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57Y1 -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57Y1
KR200300357Y1 KR20-2002-0031155U KR20020031155U KR200300357Y1 KR 200300357 Y1 KR200300357 Y1 KR 200300357Y1 KR 20020031155 U KR20020031155 U KR 20020031155U KR 200300357 Y1 KR200300357 Y1 KR 2003003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rash
locking jaw
main body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이
Original Assignee
김용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이 filed Critical 김용이
Priority to KR20-2002-0031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3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체적을 갖는 쓰레기통(10)에 있어서, 쓰레기통 본체(11)의 바닥면에 물기를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공(12)이 다수개 형성되고, 본체(11) 하부 외측둘레에 띠 형상의 걸림턱(13)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13)에 내경이 결합되어 배수공(12)을 밀폐시키기 위한 받침커버(2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물을 집수시켜 처리하기에 용이한 물 받침통(30)을 본체(11)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바, 본 고안은 쓰레기통의 바닥면에 다수의 배수공을 형성시킴으로써, 담기는 젖은 쓰레기물로부터 물기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선택에 따라서는 받침커버를 장착시켜 통상적인 건조 쓰레기를 담아 처리할 수 있으며, 물 받침통을 탈착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수집된 물을 별도로 처리할 수 있어 쓰레기통용도 이외의 물기 수거용 제품으로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쓰레기통{A refuse bin}
본 고안은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쓰레기통의 사용상에있어 일반적인 휴지통 용도에 맞게 사용하거나, 물기가 많은 쓰레기로부터 물기를 별도로 탈수 도는 수집하여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물을 담아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쓰레기통은 소정의 체적을 가지며,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서는 개구부에 뚜껑이 있어나, 없는 제품류로 구분되며, 통상 무게를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플라스틱계열의 합성수지재질로 사출 성형으로 제작된다.
재활용 가능한 쓰레기물, 음식류 쓰레기 종류에 상관없이 쓰레기를 한곳에 마구 버릴 수 있었던 과거와는 달리 현재에는 쓰레기 종류 및 그 양을 한정하여 처리하고 있는 실정으로서, 사용하는 용도에 따른 쓰레기통은 통상 쓰레기물을 담기 위한 개구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중 본체의 바닥면은 막혀 있는 그릇 형태를 갖는 제품이 대부분이다.
이 때문에 물기가 있는 쓰레기물을 버리고자 할 때에는 우선 물기를 제거하고 후 어느 정도 물기가 제거된 상태에서 별도로 쓰레기물을 모아 종량 비닐봉투에 담아 처리하는 예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봉투에 담아 처리되기 전까지 물기가 많은 쓰레기물은 상기와 같은 이유에서 일반적으로 마른 쓰레기물을 모아 둔 쓰레기통과 구분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 때문에 물기가 제거되지 못한 상태에서 처리되는 쓰레기물은 후 처리하는데 있어서 애로사항이 있었다. 이는 주로 물기 있는 쓰레기물을 버리는 영업식당, 목욕탕 등의 기타 업소에서 쓰레기물을 처리하는데 있어 불쾌한 악취가 발생되거나 유해한 곤충들이 몰리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또한, 물기가 있는 쓰레기물을 그때그때 물기를 제거하고 쓰레기통에 버리기에는 다소 불편한 점이 있어, 대부분 이를 처리하는 사람은 물기가 있는 쓰레기물을 구분하여 버리지 않는 좋지 못한 사고를 가지는 우려점도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일반적인 마른 쓰레기물과 물기가 많은 쓰레기를 담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고, 별도로 물기와 쓰레기물을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소정의 체적을 갖는 쓰레기통에 있어서, 쓰레기통 본체의 바닥면에 물기를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공이 다수개 형성되고, 본체 하부 외측둘레에 띠 형상의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이 형성된 저면측 가장자리에 받침턱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 내경이 결합되어 배수공을 밀폐시키기 위한 받침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소정의 체적을 갖는 쓰레기통에 있어서, 쓰레기통 본체의 바닥면에 물기를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공이 다수개 형성되고, 본체 하부 외측둘레에 띠 형상의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이 형성된 저면측 가장자리에 받침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 소정의 체적을 갖는 물 받침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쓰레기통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인 쓰레기통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에서 받침커버를 제외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쓰레기통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A"부분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쓰레기통 11: 본체
12: 배수공 13: 걸림턱
20: 받침커버 30: 물 받침통
21,31: 끼움홈 32: 배출구
33: 마개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인 쓰레기통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에서 받침커버를 제외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쓰레기통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A"부분 확대도이다.
