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773B1 - 커피 탬핑 장치 - Google Patents

커피 탬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7773B1
KR102357773B1 KR1020210024338A KR20210024338A KR102357773B1 KR 102357773 B1 KR102357773 B1 KR 102357773B1 KR 1020210024338 A KR1020210024338 A KR 1020210024338A KR 20210024338 A KR20210024338 A KR 20210024338A KR 102357773 B1 KR102357773 B1 KR 102357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mper
portafilter
coffee
unit
t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운
Original Assignee
박상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운 filed Critical 박상운
Priority to KR1020210024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7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6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커피 탬핑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탬핑 장치는, 하부에 내측으로 만입된 탬핑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탬핑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포터필터가 거치되는 결합부와, 결합부 상부의 본체에 설치되며 포터필터를 향하여 회전하면서 동시에 하강하여 포터필터에 담긴 분쇄원두를 가압하는 탬퍼, 및 본체에 설치되며 탬퍼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탬퍼를 동작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피 탬핑 장치{Coffee tamping apparatus}
본 발명은 커피 탬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균일한 압력으로 분쇄원두를 탬핑하여 양질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돕는 커피 탬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두(coffee bean)로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생원두를 볶는 로스팅(roasting) 단계와, 볶은 원두를 분쇄하는 그라인딩(grinding) 단계, 및 분쇄 원두를 고온의 물로 우려내는 추출(brewing) 단계를 거쳐야 하며, 생원두의 종류와 로스팅 정도, 분쇄 원두의 입자 크기, 온수의 온도와 압력은 커피의 향미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전술한, 그라인딩 단계와 추출 단계는 통상, 분쇄기와 추출기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편차가 적게 나타나는 편이다. 그러나, 포터필터(porta filter)에 담긴 분쇄원두를 탬퍼(tamper)로 가압하여 일정하게 다진 후 추출기에 장착하는 과정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편차가 크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분쇄원두를 약하게 가압하여 다지면 온수가 빨리 투과되어 커피의 맛이 연하게 추출되고, 분쇄원두를 세게 가압하여 다지면 온수가 천천히 투과되어 커피의 맛이 진하게 추출될 수 있다. 이처럼, 분쇄원두를 다지는 탬핑 과정은 커피의 맛과 향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크레마'라고 불리는 거품층의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매우 중요한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편차가 크고 동일 작업자라 하더라도 신체적 상황에 따라 편차가 발생하기도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균일한 압력으로 분쇄원두를 탬핑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67719호 (2013. 06. 25.)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균일한 압력으로 분쇄원두를 탬핑하여 양질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돕는 커피 탬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탬핑 장치는, 하부에 내측으로 만입된 탬핑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탬핑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포터필터가 거치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상부의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포터필터를 향하여 회전하면서 동시에 하강하여 상기 포터필터에 담긴 분쇄원두를 가압하는 탬퍼,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탬퍼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탬퍼를 동작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탬퍼는, 상기 분쇄원두를 가압하는 바닥면 중 일부에 상부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탬퍼는, 상기 바닥면 중 나머지 일부가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면적이 상기 수평면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탬퍼의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된 고정축과, 하부에 상기 탬퍼가 결합되고 외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되며 내주면이 상기 고정축과 나선 결합되어 상기 고정축을 따라 회전하며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웜휠기어와, 상기 웜휠기어의 외주면에 치합되는 웜기어, 및 상기 웜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웜휠기어는 상기 고정축 방향의 길이가 상기 탬퍼의 최대 하강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피 탬핑 장치는, 상기 탬핑공간 내부에 상기 결합부와 전기적으로 절연되게 설치되어 상기 포터필터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면 접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가 도전체로 형성되어, 상기 포터필터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센서부와 상기 결합부가 상기 포터필터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만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유닛을 구동하여 상기 탬퍼를 회전시키면서 동시에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포터필터의 손잡이와 평행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지니고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포터필터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본체 내부로 삽입되면 전기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결합부와 통전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에 상기 고정축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센서부와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탬퍼가 구동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되므로, 포터필터에 담긴 분쇄원두를 균일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일정하게 다질 수 있어 양질의 커피가 추출되도록 도울 수 있다. 특히, 탬퍼의 바닥면 중 일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되므로, 탬핑 시 포터필터에 담긴 분쇄원두가 고르게 분포되면서 분쇄원두 사이가 조밀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추출된 커피의 풍미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포터필터가 결합부에 결합되어 센서부를 가압할 때만 구동유닛이 동작되므로, 유지 보수 시 탬퍼가 임의 하강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동유닛이 본체 내부에 컴팩트하게 설치되므로, 장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탬핑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피 탬핑 장치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커피 탬핑 장치를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구동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탬퍼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커피 탬핑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탬핑 장치(1)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탬핑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탬핑 장치(1)는 포터필터에 담긴 분쇄원두를 탬퍼로 가압하여 일정하게 다지는 탬핑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장치이다.
