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534B1 - 가압 추출방식 커피머신 - Google Patents

가압 추출방식 커피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534B1
KR101931534B1 KR1020180010671A KR20180010671A KR101931534B1 KR 101931534 B1 KR101931534 B1 KR 101931534B1 KR 1020180010671 A KR1020180010671 A KR 1020180010671A KR 20180010671 A KR20180010671 A KR 20180010671A KR 101931534 B1 KR101931534 B1 KR 101931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ston
syringe
hole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치우
Original Assignee
이치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우 filed Critical 이치우
Priority to KR1020180010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5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1Loose coffee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3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to be used with loose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84Sealing means for sealing the filter holder to the brewing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압 추출방식 커피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컵(C)이 안착되는 테이블(11) 및 그 테이블(11)의 상부측에 형성된 헤드(12)를 가지는 케이스(10)와; 헤드(12)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내측에 물이 공급되는 물공급홀(21)이 형성된 실린지(20)와; 실린지(20) 내부에서 승강되면서 물을 가압하기 위한 피스톤(30)과; 피스톤(30)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40)와; 실린지(20)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물을 일방향으로 통과시키는 메인체크밸브(50)와; 메인체크밸브(50)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라인딩된 원두가 수용된 포터필터(F)가 선택적으로 밀착되게 체결되는 개스킷(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압 추출방식 커피머신{coffee machine}
본 발명은 커피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스톤 가압식으로 물을 포터필터를 통과하게 하여 원두커피를 추출하는 가압 추출방식 커피머신에 관한 것이다.
커피는 포괄적으로 원두커피와 인스턴트 커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원두커피는 인스턴트 커피와 달리 원두로부터 직접 커피를 추출하기 때문에 물 안에 녹아드는 커피의 총 고형성분의 양이 많아져 향과 맛이 극대화되고, 이에 따라 주 소비층이 크게 확산되고 있다.
원두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가장 대표적으로 고온고압의 물을 그라인딩된 원두분말을 통과시켜 추출하는 고온고압 추출방식이 있으며, 이를 수행하는 커피머신은 물을 가열하기 위한 보일러와, 가열된 물을 고압으로 압송하기 위한 펌프와, 압송되는 물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압력계와, 그라인딩된 원두가 채워진 포터필터가 체결되며 상기 보일러의 물을 공급받아 상기 포타필터의 상부로 공급하는 그룹 헤드와, 그룹 헤드를 경유하는 고온의 물을 냉각되지 않도록 그 그룹헤드를 가열하기 위한 서브히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커피머신에 의하여, 보일러 및 펌프에 의하여 압송되는 고온고압의 물은 그룹헤드를 통하여 포터필터에 채워진 원두분말을 통과함으로써 원두커피가 추출된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특허등록번호 10-1297834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커피머신은, 물을 가열하기 위한 보일러, 펌프, 압력계, 그룹헤드를 가열하기 위한 서브히터등의 구성을 포함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고, 이러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기 때문에 대형의 크기 및 고가로 구현되었다. 따라서 커피머신은 주로 커피전문점에서 운영되고, 추출되는 원두커피의 가격 역시 고가로 책정될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피스톤 가압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성을 콤팩트하게 구현함과 동시에 저가로 구현할 수 있어 많은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가압 추출방식 커피머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두커피의 온도, 진하기, 추출량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어 다양한 취향을 충족시킬 수 있는 가압 추출방식 커피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압 추출방식 커피머신은, 컵(C)이 안착되는 테이블(11) 및 그 테이블(11)의 상부측에 형성된 헤드(12)를 가지는 케이스(10); 상기 헤드(12)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내측에 물이 공급되는 물공급홀(21)이 형성된 실린지(20); 상기 실린지(20) 내부에서 승강되면서 물을 가압하기 위한 피스톤(30); 상기 피스톤(30)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40); 상기 실린지(20)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물을 일방향으로 통과시키는 메인체크밸브(50); 및 상기 메인체크밸브(50)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라인딩된 원두가 수용된 포터필터(F)가 선택적으로 밀착되게 체결되는 개스킷(60)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30)은, 오링(31)이 외주면에 설치되는 피스톤몸체(32)와; 상기 피스톤몸체(32)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피스톤몸체(32)의 상부측으로 단차진 끼움공(33a)을 가지는 피스톤공간(33)과; 상기 끼움공(33a)에 끼어지는 상기 승강실린더의 실린더로드(41)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공간(33)에 이동 가능하게 내장되는 플레이트(34)와; 상기 플레이트(34)와 피스톤공간(33) 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체크밸브(50)는, 