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6073B1 - 합연 장치를 갖는 환편기 - Google Patents

합연 장치를 갖는 환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6073B1
KR101186073B1 KR1020120005501A KR20120005501A KR101186073B1 KR 101186073 B1 KR101186073 B1 KR 101186073B1 KR 1020120005501 A KR1020120005501 A KR 1020120005501A KR 20120005501 A KR20120005501 A KR 20120005501A KR 101186073 B1 KR101186073 B1 KR 101186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machine
circular knitting
yarn
rotating plate
coalesc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미
김병균
한동수
Original Assignee
김성미
경기북부환편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미, 경기북부환편협동조합 filed Critical 김성미
Priority to KR1020120005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22Devices for preparatory treatment of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8Thread guide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Thread-chang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04B35/14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responsive to thread breakage
    • D04B35/16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responsive to thread breakage with detectors associated with a series of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연 원사를 공급하는 합연 장치(1200)와, 상기 합연 장치(1200)로부터 원사가 전달되어 편직물이 형성되는 환편기 본체(1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연 장치를 갖는 환편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합연 장치를 환편기에 직접 연결하여 합연 원사를 환편기에 직접 공급할 수 있어, 별도의 합연 장치를 위한 장소 및 합연 과정이 생략되어 생산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Description

합연 장치를 갖는 환편기{CIRCULAR KNITTING MACHINE HAVING DOUBLING AND TWISTING DEVICE}
본 발명은 합연 장치를 갖는 환편기에 관한 것이다.
환편기라 함은 편침이 실을 환형의 층으로 조직화시켜 위편의 형태로 편직물을 제조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합연 장치는 복수개의 원사를 꼬는 장치를 말하며, 서로 물성이 다른 원사를 합연시켜 고기능의 제직용 위사, 경사 또는 재봉사 등의 실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이다.
종래에는 별도의 장소에 마련된 합연 장치에 의해 합연을 한 후, 합연된 원사를 운반하여 환편기에 연결해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합연 장치와 환편기가 위치된 장소가 상이하여 장소가 많이 사용되고 운반 등의 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합연 장치를 별도의 장소에 마련하지 않고 환편기에 직접 장착될 수 있는 합연 장치를 갖는 환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합연 원사를 공급하는 합연 장치(1200)와,
상기 합연 장치(1200)로부터 원사가 전달되어 편직물이 형성되는 환편기 본체(1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연 장치를 갖는 환편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합연 장치(1200)는 회전축(1220)이 중앙에 위치되며 복수개의 보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보빈회전판(1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합연 장치(1200)는 상기 보빈회전판(1230)의 상방에 위치되며 보빈회전판(1230)의 보빈 갯수만큼 원둘레을 따라서 얀디텍터가 형성된 디텍터회전판(12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연 장치(1200)는 상기 디텍터회전판(1240)의 상방에 깔때기를 역으로 세운 형태로 형성된 콘형얀가이드(1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환편기 본체(1300)는 합연 장치(1200)로부터 공급되는 원사가 전달되는 피더(1330)와, 상기 피더(1330)를 통과한 원사가 공급되는 편성장치(1340) 및 상기 편성장치(1340)에 의해 형성된 편직물을 하방으로 끌어당겨 감는 권취부(1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합연 장치(1200)와 환편기 본체(1300) 사이에는 콘트롤러(1290)가 마련되어 합연 장치(1200)의 원사가 꼬아지는 횟수를 제어하며, 합연 장치(1200)의 원사가 끊어진 경우 환편기 본체(1300)의 운전을 정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합연 장치를 환편기에 직접 연결하여 합연 원사를 환편기에 직접 공급할 수 있어, 별도의 합연 장치를 위한 장소 및 합연 과정이 생략되어 생산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합연 장치를 갖는 환편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도 1의 합연 장치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합연 장치를 갖는 환편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합연 장치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인 합연 장치를 갖는 환편기는 비합연 원사(1112, 1122)가 감겨있는 복수개의 보빈(1110, 1120)과, 상기 보빈(1110, 1120)과 별도로 마련되며 합연 원사를 공급하는 합연 장치(1200)와, 상기 보빈(1110, 1120) 및 합연 장치(1200)로부터 공급되는 원사가 전달되는 피더(Feeder)(1330)와, 상기 피더(1330)를 통과한 원사가 공급되는 편성장치(1340) 및 상기 편성장치(1340)에 의해 형성된 편직물을 하방으로 끌어당겨 감는 권취부(1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피더(1330)와 편성장치(1340) 및 권취부(1350)로 이루어진 부분은 환편기 본체(1300)라고 한다.
