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489B1 -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 점검차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도장공법 - Google Patents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 점검차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도장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489B1
KR102062489B1 KR1020190055822A KR20190055822A KR102062489B1 KR 102062489 B1 KR102062489 B1 KR 102062489B1 KR 1020190055822 A KR1020190055822 A KR 1020190055822A KR 20190055822 A KR20190055822 A KR 20190055822A KR 102062489 B1 KR102062489 B1 KR 102062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paint spraying
paint
unit
bridge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형
Original Assignee
(주)리콘
(주)에스지이테크
고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콘, (주)에스지이테크, 고재형 filed Critical (주)리콘
Priority to KR1020190055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comprising sensors for monitoring the delivery, e.g. by displaying the sensed value or generating an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18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elements moving in a straight line, e.g. along a track; Mobile sprink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08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two or more liqui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 점검차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도장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유압식 곤돌라 또는 리프터를 부착하여 교량 하부를 점검하는 교량점검차에 있어서, 상기 교량점검차는 상기 유압식 곤돌라 또는 리프터를 대체하여 도료분사부를 포함하되,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도료분사부는 상기 교량점검차로부터 교량하부 수직면에 도료를 분사하는 1개 이상의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이 배치된 면의 양측면부에 거리측정 센서와 비접촉식 도막 두께 측정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센서부와 상기 분사노즐이 배치된 면에 진공 비산 흡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점검차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도장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 점검차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도장공법{Bridge Spray Method Using A Bridge Check Vehicle And A Bridge Spray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 점검차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도장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유압식 곤돌라 또는 리프터를 부착하여 교량 하부를 점검하는 교량점검차에 있어서, 상기 교량점검차는 상기 유압식 곤돌라 또는 리프터를 대체하여 도료분사부를 포함하되,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도료분사부는 상기 교량점검차로부터 교량하부 수직면에 도료를 분사하는 1개 이상의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이 배치된 면의 양측면부에 거리측정 센서와 비접촉식 도막 두께 측정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센서부와 상기 분사노즐이 배치된 면에 진공 비산 흡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점검차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도장공법에 관한 것이다.
교량은 크게 나누어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로 나뉘어지는데, 상부구조는 교량의 주체를 이루고 있는 부분으로서 교량을 통과하는 차량등 통과물의 하중을 하부에 전달하여주는 역할을 하며, 하부구조는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기초지반으로 전달하는 구조로서 교대, 교각 및 기초(Footing)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 교량의 도장작업은 교량 하부 공간에 지면으로부터 가설비계 등 가설설비를 복잡하게 설치하고 먼지등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외부포장 작업을 해야 했거나, 교량 상부에 별도의 고정 장비를 설치하여 도장작업을 해야 했다.
따라서 종래의 교량 도장작업은 밀폐된 좁은 폐쇄공간에서의 인력작업으로 인해 질식사고가 빈번하고 시공 효율성 및 품질이 저하되며, 가설설비 설치 등으로 인해 공기가 지연되고, 시공성이 떨어졌다.
또한 가설설비가 교량 하부 공간에 점유 설치되므로, 상기 공간에서의 통행이 금지되어 교통체증을 유발하거나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하게 된다.
교량 상부에 별도의 고정장비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여전히 교통체증을 유발하거나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에 대해 기존의 한국 등록특허 제10-1401942호(발명의 명칭 : 도장기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자동도장기구, 공고일자 2012.02.20)는 전체적으로 판재를 U자 내지 박스모양으로 절곡하여 성형한 형상이며 절곡된 단부에 교량의 도장위치를 감싸도록 가이드벽(112)이 형성되는 케이싱(110); 상기 케이싱(110) 중앙 외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선단붐(120); 상기 케이싱(110)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분진을 포함한 이물질을 흡입하며 흡입된 이물질은 외부의 집진부(미도시)에 모이도록 상기 집진부와 연결된 다수 개의 분진흡입관(130); 상기 케이싱(110)의 중앙을 관통하여 설치되되 외부의 유압발생장치(미도시), 공기압발생장치(미도시) 또는 전원부(미도시)와 연결된 다수 개의 멀티장착부(140); 및, 상기 멀티장착부(140)의 선단에 장착되는 도장구(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이드벽(112)은 구부려지고 펴질 수 있는 분절구조로 이루어져 케이싱조절구(116)를 통하여 도장위치를 감싸는 양단 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가이드벽(112)의 끝단에는 분진의 발산을 방지하는 브러쉬(미도시)가 부착되고, 상기 도장구(150)는 유압, 공기압 또는 전원으로 구동되는 디스크샌드(152)나 와이어호일(154) 또는 스프레이건(156)으로 구성되거나 전원으로 구동되는 도막두께측정기(158)로 구성되어 교환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기구(100)를 제공한다는 것을 특징으로 도장기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자동도장기구에 관한 것인바, 구성상 교량의 1면의 일부만을 도장공법을 시행할 수 있고, 저면과 교량하부 내측 공간에 도장공법을 실시할 수 있는 구성과 교량하부 외측 공간을 도장공겁을 실시할 수 있는 구성이 달라 시공시간, 인력, 시공비의 절감에 있어서는 합리적인 선택이 되지 못하는바 이를 해결할 방법의 구상이 절실하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과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1) 본 발명의 목적은 도장 보수 공정을 인력이 아닌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 점검차를 이용하여 작업원의 추락을 방지하여 공정의 안전성을 도모함에 있다.
