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929B1 - 원사의 연속공급이 가능한 환편기 - Google Patents
원사의 연속공급이 가능한 환편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58929B1 KR102058929B1 KR1020190105564A KR20190105564A KR102058929B1 KR 102058929 B1 KR102058929 B1 KR 102058929B1 KR 1020190105564 A KR1020190105564 A KR 1020190105564A KR 20190105564 A KR20190105564 A KR 20190105564A KR 102058929 B1 KR102058929 B1 KR 1020589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yarn
- failure
- supply unit
- roller
- knitting machi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04B35/14—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responsive to thread breakage
- D04B35/16—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responsive to thread breakage with detectors associated with a series of thread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사를 수작업으로 연결시켜줄 필요가 없으므로 환편기에 투입되는 인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편물의 형성 중 편직부의 구동을 중지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원사의 연속적인 공급을 통해 생산성 향상을 보장할 수 있는 환편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원사의 연속공급이 가능한 환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사의 공급 중단 없이 원사를 연속적으로 공급받아 편물을 편직할 수 있는 환편기에 관한 것이다.
편물기계라 함은 편침에 공급되는 원사를 편침에 의해 코를 만들고, 이 코를 가로ㆍ세로 방향으로 연철시켜 의도하는 바의 편포를 생산하는 섬유 기계의 일종이다.
이러한 편물기계는 경사를 세로방향으로 편성해 나가는 경편기 및 위사를 가로 방향으로 편성해 나가는 위편기로 대별된다.
이 중에서 환편기는 위편기의 범주에 속하며, 실린더 상에 편침이 원형으로 배열되어 환형의 편포를 연속적으로 생산하고, 이 환형의 편물은 통상 재단공정을 통해 의류로 완성된다.
이와 같은 환편기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 제2001-0081298호, 등록특허 제1074928호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환편기로 공급되는 원사는 실패에 감겨 환편기의 주변으로 배치되며 편직물이 제조됨에 따라 실패에서 점진적으로 소모된다. 종래에는 환편기에 원사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실패에서 원사가 완전히 소모되기 전 수작업으로 새로운 원사를 연결시켰으나 이는 생산성을 현저하게 떨어트리는 문제점으로 작용하였다.
만일, 소모되는 원사에 새로운 원사를 연결시켜주지 못하였을 경우 완성된 편물이 불규칙한 밀도를 가짐은 물론, 이에 따라 상품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새로운 원사를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환편기의 운전을 중지시켜야함은 물론 원사와 원사를 물리적으로 꼬와 연결하는 과정이 전부 수작업으로 진행되어야 했기 때문에 환편기의 운전 중지에 따른 생산 손해와 더불어 비효율적으로 투입되는 인력의 낭비가 불가피하였다.
또한, 환편기 주변으로 무수히 많은 실패가 위치하게 되는데, 원사의 소모량을 작업자가 직접 실시간으로 감시하기 위해 실패를 관리하는 상시근로자를 반드시 필요로 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원사를 수작업으로 연결시켜줄 필요가 없으므로 환편기에 투입되는 인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편물의 형성 중 편직부의 구동을 중지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원사의 연속적인 공급을 통해 생산성 향상을 보장할 수 있는 환편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1 원사를 공급하는 제1 원사공급부, 제2 원사를 공급하는 제2 원사공급부, 상기 제1 원사와 제2 원사를 공급받아 편물을 편직하는 편직부 및 상기 편직부로부터 편직된 편물이 권취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환편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원사공급부와 제2 원사공급부 각각은, 제1 원사와 제2 원사가 각각 감겨진 복수의 실패가 안착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에 안착된 제1 원사와 제2 원사의 중량을 측정하는 제1 로드셀;을 포함하며, 상기 권취부에는 편직된 편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제2 로드셀이 장착되며, 제1 로드셀과 제2 로드셀에 의해 측정된 각각의 중량을 비교해 원사의 손실률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원사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제2 원사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며 제2 원사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비틀려있는 제2 원사를 풀어주는 전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처리부는, 상기 제2 원사가 통과되는 삽입구와 배출구가 마련되며 격판에 의해 내부 공간이 복수 개의 챔버로 구획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복수 개의 챔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챔버에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며 챔버를 통과하는 제2 원사의 표면에 일정 주기로 접촉되는 롤러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챔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를 통과하는 제2 원사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는 진동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부재는, 회전축에서부터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며 끝단에는 제2 원사가 통과되는 통과홈이 절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 및 상기 통과홈을 통과하는 제2 원사의 표면을 쓸어내도록 상기 통과홈의 양측 벽면에 대칭 형성되는 브러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부재는 