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732B1 - 파드커피용 커피머신 - Google Patents

파드커피용 커피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732B1
KR102058732B1 KR1020190066355A KR20190066355A KR102058732B1 KR 102058732 B1 KR102058732 B1 KR 102058732B1 KR 1020190066355 A KR1020190066355 A KR 1020190066355A KR 20190066355 A KR20190066355 A KR 20190066355A KR 102058732 B1 KR102058732 B1 KR 102058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pod
extraction
uni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자령
Original Assignee
최자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자령 filed Critical 최자령
Priority to KR1020190066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7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6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8Permeable cartridges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09Loose coffee being employed
    • A47J31/3619Means to remove coffee after brew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8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operated by h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머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드커피가 장착되어 에스프레소의 추출이 가능하게 하는 추출유닛으로 온수의 공급과 별도의 라인을 통한 온수의 공급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에스프레소의 추출은 물론, 추출과 동시에 물을 희석하여 아메리카노의 추출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파드커피를 장착함에 있어, 본체 상부에서 수직으로 장착 및 사용 후, 하부의 수거통으로 자동으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파드커피 장착상의 편리함과 파드커피 처리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며, 또한 물의 공급구조를 물통 또는 정수기 등의 직수와 연결 사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물 공급 사용에 따른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파드커피용 커피머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드커피용 커피머신{Coffee Machine for Pod coffee}
본 발명은 커피머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를 추출함에 있어 에스프레소는 물론 아메리카노의 추출이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하면서도, 파드커피(Pod coffee)의 편리한 장착 및 사용 후 처리가 용이하게 하는 파드커피용 커피머신에 관한 것이다.
커피가 일상적인 기호식품이 된 요즘, 쉽고 간편하게 커피를 먹기 위한 방법으로 인스턴트 커피가 널리 보급되었다.
하지만, 커피 전문점의 수가 급속히 증가할 만큼 국민 대다수가 고품질의 커피를 원하고 있는 추세에서 원두커피를 직접 만들어 낼 수 있는 커피 메이커를 많이 출시되고 있다. 그리하여, 기업들은 저렴한 원가로 고급스러운 커피를 생산할 수 있는 커피메이커를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우렸다.
이에, 일반적으로 드립커피를 이용하는데, 드립커피는 원두를 갈아 손수 뜨거운 물을 천천히 내리면서 향을 우려낸 커피를 말한다. 이 드립커피는 필터가 장착된 드리퍼에 원두커피 분말을 넣고, 드립포트를 이용하여 드리퍼내의 원두커피 분말에 뜨거운 물을 천천히 부어 제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드립커피는 바리스타가 물을 붓는 양이나 속도 등에 따라 커피의 맛이 달라지는 것인바, 커피 제조가 매우 번거로웠으며, 균일한 커피맛을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드립커피의 경우 커피를 제조 후, 발생되는 원두가루의 처리가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근자에 들어 커피 분말이 들어있는 납작한 형태의 파드커피(Pod coffee) 또는 원통형 캡슐(Capsule coffee)커피를 이용하여 뜨거운 물을 고압으로 통과시켜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머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커피머신은 균일한 맛의 커피를 추출할 수는 있었으나, 그 사용된 파드커피는 분쇄원두를 천연펄프로 씌워 놓아 부드러운 재질로 인해 일일이 꺼내어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그 사용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커피머신은 단순히 에스프레소 커피의 추출만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아메리카노 커피를 선호는 이들은 별도로 물을 타 희석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커피맛이 균일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188125호.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354879호. 대한민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4-0060410호. 대한민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0-006961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파드커피가 장착되어 에스프레소의 추출이 가능하게 하는 추출유닛으로 온수의 공급과 별도의 라인을 통한 온수의 공급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에스프레소의 추출은 물론, 추출과 동시에 물을 희석하여 아메리카노의 추출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파드커피용 커피머신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파드커피를 장착함에 있어, 본체 상부에서 수직으로 장착 및 사용 후, 하부의 수거통으로 자동으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파드커피 장착상의 편리함과 파드커피 처리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파드커피용 커피머신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물의 공급구조를 물통 또는 정수기 등의 직수와 연결 사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물 공급 사용에 따른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파드커피용 커피머신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상부에는 파드커피의 수직 장착이 가능한 커피홀더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공간 형태를 이루어 컵의 거치 및 추출된 커피의 배출이 가능한 배출공간이 형성되며, 후방에는 바닥에 물의 공급이 가능하게 하는 개방핀을 갖는 물공급 체크밸브가 형성된 물통 장착부가 형성되며, 전면에는 에스프레소와 아메리카노의 선택이 가능한 스위칭부가 형성된 본체;
