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593B1 - 방직기 - Google Patents

방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593B1
KR102046593B1 KR1020170147135A KR20170147135A KR102046593B1 KR 102046593 B1 KR102046593 B1 KR 102046593B1 KR 1020170147135 A KR1020170147135 A KR 1020170147135A KR 20170147135 A KR20170147135 A KR 20170147135A KR 102046593 B1 KR102046593 B1 KR 102046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weight
unit
weaving
dis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2199A (ko
Inventor
홍종표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더블유아이
홍종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더블유아이, 홍종표 filed Critical (주)에이치더블유아이
Priority to KR1020170147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593B1/ko
Publication of KR20190052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2700/00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looms; Weavening combined with other operations; Shuttles
    • D03J2700/06Auxiliary devices for inspecting, counting or meas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직기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실을 복수로 그룹핑 하여 실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공급부의 실이 투입되어 제직물을 형성하는 제직부와, 공급부와 제직부 사이에 위치하여 실의 하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에서 실에 걸려 유지되는 감지웨이트와, 감지웨이트의 낙하를 감지하여 실의 단선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감지부가 감지웨이트의 낙하를 감지하면 제직부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제어부를 가진다. 여기서, 감지웨이트는 와이어 소재를 역 U자 형태로 가공하여 제작되며 감지부는 대기상태와 감지웨이트의 낙하에 의해 일측이 회동한 감지상태를 회동하는 감지회동부재와 감지회동부재의 회동될 때 높이를 측정하는 근접센서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복수의 실 모두에 단선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를 설치할 필요 없이, 간단한 구조로 실의 단선 유무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직기{WEAVING MACHINE}
본 발명은 방직기에 관한 것이다.
실을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경우 제조 중간에 실의 공급이 중단되거나 실이 끊어지면 제품의 불량이 발생되고, 사전에 이를 파악하지 못하면 기계가 중단되는 시간동안 지속적인 불량이 발생되어 많은 양의 불량직물을 폐기 해야 한다.
이러한 실의 단선을 감지하기 위해 레이저나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단선을 감지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지만, 그 구조가 복잡하고 실이 다수 개 공급되는 경우 각각의 실에 감지장치를 설치해야 하므로 과도한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장치를 통해 실의 단선을 판별할 수 있는 방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방직기에 있어서, 복수의 보빈을 그룹핑하여 복수의 실을 공급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로부터 복수의 실이 투입되는 제직부와, 상기 공급부와 상기 제직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의 실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실에 각각 걸려 유지되는 감지웨이트와, 상기 감지웨이트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의 단선에 의해 상기 감지웨이트가 낙하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웨이트의 낙하를 상기 감지부가 감지했을 때 상기 제직부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직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웨이트는 상기 실이 걸리는 곡선부와 상기 곡선부 양단의 적어도 한 부분으로 부터 연장되는 직선부를 가지며, 와이어 소재를 역 U자 형태로 가공하여 제작되는 것이 좁은 공간에 다수 개의 감지웨이트를 설치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직선부와 접촉되고, 상기 감지웨이트의 낙하거리를 제한하는 감지웨이트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정확한 단선의 유무판단과 감지웨이트를 쉽게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대기상태와 상기 감지웨이트의 낙하에 의해 일측이 회동한 감지상태 간을 회동가능한 감지회동부재와, 상기 감지회동부재가 상기 감지상태 일 때의 근접도를 측정하는 근접센서를 가지게 하여 간단한 형태로 정확하게 단선을 감지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그룹핑된 보빈으로부터 제공되는 실그룹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로 마련되며, 상기 감지부와 연동되어 상기 감지웨이트가 낙하하였을 때 낙하 된 상기 감지웨이트에 해당하는 실그룹을 표시하는 단선알림장치를 통해 적은 수의 감지부로 많은 실의 단선을 감지할 수 있으며, 실이 단선되었을 때 단선된 실을 포함하는 실그룹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직기는 간단한 장치를 통해 실의 단선을 판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직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직선부를 갖는 감지웨이트 및 정렬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직기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감지회동부수평유지부를 갖는 감지웨이트와 이에 따른 감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직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직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직선부를 갖는 감지웨이트 및 정렬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직기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감지회동부수평유지부를 갖는 감지웨이트와 이에 따른 감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직기는 복수의 보빈을 그룹핑하여 복수의 실(10)을 공급되는 공급부와, 공급부로부터 복수의 실(10)이 투입되는 제직부와, 공급부와 제직부 사이에 위치하여 복수의 실(10)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210)와, 지지부재(210)들 사이에서 복수의 실(10)에 각각 걸려 유지되는 감지웨이트(100)와, 감지웨이트(100)의 하부에 마련되어 복수의 실(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10)의 단선에 의해 감지웨이트(100)가 낙하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300)와, 감지웨이트(100)의 낙하를 감지부(300)가 감지했을 때 제직부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제어부를 가진다.
