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886B1 - Uv광을 이용한 자연발색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택트렌즈 - Google Patents

Uv광을 이용한 자연발색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택트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886B1
KR102062886B1 KR1020180073977A KR20180073977A KR102062886B1 KR 102062886 B1 KR102062886 B1 KR 102062886B1 KR 1020180073977 A KR1020180073977 A KR 1020180073977A KR 20180073977 A KR20180073977 A KR 20180073977A KR 102062886 B1 KR102062886 B1 KR 102062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ns
coloring
light
lens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두
류경석
Original Assignee
(주)E.O.S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E.O.S filed Critical (주)E.O.S
Priority to KR1020180073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8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B29D11/00134Curing of the contact len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865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 B29D11/00894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colouring or t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865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 B29D11/00894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colouring or tinting
    • B29D11/00903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colouring or tinting on the sur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V광을 이용한 자연발색 콘택트렌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UV광을 이용하여 콘택트렌즈의 착색부를 탈색시킴에 따라 단색 또는 다색의 색상을 가지고 색상의 진하고 연함을 표현한 콘택트렌즈에 추가적인 색상의 투명도를 부여함으로써 단색 또는 다색 그리고 진하고 연함이 나타낼 수 없는 맑고 투명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UV광을 이용한 자연발색 콘택트렌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몰드 위에 폴리머 패드 프린팅 방법으로 제1렌즈몸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렌즈몸체 상에 상기 제1렌즈몸체 보다 소정 크기 작은 홍채 모양으로 착색제를 통해 착색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착색된 착색부를 건조시키는 단계와; 제2몰드에 폴리머를 충진시켜 상기 제1몰드 상에 착색부가 형성된 제1렌즈몸체를 가압하여 콘택트렌즈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된 콘택트렌즈를 제1몰드 및 제2몰드로부터 분리시킨 후 상기 콘택트렌즈를 하드상태 또는 습윤상태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콘택트렌즈에 UV광을 조사하여 상기 착색부를 탈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UV광을 이용한 자연발색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택트렌즈{method of manufacturing a natural color contact lens using UV light and contact lens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UV광을 이용한 자연발색 콘택트렌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UV광을 이용하여 콘택트렌즈의 착색부를 탈색시킴에 따라 단색 또는 다색의 색상을 가지고 색상의 진하고 연함을 표현한 콘택트렌즈에 추가적인 색상의 투명도를 부여함으로써 단색 또는 다색 그리고 진하고 연함이 나타낼 수 없는 맑고 투명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UV광을 이용한 자연발색 콘택트렌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택트렌즈는 안경을 대신하여 안구의 전면에 렌즈를 직접 맞닿게 하여 시력교정의 효과를 누리기 위한 수단으로, 이러한 콘택트렌즈는 크게 소프트렌즈(Soft lens)와 하드렌즈(Hard lens)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렌즈는 직경이 13.0 ~ 15.5mm 정도로 하드렌즈에 비해 지름이 크고 PHEMA(Polyhydroxyethyl Methacrylate)와 PVP(PolyVinyl Pyrrolidone) 등의 폴리머 재질로 구성되어 30~80% 정도로 친수성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렌즈 자체가 부드러운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렌즈가 망막에 닿을 때 느끼는 이물감이나 각막의 압박이 하드렌즈에 비해 적고, 렌즈가 각막을 완전히 덮게 됨으로써 이물질에 대한 저항력도 키워주며 심한 운동에도 렌즈를 분실할 위험이 하드렌즈에 비해 적다는 것이 이의 장점이다.
반면에, 하드렌즈는 소프트렌즈의 직경보다 작은 8~9 mm 정도의 직경을 지니는 것으로, 소프트렌즈에 비해 안전성이 높고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진다는 것이 특징이고 렌즈의 난시가 심하거나 불규칙한 각막환자의 시력교정에 좋으며 소프트렌즈에 비해 수명이 길고 세척이 쉬우며 눈에 착용·제거가 용이하다.
사람의 눈동자 색은 피부색과 마찬가지로 멜라닌 색소에 의해 결정되는데, 홍채에 멜라닌 색소가 많으면 검정 혹은 갈색눈이 되고 적으면 청색 내지 또는 녹색 눈을 갖게 되므로, 동양인의 눈색은 대개 갈색이나 검정색인 반면 서구인의 경우 파랑 또는 초록이 대부분인 것이다.
