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500B1 - 탬핑 장치 - Google Patents

탬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500B1
KR102057500B1 KR1020180105659A KR20180105659A KR102057500B1 KR 102057500 B1 KR102057500 B1 KR 102057500B1 KR 1020180105659 A KR1020180105659 A KR 1020180105659A KR 20180105659 A KR20180105659 A KR 20180105659A KR 102057500 B1 KR102057500 B1 KR 102057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support
housing
spring
cof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덕중
Original Assignee
박덕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덕중 filed Critical 박덕중
Priority to KR1020180105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5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6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탬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터 필터에 수용된 커피가루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숙련된 사용자가 아니더라도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가압력을 조절하여 양질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하는 탬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형성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지주에 설치되는 필터 지지대와, 상기 몸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필터 지지대에 안착된 포터 필터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를 승하강 시키는 레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탬핑 장치{a tamping device}
본 발명은 탬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터 필터에 수용된 커피가루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숙련된 사용자가 아니더라도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가압력을 조절하여 양질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하는 탬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두 커피의 다지기 장치(탬퍼)는 원두 커피의 추출을 위해 분쇄된 원두분말을 고루 다져주어 고온의 용수 투과시간으로 커피의 향과 맛을 결정시키어주는 매우 중요한 다지기 기구로써, 그러한 커피 탬퍼는 현재까지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원두커피의 다지기 장치는 대략 메뉴얼 방식 또는 전동적인 방식들이 사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먼저, 전자 메뉴얼 방식의 다지기 장치를 보면 저면이 평면으로 이룬 원추형상의 동체 정점에 구비되는 손잡이를 이용해 파지한 후 분쇄된 원두 분말이 담아지는 포터필터 상에서 커피전문가가 메뉴얼 방식의 가압공정으로 다지기 공정을 이루게 되어 있는데, 이러한 메뉴얼 방식의 다지기에서는 가압력이 고루 분산되지 못해 원두 분말의 평탄화가 용이하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원두분말의 가압이 커피 전문가마다 정도 차이가 일어나 원두 분말의 압축이 불균일하고 따라 추출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가압공정에 힘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등 많은 수고가 따라 커피전문가의 손목에 무리가 따라 직업병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근래에는 상기에서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전동방식의 다지기 장치가 제공되고 있는데, 이러한 전동방식의 다지기 장치는 포터필터가 탈착식으로 안치되는 기저부 상으로 구비시킨 지주대에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해 전동식으로 구동하는 실린더형의 액추에이터를 연직 상으로 배치하고, 이 액추에이터의 피스톤 승강운동을 이용하여 가압부재가 자동적으로 포터필터 내의 원두 분말 다지기를 이루게 하고 있는데, 이러한 실린더형의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원두 분말의 다지기는 기기의 제작시 설계에 의해 그 다지기 값이 확정되어 원두의 분말 다지기가 획일적인 것으로 원두 분말의 투입량과 분쇄입자 크기나 제조실의 습도 변화에 따른 다지기 세기의 가감이 불가하여 주위환경에 따라 대처하지 못하고 있으며, 따라서 원두 커피의 고유한 향과 맛을 제대로 살려 내지 못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따르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06234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원두 커피의 추출을 위해 포터필터(PF)에 충전되는 원두분말을 고루 다져주어 고온의 용수 투과시간으로 커피의 향과 맛을 결정시키어주는 원두커피의 다지기 장치로서, 기저부(10); 상기 기저부(10) 상에서 연직 상으로 설치되는 지주(12); 상기 지주(12)에 그 지주(12)와 교차하는 수평방향으로 조립되어 상기 포터필터(PF)가 탈착식으로 안치되는 받침대(14); 상기 지주(12) 상부 측에서 설치되어 메뉴얼 방식의 조작에 의해 구동하는 작동레버(21)의 회전력으로 승강하면서 상기 포터필터(PF)에 충전된 원두 분말의 다지기를 이루게 하는 가압유닛(20)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06234호에 기재된 기술은 메뉴얼 방식으로 조작되는 작동레버(21)의 회전력을 이용해 원두 분말을 다지도록 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다지기 세기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숙련된 기술자가 아닐 경우 상황에 따른 압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커피의 향미를 제대로 살릴 수 있는 커피를 추출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0623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커피가루가 수용되는 포터 필터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지지대의 상부에 위치하여 레버의 제어에 의해 상하 이동하여 포터 필터에 수용된 커피가루를 가압하는 가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부의 내측에는 가압부재의 가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탄성부를 구비하되, 가압부의 측부에는 가압부재가 커피가루를 가압하는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가 형성되어 숙련된 사용자가 아니더라도 표시부를 통하여 커피가루를 가압하는 정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커피의 향미를 제대로 살릴 수 