챔버를 통과하는 제2 원사의 상부와 하부에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 원사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제1 원사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며 하나의 실패에서 완전히 풀려진 제1 원사와 다른 하나의 실패에 감겨진 제1 원사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제1 원사가 실패에서 완전히 풀려나가는 것을 감지해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선감지센서; 풀려진 제1 원사와 감겨진 제1 원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설치되는 가압부재와 가압롤러; 상기 단선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가압롤러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및 상기 단선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가압롤러를 가압부재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며, 감지신호가 생성되면 실린더가 가압롤러를 가압부재 측으로 이동시켜 가압롤러와 가압부재 사이에 실패에서부터 소모되어 풀려나온 제1 원사와 다른 하나의 실패에 감겨 풀려나온 제1 원사를 개재시켜 서로를 밀착시킴과 동시에 회전모터가 구동되어 가압롤러를 제자리 회전시켜 실패에서부터 소모되어 풀려나온 제1 원사와 다른 하나의 실패에 감겨 풀려나온 제1 원사를 서로 꼬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사의 소모에 따른 원사간의 연결을 수작업으로 힐 필요가 없으므로 환편기에 투입되는 인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편물의 형성 중 편직부의 구동을 중지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원사의 연속적인 공급을 통해 생산성 향상을 보장할 수 있는 환편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의 평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1 원사공급부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전처리부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롤러부재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롤러부재의 일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연결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가압부재와 가압롤러의 배치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연결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올가미 형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통신부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의 평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1 원사공급부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전처리부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롤러부재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롤러부재의 일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연결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가압부재와 가압롤러의 배치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연결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올가미 형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통신부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의 평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제1 원사공급부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전처리부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롤러부재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롤러부재의 일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연결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가압부재와 가압롤러의 배치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연결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제1 원사(120)를 공급하는 제1 원사공급부(100), 제2 원사(220)를 공급하는 제2 원사공급부(200), 상기 제1 원사(120)와 제2 원사(220)를 공급받아 편물(N)을 편직하는 편직부(300) 및 상기 편직부(300)로부터 편직된 편물(N)이 권취되는 권취부(4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먼저, 편직부(300)는 제1 원사(120)와 제2 원사(220)를 공급받아 이들을 엮어 편물(N)을 편직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편직부(300)는, 원통형의 캠장치가 마련되고 복수의 니들이 상기 캠장치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니들을 상기 캠장치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재가 더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회전구동부재가 복수의 니들을 회전시키면 니들이 캠장치의 가이드 트랙에 의해 상, 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니들로 공급된 제1 원사(120)와 제2 원사(220)를 엮어 편물(N)을 편직하게 된다. 즉, 본원의 편직부(300)는 편물(N)을 형성하기 위한 공지된 환편기의 일반적인 구조를 따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권취부(400)는 편직부(300)의 하부에 배치되며 편직부(300)에 의해 편성된 편물(N)을 롤 형태로 감아 권취시킨다. 권취부(400)에는 이렇게 롤 형태로 감아 권취된 편물(N)의 중량을 측정하는 제2 로드셀(410)이 장착된다. 제2 로드셀(410)은 편물(N)의 손실률을 측정하기 위해 활용되며 이에 대한 작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원사공급부(100)와 제2 원사공급부(200)는 편직부(300) 주변으로 배치되어 편직부(300)의 니들을 향해 원사를 공급한다. 제1 원사공급부(100)와 제2 원사공급부(200)에 마련된 원사는 실패에 감겨있는 상태로 편직부(300)로 공급되며 제1 원사공급부(100)와 제2 원사공급부(200)에는 원사가 감긴 복수의 실패가 존재하게 된다.
