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209B1 - 스위칭 블록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위칭 블록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27209B1 KR102427209B1 KR1020200002565A KR20200002565A KR102427209B1 KR 102427209 B1 KR102427209 B1 KR 102427209B1 KR 1020200002565 A KR1020200002565 A KR 1020200002565A KR 20200002565 A KR20200002565 A KR 20200002565A KR 102427209 B1 KR102427209 B1 KR 1024272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function
- block
- user
- functional block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0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930 cognitive 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2289 Dement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49 cogn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2—Mechanical, electrical, optical, pneumatic or hydraulic arrangements; Moto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04N21/472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using interactive regions of the image, e.g. hot spo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Gam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 완구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복수 개의 콘텐츠에 각각 매칭되어 선택된 콘텐츠를 전환할 수 있는 스위칭(switching) 블록 및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기능이 할당되는 기능(function) 블록을 구비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스위칭 블록을 통해 콘텐츠를 선택받고,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기능을 기능 블록에 할당하여 기능 블록을 활용한 놀이를 유도하고, 카메라를 통해 기능 블록을 활용한 실제의 놀이 장면을 촬영하며, 선택된 기능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가상의 영상 및 촬영된 놀이 장면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합성 영상을 생성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블록 완구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칭 블록을 이용한 콘텐츠 전환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그 방법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블록은 전 연령대에 걸쳐 다각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유희적, 교육적, 치료적 측면에서 유아 또는 노인을 위한 다양한 블록 활용 기법이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어, 유아들은 보고 느낀 점을 분석하고 재조직하며, 새로운 것을 창조하거나 실제 사물을 재현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블록과 같은 삼차원의 입체 재료들을 가지고 재현 활동을 한다. 이러한 재현 활동을 통해 유아들은 학습 내용을 생각하고 재확인함으로써 자기 자신을 의식하게 해주며, 학습의 결과를 이루기 위한 자신의 사고 과정의 추진력을 얻게 된다. 특히, 블록 쌓기는 상징적 사고, 개념형성, 복잡한 관계에 대한 이해와 인지적 능력이 수반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하에서 제시되는 선행기술문헌에는 블록을 이용하여 노인의 인지 능력을 강화, 회복하는 기술적 수단을 제안한 바 있다.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다양한 놀이나 학습을 진행하고 있지만, 콘텐츠별 전용 완구(toy)를 사용해야 하거나, 하나의 완구에 하나의 고정된 형태의 콘텐츠만이 제공되고 있어 쉽게 흥미를 잃게 만드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완구의 활용도를 높이면서도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완구의 경우 고가의 전용 완구를 활용하거나 단일 콘텐츠만을 제공하고 있어 사용자가 쉽게 흥미를 잃게 되는 단점을 극복하고,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블록 완구의 경우에도 스마트 디바이스의 연동이 곤란하거나 다양한 콘텐츠 연계에 한계를 드러냈다는 문제를 해소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콘텐츠에 각각 매칭되어 선택된 콘텐츠를 전환할 수 있는 스위칭(switching) 블록 및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기능이 할당되는 기능(function) 블록을 구비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스위칭 블록을 통해 콘텐츠를 선택받는 단계; (b)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선택된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는 기능을 상기 기능 블록에 할당하여 상기 기능 블록을 활용한 놀이를 유도하는 단계; (c)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카메라를 통해 상기 기능 블록을 활용한 실제의 놀이 장면을 촬영하는 단계; 및 (d)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선택된 상기 기능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가상의 영상 및 촬영된 상기 놀이 장면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 콘텐츠를 선택받는 상기 (a) 단계는, 상기 스위칭 블록에 형성된 복수 개의 선택 항목 각각을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콘텐츠와 매칭시켜 미리 저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하나의 선택 항목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 기능 블록을 활용한 놀이를 유도하는 상기 (b) 단계는, 선택된 상기 콘텐츠의 주제에 따라 요구되는 가상의 기능을 상기 기능 블록에 할당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기능 블록을 활용한 놀이를 통해 상기 가상의 기능을 조작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 상기 기능 블록은 상기 복수 개의 콘텐츠에서 공통적으로 활용되며 상기 스위칭 블록을 통해 