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951B1 -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951B1
KR102057951B1 KR1020147014781A KR20147014781A KR102057951B1 KR 102057951 B1 KR102057951 B1 KR 102057951B1 KR 1020147014781 A KR1020147014781 A KR 1020147014781A KR 20147014781 A KR20147014781 A KR 20147014781A KR 102057951 B1 KR102057951 B1 KR 102057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
dispenser
driver
ring member
joi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4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9514A (ko
Inventor
캐탈 듀이그넌
아인 그리어슨 맥더먼트
Original Assignee
유로-셀띠끄 소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로-셀띠끄 소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유로-셀띠끄 소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140079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7Mechanical counters
    • A61M15/0071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 A61M15/0073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on a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61M15/0025Mouthpieces therefor with caps
    • A61M15/0026Hinged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7Mechanical counters
    • A61M15/0071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 A61M15/0075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on a dis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Inhalators using medicine packages with incorporated spraying means, e.g. aerosol c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1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1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 A61M15/0093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without arming or cocking, e.g. acting directly on the delivery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61M16/12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by mixing different g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04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driving the stage of lowest ord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08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 G06M1/083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by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1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 A61M15/0096Hindering inhalation before activation of the dispen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Nozzles (AREA)
  • Vacuum Packag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펜서들에 관한 것이며, 특히 기체성(gaseous), 기체-함유(gas borne) 또는 액적 물질의 투여량을 물질원으로부터 토출하기 위한 디스펜서들 및 투여량 카운터들을 포함하는 디스펜서들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체성(gaseous), 기체-함유(gas borne) 또는 액적(droplet) 물질의 투여량을 물질원으로부터 토출(dispense)하기 위한 디스펜서로서, 상기 디스펜서는: 물질원을 수용하기 위한 몸체로서, 마우스피스를 구비한 몸체; 물질원으로부터 물질의 투여량을 방출하기 위한 상기 몸체의 종축 내의 움직임을 위해 상기 몸체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접합 부재로서, 물질원의 분출구(spout)를 수용하기 위한 소켓을 포함하는 접합 부재; 물질원으로부터 물질의 투여량을 방출하도록 상기 몸체의 종축 방향으로 상기 접합 부재를 이동시키는 디스펜서 구동기(driver)로서, 피봇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 상에 배치된 캠을 포함하고, 상기 피봇 샤프트의 회전은 상기 캠을 회전하게 하고 상기 접합 부재에 힘을 가하도록 하여 상기 종축 방향으로 상기 접합 부재가 움직이도록 상기 몸체 내에 배치되는, 디스펜서 구동기; 및 상기 몸체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캠 종동부로서, 상기 캠 종동부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디스펜서 구동기 및 상기 접합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펜서 구동기의 캠에 의해 상기 돌기에 가해지는 힘은 상기 캠 종동부를 상기 몸체의 종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이동하게 하고, 물질원으로부터 투여량의 물질을 방출하도록 상기 접합 부재에 힘을 가하는 종동부;를 포함하는,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펜서{Dispenser}
본 발명은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며, 특히 기체성(gaseous), 기체-함유(gas borne) 또는 액적 물질의 투여량을 물질원으로부터 토출(dispense)하기 위한 디스펜서 및 투여량 카운터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량된 투여량 흡입기(MDI)는 예를 들어 에어로솔 형태로 폐 안으로 약물들을 토출(dispense)하기 위한 장치이다. 넓게 말하자면 MDI와 같은 디스펜서들은 2개의 구성요소들인: 컨테이너 및 전달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컨테이너는 액상을 유지하는 고압 하에서 예컨대 추진제(propellant)에 용해되거나 현탁되는 약물을 담게 된다. 덧붙여 상기 컨테이너는 밸브가 작동될 때 재생가능한 정확히 측정된 투여량의 약물을 방출하도록 설계된 내측 계량 밸브를 종종 포함한다. 상기 전달 장치는 전형적으로 액추에이터와 마우스피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흡입하거나 수동식 작동으로 사용자에 의해 촉발(trigger)될 수 있는 액추에이터는 투여량의 방출을 유도하기 위하여 전형적으로 상기 컨테이너의 계량 밸브와 상호작용한다. 상기 마우스피스는 약물을 사용자로 향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전에 다수의 디스펜서들이 설명되었으며 예를 들어 미국 특허 US 7,721,731호에 설명되어 있다. 또한 그러한 디스펜서들과 함께 이용되는 투여량 카운터들이 개시되어 왔으며, 예를 들어 국제출원공개 WO 2010/103315호에 개시되어 있다. 투여량 카운터들 및 디스펜서들의 다른 예시들은 국제출원공개 WO2005/060535호, 영국 특허출원 GB2372542호 및 미국 특허출원 US2011/259324호에서 찾을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및 카운터의 이용중, 제조 허용오차는 경우에 따라서는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밝혀져 있다. 그러하기에, 개량된 디스펜서 및 개량된 카운터의 필요성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체성(gaseous), 기체-함유(gas borne) 또는 액적(droplet) 물질의 투여량을 물질원으로부터 토출(dispense)하기 위한 디스펜서로서, 상기 디스펜서는: 물질원을 수용하기 위한 몸체로서, 마우스피스를 구비한 몸체; 물질원으로부터 물질의 투여량을 방출하기 위한 상기 몸체의 종축 내의 움직임을 위해 상기 몸체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접합 부재로서, 물질원의 분출구(spout)를 수용하기 위한 소켓을 포함하는 접합 부재; 물질원으로부터 물질의 투여량을 방출하도록 상기 몸체의 종축 방향으로 상기 접합 부재를 이동시키는 디스펜서 구동기(driver)로서, 피봇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 상에 배치된 캠을 포함하고, 상기 피봇 샤프트의 회전은 상기 캠을 회전하게 하고 상기 접합 부재에 힘을 가하도록 하여 상기 종축 방향으로 상기 접합 부재가 움직이도록 상기 몸체 내에 배치되는, 디스펜서 구동기; 및 상기 몸체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캠 종동부로서, 상기 캠 종동부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디스펜서 구동기 및 상기 접합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펜서 구동기의 캠에 의해 상기 돌기에 가해지는 힘은 상기 캠 종동부를 상기 몸체의 종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이동하게 하고, 물질원으로부터 투여량의 물질을 방출하도록 상기 접합 부재에 힘을 가하는 종동부;를 포함하는, 디스펜서가 제공된다.
상기 접합 부재와 상기 캠 사이의 캠 종동부를 규정함으로써, 약물 컨테이너로부터 약물의 투여량의 방출을 실시(effect)하기 위한, 상기 몸체 내에 상기 접합 부재의 더 신뢰성 있는 길이방향 움직임이 제공된다. 상기 돌기들은 실질적으로 강성이므로, 상기 캠 구성체(arrangement)가 상기 돌기 상에 상방향 힘을 줌에 따라 상기 전체 캠 종동부는 길이방향으로 위아래로 움직인다. (본체 부품의 일 단부에 설부들이 앵커링(anchor)된) 이전 버전들에서는 설부들이 고정된 단부에서 굽었을(flex) 것이며, 상기 설부들은 힘 하에서 만곡되고 휘는(buckle) 경향이 있어 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들은 제 위치에서 강성인 채로 유지되며, 대신에 상기 캠 종동부는 상기 본체 부품의 안내부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움직인다. 그러하기에, 이것은 상기 접합 부재(41)의 더 신뢰성 있는 길이방향 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들에서, 상기 몸체는 상기 종축 방향으로의 캠 종동부 베이스의 슬라이드 가능한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슬라이드 가능한 맞물림으로 상기 캠 종동부의 상기 베이스를 수용하도록 형상화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내부는 하나 이상의 안내 레일들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 내에서 상기 캠 종동부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안내 레일들이 상기 캠 종동부 베이스 상에서 하나 이상의 안내 레일들과 협동하게끔 구성 및 적합화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캠 종동부는 상기 몸체 내 대응되도록 형상화된 돌기와의 맞물림을 위해 상기 베이스의 하부 에지 상에 배치된 탄성 변형가능한 클립을 더 포함하며, 상기 클립이 상기 돌기와 맞물릴 때 상기 캠에 의해 상기 캠 종동부 상에 힘이 가해질 때까지 상기 캠 종동부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위치에서 유지된다. 그러한 클립은 상기 디스펜서의 제조 동안에 조립을 돕는데, 이는 상기 클립은 상기 캠 종동부 주변에 다른 구성요소들이 조립되는 동안 상기 캠 종동부를 정확한 위치로 유지시킬 것이기 때문이다.
실시예들에서,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마우스피스를 위한 피봇식으로 장착된 폐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폐쇄부는 상기 디스펜서 구동기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커버의 피봇 작용(pivoting)이 상기 디스펜서 구동기의 상기 피봇 샤프트의 회전을 일으킨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디스펜서는: 물질을 포함하는 기체 및/또는 액체의 방출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접합 부재에 포함된 호흡 작동가능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는: 투여량의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유연성 튜브로서, 상기 접합 부재 소켓에 연결된 유입구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준비 위치에서 상기 밸브의 폐쇄를 위해 킹크 가능한 위치(kinkable position)를 가지며, 상기 밸브의 열림을 위해 상기 튜브가 킹크 해제되는 해제 위치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튜브의 킹크(kink)/킹크 해제(un-kink)를 위해 이동가능한 유출구 단부를 갖는, 튜브; 및 상기 유연성 튜브의 상기 유출구 단부를 유지하고, 상기 유연성 튜브의 킹크/킹크 해제 운동의 제어를 위해 상기 접합 부재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유출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는 상기 피봇식 유출구 부재가 준비 위치에 있을 때 밀폐하는 정도로 킹크되고, 상기 피봇식 유출구 부재가 해제 위치로 움직일 때 킹크 해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펜서는: 흡입에 앞서 상기 준비 위치에 상기 유출구 부재를 유지시키기 위한 상기 유출구 부재 상의 멈춤쇠(sear); 상기 접합 부재 상에 유지되고, 흡입 호흡의 작용을 위해 구성된 호흡 작동가능 플랩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플랩은: 상기 멈춤쇠에 상보적인 걸쇠를 구비하며; 상기 플랩은: 상기 걸쇠와 상기 멈춤쇠의 협동 작동에 의한 상기 유연성 튜브의 킹크된 폐쇄를 위해 상기 피봇식 유출구 부재를 해제가능하도록 수용하도록, 그리고 상기 걸쇠로부터의 상기 멈춤쇠의 해제 및 상기 유출구 부재의 상기 해제 위치로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튜브의 킹크 해제 및 흡입 시의 물질 방출을 위해 상기 피봇식 유출구 부재를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플랩이다.
이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피봇식 유출구 부재는 상기 킹크된 위치에서의 압력으로부터 발생되는 힘에 의해, 그리고/또는 상기 킹크된 위치 자체의 탄성 하에서, 움직이도록 구성(arrange)된다. 게다가, 상기 접합 부재, 상기 킹크 튜브, 및 상기 피봇식 유출구 부재는 일체형 플라스틱 재료 사출 몰딩(moulding)일 수 있으며, 상기 피봇식 유출구 부재는 하나 이상의 리빙 힌지들에 의해 상기 접합 부재로 피봇되고, 상기 유출구 부재에 의해 유지되는 유출구 노즐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상기 플랩은 상기 접합 부재를 상방향 위치로 법선 방향으로(normally) 편향시키도록 상기 접합 부재 상에 작용하는 일체형 스프링을 가지며, 상기 상방향 위치에서 상기 플랩은 상기 접합 부재의 상부 크라운 부분 상에 놓인다. 게다가, 상기 플랩은, 흡입 호흡의 작용 하에 상기 플랩이 움직임에 따라, 상기 피봇된(pivoted) 유출구 부재 상에 작용하여 유출구 부재의 개방 위치를 향해 유출구 부재를 강제(urge)하도록 구성된 핑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상기 디스펜서는, 물질원으로부터 토출된 투여량들의 수 또는 물질원에 남아 있는 투여량들의 수에 해당되는 상기 디스펜서의 작동 수(number of actuations)를 표시하기 위한 투여량 카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여량 카운터는: 표시부를 구비한 카운터로서, 상기 몸체의 종축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 내에서 증분적으로 회전가능한, 카운터; 상기 카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카운터 구동기로서, 상기 접합 부재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 내에서 상기 접합 부재와 함께 상기 종축 상에서 왕복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 카운터 구동기; 및 상기 카운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으로서,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상기 카운터 구동기에 결합되며, 상기 카운터 구동기의 길이방향 움직임에 응답하여 상기 카운터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는 상기 종축에서의 상기 카운터 구동기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 내에 카운터 구동기를 안내하도록 구성된 카운터 구동기 안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운터 구동기 안내부는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카운터 구동기 내의 대응되도록 형상화된 노치와 협동하기 위해 구성되고 형상화된다.
상기 카운터 구동기 안내부는 상기 카운터 구동기가 상기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을 방지한다. 상기 카운터 구동기의 상기 종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은 상기 카운터가 잘못 카운트함(mis-count)(즉, 작동해서는 안 될 때 작동하고, 작동해야 할 때 작동하지 않음)을 야기할 것이므로, 상기 카운터 구동기 안내부에 의해 더 신뢰성 있는 카운트 작용이 제공된다.
실시예들에서, 상기 접합 부재는 하나 이상의 슬롯들을 포함하고, 상기 카운터 구동기는 상기 접합 부재 및 상기 카운터 구동기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접합 부재와의 맞물림을 위한 하나 이상의 돌기들을 포함한다.