먼저, 제1 원사공급부(100)는 복수 개가 편직부(300)의 상부에 형성된 원형트레이(130)를 따라 방사형태로 배열 구성되고 제2 원사공급부(200)는 복수 개가 편직부(300)를 중심에 두고 양측으로 대향 배치된다.
복수의 제1 원사공급부(100) 각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원사(120)가 감겨진 복수의 실패가 안착되는 캐리어(110) 및 상기 캐리어(110)에 안착된 제1 원사(120)의 중량을 측정하는 제1 로드셀(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캐리어(110)는 원형트레이(130) 상에 장착되며 복수의 실패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실패를 지지하는 캐리어(110)를 예시하며, 필요에 따라 더 많은 개수의 실패를 지지하도록 설계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형태를 한정하지 않는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로드셀은 캐리어(110)에 내장되거나, 필요에 따라 캐리어(110) 외부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제2 원사공급부(200)는 제1 원사공급부(100)와 마찬가지로 캐리어(210)와 제1 로드셀(미도시)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제1 원사공급부(100)의 개념과 동일하므로 도시 및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로드셀에 의해 측정된 실패의 중량은 제1 원사공급부(100)와 제2 원사공급부(200)에 남아있는 원사의 양을 객관적으로 알아보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거나 최종 편직된 편물(N)의 손실률을 알아보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로드셀과 제2 로드셀(410)에 의해 측정된 각각의 중량을 비교해 원사의 손실률을 측정할 수 있다.
제1 로드셀은 제1 원사공급부(100)와 제2 원사공급부(200)에 마련된 제1 원사(120) 및 제2 원사(220)의 총 종량을 측정하며 이때, 총 중량에서 실패 자체의 중량은 제외되도록 보정 세팅된다. 그리고, 제2 로드셀(410)은 권취부(400)에 권취된 편물(N)의 총 중량을 측정하게 되며 이렇게 측정된 각각의 총 중량 결과값을 비교하여 원사의 손실률을 계산할 수 있다.
제1 로드셀에 의해 측정된 총 중량이 10kg, 제2 로드셀(410)에 의해 측정된 총 중량이 9.5kg이라 가정할 때 편물(N)의 손실률은 5%로 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정된 손실률은 편직된 편물(N)의 품질이나 작업 공정의 오류를 판단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는 제1 로드셀과 제2 로드셀(410)에 의해 측정된 총 중량을 토대로 손실률을 계산할 수 있는 제어기와 제어기에 의해 연산된 결과값이 도시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수단이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더하여, 제1 로드셀에 의해 측정된 원사의 중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제1 원사(120)와 제2 원사(220)의 소모량을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새로운 원사를 연결시키거나 보충해주는 후속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
한편, 제2 원사(220)가 편직부(300) 측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제2 원사(220)에 비틀림 하중이 가해지면서 제2 원사(220)가 도 2의 아래에 확대 도시된 것처럼 뒤틀린 상태로 편직부(300)로 공급되는 우려가 발생될 수 있다.
