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078B1 - 핑거루트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및 항당뇨 조성물 - Google Patents

핑거루트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및 항당뇨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078B1
KR102059078B1 KR1020140056099A KR20140056099A KR102059078B1 KR 102059078 B1 KR102059078 B1 KR 102059078B1 KR 1020140056099 A KR1020140056099 A KR 1020140056099A KR 20140056099 A KR20140056099 A KR 20140056099A KR 102059078 B1 KR102059078 B1 KR 102059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saccharide
fingerroot
finger root
polysaccharides
obe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6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9344A (ko
Inventor
황재관
Original Assignee
㈜앗코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앗코스텍 filed Critical ㈜앗코스텍
Priority to KR1020140056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078B1/ko
Publication of KR20150129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04Polysaccharides, i.e.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bo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14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produced by the action of a carbohydrase (EC 3.2.x), e.g. by alpha-amylase, e.g. by cellulase, hemicellula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비만 및 항당뇨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핑거루트 다당류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신규한 용도에 관한 것으로 핑거루트 다당류는 체중 및 체지방을 감소시키고, 혈당 및 혈중 인슐린 농도를 유의하게 감소시킴으로써 항비만 및 항당뇨 활성의 식품 조성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핑거루트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및 항당뇨 조성물 {Anti-obese and anti-diabetic composition comprising fingerroot polysaccharides}
본 발명은 핑거루트(fingerroot)로부터 분리된 다당류, 그의 제조방법 및 분리된 다당류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생강과 식물의 일종인 핑거루트로부터 분리된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fingerroot polysaccharide complex), 알카리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alkaline soluble fingerroot polysaccharides), 산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acid soluble fingerroot polysaccharides), 효소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enzyme soluble fingerroot polysaccharides), 압출성형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extrusion soluble fingerroot polysaccharides)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및 항당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에너지 축적량과 소모량의 불균형으로 지방조직의 이상적 증가에 따라 발생하는 질환이다. 비만은 세계 각국에서 심각한 보건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고도의 산업성장과 식생활 패턴의 서구화 및 신체 활동량 부족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비만 유병률이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비만은 그 자체가 갖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고인슐린혈증, 동맥경화증, 순환기계 질환, 암, 당뇨병 등과 같은 많은 질병의 원인으로도 작용할 수 있어 그 심각성이 더욱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Nature 404(6778): 635-43, 2000, Obes. Rev. 12(1): 1-13, 2011).
당뇨병은 크게 제 1 형과 제 2 형 당뇨병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제 1 형 당뇨병은 유전적 감수성 및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췌장에 면역학적 반응이 유발되고, -세포가 선택적으로 파괴되어 발생하는 자가면역질환이다. 제 2 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이 선행하는 형으로 주요 병인으로는 비만, 인슐린 수용체의 감소, tyrosine kinase 활성도 감소, 근육조직과 지방조직의 muscle/adipose tissue type transportor의 감소, insulin receptor substrate-1(IRS-1)의 세포 내 결핍 등 복잡한 원인에 의해 발병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제 2 형 당뇨병은 주로 성인에서 발병하는데 전체 당뇨병 중 90%를 차지하고 있다(Drugs, 65: 433-445, 2005).
