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731B1 - 이중 면발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면발 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731B1
KR102056731B1 KR1020180050606A KR20180050606A KR102056731B1 KR 102056731 B1 KR102056731 B1 KR 102056731B1 KR 1020180050606 A KR1020180050606 A KR 1020180050606A KR 20180050606 A KR20180050606 A KR 20180050606A KR 102056731 B1 KR102056731 B1 KR 102056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odle
double
cutting
dough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6557A (ko
Inventor
김홍찬
Original Assignee
김홍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찬 filed Critical 김홍찬
Priority to KR1020180050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731B1/ko
Publication of KR20190126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21C11/163Applying co-extrusion, i.e. extruding two or more plastic substances simultaneously, e.g. for making filled dough products; Making products from two or more different substances supplied to the extruder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22Apparatus with rollers and cutting discs or blades for shaping noo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발 내부에 다른 재료 또는 색상의 심재가 충진되는 이중 면발을 성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중 면발 성형 장치는 제1 반죽소재의 내부로 제2 반죽소재를 삽입하여 심재가 충진된 이중 면발을 형성하고, 여러 가닥으로 배출된 심재가 충진된 이중 면발을 다시 한번 가압하여 판형의 면발로 변형하고, 별도의 절단수단을 통해 판형의 면발을 절단하여 다시 여러 가닥의 이중 면발을 성형한다. 본 발명의 이중 면발 성형 장치는 가압수단과 절단수단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면을 삶는 과정에서 면발이 풀어지지 않게 하며, 사각형 또는 삼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단면을 갖는 이중 면발을 성형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면발 성형 장치 {Forming Device For Noodle With Core}
본 발명은 면발 성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면발 내부에 다른 재료 또는 색상의 심재가 충진되는 이중 면발을 성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가루와 물을 혼합한 반죽을 늘이거나 길게 자른 후에 물에 삶거나 또는 증기 등에 데쳐서 우동 또는 국수 면발을 만들게 된다.
종래에는 밀가루와 물을 혼합한 후에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반죽하여 반죽물을 얻고, 그 반죽물을 칼 등을 이용하여 잘라 면발이 생산되지만,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면발을 생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소비자들의 기호가 다양해지면서, 다양한 재료와 형태를 갖는 면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면발 속에 다른 재료나 다른 색상의 면발이 들어가 여러 영양소와 특별한 식감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이중 면발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반죽하여 반죽물을 만드는 경우에는 면발 내에 다른 재료나 다른 색상의 심재를 넣는 것이 불가능하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공개특허 제2012-0079296호에서는 피면성분을 공급하는 피면성분 노즐과 속심성분을 공급하는 속심성분 노즐을 포함하는 이중 노즐 장치를 이용하여 속심을 갖는 국수 제조 이중 노즐 장치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공개특허 제2012-0079296호의 국수 제조 이중 노즐 장치의 경우 단순히 피면성분을 제공하는 전방 노즐헤드의 내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속심성분을 감싸게 되므로, 속심성분이 제대로 감싸지지 않아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는 등록특허 제10-1775785호를 통해 외측 면발의 내부에 심재를 공급하는 성형홀의 삽입부 끝단을 배치하여 면발에 심재가 완전하게 충진될 수 있는 면발 성형 장치를 제공한 바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79296호 (2012.07.12.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1775785호 (2017.09.19. 공고)