있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탬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형성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지주에 설치되는 필터 지지대와, 상기 몸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필터 지지대에 안착된 포터 필터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를 승하강 시키는 레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는 원통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삽입되는 가압로드와, 상기 가압로드의 하단에 형성되는 가압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가압로드를 하부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표시공이 형성되고, 상기 표시공의 측부에는 가압력의 정도를 표시하는 눈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가압로드와 탄성부 사이에 이동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표시공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지시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탄성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내측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스프링과, 상기 하부 스프링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스프링과, 상기 하부 스프링과 상부 스프링 사이에 위치하는 분할판과, 상기 분할판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는 지지돌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돌부는 상부 스프링과 하부 스프링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일정 이상의 압력이 필요할 경우 지지돌부의 하단이 이동부재의 상부와 접하도록 하여 강한 힘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몸체를 상하 관통하는 제1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레버부를 구성하는 회전축은 상기 몸체를 좌우로 관통하는 제2관통공에 삽입되며, 상기 제1,2관통공은 서로 연통되어 가압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랙과 회전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피니언이 서로 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커피가루가 수용되는 포터 필터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지지대의 상부에 위치하여 레버의 제어에 의해 상하 이동하여 포터 필터에 수용된 커피가루를 가압하는 가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부의 내측에는 가압부재의 가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탄성부를 구비하되, 가압부의 측부에는 가압부재가 커피가루를 가압하는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가 형성되어 숙련된 사용자가 아니더라도 표시부를 통하여 커피가루를 가압하는 정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커피의 향미를 제대로 살릴 수 있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있다.
도 1은 종래의 탬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탬핑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탬핑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탬핑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탬핑 장치의 가압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탬핑 장치의 탄성부의 조립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탬핑 장치의 표시부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탬핑 장치의 몸체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탬핑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탬핑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탬핑 장치의 가압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탬핑 장치의 탄성부의 조립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탬핑 장치의 표시부의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탬핑 장치의 몸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탬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100)와 상기 받침대(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지주(110)와 상기 지주(110)의 상단에 구비되는 몸체(200)와 상기 지주(110)에 설치되어 포터 필터(미도시)가 안착되는 필터 지지대(120)와 상기 몸체(200)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부(400)와 상기 몸체(200)에 설치되어 가압부(400)를 상하 이동시키는 레버부(3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필터 지지대(120)는 몸체(20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지주(110)에 설치되고, 그 형상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심부에 포터 필터가 삽입 지지되며, 상기 가압부(400)는 몸체(200)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가 레버부(300)를 제어하여 가압부(400)를 하부로 이동시켜 포터 필터에 삽입된 커피 가루를 다져주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탬퍼를 손에 파지한 상태로 하부로 힘을 가하여 커피 가루를 다지지 않더라도 래버부(300)를 구성하는 레버(310)를 회전시켜 용이하게 커피 가루를 다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400)는 원통형상의 하우징(410)과 상기 하우징(410)의 하부에 삽입되는 가압로드(440)와 상기 가압로드(440)의 하단에 형성되는 가압부재(450)와 상기 하우징(410)의 내측에 구비되어 가압로드(440)를 하부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4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410)의 상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개방된 상부에는 커버부재(414)가 나사 결합으로 착탈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460) 및 가압로드(440)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410)의 내측 하부에는 제1걸림턱(부호 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로드(440)의 외측에는 상기 제1걸림턱에 대응되도록 제2걸림턱(부호 