선택된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기능이 할당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 실제의 놀이 장면을 촬영하는 상기 (c) 단계는, 카메라를 통해 상기 기능 블록에 형성된 식별자인 마커(marker)를 포함하여 실제의 놀이 장면을 촬영하되 상기 마커의 움직임을 트래킹(tracking)함으로써 상기 기능 블록이 상기 콘텐츠의 주제에 따라 활용되는 행동을 인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 실시간으로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상기 (d) 단계는, 선택된 상기 기능의 조작에 따른 가상의 영상을 생성하고, 촬영된 실제의 놀이 장면에 상기 가상의 영상을 오버랩(overlap)함으로써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또는 혼합 현실(mixed reality, MR)을 이용한 합성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의 영상은, 상기 콘텐츠의 주제에 따라 지정된 기능이 동작하는 모습; 상기 콘텐츠의 주제에 따라 지정된 기능을 통해 상기 기능 블록 또는 다른 대상 객체를 변화시키는 모습; 또는 상기 콘텐츠의 주제에 따라 지정된 기능을 통해 다른 가상의 대상 객체를 변화시키는 모습; 중 적어도 하나로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은, (e) 생성된 상기 합성 영상을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표시된 상기 합성 영상을 인지한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기능 블록을 통한 기능 조작을 실감하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 기재된 콘텐츠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복수 개의 콘텐츠에 각각 매칭되어 선택된 콘텐츠를 전환할 수 있는 스위칭(switching) 블록; 상기 스위칭 블록을 통해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기능이 할당되는 기능(function) 블록; 및 상기 스위칭 블록 및 상기 기능 블록과 통신하며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스위칭 블록을 통해 콘텐츠를 선택받고, 선택된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는 기능을 상기 기능 블록에 할당하여 상기 기능 블록을 활용한 놀이를 유도하고, 카메라를 통해 상기 기능 블록을 활용한 실제의 놀이 장면을 촬영하며, 선택된 상기 기능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가상의 영상 및 촬영된 상기 놀이 장면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합성 영상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스위칭 블록은, 복수 개의 선택 항목 각각을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콘텐츠와 매칭시켜 미리 저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하나의 선택 항목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는, 선택된 상기 콘텐츠의 주제에 따라 요구되는 가상의 기능을 상기 기능 블록에 할당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기능 블록을 활용한 놀이를 통해 상기 가상의 기능을 조작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기능 블록은 상기 복수 개의 콘텐츠에서 공통적으로 활용되며 상기 스위칭 블록을 통해 선택된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기능이 할당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상기 기능 블록에 형성된 식별자인 마커(marker)를 포함하여 실제의 놀이 장면을 촬영하되 상기 마커의 움직임을 트래킹(tracking)함으로써 상기 기능 블록이 상기 콘텐츠의 주제에 따라 활용되는 행동을 인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는, 선택된 상기 기능의 조작에 따른 가상의 영상을 생성하고, 촬영된 실제의 놀이 장면에 상기 가상의 영상을 오버랩(overlap)함으로써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또는 혼합 현실(mixed reality, MR)을 이용한 합성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의 영상은, 상기 콘텐츠의 주제에 따라 지정된 기능이 동작하는 모습; 상기 콘텐츠의 주제에 따라 지정된 기능을 통해 상기 기능 블록 또는 다른 대상 객체를 변화시키는 모습; 또는 상기 콘텐츠의 주제에 따라 지정된 기능을 통해 다른 가상의 대상 객체를 변화시키는 모습; 중 적어도 하나로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는, 생성된 상기 합성 영상을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표시된 상기 합성 영상을 인지한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기능 블록을 통한 기능 조작을 실감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위칭 블록을 통해 블록 놀이의 다양한 주제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를 선택받음으로써 일반적인 블록 완구와 함께 다양한 주체의 콘텐츠를 즐길 수 있고, 기능 블록을 통해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물리적으로 동일한 하나의 기능 블록이라고 할지라도 선택된 콘텐츠에 따라 다양한 역할이 부여되어 사용자에게 지속적인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기능 블록이 포함된 놀이 장면을 촬영하고 부여된 기능에 따른 합성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다 실감있는 콘텐츠 제공 및 놀이 진행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채택하고 있는 블록 놀이를 통한 콘텐츠 전환의 방식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블록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을 이용하여 동일한 기능 블록을 이용하여 콘텐츠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이 부여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블록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블록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을 이용하여 동일한 기능 블록을 이용하여 콘텐츠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이 부여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블록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의 블록 놀이 완구가 갖는 약점과 더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채택하고 있는 기술적 원리를 순차적으로 제시하도록 한다.
