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060B1 - 충전커넥터의 잠금해제장치 - Google Patents

충전커넥터의 잠금해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060B1
KR102057060B1 KR1020190054952A KR20190054952A KR102057060B1 KR 102057060 B1 KR102057060 B1 KR 102057060B1 KR 1020190054952 A KR1020190054952 A KR 1020190054952A KR 20190054952 A KR20190054952 A KR 20190054952A KR 102057060 B1 KR102057060 B1 KR 102057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lock
charging connector
cable
guide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자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4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0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060B1/ko
Priority to PCT/KR2020/006036 priority patent/WO202023108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Landscapes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커넥터의 잠금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충전커넥터(10)의 잠금장치(50)에 설치되고 잠금장치(50)의 내부에 연결된 해제레버(55)와, 한쪽은 상기 해제레버(55)에 연결되고 반대쪽은 충전커넥터(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C1,C2)과, 상기 케이블(C1,C2)의 반대쪽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C1,C2)에 장력을 부여하여 상기 해제레버(55)를 회전시키는 작동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잠금해제장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중에 사용자가 임의로 충전커넥터(10)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해주므로, 비상상태나 기타 필요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충전커넥터의 잠금해제장치{Charging connector unlocking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충전커넥터의 잠금해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중에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충전커넥터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임의로 분리할 수 있게 하는 충전커넥터의 잠금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자동차에서는 구동원을 구동시키기 위해서 고전압 배터리가 사용되고, 배터리는 충전커넥터를 통해서 충전된다. 자동차에 설치된 충전커넥터는 인렛커넥터라고 하는데, 이러한 인렛커넥터는 충전스테이션에 설치된 플러그커넥터와 결합하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충전스테이션에서는 고전압이 제공되므로 안정성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인렛커넥터와 플러그커넥터가 결합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는 도중에 두 커넥터가 임의로 분리되면 스파크가 발생하여 자동차나 충전스테이션에 고장을 일으키거나, 사용자가 감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고자 인렛커넥터에는 커넥터 잠금장치가 있다. 커넥터 잠금장치는 플러그커넥터가 꽂힌 상태에서 플러그커넥터를 걸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액츄에이터에 의해 자동으로 잠금상태가 되게 한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충전도중이라도 이러한 잠금상태를 해제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충전시스템에 오류가 발생하여 충전이 되지 않거나 주변에 위험상황이 발생하면 사용자가 임의로 잠금상태를 해제해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에는 이러한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구조가 없거나 별도의 기구물을 이용해야 하는 등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일반적인 충전커넥터는 상대 플러크커넥터가 꽂히는 정면 일부만이 전기자동차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비상시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기구물 등을 삽입하기 위한 공간이 좁아 해제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73140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79697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자동차의 충전중에 사용자가 임의로 충전커넥터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전커넥터의 잠금장치에 연결된 잠금해제장치를 조작해서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잠금해제장치가 충전커넥터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되 케이블이 꼬이거나 큰 장력에 의해 충전커넥터나 잠금해제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충전커넥터의 잠금장치에 설치되고 잠금장치의 내부에 연결된 해제레버와, 한쪽은 상기 해제레버에 연결되고 반대쪽은 충전커넥터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반대쪽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에 장력을 부여하여 상기 해제레버를 회전시키는 작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커넥터에는 가이드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가이드블록을 통과하면서 연장방향이 안내되고, 상기 충전커넥터의 저면에는 설치부가 있고, 상기 가이드블록은 상기 설치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블록에 있는 조립레버는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설치부에 조립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삭제
상기 가이드블록은 상기 충전커넥터에 분리가능하도록 조립되고, 상기 가이드블록의 내부에는 상기 케이블의 안내되는 통과홀이 가이드블록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블록은 상기 해제레버가 설치된 충전커넥터의 상부에서 이격되되 상기 케이블이 상기 가이드블록을 기준으로 연장방향이 바뀌도록 한다.
상기 해제레버는 상기 충전커넥터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블록은 상기 충전커넥터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은 상기 가이드블록을 기준으로 해제레버-가이드블록 사이의 연장방향과 가이드블록-작동수단 사이의 연장방향이 다르다.