미도시)이 형성되어 가압로드(440)가 하우징(410)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가압부(400)를 형성하는 하우징(410)의 내측에 구비되는 탄성부(460)는 상기 가압로드(440)를 하부로 탄성지지함으로써, 레버(310)를 통하여 가압부(400)가 하부로 이동하여 포터 필터에 수용된 커피 가루를 가압할 때, 탄성부(460)의 탄성력 만큼의 힘으로 커피 가루를 가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410)은 상부와 하부를 각각 형성한 후, 이를 조립할 수도 있고, 전체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410)의 측부에는 표시공(420)이 형성되는데, 상기 표시공(420)은 상하 방향으로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표시공(420)의 측부에는 상하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눈금(4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410)의 내측에는 이동부재(48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이동부재(480)는 가압로드(440)와 탄성부(46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탄성부(460)의 탄성력을 가압로드(44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48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용홈(484)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460)의 하부가 삽입되는데, 상기 이동부재(480)의 외주면에는 지시선(482)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이동부재(48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지시선(482)은 상기 표시공(420)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되며, 상기 이동부재(480)는 가압부(400)가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탄성부(460)가 수축되므로 가압로드(440)를 가압하는 힘이 변하게 되는데, 상기 지시선(482)의 위치가 가압되는 정도에 따라 표시공(420)의 상부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가압력이 커지게 되므로 표시공(420)의 측부에 형성된 눈금(430)을 참고하여 가압력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탬핑 작업시에 포터 필터에 수용된 커피가루가 너무 약하게 다져질 경우 공극이 커지게 되어 커피 추출시 커피의 추출율이 낮아지게 되므로 커피의 맛이 약하게 되며, 너무 강하게 다져질 경우 공극이 너무 작아져 온수가 이동하기 어려워 안정적인 추출이 어렵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약 10 ~ 30kgf/cm2의 힘으로 가압하도록 하여 맛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숙련된 바리스타가 아닌 일반인일 경우 가압하는 힘을 조절하기가 어려워 커피의 향미를 제대로 살릴 수 있는 커피의 추출이 쉽지 않은데 반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표시공(420)에 보여지는 지시선(482)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가압하는 힘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숙련된 바리스타가 아닌 일반 사용자라도 적절한 힘으로 커피 가루를 다질 수 있어 커피의 향미를 제대로 살릴 수 있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410)의 내측에 구비되는 탄성부(4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480)의 내측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스프링(462)과 상기 하부 스프링(462)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스프링(464)과 상기 상부 스프링(464)과 하부 스프링(462) 사이에 구비되는 분할판(47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분할판(47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지지돌부(472)가 돌출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돌부(472)는 코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스프링(464)과 하부 스프링(462)의 사이로 삽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돌부(472)는 상부 스프링(464)과 하부 스프링(46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가압부(400)가 하부로 이동하여 가압로드(440)가 상부로 이동하여 상부 스프링(464)과 하부 스프링(462)이 압축되더라도 지지돌부(472)가 이동부재(480)와 임의로 접하지 않게 된다.
반면, 특수한 경우에는 10 ~ 30kgf/cm2의 힘보다 더 큰힘으로 커피 가루를 다져야 할 경우에는 레버(310)를 이용하여 가압부(400)를 완전히 하부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부 스프링(464)와 하부 스프링(462)이 완전히 압축되어 지지돌부(472)의 하단은 이동부재(480)의 상부와 접하게 되고, 지지돌부(472)의 상단은 하우징(410)의 커버부재(414)의 하면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 스프링(464)과 하부 스프링(462)의 과도한 수축에 의해 탄성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상기 레버(310)에 의해 가압부(400)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힘을 온전하게 커피 가루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200)는 상하를 관통하도록 제1관통공(210)이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400)가 삽입되고, 제1관통공(210)의 후부에 좌우를 관통하도록 제2관통공(220)이 형성되어 레버부(300)를 구성하는 회전축(320)이 삽입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관통공(210)과 제2관통공(220)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가압부(400)와 회전축(320)이 접하게 되는데, 상기 가압부(400)를 형성하는 하우징(410)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랙(412)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320)에는 상기 랙(412)에 대응되도록 피니언(330)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랙(412)와 피니언(330)의 작용에 의해 사용자가 레버(310)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가압부(400)가 승하강 하게 되어 가압부(400)의 하부에 위치는 포터 필터의 커피 가루를 다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탬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터 필터에 수용된 커피가루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숙련된 사용자가 아니더라도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가압력을 조절하여 양질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하는 탬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100 : 받침대 110 : 지주