물통 장착부에 장착되며, 바닥에는 장착시 개방핀에 의해 개방되는 체크밸브를 갖는 물통;
본체 내부에서 제1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 물공급 체크밸브와 연결되며, 물을 공급받아 배출하는 펌프;
본체 내부에서 펌프와 연결되며, 배출되는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는 히팅부;
본체 내부에 형성되며, 히팅부로부터 가열된 온수를 공급받으며, 커피홀더에 장착된 파드커피를 가압 고정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 작동에 의해 온수를 통과시켜 에스프레소를 추출 및 배출공간으로 배출하는 추출유닛;
본체 내부에 형성되며, 히팅부로부터 가열된 온수를 공급받으며, 제3 솔레노이드밸브 작동에 의해 희석관을 통해 배출공간으로 온수만을 배출하는 희석부;
본체의 배출공간에 슬라이딩 착탈되며, 추출되는 커피를 받아내는 컵의 거치 및 사용된 파드커피의 수거가 가능한 거치 수거부; 및
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스위칭부 작동에 의해 추출유닛 또는 희석부로 물의 공급 및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커피홀더는,
파드커피가 삽입되는 전후 폭을 이루고 좌우 길이를 이루는 투입공; 및
투입공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파드커피의 날개부가 진입 가이드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파드커피용 커피머신은, 온수가 추출유닛과 희석부로 분기 공급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인바, 선택적으로 추출유닛의 작동을 통한 에스프레소의 추출과 동시 작동에 따른 에스프레소와 온수의 배출을 통한 아메리카노의 추출이 가능하게 되는 등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커피의 추출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체의 상부에 경사 형성되는 커피홀더가 형성되어 파드커피가 수직 장착이 가능하게 하며, 사용된 파드커피는 자유 낙하에 의해 수거통에 저장되게 구성된 것인바, 사용된 파드커피의 수거가 매우 편리하며 청결한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커피 추출을 위한 물의 공급을 본체 후방에 형성되는 물통은 물론, 정수기 등의 직수관과 연결하여 사용 가능한 것인바, 효율적인 물 공급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파드커피용 커피머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파드커피용 커피머신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파드커피용 커피머신의 내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파드커피용 커피머신의 내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파드커피용 커피머신의 펼친 상태를 보인 간략도.
도 6은 본 발명 파드커피용 커피머신의 추출유닛 요부도.
도 7은 본 발명 파드커피용 커피머신의 추출 실린더 요부도.
도 8은 본 발명 파드커피용 커피머신의 파드커피 투입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파드커피용 커피머신의 파드커피 장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파드커피용 커피머신의 에스프레소 추출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 파드커피용 커피머신의 아메리카노 추출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 파드커피용 커피머신의 파드커피 배출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파드커피용 커피머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파드커피용 커피머신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파드커피용 커피머신의 내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파드커피용 커피머신의 내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파드커피용 커피머신의 펼친 상태를 보인 간략도.
도 1 내지 도 5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파드커피용 커피머신(1)은, 본체(100)와, 물통(200)과, 펌프(300)와, 히팅부(400)와, 추출유닛(500)과, 희석부(600)와, 거치 수거부(700)와, 제어부(800)로 구성된다.
먼저, 본체(100)는 본 발명 파드커피용 커피머신(1)을 구성함에 있어, 케이스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사각 함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본체(100)에는 먼저, 그 상부에는 후술하는 추출유닛(500)으로 파드커피의 장착이 가능한 커피홀더(110)가 구성된다.
이때, 커피홀더(110) 먼저, 파드커피의 투입이 가능한 투입공(111)이 구성된 것으로, 투입공(111)은 전후 소정의 폭을 이루면서 좌우 길이를 이루는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투입공(111)의 양측에는 투입되는 파드커피를 가이드 하는 양측 한 쌍의 가이드홈(112)이 구성된다.
즉, 커피홀더(110)는 추출하기 위한 파드커피가 투입되되, 투입공(111)을 통해 수직상으로 투입 및 그 투입시 가이드홈(112)에 파드커피의 날개부가 진입되어 후술하는 파드커피 걸림홈(512)으로의 안정된 진입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체(100)에는 그 전방 하부에 전방으로 개방되어 추출되는 커피를 받아내기 위한 컵의 거치 및 추출된 커피의 배출이 가능한 배출공간(120)이 구성된 것으로, 그 배출공간(120)에는 후술하는 거치 수거부(700)가 장착되게 구성된다.
또한, 본체(100)에는 후방에 후술하는 물통(200)의 거치 및 물의 공급이 가능하게 하는 물통 장착부(130)가 구성된다.
이때, 물통 장착부(130)는 본체(100)의 후방으로 소정 돌출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상부에는 물통(200)과 결합되어 배출되는 물을 일방향으로 공급이 가능하게 하는 물공급 체크밸브(131)가 구성된다.
그리고 물공급 체크밸브(131)에는 그 중앙에 물통(200)이 장착시 그 물통(200)의 체크밸브(210)를 눌러 개방이 가능하게 하는 개방핀(132)이 돌출 구성된다.
또한, 본체(100)에는 그 전방 상부에는 스위칭부(140)가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스위칭부(140)는 "에스프레소 모드"와 아메리카노 모드"로 구성되어 선택 작동에 의해 후술하는 제어부(800)를 제어하게 구성된다.