상기 케이블이 해제레버-가이드블록 사이로 연장되는 연장방향과 상기 케이블이 가이드블록-작동수단 사이로 연장방향의 사이각은 80도 내지 100도이다.
삭제
상기 충전커넥터의 설치부 중심에는 설치공간이 있고, 상기 설치공간에는 고정턱이 돌출되며, 상기 가이드블록의 조립레버에는 상기 고정턱에 걸리는 걸림턱이 돌출되되 상기 조립레버가 탄성변형되면 상기 걸림턱은 고정턱에 걸린 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조립레버는 상기 가이드블록의 외면에서 돌출된 외팔보형상이고, 상기 조립레버의 자유단부는 충전커넥터의 아래쪽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설치부의 내면과 이에 맞물리는 상기 가이드블록의 외면에는 상기 케이블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하는 요철구조가 있다.
상기 가이드블록의 통과홀 입구에는 안내면이 경사면 또는 곡면형태로 만들어진다.
상기 가이드블록이 설치된 충전커넥터의 외면과 이웃한 다른 외면에는 가이드암이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암은 상기 케이블을 걸어 가이드블록 방향으로 안내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충전커넥터의 잠금해제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잠금해제장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중에 사용자가 임의로 충전커넥터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해주므로, 비상상태나 기타 필요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잠금해제장치는 충전커넥터와 연결되어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공구 등을 이용하지 않고도 간단한 조작으로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잠금해제장치를 구성하는 작동수단(레버)은 잠금장치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충전커넥터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자동차의 엔진룸과 같이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는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좁은 충전커넥터 주변이 아니라 여유로운 공간에서 원격으로 해제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잠금해제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잠금해제장치에는 가이드블록이 설치되어서 케이블의 연장방향을 일정하게 안내해준다. 따라서 케이블이 길게 연장되더라도 주변의 부품과 간섭되거나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잠금해제장치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진다.
특히, 가이드블록이 커넥터장치의 저면에 설치되면 케이블의 연장방향이 가이드블록을 기준으로 바뀌게 된다. 즉, 가이드블록은 잠금장치와 직선으로 연결되는 방향에 있지 않고 여기서 벗어나 있기 때문에, 잠금장치의 액츄에이터가 케이블을 강한 힘으로 당겨 큰 장력이 가해지더라도 충전커넥터 또는 잠금해제장치가 분해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잠금해제장치의 내구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충전커넥터의 잠금해제장치의 일실시례가 적용된 충전커넥터의 모습을 정면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충전커넥터의 잠금해제장치의 일실시례가 적용된 충전커넥터의 모습을 배면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잠금해제장치가 작동하여 충전커넥터의 잠금상태가 해제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충전커넥터의 잠금해제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가이드블록이 충전커넥터에서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충전커넥터의 잠금해제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가이드블록과 가이드블록이 설치되는 설치부의 모습을 자세히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충전커넥터(10)의 잠금해제장치(이하 잠금해제장치라 한다)는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등에 구비되는 충전커넥터(10)에 설치된다. 여기서 충전커넥터(10)는 인렛커넥터로, 배터리 충전시에 충전 스테이션의 충전 코드 단부에 마련된 플러그커넥터(도시되지 않음)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충전커넥터(10)의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충전커넥터(10)의 골격은 커넥터몸체(11)가 만드는데, 커넥터몸체(11)는 대략 육면체이고 전방으로는 충전부(20)가 돌출되고, 도 2에서 보듯이 후방으로는 터미널을 고정하기 위한 홀더들이 설치된다. 상기 커넥터몸체(11)의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브라켓(12)이 돌출되어서 충전커넥터(10)가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자동차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참고로 커넥터몸체(11)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충전커넥터(10)의 전방에는 충전부(20)가 있다. 상기 충전부(20)는 상대커넥터인 플러그커넥터와 연결되는 것으로, 전방으로 노출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충전부(20)에는 별도의 커버가 결합되어서 충전을 할 때만 충전부(20)가 노출되게 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충전부(20)는 제1충전부(21)와 제2충전부(25)로 구성되는데, 서로 높이를 달리해서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례에서 제1충전부(21)는 교류전류로 충전되고, 제2충전부(25)는 직류전류로 충전되는 것으로, 여기에는 각각 별개의 플러그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다. 이들 제1충전부(21) 및 제2충전부(25)는 동시에 또는 각각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둘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충전부(21)에는 다수개의 제1체결홀(23')이 있고, 여기에는 플러그커넥터의 일부가 삽입된다. 제1체결홀(23')의 내부에는 터미널(T)들이 있는데, 이들 터미널(T)이 플러그커넥터의 상대터미널과 결합하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체결홀(23')은 제1충전부(21)에 총 7개가 있는데, 이들 중 일부에는 터미널(T)이 위치하고 일부에는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대물인 플러그커넥터가 결합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잠금장치(50)를 작동시켜 충전커넥터(10)와 플러그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해준다.
