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817B1 - 셀 패턴을 갖는 착색 콘택트 렌즈 - Google Patents

셀 패턴을 갖는 착색 콘택트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817B1
KR101352817B1 KR1020137005513A KR20137005513A KR101352817B1 KR 101352817 B1 KR101352817 B1 KR 101352817B1 KR 1020137005513 A KR1020137005513 A KR 1020137005513A KR 20137005513 A KR20137005513 A KR 20137005513A KR 101352817 B1 KR101352817 B1 KR 101352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iris
cells
cell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8948A (ko
Inventor
잭 더블류. 바우어스
카린 디. 맥카씨
Original Assignee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38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6Contact lenses having an iris patter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홍채의 외관을 개선시키거나 변경시키는 작용을 하는 다수의 셀을 포함하는 착색 콘택트 렌즈를 제공한다. 당해 렌즈는 또한 착용자의 홍채 부분 또는 각막윤부 영역 위에 위치하는 추가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셀 패턴을 갖는 착색 콘택트 렌즈{Tinted contact lenses with cell patterns}
본 발명은 착색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렌즈 착용자의 홍채의 색을 개선하거나 변화시키는 콘택트 렌즈를 제공한다.
홍채의 본래 색을 변경시키거나 안구 이상을 감추기 위해 또는 이러한 두 가지 목적을 모두 달성하기 위해 착색 콘택트 렌즈를 사용하는 것은 익히 공지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이들 렌즈는 홍채의 색을, 예를 들면, 갈색으로부터 청색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불투명 색, 반투명 색 또는 이들 둘 다를 사용한다. 추가로, 착색 렌즈는 홍채 색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어두운 색의 눈을 갖는 사람의 눈 색을 개선시키기 위해 제조되어 왔다. 이러한 렌즈는 렌즈가 눈 위에 있는 경우 색 개선이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미미하거나 이러한 개선이 렌즈 착용자의 홍채의 외관을 부자연스럽게 하기 때문에 불리하다.
본 발명은 렌즈 착용자의 홍채의 외관을 개선시키는 착색 콘택트 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렌즈는 착용자의 홍채의 선명도를 개선시켜 렌즈 착용자의 홍채가 관망자가 보기에 더 커보이게 하는 다수의 셀(cell)로 이루어진 패턴을 갖는다.
또는, 당해 패턴은 착용자의 홍채 색을 변경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렌즈는 어두운 색의 눈을 갖는 개인의 홍채의 외관을 개선시키거나 변경시키기 위한 미용 렌즈로서 가장 유용할 수 있지만, 옅은 색의 눈을 갖는 착용자의 홍채의 외관을 개선시키거나 변경시키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다수의 셀을 포함하거나, 본질적으로 다수의 셀로 이루어지거나, 다수의 셀로 이루어진 콘택트 렌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셀"은 공간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둘러싸는 구조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양태이다.
도 1a는 도 1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양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세 번째 양태이다.
도 1에는 셀 패턴(10)의 하나의 양태가 도시되어 있다. 당해 양태에서, 불규칙하게 배열된 다수의 셀(예를 들면, 12)은 실질적으로 렌즈의 홍채 부분 또는 렌즈가 눈 위의 중심에 있을 때 착용자의 홍채 위에 위치하는 렌즈 부분을 구성한다. 셀은 홍채 부분을 전체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부분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셀 패턴의 최내부 경계(innermost border)(16)는 렌즈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직경이 약 7mm이다. 그러나, 최내부 경계는 렌즈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약 5 내지 약 8mm에 위치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최내부 경계(16)는 균일하고 규칙적인 형상이지만, 불균일하고 불규칙적일 수 있다. 영역(15)은 패턴 부재가 없는 영역이며, 도시된 영역은 부분적으로 홍채 부분 및 동공 부분 전체를 구성하거나 렌즈가 눈 위의 중심에 위치할 때 착용자의 동공 위에 위치하는 렌즈 부분을 구성한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영역(15)은 투명하지만, 반투명하거나 불투명하게 착색될 수도 있다.