따라서, 근래에 들어서는 시력교정 및 의안의 향상을 위하여 안경대신 주로 사용되어 온 콘택트렌즈의 근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상기와 같은 이유로 나타난 본래 자신이 지닌 눈동자의 색을 탈피하여 자신만의 개성을 연출하고 싶은 사람들이 자신의 패션 감각에 맞춰 눈동자에도 색깔을 입히기 위하여 다양한 색상을 지니는 미용 컬러 콘택트렌즈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미용 컬러 콘택트렌즈는 눈의 홍채부위의 칼라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고, 착용하는 사람의 홍채의 색깔이나 농도에 따라서 밝기(light, medium, dark)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연속착용렌즈에서 일회용렌즈까지 용도 또한 다양하다는 장점이 있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 미용 콘택트렌즈로 선출원된 발명으로는 특허출원 제 2000-0069731호인 "미용을 위한 채색 콘택트렌즈 및 그의 제조방법" 이 있는데, 이는 하부금형의 안구접촉면에 제1렌즈재료를 투입하여 상부금형의 가압면으로 가압 및 몰딩하여 렌즈몸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렌즈몸체 상에서 광학부를 제외한 부위를 절삭한 절삭면부를 형성하여 광학부를 일정 높이로 돌출시키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절삭면부 상에 홍채형상의 채색을 갖는 홍채 채색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물 상에 제2렌즈재료를 공급한 후, 재중합하여 렌즈커버체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홍채 채색부를 통한 컬러 콘택트렌즈로 렌즈의 단색 또는 다색의 칼라 발색이 가능해짐에 따라 개인의 홍채 사이즈를 크게 보이는 것 뿐만 아니라 개인이 원하는 칼라의 이미지로 개성을 표현할 수 있으며, 편안한 착용감과 안정된 교정 시력을 보장함과 동시에 미용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컬러 콘택트렌즈의 다양한 컬러 구현을 위해서는 단색 또는 다색의 컬러 안료/염료를 사용하여 그 색상을 표현하고, 컬러 안료/염료 및 제조공법에 따라 그 색상이 선명하고 진하게 또는 자연스럽고 연하게 렌즈의 발색을 표현하게 된다.
그러나 이는 개인의 취향이나 미용 목적에 따라 색상의 수나 색상의 진하기를 조정하지만 안료/염료 및 제조공법의 특성상 색상의 진하고 연함의 표현은 가능하나 색상의 투명도를 표현하는 렌즈의 제작에는 공법상의 한계로 표현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색상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착용시 보다 자연스럽고 투명한 발색이 가능한 컬러 콘택트렌즈의 제조 공법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UV광을 이용하여 콘택트렌즈의 착색부를 탈색시킴에 따라 콘택트렌즈의 컬러에 색상 투명도를 부여함으로써 콘택트렌즈의 착용시 보다 더 자연스러우며 투명한 발색으로 맑고 깨끗한 시야 제공이 가능해지고 개인의 개성을 이질감없이 표현이 가능한 UV광을 이용한 자연발색 콘택트렌즈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제1몰드 위에 폴리머 패드 프린팅 방법으로 제1렌즈몸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렌즈몸체 상에 상기 제1렌즈몸체 보다 소정 크기 작은 홍채 모양으로 착색제를 통해 착색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착색된 착색부를 건조시키는 단계와; 제2몰드에 폴리머를 충진시켜 상기 제1몰드 상에 착색부가 형성된 제1렌즈몸체를 가압하여 콘택트렌즈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된 콘택트렌즈를 제1몰드 및 제2몰드로부터 분리시킨 후 상기 콘택트렌즈를 하드상태 또는 습윤상태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콘택트렌즈에 UV광을 조사하여 상기 착색부를 탈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콘택트렌즈를 분리하는 단계가 완료된 후 또는 상기 탈색시키는 단계가 완료된 후에 상기 콘택트렌즈의 검사 및 포장이 이루어지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아울러 검사 및 포장이 이루어지는 단계가 완료된 후 또는 탈색시키는 단계가 완료된 후에는 포장된 콘택트렌즈를 멸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또한 착색제를 통해 착색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어느 하나의 착색제를 통해 하나의 층으로 착색부를 형성하거나, 복수개의 착색제를 통해 복수개의 층으로 착색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는 