앞서 간략히 소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완구의 경우 별도의 전용 기기가 필요하고, 또한 제공되는 콘텐츠의 종류가 한정되어 있다는 약점이 존재하였다. 통상적으로 콘텐츠의 제한을 극복하기 위해 활용되는 범용 완구로는 블록 완구가 대표적인데, 블록 완구에는 사용자의 상상력과 인지 능력을 활용한 다양한 놀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블록 완구는 스마트 디바이스와의 연계가 부족하고, 조립을 통한 현상의 재현에 집중하고 있다는 한계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된 문제 인식으로부터 안출된 것으로, 일반적인 블록 완구에 두 가지 새로운 블록을 도입하였다. 복수 개의 콘텐츠에 각각 매칭되어 선택된 콘텐츠를 전환할 수 있는 스위칭(switching) 블록과 스위칭 블록을 통해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기능이 할당되는 기능(function) 블록이 그것이다.
첫째, 스위칭 블록은 사용자가 다양한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일종의 스위치로서, 구현의 관점에서 노브나 토글 스위치 등 다양한 선택 항목을 물리적으로 구현하고, 각각의 선택 항목에 콘텐츠를 대응시킬 수 있다.
둘째, 기능 블록은 일반적인 블록 놀이에 있어서 특정 블록(기능 블록)에 앞서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특수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때, 특수한 기능은 실제 동작하는 기능이 될 수도 있으나, 블록 놀이의 특성상 사용자의 상상력에 의해 부여되는 일종의 가상의 기능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블록 완구를 이용하여 소방관 놀이를 한다면, 이때 부여되는 기능은 불을 끄기 위한 살수(물을 흩어서 뿌림) 기능이 될 수 있다. 살수 기능은 블록에서 실제로 물이 분사되는 것은 아니지만, 사용자가 마치 해당 블록을 이용하여 불을 끈다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러한 기능 블록은 이후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어 가상의 합성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재료로 사용된다. 즉, 사용자가 스위칭 블록을 통해 다수의 콘텐츠 중에서 소방관 놀이를 선택하였다면, 기능 블록에 살수 기능이 할당되고, 해당 기능 블록을 이용한 놀이를 촬영한 영상에서는 기능 블록을 통해 물이 살수되는 영상 효과를 합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합성된 영상은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됨으로써 일종의 가상 환경을 체험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별히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채택하고 있는 블록 놀이를 통한 콘텐츠 전환의 방식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블록 완구에 스위칭 기능이 구현된 스위칭 블록(11)을 추가하는 것만으로 선택되어 활성화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놀이 유도의 주체는 콘텐츠 제공 장치가 된다. 즉, 사용자는 스위칭 블록(11)의 조작을 통해 콘텐츠를 선택하고, 콘텐츠 제공 장치의 제시에 따라 블록을 가지고 주제에 맞는 놀이를 진행할 수 있다. 물론, 이때 콘텐츠의 선택에 따라 특수한 기능을 할당하는 기능 블록(미도시)이 활용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블록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구현의 관점에서, 이하의 과정들은 복수 개의 콘텐츠에 각각 매칭되어 선택된 콘텐츠를 전환할 수 있는 스위칭(switching) 블록 및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기능이 할당되는 기능(function) 블록을 구비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S210 단게에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스위칭 블록을 통해 콘텐츠를 선택받는다. 이 과정에서는 상기 스위칭 블록에 형성된 복수 개의 선택 항목 각각을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콘텐츠와 매칭시켜 미리 저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하나의 선택 항목을 입력받을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칭 블록에는 콘텐츠 선택을 위한 선택 수단이 물리적으로 구현되고, 또한 사용자의 선택을 콘텐츠 제공 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 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220 단계에서,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S210 단계를 통해 선택된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는 기능을 상기 기능 블록에 할당하여 상기 기능 블록을 활용한 놀이를 유도한다. 이 과정에서는 선택된 상기 콘텐츠의 주제에 따라 요구되는 가상의 기능을 상기 기능 블록에 할당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기능 블록을 활용한 놀이를 통해 상기 가상의 기능을 조작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기능 블록은 상기 복수 개의 콘텐츠에서 공통적으로 활용되며 상기 스위칭 블록을 통해 선택된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기능이 할당되어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수의 일반 블록들과 더불어 적어도 하나의 기능 블록이 활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 블록은 물리적으로 하나이지만, 앞서 선택된 콘텐츠에 따라 다양한 기능이 부여되어 놀이때마다 서로 다른 용도 내지 역할로 활용될 수 있다.