상기 실린지(20) 하부측의 상기 개스킷(6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몸체(51)와; 상기 밸브몸체(51)의 상부에 단차진 상부구멍(52a)이 형성된 상부단(52)과; 상기 밸브몸체(51)의 하부에 단차진 하부구멍(53a)이 형성된 하부단(53)과; 상기 밸브몸체(51)에 내장되어 상기 상부구멍(52a)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체크볼(54)과; 상기 밸브몸체(51)에 내장되어 체크볼(54)을 상부구멍(52a) 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55);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되는 물통(70); 및 상기 물통(70)과 물공급홀(21)을 연결하는 물공급라인(L)에 설치되는 펌프(8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라인(L)을 경유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90); 및 상기 물공급라인(L)을 경유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온도신호를 발생하는 센서(10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잇어서, 상기 물통(70)에 수용되는 물을 자화시키기 위한 자화기둥(11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후방측에는 상기 실린지(2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통(70)이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착탈공간(15)이 형성되고; 상기 물통(70)의 후방측에는 바닥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기둥홈(74)이 형성되며; 상기 자화기둥(110)은 상기 착탈공간(15)의 바닥에 형성되어 상기 물통(70)이 착탈공간(15)에 결합될 때 상기 기둥홈(74)에 끼어진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면, 피스톤 가압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성을 콤팩트하게 구현함과 동시에 경량화 및 저가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피전문점은 물론 일반가정이나 사무실등에서 손쉽게 구매함과 동시에 용이한 제품 구동을 가능하게 하여 많은 수요를 창출할 수 있다. 특히 소모품 교환이 용이하여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히터의 온도를 가변함으로써 원두커피의 온도를 다양하게 할 수 있고, 특히 히터를 작동시키지 않을 경우 콜드브루와 같은 원두커피의 추출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의 하강 속도를 달리함으로써 원두커피의 진하기나 추출량을 다양하게 할 수 있어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을 충족시킬 수 있으며, 추출 과정에서 소음이 거의 발생되지 않아 많은 사람이 근무하는 사무실이나 호텔, 또는 행사장과 같은 공간에서도 운영이 가능하다.
그리고 실린지로 공급되는 물을 육각수로 자화시킴으로써 추출되는 원두커피의 풍미를 깊게 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속이 좋지 않은 사람들도 섭취할 수 있는 원두커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 추출방식 커피머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커피머신의 단면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커피미신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
도 4는 도 2의 메인체크벨브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피스톤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도 5의 피스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2의 커피머신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압 추출방식 커피머신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 추출방식 커피머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피머신의 단면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커피미신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며, 도 4는 도 2의 메인체크벨브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2의 커피머신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압 추출방식 커피머신은, 컵(C)이 안착되는 테이블(11) 및 그 테이블(11)의 상부측에 형성된 헤드(12)를 가지는 케이스(10)와; 헤드(12)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내측에 물이 공급되는 물공급홀(21)이 형성된 실린지(20)와; 실린지(20) 내부에서 승강되면서 물을 가압하기 위한 피스톤(30)과; 피스톤(30)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40)와; 실린지(20)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물을 일방향으로 통과시키는 메인체크밸브(50)와; 메인체크밸브(50)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라인딩된 원두가 수용된 포터필터(F)가 선택적으로 밀착되게 체결되는 개스킷(60)과; 케이스(10)에 설치되는 물통(70)과; 물통(70)과 물공급홀(21)을 연결하는 물공급라인(L)에 설치되는 펌프(80)와; 물공급라인(L)을 경유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90)와; 물공급라인(L)을 경유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온도신호를 발생하는 센서(100)와; 물통(70)에 수용되는 물을 자화시키기 위한 자화기둥(110)과; 각종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1 개의 실린지(20), 피스톤(30), 승강구동부(40) 및 메인체크밸브(50)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복수개로 구현함으로써 한번에 여러잔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케이스(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상태나 온도를 표시하는 LCD 창(13)이나 동작을 위한 스위치(14)가 설치된다. 이러한 케이스(10)의 후방측에는 실린지(2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통(70)이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착탈공간(15)이 형성되고, 착탈공간(15)의 바닥에는 후술할 물통(70)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개폐돌기(72)가 눌리어지는 돌기가압턱(16)이 형성된다.
