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048B1 - 오미자 및 콩즙을 포함하는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오미자 및 콩즙을 포함하는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048B1
KR102061048B1 KR1020190006086A KR20190006086A KR102061048B1 KR 102061048 B1 KR102061048 B1 KR 102061048B1 KR 1020190006086 A KR1020190006086 A KR 1020190006086A KR 20190006086 A KR20190006086 A KR 20190006086A KR 102061048 B1 KR102061048 B1 KR 102061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mposition
juice
water
schisandra chinensis
diab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대자
양혜정
김민정
김유진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US17/423,57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117275A1/en
Priority to EP19910309.4A priority patent/EP3912482A4/en
Priority to PCT/KR2019/015479 priority patent/WO2020149506A1/ko
Priority to KR1020190147785A priority patent/KR1023049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60Drinks from legumes, e.g. lupine drinks
    • A23L11/65Soy drin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4Fermentation of farinaceous cereal or cereal material; Addition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 A23L7/107Addition or treatment with enzymes not combined with fermentation with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besit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미수, 콩즙 및 곡물 당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로서, α-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 억제 활성이 우수하며,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함으로써 당뇨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은 두유, 분말두유, 기타두유 또는 가공두부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혈당조절용 건강기능식품 또는 일반 식품에서 특수용도식품 중 당뇨환자용 식품으로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은 곡물 당화물을 추가로 포함할 경우 두유액의 응집을 억제하면서 일반 두유와 유사한 점도를 가지도록 하면서 관능성을 개선하므로 두유 또는 기타 두유와 같은 음료로 활용하기 적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미자 및 콩즙을 포함하는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A composition for the improving of diabetes comprising Schisandra chinensis and soymilk,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오미수 및 콩즙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이란 췌장의 β세포에서 분비되는 글루코스 조절 호르몬인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제대로 작용하지 못하여 혈액 속의 혈당이 에너지로 이용되지 않고 혈액 속에 쌓여 고혈당을 유발하고 요중에 당이 검출되는 증상을 말한다.
당뇨병은 보통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I형 당뇨병)과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II형 당뇨병)으로 구분된다.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은 바이러스 감염 등이 원인이 되어 췌장의 β세포가 파괴된 결과 인슐린이 분비되지 않아 발병하며, 주로 10 내지 20대의 젊은 연령층에서 발병되기 때문에 소아 당뇨병이라고도 하는데, 인슐린이 외부에서 공급되지 않으면 생명유지가 어렵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은 비만 등의 원인으로 췌장의 β세포에서 인슐린이 분비되기는 하지만 그 양이 부족하고 그 작용력이 감소하여 발병하며, 주로 30대 이후에 발병하므로 성인형 당뇨병이라고도 한다. 생명유지를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인슐린을 반드시 공급할 필요가 없다고 하여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이라 불리고 있지만, 그렇다고 고혈당 치료를 위하여 인슐린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는 의미는 아니다.
당뇨병 치료에는 비구아니드(biguanides), 티아졸리딘디온 (thiazolidinediones), 설포닐우레아(sulfonylureas), 벤조산(benzoic acid) 유도체,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α-glucosidase inhibitor)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약물을 이용한 당뇨병 치료는 많은 부작용이 따르고 있어, 세계보건기구(WHO)는 당뇨병에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의 이용을 적극 추천하고 있다(Grover J.K., Vats. V., Rathi. S.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73, pp461-470, 2000).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제안된 천연물로는 뜸부기 추출물(대한민국 특허 제464815호), 잔나비걸상버섯으로부터 분리한 아플아나산 유도체 화합물(대한민국 특허 제457690호), 헛개나무의 추출물(대한민국 특허 제417287호), 참당귀에서 분리한 다당류(국제공개 제2001-60386호), 반추동물의 담즙(미국특허 제6451355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한편, α-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는 장의 소장 점막에 존재하는 당 분해효소의 한 종류로서 이를 저해하면 탄수화물의 소화를 방해하여 소장에서의 당의 흡수가 지연되므로 식후 급격한 혈당상승을 막아준다.
대표적인 α-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 저해제는 아카보즈(acarbose) 및 보글리보스(voglibose)가 시판되고 있으나 이들을 장기간 복용할 경우 구토, 설사를 비롯한 복부 팽만감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하면서 식후에 혈당 강하의 효능이 뛰어난 천연소재로의 대체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오미자를 이용한 오미갈수(五味渴水)는 음료의 한 종류로서, 주재료인 오미자를 물에 담가 만든 즙에 콩즙 또는 녹두즙을 함께 넣고 끓인 후, 꿀을 넣고 다시 끓여 냉각시켜 저장하였다가 뜨거운 물이나 찬물에 타서 마시는 것으로 오미자와 콩 또는 녹두가 사용된 우리 고유의 전통음료이다. 이러한 오미갈수는 종래부터 갈증해소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6481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7-002487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오미수 및 콩즙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은 오미수 및 콩즙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은 혈당조절용 건강기능식품 또는 당뇨환자용 식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은 두유, 분말두유, 기타두유 또는 가공두부일 수 있다.
상기 오미수는 오미자 착즙액 또는 오미자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물, 주정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의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콩즙은 대두로부터 추출한 대두고형분 7 중량% 이상의 두유액일 수 있다.