다당류(Polysaccharides)는 당의 중합체로 구성된 물질로서 식품에서는 안정제, 증점제, 유화제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영양학적으로는 비전문성 다당류(non-starch polysacchrides)의 경우 인체내의 소화효소에 분해되지 않는 식이섬유(dietary fiber)로서 작용하여 배변활동을 원활하게 하거나 혈중 콜레스테롤를 감소시키는 생리작용을 제공한다. 또한, 일부 약리작용이 있는 다당류의 경우 면역활성이나 항암활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핑거루트(Fingerroot)는 생강과의 일종인 보에센버지아 판두라타(Boesenbergia pandurata (Roxb.) Schltr.)의 근경(rhizone)과 뿌리(roots)에서 얻어지는 부위로서 동남아시아 열대지역에서 향신료서 사용되고 있으며, 항균 및 항염작용이 강하여 전통 의약품으로도 널리 사용되어 왔다(End-Chong et al.,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Volume 2012, Article ID 473637). 또한, 핑거루트의 에탄올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판두라틴 에이 성분은 저분자 화합물(small molecules)로서 항비만 및 항당뇨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Kim et al., Diabetes, Obesity and Metabolism, 13:584-593, 2011; Kim et al.,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 13:994-1005, 2012). 그러나 지금까지 핑거루트 다당류 성분의 구체적인 기능성에 대하여는 밝혀진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핑거루트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및 항당뇨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핑거루트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및 항당뇨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핑거루트에 유기용매를 가하여 용매 가용화 분획을 제거함으로써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fingerroot polysaccharide complex)를 제조하였다. 유기용매로는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 등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핑거루트의 다당류의 저분자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초임계유체 추출(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초음파 추출(ultrasonification extraction), 초고압추출(ultra-high pressure extraction), 아임계수 추출(subcritical water extraction), 고압용매 추출 (pressurized liquid extraction) 마이크로파 보조 추출(microwave-assisted extraction) 등의 기계적 추출방법을 단독으로 혹은 상기 용매 추출법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용매 추출법이나 기계적 추출법으로 저분자 물질을 제거한 후 얻어진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에 포함되어 있는 전분이나 단백질은 전분 가수분해효소(-amylase, glucoamylase 등)나 단백질 가수분해효소(proteases)를 처리함으로써 다당류 복합체의 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한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에 알카리 용액을 가하여 알카리 가용화 핑거루트 다당류를 제조하였다. 이 때 알카리 용액은 0.01~10.0N NaOH 농도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0N NaOH 농도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한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에 산 용액을 가하여 산 가용화 핑거루트 다당류를 제조하였다. 이 때 산 용액은 0.01~10.0N HCl 농도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0N HCl 농도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한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에 효소 용액을 가하여 효소 가용화 핑거루트 다당류를 제조하였다. 이 때 효소로는 셀룰라제(cellulase), 펙티나제(pectinases), 헤미셀룰라제(hemicellulases), 베타클루카나제(beta-glucanse) 등의 식물 세포벽 가수분해 효소(plant cell wall hydrolyzing enzymes)를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복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셀룰라제로서 셀루클라스트(Celluclast, Novo Nordisk, Denmark)를, 헤미셀룰라제로서 비스코자임(Viscozyme, Novo Nordisk, Denmark)을, 펙티나제로서 펙티넥스(Pectinex, Novo Nordisk, Denmark)를, 베타클루카나제로서 울트라플로(Ultraflo, Novo Nordisk, Denmark)를 사용하였다.