대부분의 방직기는 복수의 보빈이 다양한 형태로 정렬되어 있는 실(10) 공급부로부터 실(10)이 인출되어 직물을 생성하는 제직부로 이동된다. 이때, 공급되는 실(10)은 정렬판(500)의 정렬구를 관통한 후 이송롤러(400) 등에 의해 적절한 간격과 높이가 조절되어 생산성 및 관리의 효율을 높이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직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방직기에서 사용되고 있던 정렬판(500)을 이송롤러(40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시켜 단선감지와 관련된 구성을 위한 최적의 공간을 확보하였다.
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실(10)들은 복수의 보빈을 지지하고 있는 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그룹핑되어 관리 및 공급 되는게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3개의 실(10)그룹을 도시화 하였으며 각 실(10)그룹은 복수개의 실(10)로 이루어져 있다.
제직부는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실(10)들로 제직물을 만든다.
지지부재(210)는 공급부와 제직부 사이에 형성된 정렬판(500)과 이송롤러(400) 사이에 위치한다. 지지부재(210)는 한 쌍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정렬판(500)과 이송롤러(400) 사이를 지나는 복수의 실(10)들의 하부를 지지한다. 지지부재(210)들의 높이는 정렬판(500)과 이송롤러(400)의 높이보다 소정 간격 높게 설치되어 지지부재(210)에 의해 지지되는 실(10)들은 팽팽한 상태로 지지된다.
이러한 지지부재(210)는 실(10)과의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해 접촉면이 최소가 되는 원통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1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롤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재(210)들의 사이 공간에는 지지부재(210)에 걸쳐진 실(10)들에 각각 걸려 유지되는 감지웨이트(100)가 설치된다.
감지웨이트(100)는 적어도 실(10)과의 접촉부위에 볼록한 형상을 가져 실(10)과의 접촉저항이 최소가 되고, 실(10)이 수용되는 여유영역을 가지는 곡선부(110)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역 U자의 형태를 가진다. 또한, 감지웨이트(100)의 폭은 가능한 작게 형성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소한 공간에도 다수의 감지웨이트(100)가 서로 소정각도 틀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감지웨이트(100)의 폭과 역 U자의 형상으로 인해 각각의 감지웨이트(100)가 걸리는 실(10)들은 좁은 공간에도 서로 촘촘하게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 및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감지웨이트(100)는 다양한 재질들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철사 등의 와이어 소재를 역 U자 형으로 구부려 만드는 것이 제작과 비용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감지웨이트(100)의 하부에는 감지웨이트(100)들이 걸려있는 복수의 실(1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10)의 단선 또는 공급중단에 의해 감지웨이트(100)가 낙하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300)가 설치된다.
감지웨이트(100)는 지지부재(210)에 의해 팽팽한 상태로 이동되는 실(10)에 지지되어 있다. 이때, 감지웨이트(100)의 무게에 의해 실(10)은 일정량 처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 처짐은 감지웨이트(100)의 무게에 비례하게 된다. 이러한 처짐으로 인해 실(10)은 일정 장력을 가진 채 감지웨이트(100)를 지지한다. 실(10)의 단선이나 공급중단에 의해 감지웨이트(100)는 중력에 의한 자유낙하를 하게 된다. 감지웨이트(100)의 낙하는 곧 실(10)의 단선 및 공급중단을 의미한다.
