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010B1 - 플립형 선반 - Google Patents

플립형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010B1
KR102063010B1 KR1020190088239A KR20190088239A KR102063010B1 KR 102063010 B1 KR102063010 B1 KR 102063010B1 KR 1020190088239 A KR1020190088239 A KR 1020190088239A KR 20190088239 A KR20190088239 A KR 20190088239A KR 102063010 B1 KR102063010 B1 KR 102063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pair
vertical
support
f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소진
임상혁
Original Assignee
정소진
임상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소진, 임상혁 filed Critical 정소진
Priority to KR1020190088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0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folding of the cabinet or the like
    • A47B43/003Suspended shelves, e.g. by means of supple elements
    • A47B43/006Suspended shelves, e.g. by means of supple elements fixed on cords, cables, wire o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of metal only
    • A47B47/0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of metal only with panels separate from the frame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제1 선반과 제2 선반을 수평 배열 구조, 다단 수직 배열 구조 간에 전환(플립)할 수 있는 플립형 선반(Flip type rack)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선반은 제1 수평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 지지대로부터 제2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 수평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수직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 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제2 수직 지지대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선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 선반; 상기 제1 수평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3 수직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제3 수직 지지대로부터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 수평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4 수직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제3 수직 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제4 수직 지지대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선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2 선반; 및 상기 제2 선반을 상기 제1 선반의 측방 위치와 상기 제1 선반의 상부 위치 간에 플립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3 수직 지지대의 일단을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 지지대의 상단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플립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립형 선반{Flip type rack}
본 발명은 플립형 선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선반과 제2 선반의 배열 구조를 수평 배열 구조와 다단 수직 배열 구조 간에 전환(플립)할 수 있는 플립형 선반(Flip type rack)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rack)은 가정의 방이나, 거실, 상점, 기업, 공공 기관 등의 다양한 수요처에서 책이나 의류, 상품, 서류, 화분, 장난감, 각종 전시품이나 크고 작은 물건들을 진열하는 등의 다양한 용도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종래의 선반은 크기와 형태가 고정되어 있어서 선반의 사용 환경이나 용도 또는 목적 등이 변경되는 경우에 사용하기 부적합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선반은 제한된 좁은 공간 내에 설치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많은 공간을 차지하여 공간 활용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다른 예로, 높이가 높은 선반은 계단 아래의 공간에 설치가 어려울 수 있으며, 벽에 설치된 다른 구조물과의 간섭으로 인해 설치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종래의 선반은 선반의 운반이나 보관 시에 많은 부피를 차지하여 운반, 보관이 어렵고, 운반, 보관에 소요되는 비용도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은 제1 선반과 제2 선반을 수평 배열형 다단 수직 배열형 간에 전환(플립)할 수 있는 플립형 선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반을 원하는 플립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플립형 선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폴딩(folding) 상태로 접을 수 있는 플립형 선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단 선반 플레이트의 완전한 폴딩이 가능하고, 폴딩 상태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플립형 선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플립형 선반은, 제1 수평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 지지대로부터 제2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 수평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수직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 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제2 수직 지지대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선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 선반; 상기 제1 수평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3 수직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제3 수직 지지대로부터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 수평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4 수직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제3 수직 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제4 수직 지지대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선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2 선반; 및 상기 제2 선반을 상기 제1 선반의 측방 위치와 상기 제1 선반의 상부 위치 간에 플립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3 수직 지지대의 일단을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 지지대의 상단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플립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플립 지지부는,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1 플립 몸체; 상기 제3 수직 지지대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2 플립 몸체; 및 일측이 제1 힌지에 의해 상기 제1 플립 몸체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2 힌지에 의해 상기 제2 플립 몸체에 결합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립 몸체의 상면과 상기 제2 플립 몸체의 상면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 선반이 상기 제1 선반의 상부 위치로 플립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선반은, 