제2 원사(220)가 뒤틀린 상태로 편직부(300)로 공급되면 편직된 편물(N) 상에 불규칙한 요철을 형성하거나 편물(N)의 겉 질감의 마감품질을 저하시키는 등 불량품 생산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는 편직부(300)로 공급되는 뒤틀린 원사를 원상태로 풀어줌으로써 양품의 편물(N)을 편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는 상기 제2 원사공급부(200)에서 공급되는 제2 원사(220)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며 제2 원사(220)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비틀려있는 제2 원사(220)를 풀어주는 전처리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전처리부(500)는 제2 원사(220)에 물리적인 접촉을 가해 뒤틀려진 제2 원사(220)를 풀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처리부(50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원사(220)가 통과되는 삽입구(511)와 배출구(512)가 마련되며 격판(513)에 의해 내부 공간이 복수 개의 챔버로 구획 형성되는 케이싱(510), 상기 복수 개의 챔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챔버에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며 챔버를 통과하는 제2 원사(220)의 표면에 일정 주기로 접촉되는 롤러부재(520) 및 상기 복수 개의 챔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를 통과하는 제2 원사(220)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는 진동롤러(5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2점쇄선은 챔버를 통과하는 제2 원사(22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이다.
케이싱(510)은 함체 형상으로 전면과 후면에 각각 삽입구(511)와 배출구(512)가 마련되고 내부 공간은 상기 격판(513)에 의해 제1 챔버(514), 제2 챔버(515) 및 제3 챔버(516)로 구획 구성된다.
제2 원사공급부(200)로부터 편직부(300)를 향해 공급되는 제2 원사(220)는 삽입구(511)를 통해 케이싱(510)의 챔버로 유입되고 챔버를 가로질러 배출구(512)를 통해 케이싱(5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제2 원사(220)가 챔버를 가로지르는 과정에서 롤러부재(520)와 진동롤러(530)에 의해 뒤틀림이 풀어지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롤러부재(520)는 제1 챔버(514)와 제3 챔버(516)에, 진동롤러(530)는 제2 챔버(515)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롤러부재(520)는 챔버를 통과하는 실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챔버(514)에 설치되는 롤러부재(520)의 경우 제1 챔버(514)를 통과하는 제2 원사(220)의 상부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제3 챔버(516)에 설치되는 롤러부재(520)의 경우 제3 챔버(516)를 통과하는 제2 원사(220)의 하부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롤러부재(520)의 회전 방향은 제2 원사(220)의 이동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5를 기준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되는 제2 원사(220)를 기준으로 제1 챔버(514)에 설치된 롤러부재(520)는 이에 반대되는 정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제3 챔버(516)에 설치된 롤러부재(520)는 역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비틀려진 제2 원사(220)를 보다 쉽게 풀어줄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일 수 있다.
롤러부재(5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521)에서부터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며 끝단에는 제2 원사(220)가 통과되는 통과홈(523)이 절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522) 및 상기 통과홈(523)을 통과하는 제2 원사(220)의 표면을 쓸어내도록 상기 통과홈(523)의 양측 벽면에 대칭 형성되는 브러쉬(524)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회전축(521)이 회전하면 이와 연동하여 블레이드(522)가 회전하게 되고 복수 개가 등각도로 배치된 블레이드(522)가 제2 원사(220)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접촉되면서 뒤틀린 제2 원사(220)를 풀어주게 된다.
회전축(521)의 회전방향을 따라 블레이드(522)의 끝단이 제2 원사(220)까지 회전이동되면 블레이드(522)의 통과홈(523)에 제2 원사(220)가 수용되면서 통과홈(523)의 양측 벽면에 형성된 브러쉬(524)가 회전축(521)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실부재를 쓸어넘기게 되면 비틀려진 제2 원사(220)가 원상태로 펴지게 되는 것이다.
진동롤러(530)는 제2 챔버(515)를 통과하는 제2 원사(220)에 접촉해 제2 원사(220)를 향해 미세진동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비틀려진 제2 원사(220)가 원상태로 풀어지도록 하는데 기여한다.
진동롤러(530)의 내부에는 미세진동 또는 초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공지의 진동자 또는 초음파 혼이 내장될 수 있다.
정리하면, 전처리부(500)를 끊임 없이 통과하는 제2 원사(220)에 롤러부재(520)와 진동롤러(530)가 작용하여 비틀려진 제2 원사(220)를 도 2의 상부에 확대도시된 것처럼 원상태로 펴주게 되는 것이다.