감지부(300)는 이렇게 감지웨이트(100)가 낙하하는 것을 감지하여 실(10)의 단선이나 공급중단을 판단하게 되는데, 감지부(300)는 감지웨이트(100)라는 특정 중량이나 형태를 가진 물체의 낙하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 중 선택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감지부(300)는 실(10)이 공급부로부터 제직부로 이송되며 제직물을 지속 생산하며 감지웨이트(100)가 실(10)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인 대기상태와 감지웨이트(100)의 낙하에 의해 일 측이 회동한 감지상태 간을 회동 가능한 감지회동부재(310)와, 감지회동부재(310)가 감지상태 일 때의 높이를 측정하는 감지장치를 가진다.
감지회동부재(310)는 지지부재(210)와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실(10)이 그룹핑되어 공급되는 경우는 한 그룹의 배치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이 감지웨이트(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판형의 부재로 만들어진다. 감지회동부재(310)의 양단의 중심에는 돌출되며 길이방향으로 관통구를 가지는 회동지지부재(313)를 가지며 회동지지부재(313)들의 관통구에는 원형바아 형상의 회동축부재(311)가 삽입된다.
따라서, 감지회동부재(310)는 회동축부재(311)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며, 회동축부재(311)를 기준으로 일 측의 판면은 낙하하는 감지웨이트(100)와 만나는 낙하접촉부가 되고, 타 측은 감지장치(320)와 만나는 감지전달부가 된다. 즉, 감지웨이트(100)가 낙하하면 낙하접촉부는 감지웨이트(100)의 충격 또는 무게에 의해 하향 회동하고, 감지전달부는 회동축부재(311)로 인해 상향 회동되며 감지장치(320)에 근접하게 된다.
감지장치(320)는 감지회동부재(310)의 감지전달부가 상향 회동되었을 때 감지전달부의 근접을 확인하는 근접센서(322)와, 감지전달부의 상향높이를 제한하는 높이제한돌기(321)를 가진다.
근접센서(322)는 감지전달부의 측면을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보다 감지의 정확도가 높아지고, 또한, 낮은 감도의 감지장치(320)를 이용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높이제한돌기(321)는 감지장치(320)에서 감지전달부의 상면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높이제한돌기(321)는 감지전달부가 상향 회동하였을 때 회동높이를 제한하여 감지전달부의 측면이 근접센서(322)에 센싱 영역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해주며, 단선의 감지를 확인한 후 감지회동부재(310)를 다시 원위치 시키기 위한 동선을 줄여준다.
보다 안정적이고 정확한 감지능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감지전달부의 측방 하면에서 하향 돌출하여 바닥에 접촉 지지되는 바닥지지부재(312)를 가질 수 있다.
감지회동부재(310)는 바닥지지부재(312)의 자중으로 인해 감지전달부 측이 하향 회동된 상태이고, 낙하접촉부는 상향 회동된 상태로 대기상태가 형성된다. 이렇게 일 측이 지면에 고정된 것으로 인해 감지부(300)는 제직부의 생산에 의한 진동이나 외부의 진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된 대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바닥지지부재(312)가 감지전달부의 외측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으로 인해 바닥지지부재(312)의 측면 또한 근접센서(322)의 센싱 영역에 위치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단선의 확인을 보장 해 준다.
본 발명에 따른 방직기는 감지부(300)가 감지웨이트(100)의 낙하를 감지했을 때 제직부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제어부를 가진다. 제어부는 근접센서(322)가 감지회동부재(310)의 감지전달부의 근접을 확인하면 제직부의 작동을 중단시킨다.
