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7738U - 수분 제거용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수분 제거용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7738U
KR19980057738U KR2019970002021U KR19970002021U KR19980057738U KR 19980057738 U KR19980057738 U KR 19980057738U KR 2019970002021 U KR2019970002021 U KR 2019970002021U KR 19970002021 U KR19970002021 U KR 19970002021U KR 19980057738 U KR19980057738 U KR 199800577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rainage
outer container
inner contain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20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광수
Original Assignee
노광수
주식회사 알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광수, 주식회사 알티씨 filed Critical 노광수
Priority to KR20199700020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7738U/ko
Publication of KR199800577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738U/ko

Links

Landscapes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수분 제거용 쓰레기통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쓰레기 외통 내부에 탈착이 가능한 배수구가 구비된 내통을 제공함으로써 음식물 내에 함유된 수분을 상기 배수구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 가능하고 내통에 남은 쓰레기를 역시 용이하게 제거 되도록 구성된 내통이 구비된 쓰레기통을 제공하고자 함.
3. 고안의 해결 방법의 요지
상부의 일측에 상부를 덮어 밀폐시키기 위한 뚜껑이 힌지 결합된 외부 용기; 상면이 개방된 용기로 상기 외부 용기 내부에 삽입되어 안착되며, 그 바닥면의 중심부에는 배수망 및 상기 배수망을 보호하기 위해 그 외측에 부착된 다수의 보강 부재로 구성된 배수 수단이 형성되며, 그 바닥면이 가장자리에서 상기 배수 수단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경사면으로 형성된 내부 용기; 및 상기 외부 및 내부 용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용기가 상기 외부 용기 내에서 소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내부 용기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분 제거용 쓰레기통을 제공 함.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가정 및 요식업소의 주방에 적용되어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 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일시적으로 보관함에 있어서 보다 위생적으로 유지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분 제거용 쓰레기통
본 고안은 수분 제거용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위생적이며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하부에 수분 제거를 위한 배수 수단이 형성된 내통이 구비된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또는 요식업소에서 배출되는 쓰레기의 상당량은 음식 찌거기이며, 다량의 수분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음식물 찌꺼기 쓰레기는 각 가정 및 요식업소에서 수분이 제거되지 않은 채로 배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배출 상태는 많은 환경 문제를 발생시키므로 환경을 책임지는 행정당국은 물론 사회단체들도 음식물 찌거기를 배출할 때는 그로부터 수분을 제거한 후에 배출하도록 유도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상기 수분에 미제거된 음식물 쓰레기가 그대로 매립지에 매립될 경우, 이는 매립장 침출수의 과다 발생의 원인이 되어 침출수에 의한 지하수가 오염이 될 우려가 있으며, 또한, 발생 침출수를 처리해야 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많은 수처리 비용이 요구되게 된다. 또한,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매립지로 운반되는 과정에서도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이 운송 수단 외부로 누출되므로써 주거지역 인근에 위치한 쓰레기 하치장 주변의 거리를 오염시키거나 악취를 발생시켜 주위의 환경을 비위생적으로 만들고 있다. 따라서, 쓰레기로 배출되는 음식물 찌꺼기는 그로부터 수분이 제거된 상태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환경을 생각하는 국민이라면 당연히 지켜야 할 일이며, 환경 감독 당국 및 환경 관련 사회단체에서는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되는 원인 제공처에서 미리 수분이 제거된 상태가 되어 쓰레기로 배출되도록 유도하고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줄이고 다시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되어 있는바, 이는 전술한 음식물 쓰레기의 매립 처리 방법과는 달리, 음식물 찌거기를 발효시켜 퇴비로 만들어 재활용하는 방법으로, 적절한 품질의 퇴비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상기 발효 방법의 전단계로 음식물 찌꺼기에 함유된 과다한 수분의 제거는 우선적으로 처리하여야 할 문제가 된다.