(2)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점검차를 이용하여 정밀시공과 신속한 도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장공법과 보수 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3)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교량 상부면(교면) 도로 한개차선만을 교량점검차가 점유 및 작업을 실시하여 교량 통과 차량과 보행자의 통행의 방해를 최소화하는 수단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압식 곤돌라 또는 리프터를 부착하여 교량 하부를 점검하는 교량점검차에 있어서, 상기 교량점검차(100)는 상기 유압식 곤돌라 또는 리프터를 대체하여 도료분사부(120)를 포함하되, 제어부(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료분사부(120)는 상기 교량점검차로(100)부터 교량하부 수직면에 도료를 분사하는 1개 이상의 분사노즐(N)과 상기 분사노즐(N)이 배치된 면의 측면부에 거리측정 센서(미도시 및 부호 미부여)와 비접촉식 도막 두께 측정 센서(미도시 및 부호 미부여)를 포함하여 구성된 센서부(S)와 진공 비산 흡입부(I)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료분사부(120)는 교량하부 수직면 1면을 분사할 수 있도록 I형 도료분사부(120I)로 구성되거나, 교량하부 수직면 1면과 저면을 동시에 분사할 수 있도록 L형 도료분사부(120L)로 구성되거나, 교량하부 저면과 수직면 2면을 동시에 분사할 수 있도록 U형 도료분사부(120U)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S)에는 실시간 CCTV(미도시 및 부호 미부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료분사부(120)는 2개의 노즐이 분사되는 면을 기준으로 V자형의 대칭형을 이루어 각각 경화제와 도료가 각각 표면에 분사되어 혼합되도록 하는 하나의 이액형 분사노즐(미도시 및 부호 미부여)을 구성하되, 상기 이액형 분사노즐이 1개 이상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실시간 CCTV(미도시 및 부호 미부여)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영상정보와 센서부(S)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데이터와 상기 저장부의 저장 용량 데이터를 외부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및 부호 미부여), 상기 분사노즐(N)의 분사량과 상기 교량점검차(100)의 구동속도를 제어하는 MCU부(미도시 및 부호 미부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공 비산 흡입부(I)는 분사노즐(N)로부터 분사되는 도료중에서 공중으로 비산되는 것을 흡입하되, 흡입된 도료를 저장하는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 및 부호 미부여)를 더 포함한다.