커피 탬핑 장치(1)는 탬퍼가 구동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되므로, 포터필터에 담긴 분쇄원두를 균일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일정하게 다질 수 있어 양질의 커피가 추출되도록 도울 수 있다. 특히, 탬퍼의 바닥면 중 일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되므로, 탬핑 시 포터필터에 담긴 분쇄원두가 고르게 분포되면서 분쇄원두 사이가 조밀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추출된 커피의 풍미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포터필터가 결합부에 결합되어 센서부를 가압할 때만 구동유닛이 동작되므로, 유지 보수 시 탬퍼가 임의 하강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동유닛이 본체 내부에 컴팩트하게 설치되므로, 장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커피 탬핑 장치(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커피 탬핑 장치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커피 탬핑 장치를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구동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탬퍼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 탬핑 장치(1)는 본체(10)와, 결합부(20)와, 탬퍼(30), 및 구동유닛(4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커피 탬핑 장치(1)의 외형(外形)을 이루는 것으로, 내부에 후술할 탬퍼(30)와 구동유닛(40)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0b)이 형성된 통 형상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하부에 내측으로 만입된 탬핑공간(10a)이 형성되며, 탬핑공간(10a)은 본체(10) 외측에 형성되어 수용공간(10b)과 분리되되 탬퍼(30)가 관통하는 관통구(10c)를 통해 수용공간(10b)과 연통될 수 있다. 본체(10)는 외측에 전원부(도면부호 미도시)와, 장치의 동작 여부에 따라 발광하는 LED(도면부호 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일 측에 결합부(20)가 설치된다.
결합부(20)는 포터필터(도 6의 100 참조)가 거치되는 부분으로, 본체(10)에 결합되어 탬핑공간(10a)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포터필터(100)라 함은, 분쇄원두를 수용한 상태로 커피머신에 장착되어 커피를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필터홀더(도 6의 110 참조)와 필터바스켓(도 6의 120 참조)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필터홀더(110)는 포터필터(100)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상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홀더(110)는 외주면에 손잡이(도 6의 130 참조)가 수평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개구된 상측에 필터바스켓(120)이 안착될 수 있다. 필터바스켓(120)은 망체(sieve) 형상의 부재로, 내부에 분쇄원두를 수용할 수 있다. 분쇄원두를 필터홀더(110)에 직접 수용할 경우, 필터홀더(110)의 하면에 관통된 추출구(도면부호 미도시)를 통해 분쇄원두가 배출되어 추출된 커피에 혼합되므로, 필터바스켓(120)을 장착하여 분쇄원두가 커피에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포터필터(100)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결합부(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터필터(100)가 진입하는 방향이 개구된 링 형상의 도전체로 형성되며, 포터필터(100)가 안착되는 상면에 단턱이 형성되어 포터필터(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포터필터(100)에 담긴 분쇄원두는 탬퍼(30)에 의해 탬핑된다.
