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990U -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용 받침대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용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990U
KR20080001990U KR2020060031873U KR20060031873U KR20080001990U KR 20080001990 U KR20080001990 U KR 20080001990U KR 2020060031873 U KR2020060031873 U KR 2020060031873U KR 20060031873 U KR20060031873 U KR 20060031873U KR 20080001990 U KR20080001990 U KR 200800019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collection container
joint collection
waste joint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8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효근
진승원
Original Assignee
제국건설주식회사
송산건설(주)
주식회사 연합진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국건설주식회사, 송산건설(주), 주식회사 연합진흥 filed Critical 제국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318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1990U/ko
Publication of KR200800019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99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4External fittings for spacing bases of containers from supporting surfaces, e.g.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를 수용하여 음식물 쓰레기 및 침출수가 지면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벽부의 일부분에는 내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용 받침대는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이 파손되어 누수되는 침출수 및 음식물쓰레기를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에 정확히 버리지 못하여 주변에 떨어지는 음식물쓰레기 일부에 의하여 지면 등이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세척수를 이용하여 지면 등을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이점이 있다.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기, 받침대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용 받침대{SUPPORTER FOR FOOD-GARBAGE BASKET}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용 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나태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용 받침대의 수용공간에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용 받침대는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받침대 30: 바닥부
50: 벽부 510: 경사면
70: 수용공간 90: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
본 고안은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를 수용하여 음식물 쓰레기 및 침출수가 지면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벽부의 일부분에는 내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심화 현상의 극심화, 생화수준 향상 등으로 인하여 가정, 음식점, 급식소 등에서 상당량의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음식물 쓰레기는 2003년 기준 연간 420만여톤, 일일 11,397톤으로서 8톤 트럭 1,400여대에 달하며, 생활패기물량 중에서 음식쓰레기가 대략 24%를 차지하고, 음식쓰레기는 가정에서 53%, 음식점, 급식소 등에서 47%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음식쓰레기를 2003년 기준 67.7% 재활용, 24.9% 매립,7.4% 소각하여 처리하였다. 그러나, 음식쓰레기를 직매립할 경우 악취발생, 파리 및 모기등의 서식증가, 토양과 지하수 등의 오염으로 인하여 2005년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직매립이 전면 금지되었다.
음식쓰레기의 직매립 금지와 더불어 음식쓰레기 분리 수거제가 시행되었으며, 이에 일환으로 공동주택 등에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을 구비하여 가정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에 버릴 수 있도록 하였 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 있어,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으로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에 수거된 음식물쓰레기를 수거시 많은 충격이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에 전달되어 시간경과에 따라 파손되어 크랙부분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크랙부분으로 음식물쓰레기의 침출수가 누수되거나 음식물쓰레기를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에 정확히 투입하지 않는 경우 일부가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의 주변에 떨어지는 경우 지면 등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면 등을 세척수 등을 이용하여 깨끗이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이 파손되어 누수되는 침출수 및 음식물쓰레기를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에 정확히 버리지 못하여 주변에 떨어지는 음식물쓰레기 일부에 의하여 지면 등이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용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벽부의 일부분에는 내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용 받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벽부에 의하여 상기 바닥부상에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용 받침대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용 받침대를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용 받침대(10)를 개략적으로 나태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용 받침대(10)의 수용공간(70)에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90)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용 받침대(1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바닥부(30)와, 상기 바닥부(30)의 테두리에 형성된 벽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서는 상기 바닥부(30)의 형상을 장방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90)의 형상에 따라 변형하여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벽부(50)는 상기 바닥부(30)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용 받침대(10)를 수용함과 동시에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90)의 파손에 의해 형성된 크랙부분으로 누수되는 침술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70)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정 높이로 벽체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일컫는 '일정 높이'란, 작업자가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90)를 수거하기 직전,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90)로부터 누수된 침출수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최소한의 높이를 말한다.