그러나, 가정 또는 요식업소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은 줄어들지 않고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그 배출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 역시 제거되지 않은 채로 매립지로 향하는 형편이다. 이는 국민 또는 행정당국이 음식물 쓰레기 내에 함유된 수분의 폐해를 널리 알고 있으면서도, 음식물로부터 수분을 제거한 후에 배출시키기에는 번거롭고 귀찮기 때문에 실천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보다 간편하게 음식물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쓰레기통의 개발이 더욱 절실하게 요구되는 이유가 된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쓰레기 외통 내부에 탈착이 가능한 배수구가 구비된 내통을 제공함으로써 음식물 내에 함유된 수분을 상기 배수구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 가능하고 내통에 남은 쓰레기를 역시 용이하게 제거 되도록 구성된 내통이 구비된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의 일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2A 및 도2B는 도1의 내통을 나타낸 정단면도 및 저면도이며;
도3은 도1의 외통 내부에 내통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4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제2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의 내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4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의 또 다른 실시예(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6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제4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 내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6B는 수납식 물받이 용기가 구비된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의 또 다른 실시예(제4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6C 도6B의 쓰레기통에 물받이 용기 용기가 수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7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면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외통2, 21, 61: 내통
2a: 손잡이줄2b: 연장부
3: 뚜껑4: 페달
5: 배수구5a: 배수망
5b: 보강 부재6: 연결줄
22: 걸림턱31: 배출 구멍
41: 절취부51: 물받이 용기
51a: 손잡이51b: 아크릴 창
52: 절취 구멍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상부의 일측에 상부를 덮어 밀폐시키기 위한 뚜껑이 힌지 결합된 외부 용기; 상면이 개방된 용기로 상기 외부 용기 내부에 삽입되어 안착되며, 그 바닥면의 중심부에는 배수망 및 상기 배수망을 보호하기 위해 그 외측에 부착된 다수의 보강 부재로 구성된 배수 수단이 형성되며, 그 바닥면이 가장자리에서 상기 배수 수단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경사면으로 형성된 내부 용기; 및 상기 외부 및 내부 용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용기가 상기 외부 용기 내에서 소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내부 용기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분 제거용 쓰레기통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부의 일측에 상부를 덮어 밀폐시키기 위한 뚜껑이 힌지 결합되며, 그의 하부 벽체의 소정 부분이 절취되어 관통부가 형성된 외부 용기; 상면이 개방된 용기로 상기 외부 용기 내부에 삽입되어 안착되며, 바닥면 중심부에는 배수망 및 상기 배수망을 보호하기 위해 그 외측에 부착된 다수의 보강 부재로 구성된 소정 크기의 배수 수단이 형성되며, 그 바닥면은 가장자리에서 상기 배수 수단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경사면으로 형성된 내부 용기; 상기 외부 및 내부 용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용기가 상기 외부 용기 내에서 소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내부 용기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수단; 및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외부 용기 내부로 수납되어 상기 내부 용기의 배수 수단으로부터 흘러나온 물이 수용되는 물받이 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분 제거용 쓰레기통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의 일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2A 및 도2B는 도1의 내통을 나타낸 정단면도 및 저면도이며, 도3은 도1의 외통 내부에 내통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참조 부호 1은 외통, 2는 내통,2a는 손잡이줄, 2b는 연장부, 3은 뚜껑, 4는 페달, 5는 배수구, 5a 배수망, 5b 보강 부재, 6은 연결줄을 각각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내통(2) 및 상기 내통이 내부에 장착되며 내통으로부터 누출된 음식물 수분이 하부에 고여지는 외통(1)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내통(2)은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그 하단부로부터 소정거리를 두고 바닥면이 형성되어 상기 원통에 연속적으로 바닥면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뻗은 원통형상의 연장부(2b)를 가지며, 상기 바닥면의 중심부에는,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면적의 배수구(5)가 형성된다. 또한, 내통(2)의 상기 바닥면은 중심부로 갈수록 낮아지는 오목한 면으로 형성되어 내통(2) 내부에서 발생된 수분이 용이하게 상기 배수구(5)를 통해 외통 하부로 떨어져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5)는 그물 형상의 배수망(5a)과 상기 배수망를 보호하기 위한 보강 부재(5b)로 구성된다. 상기 배수망(5a)은 원추 형상으로 상기 내통(2)의 바닥면에 연속적으로 일체로 성형 가공된다. 