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647B1 - 무선충전 기능이 포함된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무선충전 기능이 포함된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647B1
KR102058647B1 KR1020190083675A KR20190083675A KR102058647B1 KR 102058647 B1 KR102058647 B1 KR 102058647B1 KR 1020190083675 A KR1020190083675 A KR 1020190083675A KR 20190083675 A KR20190083675 A KR 20190083675A KR 102058647 B1 KR102058647 B1 KR 102058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using
wireless charging
dust collec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수
정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드메탈
정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드메탈, 정현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드메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24F3/16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 후 세척이 용이하면서 스마트기기들의 무선충전도 동시에 할 수 있는 무선충전 기능이 포함된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하측 하우징의 수납홈에 수납되어 대기중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공기순환부와, 수용성 아크릴 수지와 금속재분말을 혼합한 코팅층이 코팅된 먼지 집진부와 무선충전 겸용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어, 단독 또는 매립시켜 사용하여 활용성을 높이면서 먼지 집진부에 코팅한 코팅층에 의해 전원 인가시에는 먼지 집진부의 (-)전류가 코팅층의 금속재분말에 의해 코팅층 표면에 통전되어 코팅층 표면에 포집되고, 전원 차단시에는 코팅층의 수용성 아크릴 수지에 의해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면서 무선충전기능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면서, 공기정화의 효율성 및 터치방식으로 전원의 ON/OFF 및 단수를 조정하여 사용자의 감성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충전 기능이 포함된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충전 기능이 포함된 공기청정기{Purifier with wireless charging function}
본 발명은 공기청정 후 세척이 용이하면서 스마트기기들의 무선충전도 동시에 할 수 있는 무선충전 기능이 포함된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공기중 오염물질을 집진하여 실내의 공기를 청정화시키기 위한 공기청정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650212호 음이온과 오존 발생기를 구비한 컴팩트한 공기청정기(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를 통해 등록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은 흡입 공기가 내부를 통하여 방출되고 기기의 골격을 이루는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의 내측에 배치되고, 기판상에 설치되어 음극의 고전압 인가시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극대전수단 및, 상기 기판상에 상기 음극대전수단과 일정간극을 형성토록 제공되고 양극의 고전압 인가시 음극대전수단과 협력하여 오존을 발생시키는 양극대전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대전수단의 고전압 인가는 온/오프되도록 구성된 음이온 및 오존 발생기 및 상기 음이온 및 오존발생기 보다는 상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몸체부재에 착탈되는 레일수단에 부착되어 공기순환을 가능하게 제공된 팬수단을 발명의 필수 구성요소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음이온과 오존을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시키는 한편, 특히 전체적으로 컴팩트한 구조로 개선되면서, 공기의 흡입,방출을 가능하게 하는 팬의 탈부착이 가능하여 공기청정기의 내부 청소를 용이하게 하면서, 팬의 위치가 음이온이나 오존 발생부분보다 위에 위치되어 방출 공기중의 음이온이나 오존이 팬날개에 부착됨에 따른 공기정화효율 저하를 방지시키는 것을 발명의 목적 및 효과로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KR10-0650212 B1 음이온과 오존 발생기를 구비한 컴팩트한 공기청정기
이상과 같이 공기청정기는 종래의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해결하면서, 새로운 기능부여를 통해 활용도(예를들어, 조명수단(등록실용신안20-0204548)를 높이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가정 또는 사무 공간에 단순 배치될 뿐, 복합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지 아니하며, 특히, 공기청정기가 배치된 영역은 공간 활용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일반적인 공기청기의 경우 포집된 먼지를 제거하는 과정이 쉽지 않은 문제점도 노출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 기능이 포함된 공기청정기는 탁상용이나 차량용 및 하우징의 하측 하우징보다 상측 하우징이 더 넓게 형성되어 가구 등에 매립한 상태로도 사용할 수 있어 활용성이 높으며, 먼지 집진부에 코팅한 코팅층에 의해 전원 인가시에는 먼지 집진부의 (-)전류가 코팅층의 금속재분말에 의해 코팅층 표면에 통전되어 코팅층 표면에 포집되고, 전원 차단시에는 코팅층의 수용성 아크릴 수지에 의해 이물질을 털어내거나 세척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무선충전 기능이 포함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측 하우징에 외부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순환부와 음이온 발생부가 