상기 제2 선반이 상기 제1 선반의 상부 위치로 플립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4 수직 지지대를 상기 한 쌍의 제2 수직 지지대 상에 정렬된 상태로 고정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선반을 상기 제1 선반의 측방 위치로 플립시키기 위해 상기 한 쌍의 제4 수직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제2 수직 지지대 간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잠금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선반은 상기 한 쌍의 제2 수직 지지대 간에 고정되는 제1 수평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선반은 상기 한 쌍의 제4 수직 지지대 간에 고정되는 제2 수평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제1 수평 지지대 및 상기 제2 수평 지지대 중의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잠금 돌기; 및 상기 제1 수평 지지대 및 상기 제2 수평 지지대 중의 다른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선반이 상기 제1 선반의 상부 위치로 플립된 상태에서 상기 잠금 돌기에 끼워지는 삽입홈을 가지는 잠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직 지지대의 상면 및 상기 제4 수직 지지대의 선단면 중의 어느 하나에는 제2 결합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 선반이 상기 제1 선반의 상부 위치로 플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결합홈에 삽입되는 제2 결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선반 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 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제2 수직 지지대에 폴딩 상태로 접힐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 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제2 수직 지지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선반 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제3 수직 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제4 수직 지지대에 폴딩 상태로 접힐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3 수직 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제4 수직 지지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선반은, 상기 제2 선반이 상기 제1 선반의 측방 위치 또는 상부 위치에 플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선반 플레이트가 상기 폴딩 상태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간을 고정시키는 제1 폴딩 방지 장치; 및 상기 제2 선반이 상기 제1 선반의 측방 위치 또는 상부 위치에 플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선반 플레이트가 상기 폴딩 상태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3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4 수직 지지대 간을 고정시키는 제2 폴딩 방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폴딩 방지 장치 및 상기 제2 폴딩 방지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에 연결되는 제1 고정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에 연결되는 제2 고정대; 상기 제1 고정대와 상기 제2 고정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 스프링; 상기 제1 고정대 및 상기 제2 고정대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제1 고정 돌기; 및 상기 제1 고정대 및 상기 제2 고정대 중 다른 하나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고정 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제1 결합홈을 가지는 제1 고정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선반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에 연결되는 힌지의 높이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에 연결되는 힌지의 높이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2 선반 플레이트는 상기 제3 수직 지지대에 연결되는 힌지의 높이와 상기 제4 수직 지지대에 연결되는 힌지의 높이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선반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수직 지지대에 연결되는 힌지의 높이가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에 연결되는 힌지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제2 선반이 상기 제1 선반의 측방 위치에 플립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선반 플레이트는 상기 제4 수직 지지대에 연결되는 힌지의 높이가 상기 제3 수직 지지대에 연결되는 힌지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제1 선반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수직 지지대 및 상기 제2 수직 지지대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선반 플레이트는 상기 제3 수직 지지대 및 상기 제4 수직 지지대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 선반 플레이트는 높이가 낮을수록 상기 제1 수직 지지대 및 상기 제2 수직 지지대에 연결되는 힌지의 상기 제1 선반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하는 상대 높이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2 선반 플레이트는 높이가 낮을수록 상기 제3 수직 지지대 및 상기 제4 수직 지지대에 연결되는 힌지의 상기 제2 선반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하는 상대 높이가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선반과 제2 선반을 수평 배열형 다단 수직 배열형 간에 전환(플립)할 수 있는 플립형 선반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선반을 원하는 플립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플립형 선반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폴딩(folding) 상태로 접을 수 있는 플립형 선반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단 선반 플레이트의 완전한 폴딩이 가능하고, 폴딩 상태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플립형 선반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선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선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선반을 구성하는 제2 선반이 제1 선반의 상부 위치로 플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플립형 선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플립형 선반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플립형 선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플립형 선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A'부의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선반을 구성하는 플립 지지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의 'B'부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선반을 구성하는 잠금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선반을 구성하는 폴딩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선반을 구성하는 선반 플레이트의 힌지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선반을 구성하는 선반 플레이트의 폴딩 시 위치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선반이 폴딩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선반이 완전히 