S230 단계에서,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카메라를 통해 상기 기능 블록을 활용한 실제의 놀이 장면을 촬영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과정에서는 카메라를 통해 상기 기능 블록에 형성된 식별자인 마커(marker)를 포함하여 실제의 놀이 장면을 촬영하되 상기 마커의 움직임을 트래킹(tracking)함으로써 상기 기능 블록이 상기 콘텐츠의 주제에 따라 활용되는 행동을 인식시킬 수 있다. 이때, 마커는 영상 인식을 통해 현재 획득된 영상 내에 기능 블록이 존재하는지, 존재한다면 어떠한 움직을 보이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영상 인식의 편의를 위해 마련되는 일종의 표식이다. 물론, 기능 블록의 활용을 인식하기 위해 기능 블록 내에 전자적인 식별자나 태그(tag) 등을 마련할 수도 있으나, 제조 단가의 상승 내지 완구 활용의 특성을 고려할 때 마커를 이용한 영상 인식을 적용하는 것이 보다 유용할 수 있다.
S240 단계에서,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S210 단계를 통해 선택된 상기 기능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가상의 영상 및 S230 단계를 통해 촬영된 상기 놀이 장면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합성 영상을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과정에서는 선택된 상기 기능의 조작에 따른 가상의 영상을 생성하고, 촬영된 실제의 놀이 장면에 상기 가상의 영상을 오버랩(overlap)함으로써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또는 혼합 현실(mixed reality, MR)을 이용한 합성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상의 영상은, 상기 콘텐츠의 주제에 따라 지정된 기능이 동작하는 모습, 상기 콘텐츠의 주제에 따라 지정된 기능을 통해 상기 기능 블록 또는 다른 대상 객체를 변화시키는 모습 또는 상기 콘텐츠의 주제에 따라 지정된 기능을 통해 다른 가상의 대상 객체를 변화시키는 모습 중 적어도 하나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인식을 통해 살수 기능이 할당된 기능 블록이 확인되었으며 기능 블록이 포함된 블록 완구가 흔들리는 것을 인식하였다면, 합성 영상 내에서는 물을 분사하는 모습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합성 영상 내에서 기능 블록 자체를 블록의 형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소방차로 변화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분사된 물이 다른 가상의 객체, 예를 들어, 불타는 건물을 진화시키는 모습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가상의 영상은 기능 블록 그 자체의 기능을 동작시키거나, 기능 블록 그 자체를 변화시키거나, 또는 가상의 객체를 변화시킴으로써 보다 실감나는 놀이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는, S240 단계를 통해 생성된 상기 합성 영상을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표시된 상기 합성 영상을 인지한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기능 블록을 통한 기능 조작을 실감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합성 영상을 놀이 공간 내에 투사(projection)함으로써 현장의 사용자들이 보다 몰입하여 놀이를 즐길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을 이용하여 동일한 기능 블록을 이용하여 콘텐츠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이 부여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으로서, 스위칭 블록(11)을 통해 '콘텐츠 1' 또는 '콘텐츠 6'을 선택한 상황을 각각 가정하자.