또한, 그물 형상의 상기 배수망(5a)은 강도가 상대적으로 큰 내통(2)의 바닥면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그 자체의 강도는 다른 내통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배수구(5)의 배수망(5a)은 내통(2)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의 하중 또는 외력에 대해 그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하므로, 다수의 보강 부재(5b)가,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5)의 주변 및 배수망(5a)과 역시 일체로 성형가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수구(5)를 구성하는 배수망(5a)이 내통(2)과 동일한 재질로 성형 가공되었지만, 철재 망과 같은 이종의 재질로 상기한 배수망(5a)과 동일한 형상으로 철재 배수망을 제작하여 상기 내통(2)의 배수구(5)에 연속적이 되도록 고착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 부재(5b) 역시 내통(2)과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성형 형성되었지만, 철, 동 또는 내통의 재질과 친화성이 있는 이종의 재질로 상기 배수망을 보호할 수 있도록 내통(2)의 배수구(5) 및 배수망(5a) 주변에 고착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수망과 보강 부재가 내통과 일체로 성형가공되었으나, 따로 분리 제작하여 상기 배수구(5)에 배수구(5)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외통(1)은 상기 내통(2)이 수납되는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1) 상부 소정 위치에 힌지 결합되어 그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외통(1) 및 내통(2)의 상부를 덮어 밀폐하거나 개방하는 뚜껑(3), 상기 뚜껑(3)을 열고 닫기 위하여 외통(1)의 하부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밟아 누름으로써 뚜껑(3)이 열리도록 구성된 페달(4), 및 상기 페달(4)의 회동력을 상기 뚜껑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페달(4)과 상기 뚜껑(3)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줄(6)로 구성된다.
상기 내통(2)이 상기 외통(1)의 내부에 수납되어 안착되면, 상기 내통(2)는 그 바닥면에서 하부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하부 연장부(2b)를 가지므로, 상기 내통(2)의 하단은 상기 외통(1)의 바닥면에 접하게 되며, 상기 내통(2)의 바닥면은 외통(1)의 바닥면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위치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외통(1) 및 내통(2)의 바닥면이 형성하는 공간은 내통 내부에서 배수구(5)를 통해 흘러나온 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가정 또는 요식업체에서 배출된 음식 쓰레기가 외통(1) 내부에 안착된 내통(2)에 수용되어 보관되면, 상기 음식물 찌꺼기에 포함된 수분은 내통(2)의 하부로 모이게 되며, 내통(2)의 경사진 하면을 따라 중심부의 배수구(5)에 도달하여 외통(1)의 하부로 떨어져 모이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내통(2) 내부에서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찌꺼기 양은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내통(2) 상부에 구비된 손잡이(2a)를 들어 올려 내통(2)을 외통(1)으로부터 분리하고 내통(2) 내의 음식물 찌꺼기를 비우고, 또한 외통(1) 내부에 고인 물을 제거하는 용이하게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 가능하게 된다.
이하, 도4A 및 도4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4A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의 내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4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쓰레기통은 원통 하단에 바닥면이 형성된 내통(21) 및 외통(1) 내부 소정 위치에 상기 내통(2)의 바닥면을 안착시키기 위한 걸림턱(2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부분 또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은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며, 이전의 실시예와 차이점을 주로 하여 설명한다.
이전 실시예에서는 내통(2)과 외통(1) 사이에 소정 크기의 상기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내통(2)의 바닥면을 내통 하단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내측에 형성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의 내통(21)은 원통 하단에 배수구(5)를 갖는 바닥면이 형성된다. 또한, 외통(1)의 내부에 내통(21)이 수납되어 적당한 높이에서 안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외통(1)의 내벽의 소정 위치에는 다수의 걸림턱(상기 내통(21)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 수단)(22)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외통에 삽입된 내통(21)의 바닥면은 상기 걸림턱(22)의 상면에 걸쳐져 정해진 높이에서 안착되게 되며, 상기 내통(21)의 바닥면과 상기 외통의 바닥면이 형성하는 공간은 내통(21)의 배수구에서 흘러나온 물이 고이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다수의 걸림턱(22)이 동일한 높이로 배열되어 내통(21)의 바닥면을 지지하지만, 하나의 지지수단이 외통의 내주를 따라 환상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성형 가공될 수도 있으며, 외통과 별도로 고리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외통(1)의 내벽에 적당한 체결 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이전 실시예보다 개선된 다른 실시예(이하, 제3실시예)가 도5에 도시되어 있다.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 외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쓰레기통은 외벽 하부에 관통된 배출 구멍(31)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동일한 부분 또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은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전의 실시예와 차이점을 주로 하여 설명한다.
