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034U -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 - Google Patents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034U
KR20170001034U KR2020150006061U KR20150006061U KR20170001034U KR 20170001034 U KR20170001034 U KR 20170001034U KR 2020150006061 U KR2020150006061 U KR 2020150006061U KR 20150006061 U KR20150006061 U KR 20150006061U KR 20170001034 U KR20170001034 U KR 201700010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bage
induction
connection portion
present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0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표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해밝음장애인복지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해밝음장애인복지회 filed Critical 사단법인 해밝음장애인복지회
Priority to KR20201500060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034U/ko
Publication of KR201700010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03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53Combination of several receptacles
    • B65F1/0066Rigid receptacles fixed on racks or po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에 관한 것으로서, 설치면에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경사지게 연결되되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경사 연결부와, 상기 경사 연결부의 타단부에서 상기 경사 연결부와 연결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다수의 홈부가 형성되는 헤드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수거기 본체; 상기 헤드 플레이트의 홈부와 상기 경사 연결부의 관통공을 통해 거치되며, 쓰레기를 종류별로 분리하여 수거하는 다수의 수거통; 상기 수거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쓰레기나 재활용품의 종류별 수거위치를 유도 또는 외부로 알리는 다수의 유도겸용 알림모듈; 및 상기 유도겸용 알림모듈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VESSEL FOR FOOD WASTE}
본 고안은,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쓰레기나 재활용품의 종류별 수거위치 등을 유도하거나 외부로 알리는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쓰레기 또는 재활용품을 좀 더 깔끔하고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에 관한 것이다.
쓰레기 분리수거기(쓰레기 분리수거함)는 통상적인 일반 쓰레기를 비롯하여 재활용품을 종류별로 분리하여 담는 용기의 총칭이다.
쓰레기 분리수거기로 인해 쓰레기를 종류별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쓰레기 또는 재활용품을 깔끔하게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거 작업 역시 편리할 수 있다.
한편, 종전과 달리, 근래에 들어서는 지자체별로 쓰레기 분리가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기 때문에 쓰레기 분리수거기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쓰레기 분리수거기는 가정이나 건물 등에 배치되는 소형에서부터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에 비치되는 중형 혹은 대형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할 뿐만 아니라 그 구조 역시, 다양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와 같은 쓰레기 분리수거기에 대한 다양한 종류의 기술들이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7-001287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13474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4-008991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9-0003868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문헌을 비롯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기의 경우, 쓰레기를 투입하여 보관 및 수거하기 위한 외관 구조의 개선에 치중되어 있을 뿐 쓰레기나 재활용품의 종류별 수거위치 등을 유도하거나 외부로 알리는 기능이 구비된 것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와 같은 구조와 기능을 갖는 쓰레기 분리수거기, 특히 조립형 구조의 쓰레기 분리수거기가 제안된다면 쓰레기 또는 재활용품을 좀 더 깔끔하고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7-001287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13474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4-008991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9-0003868호
본 고안의 목적은, 쓰레기나 재활용품의 종류별 수거위치 등을 유도하거나 외부로 알리는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쓰레기 또는 재활용품을 좀 더 깔끔하고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청소 또는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설치면에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경사지게 연결되되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경사 연결부와, 상기 경사 연결부의 타단부에서 상기 경사 연결부와 연결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다수의 홈부가 형성되는 헤드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수거기 본체; 상기 헤드 플레이트의 홈부와 상기 경사 연결부의 관통공을 통해 거치되며, 쓰레기를 종류별로 분리하여 수거하는 다수의 수거통; 상기 수거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쓰레기나 재활용품의 종류별 수거위치를 유도 또는 외부로 알리는 다수의 유도겸용 알림모듈; 및 상기 유도겸용 알림모듈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다수의 유도겸용 알림모듈은 상기 다수의 수거통의 개수와 동일하게 마련되며, 상기 수거기 본체는 상기 헤드 플레이트와 상기 경사 연결부에 연결되는 보강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거기 본체의 일측에는 레일이 마련되며, 상기 유도겸용 알림모듈은 상기 레일 상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쓰레기나 재활용품의 종류별 수거위치 등을 유도하거나 외부로 알리는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쓰레기 또는 재활용품을 좀 더 깔끔하고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청소 또는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거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에서 수거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에서 수거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에서 수거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에서 수거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에서 수거기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에서 수거기 본체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거기 본체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그리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는 쓰레기나 재활용품의 종류별 수거위치 등을 유도하거나 외부로 알리는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쓰레기 또는 재활용품을 좀 더 깔끔하고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청소 또는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수거기 본체(110), 다수의 수거통(120), 다수의 유도겸용 알림모듈(140), 그리고 컨트롤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수거기 본체(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의 외관 골조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도 1처럼 다수의 수거통(120)이 거치되는 장소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거기 본체(110)는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수거기 본체(110)는 목재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수거기 본체(110)는 설치면에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1)와, 일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111)에 경사지게 연결되되 다수의 관통공(112a)이 형성되는 경사 연결부(112)와, 경사 연결부(112)의 타단부에서 경사 연결부(112)와 연결되되 베이스 플레이트(111)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다수의 홈부(113a)가 형성되는 헤드 플레이트(113)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1), 경사 연결부(112) 및 헤드 플레이트(113)로 이루어지는 수거기 본체(110)는 일체형 구조물일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1)는 설치면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수거기 본체(110)가 수거통(120)을 지지하면서 설치면에 안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베이스 플레이트(111)는 평평하면서도 넓은 판상체로 형성될 수 있다.
