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238B1 - 볶음 조리용 수평형 교반기 - Google Patents

볶음 조리용 수평형 교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238B1
KR102057238B1 KR1020190107223A KR20190107223A KR102057238B1 KR 102057238 B1 KR102057238 B1 KR 102057238B1 KR 1020190107223 A KR1020190107223 A KR 1020190107223A KR 20190107223 A KR20190107223 A KR 20190107223A KR 102057238 B1 KR102057238 B1 KR 102057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shaft
coupled
horizontal
st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식
황규수
Original Assignee
신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식 filed Critical 신성식
Priority to KR1020190107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2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165Stirring devices operatively connected to cooking vessels when being removably inserted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a plurality of interchangeable working units, e.g. with a single driving-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볶음 조리용 수평형 교반기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수평 회전축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단의 교반날개를 형성한 것이며, 이에 따라 볶음 용기내에 투입되는 점도가 낮은 볶음 재료들의 원활한 교반을 통해 점도가 낮은 볶음 재료들이 타지 않도록 최상의 상태로 볶으면서 최상의 볶음 요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볶음 조리용 수평형 교반기{Horizontal agitator for stir-fry cooking}
본 발명은 볶음 용기내에 점도가 없는 다양한 볶음 재료들이 투입시 이를 교반하기 위한 볶음 조리용 수평형 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식당 등의 주방에 사용되는 볶음 조리 장치는 솥 등의 볶음 용기내에 다양한 재료(예; 밥류, 묵, 카레 소스, 짜장 소스, 파, 양파, 김치류 등)를 투입하고 이를 교반기를 통해 교반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교반기는 수직형 회전축 끝단에 용기 바닥면에 밀착되는 교반 날개를 형성하여둔 것으로, 이러한 종래의 교반기는 점도가 높은 볶음 재료(예; 묵, 카레 소스, 짜장 소스, 김치류 등)의 볶음 요리에는 적합하지만, 점도가 낮은 볶음 재료(밥, 파, 양파, 멸치류 등)에 대한 볶음 조리시에는 그 볶음 조리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었다.
즉, 종래의 교반기는 수직형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교반날개가 수평 회전하면서, 용기내 하층부의 재료들을 교반시, 상층부의 재료들이 하층부로 흘러 내리면서 교반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이러한 교반 방식은 점도가 높은 볶음 재료들의 교반에는 유리하지만, 점도가 낮은 볶음 재료들을 교반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교반날개의 회전시 볶음 재료들이 흩날리는 현상으로 인해 그 교반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었던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7077호(공개일 2009.01.1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평 회전축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단의 교반날개를 형성함으로써, 볶음 용기내에 투입되는 점도가 낮은 볶음 재료들에 대한 교반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볶음 조리용 수평형 교반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볶음 조리용 수평형 교반기는, U자형을 이루는 상부 개방형의 볶음 용기내에 적용되는 것으로, 양끝단에 각각 제 1 및 제 2 축홈이 형성되는 수평 회전축; 상기 수평 회전축상에 직교되게 결합되는 복수의 교반축; 및, 상기 교반축에 결합되는 교반날개;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교반축에는 상기 볶음 용기내의 바닥면에 접촉하는 상기 교반날개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탄성체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교반축은, 상기 수평 회전축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제 1 결합부; 상기 제 1 결합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축봉; 상기 제 1 축봉의 끝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일측 끝단에 이탈 방지턱이 형성되는 제 2 결합부; 및, 상기 이탈 방지턱에 대응하는 걸림돌기가 외주면에 돌출되어 상기 제 2 결합부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축봉과 상기 제 2 결합부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봉; 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제 2 결합부의 내부에서 상기 걸림돌기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 봉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 봉에는 상기 교반날개와의 결합을 위한 제 3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교반날개는, 