소정의 체적을 갖는 쓰레기통(10)에 있어서, 쓰레기통(10) 본체(11)의 바닥면에 물기를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공(12)이 다수개 형성되고, 본체(11) 하부 외측둘레에 띠 형상의 걸림턱(13)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13)이 형성된 저면측 가장자리에 받침턱(14)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3)에 내경이 결합되어 배수공(12)을 밀폐시키기 위한 받침커버(2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걸림턱(13)은 외측둘레에 한 줄 또는 복수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받침커버(20)의 내측 둘레에는 상기 걸림턱(13)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끼움홈(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소정의 체적을 갖는 쓰레기통(10)에 있어서, 쓰레기통 본체(11)의 바닥면에 물기를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공(12)이 다수개 형성되고, 본체(11) 하부 외측둘레에 띠 형상의 걸림턱(13)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13)이 형성된 저면측 가장자리에 받침턱(14)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3)에 소정의 체적을 갖는 물 받침통(3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물 받침통(30)은 상기한 받침커버의 내측 둘레에 형성된 끼움홈(31)이 형성되고, 소정위치에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출구(32)와 마개(33)가 마련되어 수집된 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본체(11)에 결합되는 받침커버(20) 및 물 받침통(30)의 결합부위는 상기 본체(11)의 외측과 동일선상이 되게 결합된다.
상기한 배수공(12)은 원형이나 사각,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긴 장공형태로 다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형상이나 그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인 쓰레기통의 사용상에 의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쓰레기통(10)은 우선 물기가 있는 쓰레기를 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쓰레기통 본체(11) 하부를 밀폐하고 있는 받침커버(20)를 도 3에서와 같이,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런 상태의 쓰레기통(10)은 바닥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배수공(12)을 통하여 물기가 포함된 쓰레기물로부터 물기를 배수시킬 수 있다. 이는 대중 목욕탕과 같은 장소에 거치시켜 사용함에 있어 담기는 쓰레기물로부터 물기는 비교적 상기 배수공(12)을 따라 외측으로 배출되므로 쓰레기통 내에는 물이 고이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의 배수는 배수공을 통해 본체(11)의 최 하단 부위인 받침턱(14)의 형성으로 인해 받침턱을 제외하는 공간을 통해 물이 흘러나와 근접하는 배수구를 통해 물을 배수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우선적으로는 쓰레기통에 물이 고이게 되어 썩게되는 우려를 해소할수 있게 된다.