수납되는 제1 수납홈과 공기정화가 이루어진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먼지 집진부가 결합하는 제2 수납홈을 격막을 통해 구획하여 음이온이 포함된 공기가 섞이지 않도록 하여 공기정화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치 스위치를 적용하여 사용자가 무선충전 겸용 커버의 터치만으로 하우징에 먼지 집진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공기순환부 및 음이온 발생부를 ON/OFF시킬 수 있음은 물론, 공기순환부의 단수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감성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탁상용이나 차량용 및 하우징의 하측 하우징보다 상측 하우징이 더 넓게 형성되어 가구 등에 매립한 상태로도 사용할 수 있어 활용성이 높으며, 먼지 집진부에 코팅한 코팅층에 의해 전원 인가시에는 먼지 집진부의 (-)전류가 코팅층의 금속재분말에 의해 코팅층 표면에 통전되어 코팅층 표면에 포집되고, 전원 차단시에는 코팅층의 수용성 아크릴 수지에 의해 이물질을 털어내거나 세척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하측 하우징에 외부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순환부와 음이온 발생부가 수납되는 제1 수납홈과 공기정화가 이루어진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먼지 집진부가 결합하는 제2 수납홈을 격막을 통해 구획하여 음이온이 포함된 공기가 섞이지 않도록 하여 공기정화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터치 스위치를 적용하여 사용자가 무선충전 겸용 커버의 터치만으로 하우징에 먼지 집진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공기순환부 및 음이온 발생부를 ON/OFF시킬 수 있음은 물론, 공기순환부의 단수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감성품질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 기능이 포함된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 상세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하우징(30)은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책상과 같은 가구에 매립할 수도 있도록 상단의 상측 하우징(20)이 하측 하우징(10)보다 더 넓은 크기로 구성된다.
이러한, 하우징(30)의 하측 하우징(10)은 상측만 개방된 상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제1, 2 수납홈(11, 12)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수납홈(12)에 인접하게 전원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측 하우징(20)은 상기 하측 하우징(10)의 상측을 덮을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상측 하우징(20)은 상측으로 홈형태의 모선충전모듈 안착홈(21)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공기순환부(40)는 상술한 하우징(30)을 구성하고 있는 하측 하우징(10)의 제1 수납홈(11)에 수납되어 있으며, 전원 인가시 내부의 팬(도면에 미도시)이 구동하여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41)와 상기 흡입구(41)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42)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음이온 발생부(50)는 상술한 하우징(30)을 구성하고 있는 하측 하우징(10)의 제1 수납홈(11)에 수납되어 전원 인가시 음이온을 외부로 생성하여 방출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음이온 발생부(50)는 음이온이 방출될 수 있는 구성이 공기순환부(40)를 구성하는 배출구(42)와 인접된 위치에 형성되어 음이온을 대기 중으로 확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먼지 집진부(60)는 전기가 통전될 수 있는 전도체 재질로 이루어져 하우징(30)을 구성하고 있는 하측 하우징(10)의 제2 수납홈(12)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먼지 집진부(60)는 하측 하우징(10)의 제2 수납홈(12)에 수납시 전원부(13)와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어, 전원부(13)와의 접촉시, 다시 말해, 하우징(30)에 먼지 집진부(60)의 결합시에만 통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때에, 먼지 집진부(60)에 흐르는 전류는 (-)전류만 통전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내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먼지 집진부(60)는 하나 이상의 공기배출홀(6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배출홀(61)은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원형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무선충전 겸용 커버(70)는 상술한 하우징(30)을 구성하고 있는 상측 하우징(20)의 상단에 배치되는 것으로, 먼지 집진부(60)가 형성된 위치에는 먼지 집진부(60)가 결합될 수 있도로 집진부 결합부(71)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으로는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공기흡입홀(7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73)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흡입홀(72)은 먼지 집진부(60)의 공기배출홀(61)과 같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무선충전모듈(90)은 하우징(30)을 구성하는 상측 하우징(20)의 무선충전모듈 안착홈(21)에 안착되되 상측면은 무선충전 겸용 커버(70)와 맞닿도록 하여 무선충전 겸용 커버(70)를 통해 IT기기 들을 무선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코팅제(80)는 도 3에서와 같이 상술한 먼지 집진부(40)에 코팅되는 구성이다.