상기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은 상기 오미수 및 콩즙이 1 : 0.1 내지 3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미수 및 콩즙이 1 : 0.8 내지 2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은 곡물 당화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곡물 당화물은 쌀, 밀 및 보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곡물을 당화시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물 당화물은 엿기름 또는 당화효소와 상기 곡물을 혼합하여 당화시킨 후 건조시킨 분말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은 상기 오미수, 콩즙 및 곡물 당화물이 1 : 0.8 내지 2 : 0.2 내지 1.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은 아스파탐, 아세설팜칼슘, 솔비톨, 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타가토스, 자일리톨 및 올리고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감미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오미자를 착즙하거나, 또는 오미자를 물, 주정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의 추출하여 오미수를 수득하는 단계; 콩을 증자하고 분쇄한 후 여과하여 비지를 제거한 콩즙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오미수 및 콩즙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엿기름 또는 당화효소와 곡물을 혼합하여 당화시킨 후 건조시켜 곡물 당화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혼합하는 단계에 상기 곡물 당화물을 추가로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은 오미수 및 콩즙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α-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 억제 활성이 우수하며,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함으로써 당뇨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은 두유, 분말두유, 기타두유 또는 가공두부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혈당조절용 건강기능식품 또는 일반 식품에서 특수용도식품 중 당뇨환자용 식품으로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은 곡물 당화물을 추가로 포함할 경우 두유액의 응집을 억제하면서 일반 두유와 유사한 점도를 가지도록 하면서 관능성을 개선하므로 두유 또는 기타 두유와 같은 음료로 활용하기 적합할 수 있다.
도 1은 실험예 1에서 실시예 1, 8, 9, 10 및 11의 당뇨환자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직후, 제조 30분후 및 제조 2시간 후 조성물의 엉김 발생 유무를 확인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미자를 이용하여 제조된 오미수 및 콩즙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오미갈수는 오미자, 녹두즙 및 꿀(또는 설탕)을 이용하여 제조되어 갈증해소에 사용되었으나, 당뇨를 개선하는 효능은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오미자 및 콩즙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당뇨를 개선하는 효능을 입증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은 오미수 및 콩즙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상기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은 α-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 억제 활성이 우수하며,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함으로써 혈당조절용 건강기능식품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은 식품공전의 특수용도식품 중 당뇨환자용 식품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당뇨환자용 식품은 특수의료용도 등 식품에 해당하는 것으로, 정상적으로 섭취, 소화, 흡수 또는 대사할 수 있는 능력이 제한되거나 손상된 환자 또는 질병이나 임상적 상태로 인하여 일반인과 생리적으로 특별히 다른 영양요구량을 가진 사람의 식사의 일부 또는 전부를 대신할 목적으로 이들에게 경구 또는 경관급식을 통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제조ㅇ가공된 식품이다.
상기 당뇨환자용 식품은 당뇨 환자의 식사 전부 또는 일부를 대신하기 위하여 제품 1000 kcal당 비타민 A, B1, B2, B6, C, D, E, 나이아신, 엽산, 단백질, 칼슘, 철, 아연을 영양소 기준치의 50% 이상 되도록 원료식품을 조합하고 영양소를 첨가하여야 하고, 포화지방 유래열량은 총 열량의 10% 미만으로 하며, 콜레스테롤은 제품 1000 kcal당 100 mg 이하로 하고, 단당류 및 이당류 유래 열량은 총열량의 10% 미만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당뇨환자용 식품 제조를 위하여 상기 오미수 및 콩즙에 추가로 비타민 A, B1, B2, B6, C, D, E, 나이아신, 엽산, 단백질, 칼슘, 철, 아연 공급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뇨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두유, 분말두유, 기타두유 또는 가공두부 등 다양한 형태의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당뇨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대두로부터 추출한 대두고형분 7 중량% 이상인 두유액인 콩즙에 오미수를 첨가한 것으로 대두고형분 4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대두고형분 4 내지 7 중량%인 두유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당뇨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대두로부터 추출한 대두고형분 7 중량% 이상인 두유액인 콩즙에 오미수, 또는 오미수와 함께 곡물 당화물을 첨가하여 대두고형분 1.4 중량% 이상인 기타 두유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당뇨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두유 또는 기타 두유를 분무 건조, 동결 건조, 진공 건조 또는 열풍 건조 등의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대두고형분 50 중량% 이상의 분말두유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당뇨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대두로부터 추출한 대두고형분 7 중량% 이상인 두유액인 콩즙에 오미수 단독 또는 오미수와 응고제를 넣어 가공한 것으로 두부 함량이 30 중량%이상인 가공두부로 제조될 수 있다.
동의보감, 거가필용 등의 고문헌에 오미수는 끓인 후 식힌 물에 건조 오미자를 하룻밤 우려내어 사용한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오미수는 오미자 착즙액 또는 오미자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오미자 착즙액은 생오미자, 냉동 후 해동한 오미자, 냉장 오미자, 또는 건조 오미자를 물에 불린 후 분쇄하고, 씨 및 찌꺼기를 걸러낸 오미자 착즙액 일 수 있다. 상기 오미자를 분쇄할 때는 씨가 분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씨가 분쇄될 경우 쓴맛 및 떫은 맛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오미자를 물, 주정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이다. 오미자 씨의 쓴맛 및 떫은 맛이 추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40 ℃ 이하의 물 또는 30 (v/v)% 이하의 주정 수용액으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는 오미자에서 씨를 분리해낸 후 과육 부분만으로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물 추출물의 제조는 오미자를 10 내지 100 ℃의 물로 2 내지 48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물 추출에 따른 수용성 성분의 추출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셀룰라아제, 비스코자임, 알칼라아제 및 펙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소를 첨가하여 30 내지 55℃에서 2 내지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 오미자를 실온에서 10 내지 30 시간 불린 다음 분쇄한 후 찌꺼기를 걸러낸 오미자 물 추출물(오미자 우려낸 물)일 수 있다. 상기 오미자 착즙액이 오미자 우려낸 물에 비하여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이 우수하며 향 및 맛이 우수하다.