전술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UV광을 이용하여 단색 또는 다색의 색상을 가지고 색상의 진하고 연함을 표현한 콘택트렌즈에 추가적인 색상의 투명도를 부여함에 따라 단색 또는 다색 그리고 진하고 연함이 나타낼 수 없는 맑고 투명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맑고 투명한 색상 구현을 통해 콘택트렌즈의 착용시 보다 더 자연스러우면서 투명한 발색으로 맑고 깨끗한 시야 제공이 가능해지고 개인의 개성을 이질감없이 표현이 가능한 칼라 콘택트렌즈 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연발색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연발색 콘택트렌즈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연발색 콘택트렌즈의 시간별 탈색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기존 콘택트렌즈의 색깔별 발색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연발색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연발색 콘택트렌즈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연발색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은 크게 제1몰드(10) 위에 폴리머 패드 프린팅 방법으로 제1렌즈몸체(30)를 형성하는 단계(S10)와, 상기 제1렌즈몸체(30) 상에 상기 제1렌즈몸체(30) 보다 소정 크기 작은 홍채 모양으로 착색제를 통해 착색부(40)를 형성하는 단계(S20)와, 상기 착색된 착색부(40)를 건조시키는 단계(S30)와, 제2몰드(20)에 폴리머를 충진시켜 상기 제1몰드(10) 상에 착색부(40)가 형성된 제1렌즈몸체(30)를 가압하여 콘택트렌즈(100)를 성형하는 단계(S40)와, 상기 성형된 콘택트렌즈(100)를 제1몰드(10) 및 제2몰드(20)로부터 분리시킨 후 상기 콘택트렌즈(100)를 취출기구를 이용하여 하드렌즈 상태로 분리하거나 정제수로 습윤한 다음 분리하는 단계(S50)와, 상기 분리된 콘택트렌즈(100)에 UV광을 조사하여 상기 착색부(40)를 탈색시키는 단계(S60)와, 상기 탈색시키는 단계(S60)가 완료되면 콘택트렌즈(100)의 검사 및 포장이 이루어지는 단계(S70)와, 포장된 콘택트렌즈(100)를 멸균하는 단계(S8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렌즈몸체(30)를 형성하는 단계(S10)는 홍채 모양을 가지는 제1몰드(10)의 상부면 상에 폴리머 패드 프린팅 방법으로 제1렌즈몸체(3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1렌즈몸체(30)에 소정 안료 또는 염료로 이루어지는 착색제를 통해 착색부(40)를 형성하는데(S20), 이러한 착색부(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색으로 제1착색층(41)을 형성하거나 다양한 색을 혼합하여 제1착색층(41)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제1착색층(41) 상에 다른 단색 또는 다색이 혼합된 제2착색층(42) 또는 제3착색층(43)이 필요에 따라 적층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착색부(40)는 제1렌즈몸체(30) 상에 형성 후 건조시키게 되는데(S30), 이러한 착색부(40)의 건조는 자외선 조사 또는 드라이오븐을 이용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착색부(40)를 다층으로 형성하는 경우 제1착색층(41)의 형성 후 자외선 조사 또는 드라이오븐을 이용하여 건조시킨 다음 제2착색층(42)을 형성하는 형태로 수행되거나 제1착색층(41), 제2착색층(42)을 형성한 후 동시에 건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착색부(40)의 건조가 완료되면 제2몰드(20)에 폴리머를 충진시켜 상기 제1몰드(10) 상에 착색부(40)가 형성된 제1렌즈몸체(30)를 가압하여 콘택트렌즈(100)를 성형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2몰드(20)는 상부면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고, 함몰 형상은 상기 제1몰드(10)의 상부 돌출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몰드(10)의 상부 돌출면과 제2몰드(20)의 상부 함몰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시킨 후 가압을 통해 착색부(40) 상으로 제2렌즈몸체(50)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착색부(40)는 제1렌즈몸체(30)와 제2렌즈몸체(50) 사이에 위치되어 착색부(40)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사용자의 콘택트렌즈(100) 착용시 눈에 닿지 않도록 기밀이 유지된다.