상기 카운터를 포함하는 상기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카운터는 제1 표시부를 갖는 제1 링 부재 및 제2 표시부를 갖는 제2 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링 부재 및 상기 제2 링 부재 각각은 상기 종축을 중심으로 증분적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 중 하나 또는 둘 다는 카운트(count)를 표시하며, 상기 투여량 카운터는: 상기 제1 링 부재를 상기 제2 링 부재에 해제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메커니즘으로서,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 링 부재 및 상기 제2 링 부재가 협동적으로 회전함을 가능하게 하고, 결합되지 않았을 때 상기 제1 링 부재의 독립적인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결합 메커니즘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종축을 중심으로 동축으로 배치되는 제3 링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3 링 부재를 갖는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3 링 부재는 상기 공통 축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제3 링 부재에 대한 상기 제2 링 부재의 자유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한 메커니즘은 상기 제한을 위해 상기 제2 링 부재 상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 탄성 변형가능한 부분(portion)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링 부재는 복수 개의 실질적으로 등간격의(equally-spaced) 돌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한 메커니즘은 상기 제2 링 부재의 상기 자유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돌기들과 맞물린다.
상기 제3 링 부재를 갖는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3 링 부재는 상기 제3 링 부재의 자유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카운터 하우징 내에 대응되게 형상화된 돌기들과의 맞물림을 위한 상부 원주방향 표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배치 리세스(locating recess)들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 각각은, 숫자들, 색상들, 글자들 및 심볼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표시부는 제1 열의 숫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부는 제2 열과 제3 열의 숫자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열의 숫자들은 단단위 숫자들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열은 십단위 숫자들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열은 백단위 숫자들을 나타낸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열의 숫자들은 반복된 정수 세트들을 포함한다. 게다가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열의 숫자들은 반복된 정수 세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열의 숫자들은 정수들의 세트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링 부재는 상기 제1 표시부의 시야를 흐리게(obscure)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커버 요소를 포함한다.
게다가 상기 카운터를 포함하는 상기 디스펜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구동 메커니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링 부재와 일체로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운터의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폴 및 치 메커니즘(pawl-and-teeth mechanism)을 포함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 및 치 메커니즘은: 복수 개의 치들과 맞물릴 수 있는 제1 및 제2 폴(pawl)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폴들 중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치들 중 하나와의 구동 맞물림에서의 맞물림을 위한 구동 맞물림면, 및 상기 복수 개의 치들 중 하나에 걸친 슬라이딩을 위한 슬라이딩 맞물림면을 포함한다.
폴 및 치 메커니즘을 갖는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폴들 중 각각은: 상기 제1 폴은 상기 치들의 카운트 행정(count stroke) 동안에 상기 복수 개의 치들 중 하나와 구동 맞물림으로 맞물리고, 상기 제2 폴은 상기 치들의 복귀 행정(return stroke) 동안에 상기 복수 개의 치들 중 하나와 구동 맞물림으로 맞물리도록 배치(arrange)된다.
게다가 상기 제1 및 제2 폴들 중 각각은: 상기 제2 폴은 상기 카운트 행정 동안에 상기 복수 개의 치들 중 하나에 걸쳐 타고 가고, 상기 제1 폴은 상기 복귀 행정 동안에 상기 복수 개의 치들 중 하나에 걸쳐 타고 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폴들은 상기 제1 링 부재와 일체로 되고, 상기 복수 개의 치들은 상기 제1 링 부재의 보어 내에서 왕복 운동가능하도록 배치된 치 베어링 부재 상에 배치되고, 상기 폴 및 치 메커니즘은, 상기 제1 링 부재의 상기 보어 내에서의 상기 치 베어링 부재의 왕복 운동이 상기 제1 링 부재의 회전 운동을 야기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상기 복수 개의 치들과 맞물릴 수 있는 제3 및 제4 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 폴들은 상기 제1 및 제2 폴들의 반경방향 반대쪽 표면 상에서 상기 제1 링 부재와 일체로 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물질원을 더 포함하는 디스펜서도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질원은 가압된 계량된 투여량 흡입기(pMDI)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기체성, 기체-함유 또는 액적 물질의 투여량을 물질원으로부터 토출하기 위한 디스펜서로서, 상기 디스펜서는: 물질원을 수용하기 위한 몸체로서, 마우스피스를 구비한 몸체; 및 물질원으로부터 토출된 투여량들의 수 또는 물질원에 남아 있는 투여량들의 수에 해당되는 상기 디스펜서의 작동 수(number of actuations)를 표시하기 위한 투여량 카운터;를 포함하며, 상기 투여량 카운터는: 표시부를 구비한 카운터로서, 상기 몸체의 종축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 내에서 증분적으로 회전가능한, 카운터; 상기 카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카운터 구동기로서, 상기 디스펜서의 작동(actuation)에 응답하여 상기 몸체 내에서 상기 종축 방향으로 왕복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 카운터 구동기; 및 상기 카운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으로서,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상기 카운터 구동기에 결합되며, 상기 카운터 구동기의 길이방향 움직임에 응답하여 상기 카운터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종축 방향으로의 상기 카운터 구동기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 내에서 카운터 구동기를 안내하도록 구성된 카운터 구동기 안내부를 포함하는, 디스펜서도 제공된다.
상기 카운터 구동기 안내부는 상기 카운터 구동기가 상기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을 방지한다. 상기 카운터 구동기의 상기 종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은 상기 카운터가 잘못 카운트함(mis-count)(즉, 작동해서는 안 될 때 작동하고, 작동해야 할 때 작동하지 않음)을 야기할 것이므로, 상기 카운터 구동기 안내부에 의해 더 신뢰성 있는 카운트 작용이 제공된다.
상기 디스펜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카운터 구동기 안내부는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카운터 구동기 안내부는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카운터 구동기 내의 대응되도록 형상화된 노치와 협동하기 위해 구성되고 형상화된다.
게다가 상기 디스펜서는, 물질원으로부터 물질의 투여량을 방출하기 위한 상기 몸체의 종축 내의 움직임을 위해 상기 몸체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접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접합 부재는 물질원의 분출구를 수용하기 위한 소켓을 포함한다. 상기 접합 부재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상기 접합 부재는 하나 이상의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카운터 구동기는 상기 접합 부재 및 상기 카운터 구동기를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접합 부재와의 맞물림을 위한 하나 이상의 돌기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기체성(gaseous), 기체-함유(gas borne) 또는 액적 물질의 투여량을 물질원으로부터 토출하기 위한 디스펜서로서, 상기 디스펜서는: 물질원을 수용하기 위한 몸체로서, 마우스피스를 구비한 몸체; 물질원으로부터 물질의 투여량을 방출하기 위한 상기 몸체의 종축 내의 움직임을 위해 상기 몸체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접합 부재로서, 물질원의 분출구(spout)를 수용하기 위한 소켓을 포함하는 접합 부재; 물질원으로부터 물질의 투여량을 방출하기 위한 상기 몸체의 종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한 디스펜서 구동기(driver)로서, 피봇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 상에 배치된 캠을 포함하고, 상기 피봇 샤프트의 회전이 상기 캠을 회전하게 하고 상기 접합 부재에 힘을 가하도록 하여 상기 종축 방향으로 상기 접합 부재가 움직이도록 상기 몸체 내에 배치되는, 디스펜서 구동기; 상기 몸체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캠 종동부로서,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디스펜서 구동기와 상기 접합 부재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디스펜서 구동기의 캠에 의해 상기 돌기에 가해지는 힘이 상기 캠 종동부를 상기 몸체의 종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이동시키고, 상기 접합 부재에 힘을 가하게 하여 물질원으로부터 투여량의 물질을 방출시키는, 캠 종동부; 및 물질원으로부터 토출된 투여량들의 수 또는 물질원에 남아 있는 투여량들의 수에 해당되는 상기 디스펜서의 작동 수(number of actuations)를 표시하기 위한 투여량 카운터;를 포함하며, 상기 투여량 카운터는: 표시부를 구비한 카운터로서, 상기 몸체의 종축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 내에서 증분적으로 회전가능한, 카운터; 상기 카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카운터 구동기로서, 상기 디스펜서의 작동(actuation)에 응답하여 상기 몸체 내에서 상기 종축 방향으로 왕복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 카운터 구동기; 및 상기 카운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으로서,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상기 카운터 구동기에 결합되며, 상기 카운터 구동기의 길이방향 움직임에 응답하여 상기 카운터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종축에서의 상기 카운터 구동기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 내에 카운터 구동기를 안내하도록 구성된 카운터 구동기 안내부를 포함하는, 투여량 카운터인, 디스펜서도 제공된다.
이제 우리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오로지 예시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폐쇄 위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개방 위치에서의 상기 디스펜서의 유사 도면(similar view)이다.
도 3은 폐쇄된 디스펜서의 중앙 단면도(central cross-sectional view)이다.
도 4는 이전 버전의 디스펜서의 분해도이다.
도 5a는 상기 이전 버전의 디스펜서의 본체 부품의 내부 전면도(inside, front view)이다.
도 5b는 상기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본체 부품의 내부 전면도이다.
도 5c는 도 5b에 도시된 상기 본체 부품의 일부분(portion)의 내부 전면도이다.
도 5d는 도 5b의 X-X 선을 따라 취한 상기 본체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5e는 상기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캠 종동부 구성요소이다.
도 5f는 도 5e의 상기 캠 종동부의 배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디스펜서의 커버의 내부 후면도(inside, rear, view)이다.
도 7은 상기 디스펜서의 전면 몸체 부품의 앞과 밑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전면 몸체 부품의 반대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9는 (성형(moulding) 후이지만 상기 본체 부품에 삽입되기 전인 형태로 도시된) 상기 디스펜서의 접합 부재의 앞과 밑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접합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A 선을 따라 취한 상기 접합 부재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6의 C-C 선을 따라 취한 상기 커버의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6의 B-B 선을 따라 취한 상기 커버의 중앙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디스펜서의 플랩의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플랩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상기 플랩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밸브의 작동을 도시하는, 상기 접합 부재 내 상기 플랩 및 킹크 밸브의 일련의 스크랩 도면(scrap view)들이다.
도 18a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18b는 상기 카운터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19a 및 도 19b에는 상기 카운터를 위한 구동 메커니즘이 도시된다.
도 20a 내지 20d는 상기 카운터의 상기 구동 메커니즘의 작동의 원리의 일부가 도시된 개략도들이다.
도 21a 내지 21d는 상기 카운터의 상기 구동 메커니즘의 작동의 원리의 다른 일부가 도시된 개략도들이다.
도 22a 내지 22b에는 상기 카운터의 바람직한 구동 메커니즘이 도시된다.
도 22c에는 상기 카운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카운터 구동기 또는 치 베어링 부재라고도 알려진) 요크(yoke)가 도시된다.
도 22d에는 상기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접합 부재가 도시된다.
도 22e에는 도 22c의 요크와 함께 이용하기 위한 본체 부품의 상부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 23a 내지 도 23d는 상기 카운터의 상기 바람직한 구동 메커니즘의 작동의 원리의 일부가 도시된 개략도들이다.
도 24a 내지 도 24d는 상기 카운터의 상기 바람직한 구동 메커니즘의 작동의 원리가 일부가 도시된 개략도들이다.
도 25는 상기 카운터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카운터의 제1 링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5의 카운터의 평면도이다.
도 28a 내지 도 28d에는 상기 카운터의 작동 원리가 사시도로 개념적으로 도시된다.
도 29a 내지 도 29d에는 상기 카운터의 작동 원리가 평면도로부터 개념적으로 도시된다.
도 30a 내지 도 30c는 상기 카운터의 작동 원리가 도시된 개략도들이다.
도 31은 상기 카운터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상기 카운터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33a 내지 도 33c는 상기 카운터의 일부분(portion)들의 사시도들이다.
도 34a 내지 도 34b는 도 33의 제3 링 부재의 사시도들이다.
디스펜서
먼저 도면들 중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펜서는 마우스피스(2) 및 피봇된(pivoted) 마우스피스 커버(3)를 구비한 몸체(1)를 갖는다. (비록 단일 성형 피스(piece)를 이용하여 그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기술분야의 독자가 이해할 것일지라도) 상기 마우스피스는 본체 부품(6)에 클리핑된(clipped) 몸체 부품(5) 내의 개구(4)로서 형성된다. 상기 주 부품(6)은 상부 형성물과 하부 형성물(7, 8)을 가지며(도 5a 참조) 상기 마우스피스 부품은 상보적 상부 형성물 및 상보적 하부 형성물(9, 10)을 갖는데(도 8 참조), 이것들은, 상기 마우스피스 부품이 아래로부터 슬라이드되어 상기 주 부품과 맞물릴 때, 맞물린다. 상기 개별 몸체 부품(5)은 상기 본체 부품(6)에 대하여 절취부(cutaway; 11)를 가져서, 상기 커버(3)가 열린 때에 이 커버에 의해 노출되는 공기 유입구(12)를 한정한다. 약물 통(medicament can; C)은 상기 몸체 부품(6)에 맞춰진다. 상기 공기 유입구(12) 바로 안에 핑거부들(fingers)에 대한 가드(guard; 13)가 있다. 그것은 강화 플랜지들(14)에 의해 뒷받침되며, 추가적으로 다음 단락에서 설명될 캠 메커니즘을 보호한다.
상기 가드(13) 위에 4개의 일련의 리브들(도 7에서, 151, 152)이 연장되고, 상기 구조에 강성을 제공한다. 단부의 것들(151)은 더 길고, 고장(malfunction)의 경우에 아래에서 설명되는 작동 메커니즘의 플랩을 위한 궁극적 멈춤(eventual stops)을 제공한다. 내부의 것들(152)은, 일차적으로는 상기 장치를 통한 공기 유량을 제어하도록 상기 메커니즘이 작동되었을 때, 상기 유입구(12) 및 상기 개구(4) 사이의 압력 강하를 유발하는 유동 제한기(flow restrictor)들로서 기능한다.
