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190Y1 - 화분받침대 - Google Patents

화분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190Y1
KR200437190Y1 KR2020060029179U KR20060029179U KR200437190Y1 KR 200437190 Y1 KR200437190 Y1 KR 200437190Y1 KR 2020060029179 U KR2020060029179 U KR 2020060029179U KR 20060029179 U KR20060029179 U KR 20060029179U KR 200437190 Y1 KR200437190 Y1 KR 2004371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eg
pot
jaw
assembled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91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진
Original Assignee
조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진 filed Critical 조성진
Priority to KR20200600291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1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1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1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명칭] 화분받침대
[구성] 원형 또는 사각형 또는 타원형의 형태를 띠며 가장자리로 테두리 살(5)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1개 내지 2개의 배수구멍(2)이 형성되며, 하방의 물 받침통 레일(6)에는 물 받침통(7)이 조립되고, 저면에 형성된 보강리브(4)의 안쪽 3개소 내지 4개소에 형성된 지지다리삽입단(8)의 공간부(8a)를 이용하여 지지다리(3)의 삽입턱(3a)이 끼워지도록 지지다리(3)를 조립시킨 화분받침대(1)에 있어서, 테두리 살(5)의 대향하는 2개소에 절개틈새(12)를 형성시키되 그 바닥은 손가락을 대고 화분받침대를 안전하게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평면단(10)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절개틈새(12)의 좌우측 면에는 걸림구멍(11)을 형성시켜 상기 절개틈새(12)를 커버링 하는 막음편(20)의 연장턱(21)에 형성된 걸림턱(21a)을 끼워서 조립시킬 수 있도록 하며, 지지다리삽입단(8)의 안쪽에는 이동용 바퀴(30)의 바퀴고정봉(31)을 끼울 수 있는 구멍(9a)을 가지는 보스(9)가 형성되도록 하되 보강살(9b)을 형성시켜 보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분받침대