상기 제1충전부(21)의 아래에는 제2충전부(25)가 위치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충전부(25)에는 두개의 제2체결홀(26')이 있고, 여기에도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조립된다. 제1충전부(21)와 제2충전부(25)는 그 외곽구조가 서로 구별되도록 만들어져 있는데, 도 1에서 보듯이 대략 2개의 원형구조가 적층된 모습이어서 작업자가 제1충전부(21)와 제2충전부(25)를 구별해서 충전할 수 있다.
도 2를 보면, 와이어(W)들이 뒤쪽으로 연장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와이어(W)들은 앞서 설명된 터미널(T)들에 연결된 것으로, 플러그커넥터에서 공급된 전원을 배터리쪽으로 전달한다. 도 2에는 와이어(W)가 중간에 잘린 형태로 도시되어 있고, 제2충전부(25)에 설치되는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W)는 생략되어 있다.
이들 터미널과 와이어(W)는 리어홀더(31,33,3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리어홀더(31,33,35)는 충전커넥터(10)의 뒤쪽에 조립되어 터미널(T)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리어홀더(31,33,35)는 제1충전부(21)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1홀더(31)와, 제2충전부(25)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2홀더(33,35)로 구성된다. 본 실시례에서 제2홀더(33,35)는 다시 전방홀더(33)와 후방홀더(35)로 구성되는데, 후방홀더(35)는 와이어(W)가 연장되는 방향을 터미널의 설치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안내해준다. 이들 제1홀더(31) 및 제2홀더(33,35)는 충전커넥터(10)를 구성하는 부품들이므로 충전커넥터(10)의 일부로 볼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제2홀더(33,35)의 외면에는 가이드암(38)이 있다. 상기 가이드암(38)은 제2홀더(33,35)의 외면에서 돌출된 고리형상의 구조물로, 아래에서 설명될 케이블(C1,C2)을 걸어 케이블(C1,C2)의 연장방향이 어긋나지 않게 안내한다. 도 4를 보면, 상기 가이드암(38)의 중심에는 가이드홀(38')이 관통되고, 여기를 케이블(C1,C2)이 통과하는데, 도면을 기준으로 보면 가이드홀(38')은 상하방향으로는 뚫려있고, 측면방향으로는 막히거나 일부만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암(38)은 제2홀더(33,35)의 외면이 아니라 제1홀더(31)의 외면 또는 커넥터몸체(11)의 다른 위치에 있거나,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이드암(38)은 한개이며,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블록(70)이 설치된 충전커넥터(10)의 외면과 이웃한 다른 외면에서 돌출된다. 즉, 본 실시례에서 가이드블록(70)은 충전커넥터(10)의 저면에 있지만, 가이드암(38)은 측면에 있다.
상기 제2홀더(33,35)의 저면에는 설치부(40)가 있다. 상기 설치부(40)는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블록(70)이 설치되는 부분인데, 제2홀더(33,35)에 일체로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 설치부(40)는 제2홀더(33,35)가 아닌 커넥터몸체(11) 자체에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설치부(40)는 제2홀더(33,35)의 저면에서 돌출되는데, 여기에 가이드블록(70)이 분리가능하게 조립된다. 즉, 가이드블록(70)은 설치부(40)에 고정될 수도 있고, 분리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설치부(40)의 중심에는 설치공간(42)이 있고, 상기 설치공간(42)은 설치부(40)를 구성하는 조립펜스(41)에 의해 만들어진다. 상기 조립펜스(41)는 상기 설치공간(42)을 감싸는 형태로 제2홀더(33,35)의 저면에서 돌출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조립펜스(41)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립펜스(41)의 내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블록(70)의 조립레버(76)가 탄성변형을 통해 걸리는 고정턱(46)이 있다.