상기 커버(3) - 도 6, 12 및 도 13 참조 - 는 상기 2개의 몸체 부품들 사이의 조인트에서 상기 몸체(6) 내 낮은 축(A)을 중심으로 피봇된다. C 구역 샤프트(21)는 웹들(22)을 통해 상기 커버(3)와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샤프트는 캠 구성체(23)(도 4 참조)를 싣는데, 상기 캠 구성체는 2개의 캠 로브들(231 및 232)을 2개의 핑거부들, 중앙 핑거부(24) 및 외측 핑거부(25)와 함께 포함한다. 후자는 상기 캠 로브들이 그 사이에 있는 한 쌍의 디스크들(26) 중 하나와 일체로 되며, 상기 샤프트는 상기 본체 부품(6)(도 5a 참조) 내에 일체로 성형된 플랜지들(28) 내 부분 원형 저널부들(part circular journals; 27)에 의해 베어링 지지(bearingly supported)된다. 상기 2개의 몸체 부품들(5 및 6) 사이의 조인트 선(joint line)에서, 상기 샤프트(21)를 위한 다른 동축 스캘럽들(coaxial scallops; 29)이 상기 본체 부품(6) 내에 제공된다.
설명된 실시예들에서 상기 몸체 부품들(5, 6) 및 상기 커버(3)는 (상기 샤프트 및 캠 구성체와 함께) 폴리프로필렌 재료로 성형됨으로써, 그것들은 근소한 굴곡(flexure)으로 서로 맞춰질 수 있다.
상기 통(C)은 상기 본체 부품(6)의 상부 단부에서 개구(31) 안에서 유지되며, 여기에서 상기 본체 부품은 상기 통(C)의 밸브 크림프 부분(CP) 주변으로 완전히 연장된다.
내부 홈들(32)은 상기 본체 부품 내부에서 상기 개구의 내측으로 성형된다(도 5a). 접합 부재(41) - 도 9, 10 및 도 11 참조 - 는, 그 외주에서 리브들(42)에 의해 맞물리는 상기 홈들(32)과 함께 상기 몸체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합 부재도 폴리프로필렌으로 성형된다. 중앙에서 상기 접합 부재는 상기 통(C)의 분출구 또는 유출구 스템(S)을 수용하기 위한 소켓(43)을 갖는다. 상기 소켓은 유연성 튜브(44)에 의해 계속되며, 상기 유연성 튜브는 얇은 벽, 킹크 가능한 위치(45) 및 노즐 단부(46)를 갖는다. 이것은 상기 접합 부재의 이동가능한 유출구 부재(48) 내에 있다. 상기 접합 부재(41)의 주 부품(411) 및 상기 유출구 부재(48)는, 러그들(561, 562)과 탭들(563, 564) 사이의 상기 접합 부재의 각각의 측면(side)들에서 2개의 막들(491, 492)의 형태로 리빙 힌지(49)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탭들은 상기 노즐 개구(53)를 갖는 바(52)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2개의 종동부들(541, 542)은 상기 러그들(561, 562) 사이 및 상기 킹크 가능한 위치(45)의 어느 한쪽에서 연장되는데, 여기서 상기 2개의 종동부들은 각각의 러그들(561, 562)과 일체로 되며, 상기 캠 구성체로부터 상기 접합 부재 상에 가해진 측방향 작용에 반작용하기 위해 상기 본체 부품(6)의 내부로부터 연장되는 설부들(551, 552)의 개재(interposition)가 있는 상기 캠 로브들(231, 232)(도 6 참조)이 상기 2개의 종동부들 위에 작용한다. 상기 종동부들(541, 542)은 상부 및 하부 밸브 트래블 스톱들(valve travel stops; 571, 572)을 갖는, 힌지 축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 부분들(56)을 갖는다.
상기 러그들(561, 562)은 아래에서 설명될 플랩을 피봇식으로 배치하기 위한 한 쌍의 피봇 클립들(581, 582)을 상기 원호형 부분들(56)과 동일 방향을 향하는 면들 상에 싣는다. 위와 같은 쪽에 한 쌍의 멈춤쇠들(591, 592)이 상기 탭들(563, 564) 상에 성형되어 제공된다.
상기 본체 부품(6)의 내부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설부들(551, 552)은, 상기 캠에 의해 가해지는 힘 하에서 종종 만곡되거나 휨에 따라, 상기 접합 부재 상에 항상 신뢰할 수 있는 길이방향 작용(즉 상기 본체 부품(6)의 종축을 따라 움직이는 움직임, 즉 상기 본체 부품의 장축을 따라 움직이는 움직임)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점이 밝혀졌다. 그것으로서, 상기 캠으로부터 상기 설부에 가해지는 힘은 상기 접합 부재의 충분한 길이방향 움직임으로 항상 옮겨지지는 않는데, 이는 약물원으로부터 약물을 토출(dispense)함에, 또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 상기 접합 부재의 움직임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카운터의 작용에 영향을 끼친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는 도 5b 내지 도 5f에 도시된 특징들을 제안하며, 그것들은 상기 본체 부품의 후벽(back wall)을 따라 안내부(15)를 포함하는 상기 본체 부품(6)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2개의 안내 레일들(20)이 상기 안내부 내에 제공되며, 돌기(34)가 (상기 본체 부품의 상기 후벽으로부터 연장되는) 베이스의 하부 부분(lower portion)에 제공된다.
베이스(17)를 갖는 캠 종동부(16)가 상기 안내부 안으로 안착된다. 2개의 실질적으로 강성인 돌기들(18a 및 18b)이 상기 베이스(17)로부터 연장된다. 2개의 안내 레일들(19a, 19b)이 상기 베이스(17)의 후위 상에 배치된다. 상기 캠 종동부(16)는 상기 본체 부품(6)의 안내부(15)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데, 여기서 안내 레일들(20 및 19a, 19b)은 상기 안내부(15) 내에 상기 캠 종동부(16)를 보유(retain)하도록 상호작용한다. 상기 캠 로브들(231, 232)는 상기 돌기들(18, 18b)의 밑바닥 표면과 접촉하고, 상기 접합 부재는 상기 돌기들(18a, 18b)의 상부 표면의 꼭대기에 안착된다. 그것으로서, 상기 캠 로브들은 상기 캠 종동부를 통해 상기 접합 부재에 간접적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상기 돌기들(18a, 18b)은 실질적으로 강성이므로, 상기 캠 구조물이 상기 돌기 상에 상방 힘을 전함에 따라 상기 전체 캠 종동부는 길이방향으로 위아래로 움직인다. (설부들(551, 552)이 앵커 지점(553)에서 상기 본체 부품과 일 단부에서 설부들(551, 552)이 앵커링되는) 이전 버전에서, 상기 설부들은 고정된 단부에서 굽었을 것이며, 상기 설부들은 힘 하에서 만곡되거나 휘는 경향이 있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들(18a, 18b)은 제 위치에서 강성인 채로 유지되며 대신 상기 캠 종동부가 상기 본체 부품의 안내부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움직인다. 그것으로서, 이는 상기 접합 부재(41)의 더 신뢰할 수 있는 길이방향 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제조 및 조립 프로세스를 돕기 위하여, 탄성 변형가능한 클립들(35)이 상기 캠 종동부의 베이스의 하부 에지를 따라 배치된다. 상기 클립들은 상기 본체 부품(6)의 상기 돌기(34)와 협동 작동하도록 배치된다. 조립 중에, 상기 캠 종동부는 상기 안내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탄성 변형가능한 클립들은, 상기 캠 종동부를 제 위치에 (즉 상기 본체 부품의 하부 에지를 따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돌기(34)와 맞물린다. 상기 마우스피스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캠에 의해 발생된 힘이 상기 클립들에 의해 저지(resist)될 수 있는 힘보다 훨씬 크도록 상기 클립들 및 돌기가 구성된다. 그것으로서, 상기 클립들은 이용 중 상기 캠 종동부의 작동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상기 플랩(61) - 도 14, 15 및 도 16 참조 - 은 피봇 축(B)을 갖는다. 상기 축의 반대쪽 단부들에서, 상기 플랩은 작은 스러스트 플랜지들(62)과 함께 그것들로부터 안으로 설정된 피봇 핀들(60)을 갖는다. 상기 핀들의 내측에, 2개의 팽윤부들(swellings; 63)이 형성된다. 각각은 그것으로부터 비스듬히 아래로 연장되는 핑거부(finger; 64, 65)를 갖는다. 상기 팽윤부들 중 하나는 후방으로, 내측으로 그리고 전방으로 다시 연장되고, 상기 팽윤부에 인접한 원위 단부(67)를 구비한 스프링 루프(66)를 가지는데, 여기서 상기 원위 단부(67)에 그것의 근위 단부(68)가 부착된다. 위로부터 형성된 개구들(69) 및 상기 개구들 아래로 연장되는 걸쇠들(70)은 상기 핀들로부터 상기 팽윤부들(63) 안으로 설정된다. 이것들은 성형되는 동안 상기 개구들을 통한 돌출부들에 의해 형성된 걸쇠 표면들(latch surfaces; 71)을 갖는다. 상기 걸쇠들은 캠 표면들(72)을 구비한다. 이것들은, 상기 장치가 준비 위치에 있을 때, 멈춤쇠들(591, 592)과 접하기 위해 배치된다. 그 후 상기 멈춤쇠들은 상기 캠 표면들의 단부 너머로 통과하여 상기 걸쇠 표면들과 맞물리게 된다. 상기 플랩의 마지막 특징은 설부(73)인데, 그것은 상기 종동부들(541, 542) 사이에서 연장되어 그렇지 않다면 발생할 수 있는 공기 누출을 제어한다.
상기 장치의 작동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초기에는, 상기 장치는 폐쇄되고, 상기 유연성 부재들은 긴장이 완화(relax)된다. 달리 말하자면 상기 플랩은 도 3, 9 및 도 17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것의 상부, 상류 방향 위치에 있으며, 상기 접합 부재의 상기 유출구 부재(48)는 그 하부 위치에 있다. 상기 플랩은, 상기 러그(562)로부터 안으로 설정된 접촉부(81) 상에 그것의 원위 단부(67)를 지탱(bear)하는 그것의 스프링(66)에 의해 이 위치에서 유지되며, 상기 플랩(61)은 상기 접합 부재의 크라운(41a) 상에 놓인다. 상기 접합 부재의 상기 유출구 부재(48)는, 성형된 상태로서의 그것으로 펴지려는 킹크된 위치의 경향으로 인하여 아래쪽으로 피봇된다. 그것의 위치는, 상기 캠 로브들(231, 232)과 접하기 위해 상기 바(52)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는 2개의 핑거부들(82)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커버의 개방 시에, 상기 캠 로브들은 상기 캠 종동부(16)의 실질적으로 강성인 돌기들(18a, 18b)을 통해 상기 접합 부재(41)의 상기 종동부들(541, 542) 상에 작용한다. 상기 캠 종동부(16)는 상기 본체 부품(6)의 안내부(15) 내에서 슬라이드하며, 이것은 상기 접합 부재(41)를 상기 통 안의 계량 밸브의 내부 스프링(미도시)에 대항하여 상기 접합 부재(41)를, 상기 통의 내측으로 스템(S)의 변위와 함께 들어올린다. 상기 커버(3)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캡 로브들 사이의 중앙 핑거부(24)는, 상기 접합 부재의 유출구 부재 상에서 핑거부들(82) 사이의 노치로 된 돌출부(notched projection; 83)와 맞물린다. 이 작용은 상기 유출구 부재를 들어올리고, 상기 킹크된 위치를 폐쇄한다. 상기 접합 부재를 더 들어올림에 의해, 상기 통의 밸브가 열리고, 상기 통의 밸브에 의해 계량되는 투여량이 상기 유연성 튜브의 유입구 단부 안으로 방출된다. 그것은 폐쇄된 밸브로서 작용하는 킹크된 위치에 의해 거기에서 유지된다.
자연스럽게, 상기 접합 부재의 유출구 부재(48)는, 그것이 이동했던 상부 준비 위치에서 유지되는 동안에만 투여량이 유지된다. 이것은 상기 캠 표면들(72)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걸쇠 표면들(71)과 맞물리는 멈춤쇠들(591, 592)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멈춤쇠들이 이동하여 맞물림에 따라, 상기 걸쇠들(70)은 뒤로 이동하고, 상기 스프링(66)의 작용에 대항하여 상기 플랩을 아래로 회전시킨다. 상기 멈춤쇠들이 상기 캠 표면들의 단부를 비우면, 상기 스프링은 상기 멈춤쇠들 밑에서 상기 걸쇠들을 완전히 압박한다. 상기 중앙 핑거부(24)가 통과하여 상기 돌출부(83)와의 맞물림에서 벗어날 때까지 상기 유출구 부재(48)가 더 피봇을 계속하도록 하는 간격(clearance)이 있다. 상기 장치는 이제 흡입을 위해 준비되어 있다.
상기 마우스피스를 통해 들이 쉼(breathing in)은 상기 커버의 개구 상에 노출된 공기 유입구(12)를 통해 밑으로 공기 유동을 일으키고, 상기 플랩(61) 상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 플랩은 상기 스프링(66)의 작용에 대항하여 밑으로 힘이 가해져, 멈춤쇠들(591, 592)을 해제(release)시킨다. 상기 킹크 튜브는 그 고유의 탄성의 작용 및 유지되는 투여량의 압력 하에서 펴지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기 유출구 부재는 힌지들(491, 492)의 굽힘을 통해 펴지고 상기 투여량은 흡입을 위해 노즐을 통해 상기 마우스 피스 안으로 방출되는데, 여기서 상기 노즐은, 상기 투여량이 방출됨에 따라 상기 마우스피스 개구(4)를 횡단한다.
상기 플랩 및 상기 유출구 부재(48)의 기하 구성(geometrical arrangement)은 도 17에서 보여질 수 있다. 상기 플랩의 피봇 축(B)은, 힌지 가능한(hingeable) 부분의 피봇 축(D)으로부터 이격되는바, 상기 축들(B 및 D)을 통과하는 평행한 평면들(B' 및 D') 사이에 상기 멈춤쇠들(591, 592) 및 걸쇠들(70)의 맞물림 지점이 놓인 상태로 이격된다. 맞물림의 실제 지점들은 상기 축들을 통과하는 공통 평면(P)의 플랩 쪽에 놓인다.