설명하지 않았지만, 각각의 격판(513)에는 실부재가 통과되는 안내홈(517)이 관통될 수 있다.
한편, 편직부(300)가 운전되는 동안 제1 원사(120)의 소모로 인해 특정 제1 원사공급부(100)에서의 제1 원사(120) 공급이 중단되면 편물(N)을 편직할 수 없기 때문에 종래에는 작업자가 제1 원사(120)의 공급이 중단되지 않도록 제1 원사공급부(100)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면서 제1 원사(120)가 완전히 소모될 때 쯤 새로운 실패의 제1 원사(120)와 연결시켜주는 과정이 필수적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는 제1 원사공급부(100)에 마련된 어느 하나의 실패에서 제1 원사(120)가 완전히 소모됨을 감지한 순간 소모되는 제1 원사(120)와 새로운 제1 원사(120')를 자동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갖춰 작업자가 원사와 원사를 직접 연결시키는 비효율적인 과정을 생략하는 구성을 갖추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원사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제1 원사(120)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며 하나의 실패에서 완전히 풀려진 제1 원사(120)와 다른 하나의 실패에 감겨진 제1 원사(120')를 연결시키는 연결부(60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갖춘다.
연결부(600)는 복수의 제1 원사공급부(100) 각각의 하부에 설치되며 일례로, 제1 원사(120)가 실패에서 완전히 풀려나가는 것을 감지해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선감지센서(610), 제1 원사(1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설치되는 가압부재(620)와 가압롤러(630), 상기 단선감지센서(610)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가압롤러(630)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640) 및 상기 단선감지센서(610)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가압롤러(630)를 가압부재(620)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실린더(65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단선감지센서(610)는 실패에서부터 풀려나온 제1 원사(120)의 단선 유무를 감지하기 위해 물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공지의 포토센서가 채용될 수 있다. 단선감지센서(610)는 제1 원사공급부(100)에서부터 편직부(300)를 향해 공급되는 제1 원사(120)가 캐리어(110)에 안착된 실패에서 완전히 소모되어 경로가 단선되는 순간 이를 감지해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캐리어(110)에는 제1 원사(120)가 감겨진 한 쌍의 실패가 개별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하나의 실패에서부터 제1 원사(120)가 풀려나와 편직부(300)로 공급되고 다른 하나의 실패에서 풀려나온 제1 원사(120')는 자중에 의해 하방을 향해 소정 길이 풀려진 상태가 된다.
이때, 가압부재(620)와 가압롤러(630)는 편직부(300)로 공급되는 제1 원사(120)와 소정 길이 풀려진 제1 원사(120')를 중심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롤러(630)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실린더(650)의 구동에 따라 가압부재(620) 측으로 이동되어 가압롤러(630)와 가압부재(620) 사이에 제1 원사(120)를 개재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회전모터(64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가압롤러(630)가 제자리 회전하게 되면 가압부재(620)와 가압롤러(630) 사이에 개재된 제1 원사(120')에 마찰력이 가해져 제1 원사(120,120')가 꼬여지게 된다.
한편, 가압부재(620)는 원통형 가압롤러(63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반원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연결부(600)의 작용을 설명하겠다.
제1 원사공급부(100)에 마련된 어느 하나의 실패에서 풀려나온 제1 원사(120)가 도 10a에 도시된 것처럼 실패에서 완전히 소모되는 순간 단선감지센서(610)가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도 10에 도시된 2점쇄선은 실패를 도시한 부분이다.
감지신호가 생성되는 순간 실린더(650)와 회전모터(640)가 구동되는데, 먼저 도 10b에 도시된 것처럼 실린더(650)가 가압롤러(630)를 가압부재(620) 측으로 이동시켜 가압롤러(630)와 가압부재(620) 사이에 실패에서부터 소모되어 풀려나온 제1 원사(120)와 다른 하나의 실패에 감겨 풀려나온 제1 원사(120')를 개재시켜 서로를 밀착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회전모터(640)가 구동되어 가압롤러(630)를 제자리 회전시키게 되면 도 10b에 확대 도시된 것처럼 실패에서부터 소모되어 풀려나온 제1 원사(120)와 다른 하나의 실패에 감겨 풀려나온 제1 원사(120')가 서로 꼬여 연결된다.