Description

화분받침대{Supporter for Flower Pot}
도1은 본 고안의 참고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지지다리삽입단의 구조를 나타낸 저면 기준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요부 구조를 나타낸 참고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지지다리삽입단에 이동용 바퀴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5는 본 고안의 요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의 지지다리삽입단에 지지다리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7은 본 고안의 하방에 물 받침통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본 고안은 화분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지지다리를 조립시켜 고정용으로 사용하다가 이동용 바퀴를 조립시켜 이동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과, 화분이 얹혀 있는 화분받침대를 손으로 잡고 들어서 이동시킬 때 손가락에 통증을 느끼거나 상처를 입는 경우를 예방할 수 있는 특징을 갖춘 다용도 화분받침대이다.
본 고안과 같이 지면 가까이 놓인 채 본체 위로 화분을 올려놓을 수 있는 화분받침대의 통상적인 구조를 살피면, 지지다리를 본체 하방에 3개 내지 4개 고정시킨 고정용과 본체의 하방에 3개 내지 4개의 이동용 바퀴를 고정시킨 이동용으로 구분된다. 그런데, 고정용은 안정감은 있으나 위치 이동을 시키기 위해서는 화분받침대에서 화분만을 먼저 손으로 들고 위치 이동을 시키고자 하는 장소에 화분을 둔 다음, 화분받침대를 다시 들고 이동을 시킨 후 화분받침대를 적당한 위치에 놓고 다시 화분을 손으로 들고 화분받침대 위로 올려놓아야 한다. 따라서 2중의 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은 물론 화분을 이동시킬 때 화분에서 배출된 물이 바닥을 적시게 되어 청소를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화분받침대 위에 놓여 있는 화분을 그대로 둔 채 화분받침대 만을 손으로 들고 이동을 시키게 되는데, 이때 도1을 기준하여 볼 때 화분받침대(1)의 테두리 살(5)의 하방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에 손가락 끝을 끼운 다음 화분받침대를 들어 올리게 마련이다. 한편, 화분받침대는 보통 사출금형을 통해 제작되는 관계로 인하여 테두리 살(5) 하단부가 다소 날카롭게 되어 있어서 손가락 끝 부분을 이용하여 화분받침대를 들어 올릴 때 손가락에 통증을 느끼게 되고 부주의 하면 상처를 입는 예도 발생되고 있는 바, 이러한 현상은 화분받침대 위에 놓인 화분의 중량이 무거울수록 심화된다. 그리고 화분받침대를 들어 올려 이동시킬 때 위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화분받침대를 추락시키는 예도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에 본체의 하방에 이동용 바퀴를 고정시킨 이동용 화분받침대가 등장하게 되었던 바, 이는 화분받침대 위에 화분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위치 이동을 시키기에 편리한 장점은 있으나 바닥이 약간이라도 기울어져 있을 경우에는 미끄러져 내리기 때문에 제 위치를 유지하지 못하고 부적절한 장소에 놓이게 되어 미관상으로 불량하고 보행자 또는 거주자의 보행에 지장을 초래하므로 화분의 위치를 자주 점검을 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고, 바퀴가 구르지 못하도록 종이나 나무 조각 등을 바퀴의 하방에 끼우는 등의 작업이 수반되어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한편, 스토퍼장치가 구비된 바퀴를 부착시킨 화분받침대도 안출되긴 하였으나 이는 고장발생률이 높고 일일이 스토퍼를 풀고 다시 조여야 하는 불편이 있어 보편화가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은 지지다리를 끼워 고정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반면 이동용 바퀴를 끼워 사용하기에 편리한 장소에서는 이동용 바퀴를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 화분받침대의 장점만을 갖추도록 하고, 특히 화분받침대 위에 화분을 올려놓고 들어 올릴 때 손가락 끝에 통증을 느끼거나 상처를 입는 예를 완전히 예방할 수 있는 신규한 화분받침대를 제공코자 함이 과제이며,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원형 또는 사각형 또는 타원형의 형태를 띠며 가장자리로 테두리 살(5)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1개 내지 2개의 배수구멍(2)이 형성되며, 하방의 물 받침통 레일(6)에는 물 받침통(7)이 조립되고, 저면에 형성된 보강리브(4)의 안쪽 3개소 내지 4개소에 형성된 지지다리삽입단(8)의 공간부(8a)를 이용하여 지지다리(3)의 삽입턱(3a)이 끼워지도록 지지다리(3)를 조립시킨 화분받침대(1)에 있어서, 테두리 살(5)의 대향하는 2개소에 절개틈새(12)를 형성시키되 그 바닥은 손가락을 대고 화분받침대를 안전하게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평면단(10)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절개틈새(12)의 좌우측 면에는 걸림구멍(11)을 형성시켜 상기 절개틈새(12)를 커버링 하는 막음편(20)의 연장턱(21)에 형성된 걸림턱(21a)을 끼워서 조립시킬 수 있도록 하며, 지지다리삽입단(8)의 안쪽에는 이동용 바퀴(30)의 바퀴고정봉(31)을 끼울 수 있는 구멍(9a)을 가지는 보스(9)가 형성되도록 하되 보강살(9b)을 형성시켜 보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다리삽입단(8)에 지지다리(3)를 끼우면 고정용으로 그리고 지지다리삽입단(8)에 이동용 바퀴(30)를 끼우면 이동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테두리 살(5)의 최소 2개소 하방에 평면단(10)을 형성시키고 막음편(20)으로 커버링하여 줌으로서 손가락을 이용하여 화분받침대를 들어 올릴 때(화분이 얹혀 져 있는 상태에서) 안전하고 편리하며 통증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특징을 구비하고 있다.
이를 상세히 살피면, 도면과 같이 보강리브(4)의 안쪽에는 3개 내지 4개의 지지다리삽입단(8)이 형성되어 있는데, 공간부(8a)를 이용하여 지지다리(3)의 삽입턱(3a)을 끼워서 도6과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만일 지지다리(3) 대신에 이동용 바퀴(30)를 끼워서 사용코자 할 경우에는 지지다리삽입단(8)으로부터 지지 다리(3)를 분리시킨 후 보스(9)의 구멍(9a) 안으로 이동용 바퀴(30)의 바퀴고정봉(31)을 끼워서 도4와 같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고저용으로 사용을 하든지 혹은 이동용으로 사용을 할 경우를 막론하고 화분받침대(1)를 손으로 들어서 이동을 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도3과 같이 절개틈새(12)의 하방을 막아서 평면단(10)이 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도7의 상태에서 양쪽의 평면단(10)을 손가락으로 들게 되면 안전할 뿐만 아니라 손가락에 통증을 느끼거나 손가락을 다치지 않게 되고 용이하게 화분받침대를 이동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의 절개틈새(12)는 그대로 개방시켜 두면 미관상으로 불량하므로 도3, 5와 같이 막으면(20)을 막아주는 것이 좋은데, 상기 막음편(20)의 좌우에는 도면과 같이 탄성이 발휘되는 연장턱(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턱(21)의 하방에는 걸림턱(21a)이 형성되어 있어서, 도3, 5와 같이 막음편(20)을 막을 경우 상기 연장턱(21)의 걸림턱(21a)이 걸림구멍(11) 안으로 걸리게 되어 쉽게 탈출하지 못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지지다리를 끼워서 고정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반면 지지다리 대신에 이동용 바퀴를 끼워 이동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실내의 상황이나 분위기 또는 바닥의 상황에 따라 가장 편리하고 안전하며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화분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화분받침대를 들고 이동을 시킬 경우 손가락 끝에 통증을 느끼거나 상처를 입는 예를 완전히 예방할 수 있어 안전하고 편리하게 화분을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 가 있다.