도료분사부(120)를 갖춘 교량점검차를 이용한 교량 도장공법에 있어서,
상기 교량 도장공법은
a)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점검차(100)를 도장공법을 실시할 교량의 소정위치에 배치하되, 도장공법을 실시할 교량 하부면에 도료분사부를 배치하는 초기 배치 단계(S100);
b) 상기 센서부(S)를 구성하는 거리 측정 센서, 비접촉식 도막 두께 측정 센서, CCTV를 초기화하여 구동시키는 센서 구동 단계(S200);
c) 상기 제어부(C)에 사용자에 의해 작업 거리, 작업 도막 두께를 입력하는 작업 데이터 입력 단계(S300);
d) 상기 교량점검차(100)가 도장공법이 시행될 교량 하부면과 평행하게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도료를 분사하는 이동 분사 단계(S400);
e) 상기 도료분사부(120)의 이동 방향의 후면에 장착된 센서부(S)에 포함된 비접촉식 도막 두께 측정 센서에 의해 분사작업된 도막의 두께를 측정하여 상기 데이터 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도막 두께를 만족하는지를 판별하는 도막 두께 판별 단계(S500);
f) 상기 도막 두께 판별 단계에서 도막 두께를 불만족하는 경우 교량점검차가 후진하면서 재도장하는 재도장 단계(S510);
g) 상기 재도장 단계에서 재도장 도막 두께를 판별하는 재도장 도막 두께 판별 단계(S520);
h) 상기 재도장 도막 두께를 만족하는 경우 재도장 단계에서 후진한 원위치로 회귀하는 회귀 이동 단계(S530);
i) 작업데이터 단계에서 입력된 작업 거리 도달 여부를 판별하는 작업 거리 도달 판별 단계(S600);
j) 작업 거리 도달 판별 단계에서 작업 거리 도달로 판별된 경우 교량점검차의 이동을 멈추는 작업 완료 단계(S700); 및
k) 사용자에 의해 교량점검차로부터 도료분사부를 분리시키는 도료분사부 분리 단계(S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 데이터 입력 단계(S300)와 이동 분사 단계(S400) 사이에
교량의 하부 표면의 도막상태가 비접촉 도막 두께 센서가 도장 보수가 필요한 도막 열화인지 판단하는 도막 열화 여부 판별 단계(S350);와 도막 열화로 판별되지 않는 경우 다음 센싱할 수 있는 범위로 교량점검차를 이동하는 이동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 분사 단계는 상기 교량점검차의 구동에 의해 도장 보수가 필요한 부분에 도료를 분사하는 이동 분사 단계(S360);로 대체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 점검차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도장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본 발명은 도장 보수 공정을 인력이 아닌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 점검차를 이용하여 작업원의 추락을 방지하여 공정의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2) 본 발명은 상기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점검차를 이용하여 정밀시공과 신속한 도장이 가능하여 비용의 저감과 작업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3) 본 발명은 교량 상부면(교면) 도로 한개차선만을 교량점검차가 점유 및 작업을 실시하여 교량 통과 차량과 보행자의 통행의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4) 본 발명은 도장공법을 시행할 교량하부의 면을 선택적으로 시행하거나 동시에 다수면을 도장할 수 있어 단시간에 많은 도장 및 그 보수가 가능한바 이에 의해 저비용과 고효율 공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 점검차와 상기 교량 점검차가 도장공법을 실시하는 교량을 간략하게 도시한 외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 점검차와 상기 교량 점검차가 도장공법을 실시하는 교량을 간략하게 도시한 전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 점검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교량점검차에 설치된 모듈 도료분사부의 외부 상세도이다.
도 5는 교량점검차에 설치된 I형 도료분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교량점검차에 설치된 L형 도료분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교량점검차에 설치된 U형 도료분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 점검차가 교량 도장공법을 실시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 점검차를 이용한 교량 도장공법의 일실시예로서 알고리즘 내지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 점검차가 교량 도장공법의 또다른 일실시예로서 알고리즘 내지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 점검차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도장공법"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발명은 일면에 있어서, 도 1은 본 발명인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 점검차와 상기 교량 점검차가 도장공법을 실시하는 교량을 간략하게 도시한 외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 점검차와 상기 교량 점검차가 도장공법을 실시하는 교량을 간략하게 도시한 전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 점검차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교량점검차에 설치된 모듈 도료분사부의 외부 상세도이며, 도 5는 교량점검차에 설치된 I형 도료분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교량점검차에 