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312B1 - 복수의 분리수거통의 고정대 - Google Patents

복수의 분리수거통의 고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312B1
KR102063312B1 KR1020180020093A KR20180020093A KR102063312B1 KR 102063312 B1 KR102063312 B1 KR 102063312B1 KR 1020180020093 A KR1020180020093 A KR 1020180020093A KR 20180020093 A KR20180020093 A KR 20180020093A KR 102063312 B1 KR102063312 B1 KR 102063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eparation
rim
container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9971A (ko
Inventor
이민규
Original Assignee
창신리빙(주)
이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신리빙(주), 이민규 filed Critical 창신리빙(주)
Priority to KR1020180020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312B1/ko
Publication of KR20190099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53Combination of several receptacles
    • B65F1/0066Rigid receptacles fixed on racks or po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65D1/36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68Means for facilitating the transport of the receptacle, e.g. wheels,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Pedal-operated l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병원 등에서 버려지는 쓰레기 등을 분리수거할 경우에 사용되는 복수의 분리수거통이 특정된 장소에 복수개 설치되어 사용될 경우에 설치배열이 그 상태를 유지토록 되면서 외력에 의하여도 넘어짐 등이 발생되지 않토록 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분리수거통의 하단이 긴밀하게 수납되고 수납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게 수납칸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칸은 테두리에 의하여 복수로 구획되어지고, 상기 복수로 구획되어진 수납칸의 사이에는 각각의 분리수거통이 수납칸에 수납된 상태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분리벽이 구비토록 한 분리수거통 고정수단을 구비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수의 분리수거통의 고정대{The fixing means of the garbage separation bin}
본 발명은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병원 등에서 버려지는 쓰레기 등을 분리수거할 경우에 사용되는 복수의 분리수거통이 특정된 장소에 복수개 설치되어 사용될 경우 설치배열이 그 상태를 유지토록 되면서 외력에 의하여도 넘어짐 등이 발생되지 않토록 한 것이다.
현재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병원 등에서 사용되고 버려지는 것들을 제품의 원료별로 또는 용도별로 분리수거할 경우에 각각으로 분리되어진 수거통을 사용하게 되고 이러한 것들을 복수개 구비토록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거통을 복수개 구비토록 할 경우에 특정된 장소에 놓여지게 되는데 이러한 수거통은 대부분 뚜껑이 구비되어지고 이러한 뚜껑을 열고 버려지는 것들을 분리수거통에 투입할 경우에 분리수거통이 놓여진 위치에서 유동되어지면서 복수의 분리수거통의 배열된 상태가 변화되어지고 이러한 행위가 반복되면서 결국 분리수거통에 놓여진 특정된 장소는 상당히 지저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분리수거통에 담겨진 쓰레기 등을 수거할 경우에도 수거한 상태에서 분리수거통을 제위치에 놓지 않을 경우에도 복수의 분리수거통이 놓여진 특정된 장소는 또 다른 작업자가 다시 정리정돈을 해야 하는 등의 인력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복수의 분리수거통이 놓여지는 특정된 장소가 변경될 경우에는 이러한 복수의 분리수거통을 한꺼번에 이동할 수 없어서 대부분 작업자 한사람이 여러번 반복하면서 운반토록 하거나 또는 여러명이 동시에 한꺼번에 한개씩 들어서 이동토록 하게 됨으로 불필요한 인력낭비의 원인은 물론 반복적인 운반도중에 떨어트림 등에 의한 훼손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분리수거통이 항상 특정된 위치에서 배열된 상태로 유동되지 않게 위치되어질 수 있으면서도, 필요시 분리수거통의 위치변동을 하게 될 경우에도 작업자 한 사람이 한 번에 이동이 가능토록 할 수 있음은 물론, 분리수거통에 수거된 쓰레기를 수거하는 분들이 수거한 상태에서도 수거자가 분리수거통을 항상 분리수거통이 놓여져 있던 그 자리에 놓여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분리수거통의 하단이 수납되고 수납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게 수납칸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칸은 테두리에 의하여 복수로 구획되어지고, 상기 복수로 구획되어진 수납칸의 사이에는 각각의 분리수거통이 수납칸에 수납된 상태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분리벽이 구비토록 한 분리수거통 고정수단을 구비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분리수거통 고정수단의 수납칸의 바닥면에는 분리수거통이 받쳐질 수 있도록 받침수단을 구비토록 하여 분리수거통의 이동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분리수거통 고정수단의 테두리는 외력에 완충이 가능하게 외벽과 내벽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하고 그 이면으로는 이격공간을 구비토록 하고 상기 이격공간에는 보강을 위한 보강리브를 구비토록 한 것이다.