폴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선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선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선반을 구성하는 제2 선반이 제1 선반의 상부 위치로 플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플립형 선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플립형 선반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플립형 선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플립형 선반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선반(10)은 제1 선반(100), 제2 선반(200), 플립 지지부(300), 잠금 장치(400), 및 폴딩 방지 장치(500, 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선반(100)과 제2 선반(200)은 플립 지지부(3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2 선반(200)은 플립 지지부(300)에 의해 제1 선반(100)의 측방 위치(P1)와, 제1 선반(100)의 상부 위치(P2) 간에 플립(flip)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플립형 선반(10)의 제2 선반(200)이 제1 선반(100)의 측방 위치(P1)로 플립되어 제1 선반(100)과 제2 선반(200)이 수평으로 나란하게 배열된 '수평 플립'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7은 플립형 선반(10)의 제2 선반(200)이 제1 선반(100)의 상부 위치(P2)로 플립되어 제1 선반(100)과 제2 선반(200)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수직 플립'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선반(100)과 제2 선반(200)은 좌우 대칭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선반(100)은 한 쌍의 제1 수직 지지대(120)와, 한 쌍의 제2 수직 지지대(140)와, 복수의 제1 선반 플레이트(160a, 160b), 한 쌍의 제1 수평 지지대(170a, 170b) 및 한 쌍의 제2 수평 지지대(180a, 180b)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수직 지지대(120)는 제1 수평 방향(X)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Z)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수직 지지대(140)는 한 쌍의 제1 수직 지지대(120)로부터 제1 수평 방향(X)과 수직한 제2 수평 방향(Y)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수직 지지대(140)는 제1 수평 방향(X)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Z)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선반 플레이트(160a, 160b)는 상하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한 쌍의 제1 수직 지지대(120) 및 한 쌍의 제2 수직 지지대(140)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선반 플레이트(160a, 160b)의 네 모서리는 각각 제1 수직 지지대(120) 및 제2 수직 지지대(140)에 힌지(166a, 166b, 168a, 168b)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수평 지지대(170a, 170b)는 각각 한 쌍의 제1 수직 지지대(120)의 하단부와 상단부에 제1 수평 방향(X)으로 배치되어, 한 쌍의 제1 수직 지지대(120) 간에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수평 지지대(180a, 180b)는 각각 한 쌍의 제2 수직 지지대(140)의 하단부와 상단부에 제1 수평 방향(X)으로 배치되어, 한 쌍의 제2 수직 지지대(140) 간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선반(200)은 한 쌍의 제3 수직 지지대(220)와, 한 쌍의 제4 수직 지지대(240)와, 복수의 제2 선반 플레이트(260a, 260b), 한 쌍의 제3 수평 지지대(270a, 270b) 및 한 쌍의 제4 수평 지지대(280a, 280b)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3 수직 지지대(220)는 제1 수평 방향(X)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Z)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4 수직 지지대(240)는 한 쌍의 제3 수직 지지대(220)로부터 제1 수평 방향(X)과 수직한 제2 수평 방향(Y)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4 수직 지지대(240)는 제1 수평 방향(X)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Z)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선반 플레이트(260a, 260b)는 상하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한 쌍의 제3 수직 지지대(220) 및 한 쌍의 제4 수직 지지대(240)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선반 플레이트(260a, 260b)의 네 모서리는 각각 제3 수직 지지대(220) 및 제4 수직 지지대(240)에 힌지(266a, 266b, 268a, 268b)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3 수평 지지대(270a, 270b)는 각각 한 쌍의 제3 수직 지지대(220)의 하단부와 상단부에 제1 수평 방향(X)으로 배치되어, 한 쌍의 제3 수직 지지대(220) 간에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제4 수평 지지대(280a, 280b)는 각각 한 쌍의 제4 수직 지지대(240)의 하단부와 상단부에 제1 수평 방향(X)으로 배치되어, 한 쌍의 제4 수직 지지대(240) 간에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제3 수평 지지대(220) 간의 이격 거리는 한 쌍의 제1 수평 지지대(120) 간의 이격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4 수평 지지대(240) 간의 이격 거리는 한 쌍의 제2 수평 지지대(140) 간의 이격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수평 지지대(220)와 제4 수평 지지대(240) 간의 이격 거리는 제1 수평 지지대(120)와 제2 수평 지지대(140) 간의 이격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선반 플레이트(160a, 160b)는 제1 및 제2 수직 지지대(120, 140)에 힌지 결합되어 제2 방향(Y)으로 배열되는 한 쌍의 제1 선반틀(162)과, 한 쌍의 제1 선반틀(162) 사이에 슬라이드 구조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 선반 플레이트 부재(1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선반 플레이트(260a, 260b)는 제3 및 제4 수직 지지대(220, 240)에 힌지 결합되어 제2 방향(Y)으로 배열되는 한 쌍의 제2 선반틀(262)과, 한 쌍의 제 선반틀(262) 사이에 슬라이드 구조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 선반 플레이트 부재(26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수직 지지대(120) 사이와, 한 쌍의 제2 수직 지지대(140) 사이와, 한 쌍의 제3 수직 지지대(220) 사이, 그리고 한 쌍의 제4 수직 지지대(240) 사이에는 각각 보조 지지대(130, 150, 230, 250)가 'X'자로 교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수평 플립 상태를 기준으로, 제1 수직 지지대(120)의 하단, 제2 수직 지지대(140)의 하단, 제3 수직 지지대(220)의 하단, 제4 수직 지지대(240)의 하단에는 제1 지지 부재(120a, 140a)와 제2 지지 부재(220a, 240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120a, 140a, 220a, 240a)는 제1 선반(100)과 제2 선반(200)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소재, 또는 플립형 선반(10)이 설치되는 바닥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소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직 지지대(140)의 상단에는 제3 지지부재(140b)가 형성될 수 있다. 제4 수직 지지대(240)의 상단에는 제4 지지부재(240b)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지지부재(140b)의 상면과 제4 지지부재(240b)의 상면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 돌기(142)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결합 돌기(142)와 동일한 형상의 결합홈(24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선반(200)이 제1 선반(100)의 상부 위치(P2)로 플립되었을 때 제3 지지부재(140b)와 제4 지지부재(240b)에 형성된 결합 돌기(142)와 결합홈(242)이 계합되어 제1 선반(100)과 제2 선반(200)이 정확하게 수직하게 배열된 상태로 정렬될 수 있다.