실린지(20)는 헤드(12)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피스톤(30)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주사기 형태를 이룬다.
피스톤(30)의 외주면에는 실린지(2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다수의 오링(31)이 설치된다. 오링(31)은 피스톤(30)이 승강도중에 실린지(20)로 유입된 물이 피스톤(30)과 실린지(20)의 내주면 사이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한다.
승강실린더(40)는 피스톤(30)을 실린지(20) 내부에서 승강시키는 것으로서, 피스톤(30)과 연결되어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실린더로드(41)와, 헤드(12)의 상부측 케이스(10)에 설치되어 실린더로드(41)를 출몰시키는 실린더몸체(42)로 구성된다. 이러한 승강실린더(40)는 구동방식에 따라 공압식, 유압식 또는 모터구동방식으로 구현된다.
상기 실린더로드(41)는 실린더몸체(42)에 출몰되면서 피스톤(30)을 하강 또는 상승시킬 수 있고, 하강되는 정도를 달리하여 실린지(20)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가변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추출되는 원두커피의 추출량을 달리할 수 있다.
메인체크밸브(50)는 실린지(20)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피스톤(30)이 하강할 때 물이 통과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고, 피스톤(30)이 상승할 때 유로를 폐쇄한다. 이러한 메인체크밸브(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지(20) 하부측의 개스킷(6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몸체(51)와, 밸브몸체(51)의 상부에 단차진 상부구멍(52a)이 형성된 상부단(52)과, 밸브몸체(51)의 하부에 단차진 하부구멍(53a)이 형성된 하부단(53)과, 밸브몸체(51)에 내장되어 상기 상부구멍(52a)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체크볼(54)과, 밸브몸체(51)에 내장되어 체크볼(54)을 상부구멍(52a) 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55)을 포함한다.
이러한 메인체크밸브(50)에 의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0)이 하강하면 실린지(20)의 물은 체크볼(54)을 하부단(53) 측으로 밀어 상부구멍(52a)을 개방하고, 이에 따라 물은 메인체크밸브(50)를 통하여 후술할 개스킷(60) 측으로 빠져나간다. 그리고 피스톤(30)의 하강이 멈추거나 상승하면, 체크볼(54)은 스프링(55)에 의하여 상부구멍(52a)을 폐쇄하여 메인체크밸브(50)의 유로를 폐쇄시킨다.
개스킷(60)은, 메인체크밸브(50) 하부측의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주면에 단차진 결합홈(61)이 형성되고, 결합홈(61)에는 포터필터(F)의 결합날개(F1)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물통(70)은 케이스(10)의 착탈공간(15)에 설치되어 실린지(20)로 공급하기 위한 물이 저장된다. 이러한 물통(70)의 상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를 위한 뚜껑(71)이 설치되고, 물통(70)의 바닥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개폐돌기(72)를 가지는 개폐밸브(73)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뚜껑(71)을 열고 외부에서 물을 물통(70)에 채워넣을 수 있고, 물이 채워진 물통(70)을 케이스의 착탈공간(15)에 끼어 넣을 때 개폐돌기(72)가 돌기가압턱(16)에 눌리어지면서 개폐밸브(73)의 유로가 개방되어 물이 배출된다. 배출된 물은 착탈공간(15) 하부측에 설치된 물공급라인(L) 및 펌프(80)를 통하여 실린지(20)로 공급된다.