상기 조립펜스(41)의 구조를 보면 중심에 설치공간(42)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몸체(43)가 있고, 돌출몸체(43)에는 고정턱(46)이 있다. 상기 고정턱(46)의 아래쪽에는 조립레버(76)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고정가이드(46')가 경사면 형태로 있다. 상기 고정턱(46)은 고정가이드(46')가 끝나는 부분에 있는데, 도 4에서 보듯이 조립레버(76)의 걸림턱(77)이 걸릴 수 있도록 단차가 있는 구조이다.
상기 돌출몸체(43)를 기준으로 그 양쪽에는 가이드채널(44)이 있다. 상기 가이드채널(44)은 돌출몸체(43) 보다 상대적으로 안쪽으로 들어간 모양이고, 가이드블록(70)의 조립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채널(4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블록(70)의 가이드리브(75)가 삽입되어 가이드블록(70)의 조립방향이 정확하게 안내되고, 조립된 후에는 가이드블록(70)이 설치부(4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조립펜스(41)와 가이드블록(70)의 서로 맞닿는 부분은 요철구조를 만든다.
상기 설치부(40)에 조립되는 가이드블록(70)을 설명하기에 앞서 잠금장치(50)의 구조를 보면,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잠금장치(50)는 충전커넥터(10)의 상부에 설치되고 대략 육면체의 입체구조이다. 상기 잠금장치(50)의 케이스(51)는 커버(52)에 의해 닫혀 있고, 케이스(51)의 내부에는 모터와 다수의 기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모터가 동작되면 기어들이 회전하면서 잠금포스트(58)를 입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잠금포스트(58)는 도 1에서 보듯이 충전부(20)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것인데, 상대물인 플러그커넥터가 충전커넥터(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잠금포스트(58)가 하강하면 플러그커넥터를 걸어 분리되지 않게 한다. 잠금장치(50)의 동작은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전을 위해 상기 잠금장치(50)는 임의로 해제되어서는 안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비상시에 사용자가 특정한 조작을 하여 잠금상태가 해제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한 구조가 잠금장치(50)의 해제레버(55)이다. 상기 해제레버(55)는 잠금장치(50)의 케이스(51) 측면에 돌출된 것으로 회전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해제레버(55)는 케이스(51)의 내부에 있는 부품들과 연결되어 있어서, 해제레버(55)가 회전하면 잠금포스트(58)를 반대방향, 즉 잠금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해제레버(55)에는 걸림부(56)가 돌출되어 있어서 여기에 아래에서 설명될 케이블(C1,C2)의 고리부(61)가 걸린다.
잠금해제장치를 구성하는 케이블(C1,C2)은 세장형의 끈 형태로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케이블(C1,C2)은 금속줄인데, 한쪽은 상기 해제레버(55)에 연결되고 반대쪽은 충전커넥터(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작동수단에 연결된다. 사용자가 작동수단(도시되지 않음)을 조작(예를 들어 당기는 동작)하면, 상기 케이블(C1,C2)이 당겨지면서 해제레버(5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참고로 도 2는 잠금장치(50)가 작동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작동수단이 조작되어 케이블(C1,C2)이 해제레버(5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모습이다. 도 2에 표시된 화살표 A~C는 장력이 전달되는 과정을 보인 것이고, 해제레버(55)가 C방향으로 회전되면 잠금이 해제된다.