본 발명은 등록특허 제10-1775785호를 더욱 개량한 것으로, 심재가 충진된 이중 면발을 다시 한번 가압하여 면을 삶는 과정에서 면발이 풀어지지 않도록 하며, 별도의 절단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사각형 또는 삼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단면을 갖는 면발을 성형할 수 있는 이중 면발 성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중 면발 성형 장치는, 제1 반죽소재를 공급하는 제1 소재공급수단; 제2 반죽소재를 공급하는 제2 소재공급수단; 상기 제1 소재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된 제1 반죽소재와, 상기 제2 소재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된 제2 반죽소재를 각각 여러 가닥의 면발로 분할 배출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을 통해 면발 형태로 배출된 제1 반죽소재의 내부에 제2 반죽소재를 삽입하여 심재가 충진된 면발을 성형하는 혼합수단; 상기 혼합수단을 통해 성형된 심재가 충진된 면발을 다시 가압하여 판형으로 변형하는 가압수단; 및 상기 가압수단을 통과한 판형의 면발을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혼합수단을 통해 배출된 심재가 충진된 면발이 통과하는 직사각형 형태의 가압개구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개구의 높이는 상기 심재가 충진된 면발이 배출되는 상기 혼합수단의 제1 성형홀 출구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가압수단을 통과한 판형의 면발이 통과하는 절단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개구에는 상기 판형의 면발을 여러 가닥으로 분할하는 복수의 절단칼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개구의 상하면에는 가압개구 내측으로 가압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가압되는 판형 이중 면발의 상하면에 일정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절단칼날은 판형 이중 면발의 상하면에 형성된 패턴에 따라 판형 이중 면발을 절단하여 분할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면발 성형 장치는 면을 삶는 과정에서 면발이 잘 풀어지지 않는 심재가 충진된 이중 면발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심재는 원형 단면을 갖고 외측 면발은 사각형 또는 삼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단면을 갖는 심재가 충진된 이중 면발을 만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이중 면발 성형 장치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이중 면발 성형 장치의 혼합수단, 가압수단, 절단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이중 면발 성형 장치의 가압수단 및 절단수단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이중 면발 성형 장치를 통해 심재가 충진된 이중 면발이 성형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방향 표시에 있어서, 도면의 상측을 상측, 도면의 하측을 하측, 도면의 길이방향을 길이방향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5를 통해 본 발명인 이중 면발 성형 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이중 면발 성형 장치의 전체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 특징부인, 브라켓(400), 혼합수단(500), 가압수단(600) 및 절단수단(700) 부분의 단면을 확대한 사시도, 분해 사시도, 단면도이고, 도 5는 혼합수단(500), 가압수단(600) 및 절단수단(700)의 개구 형태를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가압수단(600) 및 절단수단(700)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면발 성형 장치는 테이블(100)(100) 상에 제1 반죽소재(1)를 공급하는 제1 소재공급수단(200), 제2 반죽소재(2)를 공급하는 제2 소재공급수단(300), 제1 반죽소재(1)와 제2 반죽소재(2)를 안내하며 각각 여러 가닥의 면발로 분할 배출하는 브라켓(400), 제1 반죽소재(1)와 제2 반죽소재(2)를 혼합하여 심재가 충진된 면발을 성형하는 혼합수단(500), 혼합수단(500)에 의해 심재가 충진된 면발을 가압하는 가압수단(600), 가압수단(600)을 통과한 면발을 절단하는 절단수단(7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소재공급수단(200), 제2 소재공급수단(300), 브라켓(400), 혼합수단(500), 가압수단(600) 및 절단수단(700)은 테이블(100)(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세부구성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 소재공급수단(200)은 제1 모터(2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 호퍼(240)로부터 공급되는 제1 반죽소재(1)를 출구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테이블(100)(100)이 상부면에 설치되는 제1 압출관(21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2 소재공급수단(300)은 제2 모터(3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 호퍼(340)로부터 공급되는 제2 반죽소재(2)를 출구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압출관(210)의 상부에 적층 되게 설치되는 제2 압출관(3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테이블(100)(100)의 상부면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소재공급수단(200)은 도 1과 같이 도면상 좌,우로 길게 제1 압출관(210)을 포함하고, 제1 압출관(210)의 내부에는 제1 모터(2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압출스크류(220)가 배치되어 제1 호퍼(240)로부터 공급되는 제1 반죽소재(1)를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1 소재공급수단(20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2 소재공급수단(300)은 도면상 좌,우로 길게 제2 압출관(310)을 포함하고, 제2 압출관(310)의 내부에는 제2 모터(3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 압출스크류(320)가 배치되어 제2 호퍼(340)로부터 공급되는 제2 반죽소재(2)를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 압출스크류(220)와 제2 압출스크류(320)는 기어로 연결하여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압출관(210)과 제2 압출관(310)의 일면에는 제1 반죽소재(1)와 제2 반죽소재(2)를 일정 형태로 변형하기 위한 대략 직사각형 단면의 입구단을 갖는 갖는 제1 안내홀(410)과 제2 안내홀(420)을 갖는 브라켓(400)이 결합된다. 