120 : 필터 지지대 200 : 몸체
210 : 제1관통공 220 : 제2관통공
300 : 레버부 310 : 레버
320 : 회전축 330 : 피니언
400 : 가압부 410 : 하우징
420 : 표시공 430 : 눈금
440 : 가압로드 450 : 가압부재
460 : 탄성부 470 : 분할판
480 : 이동부재

Claims (7)

  1.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형성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지주에 설치되는 필터 지지대와, 상기 몸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필터 지지대에 안착된 포터 필터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를 승하강 시키는 레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부는 원통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삽입되는 가압로드와, 상기 가압로드의 하단에 형성되는 가압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가압로드를 하부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가압로드와 탄성부 사이에 이동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내측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스프링과, 상기 하부 스프링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스프링과, 상기 하부 스프링과 상부 스프링 사이에 위치하는 분할판과, 상기 분할판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는 지지돌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탬핑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표시공이 형성되고,
    상기 표시공의 측부에는 가압력의 정도를 표시하는 눈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탬핑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표시공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지시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탬핑 장치.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부는 상부 스프링과 하부 스프링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일정 이상의 압력이 필요할 경우 지지돌부의 하단이 이동부재의 상부와 접하도록 하여 강한 힘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탬핑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몸체를 상하 관통하는 제1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레버부를 구성하는 회전축은 상기 몸체를 좌우로 관통하는 제2관통공에 삽입되며,
    상기 제1,2관통공은 서로 연통되어 가압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랙과 회전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피니언이 서로 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탬핑 장치.
KR1020180105659A 2018-09-05 2018-09-05 탬핑 장치 KR102057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659A KR102057500B1 (ko) 2018-09-05 2018-09-05 탬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659A KR102057500B1 (ko) 2018-09-05 2018-09-05 탬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7500B1 true KR102057500B1 (ko) 2019-12-19

Family

ID=69056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659A KR102057500B1 (ko) 2018-09-05 2018-09-05 탬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5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091B1 (ko) * 2022-01-24 2022-06-22 김남철 커피 머신용 자동 템퍼링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171B1 (ko) * 2009-04-06 2011-10-28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압력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171B1 (ko) * 2009-04-06 2011-10-28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압력측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091B1 (ko) * 2022-01-24 2022-06-22 김남철 커피 머신용 자동 템퍼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6777B1 (en) Tamper for espresso machine
CN106073506B (zh) 一种冲击式恒定压力咖啡压粉器
US6978682B2 (en) Force-adjustable hand-held coffee/espresso tamping device
US4602558A (en) Apparatus for making one or more consumption units of coffee
WO2020071799A1 (ko) 커피 탬퍼
EP3158902B1 (de) Wägeeinheit für eine kaffeebohnenmühle, kaffeebohnenmühle mit integrierter wägeeinhei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kaffeebohnenmühle
KR102057500B1 (ko) 탬핑 장치
DE102013005597A1 (de) Elektronischer Stampfer (Tamper) für gemahlenen Kaffee
JPWO2016132412A1 (ja) 飲料供給装置
KR101314136B1 (ko) 커피 탬퍼
CN103417114B (zh) 饮料机及其使用方法
JP2017533808A (ja) エスプレッソコーヒー抽出装置
KR20130037893A (ko) 탬퍼
US20060150822A1 (en) Method for making espresso and device for the like
CA2825627C (en) Brew chamber packet ejector
JP2021505215A (ja) 挽き粗さを設定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102175442B1 (ko) 커피 탬퍼
KR20160106234A (ko) 원두커피의 다지기 장치
CN210055696U (zh) 一种恒力压粉机
CN211985120U (zh) 一种恒定压力式咖啡压粉器
CN206197774U (zh) 一种冲击式恒定压力咖啡压粉器
KR102357773B1 (ko) 커피 탬핑 장치
CN217090351U (zh) 一种省力定压的咖啡压粉器
CN208555130U (zh) 一种等静压石墨表面处理装置
KR102236949B1 (ko) 압력 조절이 가능한 탬퍼 교체식 자동 커피 탬퍼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