상기 가이드 봉의 상기 제 2 결합부에 마주하면서 결합되는 한 쌍의 날개 플레이트; 및, 한 쌍을 이루는 상기 날개 플레이트 사이에 결합되면서 일측은 외부로 노출되는 교반 패드;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교반패드는, 한 쌍을 이루는 상기 날개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패드; 및, 상기 결합패드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날개 플레이트의 외부에 노출되는 접촉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패드에는 상기 교반축의 회전에 따른 상기 교반날개의 회전에 저항을 받지 않도록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회전 가이드를 위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 회전축과 상기 교반축은 스테인레스 재질이고, 상기 교반날개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상기 수평 회전축과 상기 제 1 결합부는 용접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 1 축봉과 상기 제 2 결합부는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봉의 상기 제 3 결합부에는 한 쌍을 이루는 상기 날개 플레이트가 나사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 회전축의 외주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제 1 톱니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결합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 1 톱니부에 대응하는 제 2 톱니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수평 회전축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톱니부의 맞물림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교반날개는 상기 볶음 용기에 점도가 낮은 볶음 재료들이 투입시 이를 교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수평형 교반기는 수평 회전축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단의 교반날개를 형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볶음 용기내에 투입되는 점도가 낮은 볶음 재료들의 원활한 교반을 통해 점도가 낮은 볶음 재료들이 타지 않도록 최상의 상태로 볶으면서 최상의 볶음 요리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수평형 교반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수평형 교반기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수평형 교반기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수평형 교반기의 분해 상태를 보인 일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수평형 교반기의 결합 상태를 보인 일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교반기를 볶음 용기에 적용한 상태를 보인 볶음 조리 장치의 외형 사시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교반기를 볶음 용기에 적용한 상태를 보인 볶음 조리 장치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내부 투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교반기를 볶음 용기에 적용한 상태를 보인 볶음 조리 장치의 정단면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9의 복음 조리 장치를 좌측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9의 복음 조리 장치를 우측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단면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수평형 교반기를 이루는 수평 회전축과 교반축이 톱니 방식으로 결합되는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수평형 교반기를 이루는 수평 회전축과 교반축이 톱니 방식으로 결합된 상태의 결합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수평형 교반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수평형 교반기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수평형 교반기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수평형 교반기의 분해 상태를 보인 일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수평형 교반기의 결합 상태를 보인 일부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볶음 조리용 수평형 교반기(A)는 점도가 낮은 볶음 재료들을 교반하도록 U자형을 이루는 상부 개방형의 볶음 용기(100)내에 적용되는 것으로, 수평 회전축(10), 복수로 이루어진 교반축(20), 교반날개(30)를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탄성체(40)가 더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평 회전축(10)은 스테인레스 재질로서 상기 볶음 용기(100)의 내부에서 수평되게 설치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상기 수평 회전축(10)의 양끝단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축홈(11, 11')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첨부된 도 6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볶음 용기(100)가 본체(200)의 양단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 1 축홈(11)에는 상기 볶음 용기(100)의 내부 일측면으로 관통하는 제 1 동력 