상기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를 증류수에 10%(w/v) 첨가한 후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에 대한 중량비로 상업용 가수분해 효소인 셀룰라제, 헤미셀룰라제, 펙티나제, 베타클루카나제를 1:0.01을 가한 후 효소의 반응조건에 따라 pH 4~6, 온도 40~60, 100 rpm에서 6시간 교반한다. 상기 시료를 100에서 10분간 가열하여 효소를 불활성화 한 다음 6,5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 하여 다당류가 함유된 상등액을 획득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한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를 압출성형(extrusion)하여 기계적 힘에 의하여 가용화 핑거루트 다당류를 제조할 수 있다. 압출성형은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를 L/D비(length:diameter ratio) 2040의 이축 압출성형기에 투입한 후 스크류 속도 150400rpm, 시료 투입속도 2060kg/hr, 수분함량 1540%의 조건에서 압출성형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알카리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 산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 효소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 및 압출성형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 제조방법은 다당류가 함유된 용액에 전분 가수분해효소를 가하여 전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전분 가수분해효소로는 -amylase, glucoamylas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단백질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단백질 가수분해효소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알카리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 산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 효소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 제조방법은 다당류를 분획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당류 분획은 투석(dialysis), 한외여과(ultrafiltration) 등의 분자량 분획 시스템을 이용하여 저분자량의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다당류가 정제될 수 있다. 투석, 한외여과 등에 있어 분자량 cut-off 기준이 500 내지 10,000,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5,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5,000인 멤브레인(membrane)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한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 알카리 가용성 다당류, 산가용성 다당류, 효소 가용성 다당류, 압출성형 가용성 다당류가 체중 및 체지방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켜 항비만 활성을 제공하는 것을 동물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한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 알카리 가용성 다당류, 산가용성 다당류, 효소 가용성 다당류, 압출성형 가용성 다당류가 공복 혈당과 공복 인슐린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켜 항당뇨 활성을 제공하는 것을 동물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핑거루트 다당류를 제공하며, 또한 이러한 다당류가 유효성분으로 포함된 기능성 식품 및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얻어진 핑거루트 다당류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에 따라 의약품 및 기능성 식품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의약품 및 기능성 식품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또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당류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단독으로 혹은 어떤 편리한 운반체, 부형제 등과 함께 혼합하여 투여될 수 있고, 그러한 투여 제형은 단회투여 또는 반복투여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기능성 식품은 고형 제제 또는 액상 제제일 수 있다. 고형 제제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좌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형 제제에는 부형제, 착향제, 결합제, 방부제, 붕해제, 활택제, 충진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액상 제제로는 물,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 같은 용액제, 현탁액제, 유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한 착색제, 착향제, 안정화제, 점성화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제는 본 발명의 다당류와 유당,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부형제를 단순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과립제는 본 발명의 다당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부형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결합제를 혼합한 후,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용매를 이용한 습식과립법 또는 압축력을 이용한 건식과립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정제는 상기 과립제를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활택제화 혼합한 후, 타정기를 이용하여 타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치료해야할 질환 및 개체의 상태에 따라 경구제, 직장투여제, 설하제 등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투여경로에 따라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비독성인,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운반체, 첨가제, 비히클(vehicle)을 포함하는 적당한 투여 유닛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당류는 매일 약 0.2 내지 약 200 mg/kg이 투여될 수 있으며, 약 2 내지 약 50 mg/kg의 1일 투여 용량이 바람직하고, 약 5 내지 약 30 mg/kg의 1일 투여 용량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연령, 성별, 체중 등), 치료하고 있는 상태의 심각성, 사용된 유효 성분, 식이 등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편리성을 위하여 1일 총 투여량이 나누어지고 하루 동안 여러 번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및 항당뇨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당류를 래트에 경구 투여하여 독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 경구 독성시험에 의한 50% 치사량(LD50)은 2,000 mg/kg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에 따른 다당류가 매우 안전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핑거루트 다당류는 체중 및 체지방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켜 항비만 효과를 제공하였으며, 공복 혈당과 공복 인슐린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켜 항당뇨 효과를 제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FPC)의 섭취에 따른 마우스 체중의 감소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FPC)의 섭취에 따른 마우스 부고환지방의 감소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FPC)의 섭취에 따른 마우스 공복 혈당의 감소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FPC)의 섭취에 따른 마우스 공복 인슐린 농도의 감소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하기 실시예 등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 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체적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의 모든 시험 결과에 있어, 활성 분석은 3회 이상 반복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통계분석은 Duncan test(SPSS 12.0)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p 값은 0.05, **p 값은 0.01 이하인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실시예 1>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의 제조