도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면, 외통(1)은 그 하부의 소정 위치에 배출 구멍(31)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 구멍(31)은 내측은 상기 외통(1)의 바닥면에 연속되어 있으며, 상기 외통(1)의 바닥면은, 내통으로부터 분리되어 고인 물을 용이하게 상기 배출 구멍(31)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 구멍(31)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된다(도시되지 않음).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음식물 수분의 용이한 제거와 동시에 외통(1)의 하부에 고인 물을 역시 용이하게 제거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외통(1) 하부에 고인 음식물로부터 분리된 물은 상기 배출 구멍(31)을 통해 흘러 쓰레기통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출 구멍(31)의 외측에 도관(도시되지 않음)을 연결하여 하수구로 연장함으로써 외통(1)의 고인 물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통(1)의 고인 물을 제거하기 위한 수고를 덜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외통(1)의 내부는 항상 음식물 찌꺼기로부터 분리된 물에 의해 젖어 있어 비위생적이므로, 자주 청소를 해야만 하는데, 상기와 같은 배출 구멍(31)이 형성된 구조는 역시 외통(2)의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외통(1) 내부로 계속적으로 물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상기 배출 구멍(31)을 통하여 배출시키면 편리하게 외통(1)의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이하, 도6A 내지 도6C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제4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을 설명한다. 도6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 내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6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6C는 도6B에서 외통에 물받이 용기가 수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6A 내지 도6C를 참조하면, 참조 부호 41은 절취부, 51은 물받이 용기, 51a는 손잡이, 51b는 아크릴 창, 52은 절취구멍, 61은 내통를 각각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하부 소정 위치에서 벽체가 소정 넓이로 제거되어 형성된 절취구멍(52)을 갖는 외통(1); 상기 외통(1)에 형성된 절취구멍(52)를 통해 외통(1)의 내부로 수납되는 물받이 용기(51); 상기 외통의 바닥면에는 상기 물받이 용기가 여닫히는 안내면을 제공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도시되지 않음); 상기 외통에 삽입되는 상면이 개방된 원통으로 그 하단부로부터 소정거리를 두고 바닥면이 형성되어 상기 원통에 연속적으로 바닥면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뻗은 원통형상의 연장부(2b)를 가지며, 상기외통(1)의 절취구멍(52)을 통하여 수납되는 상기 물받이 용기(51)가 내부로 진행 가능하도록 상기 절취구멍(52)에 대응하는 상기 연장부(2a) 부분이 상기 소정 넓이만큼 제거되어 절취부(41)가 형성된 내통(6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물받이 용기(51)의 외면의 소정 위치에는 그 내부의 상태를 볼 수 있도록 아크릴로 된 창(51b)이 마련된다. 상기 아크릴 창은 상기 물받이 용기(51)의 외면에서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물받이 용기(51)를 외통(1)으로부터 꺼내지 않고도 물받이 용기(51)의 내부에 고인 물의 유면을 관찰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물받이 용기가 상기 외통(1)의 내부에 완전히 수납되었을 때, 그의 외면의 형상은 상기 외통(1)의 외벽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외벽의 형상과 동일한 곡면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받이 용기(51)의 외면에는 손잡이(51a)가 구비되어 용기의 수납이 용이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크릴 재료로 물받이 용기(51)의 외면에 창을 형성하였으나, 유리와 같은 재료로 상기 창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투명의 도관을 이용한 수준기와 같이, 도관의 일단을 상기 물받이 용기의 하부에 연결하고 그의 타단을 상부로 연장하여 물받이 용기 유면의 수위를 관찰할 수 있는 수단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제4실시예)는 이전 실시예에서와 다른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즉, 내통(61)에서 음식물로부터 분리된 물은 상기 수납된 물받이 용기(51) 내에 적정 수준이상 고이게 되면, 사용자는 상기 관찰 창(51b)를 통해 용기 내에 고인 물의 수위의 감지하여 고인 물의 제거 시기를 알 수가 있으며, 상기 물받이 용기(51)만을 외통(1)으로부터 꺼내어 고인물을 비우면 간편하게 음식물 찌꺼기의 수분이 제거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음식물에서 분리된 수분은 항상 상기 물받이 용기(51)의 내부만을 적시며 다른 부분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상기 물받이 용기(51)만을 꺼내어 청소하게 되면 간편하게 청결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도7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이하, 제5실시예)를 설명한다. 