또한, 쓰레기통(10)에 담긴 쓰레기물을 종량 봉투에 다시 담아 버릴 때에는 그만큼 쓰레기로부터 물기가 제거된 상태이어서 쓰레기물의 중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상기와 반대로, 물기가 없는 건조한 쓰레기물(휴지 및 먼지..)을 담을 때에는 쓰레기통 본체(11)에 형성된 걸림턱(13)부위에 받침커버(20)측의 끼움홈(21)을 삽입시켜 주면, 상기 배수공(12)은 받침커버(20)에 의해 밀폐되기 때문에 반대로 물기 있는 쓰레기물로부터 물의 배수를 허용하지 않는 목적으로 사용하거나 일반적인 쓰레기물을 깔금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통 본체(11)의 하부 외측둘레에 형성된 걸림턱(13)에 물 받침통(30)의 내경측 끼움홈(31)을 끼워 이들을 상호 연결한 것으로서, 본체(11)에 형성된 배수공(12)을 통해 물기를 상기 물 받침통(30) 내부에 집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세척 당시의 물기가 있는 걸레, 비 맞은 우산 등을 쓰레기통 본체에 수용시킴에 있어, 쓰레기통 내에 고일 수 있는 물기는 상기 물 받침통(30) 내에 별도로 집수되도록 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 후에는 상기 물 받침통을 쓰레기통 본체(11)의 걸림턱(13)으로부터 간단하게 분리시켜 내부에 담긴 물을 쉽게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물 받침통에 대한 일 실시예로서, 집수된 물은 물받침통에 마련한 배출구를 통해 간단하게 물을 배출처리 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32)는 도시된 바와같이, 마개(33)로 간단히 막거나 개방시켜 물을 배출할 수 있어 용도에 맞는 쓰레기통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쓰레기통의 바닥면에 다수의 배수공을 형성시킴으로써, 담기는 젖은 쓰레기물로부터 물기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선택에 따라서는 받침커버를 장착시켜 통상적인 건조 쓰레기를 담아 처리할 수 있으며, 물 받침통을 탈착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수집된 물을 별도로 처리할 수 있어 쓰레기통용도 이외의 물기 수거용 제품으로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소정의 체적을 갖는 쓰레기통(10)에 있어서,
    쓰레기통 본체(11)의 바닥면에 물기를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공(12)이 다수개 형성되고, 본체(11) 하부 외측둘레에 띠 형상의 걸림턱(13)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13)이 형성된 저면측 가장자리에 받침턱(14)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3)에 내경이 결합되어 배수공(12)을 밀폐시키기 위한 받침커버(2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2. 소정의 체적을 갖는 쓰레기통(10)에 있어서,
    쓰레기통 본체(11)의 바닥면에 물기를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공(12)이 다수개 형성되고, 본체(11) 하부 외측둘레에 띠 형상의 걸림턱(13)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13)이 형성된 저면측 가장자리에 받침턱(14)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3)에 소정의 체적을 갖는 물 받침통(3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 받침통(30)에는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출구(32)와 마개(33)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KR20-2002-0031155U 2002-10-18 2002-10-18 쓰레기통 KR2003003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155U KR200300357Y1 (ko) 2002-10-18 2002-10-18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155U KR200300357Y1 (ko) 2002-10-18 2002-10-18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7Y1 true KR200300357Y1 (ko) 2003-01-10

Family

ID=49329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155U KR200300357Y1 (ko) 2002-10-18 2002-10-18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5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8721B1 (ko)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
US4458962A (en) Refuse bins
KR200300357Y1 (ko) 쓰레기통
KR200367280Y1 (ko) 탈수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통
KR20120037797A (ko) 걸름망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통
KR200425905Y1 (ko) 편리한 쓰레기통
CN211392530U (zh) 一种厨房垃圾分类装置
KR101232280B1 (ko) 음식물쓰레기통
KR20130067804A (ko)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
KR20140002739U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KR101048102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
KR100665464B1 (ko) 싱크대 음식물 쓰레기통
JP3746126B2 (ja) ゴミ容器
KR101307611B1 (ko) 음식물 쓰레기봉투 및 음식물 쓰레기통
KR200440780Y1 (ko) 음식물쓰레기 간이수거기구
KR200380871Y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120003780U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120002919U (ko) 음식물 쓰레기 분리수거용기
KR200219740Y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통
CN214166094U (zh) 一种环卫垃圾桶盖
CN216995974U (zh) 一种防臭型玻璃钢垃圾桶
KR200358781Y1 (ko) 족답식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KR102654586B1 (ko) 싱크대 음식물 쓰레기 정리 및 압축 장치
KR200481812Y1 (ko) 음식물 분리 수거통이 결합된 싱크볼 조립체
KR200452276Y1 (ko) 쓰레기봉투 내장형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