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972B1 - 도장용 스프레이 건 - Google Patents

도장용 스프레이 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972B1
KR101831972B1 KR1020160142700A KR20160142700A KR101831972B1 KR 101831972 B1 KR101831972 B1 KR 101831972B1 KR 1020160142700 A KR1020160142700 A KR 1020160142700A KR 20160142700 A KR20160142700 A KR 20160142700A KR 101831972 B1 KR101831972 B1 KR 101831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tance
nozzle
nozzle uni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가영
Original Assignee
정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가영 filed Critical 정가영
Priority to KR1020160142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9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comprising sensors for monitoring the delivery, e.g. by displaying the sensed value or generating an alarm
    • B05B12/006Pressure or flow rate sensors
    • B05B12/008Pressure or flow rate sensors integrated in or attached to a discharge apparatus, e.g. a spray gu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distance between spray apparatus and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장용 스프레이 건에 관한 것으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도료가 분사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펌프부, 상기 펌프부를 통해 상기 노즐부에 공급되는 공압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 상기 노즐부 출구로부터 피도장물 표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유닛 및 상기 거리유닛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압력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장용 스프레이 건{SPRAY PAINT GUN}
본 발명은 도장용 스프레이 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차체, 가전 제품, 가구 등의 공업 제품, 건물의 내벽, 외벽, 교량 등의 피도장물에 도료를 부착시키는 도장에는, 도료를 분사하는 구성을 가지는 스프레이 건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도료를 도포하는 도장작업에 편리하게 사용되는 스프레이 건은 통상적으로 도료가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유입된 도료가 배출되는 출구를 갖는 권총형상의 몸체와, 몸체에 결합되어 배출되는 도료가 분사되게 하는 분사노즐과, 몸체에 연결되어 몸체에 대하여 전·후방으로 회동되면서 도료의 분사 유무를 결정하는 트리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스프레이 건은, 예를 들면, 공개실용신안 20-2015-000038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레이 건은 사용자가 손으로 트리거를 파지하여 가압하면 도료가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고, 트리거의 가압을 해제하면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던 도료의 분사가 중단된다.
이러한 종래의 스프레이 건은 도료의 분사 압력이 일정하거나 도료의 분사 양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하여 분사함으로써, 피도장물의 표면에 균일하지 못한 불규칙한 도장이 형성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피도장물의 표면에 도포가 균일하게 될 수 있는 스프레이 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장용 스프레이 건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도료가 분사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펌프부, 상기 펌프부를 통해 상기 노즐부에 공급되는 공압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 상기 노즐부 출구로부터 피도장물 표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유닛 및 상기 거리유닛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압력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리유닛은, 상기 노즐부의 출구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노즐부의 중심을 향해 경사진 몸체부,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부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몸체부 내부에 위치하는 거리감지센서부를 포함하며, 경사진 상기 몸체부의 출구로부터 피도장물까지의 직선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노즐부의 출구로부터 피도장물 표면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리유닛은, 경사진 상기 몸체부와 노즐부의 출구 사이의 각도(α)를 감지하는 각도감지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경사진 상기 몸체부와 노즐부의 출구 사이의 각도가 α인 경우, 상기 거리유닛에서 감지된 거리(L)에 cosα를 곱한 값으로 상기 노즐부의 출구로부터 피도장물 표면까지의 거리(L')를 산출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경사진 상기 몸체부의 각도(α)를 인식하여 기입력되어 있는 코사인 값의 테이블에서 cosα값을 추정하여 상기 노즐부의 출구로부터 피도장물 표면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용 스프레이 건은 상기 노즐부로부터 도료를 분사시키는 작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프레이 건은 피도장물 표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여 거리에 따라 분사되는 도료의 압력과 양을 조절하여 균일한 도장 표면을 유지함으로써 정밀한 도장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과도한 분사나 도료 분사가 적어 재분사하는 경우를 줄여 비용 절감의 경제적 효과와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도장물의 표면이 곡면이나 불규칙한 형태의 요철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노즐부 출구로부터 피도장물까지의 거리를 산출하여 피도장물의 표면에 도장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용 스프레이 건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용 스프레이 건의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용 스프레이 건의 일실시예의 거리유닛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용 스프레이 건의 일실시예의 거리측정 개념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장용 스프레이 건(8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용 스프레이 건(800)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용 스프레이 건(800)의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용 스프레이 건(800)의 일실시예의 거리유닛(500)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용 스프레이 건(800)의 일실시예의 거리측정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도장용 스프레이 건(800)은 본체부(100), 노즐부(200), 펌프부(300), 압력조절부(400), 거리유닛(500), 제어부(600), 작동부(7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부(100)는 도장용 스프레이 건(800)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 일례로 권총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부(200)는 본체부(100)의 내부를 관통하여 위치하는 것으로 도료가 통과하여 분출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노즐부(200)의 출구(210)는 도료가 피도장물(10)에 분사되는 부분으로 노즐부(200) 일단의 끝을 뜻한다.