경사 연결부(112)는 베이스 플레이트(111)와 헤드 플레이트(113)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판상체이다. 이러한 경사 연결부(112)에는 다수의 관통공(112a)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관통공(112a)에 수거통(120)이 끼워지면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수거통(120)이 분리되거나 쓰러지지 않고 잘 거치될 수 있다.
헤드 플레이트(113)는 수거기 본체(110)의 상단부를 이룬다. 이러한 헤드 플레이트(113)에는 홈부(113a)가 형성된다. 홈부(113a)는 수거통(120)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헤드 플레이트(113)에 형성되는 홈부(113a)와 경사 연결부(112)에 형성되는 관통공(112a)는 개수와 위치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한편, 헤드 플레이트(113)와 경사 연결부(112)에는 다수의 보강대(114)가 더 마련된다. 보강대(114)들은 헤드 플레이트(113)와 경사 연결부(112) 사이에서 이들이 변형되지 않게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같은 개념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111)와 경사 연결부(112) 사이에도 보강대(114)가 형성될 수도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보강대(114)가 없어도 무방하다.
수거통(120)은 도 1처럼 헤드 플레이트(113)의 홈부(113a)와 경사 연결부(112)의 관통공(112a)을 통해 거치되며, 쓰레기를 종류별로 분리하여 수거하는 장소를 이룬다.
본 실시예처럼 수거통(120)이 수거기 본체(110)에 분리될 수 있게, 즉 조립 가능하게 결합될 경우, 쓰레기 수거 작업이 수월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수거기 본체(110)에서 수거통(120)만을 분리하여 내부의 쓰레기를 수거하면 되기 때문에 작업이 수월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3개의 수거통(120)이 마련되고 있으나 수거통(120)의 개수는 2개 또는 4개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수거통(120)이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되고 있으나 수거통(120)의 사이즈는 약간씩 상이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수거통(120)들의 외면에는 수거통(120)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패턴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유도겸용 알림모듈(140)은 수거기 본체(110)의 일측에 마련되며, 쓰레기나 재활용품의 종류별 수거위치를 유도 또는 외부로 알리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유도겸용 알림모듈(140)은 수거기 본체(110)의 경사 연결부(112)에 마련되며, 해당 위치에서 쓰레기나 재활용품의 종류별 수거위치를 유도 또는 외부로 알리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도면과 다른 위치에 유도겸용 알림모듈(140)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유도겸용 알림모듈(140)은 수거통(120)의 개수와 동일하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3개의 수거통(120)이 마련되기 때문에 유도겸용 알림모듈(140) 역시 3개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유도겸용 알림모듈(140)을 통해 빛이 발생되거나 소리가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유도겸용 알림모듈(140)을 통해 빛이 발생될 경우, 다수의 유도겸용 알림모듈(140)을 통해 발생되는 빛의 색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수거통(120)들에 대응되는 유도겸용 알림모듈(140)들의 발광 빛은 서로 다를 수 있는데, 이럴 경우, 수거통(120)들에 쓰레기 또는 재활용품을 종류별로 수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유도겸용 알림모듈(140)을 통해 소리가 발생될 수도 있다. 소리는 미리 녹음된 음성일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소리가 발생될 경우, 수거통(120)들에 쓰레기 또는 재활용품을 종류별로 수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컨트롤러(150)는 유도겸용 알림모듈(140)의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150)는 유도겸용 알림모듈(140)의 동작, 예컨대 유도겸용 알림모듈(140)로부터 빛이 발생되도록 하거나 유도겸용 알림모듈(140)로부터 소리가 발생되도록 유도겸용 알림모듈(140)의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50)는 중앙처리장치(151, CPU), 메모리(152, MEMORY), 서포트 회로(15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51)는 본 실시예에서 유도겸용 알림모듈(140)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5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51)와 연결된다. 메모리(15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
서포트 회로(15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5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5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50)는 유도겸용 알림모듈(14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러(150)가 유도겸용 알림모듈(14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5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5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쓰레기나 재활용품의 종류별 수거위치 등을 유도하거나 외부로 알리는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쓰레기 또는 재활용품을 좀 더 깔끔하고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청소 또는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에서 수거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 역시, 수거기 본체(210)와, 다수의 유도겸용 알림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수거기 