a), 외경을 측정한다.
중앙홈 검사부(410)는 제1검사 프로브(411)와, 제1검사 프로브(411)를 동작시키는 제1 검사부 액츄에이터(412)로 구성되어, 샤프트(10)의 폭 방향(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검사 프로브(411)는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조사하여 중앙홈(10a)의 존재 여부 및 중앙홈(10a)의 내경을 측정한다.
외경홈 검사부(420)는 제2검사 프로브(421)와, 제2검사 프로브(421)를 동작시키는 제2검사부 액츄에이터(422)로 구성되어, 샤프트(10)의 외경 방향(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검사 프로브(421)도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조사하여 외경홈(10b)의 존재 여부 및 외경홈(10b)의 외경을 측정한다.
외경 검사부(430)는 ㄷ자 형의 홈을 가진 검사 프레임(431)과, 검사 프레임(431)을 움직이는 액츄에이터(432)로 구성되며, 샤프트(10) 단부의 외경을 측정한다.
한편, 이송부(100) 및 거치부(200) 사이의 공간에는 샤프트(10)를 들어올려서 검사부에서 샤프트(10)가 검사되도록 하는 지그부(300)가 마련된다(지그부(30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11참조).
지그부(300)는 샤프트(10)가 안착되는 제1안착홈(313)을 구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1지그부(310)와, 제1지그부(310) 내부에 수용되거나 제1지그부(31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지그부(320)를 포함한다.
제2지그부(320)는 제1지그부(310)와 같이 상하로 움직이거나 제1지그부(310)보다 위쪽으로 더 상승하고, 회전운동을 하여 샤프트(10)의 배열 방향을 180도로 바꾸는, 즉 정반대로 바꾸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1지그부(310)는 제1 액츄에이터(314)와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고, 제2지그부(320)는 제2 액츄에이터(324)와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거나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제1지그부(310)는 제1수평부(311)와, 상기 제1수평부(311)의 양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상단부에 제1안착홈(313)이 각각 형성되며 상호 이격되는 제1지지벽(312)을 포함하고, 제2지그부(320)는 제2수평부(321)와, 상기 제2수평부(321)의 양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상단부에 제2안착홈(323)이 각각 형성되며 상호 이격되는 제2지지벽(322)을 포함한다.
제1수평부(311)의 하단에는 제1지그부(310)를 상하 동작시키는 제1액츄에이터(314)가 마련되고, 상기 제2수평부(320)의 하단에는 제1수평부(311)를 관통하며 제2지그부(320)를 상하 동작시키거나 회동시키는 제2액츄에이터(324)가 마련된다.
한편, 제2지그부(320)는 제1지그부(310) 내부에 포개어 지도록 배치되되, 제2수평부(321)는 제1수평부(311)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지지벽(322)은 제1지지벽(311)보다 안쪽에 배치된다.
여기서 이송부(100)와, 검사부(400)와, 지그부(300)는 도13의 블록도에서 도시된 제어부(600)와 연결되어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하여 동작하고, 특히 제어부(600)는 검사부(400)의 검사 결과를 받아서 지그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10)가 거치부(200)의 거치홈(220)에 이격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이송부(100)는 거치부(200)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있고, 샤프트(10)와도 이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지그부(300)도 샤프트(10)보다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 각각의 거치홈(220)과 각각의 이송홈(120)은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일치되게 배열된다. 예를 들어서 제1거치홈의 아래에 제1이송홈이 배치되고, 제2거치홈의 아래에 제2이송홈이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샤프트를 움직이기 위해서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부(100)의 이송몸체부(110)가 상승을 하면, 이송 몸체부(110)와 거치 몸체부(210)가 동일한 높이를 갖게 되어 나란히 배열되고, 이 경우, 샤프트(10)는 이송홈(120)과 거치홈(220)에 의하여 동시에 지지된다.
도2에서 이송부(100)가 거치부(200)의 하부에 위치하기는 하지만, 상하로 완전하게 일치되는 것은 아니고, 이송부(100)의 위치가 거치부보다 좌우 방향으로 약간 불일치되어, 이송부(100)가 상승운동을 하여도 거치부와 간섭되지는 않는다.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부(100)가 도3의 상태보다 더 상승을 하면, 이송부(100)가 거치부(200)보다 위에 배열되고, 이송부(100)의 상승동작에 의하여 샤프트(10)가 위로 올라간다.