이용 후, 상기 마우스피스 커버는 폐쇄된다. 상기 캠 구성체의 회전은 상기 접합 부재(41)가 밑으로 복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핑거부(24)는 노치로 된 돌출부(83)를 통과하는데, 이는 그것의 거꾸로 된 면들 상에 캠 표면들이 놓인 결과이다.
만약에 상기 킹크 튜브가 그 탄성을 잃고 개구에서 느려진다면, 상기 플랩 피봇의 스프링 쪽의 상기 핑거부(64)는 상기 유출구 부재의 러그(563)와 일체로 성형되고 힌지 축(H)을 지나 뒤로 연장된 러그(85) 상에 작용할 것이다. 따라서 힌지 가능한 부분은 그 개방 위치로 움직여진다.
다른 가능한 결과(eventuality)는 흡입 없는 상기 마우스피스 커버의 폐쇄이다. 이 경우에, 핑거부(65)는 핑거부(25)에 의해 맞물려, 상기 플랩을 상기 유출구 부재가 투여량을 방출하는 위치로 빗나가게 한다. 상기 스프링(66)은 상기 플랩을 그것의 이 움직임 후에 복귀시킨다(물론 이것은 투여량이 흡입에 의해 방출되었더라도 폐쇄 때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장치는, 플라스틱 재료 탄성 특징부들이 긴장 완화되는 그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통을 제외하고) 상기 장치의 모든 구성요소들은 폴리프로필렌으로 성형되며, 여기서 상기 플랩의 예외가 있는 바, 그것의 스프링에는 아세탈 혼성 중합체(acetal copolymer)의 이용이 지시(dictate)된다.
카운터
카운터들은 광범위한 용례들에서 유용하며, 특히 의료 디스펜서들의 분야에서 중요한 바, 그렇지 않다면 여기서 약물 컨테이너 안에 남아 있는 약물의 투여량수의 정확한 판별을 얻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한 의료 디스펜서의 일 예시는 계량된 투여량 흡입기이다.
약물 컨테이너들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늄과 같은 불투명 재료로 만들어지고, 전달 장치 내에 전적으로 격납(house)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약물 컨테이너 안에 얼마나 많은 약물의 투여량이 남아 있는지를 효과적으로 계량(gauge)함은 가능하지 않다. 이것은 사용자가 아직 약물의 투여량을 담고 있는 MDI를 조기에 폐기하거나, 더 나쁘게는 상기 MDI를 그것의 권장 수명을 넘도록 이용하는 결과가 될 수 있다. 어느 상황도 바람직하지 않다 - 전자는 낭비적인 반면 후자는 잠재적으로 위험하다. 이용자는 종종 MDI들을 흔들어서 그 안에 어떤 약물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측정을 얻고자 하지만, 이것은 상기 컨테이너 내용물의 매우 조잡한 정량적 측정을 제공할 뿐이다. 그것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투여량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약물 및 추진제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와, 계량 밸브를 채우기 위해 필요한 것보다 적은 양의 약물 및 추진제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구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없다. 달리 말하자면, 사용자들이 컨테이너 안에 존재하는 약물의 양을 과대평가하여, 사실 또다른 투여량을 위한 충분한 약물이 남아 있지 않음에도 남아 있다고 결론을 잘못 결론을 내릴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덧붙여, 사용이 끝나가는 약물 컨테이너보다 먼저 대체 약물 컨테이너를 얻기 위한 충분한 경고가 사용자에게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얼마나 많은 투여량이 토출되었고 상보적으로 얼마나 많은 투여량들이 남아 있는지를 사용자가 추적함을 가능하게 하는 카운터 메커니즘을 구비한 예컨대 흡입기들(inhalers)과 같은 디스펜서들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실은, 미국의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 및 유럽의 EMEA(European Medicines Agency)와 같은 규제 기관들은 투여량-카운터들의 구현을 장려하는 가이드라인을 발행해 왔다(미국 FDA, "산업을 위한 지침: MDI 의약 제품 안으로의 투여량 카운팅 메커니즘의 일체화(Guidance for industry: integration of dose counting mechanisms into MDI drug products)", 2003; 유럽 의약 제품 평가 기관(European Agency for Evaluation of Medicinal Products), "흡입 및 비강 제품들의 품질에 관한 최후 가이드라인(Final guideline on the quality of inhalation and nasal products)", 2005).
투여량 카운터들은 일반적으로 '카운트(count)'가 등록되는 방법에 따라 분류될 수 있는데, 기계적 카운터들은, 예컨대 컨테이너/하우징의 변위의 결과가 되는 움직임 또는 기계적 힘에 응답하는, 일련의 움직이는 부품들로 구성되고; 전자적 카운터들은 소리, 온도 또는 압력 변화와 같은 작동(actuation)과 연관된 이벤트를 감지하는 전자 회로부품을 구비하며; 전기-기계적 카운터들에는 전기적 및 기계적 부품들이 조합된다.
투여량 카운터들에 관한 몇몇 배경 선행 기술은 다음을 포함한다: 유럽특허 EP1169245호 투여량 카운팅 장치를 포함하는 토출 장치(Dispensing Apparatus Comprising a Dosage Counting Device); PCT국제출원 PCT/GB97/03480호 흡입기 투여량 카운터(Inhaler Dose Counter); PCT/US1996/008418호 축방향 힘에 응답하는 표시기 장치(Indicator Device Responsive to Axial Force); PCT/FR2004/001844호 유체 제품 토출 장치를 위한 개량된 투여량 표시기(Improved Dose Indicator for Fluid Product Dispensing Device); 영국 특허출원 제GB2372542호 투여량 카운팅 장치(Dosage Counting Device); PCT국제출원 PCT/CA04/001884호 투여량 경고 표시기를 구비한 표시 장치(Indicating Device with Warning Dosage Indicator); PCT/US04/039926호 디스펜서를 위한 투여량 카운터(Dose Counter for Dispensers); 및 미국 특허 US7047964호 약물을 위한 디스펜서(Dispenser for Medicament).
투여량 카운터들의 분야에 있어 다른 발전들에서는, 뱅 앤 올룹슨 메디콤(Bang & Olufsen Medicom)의 'Insulair'(상표) 장치 및 다음의 개시서들이 포함된다: PCT국제출원 WO 98/056444호 투여량 카운터를 구비한 디스펜서(Dispenser with Doses Counter); PCT국제출원 WO 04/001664호 토출 장치를 위한 작동 표시기(Actuation Indicator for a Dispensing Device); PCT국제출원 WO 07/012854호 계량된 투여량 흡입기를 위한, 캐니스터로 지지되는 회전 링 카운트 판독 조립체(Canister-Supported Rotating Ring Count Readout Assembly for a Metered Dose Inhaler); 및 독일 특허출원 DE 10061723 액체 또는 고체 제품들의 투여량을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터 및 그러한 제품들의 계량된 토출을 위한 장치(Zahlwerk zum Zahlen dosierter Abgaben flussiger oder fester Produkte sowie Einrichtung zum dosierten Abgeben solcher Produkte).
그러한 장치들이 컨테이너로부터 토출되는 약물의 투여량수 및/또는 거기에 남아 있는 투여량수에 대한 어느 정도 측정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제시해 왔지만,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다. 특히 컨테이너들로부터의 약물 투여량의 방출을 신뢰할 수 있도록 카운트하는 투여량 카운터들을 제공하는 것은 어려운 것으로 밝혀져 왔다. 직면하게 되는 그 어려움은, 전형적으로는 계량 밸브 스템의, 상대적으로 작은 움직임이 감지되어 카운트로 변환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이 어려움은, 약물 컨테이너들의 길이에 있어서 제조 허용오차로 인해 그것들이 일관적인 길이를 가지지 않게 되는 사실로 의해 악화된다. 이와 동시에, 임의의 움직임들이 카운트되지 않도록 함은 매우 바람직하지 않은데, 이것은 카운터가 실제로 케이스에 남아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수의 투여량을 표시함으로 이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잘못된 카운트수를 최소화하려는 규제 압력도 있다.
덧붙여 카운터는, 특히 약물 투여량 카운터는 카운트 정보를 읽기 쉬운 형태로 디스플레이하여 어린이들 및 노인들과 성인들에 의해 이용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운터가 저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도록 할 필요도 당연히 있다.
구동 메커니즘
용어 "구동 메커니즘"은 약물 컨테이너로부터 토출되는 투약량이 카운터에 의해 이루어진 카운트로 연결되는 어떠한 수단으로도 넓게 해석된다. 설명된 실시예들에서, 투약량의 토출은 일찌기 설명된 바와 같이 예컨대 접합 부재(41)의 수직 움직임을 수반할 것이다.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 수직 움직임은 카운트되는 증분적 회전으로 변환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카운터의 증분적 회전으로 변환되는 상기 수직 움직임은 약물 컨테이너의 움직임이 될 수 있다.
도 18a 및 18b에는 카운터(203) 및 구동 메커니즘(205)을 구비한 디스펜서(200)가 개념적으로 도시된다. 상기 카운터는 제1 링 부재(201) 및 제2 링 부재(202)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메커니즘(205)은, 폴 베어링 부재(204; 도 18b에 미도시) 및 치 베어링 부재(206; 도 18b의 도면에서는 부분적으로 숨겨짐)를 구비한 폴 및 치 메커니즘이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치 베어링 부재(206)는 상기 제1 링 부재(201)와 일체로 된 오목한 원통형(hollow cylinder)이다. 상기 폴 베어링 부재(204)는 상기 치 베어링 부재(206) 주변으로 완전히 연장된다. 그 반대의 구성도 이용될 수 있는 바, 즉 상기 폴 베어링 부재(206)는 상기 제1 링 부재(201)와 일체로 될 수 있다. 이 구성은 도 22에 도시된다.
2개의 폴들(208)은 폴 베어링 부재(204)의 절취부(cutaway portion)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 폴들의 첨단들(tips) 상에서 안쪽으로 연장되는 돌기들에 의해, 상기 폴들은, 상기 치 베어링 부재(206)의 바깥쪽을 향한 표면 상에 성형된 치 링(201)과 작동하게 맞물리는 바, 나중에 더 상세하게 설명될 바와 같다. 한 쌍의 암들(212a, 212b)은 계량 밸브 조립체의 한 쪽에서 상기 폴 베어링 부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암들은 (도면에는 숨겨진) 접합 부재의 상부 부분(upper portion)에 대해 스프링 부하가 걸리거나 상기 접합 부재의 상부 부분에 부착(affixed)될 수 있다. 상기 접합 부재는 투여량이 토출될 때 수직으로 움직인다. 대안으로 상기 암들은, 움직이는 컨테이너, 예컨대 움직이는 약물 컨테이너에 대해 스프링 부하가 걸리거나 상기 움직이는 컨테이너에 부착될 수 있다.
(가압된 약물 컨테이너(114)로부터 투여량의 방출을 야기하는) 상기 접합 부재를 들어올리는 작용은 상기 디스펜서(200)의 수직 축(214)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방 힘을 상기 폴 베어링 부재(204) 상에 전한다. 이것은 상기 폴(들) 및 상기 치들(teeth) 사이의 마찰에 의한 맞물림의 결과가 된다. 다음에는, 상기 치 베어링 부재(206) 및 제1 링 부재(201)가 상기 수직 축(214)을 중심으로 (이 특정 경우에 있어서는 시계방향으로) 증분(increment)만큼 회전한다.
투여량이 방출되고, 상기 마우스피스 커버가 폐쇄되고 있거나 폐쇄되면, 상기 접합 및 폴 베어링 부재들은 예컨대 상기약물 컨테이너의 내부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하방으로 그것들의 원래 위치들로 움직일 수 있다. 이 하방 움직임으로 인해 상기 폴 베어링 부재 및 상기 치 베어링 부재 사이의 마찰에 의한 맞물림의 결과가 되고, 이는 부재들(206, 201)이 수직 축(214)을 중심으로 증분만큼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는 결과가 된다.
이 2개의 증분 회전들은 함께 취해져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상기 제1 링형(ring-like member) 부재의 "완전한" 증분적 회전을 한정한다.
도 19a에는, 치 링(210)이 상기 치 베어링 부재(206)의 안쪽을 향한 표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폴 베어링 부재(204)는 그 보어 내에 배치되는, 예시적인 구동 메커니즘(205)이 도시된다. 상기 폴 및 치 베어링 부재들은 도 18a 및 18b에 도시되는 구성에 비해 반대의 구성으로 되지만 그 구동 메커니즘의 작동 원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됨이 인식될 것이다.
2개의 폴들(402a, 402b)은 그 몸체의 절취부에 의해 상기 폴 베어링 부재(204) 내에 일체형으로 한정될 것이다. 이 시점으로부터 보면, 각각의 폴은 상기 폴 베어링 부재(204)의 고리 모양 평면 내에서 거의 동일한(그렇지만 반대 방향의) 각도(α, β)로 상기 치 링(210)을 향해 연장된다. 제2(하부) 폴(402b)은 제1(상부) 폴(402a)에 상대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오프셋(offset)된다. 상기 폴들의 각각은 근단부(root end) 및 자유단부(free end)를 가진다. 순부(lip; 408a, 408b)는 상기 자유단부들 중 각각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치들(teeth)과 작동하게 맞물린다.
상기 계량 밸브 조립체의 밸브 스템은 상기 폴 베어링 부재(204)의 베이스 내의 간격 구멍(clearance hole)을 통해 아래로 삽입되어, 스템 블록(412) 내의 선반(410) 위에 놓인다.