전달축(62)이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제 2 축홈(11')에는 상기 볶음 용기(100)의 내부 타측면에 결합되는 가이드 축(63)이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따라, 상기 수평 회전축(10)은 제 1 모터(61)의 구동력이 상기 제 1 동력 전달축(62)에 전달시, 상기 제 1 동력 전달축(62)에 전달되는 구동력에 따라 상기 볶음 용기(10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모터(61)는 제 1 감속기(64)와 가이드풀리(65) 및 피동풀리(66), 그리고 벨트(67)로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 피동풀리(66)에는 상기 제 1 동력 전달축(62)에 결합되면서, 상기 모터(61)의 구동력이 상기 제 1 동력 전달축(62)을 통해 상기 수평 회전축(10)에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교반축(20)은 스테인레스 재질로서 상기 수평 회전축(10)상에 서로 다른 각도에서 직교되게 다단 결합되는 것으로, 제 1 결합부(21), 제 1 축봉(22), 제 2 결합부(23), 가이드 봉(24)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 결합부(21)는 상기 수평 회전축(1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수평 회전축(10)과 용접 방식으로 결합되는 원통형 구조물이고, 상기 제 1 축봉(22)은 상기 제 1 결합부(21)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결합부(23)는 상기 제 1 축봉(22)의 끝단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이는 일측 끝단에 이탈 방지턱(23a)을 형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가이드 봉(24)은 상기 이탈 방지턱(23a)에 대응하는 걸림돌기(24a)가 외주면에 돌출되어 상기 제 2 결합부(23)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축봉(22)과 상기 제 2 결합부(23)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교반날개(30)와의 결합을 위한 제 3 결합부(24b)가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2 결합부(24b)에는 한 쌍을 이루는 상기 날개 플레이트(31, 31')가 나사(미도시)의 체결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교반날개(30)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상기 교반축(20)에 결합되는 것으로, 한 쌍의 날개 플레이트(31, 31')와 교반패드(32)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날개 플레이트(31, 31')는 상기 가이드 봉(24)의 상기 제 2 결합부(24b)에 마주하면서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교반 패드(32)는 한 쌍을 이루는 상기 날개 플레이트(31, 31') 사이에 결합되면서 일측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볶음 용기(100)의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교반패드(32)는 한 쌍을 이루는 상기 날개 플레이트(31, 31')의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패드(32a), 그리고 상기 결합패드(32a)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날개 플레이트(31, 31')의 외부에 노출되는 접촉패드(32b)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접촉패드(32b)에는 상기 교반축(20)의 회전에 따른 상기 교반날개(30)의 회전에 저항을 받지 않도록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회전 가이드를 위한 경사면(32c)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탄성체(40)는 상기 볶음 용기(100)내의 바닥면에 접촉하는 상기 교반날개(30)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으로, 이는 상기 제 2 결합부(23)의 내부에서 상기 걸림돌기(24a)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 봉(24)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교반기(A)가 적용되는 볶음 조리 장치는 첨부된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으로, 좌우 한 쌍의 몸체부(50, 50')내에 각각 제 1 구동부와 제 2 구동부를 구성하여둔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50, 50' 사이에 상기 볶음 용기(10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제 1 구동부는 상기 수평형 교반기(A)를 회전시키는 것이고, 상기 제 2 구동부는 상기 볶음 용기(10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구동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제 1 모터(61)와 제 1 동력전달축(62) 및 가이드 축(63), 그리고 제 2 감속기(64), 가이드풀리(65), 피동풀리(66), 벨트(67)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구동부는 정역회전 구동하는 제 2 모터(71)와, 이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제 2 감속기(72), 기어봉(73), 그리고 상기 기어봉(73)에 기어 맞물림되는 회전 기어(74)와, 상기 회전 기어(74)에 의해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기어(74)와 상기 볶음 용기(100)에 양단이 연결되는 제 2 동력 전달축(75)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볶음 조리용 수평형 교반기(A)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볶음 조리 장치의 볶음 용기(100)에 적용하여둔 상태에서, 상기 볶음 용기(100)에 점도가 낮은 볶음 재료들을 투입한다.