한편 주정 추출물 또는 주정 수용액 추출물은 오미자를 용매와 함께 20 내지 60℃에서 2 내지 36 시간,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에서 2.5 내지 6 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정 수용액 추출물에서 주정 함량은 0.01 내지 50 (v/v)%이다.
상기 오미수는 당도계로 측정한 당도 5 내지 15 브릭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3 브릭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1 브릭스의 것이며, 이하에서 오미수의 함량은 10 브릭스의 오미수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또한 오미수의 pH는 4.5 내지 5.5, 바람직하게는 4.7 내지 5.3인 것이다.
상기 콩즙은, 대두를 증자 및 마쇄한 후, 비지를 제거하여 제조하는 두유액으로, 대두를 탈피한 후 증자하여 효소를 실활시키면서 대두를 연화시킬 수 있고, 증자 전에 대두를 8 내지 16 시간 침지하여 불리 수 있으며, 상기 증자된 대두에 가수한 후 마쇄 시에는 거품생성을 억제하기 위해 소량의 소포제를 투입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상기 마쇄한 마쇄액을 중화시키기 위해 수산화나트륨 등을 첨가할 수 있고, 비지를 제거하기 위해 원심분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비지가 제거된 두유액은 균질기로 100 내지 250 bar로 균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콩즙의 함량은 대두고형분 7 중량%의 두유액을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상기 오미수 및 콩즙은 1 : 0.1 내지 4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0.8 내지 3 중량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3 내지 2 중량비로 혼합된다. 오미수를 기준으로 콩즙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오미수가 많아 신맛이 강하고 콩즙의 단백질을 변성시켜 몽글몽글한 순두부와 같은 덩어리가 발생하게 되고 당뇨개선에 효과도 우수하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맛이 텁텁하고 전체적인 관능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당뇨개선에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당뇨 개선용 식품조성물에는 곡물 당화물(糖化物)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물 당화물은 쌀, 밀 및 보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곡물을 당화시켜 제조된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백미, 현미 또는 찹쌀과 같은 쌀을 당화시켜 제조된 것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백미를 당화시켜 제조된 것이다.
상기 곡물 당화물은 엿기름 또는 당화효소와 상기 곡물을 혼합하여 당화시킨 후 건조시킨 분말이다.
상기 당화효소는 글루코아밀라아제, 알파아밀라아제 또는 이들 효소의 혼합물이다. 상기 글루코아밀라아제는 전분의 액화 또는 호정화력을 갖는 효소이고, 상기 알파아밀라아제는 당화력을 갖는 효소로서, 통상의 전분의 당화에 사용되는 효소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글루코아밀라아제는 바실러스속 균주에서 유래된 것이고, 알파아밀라아제는 아스퍼질러스속 균주에서 유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곡물 당화물은 예를 들어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곡물가루 20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중량부 혼합하여 곡물 현탁액을 제조하고, 상기 곡물 현탁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글루코아밀라아제 0.005 내지 0.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1 중량부 및 알파아밀라아제 0.005 내지 0.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1 중량부를 첨가하여 효소반응을 통해 곡물 당화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당화효소를 대신하여 엿기름 분말을 1 : 0.1 내지 5 중량비로 혼합하여 효소반응을 통해 곡물 당화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효소반응은 상기 쌀현탁액에 함유된 전체 탄수화물 중에서 60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85 중량%가 포도당으로 전환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효소반응은 55 내지 75 ℃,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65 ℃에서 2 내지 8 시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 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 시간 반응시킬 수 있다. 상기 온도 및 시간 범위 내에서 효소반응이 진행될 때 곡물 현탁액에 함유된 곡물가루 입자의 전분이 분해되어 덱스트린 및 포도당을 생성하면서 감미가 증가된다. 상기 온도 및 시간 범위를 초과할 경우 포도당 함량의 증가로 감미는 증가되지만 오미수에 의한 콩즙의 엉김을 억제하는 물성 개선 효과가 미미해질 수 있다.
상기 당화시키는 단계의 효소반응 완료 후 더 이상 효소반응이 진행되지 않도록 효소를 실활시키기 위해 효소의 실활공정이 추가될 수 있다. 효소의 실활공정은 당업계에 공지된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80 내지 90 ℃로 5 내지 30 분 동안 가열한 후 20 내지 40 ℃로 냉각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쌀당화액은 pH 5.5 내지 6.5, 포도당 함량 8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3 중량%, 당도 6 내지 20 브릭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5 브릭스일 수 있다.
상기 오미수, 콩즙 및 곡물의 당화물은 1 : 0.1 내지 4 : 0.1 내지 3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0.8 내지 3 : 0.2 내지 1.5의 중량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3 내지 2 : 0.2 내지 1.5의 중량비로 혼합된다. 오미수를 기준으로 곡물 당화물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감미가 약하고 오미수에 의한 콩즙의 엉김이 발생할 수 있으며 당뇨개선에 효과가 우수하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두유 음료에 비해 점도가 높아지고 맛이 텁텁하고 전체적인 관능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당뇨개선에 효과가 없을 수 있다.