상기 보강리브가 구비될 경우에 테두리의 외벽에 싱크마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벽의 두께를 보강리브보다 두껍게 형성토록 하고 내벽은 받침수단이 연장토록 함으로서 보강리브의 지지력은 물론 분리수거통의 받침을 위한 지지력의 증강도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분리벽의 이면으로도 이격공간을 형성토록 하고, 상기 이격공간에는 격자상태의 보강리브를 구비토록 하여 사출성형 후 형태변형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보강리브가 구비되는 테두리 이면의 이격공간의 모서리에는 교차보강리브를 구비토록 하고 그 중앙에 축홀을 구비토록 하여 용이하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이나 또는 이동을 용이토록 하기 위한 바퀴를 탈착가능하게 장착토록 한 것이다.
또한 분리수거통에 발로 밟아 뚜껑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분리수거통의 전방으로 패달이 구비될 경우에 상기 패달을 발로 밟기 용이하도록 분리수거통 고정수단의 테두리의 전방으로는 개구부를 구비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분리수거통 고정수단의 복수의 수납칸에 수납된 분리수거통에 사용도중에 외력이 발생될 경우에도 유동되지 않게 되어 항상 특정위치에 복수의 분리수거통이 배열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또한 분리수거통의 하단이 일정한 깊이로 수납칸에 수납됨으로 외력이 발생될 경우에도 쉽게 넘어가면서 내용물이 외부로 쏟아지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고, 복수의 분리수거통을 배열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변경장소로의 이동도 용이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이동은 받침수단에 의하여 더욱더 용이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분리수거통에 패달이 장착된 상태에서도 사용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분리수거통의 사용이 정위치에서 배열된 상태로 사용가능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외관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외관사시도.
도3은 도2의 고정수단에 분리수거함이 위치되는 일 실시예.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외관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이면의 이격공간에 보강리브가 구비된 이면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축홀에 패킹이나 바퀴가 탈착되어지는 일실시예
도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외관사사도.
도8은 도7의 제4실시예의 고정수단에 분리수거함이 위치되는 일 실시예.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대(10)의 구성은, 분리수거통(100)의 하단이 수납되고 수납된 상태에서 분리수거통의 하단이 긴밀하게 밀착되어지면서 일정깊이로 내입되어져 유동되지 않게 일정폭을 갖는 테두리(12)의 내측으로 복수의 수납칸(11)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수납칸(11)은 분리벽(13)에 의하여 구획되어진다.
이때 테두리(12)의 폭보다 분리벽의 폭을 크게 함으로서 복수로 구획되어진 수납칸(11)에 수납된 분리수거통(100)이 수납된 상태에서 간섭이 없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수납칸(11)의 형상은 분리수거통(100)의 하단의 형태와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서 수납된 상태에서의 유동을 방지함은 물론 외력에 의하여 넘어짐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수납칸(11)에 수납된 분리수거통(100)의 받쳐짐을 우수하게 하면서 이물질의 자연배출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납칸(11)의 바닥면에는 분리수거통(100)이 받쳐질 수 있도록 중앙은 개구되어진 상태에서 수납칸의 내측테두리를 따라서 받침테(14)를 구비토록 하여 분리수거통(100)이 수납된 상태에서 고정대의 이동시에 분리수거통이 바닥면(200)과의 마찰에 의한 넘어짐 등의 문제점을 해소토록 한 것이고 사출성형시의 제조의 용이성과 저중량을 구현토록 ㅎ할 수 있는 것이다.
도4 및 도5는 상기 받침테의 또 다른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테두리(12)의 보강은 물론 후술하는 보강리브의 보강기능을 우수하게 하면서 받침테(14)의 받침력도 보완토록 한 것이다.
