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786B1 - 코딩블록을 이용한 코딩교육 방법 - Google Patents
코딩블록을 이용한 코딩교육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1786B1 KR102061786B1 KR1020180063090A KR20180063090A KR102061786B1 KR 102061786 B1 KR102061786 B1 KR 102061786B1 KR 1020180063090 A KR1020180063090 A KR 1020180063090A KR 20180063090 A KR20180063090 A KR 20180063090A KR 102061786 B1 KR102061786 B1 KR 1020617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ding
- block
- blocks
- coding block
- co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을 이용한 코딩교육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의 주제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용앱을 실행시켜 QR코드를 인식하는 제1 단계;
주제와 관련된 스토리가 문제 형태로 표시되는 제2 단계,
하나 이상의 블록들로 이루어진 블록들을 인식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인식된 블록 조립 상태의 카메라를 통한 영상인식 이미지 자료를 코딩블록 동작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자료와 비교하여 상기 문제를 해결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결과화면을 출력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단계의 블록들은
콘텐츠에서 요구하는 문제에 따라 준비된 블록으로서, 언어형태, 기호형태, 숫자형태 중 하나로 이루어진 블록들이며, 그 블록들이 조립된 후, 블록 조립 상태를 카메라 영상으로 인식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되, 복잡한 명령어를 공부하지 않고도 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과정을 도출해 낼 수 있도록 콘텐츠에 기반한 문제와 해답을 찾는 과정을 제공하고 해답을 찾는 과정에서 코딩블록을 이용하여 블록조립과 같은 흥미있는 과정을 수행하여 문제의 해답을 찾을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코딩 교육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제4 단계에서 만약 문제를 해결한 경우, 즉 사용자가 정답을 맞춘 경우에는 카메라로 인식한 코딩블록이 정답이라고 표시되게 되며,
사용자는 코딩 명령어를 확인할 수 있는 데, 화면에서 내코딩 확인버튼을 클릭하면 내가 직접 작성한 코딩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딩블록을 이용한 코딩교육 방법이 제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딩블록을 이용한 코딩교육 방법에 이용되는 코딩블록교재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코딩블록교재를 이용하여 코딩교육을 위한 전용 앱(App)을 통한 개인 단말기에서의 큐알(QR)코드 인식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용 앱(App)을 통한 개인 단말기에서의 큐알(QR)코드 인식과정 이후의 문제 제공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용 앱(App)을 통한 개인 단말기에서의 큐알(QR)코드 문제 제공과정 이후의 코딩블록 조립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용 앱(App)을 통한 개인 단말기에서의 큐알(QR)코드 인식과정이후의 문제의 해답을 찾기 위한 개인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한 코딩블록 인식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개인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한 코딩블록 인식과정의 결과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코딩블록을 이용한 코딩교육 방법에서 전용 앱을 통한 어플실행 이후의 코딩블록 인식과정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코딩블록을 이용한 코딩교육 방법에서 전용 앱을 통한 어플실행 이후의 도 8의 코딩블록 인식과정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0 내지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코딩블록을 이용한 코딩교육 방법의 실행예로서 미션 시작화면, 끝화면, 그리고 미션 단계별 화면들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미션방식의 코딩교육 과정에서 미션화면, 블록 인식화면, 정답화면을 보여주는 일련의 화면들이다.
20: 교재(코딩교육)
30: 큐알(QR)코드
50: 보드
60: 코딩블록
110: 중앙제어부
120: 표시장치
130: 코딩블록 동작관리 프로그램
140: 입력부
150: 문제/정답 저장부
160: 정답코드 출력부
170: 카메라 촬영부
180: 큐알(QR)코드 인식부
Claims (4)
- 블록을 이용한 코딩교육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의 주제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용앱을 실행시켜 QR코드를 인식하는 제1 단계;
주제와 관련된 스토리가 문제 형태로 표시되는 제2 단계,
하나 이상의 블록들로 이루어진 블록들을 인식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인식된 블록 조립 상태의 카메라를 통한 영상인식 이미지 자료를 코딩블록 동작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자료와 비교하여 상기 문제를 해결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결과화면을 출력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단계의 블록들은
콘텐츠에서 요구하는 문제에 따라 준비된 블록으로서, 언어형태, 기호형태, 숫자형태 중 하나로 이루어진 블록들이며, 그 블록들이 조립된 후, 블록 조립 상태를 카메라 영상으로 인식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되, 복잡한 명령어를 공부하지 않고도 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과정을 도출해 낼 수 있도록 콘텐츠에 기반한 문제와 해답을 찾는 과정을 제공하고 해답을 찾는 과정에서 코딩블록을 이용하여 블록조립과 같은 흥미있는 과정을 수행하여 문제의 해답을 찾을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코딩 교육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제4 단계에서 만약 문제를 해결한 경우, 즉 사용자가 정답을 맞춘 경우에는 카메라로 인식한 코딩블록이 정답이라고 표시되게 되며,
사용자는 코딩 명령어를 확인할 수 있는 데, 화면에서 내코딩 확인버튼을 클릭하면 내가 직접 작성한 코딩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딩블록을 이용한 코딩교육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3090A KR102061786B1 (ko) | 2018-05-31 | 2018-05-31 | 코딩블록을 이용한 코딩교육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3090A KR102061786B1 (ko) | 2018-05-31 | 2018-05-31 | 코딩블록을 이용한 코딩교육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6865A KR20190136865A (ko) | 2019-12-10 |
KR102061786B1 true KR102061786B1 (ko) | 2020-01-02 |
Family