본체(210)의 경사 연결부(112)에는 레일(230)이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레일(230) 상에 유도겸용 알림모듈(140)이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럴 경우, 필요에 따라 유도겸용 알림모듈(14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쓰레기나 재활용품의 종류별 수거위치 등을 유도하거나 외부로 알리는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쓰레기 또는 재활용품을 좀 더 깔끔하고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청소 또는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에서 수거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 역시, 수거기 본체(310)와, 다수의 유도겸용 알림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수거기 본체(310)의 헤드 플레이트(113)에는 발광패턴부(315)가 형성된다. 발광패턴부(315)는 어두운 밤에도 수거통(120)들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부가적인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쓰레기나 재활용품의 종류별 수거위치 등을 유도하거나 외부로 알리는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쓰레기 또는 재활용품을 좀 더 깔끔하고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청소 또는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에서 수거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 역시, 수거기 본체(410)와, 다수의 유도겸용 알림모듈(4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수거기 본체(410)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다수의 단위 본체(410a)를 포함한다. 단위 본체(410a)들의 구조는 모두 동일하며, 측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단위 본체(410a)들의 양 측부에는 추가의 함체(46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추가의 함체(460)에는 쓰레기 혹은 재활용품이 수거될 수도 있고, 혹은 화분이 놓이거나 꽃이 심어질 수 있다.
이때, 유도겸용 알림모듈(440)은 단위 본체(410a)들 외에 함체(460)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쓰레기나 재활용품의 종류별 수거위치 등을 유도하거나 외부로 알리는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쓰레기 또는 재활용품을 좀 더 깔끔하고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청소 또는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에서 수거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 역시, 수거기 본체(510)와, 다수의 유도겸용 알림모듈(5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수거기 본체(510)는 구조는 모두 동일하고 측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는 단위 본체(410a)들을 포함하며, 단위 본체(410a)들의 양측에는 추가의 함체(46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단위 본체(410a)들과 함체(460)들은 탑재용 베이스(580) 상에 일체로 탑재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처럼 탑재용 베이스(580) 상에 단위 본체(410a)들과 함체(460)들이 일체로 탑재될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설치하기가 용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유도겸용 알림모듈(540)들은 단위 본체(410a)들과 함체(460)들이 위치되는 탑재용 베이스(580) 상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쓰레기나 재활용품의 종류별 수거위치 등을 유도하거나 외부로 알리는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쓰레기 또는 재활용품을 좀 더 깔끔하고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청소 또는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에서 수거기 본체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 역시, 수거기 본체(610)와, 다수의 유도겸용 알림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수거기 본체(61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처럼 베이스 플레이트(111), 경사 연결부(112), 헤드 플레이트(113) 및 보강대(114)를 포함하는 구조물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수거기 본체(610)의 베이스 플레이트(111) 상에는 수거통(120, 도 1 참조)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 트레이(68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안착 트레이(680)가 더 마련되면 수거통(120, 도 1 참조)이 제 위치에서 좀 더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쓰레기나 재활용품의 종류별 수거위치 등을 유도하거나 외부로 알리는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쓰레기 또는 재활용품을 좀 더 깔끔하고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청소 또는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에서 수거기 본체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 역시, 수거기 본체(710)와, 다수의 유도겸용 알림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수거기 본체(71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처럼 베이스 플레이트(711), 경사 연결부(712) 및 헤드 플레이트(713)를 포함하는 구조물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베이스 플레이트(711), 경사 연결부(712) 및 헤드 플레이트(713)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접철부(717,718)가 각각 마련된다.