플립 지지부(300)는 제2 선반(200)을 제1 선반(100)의 측방 위치(P1)와 제1 선반(100)의 상부 위치(P2) 간에 플립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제3 수직 지지대(220)의 일단을 한 쌍의 제1 수직 지지대(120)의 상단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A'부의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선반을 구성하는 플립 지지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플립 지지부(300)는 제1 플립 몸체(320)와, 제2 플립 몸체(340) 및 연결 부재(3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립 몸체(320)는 제1 수직 지지대(12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립 몸체(340)는 제3 수직 지지대(22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부재(360)는 제1 플립 몸체(320)와 제2 플립 몸체(340)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어 일측이 제1 힌지(362)에 의해 제1 플립 몸체(3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제2 힌지(364)에 의해 제2 플립 몸체(3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플립 몸체(320)와 제2 플립 몸체(340)의 마주보는 상부 모서리부는 제1 선반(100)과 제2 선반(200)의 플립 전환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곡면부(324, 344)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립 몸체(320)의 상면과 제2 플립 몸체(340)의 상면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홈(322)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결합홈(322)과 동일한 형상의 결합 돌기(34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선반(200)이 제1 선반(100)의 상부 위치(P2)로 플립되었을 때 제1 플립 몸체(320)와 제2 플립 몸체(340)에 형성된 결합홈(322)과 결합 돌기(342)가 계합되어 제1 선반(100)과 제2 선반(200)이 정확하게 수직하게 배열된 상태로 정렬될 수 있다.
도 9는 도 3의 'B'부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선반을 구성하는 잠금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 도 9를 참조하면, 잠금 장치(400)는 제2 선반(200)을 제1 선반(100)의 상부 위치(P2)에 플립된 상태로 고정시키거나, 잠금 해제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잠금 장치(400)는 제2 선반(200)이 제1 선반(100)의 상부 위치(P2)로 플립된 상태에서 한 쌍의 제4 수직 지지대(240)를 한 쌍의 제2 수직 지지대(140) 상에 정렬된 상태로 고정시키거나, 제2 선반(200)을 제1 선반(100)의 측방 위치(P1)로 플립시키기 위해 한 쌍의 제4 수직 지지대(240)와 한 쌍의 제2 수직 지지대(140) 간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잠금 장치(400)는 제2 수직 지지대(14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2 수평 지지대(180b)에 돌출 형성되는 잠금 돌기(420)와, 제4 수직 지지대(24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4 수평 지지대(280b)에 마련되는 잠금 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부재(440)는 힌지(444)에 의해 제4 수평 지지대(280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잠금 부재(440)는 잠금 돌기(420)가 끼워지는 삽입홈(442)을 가질 수 있다.