한편, 물통(70)의 후방측에는 바닥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기둥홈(74)이 형성된다. 기둥홈(74)에는, 물통(70)이 착탈공간(15)에 결합될 때 후술할 자화기둥(110)이 끼어져 위치된다.
펌프(80)는 물통(70)의 개폐밸브(73)에서 배출되는 물을 물공급라인(L)을 통하여 실린지의 물공급홀(21)로 압송한다.
펌프(80)와 물공급홀(21) 사이의 물공급라인(L)에는 서브체크밸브(85)가 설치된다. 서브체크밸브(85)는, 전술한 메인체크밸브(50)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펌프(80)에서 압송되는 물이 물공급홀(21)을 통하여 실린지(2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반대로 실린지(20)로 유입된 물이 물공급라인(L) 측으로 역류되지 않게 한다. 즉 서브체크밸브(85)는, 피스톤(30)이 하강할 때 실린지(20)로 유입된 물이 물공급라인(L)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고, 반대로 피스톤(30)이 상승할 때 물공급라인(L)을 경유하는 물이 실린지(20)로 내측으로 유입되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서브체크밸브(85)를 채용함에 따라 상기 펌프(80)를 채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피스톤(30)이 상승할 때 서브체크밸브(85)가 개방되면서 물통(70)에서 배출되는 물이 실린지(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히터(90)는 물통(70)과 물공급홀(21)을 연결하는 물공급라인(L)을 감싸게 설치된다. 이러한 히터(90)는 인가되는 전기에 의하여 물공급라인(L)을 경유하는 물을 가열한다. 이때 히터(90)는 인가되는 전력량에 의하여 발열온도를 가변함으로서 물공급라인(L)을 경유하는 물의 온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즉, 히터(80)에 의하여, 추출되는 원두커피의 온도를 선호되는 정도에 따라 차갑게 혹은 뜨겁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센서(100)는 히터(90)에 의하여 가열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온도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로 전송한다. 이러한 센서(100)에서 발생되는 온도신호는 히터(90)가 물을 특정한 온도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는 LCD 창(13)에 표시되는 각종 버튼을 조작하여 온도를 설정할 수 있고, 이 경우 센서(100)는 히터(90)의 발열량을 제어함에 따라 물이 설정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자화기둥(110)은 착탈공간(15)의 바닥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기둥형상을 가진다. 자화기둥(110)의 내부에는 강력한 네오디윰 영구자석이 내장되며, 네오디윰 자석에서 발생되는 강력한 자력은 물을 자화시켜 육각수가 되게 한다. 이러한 자화기둥(110)은 물통(70)이 착탈공간(15)에 끼어질 때 자연스럽게 기둥홈(74)으로 진입되어 물통(70) 내측에 위치되는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자화기둥(110)에서 발생되는 자력은 물통(70)에 저장된 물을 자화시켜 육각수가 되게 하는 것이다.
육각수는 구성입자(클러스터)가 치밀하게 분포되어 입자모양이 육각형의 결정구조를 이룬다. 육각수는 물에 전기적인 성질을 띠어 살균/멸균의 효과를 가지게 하고, pH 를 높여 알칼리수가 되도록 하며, 물속의 전해질 이온과 결합하기 쉬운 상태로 활성화되어 몸에 좋은 칼슘, 마그네슘등의 필수 미네랄이 충분하게 함유되게 한다. 이러한 육각수로 추출되는 원두커피는 상기 장점에 의하여, 부드러우면서도 풍미가 있는 원두향을 발생시키고, 체내 흡수가 용이하여 속이 불편한 사람에게도 편안한 섭취를 가능하게 한다.