상기 코팅부(80)는 실리콘 아크릴 레이트 모노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유기용제 및 개시제를 혼합하여 형성된 실리콘 변성아크릴 수지를 유화제 및 물을 이용해 수용화시킨 수용성 수지 65 ∼ 75중량%, 물 10 ∼ 20중량%,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이중 랜덤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의 이상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비드 1 ∼ 5중량%, 수용성 경화제 10 ∼ 20중량%로 이루어진 수용성 아크릴 수지(81)와 전기 통전이 되는 금속재분말(82)을 6:4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코팅제 조성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수용성 아크릴 수지(81)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수용성 수지는 이물질의 부착 후 이물질의 탈락 성능을 높이기 위한 기능과 더불어 코팅시 먼지 집진부(60)의 표면에서의 코팅력 및 내후성이 우수한 성분으로서 임계치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코팅층(80)의 두께가 두꺼워져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물의 사용량의 증가로 인해 점도가 낮아져 코팅층(80)의 형성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폴리에틸렌 비드는 표면적을 조정하여 코팅층(80)이 매끄럽게 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의 부착 후 탈락 성능을 높여 먼지 집진부(60)를 사용 후 깨끗한 상태로 청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용성 경화제는 수용성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한 아민계 경화제로서 부착성과 내후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표면의 마찰력이 작은 소재에도 잘 코팅될 수 있는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은 수용성 경화제는 임계치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코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소재와의 부착성 및 내후성이 약해지고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건조가 더디게 이루어져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코팅층(80)을 구성하는 수용성 수지는 실리콘 아크릴 레이트 모노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유기용제 및 개시제를 혼합하여 형성된 실리콘 변성아크릴 수지를 유화제 및 물을 이용해 수용화시켜 형성된다.
여기서,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실리콘 단말기에 아크릴레이트가 있어 수지 합성이 가능한 성분으로 너무 적은량을 혼합할 경우 코팅층(80)의 표면에 이물질의 탈락 성능이 저하되고, 너무 많은량을 혼합할 경우 먼지 집진부(60)의 표면에서의 부착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수용성 아크릴 수지(81)에 금속재분말(82)을 6:4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형성함으로써 먼지 집진부(60)의 전체에 코팅되어 하우징(30)에 먼지 집진부(60)의 수납시에는 (-)전류를 공급받아 코팅부(80)의 금속재분말(82)에 의해 코팅부(80)의 표면에 대기 중의 이물질이 포집되고, 먼지 집진부(60)가 하우징(30)에서 탈착시에는 공기순환부(40), 음이온 발생부(50)로 인가된 전원이 차단됨과 동시에 먼지 집진부(60)로 인가되던 (-)전류도 차단되어 사용자가 먼지 집진부(60)의 표면에 코팅된 코팅층(80)에 포집되었던 먼지를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성 아크릴 수지(81)의 양이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전류의 통전량이 작아지게 되어 이물질의 포집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수용성 아크릴 수지(81)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코팅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음은 물론, 코팅층(80) 표면에 포집된 먼지가 쉽게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30)을 구성하고 있는 하측 하우징(100의 제1, 2 수납홈(11, 12)의 형성시 격막(15)을 통해 제1, 2 수납홈(11, 12)을 구획하여 공기순환부(4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와 음이온 발생부(50)를 통과하여 음이온이 포함된 공기가 섞이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측 하우징(10)에 무선충전 겸용 커버(70)와 맞닿는 터치 스위치(14)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터치 스위치(14)와 맞닿는 위치의 무선충전 겸용 커버(70)의 터치시 공기순환부(40) 및 음이온 발생부(50)의 구동을 ON/OFF시킬 수 있도록 작동시킬 수 있으며, 특히, 상기 공기순환부(40)의 속도 조절을 통해 여러 단계로 공기를 흡입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 기능이 포함된 공기청정기의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 기능이 포함된 공기청정기(100)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 배출시 음이온의 배출과 함께 공기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 후 청정의 공기를 배출하여 공기청정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용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면, 하우징(30)을 구성하고 있는 하측 하우징(10)에 먼지 집진부(60)가 수납되면 하측 하우징(20)에 형성되어 있던 전원부(12)에 먼지 집진부(60)가 맞닿게 된다.
그러면, 먼지 집진부(60)에 (-)전류가 인가됨과 동시에 공기순환부(40) 및 음이온 발생부(50)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 스위치(14)와 인접한 위치의 무선충전 겸용 커버(70)를 터치하게 되면 공기순환부(40)에 전원이 인가되어 공기순환부(40)가 구동하여 공기순환부(40)의 흡입구(41)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고, 이렇게 흡입된 공기는 배출구(42)를 통해 다시 대기 중으로 배출이 이루어진다.
이와 동시에 음이온 발생부(50)에도 전원이 인가되어 음이온 발생부(50)에서 음이온이 발생되고, 이렇게 발생한 음이온은 공기순환부(40)의 배출구(42)에 인접한 위치로 음이온을 배출함으로써 공기순환부(40)의 배출구(4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대기 중으로 확산된다.
