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023B1 -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 - Google Patents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023B1
KR102063023B1 KR1020180055996A KR20180055996A KR102063023B1 KR 102063023 B1 KR102063023 B1 KR 102063023B1 KR 1020180055996 A KR1020180055996 A KR 1020180055996A KR 20180055996 A KR20180055996 A KR 20180055996A KR 102063023 B1 KR102063023 B1 KR 102063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se
meter
plu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1297A (ko
Inventor
정년기
박석준
임아리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55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023B1/ko
Publication of KR20190131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는: 케이스; 케이스에 고정되는 제1단자부; 케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단자부; 제2단자부와 접촉되는 금속판부; 제1단자부와 제2단자부에 각각 장착되고, 자력을 생성하는 자성체부; 및 제1단자부와 제2단자부에 자성체부의 자력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계량기의 전극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MULTI-PLUG FOR MEASURING INSTRUMENT}
본 발명은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계량기에 전원 연결 가능한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계량기는 그 종류가 다양하고 각 계약전력 및 사용용도에 따라 적용되는 계량방식이 다르다. 따라서 계량기를 분출할 경우 그 계량기 타입에 따른 세팅 절차를 필요로 한다. 이 세팅 절차 중 꼭 거쳐야 하는 과정은 전원 투입 과정이다.
종래 기술의 플러그에서 계량기에 접속되는 부분의 구리선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플러그는 계량기의 세팅 이후 해체 시 작업자가 실수로 멀티탭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전선을 계량기에서 분리할 경우 외부에 노출된 구리선인 두 가닥 전선이 접촉되면서 감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25047호(2005.10.24 등록, 발명의 명칭: 가변조정 멀티전원플러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계량기에 전원 연결 가능한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제1단자부; 상기 케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단자부; 상기 제2단자부와 접촉되는 금속판부; 상기 제1단자부와 상기 제2단자부에 각각 장착되고, 자력을 생성하는 자성체부; 및 상기 제1단자부와 상기 제2단자부에 상기 자성체부의 자력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계량기의 전극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일측이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고, 타측이 상기 금속판부를 지지하며, 상기 금속판부가 상기 제2단자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금속판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는, 케이스 몸체부; 상기 제2단자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 몸체부의 일측에 개구되게 형성되는 단자이동경로부; 및 상기 제2단자부의 이동을 상기 케이스 몸체부의 외측에서 조정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 몸체부의 타측에 개구되게 형성되는 단자이동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단자부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단자이동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제2단자부를 이동시키는 단자이동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자이동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는 손잡이부; 일단이 상기 제2단자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손잡이부에 고정되며, 상기 단자이동가이드부를 이동하는 연결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제1단자부와 상기 제2단자부에 각각 결합되는 커넥터 몸체부; 및 상기 커넥터 몸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극부의 외측면을 잡고 상기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집게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에 의하면, 다양한 계량기에 전원 연결이 가능하여 계량기의 종류에 구속되지 않고 자유롭게 연결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측의 단자가 고정되고, 타측의 단자가 이동 가능하여, 일측의 단자에 연결된 전선과 타측에 연결된 전선 간의 감전 사고의 발생이 방지되고, 안정적인 계량기 세팅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자에 자력을 구비한 자성체를 장착하여 계량기의 볼트를 풀지 않고 바로 연결 가능하여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자에 집게 형상의 커넥터가 연결되어 계량기에 접속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에서 커넥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에서 커넥터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에서 커넥터부가 계량기에 접촉되기 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에서 커넥터부가 계량기에 접촉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에서 커넥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에서 커넥터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에서 커넥터부가 계량기에 접촉되기 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에서 커넥터부가 계량기에 접촉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는 케이스(10), 제1단자부(20), 제2단자부(30), 금속판부(40), 탄성부(50), 단자이동부(60), 자성체부(70), 커넥터부(80)를 포함한다.
케이스(10)는 내부가 비게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 공간에 제1단자부(20), 제2단자부(30), 금속판부(40), 탄성부(50), 단자이동부(60), 자성체부(70) 등을 수용한다. 케이스(10)는 케이스 몸체부(11), 단자이동경로부(13), 단자이동가이드부(15)를 포함한다.