도 1a는 셀 패턴의 부분 확대도로서, 개별 셀(13)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셀(13)은 공간(14)을 거의 완전히 둘러싼다. 공간(18)을 둘러싸고 있는 셀(17)도 도시되어 있다. 셀(13) 및 셀(17)의 형태 및 크기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이하다. 그러나, 셀 패턴의 모든 셀은 크기 또는 형태가 동일하거나 크기 및 형태가 둘 다 동일할 수 있다. 도 1 및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셀은 임의의 크기의 도트,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약 0.060 내지 약 0.18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075 내지 약 0.0125mm인 도트로 이루어져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셀은 라인, 비기하학적 형태의 구성 요소 등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이에 한정되지 않음) 도트에 대한 임의의 대체 구성 요소, 또는 도트와 하나 이상의 대체 구성 요소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셀은 다수의 보다 정교한 패턴을 형성하는 다수의 추가 패턴 요소와 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패턴 요소로는 각막윤부 링(limal ring), 기하학적 구조(예를 들면, 도트 및 라인) 또는 가상의 구조(줄무늬 또는 깃털형 구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셀은 각막윤부 링과 배합되어, 본 발명은 각막윤부 링과 다수의 셀을 포함하거나, 본질적으로 각막윤부 링과 다수의 셀로 이루어지거나, 각막윤부 링과 다수의 셀로 이루어진 콘택트 렌즈를 제공한다.
"각막윤부 링"은, 렌즈가 눈 위의 중심에 있는 경우, 부분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완전히 렌즈 착용자의 각막윤부 영역 위에 또는 공막과 각막과의 접합부 위에 놓이는 고리형 색 밴드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각막윤부 링은 실질적으로 완전히 각막윤부 영역 위에 놓인다. 각막윤부 링의 최내부 경계 또는 렌즈의 기하학적 중심에 가장 근접한 가장자리(edge)는 렌즈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의 직경이 약 8 내지 약 12mm, 바람직하게는 약 9 내지 약 11mm일 수 있다. 당해 각막윤부 링은 임의의 적합한 너비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2.5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75 내지 약 1.25mm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셀 패턴(20)은 각막윤부 링(21)을 포함한다. 다수의 셀(22)은 각막윤부 링(21)의 최내부 경계(24)에서 시작한다. 도시된 셀은 렌즈의 홍채 부분의 일부만을 구성하지만, 본 발명의 당해 또는 임의의 양태에서, 덜 바람직하지만 셀은 홍채 부분 전체를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막윤부 링(21)의 최내부 경계(24)는 불균일하고 불규칙적인 경계이지만, 균일할 수 있다.
셀이 하나 이상의 추가의 패턴 요소와 배합된 또 다른 양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각막윤부 링(31), 셀(33) 및 해치 마크(hatch mark)(32)가 도시되어 있다. "해치 마크"는 둘 이상의 평행 선들의 그룹을 의미한다. 해치 마크를 구성하는 개별 선들은 균일하거나 상이한 너비, 길이 및 간격을 가질 수 있다. 해치 마크 속의 각각의 선은 바람직하게는 사실상 직선이지만, 직선이 아닐 수 있다. 다수의 도트(35)가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트(35) 및 해치 마크(32)는 셀(33)의 둘러싸인 공간 내에 위치한다.
셀, 각막윤부 링 및 나머지 패턴 요소 각각에 대해 선택된 색은 렌즈 착용자의 홍채의 본래 색과 목적하는 홍채 외관의 개선 또는 색 변화에 의해 결정된다. 셀, 각막윤부 링 및 추가 패턴 요소는 각각 색이 동일하거나 보색일 수 있다. 따라서, 요소들은 청색, 녹색, 회색, 갈색, 흑색, 황색, 적색 또는 이들이 조합된 다양한 색조 및 채도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임의 색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각막윤부 링에 대한 바람직한 색은 흑색, 갈색 및 회색의 다양한 색조 및 채도 중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착용자의 눈의 색상을 개선시키거나 변경시키기 위해 렌즈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각막윤부 링 패턴 요소는 렌즈 착용자의 각막윤부 영역의 색을 차폐하는 견고한 색 밴드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차폐 색은 불투명한 색이다. 나머지 패턴 요소들, 셀 및 기타 패턴 요소들은 목적하는 착용 결과에 따라 반투명하거나 불투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반투명"은 380 내지 780nm에서의 평균 투광도(T)가 약 60 내지 약 99%, 바람직하게는 약 65 내지 약 85%이도록 하는 색을 의미한다. "불투명"은 380 내지 780nm에서의 평균 투광도(T)가 0 내지 약 55%, 바람직하게는 7 내지 약 50%이도록 하는 색을 의미한다.