제2 선반(200)이 제1 선반(100)의 상부 위치(P2)에 플립된 상태에서 잠금 부재(440)의 삽입홈(442)에 잠금 돌기(420)가 끼워지면, 제2 선반(200)이 잠금 장치(400)에 의해 제1 선반(100)의 상부 위치(P2)에 잠금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립형 선반(10)을 4단 선반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잠금 부재(440)를 회전시켜 잠금 돌기(420)를 삽입홈(442)으로부터 분리시키면,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제2 선반(200)을 제1 선반(100)의 측방 위치(P1)로 플립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플립형 선반(10)을 2단 선반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각 선반(100)에 2개의 선반 플레이트가 마련되어, 플립 상태에 따라 2단 또는 4단의 선반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나, 제1 선반(100)에 마련되는 선반 플레이트의 개수와 제2 선반(200)에 마련되는 선반 플레이트의 개수에 따라, 수평 플립 상태와 수직 플립 상태의 선반의 단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제2 수평 지지대(180b)에 잠금 돌기(420)가 형성되고 제4 수평 지지대(280b)에 잠금 부재(440)가 형성되어 있으나, 제2 수평 지지대(180b)에 잠금 부재가 형성되고 제4 수평 지지대(280b)에 잠금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선반 플레이트(160a, 160b)는 한 쌍의 제1 수직 지지대(120) 및 한 쌍의 제2 수직 지지대(140)에 폴딩 상태로 접힐 수 있도록 한 쌍의 제1 수직 지지대(120) 및 한 쌍의 제2 수직 지지대(140)에 힌지(166a, 166b, 168a, 168b)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선반 플레이트(260a, 260b)는 한 쌍의 제3 수직 지지대(220) 및 한 쌍의 제4 수직 지지대(240)에 폴딩 상태로 접힐 수 있도록 한 쌍의 제3 수직 지지대(220) 및 한 쌍의 제4 수직 지지대(240)에 힌지(266a, 266b, 268a, 268b)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선반을 구성하는 폴딩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도 4, 도 5,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폴딩 방지 장치(500)는 제1 선반(100)의 폴딩(folding)을 방지하기 위한 제1 폴딩 방지 장치(500)와, 제2 선반(200)의 폴딩을 방지하기 위한 제2 폴딩 방지 장치(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폴딩 방지 장치(500)는 제2 선반(200)이 제1 선반(100)의 측방 위치(P1) 또는 상부 위치(P2)에 플립된 상태에서 제1 수직 지지대(120)와 제2 수직 지지대(140) 및 제1 선반 플레이트(160a, 160b)가 폴딩 상태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수직 지지대(120)와 제2 수직 지지대(140) 간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제2 폴딩 방지 장치(600)는 제2 선반(200)이 제1 선반(100)의 측방 위치(P1) 또는 상부 위치(P2)에 플립된 상태에서 제3 수직 지지대(220)와 제4 수직 지지대(240) 및 제2 선반 플레이트(260a, 260b)가 폴딩 상태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3 수직 지지대(220)와 제4 수직 지지대(240) 간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폴딩 방지 장치(500)는 제1 고정대(510)와, 제2 고정대(520)와, 제1 탄성 스프링(530)과, 제1 고정 돌기(540) 및 제1 고정 브래킷(5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폴딩 방지 장치(600)는 제3 고정대(610)와, 제4 고정대(620)와, 제2 탄성 스프링(630)과, 제2 고정 돌기(640) 및 제2 고정 브래킷(6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대(510)는 제1 수직 지지대(120)에 힌지(510a)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고정대(520)는 제2 수직 지지대(140)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탄성 스프링(530)은 제1 고정대(510)와 제2 고정대(520) 간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1 고정 돌기(540)는 제1 고정대(510) 및 제2 고정대(520)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대(510)와 제2 고정대(520)는 제1 수직 지지대(120)와 제2 수직 지지대(140)의 사이에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고정 브래킷(550)은 제1 고정대(510) 및 제2 고정대(520) 중 다른 하나에 힌지(552a)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고정 브래킷 몸체(55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고정 브래킷(550)은 제1 고정 돌기(540)가 끼워질 수 있는 제1 결합홈(554)과, 제1 고정 브래킷(550)의 회전 작동을 위한 손잡이(556)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선반(200)이 제1 선반(100)의 측방 위치(P1) 또는 상부 위치(P2)에 플립된 상태에서 제1 고정 브래킷(550)의 제1 결합홈(554)을 제1 고정 돌기(540)에 삽입시키면, 제1 탄성 스프링(530)이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고, 제1 고정대(510)와 제2 고정대(520)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고정대(510)와 제2 고정대(520)에 의해 제1 수직 지지대(120)와 제2 수직 지지대(140) 간의 거리가 좁아지지 않고 유지되어 제1 선반(100)이 폴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 폴딩 방지 장치(600)는 제3 수직 지지대(220)에 