케이스 몸체부(11)는 내부가 비게 형성되는 것으로, 케이스 수용부(11a)와 케이스 커버부(11b)를 포함한다. 케이스 수용부(11a)는 내부가 비고, 일면(도 2 기준 상측면)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케이스 수용부(11a)의 내부 공간에 제1단자부(20), 제2단자부(30), 금속판부(40), 탄성부(50), 단자이동부(60), 자성체부(70)가 수용된다. 케이스 수용부(11a)의 타면(도 2 기준 좌측면)에는 제2단자부(30)가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단자이동경로부(13)가 개구되게 형성된다. 케이스 수용부(11a)에는 제1단자부(20)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케이스 커버부(11b)는 개구된 케이스 수용부(11a)의 일면(도 2 기준 상측면)을 개폐한다. 케이스 커버부(11b)에는 단자이동부(60)가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단자이동가이드부(15)가 형성된다.
단자이동경로부(13)는 케이스 몸체부(11)의 케이스 수용부(11a)의 일측(도 2 기준 좌측)에 케이스 몸체부(11)의 케이스 수용부(11a)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되게 형성된다. 단자이동경로부(13)는 제2단자부(30)가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제2단자부(3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단자이동가이드부(15)는 케이스 몸체부(11)의 케이스 커버부(11b)에 케이스 몸체부(11)의 케이스 커버부(11b)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되게 형성된다. 단자이동가이드부(15)는 단자이동부(60)가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단자이동부(60)의 연결부(61)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단자이동가이드부(15)는 단자이동부(60)의 연결부(61)의 이동 경로 상에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동하는 단자이동부(60)의 연결부(61)와의 접촉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자이동가이드부(15)는 단자이동부(60)의 연결부(61)와 접촉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한 플라스틱 등의 재질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단자부(20)는 케이스(10)의 케이스 몸체부(11)의 케이스 수용부(11a)에 고정되게 배치된다. 제1단자부(20)는 제1전선(91)에 의해 전원부(90)와 연결된다. 전원부(90)는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제2단자부(30)는 케이스(10)의 케이스 몸체부(11)의 케이스 수용부(11a)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2단자부(30)는 단자이동경로부(13)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단자부(30)는 금속판부(40)에 접촉되고, 금속판부(40)에 연결된 제2전선(93)에 의해 전원부(90)와 연결된다. 제2단자부(30)는 단자이동부(60)에 의해 금속판부(40) 상에서 이동 거리(D) 만큼 이동 가능하다. 이때 금속판부(40)는 탄성부(50)에 의해 제2단자부(3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동 거리(D)는 계량기(200)의 전극부(100)에 삽입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도 8 및 도 9 참조).
제1단자부(20)와 제2단자부(30)는 각각 원기둥형으로 형성된다. 제1단자부(20)와 제2단자부(30)는 원기둥형으로 형성되어 계량기(200)의 단자(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제1단자부(20)와 제2단자부(30)의 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계량기(200)의 단자에 접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판부(40)는 제2단자부(30)에 접촉되는 사각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지고,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금속판부(40)에 의해 전원부(90)의 전원이 제2단자부(30)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부(40)는 전기 전달이 우수한 구리, 알루미늄 등의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탄성부(50)는 일측(도 2 기준 하측)이 케이스(10)의 케이스 수용부(11a)의 하부면을 지지하고, 타측(도 2 기준 상측)이 금속판부(40)의 하부면을 지지한다. 탄성부(50)는 금속판부(40)가 제2단자부(3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금속판부(4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탄성부(50)는 코일 스프링(coiled spring), 판 스프링(leaf spring)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단자이동부(60)는 제2단자부(30)에 연결되고, 케이스(10)의 외측(도 1 기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단자이동부(60)는 제2단자부(30)의 고정홈부(35)에 삽입 고정되어, 제2단자부(30)를 단자이동가이드부(15)에서 이동시킨다.
단자이동부(60)는 연결부(61), 손잡이부(63), 미끄럼방지부(65)를 포함한다. 연결부(61)는 일단부(도 2 기준 하단부)가 고정홈부(35)에 삽입 고정되고, 타단부(도 2 기준 상단부)가 손잡이부(63)에 고정되는 것으로, 봉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부(61)는 단자이동가이드부(15)의 요철 형상에 접촉된다.
손잡이부(63)는 연결부(61)에 고정되고, 케이스(1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작업자는 손잡이부(63)를 잡고 단자이동가이드부(15)를 따라 이동시킨다. 손잡이부(63)의 이동에 의해, 제2단자부(30)가 단자이동경로부(13)를 따라 이동된다.