제1 원사(120)의 연결이 완료되면 가압롤러(630)가 제자리로 복귀된다. 이렇게 되면, 편직부(300)는 구동의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제1 원사(120)를 공급받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는 제1 원사(120)를 수작업으로 연결시켜줄 필요가 없으므로 환편기에 투입되는 인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편물(N)의 형성 중 편직부(300)의 구동을 중지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제1 원사(120)의 연속적인 공급을 통해 생산성 향상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600)는 상기 가압부재(620)와 가압롤러(630) 하부에 설치되며 꼬아진 제1 원사에 올가미 매듭(661)을 결속시키는 올가미 형성부(6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꼬아진 제1 원사(120'')가 가압부재(620)와 가압롤러(630) 하부로 배출되면 올가미 형성부(660)에 매듭져있던 올가미 매듭(661)이 꼬아진 제1 원사(120'')를 결속시키게 된다.
즉, 올가미 형성부(660)에는 공지의 올가미 매듭(661)이 구비되어 있으며, 감지신호가 생성되면 올가미 형성부(660)는 이를 근거로 동작해 올가미 매듭(661)을 당겨 꼬아진 제1 원사(120'')를 물리적으로 결속시키게 되는 원리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는 제1 로드셀 및 제2 로드셀(410)에서 측정된 중량을 휴대 단말기(M)를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M)와 통신하는 통신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700)는 제1 로드셀과 2 로드셀(410)에서 측정된 중량을 전달받아 이를 휴대 단말기(M)로 전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작업자는 휴대 단말기(M)로부터 제공되는 중량을 별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원사의 잔량을 확인하고 실패의 교체시기 및 편물의 완성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제1 원사공급부 200: 제2 원사공급부
300: 편직부 400: 권취부
500: 전처리부 600: 연결부
300: 편직부 400: 권취부
500: 전처리부 600: 연결부
Claims (5)
- 제1 원사를 공급하는 제1 원사공급부, 제2 원사를 공급하는 제2 원사공급부, 상기 제1 원사와 제2 원사를 공급받아 편물을 편직하는 편직부 및 상기 편직부로부터 편직된 편물이 권취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환편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원사공급부와 제2 원사공급부 각각은,
제1 원사와 제2 원사가 각각 감겨진 복수의 실패가 안착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에 안착된 제1 원사와 제2 원사의 중량을 측정하는 제1 로드셀;을 포함하며,
상기 권취부에는 편직된 편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제2 로드셀이 장착되며, 제1 로드셀과 제2 로드셀에 의해 측정된 각각의 중량을 비교해 원사의 손실률을 측정하고,
상기 제2 원사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제2 원사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며 제2 원사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비틀려있는 제2 원사를 풀어주는 전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처리부는,
상기 제2 원사가 통과되는 삽입구와 배출구가 마련되며 격판에 의해 내부 공간이 복수 개의 챔버로 구획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복수 개의 챔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챔버에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며 챔버를 통과하는 제2 원사의 표면에 일정 주기로 접촉되는 롤러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챔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를 통과하는 제2 원사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는 진동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부재는,
회전축에서부터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며 끝단에는 제2 원사가 통과되는 통과홈이 절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 및