힌지 연결되는 제3 고정대(610)와, 제4 수직 지지대(240)에 힌지 연결되는 제4 고정대(620)와, 제3 고정대(610)와 제4 고정대(620) 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탄성 스프링(630)과, 제3 고정대(610) 및 제4 고정대(620)에 형성되는 제2 고정 돌기(640) 및 제2 고정 브래킷(6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고정대(610)와 제4 고정대(620)는 제3 수직 지지대(220)와 제4 수직 지지대(240)의 사이에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고정 브래킷(650)은 제3 고정대(610) 및 제4 고정대(620) 중 다른 하나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고정 브래킷 몸체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고정 브래킷(650)은 제2 고정 돌기(640)가 끼워질 수 있는 제2 결합홈과, 제2 고정 브래킷(650)의 회전 작동을 위한 손잡이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선반(200)이 제1 선반(100)의 측방 위치(P1) 또는 상부 위치(P2)에 플립된 상태에서 제2 고정 브래킷(650)의 제2 결합홈을 제2 고정 돌기(640)에 삽입시키면, 제2 탄성 스프링(630)이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고, 제3 고정대(610)와 제4 고정대(620)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고정대(610)와 제4 고정대(620)에 의해 제3 수직 지지대(220)와 제4 수직 지지대(240) 간의 거리가 좁아지지 않고 유지되어 제2 선반(200)이 폴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선반을 구성하는 선반 플레이트의 힌지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 2,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플립형 선반(10)을 완전한 폴딩 상태로 접을 수 있도록, 제1 선반 플레이트(160a, 160b)는 제1 수직 지지대(120)에 연결되는 힌지(166a, 166b)의 높이(H1, H3))와 제2 수직 지지대(140)에 연결되는 힌지(168a, 168b)의 높이(H2, H4)가 상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선반 플레이트(260a, 260b)는 제3 수직 지지대(220)에 연결되는 힌지(266a, 266b)의 높이와 제4 수직 지지대(240)에 연결되는 힌지(268a, 268b)의 높이가 상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선반 플레이트(160a, 160b)는 제2 수직 지지대(140)에 연결되는 힌지(168a, 168b)의 높이(H2, H4)가 제1 수직 지지대(120)에 연결되는 힌지(166a, 166b)의 높이(H1, H3)보다 높을 수 있다. 제2 선반(200)이 제1 선반(100)의 측방 위치(P1)에 플립된 상태를 기준으로, 제2 선반 플레이트(260a, 260b)는 제4 수직 지지대(240)에 연결되는 힌지(268a, 268b)의 높이(H6, H8)가 제3 수직 지지대(220)에 연결되는 힌지(266a, 266b)의 높이(H5, H7)보다 높을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선반 플레이트(160a, 160b)는 높이가 낮을수록 제1 수직 지지대(120) 및 제2 수직 지지대(140)에 연결되는 힌지(166a, 166b, 168a, 168b)의 제1 선반 플레이트(160a, 160b)를 기준으로 하는 상대 높이가 증가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선반 플레이트(260a, 260b)는 높이가 낮을수록 제3 수직 지지대(220) 및 제4 수직 지지대(240)에 연결되는 힌지(266a, 266b, 268a, 268b)의 제2 선반 플레이트(260)를 기준으로 하는 상대 높이가 증가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선반을 구성하는 선반 플레이트의 폴딩 시 위치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도 16에서 점선은 폴딩 전의 제1 선반 플레이트(160a, 160b)의 위치를 나타내고, 실선은 폴딩 후의 제1 선반 플레이트(160a, 160b)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15를 참조하면, 폴딩 전 제1 선반 플레이트(160b)의 힌지(166b)는 제1 선반 플레이트(160b)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선반 플레이트(160b)는 폴딩 과정에서 힌지(166b)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폴딩 후의 제1 선반 플레이트(160b)의 좌측 단부 위치(E2)가 폴딩 전의 좌측 단부 위치(E1) 보다 힌지(166b)에서 먼 방향(제1 수직 지지대로부터 멀어지고 제2 수직 지지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폴딩 전 제1 선반 플레이트(160a)의 힌지(168a)는 제1 선반 플레이트(160a)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선반 플레이트(160a)는 폴딩 과정에서 힌지(168a)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폴딩 후의 제1 선반 플레이트(160a)의 우측 단부 위치(E4)가 폴딩 전의 우측 단부 위치(E3) 보다 힌지(168a)에서 먼 방향(제2 수직 지지대로부터 멀어지고 제1 수직 지지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선반이 폴딩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선반이 완전히 폴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도 2,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제2 선반(200)이 제1 선반(10)의 측방 위치(P1)에 플립된 상태에서 폴딩 방지 장치(500, 6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 후 제1 수직 지지대(120)와 제3 수직 지지대(220)를 상부 측으로 들어 올리면, 제1 선반 플레이트(160a, 160b)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제1 수직 지지대(120)와 제2 수직 지지대(140) 사이로 접히게 된다.