감지웨이트(100)가 낙하하면 제직부의 작동이 중단되는데, 이때, 단선된 실(10)에 해당하는 실(10)그룹을 확인할 수 있다면 빠르게 실(10)을 재공급하여 제직부를 재가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선된 실(10)에 해당하는 실(10)그룹을 용이하게 확인 하기위하여, 감지부(300)는 그룹핑 된 보빈으로부터 제공되는 실(10)그룹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로 마련되며, 감지부(300)와 연동되어 감지웨이트(100)가 낙하 하였을 때 낙하 된 감지웨이트(100)에 해당하는 실(10)그룹을 표시하는 단선알림장치(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선알림장치(330)는 근접센서(322)와 연동되며 특정 실(10)그룹에 대응하는 램프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방직기의 운영자는 램프의 점등 유무로 실(10)의 단선 또는 공급중단의 여부를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램프의 색깔 또는 위치를 통해 어떤 실(10)그룹에 해당하는 실(10)이 단선되었는지를 파악하여 해당 실(10)그룹에 실(10)을 공급하는 보빈 또는 그 보빈의 구조물로 이동하여 실(10)을 재공급하게 된다.
즉,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실(10)그룹에 해당하는 숫자만큼만 감지부(300)와 단선알림장치(330)를 설치하여 다수 개의 실(10)의 단선유무를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실(10)의 공급을 보다 원활하게 하고, 감지웨이트(100)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감지웨이트(100)는 실(10)이 걸리는 곡선부(110)의 양단의 적어도 한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직선부(120)를 가지게 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직선부(120)는 감지웨이트(100)의 역 U자형의 곡선부(110)의 양 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직선부(120)는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양단에서 모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보다 안정적인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양단에서 모두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선부(120)는 자체의 하중으로 인해 감지웨이트(100)가 정해진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직선부(120)와 접촉되어 감지웨이트(100)의 안정적인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 또는 정렬하는 부재들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직선부(120)의 내측에 접촉되고, 감지웨이트(100)의 낙하거리를 제한하는 감지웨이트지지부재(220)를 가질 경우, 감지웨이트지지부재(220)는 실(10)의 진행방향의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며 감지웨이트(100)가 낙하 하였을 때 곡선부(110)의 내측 수용공간에 걸릴 수 있는, 적어도 곡선부(110)의 내측둘레에 대응하는 접촉면을 가지는 봉형상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감지웨이트지지부재(220)는 감지웨이트(100)가 낙하하였을 때 직선부(120)의 말단이 낙하접촉부를 타격할 수 있는 낙하거리를 고려하여 곡선부(11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감지웨이트지지부재(220)로 인해 감지웨이트(100)가 낙하 후 바닥에 떨어져 오염 또는 분실이 방지되며, 다시 감지웨이트(100)를 파지하여 설치하는 과정이 간편해지며, 감지부(300)가 작동불능이 되어도 감지웨이트(100)에 감지웨이트(100)가 걸려있는걸 확인하는 것으로 단선의 유무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감지웨이트지지부재(220)의 무게를 측정하거나 감지웨이트지지부재(220)에 감지웨이트(100)가 접촉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장치를 추가로 설치하여 실(10)의 단선유무를 확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10)이 이동하며 마찰저항을 발생시켜도 감지웨이트(100)가 항상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게 하기 위해 직선부(120)에 접촉되어 감지웨이트(100)를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측정렬부재(240)와 외측정렬부재(250)를 가질 수 있다.
내측정렬부재(240)는 직선부(120)를 양단에 가진 감지웨이트(100)의 경우, 직선부(120)의 내측에 접촉 또는 미세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내측정렬부재(230)로 인해 실(10)의 이동에 따라 곡선부(110)에 발생되는 마찰저항으로 인해 감지웨이트(100)가 기울어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러한 감지웨이트(100)의 기울어짐이 심한 경우에는 감지웨이트(100)가 낙하할 때 낙하접촉부를 벗어날 수 있다.