상기 통과홈을 통과하는 제2 원사의 표면을 쓸어내도록 상기 통과홈의 양측 벽면에 대칭 형성되는 브러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부재는 챔버를 통과하는 제2 원사의 상부와 하부에 교호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원사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제1 원사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며 하나의 실패에서 완전히 풀려진 제1 원사와 다른 하나의 실패에 감겨진 제1 원사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제1 원사가 실패에서 완전히 풀려나가는 것을 감지해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선감지센서;
풀려진 제1 원사와 감겨진 제1 원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설치되는 가압부재와 가압롤러;
상기 단선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가압롤러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및
상기 단선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가압롤러를 가압부재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며,
감지신호가 생성되면 실린더가 가압롤러를 가압부재 측으로 이동시켜 가압롤러와 가압부재 사이에 실패에서부터 소모되어 풀려나온 제1 원사와 다른 하나의 실패에 감겨 풀려나온 제1 원사를 개재시켜 서로를 밀착시킴과 동시에 회전모터가 구동되어 가압롤러를 제자리 회전시켜 실패에서부터 소모되어 풀려나온 제1 원사와 다른 하나의 실패에 감겨 풀려나온 제1 원사를 서로 꼬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사의 연속공급이 가능한 환편기.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원사공급부는 복수 개가 편직부의 상부에 형성된 원형트레이를 따라 방사형태로 배열 구성되고 제2 원사공급부는 복수 개가 편직부를 중심에 두고 양측으로 대향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사의 연속공급이 가능한 환편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가압부재와 가압롤러 하부에 설치되며 꼬아진 제1 원사에 올가미 매듭으로 결속시키는 올가미 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사의 연속공급이 가능한 환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0101299 | 2019-08-19 | ||
KR1020190101299 | 2019-08-1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58929B1 true KR102058929B1 (ko) | 2020-02-11 |
Family
ID=69569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5564A KR102058929B1 (ko) | 2019-08-19 | 2019-08-28 | 원사의 연속공급이 가능한 환편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8929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951038A1 (en) * | 2020-08-05 | 2022-02-09 | Shima Seiki Mfg., Ltd. | Yarn management system |
KR102359627B1 (ko) * | 2020-09-02 | 2022-03-10 | 고원니트(주) | 첨가제 처리가 가능한 원사의 단선 감지장치 |
CN118127710A (zh) * | 2024-05-07 | 2024-06-04 | 泉州市美利精密机械有限公司 | 一种带有防护机构的双面大圆机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80014167A (ko) * | 1987-05-01 | 1988-12-23 | 엔도오 겐따로오 | 메리야스 환편기 |
JPH05132235A (ja) * | 1991-11-11 | 1993-05-28 | Tetra Fuaasuto:Kk | 原料消費量測定装置 |
KR20010050626A (ko) * | 1999-09-24 | 2001-06-15 | 다나까 에이오 | 환편기의 급사자동제어 및 편지밀도 자동조정장치 |
KR20010081298A (ko) | 2000-02-11 | 2001-08-29 | 성순길 | 환편기의 편성부 및 그 제조방법 |
KR20020023619A (ko) * | 2000-09-21 | 2002-03-29 | 김동윤 | 경편기용 경사의 자동송출장치 |
KR20020065911A (ko) * | 1999-12-24 | 2002-08-14 | 산토니 에스.피. 에이 | 방직기, 특히 원형 편직기에서 생산된 직물의 중량을조절하는 장치 및 방법 |
KR101074928B1 (ko) | 2011-08-12 | 2011-10-18 | 신광식 | 단파일 편성이 가능한 환편기의 캠 구조 |
KR101186073B1 (ko) * | 2012-01-18 | 2012-09-26 | 김성미 | 합연 장치를 갖는 환편기 |
KR101772994B1 (ko) * | 2016-11-07 | 2017-09-12 | 이상용 | 스판덱스를 포함하는 원단 제작 장치 |