상기 비합연 원사(1112, 1122)는 본 발명 내에서 더 이상 합연 과정을 거치지 않고 피더(1330)에 공급되는 원사를 의미하며, 합연 원사는 본 발명 내에서 합연 장치(1200)에 의해 합연 과정을 거친 원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핵심은 상기 합연 장치(1200)의 구성과, 합연 장치(1200)의 구동을 환편기의 구동과 연계시키는 구성이다.
합연 장치(1200)는 합연 장치(1200)의 다른 구성들을 지지하는 넓은 판 형상의 기대(Base plate)(1210)와, 상기 기대(12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회전축(1220)과, 상기 기대(1210)의 상방에서 회전축(1220)이 중앙에 위치되며 복수개의 보빈(1232, 1234, 1236)이 원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보빈회전판(1230)과, 상기 보빈회전판(1230)의 상방에서 회전축(1220)이 중앙에 위치되며 보빈회전판(1230)의 보빈(1232, 1234, 1236) 갯수만큼 원둘레을 따라서 얀디텍터(1242, 1244, 1246)가 형성된 디텍터회전판(1240) 및 상기 디텍터회전판(1240)의 상방에 깔때기를 역으로 세운 형태로 형성된 콘형얀가이드(1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빈회전판(1230) 상에 장착되는 보빈(1232, 1234, 1236)의 수는 2개 내지 8개 일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인 경우이고, 디텍터회전판(1240)의 얀디텍터(1242, 1244, 1246)도 3개이다.
그리고 보빈회전판(1230)과 디텍터회전판(1240)은 회전축(1220)에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콘형얀가이드(1250)는 상기 기대(1210)에 고정된 수직 기둥(1252)에 의해 지지된다.
한편, 상기 합연 장치(1200)에는 기대(1210)의 하방으로 관통된 회전축(1220)을 회전시키는 구조가 형성된다.
즉, 회전축(1220)의 둘레에 형성된 풀리(Pulley)(1262)에 벨트(Belt)(1272)로 연결되며 감속기(Reducer)(1274)에 의해 속도가 조절되는 합연모터(1276)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얀디텍터(1242, 1244, 1246)와 연결된 전선(1249)이 회전축(1220)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풀리(1262)의 하방에 형성된 롤러콘텍트(Roller contact)(1282)와 연결된다.
상기 롤러콘텍트(1282)는 롤러 형상으로 전선(1249)에 의해 전달되는 신호를 콘트롤러(129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얀디텍터(1242, 1244, 1246)에서 감지된 정보를 무선으로 콘트롤러(1290)에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합연모터(1276)와 롤러콘텍트(1282)는 콘트롤러(1290)와 연결되며, 상기 콘트롤러(1290)는 환편기 본체(1300)의 구동모터(1302)와 연결된다.
합연 장치(1200)의 구동을 환편기의 구동과 연계시키는 구성이 바로 상기 콘트롤러(1290)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합연모터(1276)가 회전되면 회전축(1220)과 보빈회전판(1230) 및 디텍터회전판(1240)이 일체로 회전되면서 회전되지 않는 콘형얀가이드(1250)에서 보빈(1232, 1234, 1236)의 원사가 합연되어 환편기 본체(1300)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러(1290)는 상기 합연모터(1276)의 회전수를 조절함으로써 합연 장치(1200)를 통하여 원사가 꼬아지는 횟수를 제어할 수 있으며, 1m당 꼬아지는 횟수를 나타내는 TM(Twist/meter)은 10 내지 900 사이에서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얀디텍터(1242, 1244, 1246)는 보빈(1232, 1234, 1236)에서 공급되는 원사가 끊어진 경우를 감지하여 전선(1249)을 통하여 롤러콘텍트(1282)로 전달하고, 상기 롤러콘텍트(1282)는 이를 다시 콘트롤러(1290)에 전달한다.