건조한 핑거루트 분말 100 g에 95% 에탄올 1,000 ml을 첨가하여 80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한 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얻었다. 이 침전물을 에탄올, 헥산 등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완전히 세척한 후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fingerroot polysaccharide complex; FPC) 83.4g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동물모델에서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의 항비만 효과
5주령의 수컷 C57BL/6J 마우스를 각각 5마리씩 대조군(HFD 단독 투여군)과 시험군(핑거루트 다당류 투여군)으로 임의 배치한 후, 1주일간 실험 동물실 환경에 적응시켰다. 본 발명에서는 고지방 식이(high fat diet; HFD) (Product # D12451, Research Diet Inc., New Brunswick, NJ, USA; 40% kcal from fat)를 사용하였으며, 실시예 1의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가 5중량%가 되도록 HFD 사료에 골고루 혼합하였다. 대조군과 시험군 모두 7주 동안 HFD를 급여시킨 후, 다음 8주 동안 대조군은 HFD 단독으로, 시험군은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 함유 HFD를 각각 급여하였다. 이 때, 대조군과 시험군 간 총 시료섭취 양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8주간의 시료 급여 후 체중을 측정한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를 급여한 시험군의 체중이 대조군에 비하여 16.1% (p<0.05) 감소하였다. 또한, 8주간의 시료 급여 후 12시간 절식시키고 나서 마우스를 희생하여 부고환 지방을 적출하여 무게를 특정한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를 급여한 시험군의 부고환 지방의 무게가 대조군에 비하여 29.4% (p<0.01)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가 체중 및 체지방 감소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 실험예 2> 동물모델에서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의 항당뇨 효과
상기 실험예 1의 8주간 시료를 급여한 후 12시간 절식시킨 마우스의 꼬리정맥으로부터 채혈된 혈청을 이용하여 공복 혈당 및 인슐린을 측정하였다. 공복혈당은 혈당측정기(Handok, Seoul, Kore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혈청 인슐린은 효소면역측정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 ELI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도 3과 4에서 보듯이 대조군(HFD)에 비해서 실시예 1의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를 섭취시킨 시험군의 공복 혈당과 공복 인슐린이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26.3%(p<0.05)와 33.9%(p<0.01)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가 항당뇨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 실시예 2> 알카리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의 분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 15g에 추출 용매로서 750 ml의 0.1 N NaOH를 가한 후 97에서 2시간 동안 2회 추출하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0.1 N NaOH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전분을 가수분해하기 위해 효소 최적 조건에서 -아밀라제(-amylase; Termamyl 120L, NOVO Nordisk A/S, Denmark)와 글루코아밀라제(glucoamylase; AMG 300L, NOVO Nordisk A/S, Denmark)를 처리한 후 중화하였다. 상기 여액에 4배 부피의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을 가하고 4에서 24시간 방치하여 다당류를 침전시킨 후 6,5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과 분리하였다. 분리된 침전물을 건조한 후 1% 용액이 되도록 증류수에 녹여 분자량(molecular weight) cut off(MWCO)가 1000인 막(membrane)을 이용하여 한외여과(thin channel ultrafiltration system, Amicon TCF-10; Amicon Co., U.S.A.)하였다. 한외 여과 후 분자량 1000이상의 용액을 모아 동결건조함으로써 알카리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alkali soluble fingerroot polysaccharides)를 얻었다. 이때 수율은 8.4%였다.
< 실험예 3> 동물모델에서 알카리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의 항비만 효과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알카리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의 항당뇨 효과를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시험군의 체중 및 부고환 지방의 무게가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17.8% (p<0.01) 및 14.9% (p<0.05)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알카리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가 체중 및 체지방 감소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 실험예 4> 동물모델에서 알카리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의 항당뇨 효과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알카리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의 항비만 효과를 상기 실험예 2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시험군의 공복 혈당과 공복 인슐린이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14.2% (p<0.05)와 18.4% (p<0.01)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알카리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가 항당뇨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 실시예 3-5> 추출조건별 알카리 가용화 핑거루트 다당류의 항비만 및 항당뇨 효과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0.05N, 1.0N, 5N의 NaOH 용액을 이용하여 알카리 가용화 핑거루트 다당류를 제조한 후 실험예 1 및 실험예 2의 방법으로 각각 체중 감소율 및 공복혈당 감소율을 측정 결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의적으로 항비만 및 항당뇨 효과를 나타내었다.