탬퍼(30)는 포터필터(100)에 담긴 분쇄원두를 가압하여 고르게 평탄화하는 것으로, 결합부(20) 상부의 본체(10)에 설치되며 포터필터(100)를 향하여 회전하면서 동시에 하강하여 포터필터(100)에 담긴 분쇄원두를 가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탬퍼(30)는 분쇄원두를 가압하는 바닥면(31) 중 일부에 상부로 경사진 경사면(31A)이 형성되고, 나머지 일부가 수평면(31B)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31A)은 수평면(31B)으로부터 상부로 2~3°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면적이 수평면(31B)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바닥면(31) 중 일부가 상부로 경사진 경사면(31A)으로 형성됨으로써, 탬퍼(30)가 회전하면서 하강하여 분쇄원두를 가압할 때 포터필터(100)에 담긴 분쇄원두가 고르게 분포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분쇄원두 사이가 조밀해져 추출된 커피의 풍미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즉, 경사면(31A)은 분쇄원두를 고르게 퍼트리는 역할을 하고, 수평면(31B)은 분쇄원두를 균일하게 가압하여 다지는 역할을 한다. 또한, 수평면(31B)이 분쇄원두를 균일하게 가압함으로써, 분쇄원두 사이의 공기가 배출되어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커피 추출 시 공기층으로 인해 물방울의 유동이 차단되거나 편추출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항상 양질의 커피가 추출될 수 있다. 분쇄원두를 단순히 가압만 하는 경우, 분쇄원두 사이가 엉성하여 공기층이 형성되기 쉬우며, 공기층은 편추출의 발생률을 높여 추출된 커피의 맛과 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원 발명의 탬퍼(30)는 바닥면에 경사면(31A)과 수평면(31B)이 함께 형성되므로, 분쇄원두를 고르게 분포시켜 사이를 조밀하게 하면서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어 양질의 커피를 추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면(31A)은 면적이 수평면(31B)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분쇄원두를 균일하게 가압하는 원래의 기능에 충실하면서 분쇄원두도 고르게 분포할 수 있다. 탬퍼(30)는 구동유닛(40)에 의해 구동된다.
구동유닛(40)은 본체(10), 보다 구체적으로, 수용공간(10b)에 설치되며, 탬퍼(30)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탬퍼(30)를 동작시킬 수 있다. 구동유닛(40)은 고정축(41)과, 웜휠기어(42)와, 웜기어(43), 및 구동모터(44)를 포함한다. 고정축(41)은 원기둥 형태의 막대 또는 봉 형상의 부재로, 본체(10)에 고정되어 탬퍼(30)의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고정축(41)은 탬퍼(3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선이 형성되어 웜휠기어(42)와 나선 결합할 수 있다. 웜휠기어(42)는 하부에 탬퍼(30)가 결합되고 외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된 통상의 웜휠 기어(worm wheel gear)로, 내주면이 고정축(41)과 나선 결합되어 고정축(41)을 따라 회전하며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웜휠기어(42)는 고정축(41) 방향의 길이가 탬퍼(30)의 최대 하강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웜기어(43)와 치합된다. 웜기어(43)는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통상의 웜 기어(worm gear)로, 웜휠기어(42)와 수직하게 배치되어 웜휠기어(42)의 외주면에 치합될 수 있다. 웜기어(43)는 일 측이 본체(10)에 고정되고 타 측이 구동모터(44)에 연결되어 구동모터(44)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구동모터(44)는 본체(10)에 고정되어 웜기어(43)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즉, 구동모터(44)가 웜기어(43)에 회전력을 전달하면, 웜기어(43)가 웜휠기어(42)에 치합되면서 웜휠기어(42)가 고정축(4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웜휠기어(42)가 회전함에 따라 고정축(41)과의 나선 결합이 풀리거나 조여지면서 웜휠기어(42)와 탬퍼(30)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모터(44)가 웜기어(43)에 일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면, 웜기어(43)가 웜휠기어(42)에 치합되면서 웜휠기어(42)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웜휠기어(42)가 일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고정축(41)과의 나선 결합이 풀려 웜휠기어(42)와 탬퍼(30)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구동모터(44)가 웜기어(43)에 타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면, 웜기어(43)가 웜휠기어(42)에 치합되면서 웜휠기어(42)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웜휠기어(42)가 타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고정축(41)과의 나선 결합이 조여져 웜휠기어(42)와 탬퍼(30)가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동유닛(40)이 고정축(41), 웜휠기어(42), 웜기어(43), 및 구동모터(44)로 구성됨으로써, 본체(10) 내부에 컴팩트하게 설치될 수 있어 장치 전체 크기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종래의 탬핑 장치는 구동부가 스크류 방식 또는 유압실린더 방식으로 탬퍼를 승강하는 구조여서 길이가 길어 컴팩트한 구조를 구현할 수 없었으며, 이로 인해, 장치 전체 크기도 커져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본원 발명에 따른 커피 탬핑 장치(1)는 구동유닛(40)이 고정축(41), 웜휠기어(42), 웜기어(43), 및 구동모터(44)로 구성되어 컴팩트한 구조를 구현 가능하므로, 장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구동유닛(40)은 센서부(50)와 제어부(60)에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센서부(50)는 포터필터(100)의 결합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 탬핑공간(10a) 내부에 결합부(20)와 전기적으로 절연(絶緣)되게 설치되어 포터필터(100)가 결합부(20)에 결합되면 포터필터(100)와 접할 수 있다. 