이렇게 케이블(C1,C2)에는 장력이 가해지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케이블(C1,C2)이 꼬이거나 큰 장력에 의해 잠금해제장치 또는 충전커넥터(10)가 손상될 염려도 있다. 예를 들어 잠금해제장치가 충전커넥터(10)와 케이블(C1,C2)로 연결되어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될수록 케이블(C1,C2)이 꼬이기 쉽고, 갑자기 가해진 큰 장력에 의해 충전커넥터(10)나 주변 부품이 손상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잠금해제장치의 구조를 통해서 이러한 부분을 해결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앞서 설명한 설치부(40)와, 여기에 설치되는 가이드블록(70)이 케이블(C1,C2)을 안정적으로 안내해주고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가이드블록(70)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사출물로 만들어진다. 상기 가이드블록(70)의 중심에는 케이블(C1,C2)이 통과하는데, 이를 위해서 가이드블록(70)에는 관통홀(72)이 가이드블록(7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관통홀(72)을 통과한 케이블(C1,C2)은 연장방향이 안내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가이드블록(70)은 상기 케이블(C1,C2)이 상기 가이드블록(70)을 기준으로 연장방향이 바뀌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블록(70)은 상기 충전커넥터(1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C1,C2)은 상기 가이드블록(70)을 기준으로 해제레버(55)-가이드블록(70) 사이의 연장방향과 가이드블록(70)-작동수단 사이의 연장방향이 다르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C1,C2)이 해제레버(55)-가이드블록(70) 사이로 연장되는 연장방향과 상기 케이블(C1,C2)이 가이드블록(70)-작동수단 사이로 연장방향의 사이각은 80도 내지 100도이다.
도 2를 보면, 케이블(C1,C2) 중 잠금장치(50)에 가까운 케이블앞부분(C1)은 충전커넥터(10)의 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데 반해, 작동수단에 가까운 케이블뒷부분(C2)은 충전커넥터(10)의 저면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가이드블록(70)은 잠금장치(50)와 직선으로 연결되는 방향에 있지 않고 여기서 벗어나 있기 때문에, 잠금장치(50)가 케이블(C1,C2)을 강한 힘으로 당겨 큰 장력이 가해지더라도 충전커넥터(10) 또는 잠금해제장치가 분해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가이드블록(70)은 상기 충전커넥터(10)의 설치부(40)에 분리가능하도록 조립되므로, 먼저 케이블(C1,C2)이 끼워진 상태로 조립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이드블록(70)이 분리되는 구조이므로 가이드블록(70)의 복잡한 형상을 별개물로 만들어내기 쉽다. 상기 가이드블록(70)의 구체적인 형상을 보면, 상기 가이드블록(70)은 대략 육면체 구조이고, 좌우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상기 케이블(C1,C2)이 가이드블록(70)을 통과하면서 그 연장방향이 안내된다. 케이블(C1,C2)은 가이드블록(70)을 기준으로 케이블앞부분(C1)과 케이블뒷부분(C2)으로 구분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가이드블록(70)의 정확한 형상은 도 4에서 볼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블록(70)은 블록몸체(71)가 형상 및 골격을 만들고, 블록몸체(71)를 관통해서 관통홀(72)이 있다. 상기 관통홀(72)의 입구에는 안내면(73)이 경사면 또는 곡면형태로 만들어진다. 상기 안내면(73)은 방향이 꺾인 케이블(C1,C2)이 관통홀(72) 가장자리의 날카로운 부분에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안내면(73)은 곡면형상이다.