이때, 폴딩 과정에서 높이가 높은 제1 선반 플레이트(160b)는 제1 수직 지지대(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고, 높이가 낮은 제1 선반 플레이트(160a)는 제1 수직 지지대(12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위치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부 측의 제1 선반 플레이트(160b)가 하부 측의 제1 선반 플레이트(160a) 바깥쪽으로 이동하면서, 그리고 하부 측의 제1 선반 플레이트(160a)는 상부 측의 제1 선반 플레이트(160b) 보다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제1 수직 지지대(120) 측으로 접힐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각 선반 플레이트(160a, 160b, 260a, 260b)의 양측 모서리에 연결된 힌지의 높이가 상이하고, 선반 플레이트(160a, 160b, 260a, 260b)의 높이에 따라 힌지 높이가 변화하므로, 플립형 선반을 폴딩시 선반 플레이트(160a, 160b, 260a, 260b)와 수직 지지대(120, 140, 220, 240) 간의 간섭 없이 완전히 접을 수 있다. 따라서, 폴딩 상태의 플립형 선반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선반 운반/보관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플립형 선반
100: 제1 선반
120: 제1 수직 지지대
140: 제2 수직 지지대
160a, 160b: 제1 선반 플레이트
180a: 제1 수평 지지대
180b: 제2 수평 지지대
200: 제2 선반
220: 제3 수직 지지대
240: 제4 수직 지지대
260a, 260b: 제2 선반 플레이트
280a: 제3 수평 지지대
280b: 제4 수평 지지대
300: 플립 지지부
320: 제1 플립 몸체
340: 제2 플립 몸체
360: 연결 부재
400: 잠금 장치
420: 잠금 돌기
440: 잠금 부재
442: 삽입홈
444: 힌지
500: 제1 폴딩 방지 장치
510: 제1 고정대
520: 제2 고정대
530: 제1 탄성 스프링
540: 제1 고정 돌기
550: 제1 고정 브래킷
600: 제2 폴딩 방지 장치
610: 제3 고정대
620: 제4 고정대
630: 제2 탄성 스프링
640: 제2 고정 돌기
650: 제2 고정 브래킷

Claims (12)

  1. 제1 수평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 지지대로부터 제2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 수평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수직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 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제2 수직 지지대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선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 선반;
    상기 제1 수평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3 수직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제3 수직 지지대로부터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 수평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4 수직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제3 수직 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제4 수직 지지대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선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2 선반; 및
    상기 제2 선반을 상기 제1 선반의 측방 위치와 상기 제1 선반의 상부 위치 간에 플립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3 수직 지지대의 일단을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 지지대의 상단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플립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선반 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 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제2 수직 지지대에 폴딩 상태로 접힐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 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제2 수직 지지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2 선반 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제3 수직 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제4 수직 지지대에 폴딩 상태로 접힐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3 수직 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제4 수직 지지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2 선반이 상기 제1 선반의 측방 위치 또는 상부 위치에 플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선반 플레이트가 상기 폴딩 상태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간의 간격을 고정시키는 제1 폴딩 방지 장치; 및
    상기 제2 선반이 상기 제1 선반의 측방 위치 또는 상부 위치에 플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선반 플레이트가 상기 폴딩 상태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3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4 수직 지지대 간의 간격을 고정시키는 제2 폴딩 방지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폴딩 방지 장치 및 상기 제2 폴딩 방지 장치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에 연결되는 제1 고정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에 연결되는 제2 고정대;
    상기 제1 고정대와 상기 제2 고정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
    상기 제1 고정대 및 상기 제2 고정대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 돌기; 및
    상기 제1 고정대 및 상기 제2 고정대 중 다른 하나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 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결합홈을 가지는 고정 브래킷을 포함하는 플립형 선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 지지부는,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1 플립 몸체;
    상기 제3 수직 지지대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2 플립 몸체; 및