한편, 상기 공기순환부(40)의 배출구(4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그 선단에 배치되어 있는 먼지 집진부(60)의 공기배출홀(61)을 통과한 후에 대기 중으로 공기가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먼지 집진부(60)는 전도체 재질로 이루어져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전류가 통전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순환부(40)의 배출구(42)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먼지 집진부(60)의 전체 표면에는 이물질의 탈락이 잘 이루어질 수 있는 성분인 수용성 아크릴 수지(81)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금속재분말(82)이 포함되어 있는 코팅층(8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 인가에 의해 (-)전류가 먼지 집진부(60)에 흐르게 되면 코팅층(80)의 금속재분말(82)에 의해 코팅층(80)에도 (-)전류가 흐르게 되어 공기순환부(40)의 배출구(42)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은 먼지 집진부(60)에 코팅된 코팅층(80)의 표면에 포집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지속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 기능이 포함된 공기청정기(100)는 오랫동안 사용할 경우 먼지 집진부(60)에 이물질이 많이 집진되어 청소를 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무선충전 겸용 커버(70)의 집진부 결합부(71)에 먼지 집진부(60)가 결합되어 있어 사용자가 먼지 집진부(60)를 꺼내게 되면 하우징(30)의 하측 하우징(10)에 형성된 전원부(14)와 먼지 집진부(60)가 맞닿지 않은 상태가 되어 먼지 집진부(60)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됨은 물론, 공기순환부(40) 및 음이온 발생부(50)로 인가되는 전원도 차단된다.
당연히 코팅층(80)에도 더 이상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면서 이물질의 탈락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코팅층(80)의 수용성 아크릴 수지(81)에 의해 코팅층(80)의 표면에 포집되어 있던 이물질을 사용자가 빠르고 손쉽게 털어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무선충전 겸용 커버(70)의 터치를 통해 전원 ON/OFF 및여러 단계로 공기순환부(40)를 구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 및 감성품질을 높일 수 있다.
으며, 더욱이, 하측 하우징(10)의 제1, 2 수납홈(11, 12)을 격막(15)을 통해 구획하여 음이온이 포함되지 않은 공기와 음이온이 포함된 공기를 구획하여 음이온이 포함된 공기가 다시 공기순환부(4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공기정화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이 기능이 포함된 공기청정기(100)에는 무선충전 겸용 커버(7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무선 충전 겸용 커버(70)는 공기순환부(40) 및 음이온 발생부(50)의 작동과는 별도로 항상 무선충전모듈(90)이 전원을 인가받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탁상용, 차량용 뿐만 아니라 가구 등에 매립되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 기능이 포함된 공기청정기(100)는 공기 청정 기능은 물론 무선충전이 가능한 스마트 기기들의 충전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다.
30 : 하우징
10 : 하측 하우징
11 : 제1 수납홈 12 : 제2 수납홈 13 : 전원부 14 : 터치 스위치
15 : 격막
20 : 상측 하우징
21 : 무선충전모듈 안착홈
40 : 공기순환부
41 : 흡입구 42 : 배출구
50 : 음이온 발생부
60 : 먼지 집진부
61 : 공기배출홀
70 : 무선충전 겸용 커버
71 : 집진부 결합부 72 : 공기흡입홀 73 : LED
80 : 코팅층
81 : 수용성 아크릴 수지 82 : 금속재분말
90 : 무선충전모듈
100 : 무선충전 기능이 포함된 공기청정기

Claims (5)

  1. 내측으로 제1, 2 수납홈과 전원부를 포함하는 하측 하우징과 상기 하측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하되 상측으로 무선충전모듈 안착홈을 형성하고 있는 상측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하측 하우징의 제1 수납홈에 수납되어 대기중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공기순환부;
    상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하측 하우징의 제1 수납홈에 수납되어 있으며 음이온을 발생하여 공기순환부의 배출구 측을 통해 음이온을 방출하는 음이온 발생부;
    상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하측 하우징의 제2 수납홈에 수납되어 전원부와 맞닿아 공기순환부 및 음이온 발생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원 및 (-)전류를 공급받도록 작동하는 다수의 그릴을 포함하는 전기가 전도되는 재질의 먼지 집진부;
    상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상측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하며, 먼지 집진부가 형성된 위치에는 먼지 집진부가 결합할 수 있도록 집진부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집진부 결합부를 제외한 내측에는 공기순환부의 작동시 흡입구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공기흡입홀을 형성하며,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로 이루어진 무선충전 겸용 커버;