본 발명의 브라켓(400)은 제1 반죽소재(1)와 제2 반죽소재(2)를 중앙으로 안내하는 제1 안내홀(410)과 제2 안내홀(420)이 내부에 형성되고, 복수의 통공을 통해 제1 반죽소재(1)와 제2 반죽소재(2)를 혼합수단(500)으로 분배시키는 제1 다공홀(411)과 제2 다공홀(4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1 압출관(210)과 제2 압출관(310)의 일면에는 제1 반죽소재(1)와 제2 반죽소재(2)를 일정 형태로 변형하기 위한 대략 직사각형 단면의 입구단(410a, 420a)을 갖는 갖는 제1 안내홀(410)과 제2 안내홀(420)을 갖는 브라켓(400)이 결합되며, 제1 안내홀(410) 및 제2 안내홀(420)의 입구단(410a, 420a)과 출구단(410b, 420b) 사이에는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이 각각 형성된다. 제1 안내홀(410) 및 제2 안내홀(420)의 출구단(410b, 420b)에는 제1 압출스크류(220)와 제2 압출스크류(320)를 통해 배출되는 제1 반죽소재(1)와 제2 반죽소재(2)를 여러 가닥으로 나누기 위한 제1 다공홀(411)과 제2 다공홀(421)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혼합수단(500)은 내부에 제1 다공홀(411) 및 제2 다공홀(421)과 대응하여 연통되게 형성되는 제1 성형홀(511) 및 제2 성형홀(521)을 포함하고, 제2 반죽소재(2)를 제1 반죽소재(1) 내부로 유입할 수 있도록 제2 성형홀(521)의 끝단에는 심재유입부(52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혼합수단(500)은 브라켓(400)의 일측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하부몸체(510)와 상부몸체(520)로 구성하고, 하부몸체(510)와 상부몸체(520)의 내부에는 상기 제1 성형홀(511)과 제2 성형홀(521)을 각각 형성하며, 제1 성형홀(511)을 통해 제1 반죽소재(1)를 면발 형태로 성형하고, 제2 성형홀(521)을 통해 제2 반죽소재(2)를 심재 형태로 성형한 후, 상기 제2 성형홀(521)의 끝단에 형성된 십재유입부가 'ㄴ'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심재유입부(522)의 심재유입말단(522a)이 제1 성형홀(51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면발 형태의 제1 반죽소재(1) 내부에 심재 형태의 제2 반죽소재(2)를 삽입하게 된다.
도 2 내지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가압수단(600)은 혼합수단(500)의 하부몸체(510)에 형성된 제1 성형홀(511)의 출구면에 대향하여 상기 하부몸체(510)와 결합된다. 가압수단(600)의 내부에는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제1 성형홀(511)에서 배출되는 면발 형태의 제1 반죽소재(1) 내부에 심재 형태의 제2 반죽소재(2)가 삽입된 이중 면발이 통과하는 가압개구(610)가 형성된다. 이 때 가압개구(610)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의 단면을 갖고, 가압개구(610)의 높이는 제1 성형홀(51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제1 성형홀(511)을 통과한 이중 면발을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압개구(610)의 상하면에는 가압개구(610) 내측으로 가압돌기(620)가 돌출 형성되어, 가압되는 이중 면발의 상하면에 일정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절단수단(700)은 가압수단(600)의 전면에 결합되어, 가압수단(600)을 통과한 이중 면발을 절단하게 된다. 절단수단(700)의 내부에는 가압개구(610)를 통과한 이중 면발이 관통하는 절단개구(710)가 형성되고, 절단개구(710)에는 가압수단(600)을 통과하며 판형으로 변형된 이중 면발을 절단하는 절단칼날(720)이 복수 개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절단칼날(720)은 가압개구(610)에 형성된 가압돌기(620)의 배치에 따라 여러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a)에서와 같이 가압돌기(620)가 상하 마주보고 배열되는 경우에는 절단칼날(720)이 이에 대응하여 절단개구(710)의 상하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고, 도 6의 (b)에서와 같이 가압돌기(620)가 엇갈려 배열되는 경우에는 절단칼날(720)이 이에 대응하여 절단개구(710)의 상하면에 대해 일정 경사를 갖도록 배치된다. 가압돌기(620)와 절단칼날(720)의 배치에 따라 최종 성형되는 이중 면발의 형태가 달라지며, 도 6의 (a)의 경우 단면이 사각형인 이중 면발이 성형되고, 도 6의 (b)의 경우에는 단면이 삼각형인 이중 면발이 성형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중 면발 성형 장치의 세부 구성과 작동 원리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같이 제1 모터(230) 및 제1 모터(2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 압출관(210)과 제2 압출관(310)의 내부에 설치된 제1 압출스크류(220)와 제2 압출스크류(320)를 회전시켜 제1 호퍼(240)와 제2 호퍼(340)로부터 공급되는 제1 반죽소재(1)와 제2 반죽소재(2)를 브라켓(400)에 구비된 제1 안내홀(410)과 제2 안내홀(420)로 공급하도록 한다.