참고적으로, 육각수는 커피의 성분에 지대한 영향을 주어, 커피에 다량 함유된 클로로겐산을 퀸산과 카페산으로 분해하고, 이에 따라 커피원두의 쓴맛에 대한 역치가 강한 사람도 섭취가 용이한 원두커피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도 5는 도 2의 피스톤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5의 피스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추출되는 원두커피의 진하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피스톤(30)의 하강속도를 미세하게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피스톤(30)이 승강실린더(40)의 실린더로드(41)에 의하여 하강하는 동작과는 별도로, 피스톤(30) 자체가 스스로 하강되어야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피스톤(30)은 오링(31)이 외주면에 설치되는 피스톤몸체(32)와, 피스톤몸체(32)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피스톤몸체(32)의 상부측으로 단차진 끼움공(33a)을 가지는 피스톤공간(33)과, 끼움공(33a)에 끼어지는 실린더로드(41)에 연결되어 피스톤공간(33)에 이동 가능하게 내장되는 플레이트(34)와, 플레이트(34)와 피스톤공간(33) 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35)을 포함한다.
이러한 피스톤(30)에 의하여, 도 5의 상태에서, 실린더로드(41)가 약간 하강한 후 정지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몸체(32)가 정지된 상태에서 플레이트(34)가 하강하면서 스프링(35)을 가압한다. 이후 스프링(35)은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플레이트(34)로부터 피스톤몸체(32)를 서서히 하강시키고, 이에 따라 실린지(20)에 유입된 물은 메인체크밸브(50)를 통하여 서서히 배출되면서 포터필터(F)를 경유하는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추출되는 원두커피의 농도는 진하게 된다.
한편, 추출되는 원두커피의 농도를 연하게 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로드(41)를 하강시켜 피스톤(30)을 하강사킨다. 그러면 실린지(20)에 유입된 물은 메인체크밸브(50)를 통하여 빠르게 배출되면서 포터필터(F)를 경유하는 시간이 짧아지고, 이에 따라 추출되는 원두커피의 농도는 약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한 가압 추출방식 커피머신에 의하여, 원두분말이 수용된 포터필터(F)를 개스킷(60)에 결합된 상태에서, 승강실린더(40)에 의하여 피스톤(30)이 실린지(20)의 하부측에서 상부측으로 상승하면, 서브체크밸브(85)의 유로가 개방되면서 물통(70)에서 배출된 물은 물공급라인(L)을 통하여 실린지(20)로 공급된다.
이후, 승강실린더(40)에 의하여 피스톤(30)이 하강하면, 서브체크밸브(85)의 유로가 폐쇄되고 메인체크밸브(50)의 유로가 개방되면서 실린지(20)로 유입된 물이 메인체크밸브(50)를 통하여 배출되고, 이후 물은 포터필터(F)의 원두분말을 통과하면서 원두커피를 추출하게 된다.
이때 히터(90)의 방열량을 제어하여 추출되는 원두커피의 온도를 가변시킬 수 있고, 피스톤(30)의 하강속도를 달리함으로써 원두커피의 농도는 물로 추출량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스톤 가압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성을 콤팩트하게 구현함과 동시에 경량화 및 저가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피전문점은 물론 일반가정이나 사무실등에서 손쉽게 구매함과 동시에 용이한 제품구동을 가능하게 하여 많은 수요를 창출할 수 있다. 특히 소모품 교환이 용이하여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히터(90)의 온도를 가변함으로써 원두커피의 온도를 다양하게 할 수 있고, 특히 히터(90)를 작동시키지 않을 경우 콜드브루와 같은 원두커피의 추출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30)의 하강 속도를 달리함으로써 원두커피의 진하기나 추출량을 다양하게 할 수 있어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을 충족시킬 수 있으며, 추출 과정에서 소음이 거의 발생되지 않아 많은 사람이 근무하는 사무실이나 호텔 및 행사장과 같은 공간에서도 운영이 가능하다.