상기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에는 감미를 부여하여 기호도를 증진시키면서도 당뇨개선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아스파탐, 아세설팜칼슘, 솔비톨, 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타가토스, 자일리톨 및 올리고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감미료를 추가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감미료를 첨가하는 경우 콩즙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 중량부 범위에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오미자를 착즙하거나, 또는 오미자를 물, 주정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의 추출하여 오미수를 수득하는 단계; 콩을 증자하고 분쇄한 후 여과하여 비지를 제거한 콩즙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오미수 및 콩즙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엿기름 또는 당화효소와 곡물을 혼합하여 당화시킨 후 건조시켜 곡물 당화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혼합하는 단계에 상기 곡물 당화물을 추가로 혼합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이란 오미수 및 콩즙, 또는 오미수, 콩즙 및 곡물 당화물을 본 발명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오미수, 콩즙 및/또는 곡물 당화물은 천연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오미수, 콩즙 및/또는 곡물 당화물의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당뇨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각종 식품에 첨가제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알코올 음료류, 과자류, 다이어트바, 유제품, 육류, 초코렛,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당뇨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솔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및 각종 식물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의 오미수 및 콩즙, 또는 오미수, 콩즙 및 곡물 당화물의 첨가량은, 대상인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식품 본래의 맛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되며, 대상 식품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50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또한, 환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캡슐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의 경우에는 통상 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3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당뇨개선용 식품의 제조를 위한 오미수 및 콩즙 혼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제조예 1: 생오미자 착즙액 제조
세척한 생오미자를 믹서기로 분쇄한 후, 7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여 씨와 찌꺼기를 제거하여 생오미자 착즙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생오미자 착즙액의 pH는 5.0 이고, 당도는 10 브릭스이었다.
제조예 2: 건조오미자 착즙액 제조
수분함량 8 중량%인 건조 오미자에 물을 1: 18 중량비로 첨가한 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불리고, 믹서기로 분쇄한 후, 7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여 씨와 찌꺼기를 제거하여 건조오미자 착즙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건조오미자 착즙액의 pH는 4.7 이고, 당도는 10 브릭스이었다.
제조예 3: 콩즙 제조
세척한 대두가 잠길 정도로 물을 첨가하여 12시간 동안 불린 후 불린 대두를 110 ℃로 증자시키고 차가운 물에 상기 증자된 대두를 넣고 씻으면서 껍질을 제거한 다음 껍질이 제거된 대두를 믹서기로 분쇄한 다음 7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여 비지가 제거된 콩즙을 수득하였다. 상기 콩즙의 대두고형분 함량은 7 중량%이었다.
제조예 4: 쌀 당화물 제조
호화쌀가루 200 g, 엿기름 분말(맥아파우더) 20 g에 물을 혼합하여 1000 ml로 맞춘 후 65 ℃에서 4시간 동안 당화시킨 다음 85 ℃로 20 분 동안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시키고, 냉각한 후 동결건조시켜 쌀 당화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쌀 당화물의 pH는 6.0, 포도당 함량은 12 중량%, 당도는 13 브릭스 이었다. 쌀 당화물은 아래 실시예에서 3배 중량의 물에 미리 혼합하여 희석한 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생오미자 착즙액+콩즙+당화물
제조예 1의 생오미자 착즙액, 제조예 3의 콩즙 및 제조예 4의 쌀 당화물 희석액을 1:1:1 중량비로 혼합하여 실시예 1의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생오미자 착즙액+콩즙+당화물
제조예 1의 생오미자 착즙액, 제조예 3의 콩즙 및 제조예 4의 쌀 당화물 희석액을 1:0.6:0.6 중량비로 혼합하여 실시예 2의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생오미자 착즙액+콩즙+당화물
제조예 1의 생오미자 착즙액, 제조예 3의 콩즙 및 제조예 4의 쌀 당화물 희석액을 1:0.5:0.5 중량비로 혼합하여 실시예 3의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생오미자 착즙액+콩즙+당화물
제조예 1의 생오미자 착즙액, 제조예 3의 콩즙 및 제조예 4의 쌀 당화물 희석액을 1:0.33:0.33 중량비로 혼합하여 실시예 4의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 생오미자 착즙액+콩즙+당화물
제조예 1의 생오미자 착즙액, 제조예 3의 콩즙 및 제조예 4의 쌀 당화물 희석액을 1:1.5:1 중량비로 혼합하여 실시예 5의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6: 건조오미자 착즙액+콩즙+당화물
제조예 2의 건조오미자 착즙액, 제조예 3의 콩즙 및 제조예 4의 쌀 당화물 희석액을 1:0.6:0.6 중량비로 혼합하여 실시예 6의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7: 건조오미자 착즙액+콩즙+설탕
제조예 2의 건조오미자 착즙액, 제조예 3의 콩즙 및 설탕을 3배 중량의 물에 희석한 설탕물을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실시예 7의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8: 건조오미자 착즙액+콩즙+꿀
제조예 2의 건조오미자 착즙액, 제조예 3의 콩즙 및 꿀을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실시예 8의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9: 건조오미자 착즙액+콩즙+꿀
제조예 2의 건조오미자 착즙액, 제조예 3의 콩즙 및 꿀을 1 : 2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실시예 9의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0: 생오미자 착즙액+콩즙+당화물
제조예 2의 생오미자 착즙액, 제조예 3의 콩즙, 제조예 4의 쌀 당화물 희석액을 1 : 2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실시예 10의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1: 건조오미자 착즙액+콩즙+당화물
제조예 2의 건조오미자 착즙액, 제조예 3의 콩즙, 제조예 4의 쌀 당화물 희석액을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실시예 11의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생오미자 착즙액 단독
제조예 1의 생오미자 착즙액만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콩즙 단독
제조예 3의 콩즙만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3: 생오미자 착즙액+콩추출물+당화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대두를 열수 추출한 대두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였으며, 상기 수득된 생오미자 착즙액, 콩추출물 및 쌀 당화물 희석액을 1 : 0.6 : 0.6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비교예 3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4: 시판 두유
시중에 판매되는 일반 두유 제품 중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은 제품을 비교예 4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콩즙의 엉김 발생 여부 및 점도
실시예 1, 8, 9, 10 및 11의 당뇨환자용 식품 조성물에서 오미수와 콩즙을 혼합하였을 때, 오미수와 콩즙의 혼합 비율, 쌀 당화물의 존재 유무에 따른 점도를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고, 이때 콩즙의 엉김 발생 유무를 시간대 별로 확인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오미수:콩즙 (중량비) 쌀당화물 포함 여부 점도(mN·m)
실시예 1 1 : 1 포함 0.03284
실시예 8 1 : 1 미포함 0.01550
실시예 9 1 : 2 미포함 0.00970
실시예 10 1 : 2 포함 0.01735
실시예 11 1 : 1 포함 0.03782
비교예 4 - - 0.00824
상기 표 1에 따르면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오미수의 중량비가 높을수록 점도가 높게 나타났고, 또한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건조오미자 착즙액을 사용한 것이 생오미자 착즙액을 사용한 것보다 점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쌀 당화물을 포함한 것이 꿀을 사용한 것보다 점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8, 9 및 10의 점도가 시판 두유와 유사한 점도를 나타내었고, 관능적으로도 마시는 물성에서 유사한 바디감을 나타내었다.