펌프부(300)는 노즐부(200)와 연결되어 노즐부(200)에 에어를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압력조절부(400)는 펌프부(300)나 노즐부(200)와 연결되어 펌프부(300)에서 제공되는 에어의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압력조절부(400)는 압력조절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거리유닛(500)은 노즐부(200)의 출구(210)로부터 피도장물(10)의 표면(11)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몸체부(510), 회전부(520), 거리감지센서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510)는 노즐부(200)의 출구(210) 상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노즐부(200)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선(A)과 몸체부(510)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선(B)이 만날 수 있도록 경사져 있을 수 있다.
회전부(520)는 회전축(미도시)을 중심으로 몸체부(510)를 상하로 회전하도록 하여 노즐부(200)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선(A)과 몸체부(510)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선(B)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회전부는 로터리식으로 사용자가 일정 각도를 회전하여 고정시키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몸체부(510)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조작하여 노즐부(200)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선(A)과 몸체부(510)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선(B) 사이의 각도(α)를 조절할 수 있다.
거리감지센서부(530)는 몸체부(51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몸체부(510)의 끝단(511)으로부터 피도장물(10) 표면(11)까지의 직선거리를 측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각도감지센서부(미도시)는 경사진 몸체부와 노즐부의 출구 사이의 각도(α)를 감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거리유닛(500)의 정보를 이용하여 압력조절부(40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노즐부(200)의 출구(210)와 피도장물(10) 표면(11)의 거리를 산출하여 압력조절부(400)를 제어하여 펌프부(300)로부터 노즐부(200)에 공급되는 에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노즐부(200)의 출구(210)와 피도장물(10) 표면(11)의 거리가 멀면 노즐부(2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을 높이고 거리가 가까우면 압력을 낮출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600)는 경사진 몸체부(510)와 노즐부(200)의 출구(210) 사이의 각도가 α인 경우 거리유닛(500)에서 감지된 거리(L)에 cosα를 곱한 값으로 노즐부(200)의 출구(210)로부터 피도장물(10) 표면(11)까지의 거리(L')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600)는 각도감지센서부가 노즐부(200)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선(A)과 몸체부(510)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선(B) 사이의 각도를 α로 감지한 경우, 거리감지센서부(530)가 측정한 몸체부(510)의 끝단(511)으로부터 피도장물(10) 표면(11)까지의 직선거리 L값과 cosα값을 곱한 값으로 노즐부(200)의 출구(210)로부터 피도장물(10) 표면(11)까지의 거리 L'값을 산출할 수 있다(L'= L×cosα).
일례로, 제어부(600)는 경사진 몸체부(510)의 각도(α)를 인식하여 기입력되어 있는 코사인 값의 테이블에서 cosα값을 추정할 수 있다. 제어부(600)에는 코사인 값이 저장되어 있어 노즐부(200)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선(A)과 몸체부(510)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선(B) 사이의 각도(α)에 따라 cosα값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노즐부(200)의 출구(210)로부터 피도장물(10) 표면(11)까지의 거리(L')를 산출하여 압력조절부(400)를 조절함으로써 도료의 분사 압력이나 분사량을 조절하여 곡면이나 불규칙한 표면(11)을 포함하는 피도장물(10)에도 균일한 도장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작동부(700)는 노즐부(200)로부터 도료를 분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 또는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작동부(700)는 권총의 방아쇠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장용 스프레이 건(800)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장용 스프레이 건(800)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노즐부(200)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선(A)과 몸체부(510)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선(B) 사이의 각도(α)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조절된 각도(α)를 각도감지센서부가 감지하여 제어부(600)에 송신하고, 고정된 각도(α)에 따라 거리유닛(500)의 몸체부(510) 끝단으로부터 피도장물(10) 표면(11)까지의 직선거리(L)를 측정하고, 이 L 값에 제어부(600)에 저장되어 있는 cosα값을 곱하여 노즐부(200)의 출구(210)로부터 피도장물(10) 표면(11)까지의 거리(L')를 산출할 수 있다(L'= L×cosα).
제어부(600)는 노즐부(200)의 출구(210)로부터 피도장물(10) 표면(11)까지의 거리(L')를 산출하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압력조절부(400)를 조절하여 분사되는 도료의 압력과 양을 조절할 있다.