상기 물통(200)은 본 발명 파드커피용 커피머신(1)을 구성함에 있어, 물의 공급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물의 수용이 가능한 투명의 함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물통 장착부(130)에 장착되게 구성된다.
이때, 물통(200)에는 그 하부에는 장착시 상기 물공급 체크밸브(131)와 결합되어 물의 일방향 배출이 가능하게 하는 체크밸브(210)가 구성된다.
즉, 물통(200)은 물통 장착부(130)에 장착시 체크밸브(210)가 물공급 체크밸브(131)와 결합되며, 이때 개방핀(132)이 체크밸브(210)를 눌러 개방하여 물의 공급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펌프(300)는 본 발명 파드커피용 커피머신(1)을 구성함에 있어, 본체(100)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물통(20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흡입 및 압력을 부여하여 후술하는 히팅부(400)로 공급 및 추출유닛(500) 또는 희석부(600)로 배출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펌프(300)는 제1 솔레노이드밸브(310)를 통해 상기 물공급 체크밸브(131)와 연결되어 그 제1 솔레노이드밸브(310) 작동에 의해 물의 흐름이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물의 흐름이 가능한 "호스"를 통해 물공급 체크밸브(131)와 제1 솔레노이드밸브(310)와 펌프(300)를 연결하게 구성된다.
즉, 펌프(300)는 상기 스위칭부(140) 작동시 제1 솔레노이드밸브(310)를 개방하여 물을 공급받아 압력을 부여하여 후술하는 히팅부(400)로의 배출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히팅부(400)는 본 발명 파드커피용 커피머신(1)을 구성함에 있어, 본체(100)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펌프(300)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따뜻한 온수로 가열시켜 후술하는 추출유닛(500) 또는 희석부(600)로 배출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되는 히팅부(400)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도면중 미도시 되었지만 사각 판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되어 내부에는 히터가 내장되고, 또한 물이 지그재그 상으로 반복되어 흐름이 가능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펌프(300)와 히팅부(400)는 2개의 양방향 흐름이 가능한 통상의 사방향 콕(410)으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때, 펌프(300)와 히팅부(400)는 먼저, 사방향 콕(410)의 서로 연결되는 어느 양 방향에 연결되되, 물의 흐름이 가능한 "호스"를 통해 펌프(300)의 배출구 측과 히팅부(400)의 유입구 측이 연결되어 펌프(3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사방향 콕(410)을 통해 히팅부(400)로 유입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사방향 콕(410)의 서로 연결되는 다른 양 방향 중 어느 한 측에는 물의 흐름이 가능한 "호스"를 통해 상기 물통 장착부(130)의 물공급 체크밸브(131)와 연결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 체크밸브(131)와 연결되지 않는 다른 한 측은 미 사용시 폐쇄하여 차단하고, 사용시 개방하여 별도의 정수기 등의 직수관(150)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직수관(150)의 사용은 상기 물통(200)을 통한 한정된 양의 물 공급이 아닌 물공급 체크밸브(131)로 지속적인 연속 물공급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히팅부(400)는 상기 펌프(300) 압력에 의해 그 펌프(300)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순환시키면서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게 되며, 그 생성된 물을 다시 배출하게 구성된다.
상기 추출유닛(500)은 본 발명 파드커피용 커피머신(1)을 구성함에 있어, 본체(100)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커피홀더(110)에 장착되는 파드커피로부터 에스프레소를 추출할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히팅부(400)로부터 가열된 온수를 공급받아 파드커피를 통과시켜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게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추출유닛(500)은 도 6 및 도 7을 추출유닛 몸체(510)와, 추출 실린더(520)와 장착레버(530)로 구성된다.
먼저, 추출유닛 몸체(510)는 전후 길이를 이루는 수평형 통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상부 중앙에는 상기 파드커피홀더(110)와 연통되는 한편, 하부로 관통되어 파드커피의 장착 및 하방 배출이 가능한 파드커피 장착공(511)이 구성된다.
이때, 파드커피 장착공(511)의 양측에는 상기 파드커피홀더(110)의 가이드홈(112)과 연결되는 파드커피 걸림홈(512)이 더 구성된 것으로, 파드커피 걸림홈(512)은 파드커피홀더(110)로 투입되는 파드커피를 인계받아 추출유닛 몸체(510) 내부에 안정된 거치가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파드커피 걸림홈(512)은 각각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폭을 이루고, 양측의 대응되는 내측면 간격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간격을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진입된 파드커피의 날개부 상단이 하부에 걸려 안정적으로 추출유닛 몸체(510) 내부에 위치되게 한다.
또한, 추출유닛 몸체(510)에는 상기 파드커피 장착공(511)을 중심으로 내측 전방에 추출되는 에스프레소의 수용 및 저장이 가능한 추출공간(515)이 구성된다.
이때, 추출공간(515)은 먼저, 그 후방은 추출되는 에스프레소의 소통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통공(도면중 미도시함)이 타공된 타공판(516)으로 마감되게 구성되며, 또한 그 후단은 그 둘레가 후방으로 소정 돌출되어 후방 개방형 공간 형태의 파드커피 안치홈(517)을 이루게 구성된다.