패턴 요소들은 콘택트 렌즈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유기 안료, 무기 안료 또는 이러한 안료들의 배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불투명도는 사용되는 안료와 이산화티탄의 농도를 변경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으며, 양이 많을수록 불투명도가 커진다. 유기 안료의 예는 프탈로시아닌 블루, 프탈로시아닌 그린, 카바졸 바이올렛, 배트 오렌지 #1 등 및 이들의 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유용한 무기 안료의 예는 산화철 블랙, 산화철 브라운, 산화철 옐로우, 산화철 레드, 이산화티탄 등 및 이들의 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들 안료 이외에, 디클로로트리아진 및 비닐 설폰계 염료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 가용성 및 불용성 염료가 사용될 수 있다. 유용한 염료 및 안료는 시판되고 있다.
소정의 염료 또는 안료를 하나 이상의 예비중합체 또는 결합 중합체 및 용매와 배합하여, 본 발명의 렌즈에 사용되는 반투명 층 및 불투명 층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착색제를 형성할 수 있다. 콘택트 렌즈용 착색제에 유용한 기타 첨가제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색 층에 유용한 결합 중합체, 용매 및 기타 첨가제는 공지되어 있고 시판되고 있거나, 이들의 제조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패턴 요소들을 렌즈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적용하거나 인쇄할 수 있거나, 렌즈 성형 재료가 부착되고 경화되는 금형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인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자인을 혼입한 바람직한 렌즈 성형방법에서,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스티렌 수지와 같은 폴리올레핀 및 사이클릭 폴리올레핀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제조된 열가소성 광학 금형을 사용한다. 패턴 요소들은 금형의 성형 표면의 목적하는 부분에 부착된다. "성형 표면"은 렌즈의 표면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금형 또는 반금형의 표면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부착은 다음과 같이 패드 인쇄에 의해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강,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강으로 제조된 금속판에, 경화되면 수불용성으로 될 수 있는 포토레지스트 재료를 도포한다. 패턴 요소들을 선택하거나 디자인한 후, 사진 기술과 같은 다수의 기술들 중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목적하는 크기로 감소시키고, 금속판 위에 위치시키고, 포토레지스트 재료를 경화시킨다.
그 다음, 금속판을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생성된 화상을 금속판 속으로 적합한 깊이로, 예를 들면, 약 20㎛ 에칭한다. 이어서, 결합 중합체, 용매 및 안료 또는 염료를 함유하는 착색제를 패턴 요소들 위에 부착시켜 함몰부를 착색제로 충전시킨다. 표면에 인쇄하고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약 10인 경도를 변화시키는데 사용하기에 적합한 기하학 구조의 실리콘 패드를 금속판의 화상에 대하여 압착시켜 착색제를 제거하고, 이어서 용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착색제를 약간 건조시킨다. 이어서, 패드를 광학 금형의 성형 표면에 대하여 압착시킨다. 금형을 12시간 이하 동안 탈기시켜 과량의 용매 및 산소를 제거한 후, 금형을 렌즈 재료로 충전시킨다. 이어서, 상보적인 반금형을 사용하여 금형 어셈블리를 완성하고, 당해 금형 어셈블리를, 사용되는 렌즈 재료를 경화시키기에 적합한 조건에 노출시킨다. 이러한 조건은 당해 기술분야에 익히 공지되어 있고 선택된 렌즈 재료에 좌우된다. 경화를 완료하고 렌즈를 금형으로부터 방출시킨 후, 완충된 염수로 평형화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투명한 예비중합체 층이 사용되고, 예비중합체 층은 적어도 각막윤부 링 및 셀 패턴 요소들 위에 위치하고, 바람직하게는 렌즈의 최외부 표면 전체를 형성한다. 예비중합체는 사용되는 안료 및 임의의 불투명화제를 분산시킬 수 있는 임의의 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임의의 공지된 렌즈 성형 재료 또는 렌즈를 제조하는 데 적합한 재료로 제조된 착색 하드 및 소프트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렌즈는 소프트 콘택트 렌즈이고, 본 발명의 렌즈를 성형시키기 위해 선택된 재료는 소프트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데 적합한 임의의 재료이다.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소프트 콘택트 렌즈를 성형하기에 적합한 바람직한 재료로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5,371,147호, 제5,314,960호 및 제5,057,578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들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실리콘 함유 마크로머(macromer), 하이드로겔, 실리콘 함유 하이드로겔 등 및 이들의 배합물이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렌즈 재료는 폴리디메틸 실록산 마크로머, 메타크릴옥시프로필 폴리알킬 실록산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이에 한정되지 않음) 실록산 관능기, 실리콘 하이드로겔 또는 하이드로겔(하이드록시 그룹, 카복실 그룹 또는 둘 모두 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단량체들로 제조됨)을 함유한다. 소프트 콘택트 렌즈 제조용 재료는 익히 공지되어 있고 시판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당해 재료는 아쿠아필콘, 에타필콘, 겐필콘, 레네필콘, 발라필콘, 로트라필콘 또는 갈리필콘이다.