그리고 실린지(20)로 공급되는 물을 육각수로 자화시킴으로써 추출되는 원두커피의 풍미를 깊게 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속이 좋지 않은 사람들도 섭취할 수 있는 원두커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케이스 11 ... 테이블
12 ... 헤드 13 ... LCD 창
14 ... 스위치 15 ... 착탈공간
16 ... 돌기가압턱 20 ... 실린지
21 ... 물공급홀 30 ... 피스톤
31 ... 오링 32 ... 피스톤몸체
33 ... 피스톤공간 33a ... 끼움공
34 ... 플레이트 35 ... 스프링
40 ... 승강실린더 41 ... 실린더로드
42 ... 실린더몸체 50 ... 메인체크밸브
51 ... 밸브몸체 52 ... 상부단
52a ... 상부구멍 53 ... 하부단
53a ... 하부구멍 54 ... 체크볼
55 ... 스프링 60 ... 개스킷
61 ... 결합홈 70 ... 물통
71 ... 뚜껑 72 ... 개폐돌기
73 ... 개폐밸브 74 ... 기둥홈
80 ... 펌프 85 ... 서브체크밸브
90 ... 히터 100 ... 센서
110 ... 자화기둥

Claims (7)

  1. 컵(C)이 안착되는 테이블(11) 및 그 테이블(11)의 상부측에 형성된 헤드(12)를 가지는 케이스(10);
    상기 헤드(12)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내측에 물이 공급되는 물공급홀(21)이 형성된 실린지(20);
    상기 실린지(20) 내부에서 승강되면서 물을 가압하기 위한 피스톤(30);
    상기 피스톤(30)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40);
    상기 실린지(20)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물을 일방향으로 통과시키는 메인체크밸브(50); 및
    상기 메인체크밸브(50)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라인딩된 원두가 수용된 포터필터(F)가 선택적으로 밀착되게 체결되는 개스킷(60)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30)은, 오링(31)이 외주면에 설치되는 피스톤몸체(32)와; 상기 피스톤몸체(32)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피스톤몸체(32)의 상부측으로 단차진 끼움공(33a)을 가지는 피스톤공간(33)과; 상기 끼움공(33a)에 끼어지는 상기 승강실린더의 실린더로드(41)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공간(33)에 이동 가능하게 내장되는 플레이트(34)와; 상기 플레이트(34)와 피스톤공간(33) 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추출방식 커피머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체크밸브(50)는,
    상기 실린지(20) 하부측의 상기 개스킷(6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몸체(51)와;
    상기 밸브몸체(51)의 상부에 단차진 상부구멍(52a)이 형성된 상부단(52)과;
    상기 밸브몸체(51)의 하부에 단차진 하부구멍(53a)이 형성된 하부단(53)과;
    상기 밸브몸체(51)에 내장되어 상기 상부구멍(52a)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체크볼(54)과; 상기 밸브몸체(51)에 내장되어 체크볼(54)을 상부구멍(52a) 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추출방식 커피머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되는 물통(70); 및
    상기 물통(70)과 물공급홀(21)을 연결하는 물공급라인(L)에 설치되는 펌프(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추출방식 커피머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라인(L)을 경유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90); 및
    상기 물공급라인(L)을 경유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온도신호를 발생하는 센서(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추출방식 커피머신.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70)에 수용되는 물을 자화시키기 위한 자화기둥(1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추출방식 커피머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후방측에는 상기 실린지(2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통(70)이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착탈공간(15)이 형성되고;
    상기 물통(70)의 후방측에는 바닥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기둥홈(74)이 형성되며;
    상기 자화기둥(110)은 상기 착탈공간(15)의 바닥에 형성되어 상기 물통(70)이 착탈공간(15)에 결합될 때 상기 기둥홈(74)에 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추출방식 커피머신.