또한, 추출유닛 몸체(510)에는 그 전방에는 추출관(518)이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추출관(518)은 그 후방이 상기 추출공간(515)의 내부와 연통되게 구성되고, 전방이 상기 본체(100)의 배출공간(120)으로 인출 및 하방을 향하게 수직 배치되게 구성된다.
상기 추출 실린더(520)는 상기 파드커피 장착공(511)을 중심으로 내측 후방에서 상기 추출공간(515)과 동일 수평상으로 배치되게 구성된 것으로, 전후 슬라이딩 작동에 의해 투입되는 파드커피를 상기 파드커피 안치홈(517)에 구속 장착 및 파드커피커피로 온수를 분사하여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게 구성된다.
이때, 추출 실린더(520)는 먼저, 전후 슬라이딩 작동하는 실린더 바디(521)가 구성된다.
또한, 추출 실린더(520)에는 상기 실린더 바디(521)에 온수 분사관(522)이 구성된 것으로, 온수 분사관(522)은 후방에는 상기 히팅부(400)와 연결되어 그 히팅부(400)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2 솔레노이드밸브(523)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상기 추출공간(515)의 타공판(516)과 대응되는 다수의 분사공(522a)이 타공되게 구성된다.
또한, 추출 실린더(520)에는 상기 온수 분사관(522)의 전방 둘레로 상기 장착되는 파드커피를 밀어 파드커피 안치홈(517)으로 내입 및 구속시키기 위한 가압링(525)이 구성된다
이때, 가압링(525)은 고무나 실리콘재로 구성되어 밀착력을 가지는 신축성 재질로 된 "링"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파드커피를 파드커피 안치홈(517)에 장착 구속 및 그 파드커피 안치홈(517)의 수밀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추출 실린더(520)에는 상기 온수 분사관(522) 전면으로 코일스프링으로 된 복수의 가압스프링(527)이 구성된 것으로, 가압스프링(527)은 파드커피 안치홈(517)에 구속되는 파드커피를 가압 고정 및 분리하게 구성된다.
상기 장착레버(530)는 상기 추출유닛 몸체(510)의 상부에서 그 후방에 힌지(H) 장착되어 회동 작동하되, 그 회동 작동 과정에서 상기 추출 실린더(520)를 전방으로 장착 또는 후방으로 해제시키게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장착레버(530)의 작동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를 위해, 장착레버(530)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먼저 장착레버(530)는 상기 힌지(H)의 상부에서 작동바(531)가 제2 힌지(H') 연결되며, 작동바(531)의 단부에는 양측의 전,후방 링크(532)(532')가 제3 힌지(H")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때 전방 링크(532)는 실린더 바디(521)에 축설되고 후방 링크(532')는 추출유닛 몸체(510)에 축설된다.
또한, 상기 추출유닛 몸체(510)와 실린더 바디(521)는 인장스프링(533)으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에, 장착레버(530)를 상부로 회동 작동시 제3 힌지(H")가 상승 및 상기 전,후방 링크(532)(532')가 삼각형 형태를 이루면서 추출 실린더(520)를 당겨 후퇴시키고, 장착레버(530)를 하부로 회동 작동시 제3 힌지(H")가 하강 및 상기 전,후방 링크(532)(532')가 수평 형태를 이루어 추출 실린더(520)를 전방으로 전진 장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장착레버(530)의 하강 작동시 상기 제3 힌지(H")는 상기 전,후방 링크(532)(532')의 수평보다 소정 낮은 위치에 형성되게 구성함으로 인장스프링(533)의 복원력에 의해 전,후방 링크(532)(532')가 상승 작동하여 추출 실린더(520)의 해제 오작동이 방지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추출유닛(500)은 장착레버(530)를 상부 회동시켜 파드커피 장착공(511)을 개방 및 파드커피가 장착된 상태에서 장착레버(530)를 하부 회동시키게 되면 추출 실린더(520)가 전방으로 전진함과 동시에 파드커피 가압링(525)이 파드커피를 밀어 추출공간(515)의 파드커피 안치홈(517)에 장착 및 그 장착된 파드커피를 감싸 구속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파드커피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히팅부(400)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제2 솔레노이드밸브(523) 작동에 의해 온수 분사관(522)을 통해 고압 분사 및 파드커피를 통과하면서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게 되는 것으로, 그 추출되는 에스프레소는 타공판(516)을 통해 추출공간(515)으로 유입 및 추출관(518)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상기 희석부(600)는 본 발명 파드커피용 커피머신(1)을 구성함에 있어, 물의 공급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히팅부(400)에서 가열된 온수를 상기 배출공간(120)으로 배출하게 구성된다.
이때, 희석부(600)는 먼저, 상기 히팅부(400)와 연결되어 온수를 공급받는 한편, 그 온수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3 솔레노이드밸브(610)가 구성된다.