Claims (8)

  1. 다수의 셀(cell)로 이루어진 패턴을 갖는 콘택트 렌즈로서, 불규칙하게 배열된 다수의 셀이 렌즈의 홍채 부분, 또는 렌즈가 눈 위의 중심에 있을 때 착용자의 홍채 위에 위치하는 렌즈 부분을 구성하고, 셀이 홍채 부분의 공간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구조를 갖고, 각각의 셀이 도트로 이루어진, 콘택트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각막윤부 링(limbal ring)을 추가로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도트, 해치 마크(hatch mark) 및 가상의 구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의 패턴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6. 제2항에 있어서, 도트, 해치 마크 및 가상의 구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의 패턴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7. 다수의 셀로 이루어진 패턴을 갖는 콘택트 렌즈를 제공함을 포함하는, 홍채 외관의 개선방법으로서, 불규칙하게 배열된 다수의 셀이 렌즈의 홍채 부분, 또는 렌즈가 눈 위의 중심에 있을 때 착용자의 홍채 위에 위치하는 렌즈 부분을 구성하고, 셀이 홍채 부분의 공간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구조를 갖고, 각각의 셀이 도트로 이루어진, 홍채 외관의 개선방법.
  8. 다수의 셀과 각막윤부 링으로 이루어진 패턴을 갖는 콘택트 렌즈를 제공함을 포함하는, 홍채 외관의 개선방법으로서, 불규칙하게 배열된 다수의 셀이 렌즈의 홍채 부분, 또는 렌즈가 눈 위의 중심에 있을 때 착용자의 홍채 위에 위치하는 렌즈 부분을 구성하고, 셀이 홍채 부분의 공간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구조를 갖고, 각각의 셀이 도트로 이루어진, 홍채 외관의 개선방법.
KR1020137005513A 2004-08-19 2005-08-16 셀 패턴을 갖는 착색 콘택트 렌즈 KR1013528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22,676 2004-08-19
US10/922,676 US20060050231A1 (en) 2004-08-19 2004-08-19 Tinted contact lenses with cell patterns
PCT/US2005/029055 WO2006023468A1 (en) 2004-08-19 2005-08-16 Tinted contact lenses with cell pattern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267A Division KR20070053279A (ko) 2004-08-19 2005-08-16 셀 패턴을 갖는 착색 콘택트 렌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948A KR20130038948A (ko) 2013-04-18
KR101352817B1 true KR101352817B1 (ko) 2014-01-20

Family

ID=3516979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267A KR20070053279A (ko) 2004-08-19 2005-08-16 셀 패턴을 갖는 착색 콘택트 렌즈
KR1020137005513A KR101352817B1 (ko) 2004-08-19 2005-08-16 셀 패턴을 갖는 착색 콘택트 렌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267A KR20070053279A (ko) 2004-08-19 2005-08-16 셀 패턴을 갖는 착색 콘택트 렌즈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60050231A1 (ko)
EP (1) EP1779187A1 (ko)
JP (1) JP2008510202A (ko)
KR (2) KR20070053279A (ko)
CN (1) CN101006380A (ko)
AR (1) AR050842A1 (ko)
AU (1) AU2005277524A1 (ko)
BR (1) BRPI0514513B1 (ko)
CA (1) CA2577672A1 (ko)
TW (1) TWI367358B (ko)
WO (1) WO20060234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66370B2 (en) * 2008-07-02 2011-11-29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Tinted contact lenses with crescent patterns
US9091865B2 (en) * 2012-01-18 2015-07-2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Fractal features for enhanced tear exchan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240A (en) * 1891-08-25 seaton
EP1096296A2 (en) * 1999-10-28 2001-05-02 CL-Tinters Oy Method for producing a raster surface for use in the coloring of a contact lens
US20030156249A1 (en) * 1989-11-01 2003-08-21 Jahnke Richard L. Colored contact lens having very natural appearance