설치된 L형 도료분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교량점검차에 설치된 U형 도료분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인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 점검차가 교량 도장공법을 실시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인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 점검차를 이용한 교량 도장공법의 일실시예로서 알고리즘 내지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인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 점검차가 교량 도장공법의 또다른 일실시예로서 알고리즘 내지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유압식 곤돌라 또는 리프터를 부착하여 교량 하부를 점검하는 교량점검차에 있어서, 상기 교량점검차(100)는 상기 유압식 곤돌라 또는 리프터를 대체하여 도료분사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량점검차(100)에는 도료와 경화제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도료와 경화제를 도료분사부에 보내는 저압컴프레셔부가 설치되어 있음은 당연한 사항으로서 하기의 기술은 모두 이를 전제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교량점검차는 그 형식 유무를 불문하고 기존의 교량하부를 점검하기 위해 곤돌라등을 굴절암의 말단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형태로는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량점검차(100)는 도장공법 실시에 대한 각종 데이터 처리와 교령점검차의 전후진 구동에 대한 알고리즘이 임베딩된 제어부(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알고리즘에는 도막두께 추종치를 설정하여 이를 만족하도록 도료분사부에 설치된 분사노즐의 도료 분사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데, 이에는 분사노즐의 도료 분사 속도와 교량점검차의 구동속도를 모두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는 분사노즐의 도료 분사속도를 제어하고, 교량점검차의 구동속도를 정속도로 하는 방법과 분사노즐의 도료 분사속도를 정량 제어하고 교량점검차의 구동속도를 제어하는 방법과 분사노즐의 도료 분사속도와 교량점검차의 구동속도를 모두 제어하는 밥법이 있을 수 있는데, 이중 우선적으로 고려되는 방법은 분사노즐의 도료 분사속도를 제어하고, 교량점검차의 구동속도를 정속도로 하는 방법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도료분사부(120)는 상기 교량점검차로(100)부터 교량하부 수직면에 도료를 분사하는 1개 이상의 분사노즐(N)과 상기 분사노즐(N)이 배치된 면의 양측면부에 거리측정 센서(미도시 및 부호 미부여)와 비접촉식 도막 두께 측정 센서(미도시 및 부호 미부여)를 포함하여 구성된 센서부(S)와 진공 비산 흡입부(I)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중 전면에 위치한 측면부에 설치된 센서부는 특히 재도장작업에 있어서, 현재 도막 상태의 열화를 판단하는데 핵심역할을 하는 것이고, 후면에 위치한 측면부에 설치된 센서부는 현재 도장하고 있는 도막 두께를 판별하는 역할을 함은 당연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진공 비산 흡입부(I)는 분사노즐이 배열된 면의 바깥쪽에 흡입할 수 있는 공간이 길게 1자로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상기 도료분사부(120)는 교량하부 수직면 1면을 분사할 수 있도록 I형 도료분사부(120I)로 구성되거나, 교량하부 수직면 1면과 저면을 동시에 분사할 수 있도록 L형 도료분사부(120L)로 구성되거나, 교량하부 저면과 수직면 2면을 동시에 분사할 수 있도록 U형 도료분사부(120U)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도료분사부(120)이 교량 하부 수직면 전체를 한번에 도장작업 할 수 있도록 I자 형태로 배열된 것으로서, 이를 I형 도료분사부(120I)로 칭하는데, 이는 교량 하부 외부면을 단 한번의 도장공법을 시행하여 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해준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도료분사부(120)이 교량 하부 수직면 1면 전체와 교량 하부 저면부위를 한번에 도장작업 할 수 있도록 L자 형태로 배열된 것으로서, 이를 L형 도료분사부(120L)로 칭하는데, 이는 교량 하부 외부 측면과 저면부를 단 한번의 도장공법을 시행하여 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해준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도료분사부(120)이 교량 하부 수직면 내외부면 전체와 교량 하부 저면부위를 한번에 도장작업 할 수 있도록 U자 형태로 배열된 것으로서, 이를 U형 도료분사부(120U)로 칭하는데, 이는 교량 하부 외부 측면과 내부 측면과 저면부를 단 한번의 도장공법을 시행하여 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U형 도료분사부는 도장작업 중 표면에 돌출되는 구조를 만나면 관절구조로 인해 접혀져 진행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교량하부 수직면 1면 일부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형 도료분사부(120m)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소규모 도장 작업을 하거나 교량 측면 수직면부 국소부만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효과적이다.