또한, 희석부(600)에는 상기 제3 솔레노이드밸브(610)와 연결되어 그 제3 솔레노이드밸브(610)의 개방시 온수를 상기 배출공간(120)로 배출하기 위한 희석관(620)이 구성된다.
즉, 희석부(600)는 상기 추출유닛(500)에서 에스프레소의 추출과 함께, 온수만을 배출하여 그 에스프레소를 희석하여 아메리카노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히팅부(400)와 제2 솔레노이드밸브(523)와 제3 솔레노이드밸브(610)는 3방향 물의 흐름이 가능하게 하는 통상의 삼방향 콕(420)으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삼방향 콕(420)을 적용시 먼저, 삼방향 콕(420)의 입구측에는 상기 히팅부(400)와 물의 흐름이 가능한 "호스"로 연결되고, 다른 2방향의 배출측은 각각 "호스"를 통해 제2 솔레노이드밸브(523) 및 제3 솔레노이드밸브(610)와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히팅부(400)를 통해 배출되는 온수는 삼방향 콕(420)으로 유입 및 분기되어 제2 솔레노이드밸브(523) 및 제3 솔레노이드밸브(610)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거치 수거부(700)는 본 발명 파드커피용 커피머신(1)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본체(100)의 배출공간(120)에 슬라이딩 착탈되게 구성된 것으로, 추출되는 커피를 받아낼 수 있도록 컵의 거치 및 사용된 파드커피의 수거가 가능하게 한다.
이때, 거치 수거부(700)에는 먼저, 컵의 거치가 가능한 컵 받침부(710)가 구성된다.
또한, 거치 수거부(700)에는 상기 컵 받침부(710)의 후방에 착탈 가능한 폐커피 수거함(720)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폐커피 수거함(720)은 본체(100)에 장착시 상기 파드커피홀더(110)와 추출유닛(500)의 파드커피 장착공(511)과 수직으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즉, 거치 수거부(700)는 전후 슬라이딩을 통해 상기 배출공간(120)에 착탈 및 폐커피 수거함(720)이 본체(100) 내부로 수용되게 구성된 것으로, 컵 받침부(710)에 컵을 거치시켜 추출관(518) 또는 희석관(620)을 통해 배출되는 커피를 받아낼 수 있게 된다.
또한, 거치 수거부(700)에서는 추출 실린더(520)가 후퇴시 파드커피 장착공(511)이 개방됨과 동시에 가압스프링(527)이 파드커피 가압링(525)에 감싸진 파드커피를 밀어 배출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때 배출되는 파드커피는 낙하 되어 폐커피 수거함(720)에 수거되게 된다.
상기 제어부(800)는 본 발명 파드커피용 커피머신(1)을 구성함에 있어, 물의 흐름을 제어하여 에스프레소 또는 아메리카노의 추출이 가능하게 한다.
이때, 제어부(80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상기 스위칭부(140)와 연결되어 그 스위칭부(140)의 "에스프레소 모드" 또는 "아메리카노 모드" 작동에 따라 펌프(300)와 히팅부(400)의 제어와 제1 내지 제3 솔레노이드밸브(310)(523)(610)를 제어하여 물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800)에서는 상기 히팅부(400)를 작동시켜 흐르는 물을 가열할 수 있게 한다.
즉, 제어부(800)에서는 "에스프레소 모드"시에는 제1 솔레노이드밸브(310)와 제2 솔레노이드밸브(523)를 개방하여 온수가 추출유닛(500)으로 공급되게 하여 에스프레소의 추출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어부(800)에서는 "아메리카노 모드"시에는 제1 솔레노이드밸브(310)와 제2 솔레노이드밸브(523)와 제3 솔레노이드밸브(610)를 모두 개방하되, 온수를 제2 솔레노이드밸브(523)를 통해 추출유닛(500)으로 공급하여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게 되고, 동시에 온수를 제3 솔레노이드밸브(610)를 통해 희석부(600)로 공급하여 희석관(620)으로 온수 배출 및 에소프레소와 혼합하여 아메리카노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파드커피용 커피머신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 파드커피용 커피머신(1)은 파드커피를 장착함에 있어, 그 장착 사용 및 수거가 편리하게 하며, 특히 커피를 추출함에 있어 통상의 에스프레소는 물론, 아메리카노의 선택 추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먼저 파드커피(10)의 장착 상태를 살펴보면, 도 8을 참조하여 먼저, 장착레버(530)를 상부로 회동 작동시켜 추출유닛(500)의 추출 실린더(520)를 후퇴 및 파드커피 장착공(511)을 개방하면 된다.
이후, 파드커피(10)를 장착하되, 이는 본체(100)의 커피홀더(110)를 통해 가능한 것으로, 이는 파드커피(10)의 양단 날개부(11)가 가이드홈(112)에 수용되게 한 상태에서 투입공(111)으로 투입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파드커피(10)는 자유 낙하에 의해 하강되는 한편, 추출유닛 본체(510)의 파드커피 장착공(511) 내부에 위치되게 된다.