상기 가이드블록(70)에는 가이드리브(75)가 돌출된다. 상기 가이드리브(75)는 조립레버(76)를 중심에 두고 그 양쪽에 각각 돌출되는데, 상기 가이드리브(75)는 가이드블록(70)의 조립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리브(75)는 앞서 설명한 설치부(40)의 가이드채널(44)에 삽입되어 가이드블록(70)의 조립방향이 정확하게 안내되고, 조립된 후에는 가이드블록(70)이 설치부(4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이드리브(75)는 조립레버(76)의 양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조립레버(76)를 보호해서 조립레버(76)가 임의로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블록(70)에는 조립레버(76)가 있다. 상기 조립레버(76)는 상기 블록몸체(71)의 양쪽에 외팔보 형태로 돌출된 것으로, 상기 조립레버(76)의 자유단부는 충전커넥터(10)의 아래쪽 방향으로 돌출된다. 가이드블록(70)이 설치부(40)에 설치되면 상기 조립레버(76)는 앞서 설명한 설치부(40)의 조립펜스(41)의 내면과 마주본다. 상기 조립레버(76)는 블록몸체(71)의 외면 방향에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는데, 블록몸체(71)의 외면 방향에 가까워지면 조립레버(76)에 돌출된 걸림턱(77)이 조립펜스(41)의 고정턱(46)에 걸린 상태가 해제된다. 즉, 도 4의 화살표 D방향으로 조립레버(76)가 변형되면, 걸림턱(77)이 조립펜스(41)의 고정턱(46)에 걸린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조립레버(76)는 블록몸체(71)의 양쪽에 쌍을 이루어 있고, 그 바깥쪽면에 걸림턱(77)이 돌출된다. 미설명부호 76'는 삽입가이드로 조립레버(76)의 상단에 경사진 부분이다. 상기 삽입가이드(76')는 가이드블록(70)이 설치부(40)에 조립될 때 고정가이드(46')에 접하여 가이드블록(70)이 자연스럽게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가이드블록(70)에는 별도의 케이블가이드(80)가 결합될 수도 있는데, 상기 케이블가이드(80)는 일종의 쐐기형태일 수 있다. 상기 케이블가이드(80)는 일부는 가이드블록(70) 내부에 있고, 나머지 부분은 바깥쪽에 노출되어 케이블(C1,C2)을 안내한다. 물론 케이블가이드(8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케이블(C1,C2) 및 가이드블록(70)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케이블(C1,C2)은 한쪽 끝이 잠금장치(50)의 해제레버(55)에 연결되고, 반대쪽은 충전커넥터(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작동수단에 연결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해제레버(55)에 돌출된 걸림부(56)에는 케이블(C1,C2)의 고리부(61)가 걸리고, 케이블(C1,C2)의 반대쪽은 작동수단에 고정되어 작동수단이 조작되면 케이블(C1,C2)에 장력이 가해진다. 도면부호 62는 고리부(61)와 케이블앞부분(C1) 사이에 위치한 고정클립이다.
케이블(C1,C2)을 설치할 때 케이블(C1,C2)은 먼저 가이드블록(70)을 통과하는데, 가이드블록(70)의 관통홀(72)을 케이블(C1,C2)이 통과하는 것이다. 이 상태로 가이드블록(70)이 설치부(40)에 조립되면 케이블(C1,C2)은 가이드블록(70)을 기준으로 케이블앞부분(C1)과 케이블뒷부분(C2)으로 나뉜다. 케이블앞부분(C1)과 케이블뒷부분(C2)은 서로 연장방향이 다르다.
이 상태로 케이블(C1,C2)의 고리부(61)가 해제레버(55)에 걸리고, 반대쪽은 작동수단에 고정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홀더(33,35)의 외면에는 가이드암(38)이 있어서, 케이블앞부분(C1)이 임의로 흔들리지 않고 제2홀더(33,35) 외면에 밀착될 수 있게 해준다.
이렇게 케이블(C1,C2) 및 가이드블록(70)을 설치되면, 케이블(C1,C2)은 가이드블록(70)을 기준으로 연장방향이 바뀌면서 특정 방향으로 안내된다. 즉, 케이블(C1,C2)이 충전커넥터(10)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거나 흔들리지 않고 정해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케이블(C1,C2)이 다른 부품과 간섭되거나 다른 부품을 손상할 염려가 줄어들 수 있다.