작동 중, 이 시점으로부터 보면, 상기 폴 베어링 부재(204)는 상기 치 베어링 부재(206)에 상대적으로 위아래로 움직이고, 회전한다. 편의상, 상기 폴 베어링 부재(204)의 상방 움직임 및 하방 움직임은 각각 '카운트 행정' 및 '복귀 행정'으로 불릴 것이다. 이 용어들은 편의만을 위해 사용되며, 카운트 행정 동안에 카운트만 발생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카운트 행정 동안, 복귀 행정 동안, 또는 두 행정들의 조합 동안에 카운트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그리고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 20a 내지 20d에는 카운트 행정 중 구동 메커니즘의, 일련의 단면도들이 도시된다. 도 20a에서, 상기 폴 베어링 부재는 돌출 블록(510)에 의해 상기 치들(teeth) 상에 휴지 상태로 놓여 있다. 초기에 상기 폴 베어링 부재 상에 가해지는 상방으로 배향된 힘은, 상기 제1(상부) 폴(402a)의 순부(408a)와 치들(teeth)(502)의 수직 면(512) 사이의 마찰에 의한 맞물림의 결과로 된다. 이 작용은, 상기 제2(하부) 폴(402b)의 순부(408b)가 치들(teeth)(506)의 하부, 경사진 면(514)과 맞물릴 때까지 상기 폴 베어링 부재를 실질적으로 수직 상방으로 안내한다(도 20b). 이것은 상방 대각선 움직임을 초래하는 바, 상기 상방 대각선 움직임은 순부(408b)가 치들(teeth)(506)의 정점(apex; 516)에 닿고 그 후 이를 돌파할 때까지 진행된다(각각 도 20c 및 도 20d). 이와 동시에, 상기 제1(상부) 폴(402a)은 살짝 안쪽으로 굽어, 순부(408a)가 치들(teeth)(502) 너머로 통과함을 가능하게 한다(도 20c). 점선으로 된 화상표들은 움직임의 방향을 표시한다.
도 21a 내지 21d에는 복귀 행정 중 구동 메커니즘의, 일련의 단면도들이 도시된다. 도 20의 동일 요소들은 동일 참조 번호에 의해 표시된다.
실질적으로 도 20d에 대응되는 도 21a에서, 상기 제1(상부) 폴(402a)의 순부(408a)가 치들(teeth)(502)의 상부, 경사진 면(518)과 마찰에 의해 맞물려 하방 대각선 움직임을 초래할 때까지, 상기 제1(상부) 폴(402a)의 순부(408a)는 수직 하방으로 움직인다. 도 21b에서, 상기 순부(408a)는 더 아래 면(518)으로 진행하였으며, 블록(510)은 이제 치들(teeth)(504)의 상부, 경사진 면(520)에 맞물린다. 이 때 상기 제2(하부) 폴(402b)은 살짝 안쪽으로 굽어, 순부(408b)가 치들(teeth)(504) 너머로 통과함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상기 폴 베어링 부재가 다시 상기 치들(teeth) 상에 놓이게 될 때까지 진행된다(도 21c 및 도 21d). 도 21d는 실질적으로 도 20a에 대응되나, 하나의 치(teeth)만큼, 즉 치(506)로부터 치(504)로 회전된 것이다.
도 19b를 참조하면, 상기 폴들(402a 및 402b) 및 상기 순부들(408a 및 408b)의 측면 프로파일이 도시된다. 각각의 순부는, 그 순부(408)의 구동 맞물림 동안에 치들(teeth)과 접촉하는 구동 맞물림 면(driving engagement face; 440)을 포함한다. 각각의 순부는, 상기 치들과의 맞물림 없이 순부(408)가 치들과 접촉하고 그 치(teeth) 위로 들어올림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 맞물림 면(430)도 포함한다. 큰 화살표들은 상기 행정들 중 한 행정 동안에 치들과 접촉하는 폴 순부들의 면(face)들을 나타낸다. (화살표 없이 도시된) 반대쪽 면들은 위와 다른 행정 동안에 치들과 접촉한다. (도면에서 수직 축에 대한 상기 순부의 슬라이드 맞물림 면(430)의 경사각인) 각도(γ)는 순부(408a)가 치들과 맞물릴 때, 순부(408b)가 들어올려져 상기 치(teeth)으로부터 벗어나고 그 위로 달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히 커야 한다(즉 구동 맞물림 면(440a)은 치들과 접촉하며, 그리고 구동하게 맞물린다). 15°보다 큰 각도가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각도가 15°보다 작으면, 상기 폴은 상기 치(teeth) 위로 들어올려지지 않을 수 있다.
도 22a에는, 상기 폴 베어링 부재(204)의 보어 내에 배치된 치 베어링 부재(206)의 바깥쪽을 향한 표면 상에 상기 치 링(210)이 배치되는, 상기 구동 메커니즘(205)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치 베어링 부재는 (카운터 구동기로도 알려져 있는) 요크(yoke)이며, 상기 폴 베어링 부재는 상기 카운터의 제1 링(또는 단단위 링(units ring))이다.
2개의 폴들(402a, 402b)은 그 몸체의 절취부에 의해 상기 폴 베어링 부재(204) 내에 일체형으로 한정된다. 이 시점으로부터 보면, 각각의 폴은, 상기 폴 베어링 부재(204)의 고리 모양 평면 내에서 상기 치 링(210)을 향해 연장되는 2개의 암들을 포함한다. 제2 폴(402b)은 제1 폴(402a)에 상대적으로 원주방향으로 오프셋된다. 순부(408a, 408b)는 상기 2개의 암들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치들과 작동하게 맞물린다.
도 22b에는 상기 폴들(402a, 402b)의 측면 프로파일이 도시된다. 도 19b의 참조 번호들은 도 22b의 동일한 특징부들을 지칭한다. 도 19b에서와 같이, 각도(γ)는 (즉, 도면의 수직선에 대한 상기 슬라이드 맞물림 면(430)의 각도는) 상기 치(teeth)(미도시) 위로 들어올려져 그 위로 달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히 커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15°보다 크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도는 대략 45°이다. 상기 제1폴(402a)의 배향은 도 19b에 도시된 것과는 반대인 점도 주목될 것이다. 맞물림 중에 상기 맞물린 폴(즉, 상기 치들과 구동 맞물림 상태에 있는 폴)은, 상기 폴이 상기 치(teeth)으로 된 표면을 향하게끔 강제하는 압축력을 겪는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작동 중에, 그리고 이 시점으로부터 보면, 상기 치 베어링 부재(206)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상기 접합 부재의 작동에 의해 구동되어) 위아래로 움직이며, 이는 상기 폴 베어링 부재(204)가 상기 치 베어링 부재(206)에 상대적으로 회전함을 야기한다. 편의상, 상기 치 베어링 부재(206)의 상방 움직임 및 하방 움직임은 각각 '카운트 행정' 및 '복귀 행정'으로 불릴 것이다.
카운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폴 베어링 부재(즉, 상기 카운터의 제1 링 부재, 또는 단단위 링)는 상기 폴 베어링 부재 주변에서 실질적으로 180° 떨어져서 배치된 2개 세트의 폴들과 함께 제공된다. 제2 세트의 폴들은 도 22a에는 도시되지 않는다.
도 22c에는 상기 카운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요크(yoke; 206)(또는 치 베어링 부재 또는 카운터 구동기)가 도시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요크는 노치로 된 부분(220)을 포함하는데, 이는 상기 본체 부품(6)의 내부 상에 대응되게 형상화된 돌기들(230)과 슬라이드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형상화되고 치수가 정해진다(도 22e 참조). 상기 도면 상에는 하나의 돌기(230)만이 도시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제2 돌기는 돌기 또는 레일(rail; 230) 반대쪽 내부 표면(inside surface) 상에 배치되는데, 이것은 상기 요크(206) 상에 적절하게 배치된 노치에 대응된다. 이 노치들과 돌기들은, 상기 요크가 상기 본체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요크가 상기 카운터 링들과 동일 축에서 회전함을 방지한다. 그것으로서, 이것은 (상기 카운터 메커니즘이 더 카운트함(over count) 또는 덜 카운트함(under count)을 야기할) 상기 요크의 회전 운동이 없으므로, 더 신뢰할 수 있는 카운트를 제공한다. 우리가 특징부(230)를 돌기로서 설명하는 반면, 상기 특징부는 레일(rail)로도 고려될 수 있다. 도 22e에는, 상기 본체 부품(6)의 종축에서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요크(206)의 암들이 리세스(recess; 240) 안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는, 상기 리세스(240)도 도시된다.
바람직한 요크(206)는 돌기들(222a 및 222b)과 함께도 제공되며, 상기 돌기들은 상기 접합 부재(41) 내에서 대응되게 형상화된 구멍들(450a 및 450b)과 맞물리도록 형상화된다(도 22d 참조).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요크는 상기 돌기들 및 구멍들을 통해 상기 접합 부재에 결합되므로, 상기 접합 부재의 길이방향 움직임(motion)은 상기 요크의 길이방향 움직임이 생기게 한다(이것은 다음에 상기 카운터 메커니즘을 구동시킨다).
도 23a 내지 도 23d에는 카운트 행정 중 상기 바람직한 구동 메커니즘의, 일련의 단면도들이 도시된다. 도 23a에서 상기 치(teeth) 및 폴 베어링 부재들은 휴지 상태에 있다. 상기 폴 베어링 부재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슬립 방지 바(450)는 상기 치들과 충분히 나란한 맞물린 위치에 있어 상기 폴 베어링 부재의 카운트되지 않는(non-count) 회전(즉, 카운트 중의 폴 베어링 부재의 회전과는 다른 방향의 상기 폴 베어링 부재의 회전)을 방지한다. 상기 슬립 방지 바(450)는, 상기 폴 베어링 부재의 블록킹 움직임에 의해 상기 치 베어링 부재와 상기 폴 베어링 부재 사이의 카운트되지 않는 방향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는 상기 폴 베어링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충분히 연장되어 상기 치(teeth) 중 하나를 치지만(hit), 상기 치 베어링 부재의 외부 표면에 이르지는 않는다.
상기 치 베어링 부재 상에 가해지는 상방으로 배향된 힘은, 초기에는 상기 순부(408a)의 에지가 치(teeth)(502)의 경사진 면(512)과 마찰에 의해 맞물리게 되는 결과가 되며, 상기 슬립 방지 바(450)를 상기 치(teeth)의 경로로부터 벗어나도록 이동시켜 회전을 허용한다. 상기 치 베어링 부재의 그 이상의 상방 움직임은 상기 폴 베어링 부재의 (도면의 왼쪽을 향한) 회전 운동을 야기한다. 이와 동시에, (도 22b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표면으로서 도시된) 순부(408b)의 내부 비-수직(non-vertical) 표면은 치들(teeth)(520)의 수직 비-선도(non-leading) 에지(552)와 접촉하는데, 이는 상기 치(teeth)의 평면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상기 폴(402b)이 들어올려지도록 하여 상기 폴(402b)이 맞물림 없이 상기 치(teeth) 위로 달리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폴 베어링 부재의 회전 움직임은 순부(408a) 및 표면(512)이 더 이상 접촉하지 않을 때까지 계속된다. 이 지점에서, 순부(408b)는 치들(teeth)(520)을 비우고, 상기 폴 암들이 탄성 변형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치(teeth)의 평면으로 다시 물러난다. 그 이상의 상기 치(teeth) 베어링의 상방 움직임은 상기 폴 베어링 부재의 회전 상에 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런데, (슬립 방지 바(450)에 유사하게 구성된) 제2 슬립 방지 바(452)가 상기 폴 베어링 부재의 역방향(즉, 카운트되지 않는)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치(teeth)의 경로 안으로 반입된다.
도 24a 내지 도 24d에는 복귀 행정 중 상기 구동 메커니즘의, 일련의 단면도들이 도시된다. 도 23의 요소들과 동일한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에 의해 표시된다.
도 23d에 실질적으로 이어지는 도 24a에서, 상기 제1 폴(402b)의 순부(408b)가 치(teeth)(502)의 하부, 경사진 면(518)과 마찰에 의해 맞물릴 때까지, 상기 치 베어링 부재는 낮춰진다(동시에, 상기 제2 슬립 방지 바(452)는 상기 치(teeth)의 경로로부터 움직여진다). 상기 면(518) 및 순부(408a)가 마찰에 의해 맞물리기 때문에 상기 치 베어링 부재의 그 이상의 하방 움직임은 상기 폴 베어링 부재의 회전 움직임을 야기한다.
면(518)은 순부(408b) 아래로 더 진행된다. 이와 동시에, 순부(408a)의 내부 비-수직 표면은 치(teeth)의 수직 비-선도 에지와 접촉하는데, 이는 상기 치(teeth)의 평면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상기 폴(402a)이 들어올려지도록 하여 상기 폴(402a)이 맞물림 없이 상기 치(teeth) 위로 달리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폴 베어링 부재의 회전 움직임은 순부(408b) 및 표면(518)이 더 이상 접촉하지 않을 때까지 계속된다. 이 지점에서, 순부(408a)는 그 위로 상기 순부가 달리는 상기 치들을 비우고, 상기 폴 암들이 탄성 변형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치(teeth)의 평면으로 다시 물러난다. 상기 치 베어링 부재의 그 이상의 하방 움직임 상기 폴 베어링 부재의 회전 상에 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런데, 제1 슬립 방지 바(450)가 상기 폴 베어링 부재의 역방향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치(teeth)의 경로 안으로 다시 반입된다.
전술한 설명에서는 폴 베어링 부재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즉 전체적으로 상기 디스펜서에 대하여 회전하는) 경우가 설명되었지만, 상기 치 베어링 부재가 회전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치 베어링 부재의 원주 주위의 어느 방향도 상기 치들이 가리킬 수 있음도 당연히 가능하다.
회전 변위가 2개의 맞물림들에 의해 수행될 필요가 없다는 점(비록 그것이 유익하다고 할지라도), 그리고 수직 움직임 및 회전 움직임을 포함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순수 회전 움직임을 제공하는, 달리 말하자면 수직 움직임이 없는 구동 메커니즘도 이용될 수 있다.