도7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본 실시예는 제2실시예에서의 내통(21)과 상기 내통을 지지하기 위해 외통(1)의 내벽에 구비된 다수의 걸림턱(22)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4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동일한 부분 또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은 제4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그와의 차이점을 주로 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은 쓰레기통은 그 하단에 바닥면이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원통으로 상기 바닥면의 중심부에 배수구(5)가 형성된 내통(21); 하부 소정위치에서 소정 넓이가 제거되어 형성된 절취 구멍(52)을 갖는 외통(1); 및 상기 외통(1)의 내부에 상기 내통(21)이 수납될 때 상기 내통의 바닥면이 상기 외통(1)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가 되도록 안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외통의 내벽에 구비된 다수의 걸립턱(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통(1) 내부에 수납된 내통(21)은 상기 외통(1)의 내주 소정위치에 구비된 걸림턱(22)의 상면에 그의 바닥면이 접하여 안착하게 되며, 상기 물받이 용기(51)는 상기 외통(1)에 형성된 상기 절취 구멍(52)를 통하여 상기 내통(21)의 바닥면과 상기 외통(1)의 바닥면 사이로 진입하여 수납되며, 이때, 내통(21)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구(5)를 통하여 흘러나온 물은 수납된 상기 물받이 용기(51) 내부로 떨어져 고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물받이 용기(51)을 외통으로부터 분리하여 고인 물을 제거하면, 이전 실시예와 같이, 효과를 얻게 됨과 동시에, 이전 실시예보다 내통(21)의 제작이 용이하고 그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어 유리한 측면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외통 및 내통을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었지만, 소비자의 기호에 부응한 디자인에 따라 상기 외통은 사각 또는 삼각형상의 통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내통 역시 상기 외통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동일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뚜껑의 내면의 소정 위치에 방향제, 소독제 또는 탈취제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면 보다 위생적으로 본 고안의 쓰레기통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한 위생적 측면에서 쓰레기통 자체를 항균 및 탈취 기능을 갖는 재질로 제작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 사용은 가정 또는 요식업체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찌꺼기를 일시적으로 위생적 보관 가능하면서, 그의 함유 수분을 용이하게 제거 가능하여 쓰레기 양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으로 인한 환경 문제의 해결에 출발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쓰레기통의 사용은 사용자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에 동참하도록 함으로써 환경 친화적인 사고의 형성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간편하게 효율적으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 하여 그 쓰레기량을 줄이는 동시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일시적으로 보관함에 있어서 보다 위생적으로 유지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상부의 일측에 상부를 덮어 밀폐시키기 위한 뚜껑을 구비한 외부 용기;
    상면이 개방된 용기로 상기 외부 용기 내부에 삽입되어 안착되며, 그 바닥면의 중심부에는 배수망 및 상기 배수망을 보호하기 위해 그 외측에 부착된 다수의 보강 부재로 구성된 배수 수단이 형성되며, 그 바닥면이 가장자리에서 상기 배수 수단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경사면으로 형성된 내부 용기; 및
    상기 외부 및 내부 용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용기 저면과 상기 외부 용기 바닥면이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분 제거용 쓰레기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수단을 통해 흘러 나와 상기 외부 용기 내에 고인 물을 상기 외부 용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외부 용기의 외벽 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배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 용기의 내측 바닥면은 상기 배출 수단을 향해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제거용 쓰레기통.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망 및 보강 부재로 구성된 배수 수단은 내부 용기와 일체로 성형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제거용 쓰레기통.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망 및 보강 부재로 구성된 배수 수단은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배수 수단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제거용 쓰레기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내부 용기 벽체를 그의 바닥면 하부로 소정 길이만큼 더 연장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제거용 쓰레기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외부 용기 내벽의 소정 위치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내부 용기의 바닥면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제거용 쓰레기통.