쌀 당화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1, 10 및 11에서는 제조예 3의 콩즙 제조공정, 또는 실시예의 혼합공정에서 통상 사용하는 고속 교반이나 균질기를 사용한 균질을 실시하지 않고 200 rpm에서 10분 정도 혼합하였음에도 오미수의 첨가에 따른 응집을 관찰할 수 없었고, 제조 2시간 후부터 상부에 약간의 층분리가 시작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곡물 당화물을 함유할 경우 오미수를 콩즙과 동일한 함량까지 사용하더라도 두유 또는 기타두유와 같은 음료로 제조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쌀 당화물을 포함하지 않은 실시예 8 및 9에서, 오미수의 함량이 콩즙과 동일한 수준으로 많이 첨가된 실시예 8의 경우 제조 30분 후부터 콩즙 단백질의 엉김이 발생하였으므로 두유 또는 기타두유 보다는 분말두유 또는 푸딩 형태의 가공두부와 같은 식품으로 제조하는 것이 오히려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쌀 당화물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오미수의 첨가량이 낮은 실시예 9의 경우에는 실시예 8과 같은 심한 엉김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제조 2시간 후부터 서서히 엉김 현상이 나타내었다. 따라서 쌀 당화물을 사용하지 않고 두유 또는 기타두유와 같은 음료를 제조할 경우 콩즙의 엉김을 방지하기 위하여 식품에 통상으로 사용되는 안정제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만 고속 교반이나 균질 공정이 부가될 경우 상기 엉김 현상은 현저히 감소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험예 2: in vitro 효소 활성 α-glucosidase 억제활성
α-Glucosidase inhibition assay 방법은 Tibbot과 Skadsen(1996)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효소는 효모로부터 얻어진 α-glucosidase(sigma, USA)를, 기질은 p-nitrophenyl-α-D-glucopyranoside(Sigma, USA)를 사용하였다. α-Glucosidase는 0.2% BSA와 0.02% NaN3가 포함된 100 mM phosphate buffer(pH 7.0)에 0.7 unit이 되도록 녹여서 효소 용액으로 사용하였고, p-Nitrophenyl-α-D-glucopyranoside는 100 mM phosphate buffer(pH 7.0)에 10 mM이 되게 녹여서 기질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각 시료를 microplate에 50 μl씩을 첨가하고 α-glucosidase 효소를 100 μl 취한 다음 25 ℃에서 5분간 실온에서 incubation하고 Multi Detection Reader(Infinite 200, TECAN Group Ltd, Switzerland)로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기질용액을 50 μl을 더하고 2분 뒤 multi detection reader로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효소 저해율을 산출하였다.
[수학식 1]
저해 활성(%)=(대조군 흡광도)-(시료 처리군 흡광도)/(대조군 흡광도)X100
구분
(단위: %)
농도(ug/ml)
0 10 100 1000 10000
실시예 1 0.0 0.6 5.7 13.1 24.4
실시예 2 0.0 1.1 4.8 13.4 23.6
실시예 3 0.0 1.8 4.5 10.2 21.4
실시예 4 0.0 0.0 3.8 11.5 19.1
실시예 5 0.0 1.5 7.9 15.2 27.2
실시예 6 0.0 0.4 1.3 7.1 19.8
실시예 7 0.0 0.5 1.7 7.5 18.9
실시예 8 0.0 0.4 1.9 7.5 18.0
비교예 1 0.0 0.5 2.0 4.3 9.7
비교예 2 0.0 -0.5 3.6 7.0 10.7
비교예 3 0.0 0.4 1.8 4.9 9.8
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8에 따라 제조된 식품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α-glucosidase 억제 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생오미 착즙액을 포함하는 실시예 1이 오미자 물 추출물을 사용한 실시예 6 보다 α-glucosidase 억제 활성이 더 우수하며, 콩즙을 포함하는 실시예 1이 콩추출물을 사용한 비교예 3 보다 α-glucosidase 억제 활성이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in vivo 동물시험
시험동물
시험동물인 ICR mice(6주령, male)는 샘타코 바이오코리아(경기, 한국)에서 구입하여 1주일간의 순화기간을 거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식이는 일반 고형사료(샘타코, 경기, 한국)를 급여하며 음수는 필터링된 음용수를 매일 갈아주며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사육기간 중 온도는 23±1 ℃, 습도 50±5%, 소음 60 phone 이하, 조명시간 08:00~20:00 (1일 12시간), 조도 150~300 Lux, 환기는 시간당 10~12회의 환경을 유지하였다.