알카리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의 항비만 및 항당뇨 효과
실시예 NaOH 농도 수율(%) 체중
감소율(%)
공복혈당
감소율(%)
실시예 3 0.05N 6.4 14.6* 16.2*
실시예 4 1.0N 8.8 16.9** 20.2**
실시예 5 5.0N 9.1 17.8** 18.4*
< 실시예 6> 산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의 분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 15g에 추출 용매로서 750 ml의 0.1 N HCl을 가한 후 97에서 2시간 동안 2회 추출하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0.1 N HCl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전분을 가수분해하기 위해 효소 최적 조건에서 -아밀라제(-amylase; Termamyl 120L, NOVO Nordisk A/S, Denmark)와 글루코아밀라제(glucoamylase; AMG 300L, NOVO Nordisk A/S, Denmark)를 처리한 후 중화하였다. 상기 여액에 4배 부피의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을 가하고 4에서 24시간 방치하여 다당류를 침전시킨 후 6,5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과 분리하였다. 분리된 침전물을 건조한 후 1% 용액이 되도록 증류수에 녹여 분자량(molecular weight) cut off(MWCO)가 1000인 막(membrane)을 이용하여 한외여과(thin channel ultrafiltration system, Amicon TCF-10; Amicon Co., U.S.A.)하였다. 한외 여과 후 분자량 1000이상의 용액을 모아 동결건조함으로써 산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acid soluble fingerroot polysaccharides)를 얻었다. 이때 수율은 8.2%였다.
< 실험예 5> 동물모델에서 산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의 항비만 효과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된 산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의 항비만 효과를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시험군의 체중 및 부고환 지방의 무게가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10.6% (p<0.05) 및 22.7% (p<0.01)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산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가 체중 및 체지방 감소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 실험예 6> 동물모델에서 산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의 항당뇨 효과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된 산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의 항당뇨 효과를 상기 실험예 2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시험군의 공복 혈당과 공복 인슐린이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12.6% (p<0.05) 및 20.4% (p<0.01)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산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가 항당뇨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 실시예 7-9> 추출조건별 산 가용화 핑거루트 다당류의 항비만 항당뇨 효과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0.05N, 1.0N, 5N의 HCl 용액을 이용하여 산 가용화 핑거루트 다당류를 제조한 후 실험예 1 및 실험예 2의 방법으로 각각 체중 감소율 및 공복혈당 감소율을 측정 결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의적으로 항비만 및 항당뇨 효과를 나타내었다.
산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의 항비만 및 항당뇨 효과
실시예 HCl 농도 수율(%) 체중
감소율(%)
공복혈당
감소율(%)
실시예 7 0.05N 7.0 16.8* 20.8*
실시예 8 1.0N 8.6 19.2** 24.5**
실시예 9 5.0N 9.0 20.4** 18.0**
< 실시예 10-13> 효소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의 분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 15g에 150 ml의 증류수를 가한 후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에 대한 중량비로 상업용 가수분해 효소인 셀룰라제로서 셀루클라스트(Celluclast, Novo Nordisk, Denmark)를, 헤미셀룰라제로서 비스코자임(Viscozyme, Novo Nordisk, Denmark)을, 펙티나제로서 펙티넥스(Pectinex, Novo Nordisk, Denmark)를, 베타클루카나제로서 울트라플로(Ultraflo, Novo Nordisk, Denmark)를 1:0.01을 가한 후 효소의 반응조건에 따라 pH 4~6, 온도 40~60에서 6시간 교반한다. 상기 시료를 100에서 10분간 가열하여 효소를 불활성화 한 다음 6,500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다당류가 함유된 상등액을 획득한다. 상기에서 얻어진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전분을 가수분해하기 위해 효소 최적 조건에서 -아밀라제(-amylase; Termamyl 120L, NOVO Nordisk A/S, Denmark)와 글루코아밀라제(glucoamylase; AMG 300L, NOVO Nordisk A/S, Denmark)를 처리한 후 중화하였다. 상기 여액을 (molecular weight) cut off(MWCO)가 1000인 막(membrane)을 이용하여 한외여과(thin channel ultrafiltration system, Amicon TCF-10; Amicon Co., U.S.A.)하였다. 한외 여과 후 분자량 1000 이상의 용액을 모아 동결건조함으로써 효소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enzyme soluble fingerroot polysaccharides)를 얻었고 수율은 표 3에 나타내었다.