    상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상측 하우징의 무선충전모듈 안착홈에 안착되되 상측면은 무선충전 겸용 커버에 맞닿아 무선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합되는 무선충전모듈;
    상기 먼지 집진부에 코팅되되 실리콘 아크릴 레이트 모노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유기용제 및 개시제를 혼합하여 형성된 실리콘 변성아크릴 수지를 유화제 및 물을 이용해 수용화시킨 수용성 수지 65 ∼ 75중량%, 물 10 ∼ 20중량%,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이중 랜덤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의 이상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비드 1 ∼ 5중량%, 수용성 경화제 10 ∼ 20중량%로 이루어진 수용성 아크릴 수지와 전기 통전이 되는 금속재분말을 6:4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코팅제 조성물로 코팅된 코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코팅부는 먼지 집진부의 전체에 코팅되어 하우징에 먼지 집진부의 수납시에는 (-)전류를 공급받아 코팅부의 금속재분말에 의해 코팅부의 표면에 대기 중의 이물질이 포집되고, 하우징에서 탈착시에는 공기순환부, 음이온 발생부로 인가된 전원이 차단됨과 동시에 먼지 집진부로 인가되던 (-)전류도 차단되어 사용자가 먼지 집진부의 표면에 코팅된 코팅층에 포집되었던 먼지를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무선충전 기능이 포함된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하측 하우징의 제1, 2 수납홈은 격막에 의해 구획되어 공기정화를 위해 흡입되는 공기와 음이온이 포함되어 배출되는 공기가 섞이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무선충전 기능이 포함된 공기청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하측 하우징에는 무선충전 겸용 커버에 맞닿는 터치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하우징에 먼지 집진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무선충전 겸용 커버의 터치시 공기순환부 및 음이온 발생부의 구동을 ON/OFF 기능과 더불어 공기순환부의 속도 조절을 통해 여러 단계로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무선 충전기능이 포함된 공기청정기.
  4. 삭제
  5. 삭제
KR1020190083675A 2019-03-13 2019-07-11 무선충전 기능이 포함된 공기청정기 KR1020586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28601 2019-03-13
KR1020190028601 2019-03-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8647B1 true KR102058647B1 (ko) 2019-12-23

Family

ID=69051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675A KR102058647B1 (ko) 2019-03-13 2019-07-11 무선충전 기능이 포함된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6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846B1 (ko) * 2021-02-18 2021-11-24 고슬아 실내용 연무발생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2950A1 (en) * 2000-10-11 2004-02-05 Christian Jung Method for coating metal surfaces with an aqueous, polymer-containing composition, said aqueous composition and the use of the coated substrates
KR101957095B1 (ko) * 2018-02-23 2019-03-11 (주)에어비타 전기집진 기능을 갖는 소형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2950A1 (en) * 2000-10-11 2004-02-05 Christian Jung Method for coating metal surfaces with an aqueous, polymer-containing composition, said aqueous composition and the use of the coated substrates
KR101957095B1 (ko) * 2018-02-23 2019-03-11 (주)에어비타 전기집진 기능을 갖는 소형 공기청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846B1 (ko) * 2021-02-18 2021-11-24 고슬아 실내용 연무발생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72789B (en) Air cleaner
CN203829865U (zh) 静电与活性炭结合式空气净化器
KR101995960B1 (ko) 휴대용 공기청정기
CN103949343A (zh) 空气净化装置
KR102058647B1 (ko) 무선충전 기능이 포함된 공기청정기
JP5157170B2 (ja) 加湿装置
KR20180043561A (ko) 정전기 에어필터
JP2018044762A (ja) 加湿空気清浄機
JP5609934B2 (ja) 加湿機能付き空気清浄機
CN1450936A (zh) 空气净化器
KR20160090459A (ko) 공기체류시간을 연장한 공기청정기
KR102035127B1 (ko) 다용도 휴대용 송풍장치
JP3948245B2 (ja) 空気調和機
CN201172347Y (zh) 黑板吸尘装置
CN203829866U (zh) 引流进风式空气净化器
KR101510611B1 (ko) 액자형 공기정화기
KR102039297B1 (ko) 공기 청정기
JP2018141567A (ja) 空気清浄機および扇風機として機能する装置
JP2012075822A (ja) 電気掃除機
KR101896146B1 (ko) 가습 공기 청정기
KR200297518Y1 (ko) 공기청정기
KR102267005B1 (ko) 고풍속 저전력 저온 플라즈마 공기청정기
JP6701741B2 (ja) 空気清浄機
KR20040020404A (ko) 공기청정기
KR102401811B1 (ko) 초미세먼지 제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