미끄럼방지부(65)는 손잡이부(63)의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손잡이부(63)를 잡고 단자이동부(60)를 이동시킬 때, 다수의 돌기에 의해 마찰력을 향상시켜 손잡이부(63)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자성체부(70)는 제1단자부(20)와 제2단자부(30)의 내부에 각각 삽입 장착되고, 자력을 구비하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자성체부(70)의 자력에 의해 제1단자부(20)와 제2단자부(30)가 계량기(200)에 견고하게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에서, 케이스(10), 제1단자부(20), 제2단자부(30), 금속판부(40), 탄성부(50), 단자이동부(60), 자성체부(70) 등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하기에서 커넥터부(80)에 관한 설명을 개시한다. 커넥터부(80)는 제1단자부(20)와 제2단자부(30)에 자성체부(70)의 자력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넥터부(80)는 계량기(200)의 전극부(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극부(100)와의 접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커넥터부(80)는 커넥터 몸체부(81)와 집게부(83)를 포함한다.
커넥터 몸체부(81)는 제1단자부(20)와 제2단자부(30) 각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넥터 몸체부(81)의 일단부(도 6 기준 우측단부)에는 제1단자부(20)와 제2단자부(30) 각각의 외주면을 감싸고 수용하는 수용홈부(82)가 형성된다. 수용홈부(82)는 제1단자부(20)와 제2단자부(30)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즉, 제1단자부(20)와 제2단자부(30)는 수용홈부(82)에 압입 결합된다.
커넥터 몸체부(81)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자성체부(70)의 자력에 의해 제1단자부(20)와 제2단자부(30)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넥터 몸체부(81)가 자성체부(70)의 자력에 의해 제1단자부(20)와 제2단자부(30)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수용홈부(82)에 제1단자부(20)와 제2단자부(30)에 각각 수용되고 압입 결합됨으로써, 제1단자부(20)와 제2단자부(30)에 커넥터부(80)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집게부(83)는 커넥터 몸체부(81)의 타단부(도 6 기준 좌측단부)에 장착되고, 이격 가능한 탄성력을 구비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집게부(83)의 구조는 이격 가능한 일반적인 집게의 구조에 따른다.
집게부(83)는 이격되어 계량기(200)의 전극부(100)의 외측면을 잡고, 전극부(100)에 각각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극부(100)는 제1전극부(110) 내지 제4전극부(140)를 포함한다. 제1전극부(110), 제2전극부(120), 제3전극부(130), 제4전극부(140)는 계량기(200)에 각각 다르게 배치된 전극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극부(100)는 제1전극부(110) 내지 제4전극부(140)의 갯수에 한정되지 않고, 계량기(200)의 종류에 따라 갯수는 변경될 수 있다.
단자이동부(60)에 의해 제2단자부(30)가 접촉하고자 하는 제1전극부(110) 내지 제4전극부(140) 중 해당 전극부(110~140)로 이동된다. 제2단자부(30)에 결합된 커넥터부(80)는 해당 전극부(100)(제1전극부(110) 내지 제4전극부(140) 중 해당 전극)에 접촉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에 의하면, 다양한 계량기(200)에 전원 연결이 가능하여 계량기(200)의 종류에 구속되지 않고 자유롭게 연결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단자부(20)가 고정되고, 제2단자부(30)가 이동 가능하여, 제1단자부(20)에 연결된 제1전선(91)과 금속판부(40)에 의해 제2단자부(30)에 연결된 제2전선(93) 간의 감전 사고 발생이 방지되고, 안정적으로 계량기 (200) 세팅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단자부(20)와 제2단자부(30)에 자력을 구비한 자성체부(70)를 장착하여 계량기(200)의 볼트를 풀지 않고 바로 연결 가능하여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단자부(20)와 제2단자부(30)에 집게 형상의 커넥터부(80)가 연결되어 계량기(200)에 전극부(100)에 접속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케이스 11: 케이스 몸체부
11a: 케이스 수용부 11b: 케이스 커버부
13: 단자이동경로부 15: 단자이동가이드부
20: 제1단자부 30: 제2단자부
35: 고정홈부 40: 금속판부
50: 탄성부 60: 단자이동부
61: 연결부 63: 손잡이부
65: 미끄럼방지부 70: 자성체부
80: 커넥터부 81: 커넥터 몸체부
82: 수용홈부 83: 집게부
90: 전원부 91: 제1전선
93: 제2전선 100: 전극부
110: 제1전극부 120: 제2전극부
130: 제3전극부 140: 제4전극부
200: 계량기

Claims (6)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제1단자부;
    상기 케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단자부;
    상기 제2단자부와 접촉되는 금속판부;
    상기 제1단자부와 상기 제2단자부에 각각 장착되고, 자력을 생성하는 자성체부;
    상기 제1단자부와 상기 제2단자부에 상기 자성체부의 자력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계량기의 전극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부; 및
    일측이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고, 타측이 상기 금속판부를 지지하며, 상기 금속판부가 상기 제2단자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금속판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케이스 몸체부;
    상기 제2단자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 몸체부의 일측에 개구되게 형성되는 단자이동경로부; 및