2-1. 글루코스 경구부하시험(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미정맥에서 혈당기(오토첵, 주식회사 다이아텍코리아)를 이용하여 8시간 이상 절식한 시험동물의 공복혈당을 측정한 뒤 난괴법을 이용하여 군별로 임의배치하고 각각의 시료(100 mg/kg)를 경구투여하였다. 30분 후 다시 혈당을 측정한 다음 실험방법에 따라 혈당상승인자인 glucose를 2 g/kg씩 모든 군에 투여하여 30분 간격으로 120분까지 미정맥에서 혈당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무투여군이다.
구분 시간(분)
-30 0 30 60 90 120
대조군 88.14±10.85 126.29±18.35 435.57±46.12 299.29±46.78 153.00±20.89 110.14±14.42
실시예 1 86.29±10.14 125.71±10.49 380.29±44.98 217.29±32.46 137.29±17.28 106.00±13.62
실시예 2 85.33±11.13 120.72±9.17 374.23±40.12 213.13±30.11 140.12±18.12 109.33±11.27
실시예 3 84.17±8.89 122.94±10.12 354.73±38.22 212.36±35.35 145.21±10.88 118.65±11.23
실시예 4 86.42±6.33 130.25±3.27 355.75±41.18 222.34±38.45 149.87±11.92 128.22±12.21
실시예 5 85.57±7.66 111.14±3.67 345.29±37.90 218.00±35.22 135.29±12.98 103.29±15.85
실시예 6 88.82±8.45 121.67±8.38 365.00±40.74 232.00±38.55 144.87±10.26 118.12±13.44
실시예 7 89.57±8.02 126.57±9.38 396.86±43.08 236.29±31.14 159.00±22.89 120.57±10.72
실시예 8 88.51±7.48 127.68±10.42 390.38±40.38 230.02±33.02 150.77±21.63 123.33±8.09
비교예 1 93.14±8.93 140.86±15.43 390.29±26.70 226.86±27.42 154.86±9.56 130.43±20.40
비교예 2 85.57±7.46 135.86±14.23 395.71±53.22 247.14±35.86 167.57±16.47 132.86±16.10
비교예 3 85.34±7.66 137.32±9.22 392.27±40.12 245.17±35.28 158.85±20.17 131.38±10.33
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8에 따라 제조된 식품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혈당 강하 활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 2, 3 및 5의 식품조성물은 무투여 대조군 및 다른 군에 비하여 혈당 강하 활성이 더욱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2-2. AUC 0-2h 측정
2-1에서 혈당 측정 후 혈당변화곡선의 면적(Area under the curve)을 구하여 각 시험군당 혈당변화를 분석하였다. 대조군은 무투여군이다.
구분 AUC(hours A mg/dL)
대조군 33520.8±4600.3c
실시예 1 29069.2±2881.4a
실시예 2 29241.9±2527.6ab
실시예 3 29551.5±2109.7b
실시예 4 29848.1±1895.4b
실시예 5 28849.1±3449.3a
실시예 6 31015.3±2451.0b
실시예 7 31994.1±2961.4bc
실시예 8 31788.5±2856.1bc
비교예 1 32225.0±2187.4c
비교예 2 32754.4±3234.0c
비교예 3 32047.4±1945.5c
위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8에 따라 제조된 식품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AUC 값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6에 따라 제조된 식품조성물은 식후 혈당 강하 활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실험예 4: 지표성분 측정
지표 성분으로 오미자의 lignan 성분 중 gomisin A, gomisin C, schisandrin, γ-schisandrin, deoxyschisandrin, schisandrin C와 콩의 isoflavone(daidzin, glycitin, genistin, daidzein, glycitein, genistein) 6종을 하여 총 12종의 성분의 분리 및 정량분석은 Waters Xevo TQ triple-quadrupole (Waters, Miliford, MA, USA)에 결합된 초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SS T3 column 2.1X100 mm, 1.8 ㎛; waters) 이용한 UPLC-MS/MS 시스템이 정량을 위해 사용되었다.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는 0.1%의 포름산이 함유된 물 및 아세토나이트릴으로 구성된 이동상을 이용하여 0.5 mL/분의 유속으로 10분간 농도별로 용리하고, 분리된 물질은 LC-MS/MS로 검출하였다. LC-MS/MS 시스템의 ESI 양성모드로 이용한 다증반응탐색법(multiple reaction monitoring; MRM) 모드로 실시하였다. 캐필러리와 샘플링 콘 전압을 3.3 kV와 36 V로 각각 설정하였다. 충돌에너지는 23 kV로 설정하였다. 탈용매화유속을 400 ℃에서 800 L/h로 설정하고, 소스의 온도는 150 ℃로 설정하였다. MS 데이터의 모든 정보를 장치 내에 장착된 MarkerLynx(워터스)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ligana(mg/g) deoxyschisandrin 0.11±0.01 0.13±0.01 0.16±0.00 0.17±0.01 0.11±0.01 0.10±0.01 0.05±0.01 0.04±0.00 0.26±0.03 - 0.04±0.00
gomisin A 0.12±0.00 0.17±0.00 0.21±0.01 0.27±0.00 0.14±0.00 0.11±0.00 0.05±0.00 0.04±0.00 0.46±0.01 - 0.05±0.01
r-schisandrin 0.12±0.01 0.13±0.00 0.14±0.00 0.13±0.01 0.11±0.01 0.12±0.00 0.08±0.02 0.09±0.01 0.13±0.02 - 0.07±0.00
gomisin C 0.02±0.0 0.03±0.00 0.04±0.00 0.05±0.00 0.03±0.00 0.02±0.01 0.04±0.00 0.06±0.00 0.09±0.01 - 0.04±0.01
schizandrol A 0.32±0.00 0.42±0.00 0.51±0.00 0.62±0.00 0.34±0.00 0.33±0.00 0.16±0.01 0.14±0.01 0.93±0.02 - 0.15±0.00
schisandrin C 0.08±0.00 0.09±0.00 0.10±0.01 0.09±0.01 0.07±0.01 0.05±0.00 0.05±0.01 0.04±0.01 0.11±0.02 - 0.04±0.00
총 함량 0.78 0.97 1.17 1.33 0.79 0.73 0.43 0.41 1.98 - 0.38
isoflavone
(ug/g)
daidzein 9.33±1.15 6.67±1.15 6.67±1.15 8.00±0.00 11.33±1.15 10.67±0.98 5.33±1.15 5.15±1.15 - 34.67±3.06 4.12±0.05
genistein 6.00±0.00 4.00±0.00 4.00±0.00 4.67±1.15 8.00±0.00 6.00±1.15 4.00±0.00 3.88±0.00 - 28.0±0.00 3.45±1.15
glycitein - - - - - - - - - 2.000.00 -
daidzin 54.67±2.31 51.33±1.15 55.33±3.06 56.67±3.06 88.0±1.11 58.67±1.06 56.67±2.31 57.15±2.85 - 301.33±7.57 44.17±2.31