카운터
도 25 내지 도 34에는 카운터의 다양한 서술들이 더 상세하게 제공된다.
먼저 도 25을 참조하면, 상기 카운터(205)는 제1 링 부재(201) 및 제2 링 부재(202)를 포함한다. 상기 링 부재들은 상기 디스펜서의 컨테이너를 둘러싸는 중심축(214)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동축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2 링 부재는 제1 링 부재의 상단(top)에 실질적으로 바로 배치되며, 그것들의 외측 원주 표면들은, 상기 2개의 링 부재들이 만나는 헤어라인(hairline; 720)에 의해서만 중단되는 실질적으로 연속인 표면을 형성하도록 정렬된다. 구동 메커니즘의 폴 베어링 부재(205)는 상기 제1 링 부재(201)와 일체로 된다.
제1 열의 숫자들(701)('8', '9', '0', '1')은 상기 제1 링 부재(201)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제2 열의 숫자들(702)('0', '1', '2', '3', '4')과 제3 열의 숫자들(703)('1', '1', '1')은 상기 제2 링 부재(202)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명확성을 위해 숫자들 중 일부만이 묘사되었다. 암(704)을 포함하는 결합 메커니즘(700), 일련의 등간격의 돌기들(705), 및 만곡부(deflector; 1002)도 도시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메커니즘으로 인하여 제1 링 부재(201)는 제2 링 부재(202)에 결합될 수 있고, 따라서 그것들은 결합시에 하기에서 상세화되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 메커니즘에 의해 연계되어 회전할 수 있다. 이격된 돌기들(705)은 제2 링 부재(202)의 내측 표면 상에 형성되고 이 특정 경우에는 상기 축 주위로 절반만큼만 연장된다.
사용되는 카운트 체계(counting scheme)에 따라 다수의 암들 및/또는 만곡부들이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은 결국 분명해질 것이다. 그러나 명확성의 목적만을 위해 이 도면들에는 하나의 암 및/또는 만곡부만이 묘사된다.
이제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암(704)은, 상기 제1 링 부재(201)의 상부 반경방향 표면(804)의 리세스 내에 안착된 고리 모양 밴드(802)와 일체로 형성된다. 대안으로서, 상기 암(704)은 상부 반경방향 표면(804) 상에 직접 장착되거나, 상부 반경방향 표면과 일체로 될 수 있다. 상기 암(704)은 제1 링 부재(201)와 대략 동일한 곡률로 아치(teeth)으로 연장되는 슬롯 있는 몸체(slotted body; 712) 및 상방으로 연장된 접촉 단부(contact end; 710)를 구비한다.
도 25을 위로부터 본 도면인 도 27을 참조하면, (음영 넣은 링으로 도시된) 상기 제2 링 부재(202)는, (도면에서 상기 음영 넣은 링의 밑에 일부 숨겨진 공백의 링(blank ring)으로 도시된) 제1 링 부재의 상부 반경방향 표면(804)의 외측 부분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시점으로부터 보면 't2'로 지정된 상기 제2 링 부재(202)의 두께는 't1'으로 지정된 상기 제1 링 부재(201)의 두께의 3분의 1임이 분명하다. 상기 제1 링부재(201)의 두께는 그 높이를 따라 일정할 수 있으며, 또는 상부 반경방향 표면(804)에서 가장 두껍도록 테이퍼질 수 있다. 점선은 상기 암(704)과 상기 제2 링 부재(202)의 내측 표면(902) 상에 형성된 이격된 돌기들(705) 사이의 가상 경계선을 나타낸다.
도 28 및 도 29에는 일련의 대응되는 각각의 사시도 및 하방 도면들로 상기 결합 메커니즘 작동이 도시된다.
도 28a 및 도 29a에는 상기 만곡부(1002)로부터 떨어져 있는 암(704)이 도시된다. 도 28b 및 도 29b에는 상기 제1 링 부재(201) 및 암(704)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상기 암(704)의 상방으로 연장된 접촉 단부(710)는 상기 만곡부(1002)에 접근한다. 상기 만곡부(1002)는 상기 컨테이너에 고정되며, 또는 대안으로서 상기 디스펜서의 하우징의 상부 부분에, 그리고/또는 상기 컨테이너를 둘러싼 슬리브에 고정된다. 상기 암의 몸체(712)가 방해받지 않고 아래를 통과함이 허용되는 만큼만 상기 만곡부가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접촉 단부(710)가 상기 만곡부(1002)의 경사진 면(1004)에 닿음에 따라, 상기 암(704)은 외측으로 만곡(deflect)된다(도 28c 및 도 29c). 이 지점에서, 슬롯(714)의 후미 단부(718)는 치들(1102) 중 하나를 붙잡고, 그럼으로써 상기 제2 링 부재(202)가 함께 당겨지도록 한다. 상기 접촉 단부가 상기 만곡부의 아래면(down face; 1006)으로 하강할 때 상기 치들(teeth)(1102)은 상기 슬롯의 후미 단부에 의해 해제되고, 상기 암은 굽히지 않은 위치로 복귀한다(도 29d 및 도 29d). 도 29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암(704)의 상방으로 연장된 접촉 단부(710)는 매끈한 만곡이 가능하도록 상기 만곡부(1002)의 경사진 면(1004)에 상보적인 면(720)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 단부(710)는, 그것이 만곡부(1002)의 정점에 닿을 때 상기 암이 그것의 굽히지 않은 위치로 즉시 복귀하기 시작할 수 있도록 면취된다.
여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롯(714)이 상기 암(704)의 맞물림 부분을 형성하지만, 후크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맞물림 수단이 이용될 수 있음이 인식된다. 따라서 리세스들이 상기 돌기들 대신에 상기 제2 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암(704)은, 그렇게 하는 것이 장려되면 반경방향 외향으로(즉, 상기 돌기들을 향해) 만곡을 허용하도록 충분히 유연성을 가지지만, 그것의 원래 위치로 복귀하기에도 충분한 탄성을 가진다. 상기 카운터는, 상기 맞물림 수단(예컨대 암(704))을 그것의 굽히지 않은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다시 만곡시키는 기능을 하는 제2 만곡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제2 만곡부는 예를 들어 상기 제2 링 부재(202)의 내측 표면에 고정되거나 일체로 될 수 있다. 상기 제2 링 부재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링 부재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반면, 상기 제2 링부재는 상기 암과 상기 치(teeth) 사이에 맞물림이 없을 때 회전에 저항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링 부재가, 디스펜서 캡 상에 대응되는 특징부(features)와 맞물리는 맞물림 특징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제3 링 부재가 사용된다.
투여량(200)을 위해 구성된 카운터를 위한 예시적인 카운트 체계가 이제 도 30a 내지 30c를 참조하여 설명되며, 이 도면들에는 3개의 상이한 디스플레이 위치들에서의 제1 링 부재 및 제2 링 부재가 도시된다. 편의상, 상기 링 부재들(201, 202)은 평평한 링들로서 도시된다. 상기 돌기들(705), 상기 만곡부(1002), 상기 카운터가 창을 통해 보여질 수 있는 상기 창(1202), 및 디스플레이 커버 요소(1204)도 양식화된 형태로 도시된다.
이 특정 체계에서, 상기 제1 링 부재(201)는 '0' 내지 '9'의 연속된 정수들의 4개의 반복된 세트들을 포함하는 제1 열의 숫자들을 갖는 바, 다음과 같다:
0123456789012345678901234567890123456789.
각각의 정수 세트는 상기 제1 링 부재(201)의 4분의 1 회전을 커버하며, 여기서는 카운트의 '단단위' 숫자들을 나타낸다.
상기 제2 링 부재(202)는 제2 열 및 제3 열의 숫자들을 갖는다. 상기 제2 열은 '0'에 의해 분리되는 '1' 내지 '9'의 연속된 정수들의 2개의 반복된 세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열은, 선택적으로 '2'가 이어지는, 10개의 '1'을 포함하는 바, 예컨대 다음과 같다:
11111111112
12345678901234567890
유사하게, 상기 제2 열 및 상기 제3 열의 각각의 정수 세트는 상기 제2 링 부재(202)의 4분의 1 회전을 커버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열은 카운트에 있어 '십단위' 숫자들을 나타내며, 상기 제3 열은 '백단위' 숫자들을 나타낸다. 제2 링 상에는 느낌표 '!' 의 형태로 경고 기호도 나타난다.
실제로, 초기에 상기 제2 링 부재(202)를 회전시켜야 함을 피하기 위해 '200'보다 '199'로 카운트를 시작하는 것이 더 편리할 수 있다. 도 30a에서 상기 창의 오른쪽에 보이는 수 '200'를 형성하는 정수는 따라서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초기에 상기 제1 링 부재 및 상기 제2 링 부재가 상기 디스펜서의 하우징 내에서 정렬된 때, 상기 제1 열, 제2 열 및 제3 열은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읽었을 때) 수 '199'를 협동하여 디스플레이한다:
------------------------------1111111111
--------------------01234567890123456789
0123456789012345678901234567890123456789
여기에서, '-'는 빈 공간을 표시한다.
각각의 첫 9번 토출된 투여량에 대하여, 상기 제1 링 부재는 반시계방향으로 증분만큼 회전하는 바, 즉 수 '190'이 디스플레이될 때까지 '9'로부터 '0'으로 카운트다운한다. 그후 10번째 토출된 투여량에 대해서는, 상기 링 부재들은 연계되어 증분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링 부재 및 상기 제2 링 부재는 결합 메커니즘에 의해 결합된다. 이 결과로, 창(1202)을 통해 수 '189'가 디스플레이된다. 이후의 9번 토출된 투여량들에 대해, 상기 제1 링 부재는 다시 반시계 방향으로 수 '180'이 디스플레이될 때까지 증분들만큼 회전한다. 20번째 토출된 투여량에 대해, 상기 결합 메커니즘이 다시 맞물림으로써 상기 제1 링 부재 및 사기 제2 링 부재는 연계되어 증분만큼 회전하고, 수 '179'가 상기 창(1202)을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도 30b에는 수 '72'가 디스플레이되는 중간 카운트 위치가 도시된다. 이 위치에서, 상기 제3 열은 바닥나고(run out), 대신 빈 공간이 나타난다. 대안으로서, 상기 빈 공간은 색상들과 같은 숫자들과는 다른 표시부(indicia)로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가, 예컨대 남은 10회 투여량 밑으로 소진되어 감에 따라 상기 제2 열의 숫자들은 느낌표들 '!'이나 다른 경고 표지들로 대체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한 바람직한 경고 표지들은 색상들(예컨대 빨강)이다. 최후의 투여량이 디스펜스되고 나면(도 30c),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링 부재에 부착되고 따라서 같은 속도(rate)로 회전해 왔던 커버 요소(1204)가 상기 창(1202)과 정렬된다. 이것은 어떠한 표시부도 표시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 상에는 '비어 있음(EMPTY)'이라는 단어가 쓰여질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의 그 이상의 작동은 여전히 상기 제1 링 부재(201)가 회전하는 결과로 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치들은 상기 제2 링 부재(202) 주위의 절반에만 배치되기 대문에, 상기 결합 메커니즘은 더 이상 맞물릴 수 없는 바, 즉 상기 암의 슬롯이 같이 맞물릴 수 있는 치들이 없다. 따라서 상기 제2 링부재(202)의 더 이상의 회전은 초래될 수 없으므로, 상기 디스펜서의 그 이상의 작동들에 의해 상기 제1 링이 여전히 회전할지라도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 요소(1204)는 그 위치에 머문다.
따라서 또 다른 양상으로부터 보았을 때 본 발명은, 표시부, 및 싣고 있는, 링 부재 주변에 부분적으로만 배치된 돌기들을 구비한 카운터 내에서 사용되기 위한 상기 링 부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들은 상기 링 부재의 내측 표면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돌기들(예컨대 치들)은 등간격으로 이격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들은 상기 링 부재 주변의 4분의 3(예컨대 약 270°)만 연장되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들은 상기 링 부재 주변의 4분의 1 내지 2분의 1(예컨대 약 90°, 108° 또는 180°, 또는 그 사이의 임의의 각도)만 연장된다.
만곡부들 및/또는 암들(도 30에 미도시)의 수는 구현된 카운트 체계에 종속될 것임은 분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0에서, '0' 내지 '9'의 연속된 정수들의 4개의 반복된 세트들을 포함하는 제1 열의 숫자들을 상기 제1 링 부재(201)가 구비하여 각각의 세트는 상기 제1 링 부재(201)의 4분의 1 회전을 커버하고, 하나의 만곡부(1002)가 제공되는 경우에, 상기 카운터는 90도 간격으로 이격된 4개의 암들을 가질 것이다. 물론 다른 구성들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0' 내지 '9'의 연속된 정수들의 2개의 반복된 세트들을 포함하는 제1 열의 숫자들을 상기 제1 링 부재(201)가 구비하여 각각의 세트는 상기 제1 링 부재(201)의 2분의 1 회전을 커버하고, 하나의 만곡부(1002)가 제공되는 경우에, 상기 카운터는 180도 간격으로 이격된 2개의 암들을 가질 것이다. 대안으로서 단일 암 및 간격을 두고 이격된 다수의 만곡부들(1002)을 갖거나 다수의 암들 및 만곡부들 및 다수 세트의 치들을 갖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31 및 도 32는 상기 카운터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의 사시도들이다. 도 18a 및 도 18b와 대조적으로, 상기 치 베어링 부재보다는 상기 폴 베어링 부재가 상기 제1 링 부재(201)와 일체로 된다. 이것은 설명의 목적만을 위한 것이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메커니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22에 도시된다. 상기 제3 열의 숫자들(703)에 뒤이은 색상 스트립(strip of colour)도 도 31에서 볼 수 있다. 도 32에는 상기 디스펜서의 하우징(1402)의 창(1202)을 통해 카운트('119')가 어떻게 보여질 수 있는지 도시된다.