그 상태에서,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부(100)가 전진을 하면, 샤프트(10)는 이송부(100)에 들려서 올려진 상태에서 이송부(100)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전진된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 이송부(100)가 하강을 하고, 이송부(100)가 거치부(200)보다 더 아래로 내려가면, 샤프트(10)는 거치부(200)의 거치홈(220)에 거치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내려간 이송부(100)는 후진 과정을 거쳐서 원래 처음에 있던 자리로 돌아간다.
따라서, 도2 및 도6의 과정에서 샤프트(10)가 이송부(100)에 의하여 1칸씩 이동한 셈이된다. 즉, 도2에서 제1거치홈에 있던 샤프트(10)가 이송부(100)의 상승 운동에 의하여 도3과 같이, 제1거치홈, 제1이송홈에 의하여 지지되고, 도4와 같이, 이송부(100)의 추가 상승에 의하여 오로지 제1이송홈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이송부(100)가 전진을 하면, 도5와 같이, 제1이송홈은 제1거치홈보다 앞서 있는 제2거치홈의 상부 영역에 위치하고, 이 상태에서 도6과 같이, 이송부(100)가 내려와서 이송부(100)가 거치부(200)보다 아래에 위치하면, 하강한 샤프트(10)는 제2거치홈에 거치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이송부(100)는 후진을 하여 원위치로 돌아간 후,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샤프트(10)를 이송시킬 수 있다.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10)가 거치홈(220)에 지지된 상태에서, 검사부(400)가 위치하는 영역의 하부에 있는 지그부(300)가 상승하여, 검사부(400) 아래에 있는 샤프트(100)를 들어올린다.
이 경우, 제1지그부(310)와 제2지그부(320)가 동시에 상승하여, 샤프트(10)의 높이를 검사부(400)를 구성하는 중앙홈 검사부(410), 외경홈 검사부(420), 외경 검사부(430)의 동작 높이와 동일하게 맞춘다.
이 상태에서, 중앙홈 검사부(410)가 샤프트(10)의 양쪽에서 안쪽으로 들어오고, 외경홈 검사부(420)가 샤프트 단부 외주 방향으로 이동한다. 중앙홈 검사부(410)의 제1검사 프로브(411)에 의하여 중앙홈(10a)의 내경 및 그 존재가 검사 및 측정되고, 외경홈 검사부(420)의 제2검사 프로브(421)에 의하여 외경홈(422)의 존재 및 외경, 깊이가 측정된다.
그리고, 도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경 검사부(430)가 하강 이동하여, 샤프트(10)의 외경을 측정할 수 있다. 도7 및 도8에서 설명한 중앙홈 검사부(410)에 의한 검사 결과와, 외경홈 검사부(420)에 의한 검사 결과와, 외경 검사부(430)에 의한 검사 결과는 모두 제어부(600)로 전달된다.
검사 결과,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 샤프트(10)를 지지하고 있는 지그부(300)가 하강 이동하여, 샤프트(10)가 거치부(200)의 거치홈(220)에 거치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도2 내지 도6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이송부(100)가 상승-전진- 하강-후진 운동을 하여 샤프트(10)를 이송시키고, 검사가 완료된 샤프트(10)에 후속하는 샤프트(10)가 지그부(300)의 상승 운동에 의하여 상승하고, 그 후에 검사부(300)에 의하여 중앙홈(10a), 외경홈(10b), 외경이 측정 및 검사된다.
다만, 샤프트(10)의 최초 공급 과정에서 샤프트(10)의 좌우가 바뀌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그러한 검사 결과가 검사부(400)로부터 제어부(600)로 송신되고, 제어부(600)는 도11과 같이, 샤프트(10)가 제1지그부(310)와 제2지그부(320)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태에서, 제2지그부(320)를 구동시키는 제2액츄에이터(324)에 추가적인 명령을 내린다.