ID=69003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63090A Active KR102061786B1 (ko) | 2018-05-31 | 2018-05-31 | 코딩블록을 이용한 코딩교육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1786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02696B1 (ko) | 2022-02-04 | 2023-02-21 | 최현종 | 블록 코딩 학습용 시스템 |
KR20230172744A (ko) | 2022-06-16 | 2023-12-26 | 장미화 | 유아의 영어 및 수학적 코딩을 위한 사고 능력을 향상시키는 교구 시스템 |
KR102731978B1 (ko) * | 2024-03-27 | 2024-11-18 | 정윤옥 | 시각장애인 및 청각장애인용 코딩 블록 운용 방법 및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24425B1 (ko) * | 2019-12-13 | 2022-07-25 | 주식회사 교원 | 코딩 교육 시스템 |
KR20210084911A (ko) | 2019-12-30 | 2021-07-08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코딩교육을 위한 멀티프로세스형 led 활용 한글 표현 시스템 |
KR102427208B1 (ko) * | 2020-01-08 | 2022-08-01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인공 지능 완구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KR102427209B1 (ko) * | 2020-01-08 | 2022-08-01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스위칭 블록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KR102352318B1 (ko) | 2020-06-22 | 2022-01-17 | 장선연 | 원격 코딩 교육 장치 및 원격 코딩 교육 방법 |
KR102368308B1 (ko) * | 2021-10-15 | 2022-03-02 | 주식회사 로보그램인공지능로봇연구소 |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 |
KR20230075993A (ko) | 2021-11-23 | 2023-05-31 | (주)이이알에스소프트 | 코딩블록용 스마트 보드장치 |
KR102434400B1 (ko) * | 2022-03-03 | 2022-08-22 | 주식회사 에이아이컨트롤 | 블록 코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코딩 방법 |
-
2018
- 2018-05-31 KR KR1020180063090A patent/KR102061786B1/ko active Active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02696B1 (ko) | 2022-02-04 | 2023-02-21 | 최현종 | 블록 코딩 학습용 시스템 |
KR20230172744A (ko) | 2022-06-16 | 2023-12-26 | 장미화 | 유아의 영어 및 수학적 코딩을 위한 사고 능력을 향상시키는 교구 시스템 |
KR102731978B1 (ko) * | 2024-03-27 | 2024-11-18 | 정윤옥 | 시각장애인 및 청각장애인용 코딩 블록 운용 방법 및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6865A (ko) | 2019-1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61786B1 (ko) | 코딩블록을 이용한 코딩교육 방법 | |
Tuli et al. | Evaluating usability of mobile-based augmented reality learning environments for early childhood | |
Bahari | Affordances and challenges of technology-assisted language learning for motivation: A systematic review | |
Pereira et al. | Survey and analysis of current mobile learning applications and technologies | |
US9324240B2 (en) | Vertically integrated mobile educational system | |
US20070031796A1 (en) | Literacy system | |
US10984671B2 (en) |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
Hwang et al. | Collaborative kinesthetic English learning with recognition technology | |
US20120077165A1 (en) | Interactive learning method with drawing | |
Al-Megren et al. |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an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for the literacy development of Arabic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 | |
CN114661196B (zh) | 一种习题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 |
KR20110024880A (ko) |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문장 학습 방법 및 시스템 | |
TWI591501B (zh) | The book content digital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 |
CN111951133B (zh) | 辅助解题的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 |
Abd Majid et al. | Children and teacher’s interaction for English pre-literacy using mobile augmented reality | |
US20210121774A1 (en) | Memory puzzle system | |
Jin et al. | An Investigation of In-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in a Graduate Emerging Technologies Course. | |
Ellis et al. | A design science exploration of a visual-spatial learning system with feedback | |
Man et al. | Developing a mobile learning application for preschooler | |
Adorni et al. | Designing the virtual CAT: A digital tool for algorithmic thinking assessment in compulsory education | |
McDermott-Wells | Math in the dark: Tools for expressing mathematical content by visually impaired students | |
JP2006343602A (ja) | 学習支援システム | |
Pasaribu et al. | Software design of image-based autocorrection essays using deep learning on the website and mobile application | |
KR101024995B1 (ko) | 페이지 인덱스를 이용한 반복 학습단말기의 운용방법 | |
Walsh | Enriched project-based learning for multilingual stude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910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7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10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9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12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11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0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9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