Claims (1)

  1. 원형 또는 사각형 또는 타원형의 형태를 띠며 가장자리로 테두리 살(5)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1개 내지 2개의 배수구멍(2)이 형성되며, 하방의 물 받침통 레일(6)에는 물 받침통(7)이 조립되고, 저면에 형성된 보강리브(4)의 안쪽 3개소 내지 4개소에 형성된 지지다리삽입단(8)의 공간부(8a)를 이용하여 지지다리(3)의 삽입턱(3a)이 끼워지도록 지지다리(3)를 조립시킨 화분받침대(1)에 있어서,
    테두리 살(5)의 대향하는 2개소에 절개틈새(12)를 형성시키되 그 바닥은 손가락을 대고 화분받침대를 안전하게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평면단(10)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절개틈새(12)의 좌우측 면에는 걸림구멍(11)을 형성시켜 상기 절개틈새(12)를 커버링 하는 막음편(20)의 연장턱(21)에 형성된 걸림턱(21a)을 끼워서 조립시킬 수 있도록 하며, 지지다리삽입단(8)의 안쪽에는 이동용 바퀴(30)의 바퀴고정봉(31)을 끼울 수 있는 구멍(9a)을 가지는 보스(9)가 형성되도록 하되 보강살(9b)을 형성시켜 보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받침대.
KR2020060029179U 2006-11-02 2006-11-02 화분받침대 KR2004371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179U KR200437190Y1 (ko) 2006-11-02 2006-11-02 화분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179U KR200437190Y1 (ko) 2006-11-02 2006-11-02 화분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190Y1 true KR200437190Y1 (ko) 2007-11-08

Family

ID=41636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9179U KR200437190Y1 (ko) 2006-11-02 2006-11-02 화분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1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971A (ko) * 2018-02-20 2019-08-28 창신리빙(주) 복수의 분리수거통의 고정대
WO2020173615A1 (de) * 2019-02-25 2020-09-03 Dieter Leikermoser Plfanzentopf-untersetz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971A (ko) * 2018-02-20 2019-08-28 창신리빙(주) 복수의 분리수거통의 고정대
KR102063312B1 (ko) * 2018-02-20 2020-01-07 창신리빙(주) 복수의 분리수거통의 고정대
WO2020173615A1 (de) * 2019-02-25 2020-09-03 Dieter Leikermoser Plfanzentopf-untersetz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58509T3 (es) Sistema de alimentación para mascotas y método para recoger alimentos y agua derramados
US20160015208A1 (en) Cookware including lid having handle with utensil rest
KR200437190Y1 (ko) 화분받침대
US8916251B2 (en) Towel
US2592040A (en) Urinal attachment for nursery toilets
KR101357250B1 (ko) 상하이동형 화분 테이블
WO2001087126A1 (es) Mantel perfeccionado y dispositivo para fijar el faldon de dicho mantel
US2979118A (en) High chair construction
KR100798467B1 (ko) 책·걸상의 높이 조절장치
US6371298B1 (en) Adjustable cutting board apparatus
US9636281B2 (en) Bottle holder
WO2016059362A2 (en) Baby changing mat
US10130187B1 (en) Kneeler
US20080169254A1 (en) Adjustable shower caddy
US9883984B2 (en) Method and mechanism for securing a removable tray to a walker
ES2676039T3 (es) Mesa
KR200350495Y1 (ko) 물받침통이 내장된 화분
CN212771618U (zh) 一种置物篮
JP3114022U (ja) 孫の手
KR200446917Y1 (ko) 화분
CN205632303U (zh) 一种车内固定碗装置
CN205885348U (zh) 免蹲坐浴盆
US20190249492A1 (en) Cabinet assembly
JP3111336U (ja) 簡易型レイズドベッド
US10227763B2 (en) Vaginal shield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