도 5와 같이, 상기 제1 안내홀(410)로 공급되는 제1 반죽소재(1)는 제1 안내홀(410)의 내부에 형성된 제1 경사면을 따라 브라켓(400)의 상부 중앙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제2 안내홀(420)로 공급되는 제2 반죽소재(2)는 제2 안내홀(420) 내부에 형성된 제2 경사면을 따라 브라켓(400)의 하부 중앙으로 공급된다. 즉, 입구단(410a, 420a)과 출구단(410b, 420b)을 상향 경사진 제1 경사면으로 연결하여 제1 안내홀(410)로 유입된 제1 반죽소재(1)는 제1 경사면을 따라 브라켓(400)의 상부 중앙으로 이동하고, 제2 안내홀(420)에 구비된 입구단(410a, 420a)과 출구단(410b, 420b)을 하향 경사진 제2 경사면으로 연결하여 제2 안내홀(420)로 유입된 제2 반죽소재(2)가 제2 경사면을 따라 브라켓(400)의 하부 중앙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 반죽소재(1)와 제2 반죽소재(2)는 브라켓(400)의 일측면 중앙을 통해 혼합수단(500)으로 공급되며, 출구단(410b, 420b)에 형성된 제1 다공홀(411)과 제2 다공홀(421)을 통해 여러 가닥으로 나누어져 혼합수단(500)으로 이동하게 된다.
혼합수단(500)으로 이동된 제1 반죽소재(1)는 제1 성형홀(511)을 통과하며 면발 형태로 성형되고, 제2 반죽소재(2)는 제2 성형홀(521)을 통과하며 심재 형태로 성형되고 심재유입부(522)의 심재유입말단(522a)을 통해 제1 반죽소재(1) 면발의 내부에 심재로 충진되는 것이다.
한편, 심재가 충진된 여러 가닥의 이중 면발은 하부 몸체후단에 연결된 가압수단(600)을 통과하며 상하로 가압되면서 여러 가닥의 면발이 합쳐지게 되며, 가압수단(600)을 통과한 면발은 내부에는 여러 가닥의 심재가 삽입되지만, 외형은 일체의 판형으로 변경되게 된다.
외형은 판형이고 내부에 여러 가닥의 심재가 삽입된 면발은 가압수단(600)의 후단에 연결된 절단수단(700)을 통과하며 절단되어 다시 여러 가닥의 면발로 분리되며, 이때, 절단칼날(720)의 배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단면을 갖는 이중 면발을 만들 수 있다.
도 7을 통해 상기 과정을 다시 설명하면, 도 7의 (a) 위치에서는 하부 몸체의 제1 성형홀(511)을 통과한 제1 반죽소재(1)의 면발과 상부 몸체의 제2 성형홀(521)을 통과한 제2 반죽소재(2)의 심재가 각각 성형되며, (b) 위치에서는 심재유입부(522)가 제1 반죽소재(1) 면발의 내부에 위치함으로 인해, 제1 반죽소재(1) 면발의 상측이 U자 형상으로 열리게 되며, 그 내부에 단면이 축소된 제2 반죽소재(2)의 심재가 위치하게 되고, (c) 위치에서는 U자 형상으로 열린 제1 반죽소재(1) 면달의 상측이 다시 모아지면서 심재를 완전히 감싸는 형태의 이중 면발이 형성된다.
(c) 위치를 통과하면서 심재가 충진된 이중 면발이 완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이중 면발 성형 장치는 가압수단(600)을 통해 완성된 이중 면발을 다시 합치게 되며, 이를 통해 (d)에서와 같이 외형은 일체의 판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여러 가닥의 심재가 삽입된 면발을 만들게 되고, (e) 위치에서는 절단수단(700)의 절단칼날(720)에 의해 판형의 면발이 절단되어 다시 여러 가닥의 이중 면발이 형성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가압수단(600)에 형성된 가압돌기(620)와 절단수단(700)의 절단칼날(720)의 배치를 변경함에 따라 이중 면발의 단면은 여러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이중 면발 성형 장치는 심재가 충진된 이중 면발을 다시 한번 가압하여 면을 삶는 과정에서 면발이 풀어지지 않도록 하며, 별도의 절단수단(700)을 추가로 구비하여 사각형 또는 삼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단면을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제1 반죽소재 2: 제2 반죽소재
100: 테이블
200: 제1 소재공급수단
210: 제1 압출관 220: 제1 압출스크류
230: 제1 모터 240: 제1 호퍼
300: 제2 소재공급수단
310: 제2 압출관 320: 제2 압출스크류
330: 제2 모터 340: 제2 호퍼
400: 브라켓
410: 제1 안내홀 411: 제1 다공홀
420: 제2 안내홀 421: 제2 다공홀
410a,420a: 입구단 410b,410b: 출구단
500: 혼합수단
510: 하부몸체 511: 제1 성형홀
520: 상부몸체
521: 제2 성형홀 522: 심재유입부 522a: 심재유입말단
600: 가압수단
610: 가압개구 620: 가압돌기
700: 절단수단
710 : 절단개구 720: 절단칼날

Claims (4)

  1. 제1 반죽소재를 공급하는 제1 소재공급수단;
    제2 반죽소재를 공급하는 제2 소재공급수단;
    상기 제1 소재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된 제1 반죽소재와, 상기 제2 소재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된 제2 반죽소재를 각각 여러 가닥의 면발로 분할 배출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을 통해 면발 형태로 배출된 제1 반죽소재의 내부에 제2 반죽소재를 삽입하여 심재가 충진된 면발을 성형하는 혼합수단;
    상기 혼합수단을 통해 성형된 심재가 충진된 면발을 다시 가압하여 판형으로 변형하는 가압수단; 및
