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917Y1 - 화분 - Google Patents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917Y1
KR200446917Y1 KR20090009259U KR20090009259U KR200446917Y1 KR 200446917 Y1 KR200446917 Y1 KR 200446917Y1 KR 20090009259 U KR20090009259 U KR 20090009259U KR 20090009259 U KR20090009259 U KR 20090009259U KR 200446917 Y1 KR200446917 Y1 KR 2004469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main body
handle
present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092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다희
Original Assignee
김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다희 filed Critical 김다희
Priority to KR200900092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9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9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9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은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된 본체; 상기 내부공간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파티션; 및 상기 파티션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화분, 파티션, 손잡이

Description

화분{Flower pot}
본 고안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분의 내부공간을 다수개로 구분하여 하나의 화분으로 다수의 품종을 심을 수 있고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분은 내부공간이 구획되어 있지 않아 구획된 내부공간으로 다른 종류의 꽃이나 수목 등을 심을 수가 없었다.
또한, 화분의 손잡이는 화분의 상부 테두리 주변에만 마련되어 한손으로 이동시키기 어려우며 양손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여러 종의 꽃이나 수목을 심을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구획한 파티션이 구비되는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내부공간을 구획한 파티션에 손잡이를 마련하여 한손으로 이동하기 용이한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은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된 본체; 상기 내부공간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파티션; 및 상기 파티션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상기 파티션은 상기 본체와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상기 본체 또는 파티션 중 하나는 상기 파티션이 상기 본체로 슬라이딩 되는 레일이 형성되며, 다른 하나는 상기 레일에 끼워지는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상기 본체와 파티션은 상기 파티션이 상기 본체의 하단에 접할 때 상기 본체에서 상기 파티션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상기 손잡이는 파티션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손잡이는 손가락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손가락과 접촉하 는 부분은 고무 패딩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상기 손잡이는 상기 본체의 상면보다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상기 본체에 상기 파티션을 접착제로 고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화분에 의하면, 내부공간이 다수의 공간으로 용이하게 구획되어 하나의 화분에 다수의 다른 종류의 꽃이나 수목을 심을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화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내부공간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한 파티션의 중앙부에 손잡이를 마련함으로써, 한손으로도 수평을 유지한 채로 화분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부분 절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화분의 내부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10)은 본체(12), 파티션(20) 및 손잡이(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2)는 꽃이나 수목 등이 심어질 수 있는 토사가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부재이다. 상기 본체(12)의 저부에는 토사를 통과한 물이 흘러나가는 물빠짐 홀(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2)의 내주면에는 상기 본체(12)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파티션(20)이 일체형 또는 착탈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파티션(20)은 상기 내부공간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파티션(20)은 상기 본체(12)의 내부공간을 두 개로 구획하며, 상기 본체(12)의 측부에 있는 슬라이딩 레일(14)에 슬라이딩 되는 가이드(24)가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레일(14)이나 가이드(24)는 본체(12)와 파티션(20)에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파티션(20)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손잡이(40)는 화분(10)의 무게중심을 가운데로 둘 수 있으므로 한 손으로도 화분(10)을 용이하게 들 수 있다.
또한, 도 3의 A 부분에서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2)와 파티 션(20)은 상기 파티션(20)이 상기 본체(12)의 하단에 접할 때 상기 본체(12)에서 상기 파티션(2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16, 26)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16, 26)는 파티션(20)에서 돌출된 원형의 돌기(26)와 이를 수용하는 슬라이딩 레일(14)에 형성되는 돌기 홈(16)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 형상이나 개수 등은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40)는 파티션(20)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손잡이(40)는 손가락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고무패드(42)가 구비되어 장거리 이동에도 적합하다.
여기서, 손잡이(40)는 상기 본체(12)의 상면보다 위에 형성되어 꽃이나 수목 등을 심은 경우에도 용이하게 손잡이(40)를 잡을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파티션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파티션(20)은 본체(12)의 내부공간을 4개로 구획할 수 있다. 이때, 파티션(20)은 퍼즐 형태로 3개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도 있다. 한편, 이 경우 손잡이(40)는 파티션(20) 외부에 달 수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제조모습을 도시한 개략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체(12)의 내부공간에 파티션(20)을 대고 글루건(80)을 이용하여 접착제로 상기 파티션(20)의 외측면과 본체(12)의 내면을 접착할 수 있 다.
본 고안의 화분에 의하면, 내부공간이 다수의 공간으로 용이하게 구획되어 하나의 화분에 다수의 다른 종류의 꽃이나 수목을 심을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화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내부공간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한 파티션의 중앙부에 손잡이를 마련함으로써, 한손으로도 수평을 유지한 채로 화분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부분 절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화분의 내부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파티션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제조모습을 도시한 개략 부분 절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화분 12: 본체
20: 파티션 40: 손잡이