이 경우 상기 콘트롤러(1290)는 환편기 본체(1300)의 구동모터(1302) 운전을 정지시키고, 작업자는 끊어진 원사를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합연 장치(1200)를 환편기에 직접 연결하여 합연 원사를 환편기에 직접 공급할 수 있어, 별도의 합연 장치(1200)를 위한 장소 및 합연 과정이 생략되어 생산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합연 장치(1200)에서 원사가 끊어진 경우에 즉시 환편기를 정지시키고 끊어진 원사를 연결할 수 있어 고장을 신속하게 수리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콘트롤러(1290)에 의해 합연 원사의 꼬아지는 횟수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합연 연사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10, 1120: 보빈
1112, 1122: 비합연 원사
1200: 합연 장치
1210: 기대
1230: 보빈회전판
1240: 디텍터회전판
1252: 수직 기둥
1276: 합연모터
1282: 롤러콘텍트
1290: 콘트롤러
1330: 피더
1340: 편성장치
1350: 권취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합연 원사를 공급하는 합연 장치(1200)와,
    상기 합연 장치(1200)로부터 원사가 전달되어 편직물이 형성되는 환편기 본체(1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합연 장치(1200)는
    회전축(1220)이 중앙에 위치되며 복수개의 보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보빈회전판(1230)과
    상기 보빈회전판(1230)의 상방에 위치되며 보빈회전판(1230)의 보빈 갯수만큼 얀디텍터가 형성된 디텍터회전판(1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연 장치를 갖는 환편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합연 장치(1200)는
    상기 디텍터회전판(1240)의 상방에 깔때기를 역으로 세운 형태로 형성된 콘형얀가이드(1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연 장치를 갖는 환편기.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환편기 본체(1300)는
    합연 장치(1200)로부터 공급되는 원사가 전달되는 피더(1330)와,
    상기 피더(1330)를 통과한 원사가 공급되는 편성장치(1340) 및
    상기 편성장치(1340)에 의해 형성된 편직물을 하방으로 끌어당겨 감는 권취부(13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연 장치를 갖는 환편기.
  6.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합연 장치(1200)와 환편기 본체(1300) 사이에는 콘트롤러(1290)가 마련되어 합연 장치(1200)의 원사가 꼬아지는 횟수를 제어하며, 합연 장치(1200)의 원사가 끊어진 경우 환편기 본체(1300)의 운전을 정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연 장치를 갖는 환편기.
KR1020120005501A 2012-01-18 2012-01-18 합연 장치를 갖는 환편기 KR101186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501A KR101186073B1 (ko) 2012-01-18 2012-01-18 합연 장치를 갖는 환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501A KR101186073B1 (ko) 2012-01-18 2012-01-18 합연 장치를 갖는 환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6073B1 true KR101186073B1 (ko) 2012-09-26

Family

ID=47114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501A KR101186073B1 (ko) 2012-01-18 2012-01-18 합연 장치를 갖는 환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0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068B1 (ko) 2013-10-15 2014-08-01 강응옥 다양한 색으로 형성되는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편직물 제조 장치 및 편직물
KR102058929B1 (ko) * 2019-08-19 2020-02-11 고원니트(주) 원사의 연속공급이 가능한 환편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084Y1 (ko) * 1999-08-26 2000-02-15 이중열 환편기용 원사 공급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084Y1 (ko) * 1999-08-26 2000-02-15 이중열 환편기용 원사 공급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068B1 (ko) 2013-10-15 2014-08-01 강응옥 다양한 색으로 형성되는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편직물 제조 장치 및 편직물
KR102058929B1 (ko) * 2019-08-19 2020-02-11 고원니트(주) 원사의 연속공급이 가능한 환편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6115B2 (ja) 糸巻取装置、及び仮撚加工機
KR101386201B1 (ko) 보빈와인더기용 합사장치
CN1099478C (zh) 带有加捻单元的筒子架
CN101868570B (zh) 用于制造针织品的方法和装置
EP2644548B1 (en) Take-up apparatus and take-up facility
TWI778228B (zh) 假捻加工機
ES2839282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producir hilado de núcleo elástico con una continua de hilar de anillos
CN106757582A (zh) 倍捻或并捻机的工作站
CN103388200A (zh) 组合纺纱制线小样机
JP2012097369A (ja) 仮撚加工機
CN103723577B (zh) 将环锭纺纱机上制造的管纱用于后续倒筒作业的制备方法
CN105274665B (zh) 生产交叉卷绕筒子的半自动纺织机
JP2014098225A (ja) ダブルツイスタ紡績装置
CN105297197B (zh) 纺织机及纺织方法
CN109072493A (zh) 用于纺纱和/或捻纱的加工方法、用于纺纱和/或捻纱的机器及改造该机器的方法
KR101186073B1 (ko) 합연 장치를 갖는 환편기
JP5615721B2 (ja) 繊維機械及び繊維機械の糸巻き取り方法
CN204138034U (zh) 一种自动停机扁丝卷绕机
CN103708289A (zh) 一种纱线断线检测装置
CN103274261A (zh) 一种线筒分绕机中导线杆的伸缩机构
CN103911765A (zh) 一种包芯线编织机
CN203294921U (zh) 一种线筒分绕机
CN105568462B (zh) 一种钩编花式捻线机
WO2013177730A1 (zh) 旋转式铺纬装置
KR101270482B1 (ko) 환편기용 연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