이와 같이 성형된 콘택트렌즈(100)는 제1몰드(10) 및 제2몰드(20)로부터 분리된 후 하드상태 또는 습윤상태로 분리하여(S50) 별도의 UV조사장치(200)를 통해 콘택트렌즈(100)에 UV광을 조사하게 되는데(S60), 이러한 UV광 조사는 전술한 착색부(40)의 건조시에 수행되는 UV광 조사와는 조사 시간이 상이하게 진행된다.
본 단계에서 수행되는 UV광 조사는 짧게는 수시간에서 길게는 수십시간 UV 조사를 통해 착색부(40)에 형성된 안료 또는 염료가 탈색이 진행되도록 조절하여 색상의 농도를 옅게하고 투명도를 높이게 된다.
이러한 착색부(40)의 투명도 부여를 통해 자연스러운 착색부의 발색이 가능해지고 단색 또는 다색 그리고 진하고 연함이 나타낼 수 없는 맑고 투명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게 해준다.
아울러 장시간 UV광 조사를 통해 후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콘택트렌즈(100)의 멸균 단계(S80)와 함께 2차에 걸친 멸균 단계가 실질적으로 수행되어 멸균 효과를 보다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UV광의 파장과 조사 시간은 목적하는 착색부(40)의 발색 투명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연발색 콘택트렌즈의 시간별 탈색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기존 콘택트렌즈의 색깔별 발색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성형된 콘택트렌즈(100)가 제1몰드(10) 및 제2몰드(20)로부터 분리된 후 하드상태 또는 습윤상태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며, 색깔은 브라운이다.
(b)는 상기 (a)의 콘택트렌즈(100)를 UV광의 파장별 길이를 가지는 UV-A, UV-B, UV-C를 조합하여 10시간 노출시킨 콘택트렌즈(100)이며, (c)는 24시간 노출시킨 콘택트렌즈(100)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를 살펴보면 (a)에서 (c)로 갈수록 투명도가 증대되어 농도가 옅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도 4에서와 같이 착색부(40)의 염료를 달리하더라도 구현할 수 없는데, 도 4의 (a)는 브라운이며, (b)는 라이트 브라운이고, (c)는 울트라 라이트 브라운 또는 다크 옐로우이다.
즉, 착색부(40)의 염료 색을 달리하여 브라운에서 점차 밝은 색으로 착색하더라도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은 투명도가 증대된 브라운 콘택트렌즈(100)를 획득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다양한 착색부(40)의 발색에서 투명도를 증대시켜 사용자의 색상에 대한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UV광을 통해 착색부(40)의 탈색이 완료되면, 상기 콘택트렌즈(100)의 검사 및 포장이 이루어지는 단계(S70)와, 포장된 콘택트렌즈(100)를 멸균하는 단계(S80)로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 상기 검사 및 포장이 이루어지는 단계(S70)가 착색부(40)의 탈색 단계(S60) 전에 먼저 수행된 후 탈색 단계(S60)가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제1몰드 20 : 제2몰드
30 : 제1렌즈몸체 40 : 착색부
50 : 제2렌즈몸체 100 : 콘택트렌즈
200 : UV조사장치

Claims (5)

  1. 제1몰드(10) 위에 폴리머 패드 프린팅 방법으로 제1렌즈몸체(30)를 형성하는 단계(S10)와;
    상기 제1렌즈몸체(30) 상에 상기 제1렌즈몸체(30) 보다 소정 크기 작은 홍채 모양으로 착색제를 통해 착색부(40)를 형성하는 단계(S20)와;
    상기 착색된 착색부(40)를 건조시키는 단계(S30)와;
    제2몰드(20)에 폴리머를 충진시켜 상기 제1몰드(10) 상에 착색부(40)가 형성된 제1렌즈몸체(30)를 가압하여 콘택트렌즈(100)를 성형하는 단계(S40)와;
    상기 성형된 콘택트렌즈(100)를 제1몰드(10) 및 제2몰드(20)로부터 분리시킨 후 상기 콘택트렌즈(100)를 하드상태 또는 습윤상태로 분리하는 단계(S50); 및
    상기 분리된 콘택트렌즈(100)에 UV광을 조사하여 상기 착색부(40)를 탈색시키는 단계(S60); 를 포함하고,
    상기 탈색시키는 단계(S60)가 완료된 후에 상기 콘택트렌즈(100)의 검사 및 포장이 이루어지는 단계(S70);
    상기 포장된 콘택트렌즈(100)를 멸균하는 단계(S8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광을 이용한 자연발색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착색제를 통해 착색부(40)를 형성하는 단계(S20)는
    어느 하나의 착색제를 통해 하나의 층으로 착색부(40)를 형성하거나,
    복수개의 착색제를 통해 복수개의 층으로 착색부(4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광을 이용한 자연발색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5. 제1항 및 제4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의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UV광을 이용한 자연발색 콘택트렌즈.