이처럼 베이스 플레이트(711), 경사 연결부(712) 및 헤드 플레이트(713)가 연결되는 부위에 접철부(717,718)가 마련되면 수거기 본체(710)가 점선에서 실선처럼 접철될 수 있을 것인데, 점선처럼 접힐 경우, 수거기 본체(710)를 보관하기가 용이할 수도 있고, 수거통(120, 도 1 참조)을 꺼내기가 용이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쓰레기나 재활용품의 종류별 수거위치 등을 유도하거나 외부로 알리는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쓰레기 또는 재활용품을 좀 더 깔끔하고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청소 또는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수거기 본체 111 : 베이스 플레이트
112 : 경사 연결부 112a : 관통공
113 : 헤드 플레이트 113a : 홈부
114 : 보강대 120 : 수거통
140 : 유도겸용 알림모듈 150 : 컨트롤러

Claims (2)

  1. 설치면에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경사지게 연결되되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경사 연결부와, 상기 경사 연결부의 타단부에서 상기 경사 연결부와 연결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다수의 홈부가 형성되는 헤드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수거기 본체;
    상기 헤드 플레이트의 홈부와 상기 경사 연결부의 관통공을 통해 거치되며, 쓰레기를 종류별로 분리하여 수거하는 다수의 수거통;
    상기 수거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쓰레기나 재활용품의 종류별 수거위치를 유도 또는 외부로 알리는 다수의 유도겸용 알림모듈; 및
    상기 유도겸용 알림모듈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유도겸용 알림모듈은 상기 다수의 수거통의 개수와 동일하게 마련되며,
    상기 수거기 본체는 상기 헤드 플레이트와 상기 경사 연결부에 연결되는 보강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거기 본체의 일측에는 레일이 마련되며,
    상기 유도겸용 알림모듈은 상기 레일 상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
KR2020150006061U 2015-09-10 2015-09-10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 KR201700010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061U KR20170001034U (ko) 2015-09-10 2015-09-10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061U KR20170001034U (ko) 2015-09-10 2015-09-10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34U true KR20170001034U (ko) 2017-03-20

Family

ID=58496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061U KR20170001034U (ko) 2015-09-10 2015-09-10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03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971A (ko) * 2018-02-20 2019-08-28 창신리빙(주) 복수의 분리수거통의 고정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2876A (ko) 2007-01-05 2007-01-29 엄재성 정전기 방지용 소매 옷깃 악세사리
KR20090003868U (ko) 2007-10-22 2009-04-27 전형신 이어폰 전선의 보호를 위한 액세서리
KR20110134744A (ko) 2010-06-09 2011-12-1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LbL 멀티레이어링 기술을 이용한 소수화된 펄프섬유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종이
KR20140089917A (ko) 2013-01-08 2014-07-1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2876A (ko) 2007-01-05 2007-01-29 엄재성 정전기 방지용 소매 옷깃 악세사리
KR20090003868U (ko) 2007-10-22 2009-04-27 전형신 이어폰 전선의 보호를 위한 액세서리
KR20110134744A (ko) 2010-06-09 2011-12-1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LbL 멀티레이어링 기술을 이용한 소수화된 펄프섬유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종이
KR20140089917A (ko) 2013-01-08 2014-07-1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971A (ko) * 2018-02-20 2019-08-28 창신리빙(주) 복수의 분리수거통의 고정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58042T3 (es) Método de montaje de una caja y unidad de montaje automático de cajas
WO2005107400A3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ndensing, separating and storing recyclable material
KR101696576B1 (ko) 다용도 개별분리수거함
KR20170001034U (ko) 조립형 쓰레기 분리수거기
CN106628733B (zh) 公共用自动分类垃圾箱
KR20160130115A (ko) 수납형 쓰레기 분리수거대
EP2144298A2 (en) Autonomous system of photovoltaic energy production
KR20040029651A (ko) 가정용 분리용 쓰레기통
JP2006298594A (ja) 積上げ式ごみ収納棚
KR20170030828A (ko) 일체형 쓰레기 분리수거함
CN205418686U (zh) 具有满箱提示功能的分类环保箱
CN213730765U (zh) Cnc刀头防锈防尘定位放置装置
US10724714B2 (en) Adjustable sensor mounting system
KR102090963B1 (ko) 일회용 컵 수거를 위한 카톤 블랭크
EP1269887A1 (en) Multi-purpose module for kitchen furniture
KR200440670Y1 (ko) 쓰레기분리수거대
JP2003160201A (ja) ゴミ分別収納箱
CN216944147U (zh) 一种电力物资用识别分类装置
DK9600292U3 (da) Papiropsamlingsindretning.
CN218081037U (zh) 一种激光切割机用支撑条
CN103815680B (zh) 抽屉柜
CN212711000U (zh) 汽车零部件加工用辅助工装
JP2006298595A (ja) 積層式ごみ箱
CN218700479U (zh) 一种废塑料回收多级风选装置
CN214127644U (zh) 一种文件收纳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