이때, 파드커피 장착공(511)으로 진입되는 파드커피(10)는 그 날개부(11)가 파드커피 걸림홈(512)으로 진입되게 되는 것인바, 진입된 파드커피(10)는 날개부 상단이 좁아지는 경사를 이루는 파드커피 걸림홈(512)의 하부에 걸려 안정적으로 추출유닛 몸체(510) 내부에 위치 및 추출 실린더(520) 전방에 위치되게 된다.
이후, 도 9를 참조하여 장착레버(530)를 하부로 회동시키게 되면 추출 실린더(520)를 전방으로 전진 장착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때 추출 실린더(520)가 전방으로 전진함과 동시에 파드커피 가압링(525)이 파드커피(10)를 밀어 추출공간(515)의 파드커피 안치홈(517)에 장착 및 그 장착된 파드커피(10)를 감싸 구속함으로 파드커피(10)가 장착되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파드커피(10)가 장착된 상태에서 커피를 추출하되, 이는 스위칭부(140) 작동에 의해 "에스프레소 모드" 또는 "아메리카노 모드"를 선택 작동하면 되는 것으로, 거치 수거부(700)의 컵 받침부(710)에는 커피를 받아내기 위한 컵을 거치 장착한다.
먼저, "에스프레소 모드"를 선택시에는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게 된다.
이는, 도 10을 참조하여 "에스프레소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800)에서는 제1 솔레노이드밸브(310)를 개방하여 물을 펌프(300)로 공급 가능하게 하며, 이에 펌프(300)에서는 그 물을 흡입 사방향 콕(410)을 통해 히팅부(400)로 유입 및 가열시키고, 연속하여 삼방향 콕(420)을 통해 추출유닛(500)으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800)에서는 제2 솔레노이드밸브(523)를 개방하여 온수를 온수 분사관(522)을 통해 고압으로 분사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때 분사되는 온수는 분사공(522a)을 통해 파드커피(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에스프레소를 추출 및 추출공간(515)의 타공판(516)을 통해 추출공간(515)유입 및 추출관(518)을 통해 배출공간(120)으로 배출시키게 되는 것으로, 에스프레소의 추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아메리카노 모드"를 선택시에는 아메리카노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도 11을 참조하여 "아메리카노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800)에서는 제1 솔레노이드밸브(310)를 개방하여 물을 펌프(300)로 공급 가능하게 하며, 이에 펌프(300)에서는 그 물을 흡입 사방향 콕(410)을 통해 히팅부(400)로 유입 및 가열시켜 온수를 얻고, 연속하여 삼방향 콕(420)을 통해 추출유닛(500) 및 희석부(600)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800)에서는 제2 솔레노이드밸브(523)와 제3 솔레노이드밸브(610)를 개방하게 된다.
이에, 온수는 먼저 추출유닛(500)의 온수 분사관(522)을 통해 고압으로 분사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때 분사되는 온수는 분사공(522a)을 통해 파드커피(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에스프레소를 추출 및 추출공간(515)의 타공판(516)을 통해 추출공간(515)유입 및 추출관(518)을 통해 에스프레소를 배출공간(120)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와 함께 온수는 희석부(600)의 제3 솔레노이드밸브(610)의 개방으로 희석관(620)을 통해 배출공간(120)으로 배출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렇게 배출된 온수는 상기 에스프레소와 혼합되어 농도가 조절된 아메리카노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커피의 추출이 완료되면 사용된 파드커피(10)는 추출유닛(500)으로부터 편리한 배출 및 그 수거가 가능하게 된다.
이는, 도 12를 참조하여 장착레버(530) 작동에 의해 자동 배출 및 수거되는 것으로, 장착레버(530)를 상부로 회동시켜 추출 실린더(520)를 후방으로 후퇴시키게 되면 파드커피 장착공(511)이 개방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추출 실린더(520)가 후퇴하게 되면 가압스프링(527)이 탄성 작동하여 파드커피 가압링(525)에 감싸진 파드커피(10)를 밀어 배출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렇게 배출된 파드커피(10)는 자유 낙하되어 자연히 거치 수거부(700)의 폐커피 수거함(720)으로 수거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파드커피용 커피머신(1)을 사용함에 있어, 물의 공급은 물통(200)에 물을 수용하여 물통 장착부(130)에 장착하여 공급 사용이 가능한 한편, 정수기 등을 사용시에는 직수관을 사방향 콕(410)에 연결 및 자동 공급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파드커피용 커피머신은 커피를 추출함에 있어, 에스프레소는 물론 아메리카노의 추출 음용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장착되는 파드커피의 장착 및 수거 처리가 매우 편리하게 되다.