  7. 상부의 일측에 상부를 덮어 밀폐시키기 위한 뚜껑이 구비되며, 그의 하부 벽체의 소정 부분이 절취되어 관통부가 형성된 외부 용기;
    상면이 개방된 용기로 상기 외부 용기 내부에 삽입되어 안착되며, 바닥면 중심부에는 배수망 및 상기 배수망을 보호하기 위해 그 외측에 부착된 다수의 보강 부재로 구성된 소정 크기의 배수 수단이 형성되며, 그 바닥면은 가장자리에서 상기 배수 수단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경사면으로 형성된 내부 용기;
    상기 외부 및 내부 용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용기 저면과 상기 외부 용기 바닥면이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 및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외부 용기 내부로 수납되어 상기 내부 용기의 배수 수단으로부터 흘러나온 물이 수용되는 물받이 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분 제거용 쓰레기통.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망 및 보강 부재로 구성된 배수 수단은 내부 용기와 일체로 성형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제거용 쓰레기통.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망 및 보강 부재로 구성된 배수 수단은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배수 수단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제거용 쓰레기통.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내부 용기 벽체를 그의 바닥면 하부로 소정 길이만큼 더 연장하여 형성된 부분이며, 상기 연장 부분은 상기 내부 용기가 상기 외부 용기 내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관통부를 통하여 상기 물받이 용기가 수납 가능하도록 상기 관통부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제거용 쓰레기통.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외부 용기 내벽의 소정 위치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내부 용기의 바닥면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제거용 쓰레기통.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 용기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물받이 용기 내부에 고인 물의 수위를 인식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그의 일측 외면에 형성된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제거용 쓰레기통.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물받이 용기의 외면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 폭의 절개부를 형성하고, 투명한 재질의 판재로 상기 절개부를 덮어 밀폐시킨 투명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제거용 쓰레기통.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일단이 상기 물받이 용기의 하부를 관통하여 연결되며, 다른 단은 상기 용기의 외면 상부로 소정 길이 연장된 투명 도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제거용 쓰레기통.
KR2019970002021U 1997-02-12 1997-02-12 수분 제거용 쓰레기통 KR1998005773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021U KR19980057738U (ko) 1997-02-12 1997-02-12 수분 제거용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021U KR19980057738U (ko) 1997-02-12 1997-02-12 수분 제거용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738U true KR19980057738U (ko) 1998-10-15

Family

ID=69682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2021U KR19980057738U (ko) 1997-02-12 1997-02-12 수분 제거용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773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410A (ko) * 2002-06-04 2002-08-13 김명원 누름 발판과 평벨트의 결합 구조로 되어진 쓰레기통
KR20040034054A (ko) * 2002-10-15 2004-04-28 김준기 화학합성 석회질성 수질 음식성 오물구분 수집용 얼개미 하수 구멍식 간막이 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410A (ko) * 2002-06-04 2002-08-13 김명원 누름 발판과 평벨트의 결합 구조로 되어진 쓰레기통
KR20040034054A (ko) * 2002-10-15 2004-04-28 김준기 화학합성 석회질성 수질 음식성 오물구분 수집용 얼개미 하수 구멍식 간막이 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6999A (en) Waste-collecting container with a ventilating device
US6408790B1 (en) Animal litter box
NO180082B (no) Kompostbeholder med gjennomluftingssystem for innfylt avfall
KR20100006760U (ko) 이중 덮개를 갖는 휴지통
US5843768A (en) Ventilated waste collecting container
KR19980057738U (ko) 수분 제거용 쓰레기통
FR2718435A1 (fr) Bac pour le compostage de matières organiques.
KR101048102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
CN205589833U (zh) 一种利用垃圾产生清洁剂的垃圾桶
KR200150001Y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KR200182640Y1 (ko) 음식물 찌꺼기 수거통
JP2008542153A (ja) ごみ容器装置
EP1990285A1 (en) Drum for city bins
KR200305770Y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용기
JP2006264884A (ja) 水切りペール
KR200437809Y1 (ko) 음식물쓰레기통
KR200300357Y1 (ko) 쓰레기통
KR200238195Y1 (ko) 음식물쓰레기함볼을 형성한 씽크대상판
JP3192078U (ja) 厨芥容器
JPH0753001A (ja) 発酵を促進するゴミ処理容器
JP3032115U (ja) 生ゴミ水切り器
KR200211111Y1 (ko) 음식물 쓰레기 보관함
KR200496942Y1 (ko) 음식물 쓰레기 봉투 보관함
KR200252430Y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KR200337129Y1 (ko) 음식물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