본 발명은 피도장물(10) 표면(11)까지의 거리를 산출하여 거리에 따라 분사되는 도료의 압력과 양을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균일한 도장 표면을 유지하여 정밀한 도장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과도한 분사나 도료 분사가 부적절하여 재분사하는 경우를 줄여 비용 절감의 경제적 효과와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피도장물(10)의 표면(11)이 곡면이나 불규칙한 요철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노즐부(200) 출구로부터 피도장물(10)까지의 거리를 산출하여 도장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피도장물 11 : 피도장물 표면
100 : 본체부 200 : 노즐부
300 : 펌프부 400 : 압력조절부
500 : 거리유닛 510 : 몸체부
520 : 회전부 530 : 거리감지센서부
600 : 제어부 700 : 작동부
800 ; 스프레이 건

Claims (6)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도료가 분사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펌프부;
    상기 펌프부를 통해 상기 노즐부에 공급되는 공압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
    상기 노즐부 출구로부터 피도장물 표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유닛; 및
    상기 거리유닛에서 감지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압력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거리유닛은:
    상기 노즐부의 출구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노즐부의 중심을 향해 경사진 몸체부;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부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몸체부 내부에 위치하는 거리감지센서부;를 포함하며,
    경사진 상기 몸체부의 출구로부터 피도장물까지의 직선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노즐부의 출구로부터 피도장물 표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거리유닛은:
    경사진 상기 몸체부와 노즐부의 출구 사이의 각도(α)를 감지하는 각도감지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경사진 상기 몸체부와 노즐부의 출구 사이의 각도가 α인 경우, 상기 거리유닛에서 감지된 거리(L)에 cosα를 곱한 값으로 상기 노즐부의 출구로부터 피도장물 표면까지의 거리(L')를 산출하며,
    상기 제어부는:
    경사진 상기 몸체부의 각도(α)를 인식하여 기입력되어 있는 코사인 값의 테이블에서 cosα값을 추정하여 상기 노즐부의 출구로부터 피도장물 표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노즐부로부터 도료를 분사시키는 작동부를 더 포함하는 도장용 스프레이 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142700A 2016-10-31 2016-10-31 도장용 스프레이 건 KR101831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700A KR101831972B1 (ko) 2016-10-31 2016-10-31 도장용 스프레이 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700A KR101831972B1 (ko) 2016-10-31 2016-10-31 도장용 스프레이 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1972B1 true KR101831972B1 (ko) 2018-02-23

Family

ID=61387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700A KR101831972B1 (ko) 2016-10-31 2016-10-31 도장용 스프레이 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19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489B1 (ko) * 2019-05-13 2020-01-06 (주)리콘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 점검차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도장공법
KR20210004225A (ko) 2019-07-03 2021-01-1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도성 필러가 혼합된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1923A (ja) * 2001-03-30 2002-10-08 Nohmi Bosai Ltd 放水銃装置
KR101186895B1 (ko) * 2011-10-28 2012-10-02 유림건설(주) 분사영역 표시 및 거리측정 가능한 도장 스프레이건
JP2015112528A (ja) * 2013-12-11 2015-06-22 東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エレクトロスプレー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1923A (ja) * 2001-03-30 2002-10-08 Nohmi Bosai Ltd 放水銃装置
KR101186895B1 (ko) * 2011-10-28 2012-10-02 유림건설(주) 분사영역 표시 및 거리측정 가능한 도장 스프레이건
JP2015112528A (ja) * 2013-12-11 2015-06-22 東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エレクトロスプレー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489B1 (ko) * 2019-05-13 2020-01-06 (주)리콘 도료분사부를 갖춘 교량 점검차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도장공법
KR20210004225A (ko) 2019-07-03 2021-01-1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도성 필러가 혼합된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1972B1 (ko) 도장용 스프레이 건
KR102655417B1 (ko) 스프레이 건의 위치와 움직임에 대한 도장조건 제어장치
US413235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pray application of solvent-thinned coating compositions
US64576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d adjusting a liquid spray pattern
US20060214034A1 (en) Attachment for air spray gun
KR20160033972A (ko) 균일한 도막 두께 형성이 가능한 도료 분사 장치
EP0862502B1 (en) Dynamically pivoting multiple roller-brush spray applicator
KR20130007387U (ko) 선박 도장용 스프레이 폴건
JPH0356099B2 (ko)
JP2001025701A (ja) 塗装方法及び塗装ガン
KR20090113504A (ko) 선체블록 하부 자동 도장장치
CN205253389U (zh) 一种汽车涂装吹净喷枪
CN210753372U (zh) 一种造船用喷漆装置
KR101016180B1 (ko) 히팅부가 구비된 스프레이건
CN107051766A (zh) 一种喷嘴可变的虹吸式喷枪
JPH0817975B2 (ja) 塗装ガン用塗布具
US11951498B2 (en) Method for detection of fluid flow
US6267300B1 (en) Spray back fluid applicator
CN108704800A (zh) 一种高精度自动喷涂系统
CN215541909U (zh) 高效率外墙涂料自动喷涂设备
CN206372976U (zh) 一种新型喷枪
JP3921105B2 (ja) 塗装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塗装装置
US5829905A (en) Travel limiter for a dynamically pivoting multiple roller-brush spray
JPH03109666U (ko)
EP0254564A2 (en) A spray gu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