100 : 본체 110 : 커피홀더
111 : 투입공 112 : 가이드홈
120 : 배출공간 130 : 물통 장착부
131 : 물공급 체크밸브 132 : 개방핀
140 : 스위칭부 150 : 직수관
200 : 물통 210 : 체크밸브
300 : 펌프 310 : 제1 솔레노이드밸브
400 : 히팅부 410 : 사방향 콕
420 : 삼방향 콕
500 : 추출유닛 510 : 추출유닛 본체
511 : 파드커피 장착공 512 : 파드커피 걸림홈
515 : 추출공간 516 : 타공판
517 : 파드커피 안치홈 518 : 추출관
520 : 추출 실린더 521 : 실린더 바디
522 : 온수 분사관 523 : 제2 솔레노이드밸브
525 : 가압링 527 : 가압스프링
530 : 장착레버
600 : 희석부 610 : 제3 솔레노이드밸브
620 : 희석관
700 : 거치 수거부 710 : 컵 받침부
720 : 폐커피 수거함 800 : 제어부

Claims (7)

  1. 상부에는 파드커피의 수직 장착이 가능한 커피홀더(110)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공간 형태를 이루어 컵의 거치 및 추출된 커피의 배출이 가능한 배출공간(120)이 형성되며, 후방에는 바닥에 물의 공급이 가능하게 하는 개방핀(132)을 갖는 물공급 체크밸브(131)가 형성된 물통 장착부(130)가 형성되며, 전면에는 에스프레소와 아메리카노의 선택이 가능한 스위칭부(140)가 형성된 본체(100);
    물통 장착부(130)에 장착되며, 바닥에는 장착시 개방핀(132)에 의해 개방되는 체크밸브(210)를 갖는 물통(200);
    본체(100) 내부에서 제1 솔레노이드밸브(310)를 통해 물공급 체크밸브(131)와 연결되며, 물을 공급받아 배출하는 펌프(300);
    본체(100) 내부에서 펌프(300)와 연결되며, 배출되는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는 히팅부(400);
    본체(100) 내부에 형성되며, 히팅부(400)로부터 가열된 온수를 공급받으며, 커피홀더(110)에 장착된 파드커피를 가압 고정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523) 작동에 의해 온수를 통과시켜 에스프레소를 추출 및 배출공간(120)으로 배출하는 추출유닛(500);
    본체(100) 내부에 형성되며, 히팅부(400)로부터 가열된 온수를 공급받으며, 제3 솔레노이드밸브(610) 작동에 의해 희석관(620)을 통해 배출공간(120)으로 온수만을 배출하는 희석부(600);
    본체(100)의 배출공간(120)에 슬라이딩 착탈되며, 추출되는 커피를 받아내는 컵의 거치 및 사용된 파드커피의 수거가 가능한 거치 수거부(700); 및
    본체(100) 내부에 형성되어 스위칭부(140) 작동에 의해 추출유닛(500) 또는 희석부(600)로 물의 공급 및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80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커피홀더(110)는,
    파드커피가 삽입되는 전후 폭을 이루고 좌우 길이를 이루는 투입공(111); 및
    투입공(111)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파드커피의 날개부가 진입 가이드되는 가이드홈(112)을 포함하고,
    펌프(300)와 히팅부(400)를 연결하는 사방향 콕(41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사방향 콕(410)은,
    서로 연결되는 양 방향이 펌프(300)의 배출구와 히팅부(400)로 연결되어 펌프(3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히팅부(400)로 공급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드커피용 커피머신.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사방향 콕(410)에는,
    서로 연결되는 다른 양 방향 중 어느 한 측은 물공급 체크밸브(131)와 연결되게 구성하고,
    물공급 체크밸브(131)가 연결되지 않는 다른 한 측은 미사용시 폐쇄하고, 사용시 개방하여 직수관(150)이 연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드커피용 커피머신.
  4. 제 1항에 있어서,
    추출유닛(500)은,
    상부에는 커피홀더(110)와 연통 및 하부로 개방되며 양측에는 파드커피 걸림홈(512)을 갖는 파드커피 장착공(511)이 형성되고, 파드커피 장착공(511)을 중심으로 내측 전방에는 후방이 타공판(516)으로 마감 및 후방에 파드커피 안치홈(517)이 형성된 추출공간(515)이 형성되며, 외측 전방에는 추출공간(515)과 연결되며 배출공간(120)으로 인출되는 추출관(518)이 형성된 추출유닛 몸체(510);
    파드커피 장착공(511)을 중심으로 내측 후방에 형성되며, 추출유닛 몸체(510)의 내측 후방에서 추출공간(515)과 동일 수평선상으로 전후 슬라이딩 작동하며, 파드커피를 구속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523) 작동에 의해 파드커피로 온수를 분사하여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 추출 실린더(520); 및
    추출유닛 몸체(510)에 형성되어 추출 실린더(520)의 전후 슬라이딩을 단속하는 장착레버(53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파드커피 걸림홈(512)은,
    각각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폭을 이루고, 양측의 대응되는 내측면 간격이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간격을 이루를 가이드홈(112)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드커피용 커피머신.
  5. 제 4항에 있어서,
    추출 실린더(520)는,
    전후 슬라이딩 작동하는 실린더 바디(521);
    실린더 바디(521) 전방에 형성되며, 후방에는 제2 솔레노이드밸브(523)가 장착되어 온수의 공급을 제어하고, 전방에는 타공판(516)과 대응되는 다수의 분사공(522a)이 타공된 온수 분사관(522);
    온수 분사관(522)의 전면 둘레에 형성되어 장착되는 파드커피를 밀어 파드커피 안치홈(517)에 안치 구속 시키는 신축성을 갖는 "링" 형태의 파드커피 가압링(525); 및
    온수 분사관(522) 전면에 형성되어 파드커피를 가압 고정하는 가압스프링(527)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드커피용 커피머신.