센서부(50)는 포터필터(100)의 손잡이(130)와 평행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지니고 본체(10)로부터 돌출 형성되므로, 포터필터(100)에 의해 가압되어 일부가 본체(10) 내부로 삽입되면 전기신호가 인가되어 도전체인 결합부(20)와 통전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센서부(50)의 신호에 따라 구동유닛(40)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는 포터필터(100)가 결합부(20)에 결합되어 센서부(50)와 결합부(20)가 포터필터(100)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만 구동유닛(40)을 구동하여 탬퍼(30)를 회전시키면서 동시에 하강시킬 수 있다. 센서부(50)가 매개체인 포터필터(100)에 의해 가압되어 결합부(20)와의 통전 여부가 인식된 상태에서 제어부(60)가 구동유닛(40)을 구동함으로써, 유지 보수 시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센서부(50)를 누르더라도 포터필터(10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구동유닛(40)이 구동하지 않으므로, 탬퍼(30)가 임의 하강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결합부(20)는 본체(10)에 고정축(41)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센서부(50)와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10)에는 결합부(20)의 이동을 제어하는 높이조절휠(70)이 회전 가능 하게 설치되며, 높이조절휠(70)은 일 측이 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높이조절휠(70)은 고정축(41)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71)에 축 결합되어 지지축(71)과 일체로 회전하며, 지지축(71)에는 결합부(20)의 단부가 나사 또는 나선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이조절휠(70)을 회전시키면, 지지축(71)이 회전하며 지지축(71)과 결합부(20)의 나사 또는 나선 결합이 풀리거나 조여지면서 결합부(20)가 지지축(71)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조절휠(70)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지축(71)도 일 방향으로 회전하며 지지축(71)과 결합부(20)의 나사 또는 나선 결합이 풀려 결합부(20)가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높이조절휠(70)을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지축(71)도 타 방향으로 회전하며 지지축(71)과 결합부(20)의 나사 또는 나선 결합이 조여져 결합부(20)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결합부(20)가 본체(10)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센서부(50)와의 거리가 조절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포터필터(100)를 거치할 수 있음은 물론 유지 보수가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커피 탬핑 장치(1)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커피 탬핑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 탬핑 장치(1)는 탬퍼(30)가 구동유닛(40)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되므로, 포터필터(100)에 담긴 분쇄원두를 균일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일정하게 다질 수 있어 양질의 커피가 추출되도록 도울 수 있다. 특히, 탬퍼(30)의 바닥면(31) 중 일부가 경사면(31A)으로 형성되므로, 탬핑 시 포터필터(100)에 담긴 분쇄원두가 고르게 분포되면서 분쇄원두 사이가 조밀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추출된 커피의 풍미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포터필터(100)가 결합부(20)에 결합되어 센서부(50)를 가압할 때만 구동유닛(40)이 동작되므로, 유지 보수 시 탬퍼(30)가 임의 하강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동유닛(40)이 본체(10) 내부에 컴팩트하게 설치되므로, 장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탬핑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고, 도 8은 결합부와 센서부 사이의 거리 조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포터필터(100)는 필터바스켓(120) 내부에 분쇄원두를 수용한 상태로 탬핑공간(10a) 내부로 진입하여 결합부(20) 상부에 거치된다. 이 때,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50)가 결합부(20)에 거치된 포터필터(100)에 의해 가압되지 않은 경우, 센서부(50)와 결합부(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아 전기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60)가 구동유닛(40)을 구동하지 않는다. 제어부(60)가 구동유닛(40)을 구동하지 않으면, 구동모터(44)를 비롯하여 웜기어(43), 웜휠기어(42)가 동작하지 않아 탬퍼(30)가 이동하지 않고 원래의 상태로 유지된다. 반대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50)가 결합부(20)에 거치된 포터필터(100)의 필터홀더(110)에 의해 가압되어 본체(10) 내부로 삽입된 경우, 센서부(50)와 결합부(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신호가 인가되며, 이에 따라, 제어부(60)가 구동유닛(40)을 구동하여 탬퍼(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가 구동모터(44)에 동작신호를 인가하면, 웜기어(43)가 웜휠기어(42)에 치합되면서 웜휠기어(42)가 고정축(4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웜휠기어(42)가 회전함에 따라 고정축(41)과의 나선 결합이 풀리면서 웜휠기어(42)와 탬퍼(30)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탬퍼(30)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포터필터(100)의 필터바스켓(120) 내부에 담긴 분쇄원두를 가압할 수 있다. 