이후, 상기 볶음 조리 장치에 포함되는 몸체부(50, 5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미도시된 조작 패널 조작을 통해 전원 공급과 구동 시작 신호를 발생시키면, 제 1 구동부에 포함되는 제 1 모터(61)의 구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 1 모터(61)의 구동력은 제 1 감속기(64)를 통해 벨트(67)로 연결되는 피동풀리(66)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상기 피동풀리(66)에 결합되는 제 1 동력전달축(62)이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동력전달축(62)에 결합되는 수평 회전축(10)이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수평 회전축(10)에 설치각도가 서로 다르게 다단 설치되는 교반축(20)이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교반축(20)의 끝단에 결합되는 교반날개(30)는 탄성체(40)의 탄성력에 따라 유동하면서 상기 볶음 용기(100)의 바닥면과 접촉하여, 상기 볶음 용기(100)내에 투입되는 점도가 낮은 볶음 재료들을 볶음 조리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볶음 용기(100)의 외부 저면에는 인덕션 타입의 가열부(20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열부(200)의 가열에 따른 열이 상기 볶음 용기(100)에 전달되고 있을 때, 상기 교반축(20)에 결합되는 상기 교반날개(30)는 상기 수평 회전축(10)의 회전에 따라 점도가 낮은 볶음 재료들을 교반하게 되면서, 상기 볶음 용기(100)내의 점도가 낮은 볶음 재료들은 타지 않고 최상의 상태로 볶아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교반기(A)의 교반에 따라 점도가 낮은 볶음 재료들의 볶음 조리가 완료된 경우, 상기 제 1 구동부의 구동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2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볶음 용기(100)를 일정각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볶음 용기(100)내 볶음 조리물을 손쉽게 외부로 꺼낼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 2 구동부에 포함되는 제 2 모터(71)의 구동시, 상기 제 2 모터(71)의 구동력은 제 2 감속기(72)를 통해 기어봉(73)에 전달되어, 상기 기어봉(73)이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기어봉(73)에 기어 맞물림되는 회전 기어(74)가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회전기어(74)에 일단에 연결되는 제 2 동력 전달축(75)이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2 동력 전달축(75)의 타단은 상기 볶음 용기(100)의 타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볶음 용기(100)의 일측면에는 제 1 동력 전달축(62)이 관통하여 상기 수평 회전축(1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2 동력 전달축(75)에 전달되는 동력으로부터 상기 볶음 용기(100)는 일정각도로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면서, 사용자는 상기 볶음 용기(100)내 볶음 조리물을 외부로 손쉽게 꺼낼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볶음 용기(100)는 점도가 낮은 볶음 재료들이 투입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볶음 용기(100)에는 다양한 국 종류(예; 미역국, 무국, 된장국 등)의 재료가 투입 가능하고, 이렇게 투입되는 국 재료들을 상기 수평 회전축(10)에 결합되는 교반축(20)의 교반 날개(30)를 통해 교반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 이는 상기 수평 회전축(10)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제 1 톱니부(S1)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결합부(21)의 내주면에 상기 제 1 톱니부(S1)에 대응하는 제 2 톱니부(S2)를 형성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 수평 회전축(10)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 1 결합부(21)가 상기 제 1 및 제 2 톱니부(S1, S2)의 맞물림으로부터 결합시키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는 청소의 용이성을 확보하도록, 상기 수평 회전축(10)에서 상기 교반축(20)을 필요에 따라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인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에서와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서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볶음 조리용 수평형 교반기(A)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수평 회전축 11, 11'; 축홈
20; 교반축 21; 제 1 결합부
22; 제 1 축봉 23; 제 2 결합부
23a; 이탈 방지턱 24; 가이드 봉
24a; 걸림돌기 24b; 제 2 결합부
30; 교반날개 31, 31'; 날개 플레이트
32; 교반패드 32a; 결합패드
32b; 접촉패드 32c; 경사면
40; 탄성체 100; 볶음 용기
S1, S2; 톱니부

Claims (9)

  1. U자형을 이루는 상부 개방형의 볶음 용기내에 적용되는 것으로 양끝단에 각각 제 1 및 제 2 축홈이 형성되는 수평 회전축; 상기 수평 회전축상에 직교되게 결합되는 복수의 교반축; 상기 교반축에 결합되는 교반날개; 및, 상기 교반축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볶음 용기내의 바닥면에 접촉하는 상기 교반날개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탄성체; 를 포함하되,
    상기 교반축은, 상기 수평 회전축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제 1 결합부; 상기 제 1 결합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축봉; 상기 제 1 축봉의 끝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일측 끝단에 이탈 방지턱이 형성되는 제 2 결합부; 및, 상기 이탈 방지턱에 대응하는 걸림돌기가 외주면에 돌출되어 상기 제 2 결합부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축봉과 상기 제 2 결합부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봉; 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제 2 결합부의 내부에서 상기 걸림돌기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 봉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 조리용 수평형 교반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봉에는 상기 교반날개와의 결합을 위한 제 3 결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 조리용 수평형 교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는,
    상기 가이드 봉의 상기 제 2 결합부에 마주하면서 결합되는 한 쌍의 날개 플레이트; 및,
    한 쌍을 이루는 상기 날개 플레이트 사이에 결합되면서 일측은 외부로 노출되는 교반 패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 조리용 수평형 교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패드는,
    한 쌍을 이루는 상기 날개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패드; 및,
    상기 결합패드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날개 플레이트의 외부에 노출되는 접촉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패드에는 상기 교반축의 회전에 따른 상기 교반날개의 회전에 저항을 받지 않도록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회전 가이드를 위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 조리용 수평형 교반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회전축과 상기 교반축은 스테인레스 재질이고, 상기 교반날개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상기 수평 회전축과 상기 제 1 결합부는 용접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 1 축봉과 상기 제 2 결합부는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봉의 상기 제 3 결합부에는 한 쌍을 이루는 상기 날개 플레이트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 조리용 수평형 교반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회전축의 외주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제 1 톱니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결합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 1 톱니부에 대응하는 제 2 톱니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수평 회전축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톱니부의 맞물림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 조리용 수평형 교반기.