Claims (8)

  1.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된 본체;
    상기 내부공간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파티션; 및
    상기 파티션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파티션은 상기 본체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본체 또는 파티션 중 하나는 상기 파티션이 상기 본체로 슬라이딩 되는 레일이 형성되며,
    다른 하나는 상기 레일에 끼워지는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 파티션은 상기 파티션이 상기 본체의 하단에 접할 때 상기 본체에서 상기 파티션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파티션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손잡이는 손가락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손가락과 접촉하는 부분은 고무 패딩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3개 이상으로 구획하되, 상기 파티션은 퍼즐의 형태로 체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7. 제1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본체의 상면보다 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상기 파티션을 접착제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KR20090009259U 2009-07-16 2009-07-16 화분 KR2004469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9259U KR200446917Y1 (ko) 2009-07-16 2009-07-16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9259U KR200446917Y1 (ko) 2009-07-16 2009-07-16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917Y1 true KR200446917Y1 (ko) 2009-12-09

Family

ID=46018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09259U KR200446917Y1 (ko) 2009-07-16 2009-07-16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9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289B1 (ko) * 2016-12-08 2018-06-07 숲에인 주식회사 분갈이용 화분세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742U (ko) * 1990-07-23 1992-03-25
KR970002848Y1 (ko) * 1994-06-16 1997-04-03 주식회사 명진산업 포트 운반용기
JP2000060308A (ja) * 1998-08-21 2000-02-29 Kyoko Sanpei 着脱可能仕切り付プランタ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742U (ko) * 1990-07-23 1992-03-25
KR970002848Y1 (ko) * 1994-06-16 1997-04-03 주식회사 명진산업 포트 운반용기
JP2000060308A (ja) * 1998-08-21 2000-02-29 Kyoko Sanpei 着脱可能仕切り付プランタ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289B1 (ko) * 2016-12-08 2018-06-07 숲에인 주식회사 분갈이용 화분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3083U (ja) 植木鉢構造
KR200446917Y1 (ko) 화분
KR200405109Y1 (ko) 다용도 어항
CN105052603A (zh) 一种滴灌式的陶瓷花盆
KR102153235B1 (ko) 화분유닛
JP6648066B2 (ja) 植栽容器
JP5916085B2 (ja) プランター付水槽装置
TWI599513B (zh) Ecological floating island device
US20150052808A1 (en) Gardening box
US20230063060A1 (en) Self-Watering Pot Base and Method for Using Thereof
KR20100008902U (ko) 개량화분
CN205884149U (zh) 组合式植栽盆
TWM520797U (zh) 改良型吸水栽培容器
KR200481862Y1 (ko) 벽면 녹화를 위한 식물용 지주
JP7160556B2 (ja) 潅水トレー
KR20110011906U (ko) 서랍이 내장된 화분
KR200464308Y1 (ko) 물구멍 없는 화분용 토양 받침판
KR101226840B1 (ko) 수분공급부를 구비한 화분
KR100698609B1 (ko) 심지 급수형 화분
KR20190002516U (ko) 화분
JP3120686U (ja) ココヤシ製球根植え付け用トレー
TWM497918U (zh) 花盆結構
JP4838376B2 (ja) 底板分離式コンテナ
CN211323594U (zh) 一种人宠互动茶几
KR200470194Y1 (ko) 이중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