먼저, 소방관 놀이에 해당하는 '콘텐츠 1'을 선택한 경우 콘텐츠 제공 장치는 기능 블록(13A)에 물을 뿌리는 살수 기능을 할당하고, 카메라를 통해 기능 블록(13A)이 포함된 놀이 장면을 촬영한다. 미리 설정된 조건이 충족될 경우 기능 블록(13A)을 통해 물이 분사되는 가상의 영상이 생성되고, 실제의 놀이 장면과 합성되어 합성 영상이 제공된다. 도 3에서는 소방차 위에 기능 블록(13A)이 결합된 모습을 예시하였으나, 소방차가 아닌 다른 블록 조립체의 경우에도 합성 영상을 통해 해당 블록 조립체를 소방차의 모습으로 변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음으로, 경찰 놀이에 해당하는 '콘텐츠 6'을 선택한 경우 콘텐츠 제공 장치는 기능 블록(13B)에 총을 발사하는 사격 기능을 할당하고, 카메라를 통해 기능 블록(13B)이 포함된 놀이 장면을 촬영한다. 미리 설정된 조건이 충족될 경우 기능 블록(13B)을 통해 총이 발사되는 가상의 영상이 생성되고, 실제의 놀이 장면과 합성되어 합성 영상이 제공된다. 이때, 실제 블록 조립체 또는 가상의 객체가 과녁판 영상으로 변형되어 발사된 총알을 맞는 듯한 효과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비록 물리적으로 기능 블록(13A, 13B)이 동일한 기기에 해당하지만, 스위칭 블록(11)을 통해 선택된 콘텐츠의 주제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 내지 역할이 부여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마치 새로운 장난감을 얻은 것과 같이 놀이를 즐길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스위칭 블록(11)을 통해 콘텐츠를 선택한다. 스위칭 블록이 작동을 인식하면, 선택된 항목이 무엇인지를 식별하여 콘텐츠 제공 장치에 통신을 통해 전달한다. 콘텐츠 제공 장치에서는 식별된 선택 항목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선택하고, 기능 블록(13)에 해당 기능을 부여한다. 이때, 다양한 콘텐츠 플랫폼을 통해 증강 현실 내지 혼합 현실을 활용한 콘텐츠 제공 및 놀이 진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물리적으로 제한된 개수/기능의 스위칭 블록 및 기능 블록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별 기능을 매핑함으로써 새로운 놀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나타난다.
도 5는 이상의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 각 모듈의 동작 및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 장치 내의 콘텐츠들은 미리 저장되어 수행을 대기하고 있으며, 스위칭 블록(11)의 선택 후 콘텐츠 제공 장치(PC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하게 된다. 통신을 통해 선택된 항목이 콘텐츠 제공 장치에 전달되면, 콘텐츠를 활성화하여 실행하게 된다. 만약 기능 블록들 중에 별도의 전기/전자적인 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블록이 존재한다면, 이들 블록 간의 통신 역시 활성화된다. 예를 들어, 소리를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 블록이 존재할 경우 콘텐츠 제공 장치와 통신을 통해 특정 시점에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기능 블록을 포함하여 블록 놀이를 진행하고, 카메라를 통해 이러한 블록을 트래킹하여 기능 블록의 유무와 움직임을 인식한다. 이제, 인식된 결과에 대한 데이터 처리를 통해 생성된 합성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다 실감있고 몰입도 높은 놀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블록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도 2의 콘텐츠 제공 방법을 하드웨어 구현의 관점에서 재구성한 도면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구성 요소들을 수행 기능에 집중하여 그 개요만을 약술하도록 한다.
스위칭(switching) 블록(11)은, 복수 개의 콘텐츠에 각각 매칭되어 선택된 콘텐츠를 전환할 수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는 선택 수단이 구비된다. 이러한 선택 수단으로는 다양한 하드웨어 스위치가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칭 블록(11)은, 복수 개의 선택 항목 각각을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콘텐츠와 매칭시켜 미리 저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하나의 선택 항목을 입력받을 수 있다.