KR1020190107223A 2019-08-30 2019-08-30 볶음 조리용 수평형 교반기 KR102057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223A KR102057238B1 (ko) 2019-08-30 2019-08-30 볶음 조리용 수평형 교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223A KR102057238B1 (ko) 2019-08-30 2019-08-30 볶음 조리용 수평형 교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7238B1 true KR102057238B1 (ko) 2019-12-18

Family

ID=69052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223A KR102057238B1 (ko) 2019-08-30 2019-08-30 볶음 조리용 수평형 교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2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8616B1 (ko) * 2022-09-13 2022-11-17 김일중 사출물 성형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2232A (ja) 2006-03-22 2007-10-04 Nakai:Kk 2軸式の横型フードミキサー
JP2013042880A (ja) * 2011-08-23 2013-03-04 Kajiwara:Kk ドラム式鍋による食材の炒め方法及び炒め機
JP2018015100A (ja) * 2016-07-26 2018-02-01 株式会社サムソン 撹拌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2232A (ja) 2006-03-22 2007-10-04 Nakai:Kk 2軸式の横型フードミキサー
JP2013042880A (ja) * 2011-08-23 2013-03-04 Kajiwara:Kk ドラム式鍋による食材の炒め方法及び炒め機
JP2018015100A (ja) * 2016-07-26 2018-02-01 株式会社サムソン 撹拌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8616B1 (ko) * 2022-09-13 2022-11-17 김일중 사출물 성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27547B (zh) Cooking equipment and mixing devices for cooking equipment
KR102451847B1 (ko) 믹서 장치 및 방법
CN107155293B (zh) 家用电器搅拌装置
RU218447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ехан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WO2013141176A1 (ja) 加熱調理器
KR102057238B1 (ko) 볶음 조리용 수평형 교반기
KR102210927B1 (ko) 볶음 조리 장치
JP2005245375A (ja) 食材の攪拌装置
RU2750451C2 (ru) Варочный аппарат
US20160256006A1 (en) Gear system for mixers and mixer attachments
CN102650442A (zh) 用于微波炉的混合器
JP6866233B2 (ja) 加熱調理器
WO2012013021A1 (zh) 带有搅拌装置的烹调设备以及相应的烹调方法
JP2013236869A (ja) 攪拌調理装置
JP2013208192A (ja) 加熱調理器
AU570351B2 (en) Batter beater
JP3164679U (ja) 攪拌装置
CN216675435U (zh) 一种盖体组件和烹饪器具
CN212996007U (zh) 一种炒饭用锅铲及其驱动机构以及使用该锅铲的炒饭设备
EP3164007B1 (en) Household appliance mixing arrangement
KR101576207B1 (ko) 복합 교반날개가 구비된 국솥 교반장치
CN211066229U (zh) 烹饪设备
KR101666278B1 (ko) 식재료 혼합장치
JP6007038B2 (ja) 加熱調理器
CN104490307B (zh) 一种多功能食物处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