    일측이 제1 힌지에 의해 상기 제1 플립 몸체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2 힌지에 의해 상기 제2 플립 몸체에 결합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플립형 선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립 몸체의 상면과 상기 제2 플립 몸체의 상면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 선반이 상기 제1 선반의 상부 위치로 플립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는 플립형 선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선반이 상기 제1 선반의 상부 위치로 플립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4 수직 지지대를 상기 한 쌍의 제2 수직 지지대 상에 정렬된 상태로 고정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선반을 상기 제1 선반의 측방 위치로 플립시키기 위해 상기 한 쌍의 제4 수직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제2 수직 지지대 간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잠금 장치를 더 포함하는 플립형 선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반은 상기 한 쌍의 제2 수직 지지대 간에 고정되는 제1 수평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선반은 상기 한 쌍의 제4 수직 지지대 간에 고정되는 제2 수평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제1 수평 지지대 및 상기 제2 수평 지지대 중의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잠금 돌기; 및
    상기 제1 수평 지지대 및 상기 제2 수평 지지대 중의 다른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선반이 상기 제1 선반의 상부 위치로 플립된 상태에서 상기 잠금 돌기에 끼워지는 삽입홈을 가지는 잠금 부재를 포함하는 플립형 선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직 지지대의 상면 및 상기 제4 수직 지지대의 선단면 중의 어느 하나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 선반이 상기 제1 선반의 상부 위치로 플립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는 플립형 선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반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에 연결되는 힌지의 높이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에 연결되는 힌지의 높이가 상이하고,
    상기 제2 선반 플레이트는 상기 제3 수직 지지대에 연결되는 힌지의 높이와 상기 제4 수직 지지대에 연결되는 힌지의 높이가 상이한 플립형 선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반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수직 지지대에 연결되는 힌지의 높이가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에 연결되는 힌지의 높이보다 높고,
    상기 제2 선반이 상기 제1 선반의 측방 위치에 플립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선반 플레이트는 상기 제4 수직 지지대에 연결되는 힌지의 높이가 상기 제3 수직 지지대에 연결되는 힌지의 높이보다 높은 플립형 선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반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수직 지지대 및 상기 제2 수직 지지대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2 선반 플레이트는 상기 제3 수직 지지대 및 상기 제4 수직 지지대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선반 플레이트는 높이가 낮을수록 상기 제1 수직 지지대 및 상기 제2 수직 지지대에 연결되는 힌지의 상기 제1 선반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하는 상대 높이가 증가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2 선반 플레이트는 높이가 낮을수록 상기 제3 수직 지지대 및 상기 제4 수직 지지대에 연결되는 힌지의 상기 제2 선반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하는 상대 높이가 증가하는 플립형 선반.
KR1020190088239A 2019-07-22 2019-07-22 플립형 선반 KR102063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239A KR102063010B1 (ko) 2019-07-22 2019-07-22 플립형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239A KR102063010B1 (ko) 2019-07-22 2019-07-22 플립형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3010B1 true KR102063010B1 (ko) 2020-01-06

Family

ID=69159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239A KR102063010B1 (ko) 2019-07-22 2019-07-22 플립형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0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5904B2 (ja) * 1998-12-01 2001-09-04 大喜商事株式会社 陳列棚兼用運送台車
KR200357294Y1 (ko) * 2004-04-21 2004-07-27 이종익 선반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다용도 테이블
CN201509985U (zh) * 2009-08-31 2010-06-23 赛丝创意制作股份有限公司 可快速收折的纸制展示架
KR101986205B1 (ko) * 2017-12-28 2019-06-05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실 코너선반 거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5904B2 (ja) * 1998-12-01 2001-09-04 大喜商事株式会社 陳列棚兼用運送台車
KR200357294Y1 (ko) * 2004-04-21 2004-07-27 이종익 선반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다용도 테이블
CN201509985U (zh) * 2009-08-31 2010-06-23 赛丝创意制作股份有限公司 可快速收折的纸制展示架
KR101986205B1 (ko) * 2017-12-28 2019-06-05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실 코너선반 거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15350A1 (en) Folding tv cabinet
US6994034B2 (en) Foldable computer desk
KR101648388B1 (ko)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
TW402655B (en) Deck connector
KR101454633B1 (ko) 서랍장
KR101922673B1 (ko) 지진을 대비한 안전선반
KR102063010B1 (ko) 플립형 선반
KR101613689B1 (ko) 접이식 선반
US20100019634A1 (en) Foldable cabinet
JP2010105691A (ja) 折り畳み式ラック
KR102377648B1 (ko) 양측 개별 확장구조를 갖는 수납용 폴딩박스
US20230218079A1 (en) Collapsible and expandable storage rack
KR200478738Y1 (ko) 상품 진열용 스탠드
JP2007061455A (ja) 執務システム
US20120181904A1 (en) Multifunctional storage box
CN213443924U (zh) 折叠筐
KR20180067016A (ko)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접이식 수납상자
JPH0998845A (ja) 家 具
KR101592285B1 (ko) 롤 컨테이너
JP6794086B1 (ja) 自重を利用してたためる折りたたみ椅子用荷棚装置
JP3224886U (ja) 折りたたみデスク
CN207604637U (zh) 折叠式支撑台
CN218651157U (zh) 一种便于调节的展示柜
CN210870399U (zh) 一种移动dj台
JP3224582U (ja) 多段折りたたみ式本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