상기 센서부(S)에는 실시간 CCTV(미도시 및 부호 미부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료분사부(120)는 2개의 노즐이 분사되는 면을 기준으로 V자형의 대칭형을 이루어 각각 경화제와 도료가 각각 표면에 분사되어 혼합되도록 하는 하나의 이액형 분사노즐(미도시 및 부호 미부여)을 구성하되, 상기 이액형 분사노즐이 1개 이상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실시간 CCTV(미도시 및 부호 미부여)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영상정보와 센서부(S)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데이터와 상기 저장부의 저장 용량 데이터를 외부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및 부호 미부여), 상기 분사노즐(N)의 분사량과 상기 교량점검차(100)의 구동속도를 제어하는 MCU부(미도시 및 부호 미부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공 비산 흡입부(I)는 분사노즐(N)로부터 분사되는 도료중에서 공중으로 비산되는 것을 흡입하되, 흡입된 도료를 저장하는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 및 부호 미부여)를 더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L형 도료분사부(120)에 의한 도장공법을 실시함을 예시로서 표현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도료분사부(120)를 갖춘 교량점검차를 이용한 교량 도장공법에 있어서,
상기 교량 도장공법은
a)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점검차(100)를 도장공법을 실시할 교량의 소정위치에 배치하되, 도장공법을 실시할 교량 하부면에 도료분사부를 배치하는 초기 배치 단계(S100);
b) 상기 센서부(S)를 구성하는 거리 측정 센서, 비접촉식 도막 두께 측정 센서, CCTV를 초기화하여 구동시키는 센서 구동 단계(S200);
c) 상기 제어부(C)에 사용자에 의해 작업 거리, 작업 도막 두께를 입력하는 작업 데이터 입력 단계(S300);
d) 상기 교량점검차(100)가 도장공법이 시행될 교량 하부면과 평행하게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도료를 분사하는 이동 분사 단계(S400);
e) 상기 도료분사부(120)의 이동 방향의 후면에 장착된 센서부(S)에 포함된 비접촉식 도막 두께 측정 센서에 의해 분사작업된 도막의 두께를 측정하여 상기 데이터 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도막 두께를 만족하는지를 판별하는 도막 두께 판별 단계(S500);
f) 상기 도막 두께 판별 단계에서 도막 두께를 불만족하는 경우 교량점검차가 후진하면서 재도장하는 재도장 단계(S510);
g) 상기 재도장 단계에서 재도장 도막 두께를 판별하는 재도장 도막 두께 판별 단계(S520);
h) 상기 재도장 도막 두께를 만족하는 경우 재도장 단계에서 후진한 원위치로 회귀하는 회귀 이동 단계(S530);
i) 작업데이터 단계에서 입력된 작업 거리 도달 여부를 판별하는 작업 거리 도달 판별 단계(S600);
j) 작업 거리 도달 판별 단계에서 작업 거리 도달로 판별된 경우 교량점검차의 이동을 멈추는 작업 완료 단계(S700); 및
k) 사용자에 의해 교량점검차로부터 도료분사부를 분리시키는 도료분사부 분리 단계(S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작업 데이터 입력 단계(S300)와 이동 분사 단계(S400) 사이에 교량의 하부 표면의 도막상태가 비접촉 도막 두께 센서가 도장 보수가 필요한 도막 열화인지 판단하는 도막 열화 여부 판별 단계(S350);와 도막 열화로 판별되지 않는 경우 다음 센싱할 수 있는 범위로 교량점검차를 이동하는 이동 단계(S3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 분사 단계는 상기 교량점검차의 구동에 의해 도장 보수가 필요한 부분에 도료를 분사하는 이동 분사 단계(S400');로 대체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 점검차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도장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본 발명은 도장 보수 공정을 인력이 아닌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 점검차를 이용하여 작업원의 추락을 방지하여 공정의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2) 본 발명은 상기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점검차를 이용하여 정밀시공과 신속한 도장이 가능하여 비용의 저감과 작업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3) 본 발명은 교량 상부면(교면) 도로 한개차선만을 교량점검차가 점유 및 작업을 실시하여 교량 통과 차량과 보행자의 통행의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4) 본 발명은 도장공법을 시행할 교량하부의 면을 선택적으로 시행하거나 동시에 다수면을 도장할 수 있어 단시간에 많은 도장 및 그 보수가 가능한바 이에 의해 저비용과 고효율 공법을 제공할 수 있다.