도 33a 내지 도 33c에는 상기 카운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가 도시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링 부재(1510)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그리고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214)을 중심으로 제1 링 부재(201)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그리고 동축으로 배치된다. 명확성을 위해 상기 제1 링 부재(201)는 이 도면들에는 도시되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과 함께, 상기 제2 링 부재는 제1 링 부재의 상단에 실질적으로 바로 배치되며, 그것들의 외측 원주 표면들은, 상기 2개의 링 부재들이 만나는 헤어라인(hairline)에 의해서만 중단되는 실질적으로 연속인 표면을 형성하도록 정렬된다. 구동 메커니즘의 폴 베어링 부재(205)는 상기 제1 링 부재(201)와 일체로 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카운터는 상기 제2 링 부재(1510)와 동축으로 배치되는 제3 링 부재(1502)를 더 포함한다. 이용 중에 상기 제3 링 부재는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제3 링 부재는,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1 링 부재(201) 상의 암(704)을 만곡시켜 상기 제2 링 부재(1510)의 내부 표면 상의 돌기들(1516)과 맞물리도록 하는 만곡부(1504)를 포함한다.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3 링 부재는 상기 암(704)을 바깥쪽으로 만곡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갭(1518)을 그 외측 벽 내에 갖는다. 상기 암이 상기 치들(teeth)(1516)과 맞물린 후에, 상기 창(1518)의 후미 경계(trailing boundary) 상의 경사진 에지는 상기 암(704)의 에지와 맞물려서 상기 치들(teeth)(1516)로부터 상기 암(704)이 떨어지도록 밀어낸다. 이는 (잘못된 투여량 수치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이어질) 십단위(제 2) 링의 원치 않은 맞물림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음을 보장한다.
상기 제3 링 부재(1502)는, 상기 제2 링 부재(1510)의 상부 원주 표면에 압력을 가하는 유연성 있고(flexible) 탄성 변형가능한 부분을 포함한 제한 메커니즘(1506)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한 메커니즘은 상기 제3 링 부재에 상대적인 상기 제2 링 부재의 회전량을 제한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한 메커니즘은, 상기 암이 적절하게 분리되기를 실패한 경우에 상기 제2 링 부재가 2개의 돌기들(또는 카운트들)에 의해 잘못 회전함을 방지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링 부재(1510)는, 상기 제3 링 부재(1502)의 상기 제한 메커니즘(1506)과 맞물리도록 상부 원주 표면 상에 복수 개의 돌기들(1512)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돌기들(1512)은 실질적으로 등간격으로 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들(1512)은 상기 제2 링 부재의 내부 표면 상에 돌기들(1516)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격(spacing)을 갖는다.
도 28 및 도 29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링 부재 및 상기 제2 링 부재가 결합되면, 상기 제2 링 부재는 (상기 제1 링 부재와 상기 제2 링 부재가 분리될 때까지) 상기 제1 링 부재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상기 돌기들(1512)을 돌기들(1516)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로 이격함으로써(이는 상기 제1 링 부재와 상기 제2 링 부재 사이의 결합 메커니즘의 일부를 형성함) 이는, 잘못된 카운트가 표시될 수 있는 적절하게 상기 암이 분리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제2 링 부재가 원하는 것보다 더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게다가 상기 제3 링 부재는 상기 상부 원주 표면 내에 복수 개의 배치 리세스들(locating recesses; 1508a, 1508b 및 1508c)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이 리세스들 내에 배치된 대응되도록 형상화된 돌기들은 상기 제3 링 부재를 제 위치에 유지시키고 따라서 상기 제3 링 부재의 회전을 방지한다. 상기 돌기들은 컨테이너 또는 디스펜서 내에(예컨대 디스펜서 캡 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링 부재가 회전함을 방지함으로써, 이는 상기 만곡부(1504)가 상기 제1 링 부재 및 상기 제2 링 부재에 상대적으로 일관된 위치에 머묾을 보장한다.
컨테이너 또는 디스펜서 내에 배치된 복수 개의 대응되도록 형상화된 돌기들은, 키잉 기능(keying function)을 제공하기 위해 비대칭적 패턴과 함께 설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링 부재는 상기 컨테이너 및 디스펜서에 대해, 따라서 상기 제1 링 부재 및 제2 링 부재에 대해서도, 하나의 회전 위치(rotational position)에만 배치될 것이다. 이는, 상기 제3 링 부재가 상기 제1 링 부재 및 상기 제2 링 부재에 대하여 항상 올바르게 배치되어 상기 카운트가 올바르게 등록되는 것이 가능하게 됨을 보장한다.
상기 제2 링 부재(1510)는, 상기 카운터가 영(zero)에 도달했음을 표시하고 비어 있는 디스펜서를 표시하도록 (도 30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표시부의 시야를 흐리게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커버 요소(1514)를 더 포함한다.
도 34a 및 도 34b에는 상기 제2 링 부재 없이 상기 제3 링 부재가 도시된다. 그 참조 번호들은 도 33의 참조 번호들에 대응된다.
이 실시예에는 상기 제3 링 부재가 상기 제1 링 부재 및 상기 제2 링 부재에 상대적으로 고정된 회전 위치에 머물러 상기 카운트가 올바른 남은 투여량을 표시하는 것이 요구됨에 따라, 상기 제3 링 부재가 표시부를 포함하지 않고, 표시부를 싣도록 의도되지 않음은 분명할 것이다.
모든 실시예들에서, 바람직하게는 아세탈 혼성 중합체로 만들어지는 플랩 및 캠 종동부를 제외한, 구성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이 상기 구체적인 실시예들 및 그것들의 이용들에 대한 설명에 의해 예증되어 왔으나, 위에서 설명된 것이,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한정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독자들에게 간주되어서는 아니된다.
상기 캠 종동부, 카운터 구동기 안내부 및 카운터가 단일 디스펜서 내에 조합되어 개시되어 왔지만, 당업자는 상기 캠 종동부, 카운터 구동기 안내부 및 카운터의 각각이 동일 디스펜서 내에 모두 존재할 필요는 없고, 다른 특징부들이 존재하지 않는 디스펜서 내에서 이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캠 종동부는, 카운터 구동기 안내부 및 카운터가 없는 디스펜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카운터 구동기 안내부 및 카운터를 갖는 디스펜서 내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Claims (42)

  1. 기체성(gaseous), 기체-함유(gas borne) 또는 액적(droplet) 물질의 투여량을 물질원으로부터 토출(dispense)하기 위한 디스펜서로서, 상기 디스펜서는:
    물질원을 수용하기 위한 몸체로서, 마우스피스를 구비한 몸체;
    물질원으로부터 물질의 투여량을 방출하기 위한 상기 몸체의 종축 내의 움직임을 위해 상기 몸체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접합 부재로서, 물질원의 분출구(spout)를 수용하기 위한 소켓을 포함하는 접합 부재;
    물질원으로부터 물질의 투여량을 방출하도록 상기 몸체의 종축 방향으로 상기 접합 부재를 이동시키는 디스펜서 구동기(driver)로서, 피봇 샤프트 및 상기 피봇 샤프트 상에 배치된 캠을 포함하고, 상기 피봇 샤프트의 회전은 상기 캠을 회전하게 하고 상기 접합 부재에 힘을 가하도록 하여 상기 종축 방향으로 상기 접합 부재가 움직이도록 상기 몸체 내에 배치되는, 디스펜서 구동기; 및
    상기 몸체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캠 종동부로서, 상기 캠 종동부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강성인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디스펜서 구동기 및 상기 접합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펜서 구동기의 캠에 의해 상기 돌기에 가해지는 힘은 상기 캠 종동부를 상기 몸체의 종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이동하게 하고, 물질원으로부터 투여량의 물질을 방출하도록 상기 접합 부재에 힘을 가하는 캠 종동부;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종축 방향으로의 캠 종동부 베이스의 슬라이드 가능한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슬라이드 가능한 맞물림으로 상기 캠 종동부의 상기 베이스를 수용하도록 형상화된, 디스펜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하나 이상의 안내 레일들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 내에서 상기 캠 종동부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안내 레일들이 상기 캠 종동부 베이스 상에서 하나 이상의 안내 레일들과 협동하게끔 구성된, 디스펜서.
  4. 제1항, 제2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 종동부는 상기 몸체 내의 대응되도록 형상화된 돌기와의 맞물림을 위해 상기 베이스의 하부 에지 상에 배치된 탄성 변형가능한 클립을 더 포함하며, 상기 클립이 상기 돌기와 맞물릴 때 상기 캠에 의해 상기 캠 종동부 상에 힘이 가해질 때까지 상기 캠 종동부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위치에서 유지되는, 디스펜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질원으로부터 토출된 투여량들의 수 또는 물질원에 남아 있는 투여량들의 수에 해당되는 상기 디스펜서의 작동 수(number of actuations)를 표시하기 위한 투여량 카운터를 더 포함하는, 디스펜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량 카운터는:
    표시부를 구비한 카운터로서, 상기 몸체의 종축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 내에서 증분적으로 회전가능한, 카운터;
    상기 카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카운터 구동기로서, 상기 접합 부재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 내에서 상기 접합 부재와 함께 상기 종축 상에서 왕복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 카운터 구동기; 및
    상기 카운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으로서,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상기 카운터 구동기에 결합되며, 상기 카운터 구동기의 길이방향 움직임에 응답하여 상기 카운터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종축에서의 상기 카운터 구동기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 내에 카운터 구동기를 안내하도록 구성된 카운터 구동기 안내부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구동기 안내부는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카운터 구동기 내의 대응되도록 형상화된 노치와 협동하기 위해 구성되고 형상화되는, 디스펜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부재는 하나 이상의 슬롯들을 포함하고, 상기 카운터 구동기는 상기 접합 부재 및 상기 카운터 구동기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접합 부재와의 맞물림을 위한 하나 이상의 돌기들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는 제1 표시부를 갖는 제1 링 부재 및 제2 표시부를 갖는 제2 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링 부재 및 상기 제2 링 부재 각각은 상기 종축을 중심으로 증분적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 중 하나 또는 둘 다는 카운트(count)를 표시하며,
    상기 투여량 카운터는:
    상기 제1 링 부재를 상기 제2 링 부재에 해제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메커니즘으로서,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 링 부재 및 상기 제2 링 부재가 협동적으로 회전함을 가능하게 하고, 결합되지 않았을 때 상기 제1 링 부재의 독립적인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결합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디스펜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종축을 중심으로 동축으로 배치되는 제3 링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링 부재는 상기 종축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제3 링 부재에 대한 상기 제2 링 부재의 자유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메커니즘은 상기 제한을 위해 상기 제2 링 부재 상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 탄성 변형가능한 부분(portion)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 부재는 복수 개의 등간격의(equally-spaced) 돌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한 메커니즘은 상기 제2 링 부재의 상기 자유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돌기들과 맞물리는, 디스펜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링 부재는 상기 제3 링 부재의 자유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카운터 하우징 내에 대응되게 형상화된 돌기들과의 맞물림을 위한 상부 원주방향 표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배치 리세스(locating recess)들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16. 제1항 내지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질원을 더 포함하는, 디스펜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원은 가압된 계량된 투여량 흡입기(pMDI)인, 디스펜서.
  18. 기체성(gaseous), 기체-함유(gas borne) 또는 액적 물질의 투여량을 물질원으로부터 토출하기 위한 디스펜서로서, 상기 디스펜서는:
    물질원을 수용하기 위한 몸체로서, 마우스피스를 구비한 몸체; 및
    물질원으로부터 토출된 투여량들의 수 또는 물질원에 남아 있는 투여량들의 수에 해당되는 상기 디스펜서의 작동 수(number of actuations)를 표시하기 위한 투여량 카운터;를 포함하며, 상기 투여량 카운터는:
    표시부를 구비한 카운터로서, 상기 몸체의 종축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 내에서 증분적으로 회전가능한, 카운터;
    상기 카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카운터 구동기로서, 상기 디스펜서의 작동(actuation)에 응답하여 상기 몸체 내에서 상기 종축 방향으로 왕복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 카운터 구동기; 및
    상기 카운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으로서,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상기 카운터 구동기에 결합되며, 상기 카운터 구동기의 길이방향 움직임에 응답하여 상기 카운터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종축 방향으로의 상기 카운터 구동기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 내에서 카운터 구동기를 안내하도록 구성된 카운터 구동기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운터 구동기 안내부는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는 상기 카운터 구동기 내의 대응되도록 형상화된 노치와 협동하기 위해 구성되고 형상화되는, 디스펜서.