외측정렬부재(240)는 직선부(120)의 외측에 배치되어 직선부(120)에 접촉 또는 미세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고정된다. 외측정렬부재(240)는 형성된 직선부(120)의 갯수에 대응하여 형성되거나 하나만 형성될 수 있으며, 감지웨이트(100)의 좌우 측면에 모두 설치되거나 한쪽만 설치될 수 있다. 외측정렬부재(240) 또한 감지웨이트(100)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감지웨이트(100)의 직선부(120)는 감지웨이트(100)의 무게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감지회동부재(310)의 회동속도 및 회동반응을 보다 정확하게 하는 웨이트(130)를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웨이트(130)는 직선부(120)의 말단에 형성되어 감지웨이트(100)의 무게를 증가시킨다.
또한, 감지웨이트(100)는 감지회동부재(310)의 하부를 지지하여 감지회동부재(310)가 수평이 되도록 지지하는 감지회동부수평유지부(140)를 가질 수 있다. 감지회동부수평유지부(140)는 감지회동부재(310)의 하부까지 연장된 직선부(120)의 말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감지회동부재(310)의 하부를 지지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감지회동부재(310)는 바닥지지부재(312)(210)가 없어도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10)의 공급높이가 높아 감지웨이트(100)의 자유낙하거리가 높게 형성되는 타입의 방직기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감지회동부수평유지부(140)가 형성된 감지웨이트(100)를 사용할 경우 감지회동부재(310)의 회동지지부재(313)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으로 감지회동부재(310)의 회동을 보다 원활히 하여 감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감지회동부수평유지부(140)가 감지회동부재(310)의 낙하접촉부의 하단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회동지지부재(313)를 낙하접촉부가 넓게 형성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시켜 낙하접촉부의 무게가 감지전달부의 무게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감지웨이트(100)가 낙하하면 낙하접촉부의 무게로 인해 감지회동부재(310)가 회동을 시작하게 되고 낙하하는 감지웨이트(100)의 타격에 의해 더욱 빠르고 확실하게 회동된다.
이러한 감지회동부수평유지부(140) 또는 웨이트(130)를 가지게 하는 것으로, 곡선부(110)의 두께를 더욱 얇게 하여 좁은 간격에 더욱 많은 실(10)과 감지웨이트(100)를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방직기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실(10)을 복수로 그룹핑하여 실(10)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공급부의 실(10)이 투입되어 제직물을 형성하는 제직부와, 공급부와 제직부 사이에 위치하여 실(1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210)와, 지지부재(210) 사이에서 실(10)에 걸려 유지되는 감지웨이트(100)와, 감지웨이트(100)의 낙하를 감지하여 실(10)의 단선을 감지하는 감지부(300)와, 감지부(300)가 감지웨이트(100)의 낙하를 감지하면 제직부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제어부를 가진다. 여기서, 감지웨이트(100)는 와이어 소재를 역 U자 형태로 가공하여 제작되며 감지부(300)는 대기상태와 감지웨이트(100)의 낙하에 의해 일측이 회동한 감지상태를 회동하는 감지회동부재(310)와 감지회동부재(310)의 회동될 때 높이를 측정하는 근접센서(322)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복수의 실(10) 모두에 단선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를 설치할 필요 없이, 간단한 구조로 실(10)의 단선유무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10 실 100 감지웨이트
110 곡선부 120 직선부
130 웨이트 140 감지회동부수평유지부
210 지지부재 220 감지웨이트지지부재
230 내측정렬부재 240 외측정렬부재
300 감지부 310 감지회동부재
311 회동축부재 312 바닥지지부재
313 회동지지부재 320 감지장치
321 높이제한돌기 322 근접센서
330 단선알림장치 400 이송롤러
500 정렬판 510 정렬구

Claims (5)

  1. 방직기에 있어서,
    복수의 보빈을 그룹핑하여 복수의 실을 공급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로부터 복수의 실이 투입되는 제직부와,
    상기 공급부와 상기 제직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의 실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실에 각각 걸려 유지되는 감지웨이트와,
    상기 감지웨이트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의 단선에 의해 상기 감지웨이트가 낙하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웨이트의 낙하를 상기 감지부가 감지했을 때 상기 제직부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대기상태와 상기 감지웨이트의 낙하에 의해 일측이 회동한 감지상태 간을 회동 가능한 감지회동부재와, 상기 감지회동부재가 상기 감지상태일 때의 근접도을 측정하는 근접센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웨이트는 상기 실이 걸리는 곡선부와 상기 곡선부 양단의 적어도 한 부분으로 부터 연장되는 직선부를 가지며, 와이어 소재를 역 U자 형태로 가공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직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와 접촉되고, 상기 감지웨이트의 낙하거리를 제한하는 감지웨이트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직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그룹핑된 보빈으로부터 제공되는 실그룹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로 마련되며,
    상기 감지부와 연동되어 상기 감지웨이트가 낙하하였을 때 낙하 된 상기 감지웨이트에 해당하는 실그룹을 표시하는 단선알림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직기.