100 :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점검차 110 : 교량점검차 본체부
120 : 도료분사부 120m : 모듈 도료분사부
120I : I형 도료분사부 120L : L형 도료분사부
120U : U형 도료분사부 N : 분사노즐
S : 센서군 I : 진공 비산 흡입부
C : 제어부

Claims (8)

  1. 유압식 곤돌라 또는 리프터를 부착하여 교량 하부를 점검하는 교량점검차에 있어서,
    상기 교량점검차는 상기 유압식 곤돌라 또는 리프터를 대체하여 도료분사부를 포함하되,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도료분사부는 상기 교량점검차로부터 교량하부 수직면에 도료를 분사하는 1개 이상의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이 배치된 면의 양측면부에 거리측정 센서및 비접촉식 도막 두께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분사노즐이 배치된 면에 진공 비산 흡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료분사부는 교량하부 수직면 1면을 분사할 수 있는 I형 도료분사부, 교량하부 수직면 1면과 저면을 동시에 분사할 수 있는 L형 도료분사부, 교량하부 저면과 수직면 2면을 동시에 분사할 수 있는 U형 도료분사부, 교량하부 수직면 1면 일부를 분사할 수 있는 모듈형 도료분사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료분사부는 2개의 노즐이 분사되는 면을 기준으로 V형의 대칭형을 이루어 각각 경화제와 도료가 각각 표면에 분사되어 혼합되도록 하는 하나의 이액형 분사노즐을 구성하되, 상기 이액형 분사노즐이 1개 이상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는 실시간 CCTV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시간 CCTV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영상정보와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데이터와 도료 및 경화제 저장부의 저장 용량 데이터를 외부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분사노즐의 분사량과 상기 교량점검차의 구동속도를 제어하되, 교량 도장알고리즘이 임베딩되어 있는 MCU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점검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공 비산 흡입부는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도료중에서 공중으로 비산되는 것을 흡입하되, 흡입된 도료를 저장하는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점검차.
  7. 청구항 1에 따른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점검차를 이용한 교량 도장공법에 있어서,
    상기 교량 도장공법은
    a)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점검차를 도장공법을 실시할 교량의 소정위치에 배치하되, 도장공법을 실시할 교량 하부면에 도료분사부를 배치하는 초기 배치 단계;
    b) 상기 센서부를 구성하는 거리 측정 센서, 비접촉식 도막 두께 측정 센서, CCTV를 초기화하여 구동시키는 센서 구동 단계;
    c) 상기 제어부에 사용자에 의해 작업 거리, 작업 도막 두께를 입력하는 작업 데이터 입력 단계;
    d) 상기 교량점검차가 도장공법이 시행될 교량 하부면과 평행하게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도료를 분사하는 이동 분사 단계;
    e) 상기 도료분사부의 이동 방향의 후면에 장착된 센서부에 포함된 비접촉식 도막 두께 측정 센서에 의해 분사작업된 도막의 두께를 측정하여 상기 데이터 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도막 두께를 만족하는지를 판별하는 도막 두께 판별 단계;
    f) 상기 도막 두께 판별 단계에서 도막 두께를 불만족하는 경우 교량점검차가 후진하면서 재도장하는 재도장 단계;
    g) 상기 재도장 단계에서 재도장 도막 두께를 판별하는 재도장 도막 두께 판별 단계;
    h) 상기 재도장 도막 두께를 만족하는 경우 재도장 단계에서 후진한 원위치로 회귀하는 회귀 이동 단계;
    i) 작업데이터 단계에서 입력된 작업 거리 도달 여부를 판별하는 작업 거리 도달 판별 단계;
    j) 작업 거리 도달 판별 단계에서 작업 거리 도달로 판별된 경우 교량점검차의 이동을 멈추는 작업 완료 단계; 및
    k) 사용자에 의해 교량점검차로부터 도료분사부를 분리시키는 도료분사부 분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점검차를 이용한 교량 도장공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작업 데이터 입력 단계와 이동 분사 단계 사이에
    교량의 하부 표면의 도막상태가 비접촉 도막 두께 센서가 도장 보수가 필요한 도막 열화인지 판단하는 도막 열화 여부 판별 단계;와 도막 열화로 판별되지 않는 경우 다음 센싱할 수 있는 범위로 교량점검차를 이동하는 이동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 분사 단계는 상기 교량점검차의 구동에 의해 도장 보수가 필요한 부분에 도료를 분사하는 이동 분사 단계;로 대체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점검차를 이용한 교량 도장공법.