  19. 제18항에 있어서, 물질원으로부터 물질의 투여량을 방출하기 위한 상기 몸체의 종축 내의 움직임을 위해 상기 몸체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접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접합 부재는 물질원의 분출구를 수용하기 위한 소켓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부재는 하나 이상의 슬롯들을 포함하고, 상기 카운터 구동기는 상기 접합 부재 및 상기 카운터 구동기를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접합 부재와의 맞물림을 위한 하나 이상의 돌기들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21. 기체성(gaseous), 기체-함유(gas borne) 또는 액적 물질의 투여량을 물질원으로부터 토출하기 위한 디스펜서로서, 상기 디스펜서는:
    물질원을 수용하기 위한 몸체로서, 마우스피스를 구비한 몸체;
    물질원으로부터 물질의 투여량을 방출하기 위한 상기 몸체의 종축 내의 움직임을 위해 상기 몸체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접합 부재로서, 물질원의 분출구(spout)를 수용하기 위한 소켓을 포함하는 접합 부재;
    물질원으로부터 물질의 투여량을 방출하기 위한 상기 몸체의 종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한 디스펜서 구동기(driver)로서, 피봇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 상에 배치된 캠을 포함하고, 상기 피봇 샤프트의 회전이 상기 캠을 회전하게 하고 상기 접합 부재에 힘을 가하도록 하여 상기 종축 방향으로 상기 접합 부재가 움직이도록 상기 몸체 내에 배치되는, 디스펜서 구동기;
    상기 몸체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캠 종동부로서,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강성인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디스펜서 구동기와 상기 접합 부재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디스펜서 구동기의 캠에 의해 상기 돌기에 가해지는 힘이 상기 캠 종동부를 상기 몸체의 종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이동시키고, 상기 접합 부재에 힘을 가하게 하여 물질원으로부터 투여량의 물질을 방출시키는, 캠 종동부; 및
    물질원으로부터 토출된 투여량들의 수 또는 물질원에 남아 있는 투여량들의 수에 해당되는 상기 디스펜서의 작동 수(number of actuations)를 표시하기 위한 투여량 카운터;를 포함하며, 상기 투여량 카운터는:
    표시부를 구비한 카운터로서, 상기 몸체의 종축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 내에서 증분적으로 회전가능한, 카운터;
    상기 카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카운터 구동기로서, 상기 디스펜서의 작동(actuation)에 응답하여 상기 몸체 내에서 상기 종축 방향으로 왕복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 카운터 구동기; 및
    상기 카운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으로서,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상기 카운터 구동기에 결합되며, 상기 카운터 구동기의 길이방향 움직임에 응답하여 상기 카운터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종축에서의 상기 카운터 구동기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 내에 카운터 구동기를 안내하도록 구성된 카운터 구동기 안내부를 포함하는, 투여량 카운터인, 디스펜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KR1020147014781A 2011-11-01 2012-10-31 디스펜서 KR1020579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118845.5 2011-11-01
GBGB1118845.5A GB201118845D0 (en) 2011-11-01 2011-11-01 Dispenser
PCT/GB2012/052709 WO2013064821A1 (en) 2011-11-01 2012-10-31 Dispen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514A KR20140079514A (ko) 2014-06-26
KR102057951B1 true KR102057951B1 (ko) 2019-12-20

Family

ID=45375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4781A KR102057951B1 (ko) 2011-11-01 2012-10-31 디스펜서

Country Status (34)

Country Link
US (2) US9572945B2 (ko)
EP (2) EP3335753B1 (ko)
JP (1) JP6087938B2 (ko)
KR (1) KR102057951B1 (ko)
CN (2) CN103987417B (ko)
AR (2) AR088590A1 (ko)
AU (2) AU2012330943B2 (ko)
BR (1) BR112014010244B1 (ko)
CA (1) CA2853743C (ko)
CO (1) CO7010807A2 (ko)
CY (2) CY1119846T1 (ko)
DK (2) DK3335753T3 (ko)
EA (2) EA029153B1 (ko)
ES (2) ES2661257T3 (ko)
GB (1) GB201118845D0 (ko)
HK (1) HK1255863A1 (ko)
HR (2) HRP20180379T1 (ko)
HU (2) HUE052491T2 (ko)
IL (1) IL232066A (ko)
IN (1) IN2014DN03230A (ko)
LT (2) LT2773408T (ko)
ME (1) ME03049B (ko)
MX (1) MX349284B (ko)
MY (1) MY170764A (ko)
NO (1) NO2773408T3 (ko)
PL (2) PL3335753T3 (ko)
PT (1) PT2773408T (ko)
RS (1) RS56899B1 (ko)
SA (2) SA115360767B1 (ko)
SG (1) SG11201401564PA (ko)
SI (2) SI2773408T1 (ko)
TW (1) TWI576121B (ko)
UA (1) UA114305C2 (ko)
WO (1) WO20130648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304784D0 (en) * 2013-03-15 2013-05-01 Euro Celtique Sa Dispenser
US10561806B2 (en) * 2014-10-02 2020-02-18 Mannkind Corporation Mouthpiece cover for an inhaler
CN107438446B (zh) * 2015-02-13 2021-01-08 方特慕控股第一私人有限公司 系统和组件
USD809127S1 (en) * 2016-04-05 2018-01-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haler refill assembly
FR3050114B1 (fr) * 2016-04-15 2021-12-03 Aptar France Sas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synchronise avec l'inhalation.
FR3050116B1 (fr) * 2016-04-15 2020-05-15 Aptar France Sas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synchronise avec l'inhalation
US10556072B2 (en) * 2017-01-31 2020-02-11 Dunan Microstaq, Inc. Metering device for a metered dose inhaler
GB201702407D0 (en) 2017-02-14 2017-03-29 Norton (Waterford) Ltd Inhalers and related methods
GB201702406D0 (en) 2017-02-14 2017-03-29 Norton (Waterford) Ltd Inhalers and related methods
GB201702408D0 (en) 2017-02-14 2017-03-29 Norton (Waterford) Ltd Inhalers and related method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62522A1 (en) * 2003-02-21 2007-03-22 Bacon Raymond J Dispenser
US20070246042A1 (en) 2003-12-10 2007-10-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ose Counter for Dispensers
US20080135575A1 (en) 2004-05-21 2008-06-12 Bespak Plc Dispensing Apparatus With Dosage Counter
US20080168984A1 (en) 2005-03-17 2008-07-17 Richard David Lintern Inhalation Device
US20090229604A1 (en) 2005-09-08 2009-09-17 Allen John Pearson An inhaler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9806A (en) * 1987-05-12 1992-06-09 Glaxo Inc. Inhalation device
DE69617431T2 (de) * 1995-06-21 2002-08-01 Asta Medica Ag Arzneipulverkartusche mit integrierter dosiereinrichtung, sowie pulverinhalator
GB2320489A (en) * 1996-12-20 1998-06-24 Norton Healthcare Ltd Inhaler dose counter
GB9705657D0 (en) 1997-03-19 1997-05-07 Bacon Raymond J Dispenser
TW533865U (en) 1997-06-10 2003-05-21 Glaxo Group Ltd Dispenser for dispensing medicament and actuation indicating device
GB2348928B (en) 1999-04-07 2001-10-31 Bespak Pl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ispensing apparatus
SE516826C2 (sv) 1999-06-18 2002-03-05 Shl Medical Ab Anordning i en inhalator med organ för aktivering och avaktivering av en kanister som svar på ett luftflöde
US7036505B2 (en) 2000-07-24 2006-05-02 Clinical Designs Ltd. Dispenser
DE60141149D1 (de) * 2000-09-29 2010-03-11 Pfizer Ltd Medizinisches Inhalations-Gerät
GB0029612D0 (en) 2000-12-05 2001-01-17 Bacon Raymond J Drug dispenser
DE10061723C2 (de) 2000-12-12 2003-01-16 Eckert Rosemarie Zählwerk zum Zählen dosierter Abgaben flüssiger, pastöser oder fester Produkte sowie Einrichtung zum dosierten Abgeben solcher Produkte
GB0101944D0 (en) 2001-01-25 2001-03-07 Bacon Raymond J Dispenser
DK1357965T3 (en) 2001-01-25 2014-12-15 Clinical Designs Ltd Dispenser for drug
GB2372542B (en) 2001-02-23 2003-08-20 Bespak Plc Dosage counting devices
DK1487523T3 (en) * 2002-03-22 2017-08-28 Clinical Designs Ltd FIXING FOR A BOX
DE60326346D1 (de) * 2002-06-21 2009-04-09 Glaxo Group Ltd Betätigungsanzeiger für eine abgabevorrichtung
ATE382387T1 (de) 2002-11-04 2008-01-15 Bang & Olufsen Medicom As Abgabevorrichtung
GB0327112D0 (en) 2003-11-21 2003-12-24 Clincial Designs Ltd Dispenser and reservoir
GB0328859D0 (en) 2003-12-12 2004-01-14 Clinical Designs Ltd Dispenser and counter
FR2869708B1 (fr) * 2004-04-29 2006-08-04 Valois Sas Indicateur pour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ou pulverulent
GB0425518D0 (en) 2004-11-19 2004-12-22 Clinical Designs Ltd Substance source
GB0428204D0 (en) 2004-12-23 2005-01-26 Clinical Designs Ltd Medicament container
WO2006077486A1 (en) * 2005-01-20 2006-07-27 Trudell Medical International Dispensing device
US7219664B2 (en) * 2005-04-28 2007-05-22 Kos Life Sciences, Inc. Breath actuated inhaler
GB2429166A (en) 2005-07-27 2007-02-21 Cambridge Consultants Inhaler counter
KR20080032136A (ko) 2005-08-01 2008-04-14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흡입기 밸브
CN101247897B (zh) * 2005-08-24 2013-06-12 贝林格尔·英格海姆国际有限公司 雾化器
GB0518400D0 (en) 2005-09-09 2005-10-19 Clinical Designs Ltd Dispenser
US7976234B2 (en) 2006-04-28 2011-07-12 James Alexander Corporation Multi-chambered dispenser and process
EP1868329A1 (en) 2006-06-12 2007-12-19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of transferring data between a sending station in a first network and a receiving station in a second network,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ending station in the first network and the receiving station in the second network
DK2056903T3 (en) 2006-08-31 2019-01-28 Meridian Medical Tech Inc Swirl function for drug delivery system
DE102007018868A1 (de) 2007-04-19 2008-10-23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Einweginjektor mit mindestens einem Zughaken und einem Schiebekeilgetriebe zum entsichernden Lösen eines Sperrelements
US7988016B2 (en) 2008-02-06 2011-08-02 Klein Seth A Medicine container with single pill dispenser
DE102008011885A1 (de) 2008-02-29 2009-09-10 Tecpharma Licensing Ag Doppelfunktionsfeder
GB2461752B (en) 2008-07-14 2013-04-17 Neo Inhalation Products Ltd Metered dose inhaler
DE102008044770A1 (de) 2008-08-28 2010-03-25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Antriebseinheit für Dosiszähler
GB0904040D0 (en) 2009-03-10 2009-04-22 Euro Celtique Sa Counter
GB0904059D0 (en) 2009-03-10 2009-04-22 Euro Celtique Sa Counter
GB201304784D0 (en) * 2013-03-15 2013-05-01 Euro Celtique Sa Dispenser
US9608418B1 (en) 2016-03-17 2017-03-28 Elbex Video Ltd. Decorative covers and keys for electrical wiring devic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62522A1 (en) * 2003-02-21 2007-03-22 Bacon Raymond J Dispenser
US20070246042A1 (en) 2003-12-10 2007-10-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ose Counter for Dispensers
US20080135575A1 (en) 2004-05-21 2008-06-12 Bespak Plc Dispensing Apparatus With Dosage Counter
US20080168984A1 (en) 2005-03-17 2008-07-17 Richard David Lintern Inhalation Device
US20090229604A1 (en) 2005-09-08 2009-09-17 Allen John Pearson An inha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3335753T3 (da) 2020-11-09
TWI576121B (zh) 2017-04-01
WO2013064821A1 (en) 2013-05-10
AR112317A2 (es) 2019-10-16
SG11201401564PA (en) 2014-05-29
EP2773408A1 (en) 2014-09-10
EA029153B1 (ru) 2018-02-28
LT2773408T (lt) 2018-02-12
HUE052491T2 (hu) 2021-05-28
IL232066A (en) 2017-12-31
RS56899B1 (sr) 2018-04-30
AU2012330943A1 (en) 2014-05-01
JP6087938B2 (ja) 2017-03-01
US20140290648A1 (en) 2014-10-02
TW201341006A (zh) 2013-10-16
MX349284B (es) 2017-07-20
EA201691179A1 (ru) 2017-01-30
SA115360767B1 (ar) 2016-02-17
HRP20180379T1 (hr) 2018-04-06
CN105233381A (zh) 2016-01-13
CN103987417A (zh) 2014-08-13
ES2661257T3 (es) 2018-03-28
KR20140079514A (ko) 2014-06-26
SI3335753T1 (sl) 2021-01-29
AU2017232159B2 (en) 2019-07-11
US9572945B2 (en) 2017-02-21
USRE47884E1 (en) 2020-03-03
PT2773408T (pt) 2018-03-05
SI2773408T1 (en) 2018-03-30
IL232066A0 (en) 2014-05-28
PL2773408T3 (pl) 2018-05-30
IN2014DN03230A (ko) 2015-05-22
MY170764A (en) 2019-08-28
NZ623927A (en) 2016-01-29
ME03049B (me) 2018-10-20
EA034661B1 (ru) 2020-03-04
CN105233381B (zh) 2019-09-06
SA112330966B1 (ar) 2015-11-02
EP2773408B1 (en) 2017-12-06
HRP20201772T1 (hr) 2020-12-25
BR112014010244A2 (pt) 2017-04-18
EP3335753B1 (en) 2020-09-09
HUE036630T2 (hu) 2018-07-30
CA2853743C (en) 2020-03-10
EP3335753A1 (en) 2018-06-20
GB201118845D0 (en) 2011-12-14
AR088590A1 (es) 2014-06-18
ES2825906T3 (es) 2021-05-17
LT3335753T (lt) 2021-01-11
MX2014005305A (es) 2014-09-22
NZ712999A (en) 2016-03-31
AU2012330943B2 (en) 2017-07-20
HK1255863A1 (zh) 2019-08-30
CN103987417B (zh) 2017-02-15
UA114305C2 (uk) 2017-05-25
AU2017232159A1 (en) 2017-10-12
CA2853743A1 (en) 2013-05-10
DK2773408T3 (en) 2018-03-12
NO2773408T3 (ko) 2018-05-05
JP2014532497A (ja) 2014-12-08
CO7010807A2 (es) 2014-07-31
CY1119846T1 (el) 2018-06-27
CY1123773T1 (el) 2022-03-24
BR112014010244B1 (pt) 2020-12-29
EA201490906A1 (ru) 2014-08-29
PL3335753T3 (pl) 202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7951B1 (ko) 디스펜서
AU2019201740B2 (en) Dispenser
AU2013366105B2 (en) Counter
NZ712999B2 (en) Dispenser
NZ623927B2 (en)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