KR1020170147135A 2017-11-07 2017-11-07 방직기 KR102046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135A KR102046593B1 (ko) 2017-11-07 2017-11-07 방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135A KR102046593B1 (ko) 2017-11-07 2017-11-07 방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199A KR20190052199A (ko) 2019-05-16
KR102046593B1 true KR102046593B1 (ko) 2019-11-22

Family

ID=66672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135A KR102046593B1 (ko) 2017-11-07 2017-11-07 방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5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444B1 (ko) 2020-11-15 2021-03-26 (주)인암 히팅용융과 원심토출력을 이용한 자동 방직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0496A (ja) * 2009-02-04 2010-08-19 Toyota Industries Corp 三次元繊維組織の厚さ方向糸挿入装置における糸切れ検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947A (ja) * 1992-07-07 1994-02-01 Tsudakoma Corp 二股式ドロッパーピ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0496A (ja) * 2009-02-04 2010-08-19 Toyota Industries Corp 三次元繊維組織の厚さ方向糸挿入装置における糸切れ検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444B1 (ko) 2020-11-15 2021-03-26 (주)인암 히팅용융과 원심토출력을 이용한 자동 방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199A (ko)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5219B2 (en) Compact device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hread to a processing machine
JP7465743B2 (ja) パッケージ交換システム
KR102046593B1 (ko) 방직기
KR101655421B1 (ko) 위사공급장치
US3818236A (en) Apparatus for detecting broken threads or other disturbances in a fibre web
KR102058929B1 (ko) 원사의 연속공급이 가능한 환편기
CN101506421A (zh) 带有新的纱线传感器的纱线输送装置
US3800162A (en) Filament tension detector
KR101569096B1 (ko) 직물제직장치용 경사 및 위사 오류감지장치
TWI498465B (zh) 在針織服或襪類用圓針織機上於生產中調節針織品尺寸的方法
US20220220643A1 (en) An arrangement of a weaving machine and a yarn storage device with an associated yarn-tensioning device
US11401635B2 (en) Device and a method for sensing breakage or end of warp yarn for a fabric weaving loom
US2572837A (en) Monitor for filamentary material
KR20190000304U (ko) 편직기의 원사 텐션공급장치
JP5363096B2 (ja) 柄経糸用部分整経機の回転式クリールおよび柄経糸用部分整経機
US5005503A (en) Broken yarn detector for multiple yarn manipulating machines
KR101330527B1 (ko) 산업용 벨벳 권취 검사기
JPS6127505B2 (ko)
EP3527702A1 (en) A device for contactless measurement of the parameters of a linear textile formation,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evice and a textile machine
EP0933457B1 (en) Device for feeding an elastically extendable yarn to hosiery knitting machines
KR102120630B1 (ko) 직기용 원사 단선 검출장치
KR200206305Y1 (ko) 공급원사 이상 검출장치가 부설된 편직기
KR102555593B1 (ko) 크릴 그룹제어 시스템
KR101569104B1 (ko) 직물제직장치용 경사 및 위사 오류감지장치
KR20200064710A (ko) 환봉 절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