기능(function) 블록(13)은, 상기 스위칭 블록을 통해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기능이 할당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콘텐츠 제공 장치(20)는, 선택된 상기 콘텐츠의 주제에 따라 요구되는 가상의 기능을 상기 기능 블록(13)에 할당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기능 블록(13)을 활용한 놀이를 통해 상기 가상의 기능을 조작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특히, 상기 기능 블록(13)은 상기 복수 개의 콘텐츠에서 공통적으로 활용되며 상기 스위칭 블록(11)을 통해 선택된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기능이 할당되어 동작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장치(20)는, 상기 스위칭 블록(11)과 통신 수단(21)을 통해 통신하며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콘텐츠 제공 장치(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스위칭 블록(11)을 통해 콘텐츠를 선택받고, 선택된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는 기능을 상기 기능 블록(13)에 할당하여 상기 기능 블록(13)을 활용한 놀이를 유도하고, 카메라(29)를 통해 상기 기능 블록(13)을 활용한 실제의 놀이 장면을 촬영하며, 선택된 상기 기능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가상의 영상 및 촬영된 상기 놀이 장면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합성 영상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콘텐츠 제공 장치(20)는 이상의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 명령어로 구성된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처리부(23)에 로드(load)되어 각 단계가 구동될 수 있다. 또한, 가상 영상 데이터베이스(25)를 참조하여 선택된 콘텐츠 및 기능 조작에 대응하는 가상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장치(20)는, 카메라(29)를 통해 상기 기능 블록(13)에 형성된 식별자인 마커(marker)를 포함하여 실제의 놀이 장면을 촬영하되 상기 마커의 움직임을 트래킹(tracking)함으로써 상기 기능 블록(13)이 상기 콘텐츠의 주제에 따라 활용되는 행동을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 장치(20)는, 선택된 상기 기능의 조작에 따른 가상의 영상을 생성하고, 촬영된 실제의 놀이 장면에 상기 가상의 영상을 오버랩(overlap)함으로써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또는 혼합 현실(mixed reality, MR)을 이용한 합성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상의 영상은, 상기 콘텐츠의 주제에 따라 지정된 기능이 동작하는 모습, 상기 콘텐츠의 주제에 따라 지정된 기능을 통해 상기 기능 블록 또는 다른 대상 객체를 변화시키는 모습 또는 상기 콘텐츠의 주제에 따라 지정된 기능을 통해 다른 가상의 대상 객체를 변화시키는 모습 중 적어도 하나로 생성될 수 있다.
나아가, 콘텐츠 제공 장치(20)는, 생성된 상기 합성 영상을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표시된 상기 합성 영상을 인지한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기능 블록을 통한 기능 조작을 실감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위칭 블록을 통해 블록 놀이의 다양한 주제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를 선택받음으로써 일반적인 블록 완구와 함께 다양한 주체의 콘텐츠를 즐길 수 있고, 기능 블록을 통해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물리적으로 동일한 하나의 기능 블록이라고 할지라도 선택된 콘텐츠에 따라 다양한 역할이 부여되어 사용자에게 지속적인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기능 블록이 포함된 놀이 장면을 촬영하고 부여된 기능에 따른 합성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다 실감있는 콘텐츠 제공 및 놀이 진행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다양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스위칭 블록
13: 기능 블록
20: 콘텐츠 제공 장치
21: 콘텐츠 제공 장치의 통신 수단
23: 콘텐츠 제공 장치의 처리부
25: 콘텐츠 제공 장치의 가상 영상 데이터베이스
27: 콘텐츠 제공 장치의 디스플레이
29: 콘텐츠 제공 장치의 카메라
13: 기능 블록
20: 콘텐츠 제공 장치
21: 콘텐츠 제공 장치의 통신 수단
23: 콘텐츠 제공 장치의 처리부
25: 콘텐츠 제공 장치의 가상 영상 데이터베이스
27: 콘텐츠 제공 장치의 디스플레이
29: 콘텐츠 제공 장치의 카메라
Claims (17)
- 복수 개의 콘텐츠에 각각 매칭되어 선택된 콘텐츠를 전환할 수 있는 스위칭(switching) 블록 및 상기 복수 개의 콘텐츠에서 공통적으로 활용되며 상기 스위칭 블록을 통해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기능이 할당되는 기능(function) 블록을 구비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스위칭 블록을 통해 콘텐츠를 선택받는 단계;
(b)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선택된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여 콘텐츠의 주제에 따라 요구되는 가상의 기능을 실물의 상기 기능 블록에 할당하고,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실물의 상기 기능 블록을 활용한 놀이를 통해 상기 가상의 기능을 조작하도록 유도하는 단계;
(c)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카메라를 통해 실물의 상기 기능 블록을 활용한 실제의 놀이 장면을 촬영하여 상기 기능 블록이 상기 콘텐츠의 주제에 따라 활용되는 상기 사용자의 행동을 인식시키는 단계;