상기 벽부(50)를 도 1에서는 4개의 벽체로 형성하였으나,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90)의 형상에 따라 변형하여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벽부(50)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70)에는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90)가 수용됨과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90)에 정확히 투입하지 못하고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90)밖으로 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및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90)의 파손에 따라 형성된 크랙부분을 통하여 누수되는 침출수가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벽부(50) 중 일부분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내외측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는 경사면(51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경사면(510)이 구비되는 경우, 도 3과 같이 작업자가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90)에 구비된 바퀴를 이용하여 상기 경사면(510)을 따라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90)를 용이하게 상기 벽부(50)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70)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수용공간(70)에 위치한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90)를 상기 경사면(510)을 통하여 쉽게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용 받침대(10)는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용 받침대(10)는 일실시예와 달리 상기 벽부(50)에 의하여 2개의 수용공간(7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2개의 수용공간(70)에 각각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90)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이동시켜 수용시킬 수 있도록, 상기 2개의 수용공간(70)을 형성하는 벽부(50) 중 일부에 내외측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진 경사면(510)이 구비된다.
도 4에서는 상기 벽부(50)에 의하여 2개의 수용공간(70)을 형성하였으나, 3개 이상의 수용공간(70)을 형성하여 3개 이상의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90)를 수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용 받침대는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를 수용함과 동시에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로 투입되지 않고 밖으로 낙하하는 음식물 쓰레기 및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의 파손에 의한 크래부분을 통하여 누수되는 침출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구비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및 침출수가 지면 또는 콘크리트·아스팔트 바닥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용 받침대의 벽부 중 일부에 내외측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를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를 용이하게 상기 수용공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한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를 밖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벽부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을 복수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벽부의 일부분에는 내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용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에 의하여 상기 바닥부상에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용 받침대.
KR2020060031873U 2006-12-15 2006-12-15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용 받침대 KR2008000199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873U KR20080001990U (ko) 2006-12-15 2006-12-15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용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873U KR20080001990U (ko) 2006-12-15 2006-12-15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용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990U true KR20080001990U (ko) 2008-06-20

Family

ID=41325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873U KR20080001990U (ko) 2006-12-15 2006-12-15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용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199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971A (ko) * 2018-02-20 2019-08-28 창신리빙(주) 복수의 분리수거통의 고정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971A (ko) * 2018-02-20 2019-08-28 창신리빙(주) 복수의 분리수거통의 고정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01553A1 (en) Filter system for catch basins
EP0659159B2 (en) Device for collecting refuse
US5067530A (en) Waste oil collection and disposal system
KR20080001990U (ko)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용 받침대
JP6027337B2 (ja) 放射性廃棄物収容容器
CN207511176U (zh) 一种具有清洁功能的环堡型市政垃圾桶
US20220305411A1 (en) Filter cleaning stand
JP2002322702A (ja) 洗濯機用防水パンユニット
KR20220055967A (ko) 부분 개방 가능한 분리 덮개를 가지는 가축 살처분용 특수 컨테이너
US8156969B2 (en) Underground storage tank with sediment trap
US7735675B2 (en) Environmentally safe fluid washout container
KR200496942Y1 (ko) 음식물 쓰레기 봉투 보관함
KR19980057738U (ko) 수분 제거용 쓰레기통
KR101706134B1 (ko)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20120027998A (ko) [땅 속에 넣는 쓰레기통]
JP2008029954A (ja) 上載型廃棄物埋立処分場
EP3342287B1 (en) Rat catching system with integrated refuse bin, and method for catching rats
KR200150001Y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US5624205A (en) Landfill water treatment system
KR0126403Y1 (ko) 유기물 쓰레기 처리통
KR200485943Y1 (ko)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대
KR20110100966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물 건조용 통풍유도체
CN205470959U (zh) 除滤液环保垃圾桶
KR200347032Y1 (ko) 일회용종이컵 회수대
JP2006264884A (ja) 水切りペ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