효소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의 제조
실시예 효소 수율(%)
실시예 10 Celluclast 4.6
실시예 11 Pectinex 6.8
실시예 12 Viscozyme 6.3
실시예 13 Ultraflo L 5.2
< 실험예 7-10> 동물모델에서 효소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의 항비만 효과
상기 실시예 10-13에서 제조된 효소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의 항비만 효과를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군의 체중 및 부고환 지방의 무게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효소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가 항비만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효소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의 항비만 효과
실험예 시료 체중
감소율(%)
부고환 지방 감소율(%)
실험예 7 실시예 10 13.8* 18.2**
실험예 8 실시예 11 12.1* 20.8*
실험예 9 실시예 12 17.0** 22.6**
실험예 10 실시예 13 16.3** 19.3*
< 실험예 11-14> 동물모델에서 효소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의 항당뇨 효과
상기 실시예 4-7의 효소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의 항당뇨 효과를 상기 실험예 2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군의 공복 혈당과 공복 인슐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효소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가 항당뇨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효소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의 항당뇨 효과
실험예 시료 공복 혈당
감소율(%)
공복 인슐린 감소율(%)
실험예 11 실시예 10 18.9** 24.3**
실험예 12 실시예 11 20.6** 26.7**
실험예 13 실시예 12 24.2** 30.5**
실험예 14 실시예 13 24.6** 23.6**
< 실시예 14> 압출성형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의 분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를 L/D비(length:diameter ratio) 20의 이축 압출반응기에 투입한 후 스크류 속도 250rpm, 시료투입속도 40kg/hr, 수분함량을 25%으로 유지하면서 압출 성형하였다. 상기 압출성형된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 50g을 증류수 1L에 넣고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6,500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 후 얻어진 상등액을 여과한 다음 4L의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을 첨가하고 4시간 동안 방치하여 침전물을 획득하였다. 상기 침전물을 이소프로판올과 아세톤(acetone)으로 세척한 후 상온에서 건조시켜 압출성형 가용화 핑거루트 다당류(extrusion soluble fingerroot polysaccharides)를 제조하였다(제조수율 13.6%).
< 실험예 15> 동물모델에서 압출성형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의 항비만 효과
상기 실시예 14에서 제조된 압출성형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의 항당뇨 효과를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시험군의 체중 및 부고환 지방의 무게가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18.4% (p<0.01) 및 20.8% (p<0.05)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압출성형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가 체중 및 체지방 감소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 실험예 16> 동물모델에서 압출성형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의 항당뇨 효과
상기 실시예 14에서 제조된 압출성형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의 항비만 효과를 상기 실험예 2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시험군의 공복 혈당과 공복 인슐린이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20.6% (p<0.01) 및 19.3% (p<0.05)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압출성형 가용성 핑거루트 다당류가 항당뇨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핑거루트 다당류는 우수한 항비만 및 항당뇨 효과가 있어, 항비만 및 항당뇨 식품 조성물또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 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Claims (10)

  1. (S1) 핑거루트(Fingerroot)의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S2) 상기 분말을 에탄올로 추출한 후에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얻어지는 침전물로부터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fingerroot polysaccharide complex)를 얻는 단계;
    (S3) 상기 핑거루트 다당류 복합체를 알카리 용액; 산 용액; 또는 셀룰라제, 펙티나제, 헤미셀룰라제, 베타글루카나제 또는 이의 복합물로 가용화하여 핑거루트 다당류가 함유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S4) 상기 핑거루트 다당류가 함유된 용액에 전분 가수분해효소를 가하여 전분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핑거루트 다당류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카리 용액은 0.01 내지 10N의 NaO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루트 다당류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 용액은 0.01 내지 10N의 HC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루트 다당류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의 가용화는 압출성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루트 다당류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저분자 성분을 투석 또는 한외여과에 의해 제거하는 단계(S5)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루트 다당류의 제조방법.