US20030169401A1 (en) 1998-03-12 2003-09-11 Ocampo Gerardo J. Colored contact lens with a more natural appearan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2402A (en) * 1984-04-16 1986-04-15 Schering Corporation Color-imparting contact lenses
US5120121A (en) * 1988-07-21 1992-06-09 Allergan, Inc. Colored lens
US5160463A (en) * 1990-10-30 1992-11-03 Pilkington Visioncar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tact lens
US5793466A (en) * 1996-08-27 1998-08-11 Moncada; Juliette R. Eye color highlighting contact lens
US5936705A (en) * 1997-03-31 1999-08-10 Wesley Jensen Corporation Pattern for color modifying contact lens
US6030078A (en) * 1998-09-04 2000-02-29 Wesley Jessen Corporation Colored contact lenses that change the appearance of the iris to olive green
US6132043A (en) * 1998-09-04 2000-10-17 Wesley-Jessen Corporation Colored contact lenses that enhance cosmetic appearance of dark-eyed people
CN1394291A (zh) * 2000-01-03 2003-01-29 威斯利杰森公司 具有更自然外观的着色隐形眼镜
US20020080327A1 (en) * 2000-12-22 2002-06-27 Clark Douglas G. Tinted contact lenses
US6513930B2 (en) * 2001-06-13 2003-02-04 Chung Wei Hsu Contact lens capable of letting eyeball seem larger
US6733126B2 (en) * 2001-06-29 2004-05-11 Daniel G. Streibig Colored contact len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50001978A1 (en) * 2003-07-01 2005-01-06 Ocampo Gerardo J. Colored contact lenses that enhance cosmetic appearance of light-eyed peop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240A (en) * 1891-08-25 seaton
US20030156249A1 (en) * 1989-11-01 2003-08-21 Jahnke Richard L. Colored contact lens having very natural appearance
US20030169401A1 (en) 1998-03-12 2003-09-11 Ocampo Gerardo J. Colored contact lens with a more natural appearance
EP1096296A2 (en) * 1999-10-28 2001-05-02 CL-Tinters Oy Method for producing a raster surface for use in the coloring of a contact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67358B (en) 2012-07-01
CA2577672A1 (en) 2006-03-02
AR050842A1 (es) 2006-11-29
CN101006380A (zh) 2007-07-25
BRPI0514513B1 (pt) 2017-10-24
AU2005277524A1 (en) 2006-03-02
EP1779187A1 (en) 2007-05-02
US20060050231A1 (en) 2006-03-09
KR20130038948A (ko) 2013-04-18
TW200626987A (en) 2006-08-01
BRPI0514513A (pt) 2008-06-10
JP2008510202A (ja) 2008-04-03
KR20070053279A (ko) 2007-05-23
WO2006023468A1 (en) 200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9070B1 (ko) 각막윤부 링과 홍채 패턴이 배합된 착색 콘택트 렌즈
CA2566389C (en) Tinted contact lenses with combined limbal ring and iris patterns
KR20070055540A (ko) 해치 패턴을 갖는 착색 콘택트 렌즈
KR20070039172A (ko) 구배 환 패턴을 갖는 착색 콘택트 렌즈
US20020080327A1 (en) Tinted contact lenses
KR20030063451A (ko) 칼라 콘택트 렌즈
US20110019149A1 (en) Tinted Contact Lens Having a Depth Effect
KR20110027810A (ko) 초승달 패턴을 갖는 착색 콘택트 렌즈
KR101352817B1 (ko) 셀 패턴을 갖는 착색 콘택트 렌즈
US20070058131A1 (en) Tinted contact lenses with three-dimensional iris patterns
AU2002249815A1 (en) Tinted contact len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