필터바스켓(120)에 담긴 분쇄원두는 탬퍼(30)가 가압하기 전,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가 엉성하게 배치되나, 탬퍼(30)가 가압하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르게 분포되어 사이가 조밀해지면서 압축될 수 있다. 이 때, 경사면(31A)은 분쇄원두를 고르게 분포시켜 사이를 조밀하게 하고, 수평면(31B)은 사이가 조밀해진 분쇄원두를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다. 탬퍼(30)에 의해 고르게 분포되어 가압된 분쇄원두는 편추출의 발생률이 감소하므로, 추출된 커피의 맛과 향이 향상될 수 있다.
분쇄원두의 탬핑이 끝나면, 제어부(60)는 구동모터(44)에 다시 동작신호를 인가하여 웜기어(43)와 웜휠기어(42)를 반대 방향으로 치합시키고, 이에 따라, 웜휠기어(42)와 고정축(41)의 나선 결합이 조여지면서 웜휠기어(42)와 탬퍼(3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8을 참조하면, 결합부(20)에 거치될 포터필터(100)의 크기가 크거나 유지 보수가 요구되는 경우, 높이조절휠(70)을 회전시켜 센서부(50)와 결합부(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조절휠(70)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지축(71)이 높이조절휠(70)과 함께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결합부(20)와의 나사 또는 나선 결합이 조여지므로, 결합부(20)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센서부(50)와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포터필터(100)의 크기가 작거나 유지 보수가 끝나면, 다시 높이조절휠(70)을 타 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부(20)와 센서부(50) 사이의 거리를 좁힐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커피 탬핑 장치
10: 본체 10a: 탬핑공간
10b: 수용공간 10c: 관통구
20: 결합부 30: 탬퍼
31: 바닥면 31A: 경사면
31B: 수평면 40: 구동유닛
41: 고정축 42: 웜휠기어
43: 웜기어 44: 구동모터
50: 센서부 60: 제어부
70: 높이조절휠 71: 지지축
100: 포터필터 110: 필터홀더
120: 필터바스켓 130: 손잡이

Claims (8)

  1. 하부에 내측으로 만입된 탬핑공간이 형성된 본체;
    상기 탬핑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포터필터가 거치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 상부의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포터필터를 향하여 회전하면서 동시에 하강하여 상기 포터필터에 담긴 분쇄원두를 가압하는 탬퍼,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탬퍼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탬퍼를 동작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탬퍼의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된 고정축과,
    하부에 상기 탬퍼가 결합되고 외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되며 내주면이 상기 고정축과 나선 결합되어 상기 고정축을 따라 회전하며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웜휠기어와,
    상기 웜휠기어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웜휠기어의 외주면에 치합되는 웜기어, 및
    상기 웜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웜휠기어는 상기 고정축 방향의 길이가 상기 탬퍼의 최대 하강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커피 탬핑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탬퍼는, 상기 분쇄원두를 가압하는 바닥면 중 일부에 상부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커피 탬핑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탬퍼는, 상기 바닥면 중 나머지 일부가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면적이 상기 수평면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커피 탬핑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탬핑공간 내부에 상기 결합부와 전기적으로 절연되게 설치되어 상기 포터필터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면 접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가 도전체로 형성되어,
    상기 포터필터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센서부와 상기 결합부가 상기 포터필터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만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유닛을 구동하여 상기 탬퍼를 회전시키면서 동시에 하강시키는 커피 탬핑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포터필터의 손잡이와 평행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지니고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포터필터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본체 내부로 삽입되면 전기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결합부와 통전 여부를 인식하는 커피 탬핑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에 상기 고정축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센서부와의 거리가 조절되는 커피 탬핑 장치.