KR1020190055822A 2019-05-13 2019-05-13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 점검차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도장공법 KR102062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822A KR102062489B1 (ko) 2019-05-13 2019-05-13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 점검차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도장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822A KR102062489B1 (ko) 2019-05-13 2019-05-13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 점검차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도장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2489B1 true KR102062489B1 (ko) 2020-01-06

Family

ID=69159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822A KR102062489B1 (ko) 2019-05-13 2019-05-13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 점검차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도장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48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76842A (zh) * 2020-06-24 2020-09-18 浙江省交通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桥墩腐蚀防护喷漆施工结构及其施工方法
CN114411567A (zh) * 2022-03-03 2022-04-29 上海建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桥梁端面涂料智能喷涂机器人
CN114772514A (zh) * 2022-05-19 2022-07-22 郑州大学 一种桥梁施工机械提升装置
KR102471482B1 (ko) * 2022-08-18 2022-11-28 (주) 다음기술단 도로교량 시설물의 스마트 무인점검 장치
CN111676842B (zh) * 2020-06-24 2024-05-31 浙江数智交院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桥墩腐蚀防护喷漆施工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3422A (ja) * 2001-06-20 2003-01-08 Kawada Industries Inc 橋梁の洗浄装置
KR101113240B1 (ko) * 2011-01-21 2012-02-20 주식회사 우성디앤씨 도장기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자동도장기구
JP2016130425A (ja) * 2015-01-14 2016-07-21 住友建機株式会社 舗装機械及び舗装機械に搭載される乳剤散布システムの校正方法
KR101831972B1 (ko) * 2016-10-31 2018-02-23 정가영 도장용 스프레이 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3422A (ja) * 2001-06-20 2003-01-08 Kawada Industries Inc 橋梁の洗浄装置
KR101113240B1 (ko) * 2011-01-21 2012-02-20 주식회사 우성디앤씨 도장기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자동도장기구
JP2016130425A (ja) * 2015-01-14 2016-07-21 住友建機株式会社 舗装機械及び舗装機械に搭載される乳剤散布システムの校正方法
KR101831972B1 (ko) * 2016-10-31 2018-02-23 정가영 도장용 스프레이 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76842A (zh) * 2020-06-24 2020-09-18 浙江省交通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桥墩腐蚀防护喷漆施工结构及其施工方法
CN111676842B (zh) * 2020-06-24 2024-05-31 浙江数智交院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桥墩腐蚀防护喷漆施工结构及其施工方法
CN114411567A (zh) * 2022-03-03 2022-04-29 上海建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桥梁端面涂料智能喷涂机器人
CN114772514A (zh) * 2022-05-19 2022-07-22 郑州大学 一种桥梁施工机械提升装置
CN114772514B (zh) * 2022-05-19 2023-10-27 郑州大学 一种桥梁施工机械提升装置
KR102471482B1 (ko) * 2022-08-18 2022-11-28 (주) 다음기술단 도로교량 시설물의 스마트 무인점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2489B1 (ko)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 점검차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도장공법
CN103153483B (zh) 表面溅射装置
US11261571B2 (en) Roadway maintenance striping control system
US5947636A (en) Rapid road repair vehicle
EP2152973B1 (en) Line striper with automatic layout
US20170080438A1 (en) Assembly for preparing and/or painting large surfaces
CN106238257A (zh) 隧道侧壁喷涂机
KR102347334B1 (ko) 회전 기능을 구비하는 단일 노즐 분사 장치 및 분사거리에 따른 최적 분사를 이용하는 건설현장 비산먼지 저감 장치
CN107829359A (zh) 一种自主标线检测机器人系统
JP2017507266A (ja) 道路用メンテナンス・ストライピング装置
CN109778707A (zh) 一种装配化施工的钢桥面浇注式沥青混合料立体摊铺系统
CN104289381A (zh) 公路护栏自动刷漆装置
CN113751231B (zh) 面向船舶分段非结构面的超大空间喷涂装备及喷涂方法
US202102935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thickness of marking material applied to a roadway surface
JP2015132152A (ja) 道路等における区画線の塗装装置、及び区画線の施工データ記録装置
KR102047208B1 (ko) 정밀시공이 가능한 강재 도장재 분사 로봇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장공법
KR102159124B1 (ko) 건축물의 스프레이 도장용 방진막 전용 부스
US9522406B2 (en) Portable paint shield
Nagatani et al. Research and development on robotic technologies for infrastructure maintenance
KR102366694B1 (ko) 무인도색로봇
KR102572616B1 (ko) 도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장시스템
RU2664033C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группового вождения дорожных машин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TWI801805B (zh) 塗裝系統及其運用方法
Skibniewski Engineering and economic analysis of robotics application potential in selected construction operations
JP2005103420A (ja) 塗装装置および塗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