genistin 50.67±3.06 46.67±1.15 48.0±0.00 46.0±2.00 76.67±1.15 54.57±2.00 52.00±2.00 53.01±2.00 - 212.67±6.43 40.65±1.15
glycitin 18.0±2.00 14.67±1.15 16.67±1.15 16.67±1.15 26.0±2.00 19.0±1.15 17.33±1.15 17.85±3.06 - 107.33±4.16 11.48±2.00
총 함량 138.67 123.33 130.67 132.00 210.00 148.91 135.33 137.04 - 686.00 103.87
위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8에 따라 제조된 식품조성물은 리그난 및 이소플라본의 함량이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비교예 1은 이소플라본이 함유되어 있지 않으며, 비교예 2는 리그난이 함유되어 있지 않고, 비교예 3은 리그난 및 이소플라본의 함량이 모두 실시예에 비하여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관능 검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전문패널 20명에게 시식하게 한 후 9점 척도법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평균값을 구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 색상, 맛, 향 및 종합적 기호도: 1점= 매우 나쁘다, 9점= 매우 좋다
구분 색상 종합적인 기호도
실시예 1 7.3 7.5 7.0 7.0
실시예 2 8.0 8.1 7.8 8.0
실시예 3 7.7 7.9 7.4 7.7
실시예 4 7.5 7.4 7.0 7.2
실시예 5 7.9 7.9 8.0 7.8
실시예 6 6.8 6.2 6.5 6.7
실시예 7 6.1 6.5 6.8 6.4
실시예 8 6.5 6.0 6.9 6.7
비교예 1 4.2 4.4 5.1 4.3
비교예 2 3.0 2.9 3.1 2.8
비교예 3 3.5 4.7 4.3 4.5
위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8에 따라 제조된 식품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색상, 맛, 향 및 종합적 기호도가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하기에 본 발명의 분말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기능성 두유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혼합물 900 mL
비타민 C 100 mg
미네랄혼합물 10 mg

Claims (15)

  1. 오미수, 콩즙 및 곡물 당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상기 오미수는 오미자 착즙액, 또는 오미자의 물, 주정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의 추출물이며,
    상기 곡물 당화물은 물 100 중량부에 곡물가루 20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한 곡물가루 현탁액을 엿기름 또는 당화효소를 혼합하여 당화시킨 후 건조한 분말이며,
    상기 오미수, 콩즙 및 곡물 당화물이 1 : 0.8 내지 3 : 0.2 내지 1.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은 혈당조절용 건강기능식품 또는 당뇨환자용 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은 두유, 분말두유 또는 기타두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콩즙은 대두로부터 추출한 대두고형분 7 중량% 이상의 두유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미수 및 콩즙이 1 : 0.8 내지 2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 당화물은 쌀, 밀 및 보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곡물을 당화시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
  11. 삭제
  12. 삭제
  13. 제3항에 있어서, 아스파탐, 아세설팜칼슘, 솔비톨, 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타가토스, 자일리톨 및 올리고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감미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
  14. 오미자를 착즙하거나, 또는 오미자를 물, 주정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의 추출하여 오미수를 수득하는 단계;
    콩을 증자하고 분쇄한 후 여과하여 비지를 제거한 콩즙을 수득하는 단계;
    물 100 중량부에 곡물가루 20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한 곡물가루 현탁액을 엿기름 또는 당화효소를 혼합하여 당화시킨 후 건조하여 곡물 당화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오미수, 콩즙 및 곡물 당화물을 1 : 0.8 내지 3 : 0.2 내지 1.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
  15. 삭제
KR1020190006086A 2018-09-03 2019-01-17 오미자 및 콩즙을 포함하는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61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423,571 US20220117275A1 (en) 2018-09-03 2019-11-13 Food composition, for alleviating diabetes, comprising schisandra chinensis fruit juice and bean jui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EP19910309.4A EP3912482A4 (en) 2018-09-03 2019-11-13 FOOD COMPOSITION FOR REDUCING DIABETES COMPRISING SCHISANDRA CHINENSIS AND BEAN JUIC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PCT/KR2019/015479 WO2020149506A1 (ko) 2018-09-03 2019-11-13 오미자 및 콩즙을 포함하는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90147785A KR102304942B1 (ko) 2018-09-03 2019-11-18 오미자 및 콩즙을 포함하는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501 2018-09-03
KR20180104501 2018-09-0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785A Division KR102304942B1 (ko) 2018-09-03 2019-11-18 오미자 및 콩즙을 포함하는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1048B1 true KR102061048B1 (ko) 2019-12-31

Family