따라서, 도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액츄에이터(324)가 상승을 하여, 제2지그부(320)가 상승한다. 그에 따라서 샤프트(10)는 제1지그부(310)보다 높이 올라간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600)의 추가 명령에 의하여 제2액츄에이터(324)가 180도 회전운동을 하면, 제2지그부(320)도 회전을 하고, 이에 의하여 샤프트(10)의 양단이 바뀐다.
그리고, 다시 제2액츄에이터(324)가 하강을 함으로써 제2지그부(320)와 샤프트(10)가 하강하여 제1지그부(310)에 같이 지지되고, 검사를 위한 높이로 복귀한 뒤에, 검사부(400)에 의하여 중앙홈(10a)과 외경홈(10b)과, 외경이 측정 및 검사될 수 있다.
그리고, 양품이라는 판정이 나오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검사 위치에서 하강하여 이송부(100)에 의하여 전진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샤프트 100: 이송부
110: 이송 몸체부 120: 이송홈
200: 거치부 210: 거치 몸체부
220: 거치홈 300: 지그부
310: 제1지그부 320: 제2지그부
400: 검사부

Claims (10)

  1. 샤프트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샤프트를 일정 시간 동안 정지시킨 후 이송된 샤프트를 들어올려서 상승 이송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지그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그부는 샤프트가 안착되는 제1안착홈을 구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1지그부와;
    상기 제1지그부와 인접하게 마련되고 샤프트가 안착되는 제2안착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1지그부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또는 상기 제1지그부보다 더 상승한 이후에, 회전 운동을 하여 제2안착홈에 안착된 샤프트의 배치방향을 바꿀 수 있는 제2지그부와,
    상기 지그부에 의하여 상승 이송된 샤프트의 단부의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부와;
    상기 검사부 및 상기 이송부, 상기 지그부와 연결되고 이들을 제어하되, 상기 검사부에 의하여 상승 이송된 샤프트의 양단부가 정상적으로 배열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검사완료된 리프트가 이송부에 의하여 외부로 반출되도록 제어하고, 정상적으로 배열된 것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2지그부를 제1지그부보다 상승 이동 시킨 후 회전시켜서 샤프트의 위치를 바꾸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샤프트 이송 및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되는 샤프트를 일시적으로 거치시키는 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마주보도록 마련되는 이송몸체부와, 상기 이송몸체부의 상부에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어 복수의 샤프트가 각각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는 이송홈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마주보도록 마련되는 거치몸체부와, 상기 거치몸체부의 상부에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어 복수의 샤프트가 각각 이격되게 거치될 수 있는 거치홈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가 상기 거치부에 대해서 상대적인 승강 운동 및 전후방향 운동을 함으로써 이송부에 의하여 샤프트가 순차적으로 상기 거치부에 일시적으로 안착되었다가 이송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샤프트 이송 및 검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는 상기 이송부 및 상기 거치부 사이의 공간으로 승강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제1지그부는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의 양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상단부에 제1안착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호 이격되는 제1지지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지그부는 제2수평부와, 상기 제2수평부의 양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상단부에 제2안착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호 이격되는 제2지지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샤프트 이송 및 검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부의 하단에는 제1지그부를 동작시키는 제1액츄에이터가 마련되고, 상기 제2수평부의 하단에는 제1수평부를 관통하며 제2지그부를 상하 동작시키며 제2지그부를 회전시키는 제2액츄에이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샤프트 이송 및 검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검사부의 검사결과, 제1지그에 얹혀진 샤프트의 좌우 양단이 잘못 배열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제2지그를 더 들어올린 후, 제2지그를 180도 회전시킨 후 다시 하강시켜서 샤프트가 제1지그에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샤프트 이송 및 검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그부는 제1지그부 내부에 포개어 지도록 배치되되,
    제2수평부는 제1수평부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지지벽은 제1지지벽보다 안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샤프트 이송 및 검사 장치.