    상기 제2단자부의 이동을 상기 케이스 몸체부의 외측에서 조정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 몸체부의 타측에 개구되게 형성되는 단자이동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자부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단자이동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제2단자부를 이동시키는 단자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이동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는 손잡이부;
    일단이 상기 제2단자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손잡이부에 고정되며, 상기 단자이동가이드부를 이동하는 연결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
  6.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제1단자부;
    상기 케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단자부;
    상기 제2단자부와 접촉되는 금속판부;
    상기 제1단자부와 상기 제2단자부에 각각 장착되고, 자력을 생성하는 자성체부; 및
    상기 제1단자부와 상기 제2단자부에 상기 자성체부의 자력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계량기의 전극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제1단자부와 상기 제2단자부에 각각 결합되는 커넥터 몸체부; 및
    상기 커넥터 몸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극부의 외측면을 잡고 상기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집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
KR1020180055996A 2018-05-16 2018-05-16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 KR102063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996A KR102063023B1 (ko) 2018-05-16 2018-05-16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996A KR102063023B1 (ko) 2018-05-16 2018-05-16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297A KR20190131297A (ko) 2019-11-26
KR102063023B1 true KR102063023B1 (ko) 2020-01-07

Family

ID=68731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996A KR102063023B1 (ko) 2018-05-16 2018-05-16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0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534B1 (ko) * 2021-11-08 2023-09-2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전기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8498A (ja) * 2007-02-13 2008-08-28 Hackberry Co Ltd 海外コンセント用変換プラグ
JP2010256056A (ja) * 2009-04-22 2010-11-1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端子台の接続具
KR101030727B1 (ko) 2009-10-28 2011-04-26 조규행 전기계량기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9433B2 (ja) * 1993-09-30 2002-06-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8498A (ja) * 2007-02-13 2008-08-28 Hackberry Co Ltd 海外コンセント用変換プラグ
JP2010256056A (ja) * 2009-04-22 2010-11-1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端子台の接続具
KR101030727B1 (ko) 2009-10-28 2011-04-26 조규행 전기계량기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297A (ko)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3063B1 (ko) 모듈 커넥터
KR102048544B1 (ko) 자석 와이어에 하니스를 접속하기 위한 어댑터
US9847591B2 (en) Electric terminal assembly
KR102231028B1 (ko) 지지 요소에 수용된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전기장치
CN110431716B (zh) 具有免螺丝连接端子的电气布线装置
US5305547A (en) Electrical connector arrangement
JP6276157B2 (ja) プラグコネクタ
US9184534B1 (en) Over-mold strain relief for an electrical power connector
CN106961037B (zh) 一种使用点触式电连接器接触件的电连接器
JP2020518099A (ja) コンタクトインサート及び接地要素を有するコネクタ部材のためのアセンブリ
KR102063023B1 (ko) 계량기용 멀티 플러그
US11978982B2 (en) Contact carrier and plug connector for a shielded hybrid contact assembly
US4082940A (en) Soldering iron with replaceable heating element and a grounded handle and components thereof
US20060246783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5933697B2 (ja) 基準状態における接触バネの位置決めするための保持手段を備えた電気接続デバイス
JPH04319275A (ja) 差込みコネクタ
NO123088B (ko)
TWM499677U (zh) 具有防干擾機制的探針式連接器
US20190067977A1 (en) Magnetic charging device capable of wireless charging
CN109586121B (zh) 插头装置以及配电系统
US9847613B2 (en) Connector and contact
CN215497421U (zh) 电极连接器
CN210779343U (zh) 一种插座
JP4767153B2 (ja) プラグ取り外し工具
CN105720384B (zh) 导线端子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