한편, 잠금해제장치가 사용되는 과정을 보면, 사용자가 작동수단을 조작(예를 들어 당기는 동작)하면, 상기 케이블(C1,C2)이 당겨지면서 장력이 전달된다. 도 2를 보면, 화살표 A~C는 장력이 전달되는 과정을 보인 것이고, 최종적으로 해제레버(55)가 C방향으로 회전되면 잠금장치(50)에 의한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도 2는 잠금장치(50)가 작동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작동수단이 조작되어 케이블(C1,C2)이 해제레버(5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모습이다. 상기 해제레버(55)는 케이스(51)의 내부에 있는 부품들과 연결되어 있어서, 해제레버(55)가 회전하면 잠금포스트(58)를 반대방향, 즉 잠금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처럼 잠금해제장치가 사용되면 커넥터의 잠금상태가 강제로 해제되고, 사용자는 충전커넥터(10)를 플러그커넥터에서 분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잠금장치(50)에 의한 잠금이 해제되거나(도 2의 화살표 C방향 동작), 반대로 다시 잠기는 과정(도 2의 화살표 C'방향 동작)에서 케이블(C1,C2)에는 장력이 가해지게 되는데, 강한 힘이 전달되면 케이블(C1,C2)이 꼬이거나 큰 장력에 의해 잠금해제장치 또는 충전커넥터(10)가 손상될 염려도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C1,C2)이 설치부(40)-가이드블록(70)의 조립구조와, 케이블(C1,C2)의 방향전환을 통해서 이러한 염려가 줄어든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블록(70)이 충전커넥터(10)의 저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케이블(C1,C2)의 연장방향이 가이드블록(70)을 기준으로 바뀌게 된다. 즉, 가이드블록(70)은 잠금장치(50)와 직선으로 연결되는 방향에 있지 않고 여기서 벗어나 있기 때문에, 잠금장치(50)의 액츄에이터가 케이블(C1,C2)을 강한 힘으로 당겨 큰 장력이 가해지더라도 충전커넥터(10) 또는 잠금해제장치가 분해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블록(70)은 설치부(40)와 요철구조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케이블(C1,C2)의 강한 장력으로도 분해되지 않고 장력을 견딜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충전커넥터 11: 커넥터몸체
20: 충전부 40: 설치부
41: 조립펜스 42: 설치공간
43: 돌출몸체 46: 고정턱
50: 잠금장치 58: 잠금포스트
70: 가이드블록 72: 관통홀
75: 가이드리브 76: 조립레버
77: 걸림턱 C1,C2: 케이블

Claims (12)

  1. 충전커넥터의 잠금장치에 설치되고 잠금장치의 내부에 연결된 해제레버와,
    한쪽은 상기 해제레버에 연결되고 반대쪽은 충전커넥터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반대쪽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에 장력을 부여하여 상기 해제레버를 회전시키는 작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커넥터에는 가이드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가이드블록을 통과하면서 연장방향이 안내되고,
    상기 충전커넥터의 저면에는 설치부가 있고, 상기 가이드블록은 상기 설치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블록에 있는 조립레버는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설치부에 조립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충전커넥터의 잠금해제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록은 상기 충전커넥터에 분리가능하도록 조립되고, 상기 가이드블록의 내부에는 상기 케이블의 안내되는 통과홀이 가이드블록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충전커넥터의 잠금해제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록은 상기 해제레버가 설치된 충전커넥터의 상부에서 이격되되 상기 케이블이 상기 가이드블록을 기준으로 연장방향이 바뀌도록 하는 충전커넥터의 잠금해제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해제레버는 상기 충전커넥터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블록은 상기 충전커넥터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은 상기 가이드블록을 기준으로 해제레버-가이드블록 사이의 연장방향과 가이드블록-작동수단 사이의 연장방향이 다른 충전커넥터의 잠금해제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 해제레버-가이드블록 사이로 연장되는 연장방향과 상기 케이블이 가이드블록-작동수단 사이로 연장방향의 사이각은 80도 내지 100도인 충전커넥터의 잠금해제장치.
  7. 삭제
  8.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커넥터의 설치부 중심에는 설치공간이 있고, 상기 설치공간에는 고정턱이 돌출되며, 상기 가이드블록의 조립레버에는 상기 고정턱에 걸리는 걸림턱이 돌출되되 상기 조립레버가 탄성변형되면 상기 걸림턱은 고정턱에 걸린 상태가 해제되는 충전커넥터의 잠금해제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조립레버는 상기 가이드블록의 외면에서 돌출된 외팔보형상이고, 상기 조립레버의 자유단부는 충전커넥터의 아래쪽 방향으로 돌출되는 충전커넥터의 잠금해제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의 내면과 이에 맞물리는 상기 가이드블록의 외면에는 상기 케이블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하는 요철구조가 있는 충전커넥터의 잠금해제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록의 통과홀 입구에는 안내면이 경사면 또는 곡면형태로 만들어지는 충전커넥터의 잠금해제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록이 설치된 충전커넥터의 외면과 이웃한 다른 외면에는 가이드암이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암은 상기 케이블을 걸어 가이드블록 방향으로 안내하는 충전커넥터의 잠금해제장치.