즉, 테두리(12)를 외벽(12a)과 내벽(12b)으로 구분토록 하고 상기 받침테(14)를 내벽(12b)과 연장토록 하고, 상기 내벽(12b)과 외벽(12a)을 보강리브(15)에 의하여 연결토록 함으로서 테두리(12)의 이격공간(16)의 보강과 받침테의 받침보강도 증진토록 한 것이다.
삭제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리브(15)가 구비될 경우에 테두리(12)의 외벽(12a)에 싱크마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벽(12a)의 두께를 보강리브(15)보다 두껍게 형성토록 하고 상기 보강리브는 내벽(12b)과 연결토록 하고 상기 내벽(12b)은 받침테(14)가 연장토록 함으로서 두께가 얇을 경우에도 보강리브(15)의 지지력은 물론 분리수거통(100)의 받침을 위한 지지력의 증강도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분리벽(13)의 이면으로도 이격공간(16)을 형성토록 하고, 상기 이격공간(16)에는 격자상태의 보강리브(15a)를 구비토록 하여 사출성형 후 형태변형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도6은 보강리브(15)가 구비되는 테두리(12) 이면의 이격공간(16)의 모서리에는 교차보강리브(15b)를 구비토록 하고 그 중앙에 축홀(17)을 구비토록 하여 용이하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110)이나 또는 이동을 용이토록 하기 위한 바퀴(120)를 탈착가능하게 장착토록 한 것이다.
도7 및 도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서 분리수거통에 발로 밟아 뚜껑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분리수거통(100)의 전방으로 패달이 구비된 것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분리수거통(100)이 수납칸(11)에 수납된 상태에서도 분리수거통의 전방에 구비된 패달을 발로 밟기 용이하도록 분리수거통 고정대(10)의 테두리(12)의 전방으로는 받침테(14)가 노출되게 개구부(18)를 구비토록 한 것이다.
또한 이때 받침테(14)는 전방과 후방은 좌우측방의 받침테의 폭보다 크게 형성토록 한 것이다.
또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12)는 일정한 두께의 직립벽으로 구비토록 하고, 상기 직립벽의 좌우측방으로는 직립벽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절개하여 절개부(19)를 구비함으로서 이동시 손잡이의 기능을 구비토록 한 것이다.
이때 좌우측방의 직립벽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절개하여 절개부(19)를 구비한 상태에서 받침테(14)의 선단으로 연장되어 절곡된 절곡테(14a)에 의하여 절개부(19)로 삽입된 손가락이 더 이상 진입되지 않게 함으로서 손잡이로의 사용시 사용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분리수거통이 수납칸에 복수로 수납된 상태에서 유동도 방지되면서 패달이 개구부로 노출되어짐으로 발로 밟아 뚜껑의 개폐가 용이토록 할 수 있는 것이고 이때 가능하면 개구부의 폭은 패달의 폭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10:고정수단 11:수납칸
12:테두리 12a:외벽
12b:내벽 13:분리벽
14:받침테 15:보강리브
15a:격차 보강리브 15b:격자고방리브
16:이격공간 17:축홀
18:개구부 19:절개부
100:분리수거통 110:패킹
120:바퀴
200:바닥면

Claims (8)

  1. 분리수거통의 하단이 긴밀하게 밀착되게 수납되고 수납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게 테두리의 내측에 복수로 구비되는 수납칸이 테두리의 폭보다 큰 분리벽에 의하여 복수로 구획되어지고,
    상기 수납칸의 바닥면은 중앙이 개구된 상태에서 내벽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받침테를 구비하고,
    상기 테두리는 내벽과 외벽이 이격공간에 의하여 구비되어지고, 상기 이격공간에는 보강리브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보강리브의 살두께는 외벽의 살두께보다 얇게 형성하여 싱크마크의 발생을 방지토록 하고,
    상기 분리벽을 형성하는 내벽의 사이에도 형성되는 이격공간에도 보강리브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테두리 이면에 보강리브가 구비되는 각각의 모서리에는 교차보강리브를 구비토록 하고, 그 중앙에 축홀을 구비토록 하여 고정대의 위치고정을 위한 패킹이나 이동을 위한 바퀴를 탈착가능하게 장착가능토록 한 복수의 분리수거통의 고정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분리수거통의 하단이 긴밀하게 밀착되게 수납되고 수납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게 직립테로 이루어진 테두리의 내측에 복수로 구비되는 수납칸이 테두리의 폭보다 큰 분리벽에 의하여 복수로 구획되어지고,
    상기 수납칸의 바닥면은 중앙이 개구된 상태에서 내벽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받침테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테의 선단을 하방으로 절곡되어 절곡테를 구성하고,
    상기 받침테는 전방과 후방이 좌우측방보다 넓은 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넓은 폭으로 이루어진 전방의 받침테 전방으로는 테두리를 개구토록 하여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테두리의 직립벽의 하단에는 상측으로 절개부를 구비하여 손잡이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절개부는 테두리 외벽의 좌우에만 구비하여 상기 받침테의 절곡테에 손가락이 막힘되어져 안전한 손잡이 사용이 가능토록 하는 복수의 분리수거통의 고정대.