(d)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행동으로부터 상기 기능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가상의 영상 및 촬영된 상기 실제의 놀이 장면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e) 생성된 상기 합성 영상을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표시된 상기 합성 영상을 인지한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기능 블록을 통한 기능 조작을 실감하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스위칭 블록에 형성된 복수 개의 선택 항목 각각을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콘텐츠와 매칭시켜 미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하나의 선택 항목을 입력 받으며,
상기 (c) 단계는,
카메라를 통해 상기 기능 블록에 형성된 식별자인 마커(marker)를 포함하여 실제의 놀이 장면을 촬영하되 상기 마커의 움직임을 트래킹(tracking)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행동을 인식시키고,
상기 스위칭 블록은 상기 기능 블록 및 일반 블록들과, 상기 기능 블록은 상기 스위칭 블록 및 상기 일반 블록들과 3차원적으로 조합되어 사용되며,
상기 마커를 통해 상기 블록들의 3차원적 조합에서의 상기 기능 블록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고,
상기 가상의 영상은 상기 기능 블록의 위치를 반영하여 생성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능 블록의 위치 변경에 따른 기능 조작을 실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선택된 상기 기능의 조작에 따른 가상의 영상을 생성하고, 촬영된 실제의 놀이 장면에 상기 가상의 영상을 오버랩(overlap)함으로써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또는 혼합 현실(mixed reality, MR)을 이용한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영상은,
상기 콘텐츠의 주제에 따라 지정된 기능이 동작하는 모습;
상기 콘텐츠의 주제에 따라 지정된 기능을 통해 상기 기능 블록 또는 다른 대상 객체를 변화시키는 모습; 또는
상기 콘텐츠의 주제에 따라 지정된 기능을 통해 다른 가상의 대상 객체를 변화시키는 모습; 중 적어도 하나로 생성되는, 콘텐츠 제공 방법. - 삭제
- 제 1 항, 제 6 항, 제 7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복수 개의 콘텐츠에 각각 매칭되어 선택된 콘텐츠를 전환할 수 있는 스위칭(switching) 블록;
상기 복수 개의 콘텐츠에서 공통적으로 활용되며 상기 스위칭 블록을 통해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기능이 할당되는 기능(function) 블록; 및
상기 스위칭 블록 및 상기 기능 블록과 통신하며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스위칭 블록을 통해 콘텐츠를 선택받고, 선택된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여 콘텐츠의 주제에 따라 요구되는 가상의 기능을 실물의 상기 기능 블록에 할당하고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실물의 상기 기능 블록을 활용한 놀이를 통해 상기 가상의 기능을 조작하도록 유도하고, 카메라를 통해 실물의 상기 기능 블록을 활용한 실제의 놀이 장면을 촬영하여 상기 기능 블록이 상기 콘텐츠의 주제에 따라 활용되는 상기 사용자의 행동을 인식시키며,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행동으로부터 상기 기능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가상의 영상 및 촬영된 상기 실제의 놀이 장면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합성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합성 영상을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표시된 상기 합성 영상을 인지한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기능 블록을 통한 기능 조작을 실감하도록 유도하며,
상기 스위칭 블록은,
복수 개의 선택 항목 각각을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콘텐츠와 매칭시켜 미리 저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하나의 선택 항목을 입력 받으며,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상기 기능 블록에 형성된 식별자인 마커(marker)를 포함하여 실제의 놀이 장면을 촬영하되 상기 마커의 움직임을 트래킹(tracking)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행동을 인식시키고,
상기 스위칭 블록은 상기 기능 블록 및 일반 블록들과, 상기 기능 블록은 상기 스위칭 블록 및 상기 일반 블록들과 3차원적으로 조합되어 사용되며,
상기 마커를 통해 상기 블록들의 3차원적 조합에서의 상기 기능 블록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고,
상기 가상의 영상은 상기 기능 블록의 위치를 반영하여 생성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능 블록의 위치 변경에 따른 기능 조작을 실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는,
선택된 상기 기능의 조작에 따른 가상의 영상을 생성하고, 촬영된 실제의 놀이 장면에 상기 가상의 영상을 오버랩(overlap)함으로써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또는 혼합 현실(mixed reality, MR)을 이용한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영상은,
상기 콘텐츠의 주제에 따라 지정된 기능이 동작하는 모습;
상기 콘텐츠의 주제에 따라 지정된 기능을 통해 상기 기능 블록 또는 다른 대상 객체를 변화시키는 모습; 또는
상기 콘텐츠의 주제에 따라 지정된 기능을 통해 다른 가상의 대상 객체를 변화시키는 모습; 중 적어도 하나로 생성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2565A KR102427209B1 (ko) | 2020-01-08 | 2020-01-08 | 스위칭 블록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2565A KR102427209B1 (ko) | 2020-01-08 | 2020-01-08 | 스위칭 블록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9418A KR20210089418A (ko) | 2021-07-16 |