  6. 제 1항에 있어서,
    히팅부(400)와 제2 솔레노이드밸브(523)와 제3 솔레노이드밸브(610)를 연결하는 삼방향 콕(42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삼방향 콕(420)의 입구측은 히팅부(400)와 연결되어 가열된 온수가 공급되고, 다른 두 방향은 각각 제2 솔레노이드밸브(523) 및 제3 솔레노이드밸브(610)와 연결되어 온수를 추출유닛(500)과 희석부(600)로 각각 분기 공급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드커피용 커피머신.
  7. 제 1항에 있어서,
    거치 수거부(700)는,
    컵이 거치되는 컵 받침부(710); 및
    컵 받침부(710)의 후방에 착탈 및 본체(100) 내측으로 삽탈되며, 커피홀더(110)와 수직으로 연통되어 추출유닛(500)으로부터 배출되는 사용된 파드커피의 수가가 가능한 폐커피 수거함(72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드커피용 커피머신.
KR1020190066355A 2019-06-05 2019-06-05 파드커피용 커피머신 KR102058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355A KR102058732B1 (ko) 2019-06-05 2019-06-05 파드커피용 커피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355A KR102058732B1 (ko) 2019-06-05 2019-06-05 파드커피용 커피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8732B1 true KR102058732B1 (ko) 2019-12-23

Family

ID=69051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355A KR102058732B1 (ko) 2019-06-05 2019-06-05 파드커피용 커피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7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3801A1 (en) * 2020-09-24 2022-03-31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Collector of beverage machine with waste manage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3274A (ja) 2003-05-27 2007-02-2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ブリュー容器並びにこのようなブリュー容器を有するフォームユニット及び飲料メーカー
JP2010500101A (ja) 2006-08-10 2010-01-07 サラ リー/デーイー エヌ.ヴェー 細かい気泡の泡層が設けられている飲料又は細かい気泡の泡層を少なくとも事実上有しない飲料を提供する方法、抽出及び/又は溶解される製品で充填されているカバーを有するパッド、そのようなパッド及びホルダが設けられているアセンブリ、飲料を調製する飲料調製装置
KR101931534B1 (ko) * 2018-01-29 2018-12-21 이치우 가압 추출방식 커피머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3274A (ja) 2003-05-27 2007-02-2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ブリュー容器並びにこのようなブリュー容器を有するフォームユニット及び飲料メーカー
JP2010500101A (ja) 2006-08-10 2010-01-07 サラ リー/デーイー エヌ.ヴェー 細かい気泡の泡層が設けられている飲料又は細かい気泡の泡層を少なくとも事実上有しない飲料を提供する方法、抽出及び/又は溶解される製品で充填されているカバーを有するパッド、そのようなパッド及びホルダが設けられているアセンブリ、飲料を調製する飲料調製装置
KR101931534B1 (ko) * 2018-01-29 2018-12-21 이치우 가압 추출방식 커피머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3801A1 (en) * 2020-09-24 2022-03-31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Collector of beverage machine with waste manag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848B1 (ko)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
US6843165B2 (en) Coffee brewer
JP6564760B2 (ja) 自動コーヒードリップ装置
US5865104A (en) Food steamer
US7677158B2 (en) Beverage maker having brewing chamber adapted to receive coffee pods or loose coffee
ES2906125T3 (es) Método para la regulación de la velocidad de flujo en una máquina de expreso
EP1624780B1 (en) Coffee brewer
CN100525686C (zh) 包括酿造室和出水口的饮料制造装置
WO2004112556A1 (en) Beverage maker with adjustable brew chamber
DE102006026237A1 (de) Getränkeapparat mit Tropfwannenvorrichtung für Aufnahmebehälter verschiedener Höhen
US20090199721A1 (en) Single cup coffee brewer
US20040055472A1 (en) One-cup coffee brewer
WO2006042208A2 (en) System for producing beverages
DE202009002905U1 (de) Satz von Gegenständen, geeignet zum Gebrauch in einem Prozess zum Zubereiten eines Getränks
US20140298999A1 (en) Device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a liquid infusion for professional coffee machines
US20210219766A1 (en) Infusion beverage apparatus
WO2019072226A1 (zh) 冰箱
KR102058732B1 (ko) 파드커피용 커피머신
EP2488074B1 (en) Brewing unit for coffee brewing
KR101703818B1 (ko) 핸드 에스프레소 머신
DE102011102733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Zubereitung eines Kaltgetränkes
KR101075791B1 (ko) 캡슐커피머신의 작동시스템
CN108478011A (zh) 具有打奶功能的胶囊咖啡机
KR101002461B1 (ko)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
KR200469512Y1 (ko)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