  7. 샤프트가 안착되는 제1안착홈을 구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1지그부와;
    상기 제1지그부와 인접하게 마련되고 샤프트가 안착되는 제2안착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1지그부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또는 상기 제1지그부보다 더 상승한 이후에, 회전 운동을 하여 제2안착홈에 안착된 샤프트의 배치방향을 바꿀 수 있는 제2지그부를 포함하며,
    제1지그부에는 제1지그부를 이동시키는 제1액츄에이터가 마련되고,
    제2지그부에는 제2지그부를 상하이동 시키거나 회전운동을 시키는 제2액츄에이터가 마련되되 제2지그부를 제1지그부보다 높게 올린 상태에서 회전시켜 배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샤프트 이송 및 검사 장치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그부는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의 양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상단부에 제1안착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호 이격되는 제1지지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지그부는 제2수평부와, 상기 제2수평부의 양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상단부에 제2안착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호 이격되는 제2지지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샤프트 이송 및 검사 장치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부의 하단에는 제1지그부를 동작시키는 제1액츄에이터가 마련되고, 상기 제2수평부의 하단에는 제1수평부를 관통하며 제2지그부를 상하 동작시키며 제2지그부를 회전시키는 제2액츄에이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샤프트 이송 및 검사 장치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그부는 제1지그부 내부에 포개어 지도록 배치되되,
    제2수평부는 제1수평부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지지벽은 제1지지벽보다 안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샤프트 이송 및 검사 장치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


KR1020180005529A 2018-01-16 2018-01-16 샤프트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샤프트 이송 및 검사 장치 및 샤프트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 KR102063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529A KR102063706B1 (ko) 2018-01-16 2018-01-16 샤프트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샤프트 이송 및 검사 장치 및 샤프트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529A KR102063706B1 (ko) 2018-01-16 2018-01-16 샤프트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샤프트 이송 및 검사 장치 및 샤프트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125A KR20190087125A (ko) 2019-07-24
KR102063706B1 true KR102063706B1 (ko) 2020-01-08

Family

ID=67481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529A KR102063706B1 (ko) 2018-01-16 2018-01-16 샤프트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샤프트 이송 및 검사 장치 및 샤프트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7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8415B (zh) * 2020-03-30 2021-10-01 济南沃德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气门同轴度自动检测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232A (ko) * 2014-10-31 2016-05-13 신성대학 산학협력단 캠 샤프트의 불량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125A (ko) 2019-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273B1 (ko) 풀리 자동검사장치
KR101572570B1 (ko) 베어링 케이지 검사장치
KR101573485B1 (ko) 단차 측정 자동화장치
KR101998696B1 (ko) 내경나사 탭핑 및 접촉식 피치 검사 자동화 시스템
KR100579368B1 (ko) 서보 트랜스퍼를 이용한 다 차종 용접장치
JP7206401B2 (ja) 検査装置用移送機構、検査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対象物の検査方法
KR102063706B1 (ko) 샤프트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샤프트 이송 및 검사 장치 및 샤프트의 위치 변환용 지그부
JP6655854B2 (ja) パレット搬送装置
US4787814A (en) Apparatus for the location for inspection and other purposes of a generally circular article
JP5755842B2 (ja) ワーク搬送システム
JP2006239764A (ja) 車両用ドアインパクトビーム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101337563B1 (ko) 감지유닛을 이용하여 매니퓰레이터의 위치를 조절하는 이송장치
WO2016104115A1 (ja) 工作機械
CN105712039A (zh) 一种托盘传送系统及传送方法
JP2006027753A (ja) 電動機検修ライン用ターンテーブル装置
JP7111633B2 (ja) 加工品の自動三次元測定検査システム
KR20220063450A (ko) 링크 브라켓의 고주파 열처리 자동화 장치
KR101607928B1 (ko) 전동 파워스티어링용 삽입축 결함 자동검사장치
JP5755844B2 (ja) ワーク搬送システム
KR101300757B1 (ko) 틸팅 기능이 구비된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송방법
KR20210006040A (ko) 볼 스터드의 고주파 열처리 자동화 장치
TWI392047B (zh) 用於移置以矩形結構配置的電子零件之方法和裝置
KR102456700B1 (ko) 용접비드 검사장치
JP7384109B2 (ja) 物品搬送装置
KR20220147991A (ko) 모터 제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