KR102427209B1 true KR102427209B1 (ko) | 2022-08-01 |
Family
ID=77150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2565A KR102427209B1 (ko) | 2020-01-08 | 2020-01-08 | 스위칭 블록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2720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31177A (ko) * | 2023-02-23 | 2024-08-30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확장현실을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0739A (ko) * | 2014-06-25 | 2016-01-05 | 정원찬 | 학습용 디지털 조립완구 시스템 |
KR101797814B1 (ko) * | 2015-08-13 | 2017-12-12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이미지 비교 알고리즘에 기반한 소아 교육용 학습 장치 및 방법 |
KR20180028764A (ko) * | 2016-09-09 | 2018-03-19 | 몬스터스쿨 주식회사 |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 학습 장치 및 방법 |
KR101911010B1 (ko) * | 2016-11-08 | 2018-10-23 | 네오피아 주식회사 | 스마트 블록 조립체 |
KR102060063B1 (ko) | 2017-11-28 | 2019-12-30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치매 환자를 위한 인지 훈련 장치 |
KR102061786B1 (ko) * | 2018-05-31 | 2020-01-02 | 김난 | 코딩블록을 이용한 코딩교육 방법 |
-
2020
- 2020-01-08 KR KR1020200002565A patent/KR102427209B1/ko active IP Right Grant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legoblog(네이버 블로그). 레고 히든사이드 AR 앱 유령 사냥꾼 모드 로 유령을 잡아봐요!. 2019.08.27. 출처: https://blog.naver.com/legoblog/221628879078*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31177A (ko) * | 2023-02-23 | 2024-08-30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확장현실을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KR102705078B1 (ko) * | 2023-02-23 | 2024-09-11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확장현실을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9418A (ko) | 2021-07-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948260B1 (en) | Streaming mixed-reality environments between multiple devices | |
Thomas | A survey of visual, mixed, and augmented reality gaming | |
Nitsche | Video game spaces: image, play, and structure in 3D worlds | |
CN102129343B (zh) | 运动捕捉系统中的受指导的表演 | |
US9555337B2 (en) | Method for tracking physical play objects by virtual players in online environments | |
CN103657087B (zh) | 身临其境式叙事环境 | |
US8591329B2 (en)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structing interactive video games by use of video clip | |
US20170216728A1 (en) | Augmented reality incorporating physical objects | |
US20090029771A1 (en) | Interactive story builder | |
JPH11169557A (ja) | 画像生成装置及び情報記憶媒体 | |
US20180246562A1 (en) | Virtual Built Environment Mixed Reality Platform | |
US20210146265A1 (en) |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enhancing the experience of playing with toys | |
CN112402946B (zh) | 虚拟场景中的位置获取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
KR102427209B1 (ko) | 스위칭 블록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
US11617962B2 (en) | System for creating play-recording video | |
JP3532898B2 (ja) | ビデオゲーム玩具 | |
Fizek et al. | Playing with sound and gesture in digital audio games | |
JP2011136049A (ja) | ゲームプログラム | |
US11978166B2 (en) | Toy system for asymmetric multiplayer game play | |
Cannon | Meltdown | |
Finch | The CG Story: Computer-Generated Animation and Special Effects | |
Cohen et al. | 'Guilty bystanders': VR gaming with audience participation via smartphone | |
Mitchell | Spielberg and Video Games (1982 to 2010) | |
Geiger et al. | Goin’goblins-iterative design of an entertaining archery experience | |
Jefferies | Blurring the boundaries: Performance, technology and the artificial sublime–An interview with Ruth Gibson and Bruno Martelli, Iglo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