ID=690515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086A KR102061048B1 (ko) 2018-09-03 2019-01-17 오미자 및 콩즙을 포함하는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90147785A KR102304942B1 (ko) 2018-09-03 2019-11-18 오미자 및 콩즙을 포함하는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785A KR102304942B1 (ko) 2018-09-03 2019-11-18 오미자 및 콩즙을 포함하는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17275A1 (ko)
EP (1) EP3912482A4 (ko)
KR (2) KR102061048B1 (ko)
WO (1) WO20201495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113B1 (ko) 2022-09-30 2022-12-07 농업회사법인 김재식헬스푸드 주식회사 혈당 강하 효능이 우수한 인공미와 면류 조성물 및 제조방법, 그리고 그 방법으로 제조되는 인공미 및 면류
KR102506269B1 (ko) 2022-09-30 2023-03-06 농업회사법인 김재식헬스푸드 주식회사 인공미 생산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019B1 (ko) * 2016-08-26 2017-02-10 박기찬 기능성 유효성분이 함유된 두부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4257A (ko) * 1996-12-27 1998-09-25 박상민 기능성 두유 및 두부 제조 방법
KR20010081514A (ko) 2000-02-15 2001-08-29 복성해 참당귀에서 분리한 다당류의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6451355B1 (en) 2000-07-17 2002-09-17 Howard M. Reisner Composition to treat diabetes
KR100443022B1 (ko) * 2001-01-22 2004-08-04 주식회사 바이오빅스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응고제로한 기능성 두부 및 그 제조방법
KR100417287B1 (ko) 2002-09-25 2004-02-05 (주)생명의나무 헛개나무의 저급 알콜 불용성 추출 분획 또는 그로부터분리된 다당체 물질을 함유하는 당뇨 치료용 조성물
KR100457690B1 (ko) 2003-01-29 2004-11-17 손성순 잔나비걸상버섯으로부터 분리한 아플아나산 유도체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0464815B1 (ko) 2003-08-20 2005-01-15 주식회사 월드씨그린 뜸부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질환 및 당뇨성 질환 예방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GB2428974B (en) * 2005-08-12 2010-02-03 Phynova Ltd Further medical use of a botanical drug or dietary supplement
KR20090036981A (ko) * 2007-10-10 2009-04-15 문경시 건조오미자 추출액이 함유된 기능성 두부 및 그 제조방법
KR101106200B1 (ko) * 2009-04-16 2012-01-20 한국식품연구원 쌀을 포함하는 쌀두유의 제조방법
KR101156002B1 (ko) * 2010-02-22 2012-06-18 한국식품연구원 식혜형 쌀두유의 제조방법
KR101241455B1 (ko) * 2010-09-17 2013-03-11 김길중 혈당 강하용 두부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24877A (ko) 2015-08-26 2017-03-08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발효 숙성 야콘 잎차 추출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용 조성물
KR20180065991A (ko) * 2018-05-29 2018-06-18 오세권 발효과실액을 함유하는 두유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019B1 (ko) * 2016-08-26 2017-02-10 박기찬 기능성 유효성분이 함유된 두부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12482A1 (en) 2021-11-24
KR102304942B1 (ko) 2021-09-27
US20220117275A1 (en) 2022-04-21
WO2020149506A1 (ko) 2020-07-23
KR20200026767A (ko) 2020-03-11
EP3912482A4 (en) 202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30573T3 (es) Agente anti-obesidad cuyo principio activo es la procianidina.
EP1645636B1 (en) A diabetic food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US20010018090A1 (en) Calorie reducing agent
JP4589212B2 (ja)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含有食品及びその製造法
KR102304942B1 (ko) 오미자 및 콩즙을 포함하는 당뇨개선용 식품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6045212A (ja) 特定のキナ酸誘導体を含有する経口用組成物
JP5442243B2 (ja) 腎障害抑制剤
US20020018818A1 (en) Sugar decomposition inhibitor, digestive enzyme activity inhibitor, insulin secretion controller, and healthy food and beverage
KR101539651B1 (ko) 배를 이용한 기능성 올리고당의 제조방법
Luzardo‐Ocampo et al. Pulse By‐products
EP2292103B1 (en) Sweetening composition
JP5120553B2 (ja) 健康飲料
JP5020462B2 (ja) α−グルコシダーゼ阻害剤及びそれを用いた食品
JP2011254749A (ja) マンノース含有組成物
KR101829680B1 (ko) 무설탕 식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47640B1 (ko) 연수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들을 함유하는당뇨병성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P1363507B1 (en) Functional food and a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same.
KR100504340B1 (ko) 기능성 사과 고추장의 제조 방법
JP6362237B1 (ja) グネチンc高含有メリンジョエキ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08897B1 (ko)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된 감귤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20200074355A (ko) 백수오를 함유하는 기능성 조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조청
KR20140092110A (ko) 무가당 인삼떡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3327539A (ja) 経口用組成物
KR101222779B1 (ko) 식용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230141995A (ko) 식물혼합추출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화기능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