    상기 가압수단을 통과한 판형의 면발을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포함하는 이중 면발 성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혼합수단을 통해 배출된 심재가 충진된 면발이 통과하는 직사각형 형태의 가압개구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개구의 높이는 상기 심재가 충진된 면발이 배출되는 상기 혼합수단의 제1 성형홀 출구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가압개구의 상하면에는 가압개구 내측으로 가압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가압되는 판형 이중 면발의 상하면에 일정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가압수단을 통과한 판형의 면발이 통과하는 절단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개구에는 상기 판형의 면발을 여러 가닥으로 분할하는 복수의 절단칼날이 형성되되,
    상기 절단칼날은 판형 이중 면발의 상하면에 형성된 패턴에 따라 판형 이중 면발을 절단하여 분할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면발 성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050606A 2018-05-02 2018-05-02 이중 면발 성형 장치 KR102056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606A KR102056731B1 (ko) 2018-05-02 2018-05-02 이중 면발 성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606A KR102056731B1 (ko) 2018-05-02 2018-05-02 이중 면발 성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557A KR20190126557A (ko) 2019-11-12
KR102056731B1 true KR102056731B1 (ko) 2019-12-17

Family

ID=68577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606A KR102056731B1 (ko) 2018-05-02 2018-05-02 이중 면발 성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7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650B1 (ko) * 1996-04-20 2001-06-15 마에다 야스지 층형상체의제조방법
KR101775785B1 (ko) * 2015-09-21 2017-09-19 김홍찬 심재가 구비된 우동 면발 성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9296A (ko) 2011-01-04 2012-07-12 박윤신 속심을 갖는 국수 제조 이중 노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650B1 (ko) * 1996-04-20 2001-06-15 마에다 야스지 층형상체의제조방법
KR101775785B1 (ko) * 2015-09-21 2017-09-19 김홍찬 심재가 구비된 우동 면발 성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557A (ko) 201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5878B1 (en) Ice cream and topping mixing attachment
KR102554613B1 (ko) 가정용 국수 제조기
KR102056731B1 (ko) 이중 면발 성형 장치
JP3009835B2 (ja) 有芯棒状食品吐出装置
JP4088252B2 (ja) 添加剤リザーバを有する押出ダイ
US8882488B2 (en) Combined stamping and cutting device for modeling compound
KR101749014B1 (ko) 가래떡 성형틀, 가래떡 성형틀이 구비된 가래떡 성형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가래떡
KR20100094698A (ko) 가래떡 성형장치
KR101775785B1 (ko) 심재가 구비된 우동 면발 성형 장치
CN215961164U (zh) 一种药膏断丝装置和膏药制作机
JP3754826B2 (ja) 金型及び成形方法
TWI450688B (zh) 麵粉攪拌結構及包括該麵粉攪拌結構之製麵機
KR101424407B1 (ko) 제면기
US20080089989A1 (en) Apparatus with flow divider and method for making multicolored cereal
KR101166263B1 (ko) 이중 떡 압출장치에 사용되는 형상노즐
KR200426651Y1 (ko) 만두형 면국수 제조장치
KR102515580B1 (ko) 떡포환 다구형 자동 제조장치
WO2000042870A1 (fr)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ate pour une extrudeuse
US3120703A (en) Print forming apparatus
TWI771247B (zh) 具有核心a餡料、中間層b餡料及外層c麵團的包心麵條、用於其之押出成形的模具及方法
KR920002400Y1 (ko) 가래떡 제조기의 성형틀
JP3970913B1 (ja) 口金及び食品材料製造用のデポジッター
KR102285549B1 (ko) 관통형 떡 제조용 떡 기계
KR20120136981A (ko) 떡볶이용 떡 인출 장치와 그 인출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떡볶이용 떡
CN2295331Y (zh) 一种截面带图案的面包成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