  8. 제1항, 제3항, 제4항, 제6항 또는 제7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핑거루트 다당류.
  9. 제8항의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및 항당뇨 약학 조성물.
  10. 제8항의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및 항당뇨 식품 조성물.
KR1020140056099A 2014-05-12 2014-05-12 핑거루트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및 항당뇨 조성물 KR102059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099A KR102059078B1 (ko) 2014-05-12 2014-05-12 핑거루트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및 항당뇨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099A KR102059078B1 (ko) 2014-05-12 2014-05-12 핑거루트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및 항당뇨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344A KR20150129344A (ko) 2015-11-20
KR102059078B1 true KR102059078B1 (ko) 2019-12-24

Family

ID=54844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6099A KR102059078B1 (ko) 2014-05-12 2014-05-12 핑거루트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및 항당뇨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0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3924A (ko) * 2016-09-27 2018-04-04 이상기 핑거루트 추출액을 이용한 국수제조방법
KR101915481B1 (ko) 2017-01-25 2018-11-08 (주)나눔랩 깐 핑거루트를 이용한 액상차 제조방법
KR102291514B1 (ko) * 2019-07-15 2021-08-18 김창제 애완동물용 다이어트 간식 및 그 제조방법
KR102271979B1 (ko) * 2019-11-04 2021-07-02 강원도 복령 고추장 및 그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 Vol. 13, pp. 994-1005 (2012.)
Obesity and Metabolism, Vol. 13, pp. 584-593 (20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344A (ko) 2015-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97396C (zh) 一种铁皮石斛多糖提取物、其药物组合物和其制备方法及其应用
CN101357952B (zh) 一种具有降血脂活性的贻贝多糖ma及其制备方法
KR102059078B1 (ko) 핑거루트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및 항당뇨 조성물
KR100970455B1 (ko) 초고압을 이용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145248B1 (ko) 신생혈관형성 억제용 한약 조성물
KR101493413B1 (ko) 진세노사이드 알지3 및 알에이치2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삼 또는 홍삼의 가공물을 함유하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0789362B1 (ko)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분리된 면역증강 다당류 및 그의제조방법
KR102219200B1 (ko) 자바강황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CN101444599B (zh) 玉米须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在制备治疗痛风药物中的应用
WO2017129049A1 (zh) 一种用于降低高血压的药物
KR101778227B1 (ko) 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206882B1 (ko) 고구마 줄기 또는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69046B1 (ko)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50115575A (ko) 삼채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및 항당뇨 조성물
KR20150115576A (ko) 삼채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및 항당뇨 조성물
KR20180086935A (ko) 노각나무 추출물 및 옻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5963330A (zh) 神秘果制剂及其应用
CN101366731B (zh) 蜂胶黄酮及其制备方法和在治疗糖尿病中的用途
CN101406479A (zh) 双瓜降糖组合物
CN101491518B (zh) 一种用于治疗肿瘤的组合物
JP7168196B2 (ja) 腸管バリア機能向上剤
JP7487337B2 (ja) コガネムシ幼虫またはその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排便機能改善用組成物
KR102093820B1 (ko) 페오닥틸럼 분획물을 대량 생산하는 방법
CN101108197A (zh) 来自旋复花的总多糖,及其调节或治疗糖尿病及并发症和免疫调节用途
KR102140702B1 (ko) 인삼박 유래 갈락토유로노글루코올리고당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