KR1020180020093A 2018-02-20 2018-02-20 복수의 분리수거통의 고정대 KR102063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093A KR102063312B1 (ko) 2018-02-20 2018-02-20 복수의 분리수거통의 고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093A KR102063312B1 (ko) 2018-02-20 2018-02-20 복수의 분리수거통의 고정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971A KR20190099971A (ko) 2019-08-28
KR102063312B1 true KR102063312B1 (ko) 2020-01-07

Family

ID=67774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093A KR102063312B1 (ko) 2018-02-20 2018-02-20 복수의 분리수거통의 고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3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190Y1 (ko) * 2006-11-02 2007-11-08 조성진 화분받침대
JP4278225B2 (ja) 1999-04-26 2009-06-10 積水テクノ成型株式会社 ごみ容器
KR200449681Y1 (ko) 2008-08-01 2010-07-30 중재기업(주) 분리수거용 쓰레기함
KR200451910Y1 (ko) 2008-11-13 2011-01-18 김삼철 음식물 쓰레기통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990U (ko) * 2006-12-15 2008-06-20 제국건설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용 받침대
KR20170001034U (ko) * 2015-09-10 2017-03-20 사단법인 해밝음장애인복지회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8225B2 (ja) 1999-04-26 2009-06-10 積水テクノ成型株式会社 ごみ容器
KR200437190Y1 (ko) * 2006-11-02 2007-11-08 조성진 화분받침대
KR200449681Y1 (ko) 2008-08-01 2010-07-30 중재기업(주) 분리수거용 쓰레기함
KR200451910Y1 (ko) 2008-11-13 2011-01-18 김삼철 음식물 쓰레기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971A (ko)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3312B1 (ko) 복수의 분리수거통의 고정대
KR100748615B1 (ko) 쓰레기 운반용 카트
KR200405906Y1 (ko) 쓰레기 운반용 카트
JP2007290808A (ja) 選別回収容器
KR102179113B1 (ko) 비닐봉투 걸이형 분리수거함
JP3168197U (ja) 細断屑受け具及びシュレッダー
JP3059094B2 (ja) シュレッダーの屑受板
KR200437809Y1 (ko) 음식물쓰레기통
EP0511785B1 (en) Rubbish container
KR950006524Y1 (ko)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KR20110010382U (ko)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함
JP3114152U (ja) 分別収集ごみ箱
JP3171924U (ja) ごみ箱
KR200485943Y1 (ko)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대
US2893806A (en) Containers for cabinets
JP3026063B2 (ja) 分別ゴミ容器
CN210192466U (zh) 垃圾桶
KR102222209B1 (ko) 수거함을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
KR200295741Y1 (ko)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KR200362239Y1 (ko) 씽크대 수납형 분리수거함
KR200389915Y1 (ko) 휴지통
KR200386888Y1 (ko) 음식물 분리수거를 위한 함체
KR200476465Y1 (ko) 음식물 쓰레기 용기
JP2024060173A (ja) サニタリーボックス
JP3131154U (ja) ゴミ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