  7. 삭제
KR1020180010671A 2018-01-29 2018-01-29 가압 추출방식 커피머신 KR101931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671A KR101931534B1 (ko) 2018-01-29 2018-01-29 가압 추출방식 커피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671A KR101931534B1 (ko) 2018-01-29 2018-01-29 가압 추출방식 커피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534B1 true KR101931534B1 (ko) 2018-12-21

Family

ID=64960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671A KR101931534B1 (ko) 2018-01-29 2018-01-29 가압 추출방식 커피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5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732B1 (ko) * 2019-06-05 2019-12-23 최자령 파드커피용 커피머신
CN111358295A (zh) * 2020-04-20 2020-07-03 山东碧汀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ai交互式直饮水机
WO2020254808A1 (en) 2019-06-18 2020-12-24 HRIBARCAIN Limited Beverage maker
KR20210086523A (ko)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상화 감성 기반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890Y1 (ko) * 2009-04-15 2011-01-17 권용철 수동식 에스프레소 커피머신
US20130002108A1 (en) 2005-11-03 2013-01-03 Intelligent Coffee Company, Llc Liquid concentrate/extract beverage dispenser with replaceable concentrate/extract cartridge
KR101325504B1 (ko) * 2013-05-07 2013-11-20 백선중 상온의 정화된 자화수를 이용한 발효커피 추출장치
JP5756927B2 (ja) * 2010-03-08 2015-07-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ーヒーメーカー
KR101790083B1 (ko) * 2015-05-07 2017-10-25 오찬근 수압식 커피 추출기 및 추출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02108A1 (en) 2005-11-03 2013-01-03 Intelligent Coffee Company, Llc Liquid concentrate/extract beverage dispenser with replaceable concentrate/extract cartridge
KR200451890Y1 (ko) * 2009-04-15 2011-01-17 권용철 수동식 에스프레소 커피머신
JP5756927B2 (ja) * 2010-03-08 2015-07-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ーヒーメーカー
KR101325504B1 (ko) * 2013-05-07 2013-11-20 백선중 상온의 정화된 자화수를 이용한 발효커피 추출장치
KR101790083B1 (ko) * 2015-05-07 2017-10-25 오찬근 수압식 커피 추출기 및 추출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732B1 (ko) * 2019-06-05 2019-12-23 최자령 파드커피용 커피머신
WO2020254808A1 (en) 2019-06-18 2020-12-24 HRIBARCAIN Limited Beverage maker
GB2584997A (en) * 2019-06-18 2020-12-30 Hribarcain Ltd Beverage maker
KR20210086523A (ko)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상화 감성 기반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CN111358295A (zh) * 2020-04-20 2020-07-03 山东碧汀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ai交互式直饮水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534B1 (ko) 가압 추출방식 커피머신
US7210401B1 (en) Single cup pod beverage brewer
KR101448230B1 (ko) 냉수를 이용한 커피 추출장치
US7698992B2 (en) Multi-function coffee maker
US9021939B2 (en) Tea maker
US8601937B2 (en) Apparatus for making coffee
CN205514121U (zh) 一种全自动咖啡酿造装置
CN104066362B (zh) 冲泡机
WO2016132412A1 (ja) 飲料供給装置
CN102987921B (zh) 茶机
CN208491776U (zh) 一种具备研磨功能的便携式意式咖啡机
US20070196551A1 (en) Method for making coffee
US20120297987A1 (en) Universal espresso maker
US20130068108A1 (en) Single and Multi-Cup Coffee Maker
CN207640188U (zh) 一种饮料冲泡机
JP2016522045A (ja) ダッチコーヒーのドリップ装置
CN107072426A (zh) 浓缩咖啡提取装置
KR101679147B1 (ko) 휴대용 캡슐 음료 추출 장치
KR20090039858A (ko) 커피 추출 장치
CN209136227U (zh) 一种咖啡冲泡装置
CN104605696B (zh) 一种茶壶
KR200480686Y1 (ko) 휴대용 에스프레소 머신
KR101344359B1 (ko) 캡슐음료 추출장치
CN206525935U (zh) 一种便携式咖啡机
CN208129925U (zh) 一种压滤式咖啡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