KR1020210024338A 2021-02-23 2021-02-23 커피 탬핑 장치 KR102357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338A KR102357773B1 (ko) 2021-02-23 2021-02-23 커피 탬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338A KR102357773B1 (ko) 2021-02-23 2021-02-23 커피 탬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7773B1 true KR102357773B1 (ko) 2022-02-08

Family

ID=80252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338A KR102357773B1 (ko) 2021-02-23 2021-02-23 커피 탬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7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602B1 (ko) 2022-11-22 2023-09-20 주식회사 릴리즈테크 상향식 커피 탬핑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7719A (ko) 2011-12-14 2013-06-25 조성래 자동 탬핑 장치
KR101509140B1 (ko) * 2014-09-02 2015-04-07 정순철 자동 커피 탬퍼기
KR101710100B1 (ko) * 2016-08-10 2017-02-24 최선욱 레벨링 탬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7719A (ko) 2011-12-14 2013-06-25 조성래 자동 탬핑 장치
KR101509140B1 (ko) * 2014-09-02 2015-04-07 정순철 자동 커피 탬퍼기
KR101710100B1 (ko) * 2016-08-10 2017-02-24 최선욱 레벨링 탬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602B1 (ko) 2022-11-22 2023-09-20 주식회사 릴리즈테크 상향식 커피 탬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2222B1 (ko) 원두커피 분쇄장치
EP1126774B1 (en) Coffee grinding, portioning, and pressing device
CN105517470B (zh) 用于提供具有降低咖啡因含量的咖啡泡制品的咖啡机
KR102357773B1 (ko) 커피 탬핑 장치
US8601937B2 (en) Apparatus for making coffee
JPWO2016132412A1 (ja) 飲料供給装置
CA1055908A (fr) Moulin a cafe
WO2009152761A1 (zh) 一种新型的全自动磨豆机
EP2352404A1 (fr) Appareil electromenager de preparation de jus a rendement de pressage ameliore
KR20110138107A (ko) 유성기어조립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1932088B1 (ko) 원두분쇄장치
CN213850231U (zh) 电动咖啡磨豆机
KR101285558B1 (ko) 커피추출장치 및 방법
JP2020528805A (ja) 1回量の粉砕コーヒー粉末をプレスするための装置
CN113509060B (zh) 咖啡豆的研磨机构、其待研磨物状况的检测方法及咖啡壶组合
KR102175442B1 (ko) 커피 탬퍼
JP6624667B1 (ja) 臼体及びミル装置
KR101732792B1 (ko) 두부콩분쇄기
JP2022518353A (ja) コーヒー粉末をコーヒーマシンの抽出チャンバー内へと供給するための装置
KR101489809B1 (ko) 스마트 추출장치가 구비된 전자동 에스프레소 커피머신
KR20120092796A (ko) 커피머신용 양조기
KR102057500B1 (ko) 탬핑 장치
KR20220002027A (ko) 카카오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KR20120023323A (ko) 맷돌형 주서기
KR101542726B1 (ko) 원두커피 수동 분쇄기(핸드밀)를 전동 분쇄기로 변환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