KR1020190054952A 2019-05-10 2019-05-10 충전커넥터의 잠금해제장치 KR102057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952A KR102057060B1 (ko) 2019-05-10 2019-05-10 충전커넥터의 잠금해제장치
PCT/KR2020/006036 WO2020231084A1 (ko) 2019-05-10 2020-05-07 충전커넥터의 잠금해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952A KR102057060B1 (ko) 2019-05-10 2019-05-10 충전커넥터의 잠금해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7060B1 true KR102057060B1 (ko) 2019-12-18

Family

ID=6905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952A KR102057060B1 (ko) 2019-05-10 2019-05-10 충전커넥터의 잠금해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7060B1 (ko)
WO (1) WO20202310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1084A1 (ko) * 2019-05-10 2020-11-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충전커넥터의 잠금해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8534A (ja) * 2010-05-12 2011-11-24 Tokai Rika Co Ltd 給電プラグロック装置のロック手動解除構造
JP2013187094A (ja) 2012-03-09 2013-09-19 Nissan Motor Co Ltd 電動車両の充電ポート装置
JP2017212133A (ja) * 2016-05-26 2017-11-3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ロック緊急解除装置
KR101879697B1 (ko) 2017-04-07 2018-08-17 주식회사 인팩 플러그잠금용 액추에이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691A (en) * 1977-06-16 1979-01-17 Shinku Yakin Kk Method of producing intermetal compound superconductor nb3*sn11xmx*
KR102057060B1 (ko) * 2019-05-10 2019-12-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충전커넥터의 잠금해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8534A (ja) * 2010-05-12 2011-11-24 Tokai Rika Co Ltd 給電プラグロック装置のロック手動解除構造
JP2013187094A (ja) 2012-03-09 2013-09-19 Nissan Motor Co Ltd 電動車両の充電ポート装置
JP2017212133A (ja) * 2016-05-26 2017-11-3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ロック緊急解除装置
KR101879697B1 (ko) 2017-04-07 2018-08-17 주식회사 인팩 플러그잠금용 액추에이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1084A1 (ko) * 2019-05-10 2020-11-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충전커넥터의 잠금해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31084A1 (ko) 202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9517A (en) Two-piece clockspring with lock and wire harness assembly
US5460535A (en) Two-piece clockspring with lock and wire harness assembly
CN109698435B (zh) 具有辅助手柄的电连接器
CN104779467B (zh) 带有端子位置保证的电连接器
EP2905845B1 (en) Charging connector
GB2425408A (en) Connector assembly with lever to facilitate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CN109698427B (zh) 具有辅助手柄的电连接器
CN104904074B (zh) 具有自动辅助锁的连接器组件
JP3944179B2 (ja) コネクタ
KR20130121644A (ko) 보호판을 구비한 커넥터
EP2905846B1 (en) Terminal spacer
GB2482403A (en) Wire cover for electrical connector
KR102057060B1 (ko) 충전커넥터의 잠금해제장치
US11799234B2 (en) Protector and wire harness
CN109698436A (zh) 具有辅助手柄的电连接器
KR101939072B1 (ko) 레버타입 커넥터
JP2009095185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プロテクタ
JP6670446B2 (ja) コネクタ
KR102475089B1 (ko) 이중 이차 잠금부를 가지는 연결부 조립체
KR101285871B1 (ko) 충전커넥터 잠금장치
KR100988793B1 (ko) 레버타입커넥터
JP7323568B2 (ja) 車両、及び、車両の生産方法
US7307215B2 (en) Wiring harness slack absorbing device
KR101234336B1 (ko) 충전커넥터 잠금장치
JP2013084524A (ja) 充電ケーブルロッ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