KR1020180073977A 2018-06-27 2018-06-27 Uv광을 이용한 자연발색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택트렌즈 KR102062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977A KR102062886B1 (ko) 2018-06-27 2018-06-27 Uv광을 이용한 자연발색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택트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977A KR102062886B1 (ko) 2018-06-27 2018-06-27 Uv광을 이용한 자연발색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택트렌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2886B1 true KR102062886B1 (ko) 2020-02-11

Family

ID=69568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977A KR102062886B1 (ko) 2018-06-27 2018-06-27 Uv광을 이용한 자연발색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택트렌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88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399A (ko) * 2000-09-01 2002-03-08 이상원 레이저를 이용한 직물 및 합성수지 필름 가공방법
JP4510613B2 (ja) * 2004-12-28 2010-07-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の製造方法
KR20120089766A (ko) * 2009-12-03 2012-08-13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폴리올의 탈색
KR101190303B1 (ko) * 2012-03-13 2012-10-12 (주)드림콘 플루시어 공법을 적용하여 채색부가 렌즈 내부에 함입된 착색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착색 콘택트렌즈
KR101241577B1 (ko) * 2012-09-13 2013-03-11 새론제약(주) 완전몰드 칼라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칼라 콘택트렌즈
KR20170114506A (ko) * 2016-04-05 2017-10-16 주식회사 이시스비젼 칼라 렌즈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399A (ko) * 2000-09-01 2002-03-08 이상원 레이저를 이용한 직물 및 합성수지 필름 가공방법
JP4510613B2 (ja) * 2004-12-28 2010-07-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の製造方法
KR20120089766A (ko) * 2009-12-03 2012-08-13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폴리올의 탈색
KR101190303B1 (ko) * 2012-03-13 2012-10-12 (주)드림콘 플루시어 공법을 적용하여 채색부가 렌즈 내부에 함입된 착색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착색 콘택트렌즈
KR101241577B1 (ko) * 2012-09-13 2013-03-11 새론제약(주) 완전몰드 칼라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칼라 콘택트렌즈
KR20170114506A (ko) * 2016-04-05 2017-10-16 주식회사 이시스비젼 칼라 렌즈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9070B1 (ko) 각막윤부 링과 홍채 패턴이 배합된 착색 콘택트 렌즈
JP6797536B2 (ja) 美容用コンタクトレンズ内の環形状クリア層
RU2644022C2 (ru) Офтальмологические линзы с волнообразным повторяющимся рисунком
JP6999280B2 (ja) 改善された複数の統合的効果を伴うコンタクトレンズ
KR20070055540A (ko) 해치 패턴을 갖는 착색 콘택트 렌즈
TWI639041B (zh) 具有珠光鞏膜之隱形眼鏡
CN109991757B (zh) 具有光环效应的角膜接触镜片
JP6755693B2 (ja) 多層パターンを持つコンタクトレンズ
KR102062886B1 (ko) Uv광을 이용한 자연발색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택트렌즈
JP6526443B2 (ja) 見かけ上の動き及び他の光学的効果を有するコンタクトレンズ
KR102005230B1 (ko) 컬러 콘택트 렌즈 제조 방법
KR101352817B1 (ko) 셀 패턴을 갖는 착색 콘택트 렌즈
KR101504243B1 (ko) 핀홀효과를 가지는 소프트 콘택트렌즈
KR102245626B1 (ko) 염료용출 방지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택트렌즈
KR100922864B1 (ko) 미용 콘택트 렌즈
KR100586157B1 (ko) 콘택트렌즈
KR200270270Y1 (ko) 소프트렌즈
JP2001311916A (ja) 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151340A (ja) 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