KR101985165B1 (ko) * | 2018-12-25 | 2019-06-07 | 홍관기 | 유리섬유 권취장치 |
-
2019
- 2019-08-28 KR KR1020190105564A patent/KR10205892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80014167A (ko) * | 1987-05-01 | 1988-12-23 | 엔도오 겐따로오 | 메리야스 환편기 |
JPH05132235A (ja) * | 1991-11-11 | 1993-05-28 | Tetra Fuaasuto:Kk | 原料消費量測定装置 |
KR20010050626A (ko) * | 1999-09-24 | 2001-06-15 | 다나까 에이오 | 환편기의 급사자동제어 및 편지밀도 자동조정장치 |
KR20020065911A (ko) * | 1999-12-24 | 2002-08-14 | 산토니 에스.피. 에이 | 방직기, 특히 원형 편직기에서 생산된 직물의 중량을조절하는 장치 및 방법 |
KR20010081298A (ko) | 2000-02-11 | 2001-08-29 | 성순길 | 환편기의 편성부 및 그 제조방법 |
KR20020023619A (ko) * | 2000-09-21 | 2002-03-29 | 김동윤 | 경편기용 경사의 자동송출장치 |
KR101074928B1 (ko) | 2011-08-12 | 2011-10-18 | 신광식 | 단파일 편성이 가능한 환편기의 캠 구조 |
KR101186073B1 (ko) * | 2012-01-18 | 2012-09-26 | 김성미 | 합연 장치를 갖는 환편기 |
KR101772994B1 (ko) * | 2016-11-07 | 2017-09-12 | 이상용 | 스판덱스를 포함하는 원단 제작 장치 |
KR101985165B1 (ko) * | 2018-12-25 | 2019-06-07 | 홍관기 | 유리섬유 권취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951038A1 (en) * | 2020-08-05 | 2022-02-09 | Shima Seiki Mfg., Ltd. | Yarn management system |
CN114057031A (zh) * | 2020-08-05 | 2022-02-18 |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 纱线管理系统 |
KR102359627B1 (ko) * | 2020-09-02 | 2022-03-10 | 고원니트(주) | 첨가제 처리가 가능한 원사의 단선 감지장치 |
CN118127710A (zh) * | 2024-05-07 | 2024-06-04 | 泉州市美利精密机械有限公司 | 一种带有防护机构的双面大圆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58929B1 (ko) | 원사의 연속공급이 가능한 환편기 | |
CN100445455C (zh) | 在双锁式针迹缝纫机上监控底线的装置 | |
JP5578304B2 (ja) |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における繊維束のテンション管理システム及び繊維束のテンション管理方法 | |
CN103403245B (zh) | 洗衣机和洗衣机的控制方法 | |
CN102305764B (zh) | 一种用于纱线摩擦起毛起球的装置与方法 | |
CN103569789B (zh) | 纱线卷绕机 | |
CN204778026U (zh) | 一种络丝机 | |
CN102421687A (zh) | 纱线卷取装置及用于卷装的旋转不良检测的警报阈值决定方法 | |
CN104894707B (zh) | 用于操作自由端转杯纺纱机的方法和装置 | |
CN104828645B (zh) | 纱线超喂张力控制装置及其测试方法、及张力控制系统 | |
CN107815761A (zh) | 用于加工连续条状纺织材料的机器的测量系统 | |
JPH06102855B2 (ja) | オープンエンド精紡機 | |
TWI498465B (zh) | 在針織服或襪類用圓針織機上於生產中調節針織品尺寸的方法 | |
CN110177666A (zh) | 用于检查预切割装置的正确操作的方法和复卷机 | |
ITBS990120A1 (it) | Dispositivo e procedimento di controllo del peso del tessuto prodottoda una macchina tessile, in particolare da una macchina tessile circol | |
US6543093B2 (en) | Apparatus for detecting displacements and/or presence of sliver in a fiber processing machine | |
JPH0229770B2 (ko) | ||
CN201826062U (zh) | 皮辊表面效果监测装置 | |
KR101489355B1 (ko) | 모터 코일 와인딩기의 코일 정렬 공급장치 | |
US7690181B2 (en) | Method for operating a textile machine producing cross-wound bobbins | |
JP6761731B2 (ja) | バランス修正方法及び回転部材 | |
CN201326073Y (zh) | 经编机 | |
KR102046593B1 (ko) | 방직기 | |
CN213835789U (zh) | 一种纬编面料的断纱检测报警自停装置 | |
US7721519B2 (en) |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fancy yar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